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213A -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및 동기화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및 동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213A
KR20100096213A KR1020107014317A KR20107014317A KR20100096213A KR 20100096213 A KR20100096213 A KR 20100096213A KR 1020107014317 A KR1020107014317 A KR 1020107014317A KR 20107014317 A KR20107014317 A KR 20107014317A KR 20100096213 A KR20100096213 A KR 20100096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uplink
scheduling entity
module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913B1 (ko
Inventor
츄오 가오
야웨이 리우
Original Assignee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96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및 동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만약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으면,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는 단계; 및 상기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이 트리거된 사용자 장비가 송신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획득하고,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동기화 복원을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종래 시스템에서의 강화 랜덤 접속 기술을 이용함과 더불어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와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사이의 인터랙션을 통해 업 링크 동기화를 완성함으로써 동기화 지연이 효과적으로 단축되며, 데이터 전송율 및 시스템 리소스의 이용율을 높이며 다운 링크 데이터의 정상적인 송신 및 전송을 확보하게 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및 동기화 장치{SYNCHRONIZATION METHOD AND SYNCHRONIZATION APPARATUS OF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특히 시분할 복신(TDD)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측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 시 네트워크측과의 동기화가 유지되어야만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 할 수 있다. 종래 시스템에는, 예를 들면 3GPP R4(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4) 표준에서, 일반적으로 전용 채널로 동기화를 실현한다. 사용자 장비 또는 네트워크측에서 장기간 데이터 송신이 없을 경우, 전용 채널에서 주기적으로 특수 시퀀스를 송신하여 동기화를 유지한다. 네트워크측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송신된 특수 시퀀스에 의해, 다음에 전송할 데이터를 송신시의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고, 사용자 장비를 협조하여 후속 송신 시간을 확정하여 동기화 처리를 종료시킨다.
하지만 고속 데이터 서비스의 수요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R5-R7 버전의 프로토콜에서는, 3GPP가 HSDPA(High Speed down link Packet Access, 고속 다운 링크 패킷 접속)와 HSUPA(High Speed up link Packet Access, 고속 업 링크 패킷 접속) 기술을 점차 도입하여, 공용 채널로 다운 링크와 업 링크 방향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중에서 공용 채널의 리소스는 네트워크측의 기지국 스케쥴러로 통합 할당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모 방향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지 않으면, 네트워크측은 그 방향에 리소스를 할당하지 않으며, 사용자 장비가 장기간으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방향의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지 않으면 사용자 장비는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하게 되며, 이때 새로운 데이터가 생성되면 사용자 장비가 다시 동기화 되어야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운 링크 방향에서 HSDPA 기술을 채택하면, 기지국은 우선 사용자 장비에 다운 링크 리소스를 할당하고, 사용자 장비가 대응된 리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신한 후 데이터 블록을 복호화 하여 복호화 결과에 따라 업 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ACK(확정 정보)/NACK(부정 정보) 및 채널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피드백 한다. 만약 이때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으면,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의 피드백을 수신하지 못하여 이번 전송은 실패로 간주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다시 송신해야 한다. 이는 시스템의 리소스를 낭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업 링크 방향에서 HSUPA 기술을 채택할 경우 업 링크 동기화가 없이 업 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면 기지국이 데이터를 정확히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통상적으로 주기적인 업 링크 동기화를 유지하여 사용자 장비가 줄곧 동기화 상태에 처하도록 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하지만 일부 저 활동 계수인 서비스, 예를 들면 WWW(World Wide Web) 서비스는, 장기간 데이터 전송이 없을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동기화를 유지할 의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도리여 시스템의 리소스가 낭비된다.
이외에, 종래 기술에서 다른 한 가지 방법이 더 있다. 즉, HSUPA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강화 랜덤 접속 과정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 장비가 장기간 스케쥴링되지 못할 경우 업 링크 버퍼(buffer) 상태를 기지국에 전달하여 동기화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 장비는 우선 강화 랜덤 접속 시퀀스 코드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기지국은 수신된 신호 지연에 의해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를 확정하며 FPACH(Fast Physical Access channel, 쾌속 물리 접속 채널)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지시를 피드백 하고,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의 지시를 수신한 후 그의 업 링크 신호의 송신 시간을 조정하며 E-RUCCH(E-DCH Random Access Uplink Control Channel, 강화 랜덤 접속 업 링크 제어 채널)를 통해 자신의 버퍼 상태를 기지국에 통지하고, 이 채널에는 동시에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스케쥴링 식별자 E-RNTI(E-DCH Radio Network Temporary 식별자, HSUPA 무선망 임시 식별자)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 장비가 송신할 업 링크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을 경우 강화 랜덤 접속 과정을 통해 우선 동기화를 획득한 다음에 후속 데이터 전송을 수행해도 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시스템에서는 HSDPA의 스케쥴러가 기지국중의 MAC-hs(HSDPA를 제어하는 매체 접속 계층) 엔티티에 위치하여 다운 링크 리소스의 할당을 담당하며H-RNTI ( HS-DSCH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HSUPA 무선망 임시 식별자)로 사용자 장비를 구분하고, HSUPA의 스케쥴링은 기지국의 MAC-e 엔티티가 완수하며 E-RNTI를 통해 사용자 장비를 구분하며 업 링크 스케쥴러와 다운 링크 스케쥴러는 각자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상호간에는 통신 관계가 없다. 이로 인해 다운 링크 방향에서 데이터 전송이 있으나 사용자 장비가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으면 강화 랜덤 접속 과정을 통해 동기화를 획득하지 못한다. 한편으로 일반적인 랜덤 접속으로 동기화를 획득하려면,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가 사용자 장비가 RACH(Random Access Control Channel 랜덤 접속 제어 채널)에서 송신한 업 링크 정보를 전송(轉送)하여야 하므로, 동기화 과정의 지연이 길어지게 되며 시그널링의 오버헤드가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가 된 후 동기화를 재획득하는데 사용되어 동기화 지연이 효과적으로 단축되며 데이터 전송율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관한 기술 구성은 다음과 같다.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은,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만약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다고 판단되면,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는 단계; 및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이 트리거된 사용자 장비가 송신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획득하고,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와의 인터랙션를 통해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동기화의 복원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장치는,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검색 모듈;
상기 검색 모듈로부터 송신된 검색 결과를 수신하며, 사용자 장비가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는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 및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이 트리거된 사용자 장비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획득하고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동기화 복원을 전달하는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대비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관련된 방법 및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현재 시스템에서 갖추고 있는 강화 랜덤 접속 기술을 사용함과 더불어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사이의 인터랙션을 통해 업 링크 동기화가 완성됨으로써, 동기화 지연이 효과적으로 단축되어 데이터 송신율과 시스템 리소스의 이용율이 높아지며, 다운 링크 데이터의 정상적인 송신 및 전송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방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실시예의 장치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6실시예의 장치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기본 사상은 종래 시스템이 이미 갖추고 있는 강화 랜덤 접속 기술을 사용함과 더불어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사이의 인터랙션을 통해 업 링크 동기화를 완수함으로써, 다운 링크 데이터의 정상적인 송신 및 전송을 확보하며 서비스 전송 지연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면 및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는,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S101;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다고 판단되면,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는 단계 S102; 및
상기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이 트리거된 사용자 장비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획득하고,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동기화 복원을 전달하는 단계 S10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다운 링크 스케쥴링 MAC-hs 엔티티로 기정 조건에 의해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고, 업 링크 스케쥴링 MAC-e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획득하여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전송(轉送)하고, 동기화된 사용자 장비를 식별하는 과정을 완수한다. 동기화가 완수된 후, 다운 링크에서 정상적인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01에서 우선 사용자 장비가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현재 동기화 불능 상태의 검색 방법은 많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화 불능 상태 시간 임계치 T를 미리 설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는 현재 검색 시간과 지난번 사용자 장비에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를 송신하는 시간의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된 동기화 불능 상태 시간 임계치 T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치 T보다 크면 현재 사용자 장비가 이미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단계 S202에서, 현재 사용자 장비가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다는 것을 검출한 후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할 수 있다. 물론 시스템의 수요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음과 더불어 송신할 다운 링크 데이터가 있어야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가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음과 더불어 송신할 업 링크 데이터가 있어야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며,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는 것은 강화 랜덤 접속 기술을 사용하여 완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강화 랜덤 접속을 개시 하도록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 단계 A;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강화 랜덤 접속 지시를 수신 후, 강화 랜덤 접속 시퀀스 코드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B;.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송신된 강화 랜덤 접속 시퀀스 코드를 검색 및 수신 후 수신된 신호의 도착 시간에 의해 사용자 장비의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를 확정하여 FPACH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피드백 하는 단계 C; 및
사용자 장비는 FPACH 채널의 피드백을 수신 후, 지시에 따라 업 링크 송신 시간을 조정하며 E-RUCCH 채널로 자신의 E-RNTI 식별자와 업 링크 버퍼(buffer) 정보 등을 기지국에 피드백 하는 단계 D를 포함한다.
그중에서, 상기 방법에서 강화 랜덤 접속을 개시하도록 통지하는 것은 기지국 중의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일 수 있는 한편,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와 버퍼(buffer)등을 수신하는 것은 기지국 중의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일 수 있고, 여기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단계 S203에서,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를 완수한 후,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자신의 E-RNTI 식별자를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피드백 하며 업 링크와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사이의 인터랙션을 통해,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동기화 복원을 알게 하여, 후속 다운 링크 데이터 송신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단계 S204에서, 사용자 장비를 트리거하여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개시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T1내에 사용자 장비의 동기화 완수의 피드백을 수신하지 못했거나,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의 동기화 복원을 전달받지 못했으면, 이때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재 트리거할 필요가 있다.
단계 S205에서,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연속 N회를 트리거해도 사용자 장비가 시종 동기화 시도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N이 미리 설정된 연속 트리거하는 연속 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했으면 이때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링크를 제거하거나 기타 채널 (예를 들면, 전용 채널)에 전송(轉送)해야 한다. 물론 미리 설정된 시간 T1과 N이 모두 사용자 장비 또는 시스템의 수요에 따라 고위층에서 미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서는 또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에 강화 랜덤 접속 과정을 개시할것을 통지하는 복수의 방식이 제안되었다.
[제 1방식]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 사용자 장비의 H-RNTI 식별자로 주소 매김(addressing)하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찾아내고, 다운 링크 리소스를 할당하는 제어 채널(HS-SCCH)을 통해 H-RNTI 식별자를 가지고 있는 동기화 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강화 랜덤 접속을 개시할 것을 통지한다.
[제 2방식]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로 주소 매김하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찾아내고, 업 링크 리소스를 할당하는 제어 채널(E-AGCH)을 통해 E-RNTI 식별자를 가지고 있는 동기화 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강화 랜덤 접속을 개시할것을 통지한다.
물론 어떤 방식을 막론하고, 사용자 장비가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개시한 후 E-RUCCH 채널을 통해 피드백 한것은 모두 상기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이다.
그외에, 상술한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를 기초로, 실시예 3에서는 몇가지 업 링크와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사이의 인터랙션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는 종래 표준에서 사용자 장비의 E-RNTI와 H-RNTI 식별자가 반드시 동일해야 한다는 것을 규정하지 않았다는 점과 관련하여 제안된 것이며,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제 1방법]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각 사용자 장비의 E-RNTI와 H-RNTI 식별자를 저장하며, E-RUCCH 채널에서 수신 및 획득된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H-RNTI 식별자를 확정하여 상기 H-RNTI 식별자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피드백 한다. 물론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는 사용자 장비의 H-RNTI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으며,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부터 피드백 한 사용자 장비의 H-RNTI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를 복원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제 2방법]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각 사용자 장비의 E-RNTI와 H-RNTI 식별자를 저장하며,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E-RUCCH 채널에서 수신 및 획득된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에 의해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피드백 한다.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수신된 E-RNTI 식별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된 H-RNTI 식별자를 확정하여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를 복원하였는지 여부를 알게 된다.
[제 3방법]
표준에서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와 H-RNTI 식별자의 설정을 반드시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 식별된 E-RNTI 식별자거나 또는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 식별된 H-RNTI 식별자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도 없게 된다. 이로써,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를 획득하여 상기 E-RNTI 식별자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피드백 하면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동기화 복원의 여부를 알게 된다.
하지만, 실제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가 강화 랜덤 접속 과정을 개시하는 원인이 여러 가지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예를 들면, 상술한 다운 링크 데이터 또는 업 링크 데이터의 송신이 필요함), 이에 따라서 업 링크와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사이의 인터랙션이 다양한 형식이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업 링크 동기화를 개시하는 각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피드백 하는 한가지 인터랙션 방식은 이미 위에서 설명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제 4실시예에서는 또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며 또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 시,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가 요구된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통지하고,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모든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 및 획득한 후 우선 선별하여, 다운 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경우에만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 트리거된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의 사용자 장비에 대응된 식별자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피드백 하고,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한 후,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 하도록 하는 사용자 장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옳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장비를 위해 후속 정상적인 다운 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및 전송을 수행하고, 아니면 그냥 넘어가고 어떤 동작도 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단계를 통해, 엔티티 사이의 인터랙션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다싶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동기화 지연이 효과적으로 단축되어, 데이터 송신율과 시스템 리소스의 이용율이 높아지며, 다운 링크 데이터의 정상적인 송신 및 전송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는 프로그램이 해당 하드웨어를 지시하여 완수되며 상기 프로그램이 특정된 기억 매체에 저장된다. 이는 본 영역의 일반 기술자로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5실시예에서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장치가 제안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검색 모듈 301;
상기 검색 모듈 301로부터 송신된 검색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가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는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 302; 및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이 트리거된 사용자 장비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획득하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 302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동기화의 복원을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 302에 통지하는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 303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 상기 검색 모듈은 또한,
현재 검색 시간과 지난번 사용자 장비에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를 송신한 시간의 차가 미리 설정된 동기화 불능 상태의 시간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 및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며, 현재 검색 시간과 지난번 사용자 장비에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를 송신한 시간의 차가 미리 설정된 동기화 불능 상태 시간 임계치보다 클 때의 상기 사용자를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음으로 표식하여 이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통지하는 식별 모듈을 포함한다.
그 외에,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은,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으며 다운 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경우, H-RNTI 식별자로 주소 매김하며 다운 링크 리소스를 할당하는 제어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거나, 또는 E-RNTI 식별자로 주소 매김하며 업 링크 리소스를 할당하는 제어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 트리거 모듈을 포함한다.
그 외에,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은,
각 사용자 장비의 E-RNTI와 H-RNTI 식별자를 저장하는 제 1저장 모듈; 및
사용자 장비의 E-RNTI식별자를 획득하며, 제 1저장 모듈을 조회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된 H-RNTI 식별자를 확정하여 상기 H-RNTI 식별자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피드백 하는 제 1피드백 모듈을 포함한다.
그 외에,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은,
각 사용자 장비의 E-RNTI와 H-RNTI 식별자를 저장하는 제 2저장 모듈; 및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피드백 한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를 수신하며, 제 2저장 모듈을 조회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된 H-RNTI 식별자를 확정하는 확정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은 통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은 선별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통지 모듈은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 시,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가 요구된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통지한다. 상기 선별 모듈은 상기 통지 모듈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수신하며,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모든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획득한 후,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로 트리거된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의 사용자 장비에 대응된 식별자를 선별하여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피드백 한다.
이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한 후,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상기 사용자 장비의 동기화 완수의 피드백을 수신하지 못한 시간을 기록하며, 만약 상기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의 재 트리거를 하도록 통지하는 제 1기록 모듈; 및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연속 트리거하는 횟수를 기록하며, 상기 횟수가 미리 설정된 연속 횟수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서비스 링크를 제거하거나 기타 채널에 전송(轉送)하는 제 2기록 모듈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장치는 상기 제 5실시예를 기초로 집중 처리 모듈 40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집중 처리 모듈 404는 검색 모듈로부터 송신된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전송(轉送)하고,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 302가 송신한 트리거 요청에 의해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모든 사용자 장비의 E-RNTI와 H-RNTI 식별자를 저장하며, 수신된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 303으로부터 송신한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 장비의 H-RNTI 식별자를 확정하고, 상기 H-RNTI 식별자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 302에 송신한다.
마지막으로 설명할 것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본 발명에 대해 각종 변동과 변형을 진행할수 있으며 만약 본 발명에 대한 이러한 수정과 변형이 본 청구항의 보호범위 및 동등한 기술 범위내에 속할 경우 본 발명은 이러한 변동과 변형을 포함하게 된다.

Claims (18)

  1.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으면,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는 단계; 및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로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이 트리거된 사용자 장비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획득하고,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동기화 복원을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것은,
    현재 검색 시간과 지난번 사용자 장비에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를 송신한 시간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동기화 불능 상태 시간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간격이 미리 설정된 동기화 불능 상태 시간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 장비를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음으로 표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는 것은,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을 경우, 이때 송신할 업 링크 또는 다운 링크 데이터가 있으면,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개시하도록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개시하도록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 것은,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 사용자 장비의 H-RNTI 식별자로 주소 매김하여, 다운 링크 리소스를 할당하는 제어 채널을 통해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동기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로 주소 매김(addressing)하여, 업 링크 리소스를 할당하는 제어 채널을 통해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동기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 링크와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사이의 인터랙션은,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각 사용자 장비의 E-RNTI와 H-RNTI 식별자를 저장하며, 획득된 상기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H-RNTI 식별자를 확정하고 상기 H-RNTI 식별자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피드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 링크와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사이의 인터랙션은,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상기 각 사용자 장비의 E-RNTI와 H-RNTI 식별자를 저장하며, 상기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획득된 상기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피드백 하고,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수신된 E-RNTI 식별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H-RNTI 식별자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 링크와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사이의 인터랙션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를 H-RNTI 식별자와 같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획득된 E-RNTI 식별자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피드백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 시,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이 요구된 사용자 장비에 대응된 식별자를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통지하는 단계; 및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모든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획득한 후,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이 트리거된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선별하여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피드백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한 후, 만약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장비의 동기화 완수의 전달을 받지 못했으면,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재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연속적으로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는 연속 횟수의 임계치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가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연속 트리거하는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연속 횟수의 임계치를 초과 시,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서비스 링크를 제거하거나 기타 채널에 전송(轉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11.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검색 모듈;
    상기 검색 모듈로부터 송신된 검색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가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하는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 및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이 트리거된 사용자 장비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획득하여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 장비의 업 링크 동기화 복원을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통지하는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모듈은,
    현재 검색 시간과 지난번 사용자 장비에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를 송신한 시간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동기화 불능 상태 시간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식별 모듈에 송신하는 판단 모듈; 및
    상기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며, 현재 검색 시간과 지난번 사용자 장비에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를 송신한 시간시간격이 미리 설정된 동기화 불능 상태 시간 임계치보다 큰 경우와 대응되는 사용자 장비를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음으로 표식하고,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통지하는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은,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동기화 불능 상태에 처해 있으며, 송신할 업 링크 또는 다운 링크 데이터가 있으면, H-RNTI 식별자로 주소 매김하며, 다운 링크 리소스를 할당하는 제어 채널을 통해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동기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 하거나, 또는 E-RNTI 식별자로 주소 매김하며, 업 링크 리소스를 할당하는 제어 채널을 통해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동기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트리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장치.
  14.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은,
    상기 각 사용자 장비의 E-RNTI와 H-RNTI 식별자를 저장하는 제 1저장 모듈;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를 획득하며, 상기 제 1저장 모듈을 조회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H-RNTI 식별자를 확정하고, 상기 H-RNTI 식별자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에 피드백 하는 제 1피드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장치.
  15.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은,
    각 사용자 장비의 E-RNTI와 H-RNTI 식별자를 저장하는 제 2저장 모듈; 및
    상기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피드백 한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를 수신하며, 제 2저장 모듈을 조회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된 H-RNTI 식별자를 확정하는 확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은,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 시,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가 요구된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통지하는 통지 모듈을 포함하고,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은,
    상기 통지 모듈이 송신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수신하며, 모든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획득한 후,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이 트리거된 사용자 장비에 대응된 식별자를 선별하여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피드백 하는 선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한 후,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상기 사용자 장비의 동기화 완수를 피드백 받지 못한 시간을 기록하고, 상기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면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재 트리거하도록 통지하는 제 1기록 모듈;
    상기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연속 트리거하는 횟수를 기록하고, 상기 횟수가 미리 설정된 연속 횟수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서비스 링크를 제거하거나 기타 채널에 전송(轉送)하는 제 2기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장치.
  18. 제 1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모듈로부터 송신된 검색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검색 결과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전송(轉送)하고,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송신한 트리거 요구에 의해 사용자 장비가 업 링크 강화 랜덤 접속 동기화 과정을 트리거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모든 사용자 장비의 E-RNTI와 H-RNTI 식별자를 저장하며, 수신된 업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이 송신한 사용자 장비의 E-RNTI 식별자로 사용자 장비의 H-RNTI 식별자를 확정하고, 상기 H-RNTI 식별자를 다운 링크 스케쥴링 엔티티 모듈에 송신하는 집중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장치.
KR1020107014317A 2007-11-27 2008-11-04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및 동기화 장치 KR101177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7101781658A CN101448313B (zh) 2007-11-27 2007-11-27 一种通信系统的同步方法及装置
CN200710178165.8 2007-11-27
PCT/CN2008/072926 WO2009067876A1 (fr) 2007-11-27 2008-11-04 Procédé et appareil de synchronisation d'un système d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213A true KR20100096213A (ko) 2010-09-01
KR101177913B1 KR101177913B1 (ko) 2012-08-28

Family

ID=4067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317A KR101177913B1 (ko) 2007-11-27 2008-11-04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및 동기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79566B2 (ko)
EP (1) EP2219303B1 (ko)
KR (1) KR101177913B1 (ko)
CN (1) CN101448313B (ko)
WO (1) WO20090678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5511B2 (en) 2010-12-23 2014-04-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ous transmission of co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3193B (zh) * 2009-11-30 2016-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时分双工系统中网络节点的同步方法及系统
KR20110108536A (ko) * 2010-03-29 2011-10-06 주식회사 팬택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 전송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ta 전송방법 및 장치
US9001817B2 (en) * 2010-07-13 2015-04-07 Clearwire Ip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wireless links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5559634B2 (ja) * 2010-08-06 2014-07-23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CN103260251B (zh) 2012-02-17 2016-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9635628B2 (en) 2013-01-25 2017-04-25 Intel IP Corporation Signaling a synchronization frame transmission request
US9936470B2 (en) 2013-02-07 2018-04-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Radio access networks
US9414399B2 (en) 2013-02-07 2016-08-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Radio access networks
US9380466B2 (en) 2013-02-07 2016-06-28 Commscope Technologies Llc Radio access networks
CN104221409B (zh) * 2013-04-15 2018-04-27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网络侧设备及终端
CN104735771B (zh) * 2013-12-23 2018-04-27 福建京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同步系统及方法
US20150230194A1 (en) * 2014-02-10 2015-08-1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iming adjust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15191530A2 (en) 2014-06-09 2015-12-17 Airvana Lp Radio access networks
US10785791B1 (en) 2015-12-07 2020-09-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in radio access networks
CN107690192A (zh) * 2016-08-05 2018-02-1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系统
CN108882260A (zh) 2017-05-08 2018-11-23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方法
CN107820729B (zh) * 2017-07-14 2021-05-28 达闼机器人有限公司 连接重建的方法、装置以及终端和存储介质
CN116318589A (zh) 2017-10-03 2023-06-23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C-ran中的动态下行链路重用
CN112005598B (zh) 2018-05-16 2023-06-09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c-ran中的高效前传的下行链路多播
US11304213B2 (en) 2018-05-16 2022-04-12 Commscope Technologies Llc Dynamic uplink reuse in a C-RAN
EP3804419A4 (en) 2018-06-08 2022-02-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AUTOMATIC TRANSMIT POWER CONTROL FOR RADIO POINTS IN A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THAT PROVIDE PRIMARILY WIRELESS SERVICE TO USERS LOCATED IN AN EVENT ZONE OF A VENUE
WO2020051146A1 (en) 2018-09-04 2020-03-12 Commscope Technologies Llc Front-haul rate reduction for use in a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
CN113972964A (zh) * 2020-07-22 2022-0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反馈信息的传输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6559A (ja) * 1999-12-22 2001-07-06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基地局間の簡易同期方法
WO2002001742A1 (en) 2000-06-24 2002-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uplink synchronous transmission scheme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EP1361706B1 (en) * 2002-05-10 2007-03-14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for determining triggering of a pdcp sequence number synchronization prodecure
US7706295B2 (en) * 2003-09-09 2010-04-27 Marvell Semiconducto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reaking and resynchronizing a data link
US7430617B2 (en) * 2003-12-19 2008-09-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header compression
US7881802B2 (en) * 2004-08-09 2011-02-01 Cardiac Pacemakers, Inc. Telemetry switchover state machine with firmware priority control
CN1855766B (zh) * 2005-04-19 2011-06-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链路状态的物理层控制方法
CN100433852C (zh) * 2005-10-13 2008-1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egde系统的自适应分组数据传输的方法
CN1992556B (zh) 2005-12-27 2010-12-2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上行链路的同步方法及系统
KR100733844B1 (ko) * 2006-03-22 2007-06-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중성빔을 이용한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플라즈마 발생방법
US9462564B2 (en) 2006-05-01 2016-10-0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uplink synchronization through use of dedicated uplink resource assignment
US7929962B2 (en) * 2006-05-01 2011-04-19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communications during idle periods in a wireless system
US8369860B2 (en) * 2006-08-18 2013-02-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ending and reducing uplink feedback signaling for transmission of MBMS data
WO2008084953A1 (en) * 2007-01-09 2008-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quality through uplink common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080267105A1 (en) * 2007-04-27 2008-10-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ctive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synchronization and resynchronization operation
ATE519352T1 (de) * 2007-06-18 2011-08-15 Nokia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eben einer information für das starten eines zufälligen zugriffsvorgangs
US20090109838A1 (en) * 2007-10-30 2009-04-30 Richard Lee-Chee Kuo Method of Handling Random Access Procedure Failure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5511B2 (en) 2010-12-23 2014-04-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ous transmission of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67876A1 (fr) 2009-06-04
CN101448313B (zh) 2011-04-13
US8379566B2 (en) 2013-02-19
EP2219303B1 (en) 2014-01-29
EP2219303A1 (en) 2010-08-18
CN101448313A (zh) 2009-06-03
EP2219303A4 (en) 2013-05-01
US20100309929A1 (en) 2010-12-09
KR101177913B1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913B1 (ko)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및 동기화 장치
US9967861B2 (en) Uplink resource scheduling method, wireless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JP5350517B2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資源スケジューリングの方法とシステム
US9445405B2 (en) Uplink synchronization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KR101365791B1 (ko) 강화된 업링크를 지원하는 매체 접속 제어 계층 아키텍처
RU2614042C1 (ru) Терминал для поддержки связи устройств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м
US9210692B2 (en) Scheduling reques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2658330A1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JP2015133728A (ja) 拡張されたアップリンクデータ送信を支援するためにトラフィック量測定情報を報告する無線通信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6352382A (ja) 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区間のチャネル構造
CN101641995A (zh) 提供半动态持久分配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WO2008038093A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non-synchronized random access handover
JP2019220986A (ja) ユーザ装置、及び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
CN106538006B (zh) 用户装置、网络节点及其方法
KR2008008288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KR20130135249A (ko) 통신 시스템, 통신 장치, 기반구조 장비 및 방법
CN112970237A (zh) 针对组播通信中的反馈的资源分配
KR200391830Y1 (ko) 향상된 업링크를 지원하는 매체 접속 제어 계층 아키텍처를가진 장치
JP527858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および基地局
CN107567104B (zh) 一种半静态调度方法及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