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999A -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999A
KR20100093999A KR1020090013194A KR20090013194A KR20100093999A KR 20100093999 A KR20100093999 A KR 20100093999A KR 1020090013194 A KR1020090013194 A KR 1020090013194A KR 20090013194 A KR20090013194 A KR 20090013194A KR 20100093999 A KR20100093999 A KR 20100093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enario
function
sensitivity
touch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500B1 (ko
Inventor
임경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13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50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오입력에 의한 오동작 발생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를 미리 설정하여 터치 민감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시 터치 민감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터치 민감도에 따라 터치 패드의 터치 입력이 실패 또는 성공하도록 이루어진 터치 패드를 갖춘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의 시나리오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터치 패드의 사용자 터치 오입력에 의한 오동작 가능성이 있는 기능 동작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와, 해당 단말기의 특정 기능 동작 실행시에 해당 특정 기능 동작이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기능 동작이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터치 패드의 사용자 터치 입력시에 터치 민감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Touch Sensibility of Touch Typ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 패드를 갖춘 통신 단말기에서 터치 패드의 터치 민감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음성통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의 경우에는, 휴대성을 강화하기 위해 소형화되는 추세인 바,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라 키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크기 및 키버튼 개수가 최소화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키패드가 최소화되고 단순화되는데 따른 키입력의 제한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단말기의 표시부에 터치 패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터치 패드 입력에 따른 메뉴 조작을 통해서 다양한 기능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문자/숫자를 터치 조작에 의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패드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 기술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게 되면, 제한된 갯수의 키패드에 의해 조작이 곤란하거나 키입력하기가 불편한 점을 해소하여, 보다 직관적이고 손쉬운 입력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기능 입력 조작의 간편성에 따라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다양한 프로그램의 탑재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터치 패드의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패드의 터치가 민감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입력 실수에 대해서도 반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가 터치 패드를 부주의하게 사용하게 되면 터치 오입력에 의한 오동작이 자주 발생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오입력에 의한 오동작 발생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를 미리 설정하여 터치 민감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시 터치 민감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터치 민감도에 따라 터치 패드의 터치 입력이 실패 또는 성공하도록 이루어진 터치 패드를 갖춘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의 시나리오 설정을 위 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터치 패드의 사용자 터치 오입력에 의한 오동작 가능성이 있는 기능 동작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단계와, 해당 단말기의 특정 기능 동작 실행시에 해당 특정 기능 동작이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기능 동작이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터치 패드의 사용자 터치 입력시에 터치 민감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터치 패드를 갖춘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를 조절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의 사용자 터치 오입력에 따른 오동작 가능성이 많은 기능 동작에 대해 터치 민감도를 낮추기 위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의 실행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시 상기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터치 민감도를 적용하는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된 시나리오를 저장하고, 해당 기설정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의 실행시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설정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민감도를 낮추어서 해당 터치 입력에 따른 별도의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WIPI 플랫폼 및,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된 시나리오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패드를 갖춘 터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패드 오입력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은 기능 동작에 대해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그에 따른 터치 민감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이 실행될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더라도 미리 설정된 터치 민감도의 설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터치 입력을 무시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오입력에 따른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패드의 터치 민감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터치 단말의 터치 이용에 대한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시스템에 대한 블럭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시스템은, WIPI 플랫폼(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10)과,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 키패드(30), 제어부(40), 표시 구동부(50), 표시부(60), 터치 인식부(70), 터치 패드(80), 단말 소프트웨어 모듈(90), 단말 하드웨어 모듈(100)로 구성된다.
상기 WIPI 플랫폼(10)은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을 구동하여 터치 패드의 터치 오입력에 의한 오동작 발생 가능성이 많은 기능 동작에 대한 시나리오가 설정되도록 하고, 그 시나리오 설정 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상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에 대한 실행 정보를 제공받게 되면,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을 동작시켜서 미리 저장된 시나리오 설정 정보에 따라 터치 패드(80)의 터치 민감도가 설정치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WIPI 플랫폼(10)은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의 동작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의 구도에 의한 시나리오의 설정 동작과,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 설정 정보에 따른 터치 패드의 터치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WIPI 관리 모듈(14),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에 의해 설정되는 시나리오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16), 상기 WIPI 관리 모듈(14)과 상기 제어부(40)와의 제어 동작을 인터페이스하고, 시나리오 설정을 위한 표시 화면을 인터페이스하는 HAL(Handset Adaptation Layer)(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은 상기 WIPI 플랫폼(10)에 의해 구동되어 사용자의 키패드(30) 입력을 통한 설정 동작에 따라 터치 패드(80)의 터치 오입력에 의한 오동작 가능서이 많은 기능 동작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해당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 수행시 구동되어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80)의 터치 민감도가 설정치에 근거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상기 키패드(30)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 동작의 실행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함과 더불어, 시나리오의 설정을 위한 키입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단말 소프트웨어 모듈(90)과 상기 단말 하드웨어 모듈(100)의 기능 및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터치 패드(80)의 터치 민감도 설정을 위한 시나리오의 설정시 상기 WIPI 플랫폼(10)에 해당 단말기의 플랫폼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 실행시 상기 터치 패드(80)의 터치 민감도 조절에 대한 제어 권한을 상기 WIPI 플랫폼(10)에 부여한다.
상기 표시 구동부(50)는 상기 제어부(40)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HAL(18)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나리오의 설정을 위한 표시 화면이 상기 표시부(60)에 화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을 수행한다.
상기 터치 패드(80)는 상기 표시부(60)의 전체 화면 영역에 설치되고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른 터치 입력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터치 인식부(70)는 상기 터치 패드(80)로부터의 터치 입력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화면 영역을 인식하여 그에 따른 터치 인식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단말 소프트웨어 모듈(90)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예컨대, 인터넷 웹브라우저 프로그램, 단문 메시지 관리 프로그램, 파일 매니저 프로그램, 메모리 매니저 프로그램,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 등)을 갖춘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40)의 제어하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프트웨어 기능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 하드웨어 모듈(100)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적인 기능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하드웨어(예컨대, 모뎀, 메모리, 시리얼 포트 등)를 갖춘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40)의 제어하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드웨어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민감도의 조절 기능을 위한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경우에,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예컨대 "전화 통화중", "전화 통화후", "단문메시지 수신",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이 사용자의 터치 오입력에 의한 오동작 가능성이 많은 기능 동작들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시나리오를 선택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설정할 시나리오를 선택하게 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한 기능 지속 시간(즉, 해당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이 지속될 수 있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바, 여기서는 표시부(60) 화면 상에 바(Bar) 형태의 그래픽 조절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능 지속 시간이 설정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시나리오의 기능 동작 실행시 터치 입력에 대한 민감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바, 여기서는 표시부(60) 화면 상에 바(Bar) 형태의 그래픽 조절부를 통해 터치 민감도의 레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그래픽 조절부의 조작에 의해 터치 민감도의 레벨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 에, 상기 터치 패드(80)를 통한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터치 민감도의 설정 레벨 이하로 판명되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이 동작중입니다"와 같은 경고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되어 해당 기능 동작에 대해서 본 발명의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이 실행중임을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경고 메시지의 표시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3 및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시나리오의 설정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8)에서는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의 시나리오 설정을 위한 키패드(30)의 사용자 키입력이 이루어지면, WIPI 플랫폼(10)에 플랫폼 관리의 전반적인 권한을 부여하여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이 실행되도록 하고(단계 S10), 상기 WIPI 플랫폼(10)의 WIPI 관리 모듈(14)은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의 구동에 따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기능 동작 항목을 제시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 동작 항목을 설정 시나리오로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1).
그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 동작에 따른 시나리오가 선택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선택된 시나리오에 대한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의 지속 시간을 사용자의 임의 조작에 의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2).
그 다음에, 상기 기능 지속 시간이 설정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시나리오의 터치 민감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1∼10 레벨(즉, 최소치인 1레벨은 터치 패드(30)의 통상적인 터치 민감도와 거의 동일하고, 최대치인 10레벨은 터치 패드(30)의 터치 민감도가 제일 높아서 터치 입력이 오프(Off) 인 상태와 거의 동일함) 범위의 터치 민감도 레벨 중에서 특정 레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3).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 기능 동작에 대한 시나리오가 설정되면, 상기 WIPI 플랫폼(10)의 WIPI 관리 모듈(14)은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프리케이션(20)에 의해 설정되는 시나리오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하게 되고(단계 S14), 사용자에 의해 시나리오의 추가 설정이 이루어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15).
상기 판단 결과, 상기 WIPI 플랫폼(10)는 사용자의 키패드(30) 조작에 따라 시나리오를 추가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S11에서 단계 S14까지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지만, 시나리오의 추가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는 기설정 시나리오 설정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조작을 수행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6).
상기 판단 결과, 상기 WIPI 플랫폼(10)은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나리오 설정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키패드(30)의 키입력 조작을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복수의 시나리오 설정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시나리오 설정 정보를 삭제하게 된다(단계 S17).
한편, 상기 판단 결과 기설정 시나리오의 삭제를 위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면, 실행중인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을 종료하게 된다(단계 S18).
그 다음에,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 시나리오에 따라 터치 민감도를 조절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WIPI 플랫폼(10)의 데이터베이스(16)에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의 실행을 위한 시나리오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 대기중인 상태에서(단계 S20), 상기 키패드(30)의 사용자 키입력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기능 중에서 특정 기능 동작(예컨대 무선 음성 통화)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특정 기능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 소프트웨어 모듈(90) 및 단말 하드웨어 모듈(10)을 동작시키게 된다(단계 S21).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40)는 플랫폼 관리의 권한을 WIPI 플랫폼(10)에 부여하게 되고, 상기 WIPI 플랫폼(10)의 WIPI 관리 모듈(14)은 상기 특정 기능 동작이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시나리오 설정 정보의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2).
상기 판단 결과, 상기 WIPI 플랫폼(10)은 상기 특정 기능 동작이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한다고 판단하게 되면,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의 실행 상태에서 터치 인식부(70)를 통해 상기 터치 패드(80)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단계 S23), 상기 터치 패드(30)가 사용자에 의해 터 치 입력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면, 해당 특정 기능 동작이 진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능 지속시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4).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특정 기능 동작이 진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능 지속 시간 이내라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민감도가 상기 시나리오 설정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터치 민감도의 설정 레벨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25).
상기 판단 결과, 상기 WIPI 플랫폼(10)은 상기 터치 패드(30)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입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터치 민감도의 설정 레벨 이내라고 판단되면, 상기 터치 인식부(70)의 터치 인식에 따른 터치 입력 정보를 삭제하여 해당 터치 입력을 무시하게 된다(단계 S26).
하지만, 상기 단계 S24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 동작이 진행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능 지속 시간 이내가 아니라고 판단하거나(즉, 기능 지속 시간이 초과되었다고 판단하게 되면), 상기 단계 S25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30)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레벨이 미리 설정된 터치 레벨 이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WIPI 플랫폼(10)은 상기 제어부(40)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80)의 터치 입력에 따른 별도의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단계 S27).
한편, 상기 WIPI 플랫폼(10)에서는 상기 제어부(40)의 정보 제공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 기능 동작을 종료시키기 위한 조작을 수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바(단계 S28), 해당 특정 기능 동작을 종료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키입력 조작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20)을 종료 시켜서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을 종료하게 된다(단계 S29).
여기서, 상기 단계 S28에서는 상기 특정 기능 동작이 종료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기능 동작이 종료되었을때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을 종료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시나리오가 전화 통화후 일정 시간동안 터치 민감도를 조절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기능 동작의 종료후 기능 지속 시간이 경과되었을때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을 종료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시스템에 대한 블럭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을 위한 동작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에 의해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을 위한 동작 시나리오의 설정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동작 시나리오에 따라 터치 민감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WIPI 플랫폼, 12:API,
14:WIPI 관리 모듈, 16:데이터베이스,
18:HAL, 20: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
30:키패드, 40:제어부,
50:표시 구동부, 60:표시부,
70:터치 인식부, 80:터치 패드,
90:단말 소프트웨어 모듈, 100:단말 하드웨어 모듈.

Claims (8)

  1. 터치 민감도에 따라 터치 패드의 터치 입력이 실패 또는 성공하도록 이루어진 터치 패드를 갖춘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의 시나리오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터치 패드의 사용자 터치 오입력에 의한 오동작 가능성이 있는 기능 동작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해당 단말기의 특정 기능 동작 실행시에 해당 특정 기능 동작이 상기 제1단계에서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특정 기능 동작이 상기 제1단계에서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터치 패드의 사용자 터치 입력시에 터치 민감도를 낮추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터치 패드의 터치 오입력에 의한 오동작 가능성이 있는 복수의 기능 동작 항목을 제시하여 특정 기능 동작 항목을 시나리오로서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시나리오의 기능 동작에 대해 터치 민감도의 설정 레벨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시나리오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시나리오의 설정시 해당 선택된 시나리오의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에 대한 기능 지속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나리오 설정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특정 기능 동작이 기설정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인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터치 패드의 사용자 터치 입력시에 해당 특정 기능 동작의 실행 시간이 기설정된 기능 지속 시간 이내이고, 터치 입력 레벨이 터치 민감도 설정 레벨 이내이면, 해당 터치 입력에 따른 별도의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터치 입력을 무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6. 터치 패드를 갖춘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를 조절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의 사용자 터치 오입력에 따른 오동작 가능성이 많은 기능 동작에 대해 터치 민감도를 낮추기 위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의 실행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시 상기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터치 민감도를 적용하는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된 시나리오를 저장하고, 해당 기설정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기능 동작의 실행시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설정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민감도를 낮추어서 해당 터치 입력에 따른 별도의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WIPI 플랫폼; 및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된 시나리오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의 시나리오 설정에 의한 시나리오 설정정보에는, 터치 민감도의 레벨 설정치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터치 패드의 사용자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입력 레벨이 상기 터치 민감도의 레벨 설정치 이내인 경우에 해당 터치 입력에 따른 별도의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 구동 어플리케이션의 시나리오 설정에 의한 시나리오 설정정보에는, 해당 선택된 시나리오의 터치 민감도 조절 기능에 대한 기능 지속 시간의 설정치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터치 패드의 사용자 터치 입력시에 해당 기능 동작의 실행 시간이 기설정된 기능 지속 시간 이내인 경우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민감도를 낮추어서 해당 터치 입력에 따른 별도의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시스템.
KR1020090013194A 2009-02-18 2009-02-18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9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194A KR101596500B1 (ko) 2009-02-18 2009-02-18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194A KR101596500B1 (ko) 2009-02-18 2009-02-18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999A true KR20100093999A (ko) 2010-08-26
KR101596500B1 KR101596500B1 (ko) 2016-02-22

Family

ID=4275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194A KR101596500B1 (ko) 2009-02-18 2009-02-18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5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440A1 (ko) * 2012-01-30 2013-08-08 한국과학기술원 멀티 터치 스크린에서의 탭핑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1092768A1 (zh) * 2019-11-12 2021-05-20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触摸事件的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597A (ko) * 2006-11-17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터치 센서 자동 감도 조절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597A (ko) * 2006-11-17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터치 센서 자동 감도 조절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440A1 (ko) * 2012-01-30 2013-08-08 한국과학기술원 멀티 터치 스크린에서의 탭핑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1092768A1 (zh) * 2019-11-12 2021-05-20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触摸事件的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500B1 (ko)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6507B2 (en)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US7890778B2 (en) Power-off metho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2704406B1 (en) Temporarily unlocking of a mobile terminal
US20070150826A1 (en) Indication of progress towards satisfaction of a user input condition
US20110291942A1 (en) Display method, application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puter key function
KR20100093999A (ko) 터치형 단말기의 터치 민감도 조절 방법 및 그 시스템
AU2012254900B2 (en)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AU2011101193A4 (en)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AU2011101192A4 (en)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AU2017203078B2 (en)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US20030018593A1 (en) Intelligent on/off button
AU2008100419B4 (en)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KR20060114548A (ko) 입력/출력 수단의 잠금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