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106A -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 Google Patents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106A
KR20100092106A KR1020090011299A KR20090011299A KR20100092106A KR 20100092106 A KR20100092106 A KR 20100092106A KR 1020090011299 A KR1020090011299 A KR 1020090011299A KR 20090011299 A KR20090011299 A KR 20090011299A KR 20100092106 A KR20100092106 A KR 20100092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uperconducting cable
temperature gradient
groove
gradien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072B1 (ko
Inventor
최창열
이수길
김춘동
장현만
지봉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1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0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8Connections to or between superconductiv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34Cable fittings for cryogenic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Gas Or Oil Filled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질소와 상온의 오일 사이에 온도구배구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온도구배구간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은 초전도 케이블의 초전도체가 위치하며 액체질소가 채워진 냉각용기와, 상기 냉각용기에 연통되며 내부에 단말도체가 위치하는 단열관과, 상기 단말도체가 관통한 상태로 상기 단열관이 연통된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단열관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단열관에 온도구배구간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온도구배구간, 플랜지, 금속 실, 단열관

Description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Superconducting Cable Terminal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질소와 상온의 오일 사이에 온도구배구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온도구배구간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초전도 현상이란 극저온상태에서 도체에 흐르는 저항이 0인 특성을 말하며, 초전도 케이블은 이러한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제작된 전력케이블이다. 이와 같은 초전도 현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액체질소를 사용하며 도체는 액체질소의 극저온에 의해 초전도체의 특성을 갖는다.
한편, 초전도 케이블의 단부에는 종단 접속함이 장착되며 종단 접속함에서 초전도 케이블의 초전도체와 외부로 연장된 단말도체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단말도체와 초전도 케이블의 초전도체를 연결함에 있어서, 단말도체의 둘레에 채워진 오일과 초전도 케이블에 채워진 액체질소 사이에 온도구배 구간을 형성하여 액체질소의 온도상승을 막아 초전도 특성을 유지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102651호(발명의 명 칭 : 초전도 케이블의 단말 구조)에 기술된 내용에 따르면, 초전도 케이블의 초전도체와 접속된 단말도체는 둘레를 부싱이 감싼 상태로 냉매용기를 관통해 외부로 연장된 구조이며, 온도구배구간을 형성하기 위해 냉매용기와 부싱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가스질소가 상기 온도구배공간으로 유입되어 온도구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부싱과 냉매용기 사이에 실리콘 부재의 링 또는 블록을 위치한다.
하지만, 온도구배공간의 하부에 위치한 실리콘 부재의 링 또는 블록은 극저온 상태에 위치함으로써, 파손될 경우에 초전도 케이블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여 초전도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액체질소가 채워진 냉각용기와 단말도체를 지지하는 플랜지 사이를 가스질소가 통과할 수 있는 유동통로를 확보하여 온도구배구간의 내부압력을 유지하며, 또한 극저온 상태에 안정적인 접합구조를 갖는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은 초전도 케이블의 초전도체가 위치하며 액체질소가 채워진 냉각용기와, 상기 냉각용기에 연통되며 내부에 단말도체가 위치하는 단열관과, 상기 단말도체가 관통한 상태로 상기 단열관이 연통된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단열관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단열관에 온도구배구간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구멍을 관통한 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냉각용기에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 개의 구멍 안쪽에는 홈이 원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홈 안에 금속 실이 충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실은 인듐 실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의 계면 조도는 1.6 내지 6.3㎛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은 액체질소가 채워진 냉각용기와 온도구배구간 사이를 플랜지로 폐쇄하며 액체질소에서 발생한 가스질소만이 플랜지를 통해 온도구배구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온도구배구간으로 유입된 가스질소는 온도구배구간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온도구배구간과 냉매용기 사이의 압력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은 플랜지 접합에 메탈 실을 사용함으로써, 극저온 조건에서 메탈 실이 파손되지 않으며, 또한 조도를 미세 가공하여 가스질소만 통과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랜지 접합부위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100)은 액체질소(115)가 채워지며 냉동기(113)가 장착된 냉각용기(110)와, 상기 냉각용기(110)의 상부 측으로 단말도체(151)가 위치하도록 형성된 단열관(150)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관(150)의 내부에 단말도체(151)가 위치하고 상기 단말도체(151)는 냉각용기(110) 의 내부에서 초전도 케이블(120)의 초전도체(121)와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냉각용기(110)와 단열관(150)의 사이에 플랜지(160)가 위치하며 상기 플랜지(160)는 냉각용기(110)에 결합된다. 이때 단말도체(151)는 상기 플랜지(160)를 관통한 상태로 단말도체(151)의 둘레를 절연체(152)가 감싸며 절연체(152)는 플랜지(160)와 완전 밀폐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플랜지(160)는 통상적으로 원주를 따라 다수 개의 구멍(161)이 형성되며, 플랜지(160)의 구멍(161)이 냉각용기(110)에 형성된 구멍(111)과 맞춰진 상태에서 볼트(165)가 관통하고 볼트(165)의 단부에 너트(167)가 체결된 상태로, 너트(167)가 조여지면서 결합된다.
여기에서, 플랜지(16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구멍(161)들 안쪽에는 V홈(163)이 형성되며, 상기 V홈(163)의 안쪽에 메탈 실인 인듐 실(170)이 충진된다. 상기 상기 V홈(163)의 내측 계면 조도는 1.6 내지 6.3㎛로 가공되며, 조도 1.6 내지 6.3㎛로 가공된 V홈(163)에 인듐 실(170)이 충진된 상태에서 플랜지(160)를 냉각용기(110)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100)에 있어서, 액체질소에서 기화된 가스질소는 그 분자의 크기가 1.09㎛로서, 플랜지(160)와 냉각용기(110)의 사이로 유입되지만, 인듐 실(170)과 냉각용기(110)의 사이로는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다만, 1.6 내지 6.3㎛로 가공된 V홈(163)과 인듐 실(170) 사이의 계면을 통해 플랜지(160)를 통과한다.
여기에서 조도가 1.6㎛ 미만일 경우에는 가스질소 분자가 원활하게 통과하기 에 어려움이 있으며, 6.3㎛를 초과할 경우에는 액체질소(115)가 통과할 수 있다.
한편, 단열관(150)의 상부에는 상온 상태의 오일(141)이 채워지며, 오일의 아래는 온도구배구간(130)으로서, 플랜지(160)를 통과한 가스질소는 온도구배구간(130)에 채워지면서 온도구배구간(130)의 내부압력을 상승시켜 냉각용기(110) 내부의 압력과 온도구배구간(130)의 내부압력을 평형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인듐 실(170)은 극저온 상태에서도 물질적인 변화가 거의 없어 파손되지 않으며, 설사 파손되더라도 플랜지(160)의 상면에 위치하며 가스질소가 온도구배구간(130)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인듐 실(170)이 파손되면서 발생한 이물질이 냉각용기(110)로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에는 플랜지(160)의 가장자리를 따라 V홈(163)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V홈(163)을 대신하여 U홈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홈이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랜지 접합부위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110 : 냉각용기
111 : 구멍 113 : 냉동기
115 : 액체질소 120 : 초전도 케이블
121 : 초전도체 130 : 온도구배구간
141 : 오일 150 : 단열관
151 : 단말도체 152 : 절연체
160 : 플랜지 161 : 구멍
165 : 볼트 167 : 너트
163 : V홈 170 : 인듐 실

Claims (4)

  1. 초전도 케이블(120)의 초전도체(121)가 위치하며 액체질소(115)가 채워진 냉각용기(110)와,
    상기 냉각용기(110)에 연통되며 내부에 단말도체(151)가 위치하는 단열관(150)과,
    상기 단말도체(151)가 관통한 상태로 상기 단열관(150)이 연통된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단열관(150)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단열관(150)에 온도구배구간(130)을 형성하는 플랜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6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구멍(161)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60)는 상기 구멍(161)을 관통한 볼트(165)가 체결되어 상기 냉각용기(110)에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16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 개의 구멍(161) 안쪽에는 홈(163)이 원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홈(163) 안에 금속 실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실은 인듐 실(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163)의 계면 조도는 1.6 내지 6.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KR1020090011299A 2009-02-12 2009-02-12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KR101567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299A KR101567072B1 (ko) 2009-02-12 2009-02-12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299A KR101567072B1 (ko) 2009-02-12 2009-02-12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106A true KR20100092106A (ko) 2010-08-20
KR101567072B1 KR101567072B1 (ko) 2015-11-09

Family

ID=4275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299A KR101567072B1 (ko) 2009-02-12 2009-02-12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9325A1 (de) * 2014-03-11 2015-09-16 Nexans Endenabschluß für ein supraleitfähiges elektrisches Kabe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3355B2 (ja) 2001-02-13 2004-09-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極低温機器の端末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9325A1 (de) * 2014-03-11 2015-09-16 Nexans Endenabschluß für ein supraleitfähiges elektrisches Kabel
US10453591B2 (en) 2014-03-11 2019-10-22 Nexans End closure of a superconductive electric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072B1 (ko)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792B1 (ko) 초전도 케이블의 저온유지장치
KR101317325B1 (ko) 초전도체 요소를 위한 전기적 부싱
US20070191231A1 (en) Terminal structure of superconducting cable
CN103307380B (zh) 一种具备电位隔离功能的低温流体输送管接头
KR101657591B1 (ko) 하나 이상의 초전도 케이블을 구비한 배열의 작동 방법
US8912446B2 (en) Termination structure for superconducting cable
US7708577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superconductor element
KR20060124741A (ko) 초전도 케이블의 접속 구조
KR100848796B1 (ko) 저온용 체결 구조
KR20100092106A (ko) 초전도 케이블 종단 접속함
CN102956327B (zh) 一种超导电缆端头结构
EP2973617B1 (en) High voltage bushing for cryogenics applications
US20140162882A1 (en) Cable termination for high voltage power cables cooled by a gaseous cryogen
CN217080580U (zh) 一种用于汽轮发电机组的冰塞处理装置
KR20110005537A (ko) 코팅된 도전봉이 내설된 종단 접속함용 초전도 케이블의 단말구조체
KR101652580B1 (ko) 외부 접속자가 구비되는 초전도 전력기기
KR102318014B1 (ko) 초전도 전기 케이블의 엔드 클로저
CN117419164A (zh) 一种超导电缆终端导体连接结构
JP2014212257A (ja) 超電導マグネット用電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