KR20100096823A -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823A
KR20100096823A KR1020090015884A KR20090015884A KR20100096823A KR 20100096823 A KR20100096823 A KR 20100096823A KR 1020090015884 A KR1020090015884 A KR 1020090015884A KR 20090015884 A KR20090015884 A KR 20090015884A KR 20100096823 A KR20100096823 A KR 20100096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hield
cable
circumferential surfac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6449B1 (ko
Inventor
한대순
고은애
한대복
Original Assignee
한대순
고은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대순, 고은애 filed Critical 한대순
Priority to KR1020090015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4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선(12) 및 쉴드선(14)을 갖는 케이블(10)에 고정되어 분배기(20)의 단자볼트(22)에 결합되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단자볼트(22)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52)가 일측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타측의 내주면에 내향플랜지(54)가 마련된 유니언너트(50); 상기 유니언너트(50)에 삽입되고, 상기 내향플랜지(54)에 걸리는 플랜지형태의 걸림판(62)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10)의 코어선(12) 및 쉴드선(14)이 내주면 및 외주면에 끼워지는 인너슬리브(60); 상기 인너슬리브(6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인너슬리브(60)의 외주면에 끼워진 쉴드선(14)을 폐쇄적으로 차폐하는 쉴드슬리브(70); 상기 쉴드슬리브(70)의 외주면에 정합상태로 끼워지고, 내주면에 테이퍼(TP)가 형성되어 테이퍼(TP)에 의해 쉴드슬리브(70)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압축시키는 아우터슬리브(80) 및; 상기 아우터슬리브(80) 및 쉴드슬리브(70) 사이에 개재되어 아우터슬리브(80) 및 쉴드슬리브(70)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아우터슬리브(80)에 의해 쉴드슬리브(70)가 오므려지면서 케이블(10)을 견고하게 파지한다.
케이블, 단자, 커넥터, 볼트, 너트

Description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 TERMINAL CONNECTOR FOR CABLE }
본 발명은 케이블의 단부에 고정되어 분배기의 단자볼트에 체결되면서 단자볼트를 통해 케이블을 분배기에 연결시키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케이블과 별개로 제조되어 코어선 및 쉴드선을 갖는 케이블의 단부에 조립된다. 이러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분배기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케이블은 단자커넥터에 의해 분배기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단부에 고정되어 분배기(20)의 단자볼트(22)에 체결되면서 케이블(10)을 분배기(20)에 연결한다. 이러한 단자커넥터(T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유니언너트(1)가 마련되어 이 유니언너트(1)를 통해 단자볼트(22)에 체결된다.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코어선(12)이 인너슬리브(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케이블(10)의 쉴드선(14)이 인너슬리브(2) 및 슬리브(3) 사이로 삽입된다. 여기서, 전술한 슬리브(3)는 인너슬리브(2)에 억기끼움으로 압입고정되며, 집게형태나 스테플러형태의 미도시된 압착기에 의해 압착되 면서 쉴드선(14)을 인너슬리브(2)의 외주면에 통전가능한 상태로 밀착시킨다. 물론, 슬리브(3)는 압착되면서 케이블(10)의 절연성 외피를 가압하여 케이블(10)을 인너슬리브(2)의 외주면에 고정한다.
이러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유니언너트(1)가 단자볼트(22)에 체결될 경우, 인너슬리브(2)의 플랜지(2a)에 안착된 고무재 패킹링(4)이 압축되면서 단자볼트(22)의 테두리를 실링한다. 이때, 패킹링(4)은 플랜지(2a)에 안착된 상태로 단자볼트(22)의 테두리 및 유니언너트(1)의 내주면을 실링한다. 따라서, 단자볼트(22)는 원활하게 통전된다.
한편, 패킹링(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슬리브(2)의 플랜지(2a)에 형성된 지지턱(2b)에 지지됨에 따라 용이하게 압축된다. 따라서, 패킹링(4)은 압축되면서 보다 확실하게 실링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케이블(10)이 가늘게 형성될 경우, 미도시된 압착기에 의해 압축된 슬리브(3)의 내주면이 들뜨는 문제가 있다. 즉, 슬리브(3)가 케이블(10)의 외피를 견고하게 가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슬리브(3)의 내경에 비해 케이블(10)의 외경이 너무 가늘기 때문에 슬리브(3)는 케이블(10)의 외피를 견고하게 가압하지 못한다. 따라서, 우수나 수분이 슬리브(3)의 내주면 틈새로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케이블(10)이 분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케이블에 끼워진 상태로 케이블의 쉴드선을 감싸는 슬리브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슬리브를 차폐하면서 가압하는 중공형의 가압부재 및 슬리브의 외측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마련되어, 이 부재들에 의해 슬리브가 압축되면서 케이블을 실링상태로 파지할 수 있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인너슬리브의 일부분을 쉴드선에 웨지고정시키는 돌기형태의 부재가 마련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슬리브가 콜렛형태로 분할되어 슬리브의 분할된 부분이 제각각으로 절곡되면서 압축되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슬리브의 내·외측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찰저항을 제공하는 돌기형태의 부재를 갖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게다가, 케이블에 끼워진 상태로 슬리브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전술한 가압부재의 내주면측 단부에 가압부재의 끼움이나 케이블의 삽입을 유도하는 경사가 형성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코어선 및 쉴드선을 갖는 케이블의 단부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분배기의 단자볼트에 연결하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의 단자볼트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일측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타측의 내주면에 내향플랜지가 마련된 유니언너트; 상기 유니언너트에 관통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내향플랜지에 걸리는 플랜지형태의 걸림판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의 코어선 및 쉴드선이 내주면 및 외주면에 제각기 끼워지는 인너슬리브; 상기 인너슬리브의 외주면에 일측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인너슬리브의 외주면에 끼워진 쉴드선을 폐쇄적으로 차폐하는 쉴드슬리브; 상기 쉴드슬리브의 외주면에 정합상태로 끼워지고, 내주면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테이퍼에 의해 쉴드슬리브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압축시키는 아우터슬리브 및; 상기 아우터슬리브 및 쉴드슬리브 사이에 개재되어 아우터슬리브 및 쉴드슬리브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상기 인너슬리브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쉴드선을 가압하면서 쉴드선에 웨지고정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상기 쉴드슬리브의 일부분을 절개된 상태로 분할하여 쉴드슬리브의 분할된 부분을 제각기 압축시키는 분할수단;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할수단은 예컨대, 상기 쉴드슬리브의 단부에 쉴드슬리브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노치;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상기 쉴드슬리브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쉴드선을 파지하는 파지돌기;를 더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상기 쉴드슬리브의 외주면 에 형성되어 쉴드슬리브에 끼워지는 상기 아우터슬리브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아우터슬리브의 내주면에 웨지고정되는 웨지돌기;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상기 아우터슬리브의 내주면측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내주면에 테이퍼를 갖는 아우터슬리브가 인너슬리브에 고정된 쉴드슬리브의 외주면에 끼워지므로 아우터슬리브의 테이퍼에 의해 쉴드슬리브가 오므려지면서 케이블의 굵기에 상관없이 케이블의 외피를 견고하게 파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아우터슬리브가 쉴드슬리브를 차폐하고 실링부재가 아우터슬리브 및 쉴드슬리브를 실링하므로 쉴드슬리브가 실링상태로 케이블의 외피를 견고하게 파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인너슬리브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가 인너슬리브의 외주면에 끼워진 케이블의 쉴드선을 파고들면서 쉴드선 및 이 쉴드선을 차폐하는 케이블의 외피에 웨지고정되므로 쉴드선을 인너슬리브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쉴드슬리브가 분할수단에 의해 콜렛형태로 분할되므로 쉴드슬리브의 분할된 부위가 아우터슬리브에 의해 다양한 굵기의 케이블에 적합한 상태로 제각기 굴절되면서 케이블을 견고하게 파지하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쉴드슬리브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파지돌기 및 웨지돌기가 형성되므로 케이블의 쉴드선 및 아우터슬리브의 내주면에 슬립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쉴드슬리브의 내외측에 쉴드선 및 아우터슬리브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아우터슬리브의 내측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아우터슬리브를 케이블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쉴드슬리브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자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언너트(50); 인너슬리브(60); 쉴드슬리브(70); 아우터슬리브(80) 및; 후술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유니언너트(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52)가 일측의 내주면에 마련된다. 이러한 암나사(52)는 미도시된 분배기의 단자볼트와 나사결합된다.
인너슬리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형태의 걸림판(62)이 타측에 마련된 중공형태의 금속재 튜브이다. 이러한 걸림판(62)은 미도시된 단자볼트와 접촉하면서 미도시된 케이블의 전류를 단자볼트에 인가한다.
쉴드슬리브(70)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의 부재이다. 쉴드슬리브(70)는 일측에 후술되는 패킹(PK)이 끼워지는 패킹홈(70a)을 갖는다. 쉴드슬리브(70)는 일측의 중앙에 인너슬리브(60)의 외경에 대응하는 구멍을 갖는다.
아우터슬리브(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아우터슬리브(80)는 내측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TP)를 갖는다. 즉, 아우터슬리브(80)는 내주면에 경사를 갖는다.
실링부재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은 패킹(PK)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너슬리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가압돌기(66)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으로 갈수를 테이퍼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쉴드슬리브(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에 노치(NT)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치(NT)는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슬리브(70)의 타측에서 쉴드슬리브(7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복수개로 구성되어 쉴드슬리브(7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노치(NT)는 쉴드슬리브(70)의 일부분을 절개된 상태로 분할한다.
또, 쉴드슬리브(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파지돌기(74)가 마련될 수 있다. 파지돌기(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쉴드슬리브(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웨지돌기(76)가 마련될 수도 있다. 웨지돌기(7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노치(NT)가 형성된 쉴드슬리브(70)의 하단 및 이 하단의 상부측에 제각기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아우터슬리브(80)는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면(80a)을 갖는다. 경사 면(8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슬리브(80)의 단부측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80a)은 아우터슬리브(80)의 내주면측 양단부 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 아우터슬리브(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상단부의 내주면에 지지돌기(80b)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돌기(8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형태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인너슬리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언너트(50)에 관통상태로 삽입된다. 인너슬리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판(62)이 유니언너트(50)의 내향플랜지(54)에 걸려서 고정된다. 인너슬리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코어선(12) 및 쉴드선(14)이 내주면 및 외주면에 제각기 끼워진다. 이때, 코어선(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코어(13)와 함께 인너슬리브(60)에 삽입된다.
쉴드슬리브(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도면상 상단부)에 패킹(PK)이 끼워진 상태로 인너슬리브(60)에 억지끼움으로 압입고정된다. 쉴드슬리브(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끼워지는 아우터슬리브(80)에 의해 오므려진다.
아우터슬리브(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의 테이퍼(TP)가 도면상 하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형성된다. 즉, 테이퍼(TP)는 아우터슬리브(80)의 단부로 갈수록 완만해 진다. 따라서, 아우터슬리브(80)는 하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진다.
아우터슬리브(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슬리브(70)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쉴드슬리브(70)를 차폐한다. 이때, 아우터슬리브(80)는 미도시된 공구에 의해 쉴드 슬리브(70)의 외주면에 억지끼움으로 압입고정된다. 이러한 아우터슬리브(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단부가 쉴드슬리브(70)의 상단부에 밀착된다.
한편, 아우터슬리브(80)는 쉴드슬리브(70)에 압입고정되면서 지지돌기(80b)를 통해 패킹(PK)을 지지한다. 따라서, 패킹(PK)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의 작용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자커넥터는 인너슬리브(60)의 내외주면에 케이블(10)의 코어선(12) 및 쉴드선(14)이 끼워진 후 인너슬리브(60), 유니언너트(50), 쉴드슬리브(70), 패킹(PK) 및 아우터슬리브(8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쉴드슬리브(70)는 인너슬리브(60)에 압입고정됨에 따라 인너슬리브(60)와 실질적으로 동일체를 이룬다. 그리고, 아우터슬리브(80)는 미도시된 공구에 의해 쉴드슬리브(70)에 압입고정되므로 쉴드슬리브(70)와 실질적으로 동일체를 이룬다.
쉴드슬리브(70)는 아우터슬리브(80)의 테이퍼(TP)에 의해 도면상의 확대도 "A"에 파선으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오므려지는 형태로 절곡된다. 이때, 아우터슬리브(80)는 테이퍼(TP)를 통해 쉴드슬리브(70)를 가압한다. 물론, 아우터슬리브(80)는 테이퍼(TP)에 의해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므로 쉴드슬리브(70)에 깊이 끼워질수록 쉴드슬리브(70)를 보다 강하게 가압한다. 따라서, 쉴드슬리브(70)는 도면상의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므려지면서 케이블(10)의 쉴드 선(14) 및 외피(16)를 파지한다. 즉, 쉴드슬리브(70)는 케이블(10)을 견고한 상태로 내측에 고정한다.
쉴드슬리브(70)는 도면상의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NT)가 형성될 경우 노치(NT)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오므려지면서 압축될 뿐만 아니라 보다 작은 크기로 오므려지면서 압축된다. 이때, 쉴드슬리브(70)는 노치(NT)에 의해 콜렛형태로 분할된 부분들이 제각기 오므려진다. 따라서, 쉴드슬리브(70)는 노치(NT)가 형성될 경우 보다 확실하게 케이블(10)을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가늘게 형성된 케이블(10)까지 파지가 가능하다.
쉴드슬리브(70)는 압축되면서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의 파지돌기(74)가 쉴드선(14)을 파지한다. 물론, 쉴드슬리브(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외피(16)도 함께 파지한다. 이때, 파지돌기(7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선(14)에 웨지고정된다. 따라서, 쉴드선(14)은 견고하게 파지된다.
쉴드슬리브(70)는 아우터슬리브(80)가 끼워질 경우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돌기(76)가 아우터슬리브(8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때, 웨지돌기(76)는 아우터슬리브(80)의 내주면에 웨지고정된다. 물론 웨지돌기(76)는 미도시된 공구의 압박력에 의해 아우터슬리브(80)가 쉴드슬리브(70)의 외주면에 압착됨에 따라 아우터슬리브(80)에 웨지고정된다. 이러한 웨지돌기(76)는 아우터슬리브(80)의 내주면에 웨지고정되면서 마찰저항을 제공한다. 따라서, 아우터슬리브(80)는 장기간 외부에 노출되면서 풍압이나 우수 등의 외란에 의해 변형되어도 쉴드슬리브(70)에서 쉽게 이탈되지 못한다.
쉴드슬리브(7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마찰저항이 보강되도록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턱(76a)을 외주면에 마련할 수도 있다. 즉, 단턱(76a)은 밀착되는 아우터슬리브(80)의 내주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요소이다.
한편, 인너슬리브(60)는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형성된 가압돌기(66)가 케이블(10)의 쉴드선(14)에 웨지고정된다. 따라서, 케이블(10)은 보다 견고하게 쉴드슬리브(70)에 고정된다.
다른 한편, 아우터슬리브(80)는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도면상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80a)에 의해 쉴드슬리브(70)에 용이하게 끼워진다. 또한, 아우터슬리브(80)는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도면상 하단)에 형성된 경사면(80a)에 의해 케이블(10)에 용이하게 끼워진다. 만약, 아우터슬리브(80)는 경사면(80a)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단부에 쉴드슬리브(70)의 단부나 케이블(10)의 단부가 걸린다. 하지만, 아우터슬리브(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80a)이 형성될 경우 쉴드슬리브(70) 및 케이블(10)이 걸리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는, 내주면에 테이퍼(TP)를 갖는 아우터슬리브(80)가 인너슬리브(60)에 고정된 쉴드슬리브(70)의 외주면에 끼워지므로 아우터슬리브(80)의 테이퍼(TP)에 의해 쉴드슬리브(70)가 오므려지면서 케이블(10)의 외피(16)를 견고하게 파지한다. 특히, 아우터슬리브(80)가 쉴드슬리브(70)를 차폐하고 실링부재인 패킹(PK)이 아우터슬리브(80) 및 쉴드슬리브(70)를 실링하므로 쉴드슬리브(70)가 실링상태로 케이블(10)의 외피(16)를 견 고하게 파지한다.
또, 인너슬리브(6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66)가 인너슬리브(60)의 외주면에 끼워진 케이블(10)의 쉴드선(14)을 파고들면서 쉴드선(14) 및 이 쉴드선(14)을 차폐하는 케이블(10)의 외피(16)에 웨지고정되므로 쉴드선(14)을 인너슬리브(6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쉴드슬리브(70)가 분할수단에 의해 콜렛형태로 분할되므로 쉴드슬리브(70)의 분할된 부위가 아우터슬리브(80)에 의해 다양한 굵기의 케이블(10)에 적합한 상태로 제각기 굴절되면서 케이블(10)을 견고하게 파지한다.
아울러, 쉴드슬리브(7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파지돌기(74) 및 웨지돌기(76)가 형성되므로 케이블(10)의 쉴드선(14) 및 아우터슬리브(80)의 내주면에 슬립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쉴드슬리브(70)의 내외측에 쉴드선(14) 및 아우터슬리브(8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아우터슬리브(80)의 내측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아우터슬리브(80)를 케이블(10)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쉴드슬리브(70)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용 단자커넥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자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용 단자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및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자커넥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50 : 유니언너트
52 : 암나사
54 : 내향플랜지
60 : 인너슬리브
66 : 가압돌기
70 : 쉴드슬리브
74 : 파지돌기
76 : 웨지돌기
80 : 아우터슬리브
80a : 경사면
NT : 노치
TP : 테이퍼

Claims (6)

  1. 코어선(12) 및 쉴드선(14)을 갖는 케이블(10)의 단부에 고정되어 케이블(10)을 분배기(20)의 단자볼트(22)에 연결하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20)의 단자볼트(22)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52)가 일측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타측의 내주면에 내향플랜지(54)가 마련된 유니언너트(50);
    상기 유니언너트(50)에 관통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내향플랜지(54)에 걸리는 플랜지형태의 걸림판(62)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10)의 코어선(12) 및 쉴드선(14)이 내주면 및 외주면에 제각기 끼워지는 인너슬리브(60);
    상기 인너슬리브(60)의 외주면에 일측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인너슬리브(60)의 외주면에 끼워진 쉴드선(14)을 폐쇄적으로 차폐하는 쉴드슬리브(70);
    상기 쉴드슬리브(70)의 외주면에 정합상태로 끼워지고, 내주면에 테이퍼(TP)가 형성되어 테이퍼(TP)에 의해 쉴드슬리브(70)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압축시키는 아우터슬리브(80); 및
    상기 아우터슬리브(80) 및 쉴드슬리브(70) 사이에 개재되어 아우터슬리브(80) 및 쉴드슬리브(70)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슬리브(6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쉴드선(14)을 가압하면서 쉴드선(14)에 웨지고정되는 가압돌기(66);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슬리브(70)의 일부분을 절개된 상태로 분할하여 쉴드슬리브(70)의 분할된 부분을 제각기 압축시키는 분할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할수단은,
    상기 쉴드슬리브(70)의 단부에 쉴드슬리브(70)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노치(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슬리브(7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쉴드선(14)을 파지하는 파지돌기(74);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슬리브(7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쉴드슬리브(70)에 끼워지는 상기 아우터슬리브(8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아우터슬리브(80)의 내주면에 웨지고정되는 웨지돌기(76);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슬리브(80)의 내주면측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면(80a);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KR1020090015884A 2009-02-25 2009-02-25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KR101156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884A KR101156449B1 (ko) 2009-02-25 2009-02-25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884A KR101156449B1 (ko) 2009-02-25 2009-02-25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823A true KR20100096823A (ko) 2010-09-02
KR101156449B1 KR101156449B1 (ko) 2012-06-13

Family

ID=4300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884A KR101156449B1 (ko) 2009-02-25 2009-02-25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4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927B1 (ko) * 2012-09-26 2013-09-02 주식회사오렌지컴퍼니 꼬임 방지용 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KR20160004388U (ko) * 2015-06-11 2016-12-21 란텍 일렉트로닉스 아이엔시 케이블 텔레비전용 동축 비디오 네트워크 전송기 및 그 삽입 소켓
EP3180819A4 (en) * 2014-08-13 2018-03-14 PPC Broadband, Inc. Thread to compress connector
CN111326865A (zh) * 2020-03-03 2020-06-23 中海石油(中国)有限公司 一种适用于油井井下三相动力圆电缆的连接器
KR102189341B1 (ko) * 2020-06-23 2020-12-09 황선태 안테나 케이블 커넥터
WO2022060569A1 (en) * 2020-09-18 2022-03-24 Rosemount Inc. Multi-stage irreversible sensor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1123B1 (en) * 2000-11-20 2001-12-1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onnector for hard-line coaxial cable
KR100622526B1 (ko) * 2006-01-11 2006-09-12 최정희 동축케이블 커넥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927B1 (ko) * 2012-09-26 2013-09-02 주식회사오렌지컴퍼니 꼬임 방지용 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EP3180819A4 (en) * 2014-08-13 2018-03-14 PPC Broadband, Inc. Thread to compress connector
US10218093B2 (en) 2014-08-13 2019-02-26 Ppc Broadband, Inc. Thread to compress connector
EP3567680A3 (en) * 2014-08-13 2019-12-25 PPC Broadband, Inc. Thread to compress connector
US10707592B2 (en) 2014-08-13 2020-07-07 Ppc Broadband, Inc. Thread to compress connector
KR20160004388U (ko) * 2015-06-11 2016-12-21 란텍 일렉트로닉스 아이엔시 케이블 텔레비전용 동축 비디오 네트워크 전송기 및 그 삽입 소켓
CN111326865A (zh) * 2020-03-03 2020-06-23 中海石油(中国)有限公司 一种适用于油井井下三相动力圆电缆的连接器
KR102189341B1 (ko) * 2020-06-23 2020-12-09 황선태 안테나 케이블 커넥터
WO2022060569A1 (en) * 2020-09-18 2022-03-24 Rosemount Inc. Multi-stage irreversible sensor coupling
US20220091085A1 (en) * 2020-09-18 2022-03-24 Rosemount Inc. Multi-stage irreversible sensor coupling
US11725966B2 (en) 2020-09-18 2023-08-15 Rosemount Inc. Multi-stage irreversible sensor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449B1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8088A (en) Electrical conductor terminating arrangements
CA1222034A (fr) Prolongateur d&#39;ame d&#39;un cable coaxial, et connecteur muni d&#39;un tel prolongateur
KR101156449B1 (ko) 케이블용 단자커넥터
US7857647B2 (en) Weather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EP2551966B1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cable clamping portion
US2959766A (en) Electrical connector
EP0683545B1 (en) Glands for terminating cables and pipes
GB2264400A (en) Connecting the core of a coaxial cable to a contact of a connector.
JP2012508431A (ja) 挿入結合同軸コネクタ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JP7032419B2 (ja) 遮蔽されたケーブルを保持するための保持装置
CN102823068A (zh) 电缆连接系统及将电缆连接到电缆连接系统的方法
US20110053437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llapsible coupler
JP5794434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
US8777679B2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d to receive various diameter cable
KR20120035111A (ko) 케이블을 풀 릴리프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US5290179A (en) Jack plug
KR101290687B1 (ko) 케이블커넥터
EP3032674A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EP0465261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multi-core cable connectors
KR100760811B1 (ko) 쐐기를 이용한 케이블 도체의 접속체 및 그 접속방법
KR20190097283A (ko)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KR101290689B1 (ko)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EP1016166B1 (en) A connector
WO2006076985A1 (en) Device for a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