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161A -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161A
KR20100092161A KR1020090011395A KR20090011395A KR20100092161A KR 20100092161 A KR20100092161 A KR 20100092161A KR 1020090011395 A KR1020090011395 A KR 1020090011395A KR 20090011395 A KR20090011395 A KR 20090011395A KR 20100092161 A KR20100092161 A KR 20100092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
clean energy
lever shaft
vortex
friendly cl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1824B1 (ko
Inventor
홍섭
최종수
김형우
여태경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1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824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tide-operated member and anoth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7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ubmerged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속과 와류발생실린더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자연현상인 와유기진동(VIV)을 이용함으로써, 수중생물에 대한 위험도가 없어 자연생태계의 파괴를 막고,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어 대체에너지 개발 방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VIV, 와유기진동, 위상잠김(Lock-in), 와류발생실린더, 보오텍스, 와류

Description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Eco-friendly and clean energy extraction device using Vortex Induced Vibration}
본 발명은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속과 와류발생실린더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자연현상인 와유기진동(VIV)을 이용함으로써, 수중생물에 대한 위험도가 없어 자연생태계의 파괴를 막고,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어 대체에너지 개발 방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발전으로는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화력발전, 물의 위치에너 지를 이용하는 수력발전,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태양열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태양열발전, 핵분열을 이용하는 원자력발전, 파도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파력발전, 해류의 수심에 따른 온도 차이를 이용하는 해양온도차발전,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하는 조력발전 및 조수 간만의 차이나 지형적인 영향 등으로 해류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해류발전 등이 있다.
그 중 화력발전 및 수력발전은 막대한 건설비가 요구되며, 화력발전은 화석 에너지에 따른 공해문제를 발생하며, 수력 발전은 댐 건설후 광범위한 지역의 수몰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는 물론 심한 경우에는 해당지역의 기후까지도 변화시키는 2차적인 환경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풍력발전 및 태양열발전은 기상상태의 영향에 지배되므로, 바람이 없는 경우 및 태양복사에너지가 차단되는 경우에는 발전시스템을 가동시킬 수 없다.
원자력발전은 방사선 누출을 차단하기 위해 시설 투자에 막대한 비용이 소비되며, 또한 폐기물 처리에 막대한 비용을 소비해야 하는 등의 여러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으며, 한 번의 사고라도 발생되면 심각한 환경파괴를 초래하는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그리고, 파력 발전 및 해양온도차발전은 입지조건에 적당한 지역이 상당히 제한적임에 따라 보편적으로 적용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조력발전은 조석현상에 의한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석현상은 달과 태양의 인력에 의해 지배적으로 발생되며, 지구가 공전할 때 생기는 원심력의 차이도 영향을 미친다. 조력발전은 조수 간만의 차이가 발생하는 지역의 하구나 만을 댐으로 막아 해수를 가두고 수차발전기를 설치하여 수위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이다. 상기 조력발전은 발전을 하는 장소가 결정되면 조위의 변화를 예측 할 수 있으며, 청정에너지라는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갯벌을 황폐화시키고, 방대한 지역이 요구되어 해양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최소 유효낙차는 약 5 m로, 적어도 약 5 m 이상의 조수차가 발생되는 장소에 시스템이 설치되어야 하며, 보다 큰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측에 위치한 조수의 차이가 커야 한다.
전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차이점 중 가장 큰 점은 해류발전을 하는 경우에는 해류의 운동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이용한다는 측면에 있다. 그러므로 해류발전은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큰 지역 뿐만 아니라 해류 속도가 빠른 지역도 적당한 입지조건에 해당되며, 조력발전을 하기 위해 요구되는 5 m 이상의 조수차 보다 작아도 실질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류발전은 날씨의 변화와 상관없이 계속적인 발전이 가능한 것과 동시에 오염이 없는 청정 에너지원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다른 발전시스템 보다 유리하다.
해류발전 시스템은 방파제에 터널을 형성하여 터널 내부의 발전기 모듈로부터 발전하는 방파제 내부 설치식 해류발전 시스템과, 해저면에 고정되는 지지물에 부착되는 해저면 고정식 해류발전 시스템, 및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에 부착되는 부유식 해류발전 시스템 등이 있다.
여기서, 해류발전 시스템의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번호 2003-0050836, 공개특허번호 20003-0050835, 특허등록번호 10-0765910, 공개특허번호 2008-0023776, 특허등록번호 10-0697717 등 회전수차 방식의 다양한 해류발전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들은 회전수차 방식의 해류발전장치로써, 수차의 회전에 의해 수중생물의 피해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자연파괴의 주범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속과 와류발생실린더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자연현상인 와유기진동(VIV)을 이용함으로써, 수중생물에 대한 위험도가 없어 자연생태계의 파괴를 막고,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어 대체에너지 개발 방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바다 또는 하천에 설치되어 물의 유속에 의해 친환경 청정에너지를 추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속에 의해 표면에서 보오텍스(vortex) 박리에 따라 와류가 발생하여 상,하로 와유기진동(VIV)하는 와류발생실린더와;
상기 와류발생실린더의 일단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와류발생실린더의 와유기진동 진폭을 증폭시켜 전달하는 지렛대 축과;
상기 지렛대 축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렛대 축의 양끝단부를 상,하로 반복 회동시키는 힌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렛대 축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렛대 축에 의해 전달된 와유기진동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는 유속과 와류발생실린더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자연현상인 와유기진동(VIV)을 이용함으로써, 수중생물에 대한 위험도가 없어 자연생태계의 파괴를 막고,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어 대체에너지 개발 방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바다 또는 하천에 설치되어 물의 유속에 의해 친환경 청정에너지를 추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속에 의해 표면에서 보오텍스(vortex) 박리에 따라 와류가 발생하여 상,하로 와유기진동(VIV)하는 와류발생실린더와;
상기 와류발생실린더의 일단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와류발생실린더의 와유기진동 진폭을 증폭시켜 전달하는 지렛대 축과;
상기 지렛대 축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렛대 축의 양끝단부를 상,하로 반복 회동시키는 힌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렛대 축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렛대 축에 의해 전달된 와유기진동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와류발생실린더와 지렛대 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 체가 설치된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는 바다 또는 하천에 설치되어 물의 유속에 의해 친환경 청정에너지를 추출하는 장치로써, 와류발생실린더(10)와, 지렛대 축(20)과, 힌지 지지프레임(30)과, 발전장치(40) 및 이 모든 장치를 지지하는 플랫폼 구조(50)로 구성된다.
상기 와류발생실린더(10)는 도 4를 참고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유속에 의해 와류발생실린더(10)의 표면에서 보오텍스(vortex) 박리에 따라 와류가 발생하여 상,하로 와유기진동(VIV)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와류발생실린더(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 병렬로 다수개 형성되어 각각 지렛대 축(20)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와유기진동(VIV: Vortex-Induced Vibration) 현상이란, 와류발생에 따라 유동의 수직방향의 양력(lift force)이 와류발생실린더(10)에 번갈아 작용하게 됨으로써 와류발생실린더(10)는 유동과 수직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는 것을 와유기진동(VIV)이라 한다.
이때, 상기 VIV를 유발하는 양력의 변동주파수(fs)는 Strouhal 수(S)와의 상관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아래의 관계식 1을 참조하면,
Figure 112009008700659-PAT00001
S : Strouhal 수, U: 유속, D: 물체(와류발생실린더) 단면 직경
또한, 물체에 작용하는 양력(FL)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 2로 산출 가능하다.
Figure 112009008700659-PAT00002
ρ : 유체밀도, CL : 양력계수, ωs : 2πfs
이때, 와류발생실린더(10)가 지렛대 축(20) 또는 상하운동부재(22)에 연결된 스프링(60)에 의해 가지는 고유진동주파수(fn)와 양력의 변동주파수(fs)가 서로 비슷할 경우, 와류발생실린더(10)의 진동은 공진현상을 보이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렛대 축(20)은 와류발생실린더(10)의 양끝단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와류발생실린더(10)의 와유기진동 진폭을 전달받아 끝단부에서 증폭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지렛대 축(20)은 다수개의 와류발생실린더(10)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렛대 축(20)은 힌지지지프레임(30)을 기준하여 양측으로 L₁과 L₂로 구획되어, 상기 와류발생실린더(10)의 와유기진동의 진폭(AVIV)과 속 도(VVIV)는 지렛대 축(20)의 길이 구성비(L2/L1) 만큼 조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렛대 축(20)의 양측 길이(L1, L2)가 다를 경우, 지렛대 축(20)의 양끝단부에 밸런스를 맞추도록 지렛대 축(20)의 일단부에 부력체(21)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 하 병렬로 다수개 형성되는 지렛대 축(20)의 끝단부(와류발생실린더(10)가 부착된 반대측)에는 다수개의 지렛대 축(2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하운동부재(22)가 힌지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다수개의 지렛대 축(20)은 도 5와 도 6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운동부재(22)가 상호 연결해주어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이루며 상하 병진운동을 한다.
이때, 상기 상하운동부재(2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와류발생실린더(10)의 양끝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렛대 축(20)의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와류발생실린더(10)의 양끝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지렛대 축(20)의 끝단부를 축에 의해 연결하여 상기 축의 중앙부에 상하운동부재(22)가 설치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운동부재(22)의 상부에는 도 3을 참고하여, 스프링(60)이 설치되어 지렛대 축(20)의 밸런스 및 와류발생실린더(10)의 상,하 운동의 주파수를 결정하여 공진운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60)의 타측은 플랫폼 구조(50)의 일단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운동부재(22)의 외부에는 부력체(21)가 추가적으로 부착되어 스프링(60)의 역할을 도와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지지프레임(30)는 중심축에 다수개의 지렛대 축(20)이 상, 하 병렬로 힌지부(31)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지렛대 축(20)의 양끝단부를 상,하로 반복 회동시키는 것으로 일측은 수중의 지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플랫폼 구조(50)에 고정되어 지렛대 축(20)의 반복 회동에도 흔들림없이 지지해준다. 이때, 상기 힌지부(31)는 도 8과 같이 결합되는 장치이다.
상기 발전장치(40)는 상하운동부재(2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렛대 축(20)에 의해 전달된 와유기진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피스톤(41)과, 크랭크 축(43)과, 발전기(45)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발전장치(40)의 하나의 실시예를 기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41)은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상하운동부재(22)의 상단부에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피스톤(41)의 하단부에는 피스톤 축(42)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 축(42)의 끝단부는 상하운동부재(22)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와류발생실린더(10)의 와유기진동을 전달받은 피스톤 축(42)의 끝단부가 상,하로 반복 회동됨으로써, 상기 피스톤(41)도 그에 맞춰 상,하로 반복 구동하여 직선운동을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41)은 플랫폼 구조(50)의 일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랫폼 구조(50)의 관통홀(53)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 축(43)은 플랫폼 구조(50)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 축(43)의 일단면 중앙부에 다수개의 크랭크(44)가 연결되며, 상기 크랭크(44)의 끝단부는 피스톤(41)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41)의 직선 운동을 크랭크(44)에 의해 크랭크 축(43)를 회전운동으로 변화한다.
또한, 상기 크랭크 축(43)의 일단면(크랭크(44)가 설치된 반대측)에는 발전기(45)가 연결되고, 상기 발전기(45)는 크랭크 축(43)의 회전운동에너지를 추출하는 장치로써, 기존에 제시되고 있는 발전기와 유사하기 때문에 원리, 구조,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플랫폼 구조(50)은 바다 또는 하천에 상기에 기술된 장치들이 구비되도록 다수개의 기둥(52)과 장치가 놓일 수 있는 받침대(5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51)의 일단부에는 피스톤(41)이 관통하여 상,하로 구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5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3)에는 피스톤(41)이 상,하로 반복 구동시, 접촉되는 관통홀(53)의 내주면과 피스톤(41)의 외부면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다수개의 베어링(54)이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53)의 내주면에는 피스톤(41)을 따라 유입된 물이 받침대(51)의 상부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레인 유로(55)가 다수개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는 하나의 발전기(45)에 일정하게 많은 양의 에너지를 얻기 위해 횡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나의 발전기(45)에 다수개의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받기 위해서는 하나의 VIV 이용 친환경 청정 에너지 추출장치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크랭크 축(43)이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와류발생실린더와 지렛대 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체가 설치된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와류발생실린더 20 : 지렛대 축
21 : 부력체 22 : 상하운동부재
30 : 힌지 지지프레임 31 : 힌지부
40 : 발전장치 41 : 피스톤
42 : 피스톤 축 43 : 크랭크 축
44 : 크랭크 45 : 발전기
50 : 플랫폼 구조 51 : 받침대
52 : 기둥 53 : 관통홀
54 : 베어링 55 : 드레인 유로
60 : 스프링

Claims (9)

  1. 바다 또는 하천에 설치되어 물의 유속에 의해 친환경 청정에너지를 추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속에 의해 표면에서 보오텍스(vortex) 박리에 따라 와류가 발생하여 상,하로 와유기진동(VIV)하는 와류발생실린더(10)와;
    상기 와류발생실린더(10)의 일단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와류발생실린더(10)의 와유기진동 진폭을 증폭시켜 전달하는 지렛대 축(20)과;
    상기 지렛대 축(20)의 일단부에 힌지부(31)가 결합되어 상기 지렛대 축(20)의 양끝단부를 상,하로 반복 회동시키는 힌지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지렛대 축(20)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렛대 축(20)에 의해 전달된 와유기진동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실린더(10)와 지렛대 축(20)은 힌지 지지프레임(30)에 상,하 병렬로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지렛대 축(20) 끝단부를 상호 연결해주도록 상하운동부재(22)가 힌지 결합되어 모멘트를 증가시킨 후, 상기 발전장치(40)에 와유기진동의 운동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지렛대 축(20)은 상하운동부재(22)가 상호 연결해주어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병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운동부재(22)의 외부에는 부력체(21)가 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운동부재(22)의 상부에는 스프링(60)이 설치되어 지렛대 축(20)의 밸런스 및 와류발생실린더(10)의 공진운동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렛대 축(20)의 힌지부(31)를 중심으로 밸런스를 맞추도록 지렛대 축(20)의 일단부에는 부력체(21)가 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는 하나의 발전장치(40)에 일정하게 많은 양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횡 방향으로 다수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40)는,
    상기 지렛대 축(20)의 끝단부를 상호 연결해주는 상하운동부재(22)의 상단부에 피스톤 축(42)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와류발생실린더(10)의 와유기진동을 전달받은 피스톤 축(42)에 의해 상,하로 반복 구동하는 피스톤(41)과;
    상기 피스톤(41)의 상부에 크랭크(44)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41)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화시키는 크랭크 축(43)과;
    상기 크랭크 축(43)의 일단면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에너지를 추출하는 발전 기(4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40)는 플랫폼 구조(50)에 설치되어 바다 또는 하천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KR1020090011395A 2009-02-12 2009-02-12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KR101061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95A KR101061824B1 (ko) 2009-02-12 2009-02-12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95A KR101061824B1 (ko) 2009-02-12 2009-02-12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161A true KR20100092161A (ko) 2010-08-20
KR101061824B1 KR101061824B1 (ko) 2011-09-05

Family

ID=4275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395A KR101061824B1 (ko) 2009-02-12 2009-02-12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82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318A1 (ko) * 2011-11-29 2013-06-06 한국해양연구원 단순 왕복 피봇 회전형 와유기진동 에너지추출 장치
WO2013125805A1 (ko) * 2012-02-21 2013-08-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스프링 작용반경 가변형 단순 왕복 피봇 회전형 와유기진동 에너지추출 장치
KR101309125B1 (ko) * 2011-12-20 2013-09-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슬라이딩기구와 와유기진동에 의한 양력발전장치
KR101309126B1 (ko) * 2011-12-20 2013-09-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와유기진동에 의한 변동 양력발생장치
KR101309124B1 (ko) * 2011-12-20 2013-09-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평행사변형 사절기구와 와유기진동에 의한 양력발전장치
WO2014017859A1 (ko) * 2012-07-26 2014-01-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반복 승강식 조류 발전 장치
KR101489177B1 (ko) * 2013-12-30 2015-0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플랩타입의 조류발전장치 및 그 운용방법
WO2020054916A1 (ko) * 2018-09-12 2020-03-19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
CN112796967A (zh) * 2020-12-28 2021-05-14 西南交通大学 一种杠杆式震动发电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726B1 (ko) 2017-07-14 2019-11-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와유기진동 에너지 추출장치
ES2930356T3 (es) 2017-07-14 2022-12-09 Korea Inst Ocean Sci & Tech Aparato de extracción de energía por vibración inducida por vórtice
KR20210078962A (ko) 2019-12-19 2021-06-29 한국과학기술원 충돌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8127U (ko) * 1973-07-13 1975-04-01
JPS588759U (ja) 1981-07-10 1983-01-20 財団法人日本造船振興財団 波エネルギ−転換装置
JPH10184526A (ja) 1996-12-25 1998-07-14 Suke Ishii 浮子の上下動を利用する波動機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318A1 (ko) * 2011-11-29 2013-06-06 한국해양연구원 단순 왕복 피봇 회전형 와유기진동 에너지추출 장치
KR101284106B1 (ko) * 2011-11-29 2013-07-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단순 왕복 피봇 회전형 와유기진동 에너지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유기진동 에너지 추출방법
KR101309125B1 (ko) * 2011-12-20 2013-09-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슬라이딩기구와 와유기진동에 의한 양력발전장치
KR101309126B1 (ko) * 2011-12-20 2013-09-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와유기진동에 의한 변동 양력발생장치
KR101309124B1 (ko) * 2011-12-20 2013-09-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평행사변형 사절기구와 와유기진동에 의한 양력발전장치
WO2013125805A1 (ko) * 2012-02-21 2013-08-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스프링 작용반경 가변형 단순 왕복 피봇 회전형 와유기진동 에너지추출 장치
KR101300480B1 (ko) * 2012-02-21 2013-08-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스프링 작용반경 가변형 단순 왕복 피봇 회전형 와유기진동 에너지추출 장치
WO2014017859A1 (ko) * 2012-07-26 2014-01-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반복 승강식 조류 발전 장치
KR101489177B1 (ko) * 2013-12-30 2015-0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플랩타입의 조류발전장치 및 그 운용방법
WO2020054916A1 (ko) * 2018-09-12 2020-03-19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
CN112796967A (zh) * 2020-12-28 2021-05-14 西南交通大学 一种杠杆式震动发电装置
CN112796967B (zh) * 2020-12-28 2023-06-13 西南交通大学 一种杠杆式震动发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824B1 (ko) 2011-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824B1 (ko) Viv 이용 친환경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KR101188617B1 (ko) 다자유도 와유기진동 청정에너지 추출장치
KR101309124B1 (ko) 평행사변형 사절기구와 와유기진동에 의한 양력발전장치
CN101589223B (zh) 完全浸没的波能转换器
KR101093063B1 (ko) 부유식 해양 복합발전장치
CA262512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extraction of energy from moving water
EP2987997A1 (en) Air-cushioned small hydraulic power generating device
KR101548433B1 (ko) 진동 수주형 파력 발전 장치
KR20170028329A (ko) 조석 에너지 변환기 시스템
US20130088013A1 (en) Water current energy converter system
KR101693751B1 (ko) 원통형 파력발전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309125B1 (ko) 슬라이딩기구와 와유기진동에 의한 양력발전장치
KR101504866B1 (ko) 파력 발전 장치
Veerabhadrappa et al. Power generation using ocean waves: a review
GB2542548A (en) System and method
KR20110059880A (ko) 해양 파도 에너지 변환 장치
KR20100135010A (ko) 수중부양회전체를 이용한 수중 발전장치
Owen Tidal current energy: origins and challenges
KR101542537B1 (ko) 발전장치
KR20090055947A (ko) 풍력 및 조력 발전설비를 동시에 구비한 근해 발전설비장치
Fraenkel Marine current turbines: moving from experimental test rigs to a commercial technology
KR20030050836A (ko) 부유식 해류발전 장치
CN208845299U (zh) 水力能源转换发电设备及其系统
Sundar et al. Wave Energy Convertors
KR101100778B1 (ko) 가이드레일을 따라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수력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