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486A -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 - Google Patents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486A
KR20100090486A KR1020090009795A KR20090009795A KR20100090486A KR 20100090486 A KR20100090486 A KR 20100090486A KR 1020090009795 A KR1020090009795 A KR 1020090009795A KR 20090009795 A KR20090009795 A KR 20090009795A KR 20100090486 A KR20100090486 A KR 20100090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electrode
electrode unit
high frequency
frequenc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761B1 (ko
Inventor
표대영
유한철
Original Assignee
표대영
유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대영, 유한철 filed Critical 표대영
Priority to KR1020090009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7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61N2001/083Monitoring integrity of contacts, e.g. by impedance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을 구비하여 신체 넓은 영역에서 심부열을 분산하여 발생시키며 전극 유닛과 신체의 접촉 불량시 발생할 수 있는 화상, 쇼크 등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유닛은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을 구비함으로써 심부열이 신체에 넓게 분포되어 발생하며, 신체와 접촉하는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의 일측면은 굴곡져 있어 깊은 심부열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유닛은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이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원 둘레상에 동일 간격으로 교차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관리자의 실수 또는 신체의 굴곡으로 인하여 신체와 전극 유닛이 완전하게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화상 또는 쇼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고주파 치료, 심부열, 모노폴라, 바이폴라

Description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Electrode unit using for high frequency treatment}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을 구비하여 신체 넓은 영역에서 심부열을 분산하여 발생시키며 전극 유닛과 신체의 접촉 불량시 발생할 수 있는 화상, 쇼크 등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치료 시스템은 고주파 전원을 인체에 통전시켜 통전된 고주파 전원을 생체에너지로 전환하고, 이러한 생체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생된 심부열을 통하여 지방대사와 근육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비만치료나 근육강화, 피부관리, 모발촉진 또는 통증완화 등에 사용되는 의료용 기기이다.
고주파 전원은 인체조직을 통전할 때 진동 폭이 매우 짧기 때문에, 이온 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전기화학적 반응 또는 전기 분해 현상이 없다. 이러한 고주파 전원은 인체 내에 통전되면 조직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심부열이라 한다. 이와 같이 심부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고주파수의 전기 에너지가 가해지면 전원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어 회전운동, 뒤틀림, 충돌운동에 의해 생체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고주파 전원은 인체 내 불편함이나 근육수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신체 조직 안의 특정부위를 가열할 수 있으며, 발생된 심부열은 조직의 온도를 상승시켜 세포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인체의 신진 대사 및 근육 운동이 촉진되어, 비만치료나 근육강화, 피부관리, 모발촉진 또는 통증완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모노폴라 타입의 고주파 치료 시스템을 살펴보면, 고주파 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본체(10)와 치료 전극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치료 전극 장치는 본체(10)에서 발생한 고주파 전원을 관리하고자 하는 신체 환부로 인가하는 인가 전극부(20) 및 신체의 일부와 접촉되며 환부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을 접촉된 신체 일부로 통전시키는 통전 전극부(30)를 포함한다. 이때, 인가 전극부(20)는 인가 전극(21), 손잡이(23) 및 케이블(25)로 구성되며 통전 전극부(30)은 통전 전극(31)과 케이블(33)로 구성된다.
인가 전극부(20)의 인가 전극(21)과 통전 전극부(30)의 통전 전극(31)이 서로 대향하도록 인가 전극(21)을 환부에 접촉시키고 환부의 반대편에 통전 전극(31)을 후, 본체(1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본체(10)에서는 고주파 전원이 생성되고, 인가 전극(21)와 통전 전극(31) 사이에 놓여지는 인체를 통하여 고주파 전원이 통전되면서, 인가 전극(21)과 통전 전극(31) 사이의 신체 내부에서 심부열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인가 전극(21)과 통전 전극(31)이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가 전극(21)에 대향하여 신체의 반대편에 통전 전극(31)을 접촉하여 심부열을 발생하는 타입의 고주파 치료 시스템을 모도폴라 타입이라고 언급한다.
도 2를 참고하여 종래 바이폴라 타입의 고주파 치료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주파 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서 발생한 고주파 전원을 신체 일부로 통전시켜 신체의 환부에서 심부열을 발생하는 치료 전극 장치(40)로 구성되어 있다. 치료 전극 장치(40)는 고주파 전원 케이블(41), 기준전원 케이블(43), 고주파 전원 케이블(41)과 기준전원 케이블(43)이 통합되는 통합 케이블(44) 및 손잡이(45)와 전극 유닛(47)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극 유닛(47)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극 유닛 하우징(47-1)에 1개의 인가 전극(47-2)과 1개의 통전 전극(47-3)이 서로 인접하여 수평하게 삽입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가 전극(47-2)과 통전 전극(47-3)이 인접하여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하우징에 인가 전극(47-2)과 통전 전극(47-3)이 일체로 형성되어 신체에 얇은 심부열을 발생하는 타입의 고주파 치료 전극 시스템을 바이폴라 타입이라고 언급한다.
도 2와 도 3을 참고로 종래 바이폴라 타입의 고주파 치료 시스템을 이용한 치료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체(10)를 작동시킨 후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중 심부열을 발생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전극 유닛(47)을 접촉시킨다. 손잡이(45)에 구비되어 있는 인가 전원 스위치(46)를 온 제어하는 경우, 인가 전극(47-2)을 통해 신체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은 인가 전극(47-2)에 인접하여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는 통전 전극(47-3)으로 통전된다.
신체와 전극 유닛(47)의 접촉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도 3(b)를 참고로 살펴보면, 전극 유닛 하우징(47-1) 내에서 수평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인가 전극(47-2)과 통전 전극(47-3)의 일측면은 관리하고자 하는 신체에 접촉된다. 인가 전극(47-2)을 통해 신체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은 통전 전극(47-3)을 통해 통전되면서, 신체의 A영역과 B영역에서 얇은 심부열이 발생한다. 인가 전극(47-2)와 통전 전극(47-3) 사이에서 발생하는 심부열의 크기를 살펴보면, 인가 전극(47-2)과 통전 전극(47-3) 사이의 거리 특성에 의하여 A 영역에서는 낮은 심부열이 발생하며, A 영역에서 높은 심부열이 집중되어 발생한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 바이폴라 타입의 치료 전극 장치는 종래 모노폴라 타입의 치료 전극 장치와 달리 별도의 통전 전극을 인가 전극에 대향하여 신체에 접촉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치료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 바이폴라 타입의 치료 전극 장치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심부열이 인가 전극(47-2)과 통전 전극(47-3) 사이의 영역 B에 집중되어 관리하고자 하는 신체의 넓은 영역에 심부열을 분포하여 발생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 바이폴라 타입의 치료 전극 장치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관리자의 실수로 전극 유닛(47)을 관리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완전하게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를 온하거나, 관리 중 굴곡진 신체 부위에서 전극 유닛이 완전하게 신체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 인가 전극(47-2)와 통전 전극(47-3) 중 신체와 접촉하는 C 영역에서 인가 전극(47-2)와 통전 전극(47-3) 사이에 통전되는 고주파 전원이 집중되어 순간 높은 심부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높은 심부열로 인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쇼크를 받을 위험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관리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넓게 심부열을 분포하여 발생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용 전극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관리자의 실수 또는 신체의 굴곡으로 인하여 전극 유닛과 신체가 완전하게 접촉하지 않더라도, 화상 또는 쇼크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 장치용 전극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이 가지는 한계, 즉 인가 전극과 통전 전극이 서로 인접하여 수평으로 배치됨으로써 환부의 얇은 깊이에서만 심부열을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를 극복하여 환부의 보다 깊은 깊이에서 심부열을 발생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 장치용 전극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용 전극 유닛은 고주파 전원을 신체에 인가하는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인가 전극 유닛을 통해 인가된 고주파 전원을 신체로 통전시키는 다수의 통전 전극 및 다수의 인가 전극의 일측면과 다수의 통전 전극의 일측면을 서로 수평하게 배치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다수의 인가 전극의 일측면과 다수의 통전 전극의 일측면은 신체와 접촉하도록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신체와 접촉하는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의 일측면은 굴곡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피부와 접촉하는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의 일측면은 오목 또는 볼록하게 굴곡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은 각각 짝수개로서,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은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원 둘레상에 서로 다른 각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서로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서로 교 차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용 전극 유닛은 종래 모노폴라 타입 또는 바이폴라 타입의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유닛은 하나의 전극 유닛에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을 구비함으로써, 심부열이 신체에 넓게 분포되어 발생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유닛은 신체와 접촉하는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의 일측면이 굴곡져 있음으로 인하여, 환부에 깊은 심부열을 발생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유닛은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이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원 둘레상에 동일 간격으로 교차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관리자의 실수 또는 신체의 굴곡으로 인하여 신체와 전극 유닛이 완전하게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화상 또는 쇼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용 전극 유닛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치료 전극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고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전극 장치는 손 잡이부(50), 손잡이부(50)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유닛 지지부(60), 전극 유닛 지지부(6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전극 유닛(70) 및 손잡이부(50)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통합 케이블(80)로 구성되어 있다. 통합 케이블(80)은 고주파 전원을 발생하는 본체(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전원을 전극 유닛(70)으로 제공하는 고주파 전원 케이블(81)과 기준 전원을 전극 유닛(70)으로 제공하는 기준 전원 케이블(83)을 구비하고 있으며, 고주파 전원 케이블(81)과 기준 전원 케이블(83)은 케이블 커버(85)로 둘려쌓져 있다.
전극 유닛(70)은 전극 유닛 지지부(60)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전극 유닛(70)의 하단면에는 다수의 인가 전극(200)과 다수의 통전 전극(300)을 삽입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장착홀(250)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인가 전극(200)과 다수의 통전 전극(300)은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다수의 장착홀(250)에 서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장착된다.
손잡이부(50)의 하단면 타측에는 고주파 전원 케이블(81)과 기준 전원 케이블(83)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전원과 기준 전원을 각각 차단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55)가 구비되어 있다. 관리자가 스위치(55)를 온 제어하는 경우, 고주파 전원 케이블(81)과 기준 전원 케이블(83)로부터 각각 다수의 인가 전극(200)과 다수의 통전 전극(300)으로 고주파 전원과 기준 전원이 인가된다. 전극 유닛(70)을 신체 부위에 접착하고 스위치를 온 제어하는 경우, 다수의 인가 전극(200)을 통해 신체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은 인가 전극(200)과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통전 전극(300)으로 통전되며, 다수의 인가 전극(200)과 다수의 통전 전극(300) 사이에 서는 심부열이 넓게 분포되어 발생한다.
도 6은 전극 유닛 지지부와 전극 유닛의 A-A' 방향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고로 살펴보면, 전극 유닛 지지부(60)과 전극 유닛(70)이 서로 장착되는 장착면, 즉 전극 유닛 지지부(60)의 하단면과 전극 유닛(70)의 상단면에는 각각 전극 유닛 지지부(60)와 전극 유닛(70)을 고정 장착하기 위한 고정 유닛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유닛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극 유닛 지지부(60)의 하단면에는 전극 유닛 지지부(60)의 상단면을 향하여 삽입홀(67)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홀(67)에는 삽입홀(67)과 수직 방향의 고정홀(6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극 유닛(70)의 상단면에는 삽입홀(67)에 대응하는 반경의 삽입 부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 부재(111)와 수직 방향으로 삽입 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 유닛 지지부(60)에 전극 유닛(70)을 장착시, 삽입 부재(111)의 고정 돌기(113)는 탄성 압착되며 삽입홀(67)을 통과하다 고정홀(68)에서 탄성 복원되어 전극 유닛 지지부(60)와 전극 유닛(70)을 고정시킨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전극 유닛 지지부(60)와 전극 유닛(70)은 다양한 고정 유닛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전극 유닛 지지부(60)의 하우징(61) 내부에는 손잡이부(50)로부터 전극 유닛(70)까지 제1 관통홀(63)과 제2 관통홀(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 유닛(70)의 상부 하우징(110)에는 제1 관통홀(63)과 제2 관통홀(65)에 연장되는 제3 관통홀(115)와 제 4 관통홀(117)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50)에 연결되어 있는 고 주파 전원 케이블(81)은 제1 관통홀(63)과 제3 관통홀(115)을 통해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30) 사이에 배치되는 기판(120)의 일측면에 납땜 접속된다. 한편, 손잡이부(50)에 연결되어 있는 기준 전원 케이블(83)은 제2 관통홀(65)과 제4 관통홀(117)을 통해 기판(120)의 타측면에 납땜 접속된다.
고주파 전원 케이블(81)이 납땜되어 있는 기판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인가 전극(200)으로 고주파 전원을 제공하는 고주파 전원용 배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준 전원 케이블(83)이 납땜되어 있는 기판의 타측면에는 다수의 통전 전극(300)으로 기준 전원을 제공하는 기준 전원용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인가 전극(200)을 하부 하우징(130)에 형성되어 있는 인가 전극 장착홀(131)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14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120)의 고주파 전원용 배선과 하부 하우징(130)을 관통하여 인가 전극 삽입홀(201)과 체결된다. 한편, 통전 전극(300)을 하부 하우징(130)에 형성되어 있는 통전 전극 장착홀(133)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145)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120)의 기준 전원용 배선과 하부 하우징(130)을 관통하여 통전 전극 삽입홀(301)과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고정 수단(140, 145)는 나사이며 삽입홀(201, 30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을 통해 인가 전극(200) 또는 통전 전극(300)을 하부 하우징(130)의 장착홀(131, 133)에 고정 장착한다. 여기서, 고정 수단은 인가 전극(200) 또는 통전 전극(300)을 하부 하우징(130)의 장착홀(131, 133)에 고정 장착하는 역활과 고주파 전원용 배선 또는 기준 전원용 배선에 흐르는 고주파 전원과 기준 전원을 각각 인가 전극(200)과 통전 전극(300)으로 제공하는 역활을 동시에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에서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의 배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신체에서 발생하는 심부열의 분포도를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로 살펴보면, 전극 유닛의 하부 하우징(130)에 형성되어 있는 인가 전극 장착홀과 통전 전극 장착홀에는 3개의 인가 전극(200-1, 200-2, 200-3)과 3개의 통전 전극(300-1, 300-2, 300-3)이 삽입 장착되어 있다. 3개의 인가 전극(200-1, 200-2, 200-3)과 3개의 통전 전극(300-1, 300-2, 300-3)은 하부 하우징의 중심(O)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r)으로 형성되는 원 둘레상(C)에 서로 다른 간격 또는 서로 동일 간격(d)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3개의 인가 전극(200-1, 200-2, 200-3)과 3개의 통전 전극(300-1, 300-2, 300-3)은 하부 하우징의 중심(O)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원 둘레상(C)에 서로 교차되어 다른 간격 또는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8을 참고로 신체에서 발생하는 심부열의 분포도를 살펴보면, 각각의 인가 전극(200-1, 200-2, 200-3)으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은 인접하고 있는 통전 전극(300-1, 300-2, 300-3)을 통해 신체로 통전되며 심부열을 발생한다. 즉, 제1 인가 전극(200-1)에서 신체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은 인접하고 있는 제1 통전 전극(300-1)을 통해 신체로 통전되면서 제1 인가 전극(200-1)과 제1 통전 전극(300-1) 사이의 신체에서 심부열을 발생한다. 또한, 제1 인가 전극(200-1)에서 신체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은 인접하고 있는 제3 통전 전극(300-3)을 통해 신체로 통전되 면서 제1 인가 전극(200-1)과 제3 통전 전극(300-3) 사이에서 심부열을 발생한다. 이와 동일하게, 제2 인가 전극(200-2)와 제3 인가 전극(200-3)으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은 인접하고 있는 통전 전극을 통해 신체로 통전되며서 인접하고 있는 통전 전극 사이의 신체에서 심부열을 발생한다.
한편, 서로 대향하고 있는 인가 전극과 통전 전극, 즉 제1 인가 전극(200-1)과 제2 통전 전극(300-2), 제2 인가 전극(200-2)과 제3 통전 전극(300-3) 및 제3 인가 전극(200-3)과 제1 통전 전극(300-1) 사이의 신체에서도 심부열이 발생한다. 즉, 제1 인가 전극(200-1)에서 신체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은 대향하고 있는 제2 통전 전극(300-2)을 통해 신체로 통전되면서 제1 인가 전극(200-1)과 제2 통전 전극(300-2) 사이의 신체에서 심부열을 발생한다. 이와 동일하게, 제2 인가 전극(200-2)과 제3 인가 전극(200-3)으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은 대향하고 있는 통전 전극을 통해 신체로 통전되면서 제2 인가 전극(200-2) 또는 제3 인가 전극(200-3)과 대향하고 있는 통전 전극 사이의 신체에서 심부열이 발생한다.
도 8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은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이 하부 하우징(130)에 서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전극 유닛과 접촉하고 있는 신체의 넓은 범위에서 심부열을 골고루 발생시킨다. 또한, 관리자의 실수로 또는 신체의 굴곡으로 인하여 전극 유닛의 일부만이 신체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으로 심부열이 분산되어 화상 또는 쇼크의 위험을 방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에서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의 배열 상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 인가 전극은 흑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통전 전극은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9(a)를 참고로 살펴보면, 2개의 인가 전극과 2개의 통전 전극이 하부 하우징(130)의 중심(O)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으로 형성되는 원 둘레상(C)에 서로 교차되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9(b)를 참고로 살펴보면, 4개의 인가 전극과 4개의 통전 전극이 하부 하우징(130)의 중심(O)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으로 형성되는 원 둘레상(C)에 서로 교차되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9(c)를 참고로 살펴보면,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이 하부 하우징(130)의 중심(O)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반경으로 형성되는 서로 다른 원 둘레상(C1, C2)에 서로 교차되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9(d)를 참고로 살펴보면,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이 하부 하우징(130)의 중심(O)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반경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원 둘레상(C1, C2, C3, C4,..)에 서로 교차되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도 9(d)에 도시되어 있는 전극 유닛은 두피 관리용으로 사용되는 전극 유닛으로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은 두피 모발 간격에 대응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인가 전극과 통전 전극의 배열 상태는 하나의 예이며, 2개 이상의 인가 전극과 2개 이상의 통전 전극이 동일 원 둘레상(C)에서 서로 다른 간격으로 또는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동일 원 둘레상(C)에서 서 로 교차하여 동일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인가 전극과 2개 이상의 통전 전극은 서로 다른 반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원 둘레상(C1, C2, C3,...)에서 서로 다른 간격 또는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다수의 원 둘레상(C1, C2, C3,...)에서 서로 교차하여 동일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종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은 도 6의 종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들과 서로 동일하며, 다만 인가 전극(210)과 통전 전극(310)만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인가 전극(210)과 통전 전극(3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부 하우징(130)에 형성된 다수의 인가 전극 장착홀(131)과 다수의 통전 전극 장착홀(133)에 다수의 인가 전극(210)과 다수의 통전 전극(310)이 삽입 장착된다. 삽입 장착된 인가 전극(210)과 통전 전극(310)의 하단면, 즉 신체와 접촉하는 면은 굴곡져 있다. 바람직하게, 인가 전극(210)과 통전 전극(310)의 하단면은 볼록 또는 오목하게 굴곡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신체에서 발생하는 심부열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 11을 참고로 살펴보면, 관리하고자 하는 신체(400)에 전극 유닛(70)을 접촉하는 경우 인가 전극(210)과 통전 전극(310)은 볼록하게 굴곡져 있음으로 인하여, 인가 전극(210) 또는 통전 전극(310)과 접촉하는 신체 부위는 오목하게 굴곡진다. 따라서 인가 전극(210)으로 인가된 고주파 전원은 신체의 깊은 부위를 통과하여 통전 전극(310)으로 통전되기 때문에, 신체에서 깊은 심부열이 발생한다. 심부열을 발생시키고자 하는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반격으로 굴곡진 인가 전극(210) 또는 통전 전극(31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정함에 있어 하나의 참고가 될 뿐이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노폴라 타입의 고주파 치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고주파 치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바이폴라 타입의 고주파 치료 시스템을 이용한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바이폴라 타입의 고주파 치료 시스템의 잘못된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치료 전극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에서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의 배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신체에서 발생하는 심부열의 분포도를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에서 다수의 인가 전극과 다수의 통전 전극의 배열 상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의 종단면 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타입의 전극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신체에서 발생하는 심부열의 분포 상태를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본체 50: 손잡이부
60: 전극 유닛 지지부 63: 제1 관통홀
65: 제2 관통홀 67: 삽입홀
68: 고정홀
80: 통합 케이블 81: 고주파 전원 케이블(81)
83: 기준 전원 케이블(83) 85: 케이블 커버
110: 상부 하우징 111: 삽입 부재
113: 삽입 돌기 115: 제3 관통홀
117: 제4 관통홀 120: 기판
130: 하부 하우징 200, 210: 인가 전극
300, 310: 통전 전극 201: 인가전극 삽입홀
301: 통전 전극 삽입홀

Claims (10)

  1. 고주파 전원을 신체에 인가하여 심부열을 발생시키는 전극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원을 신체에 인가하는 다수의 인가 전극;
    상기 다수의 인가 전극 유닛을 통해 인가된 고주파 전원을 신체로 통전시키는 다수의 통전 전극; 및
    상기 다수의 인가 전극의 일측면과 상기 다수의 통전 전극의 일측면을 서로 수평하게 배치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극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가 전극의 일측면과 상기 다수의 통전 전극의 일측면은 신체와 접촉하도록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신체와 접촉하는 상기 다수의 인가 전극과 상기 다수의 통전 전극의 일측면은 굴곡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다수의 인가 전극과 상기 다수의 통전 전극의 일측면은 오목 또는 볼록하게 굴곡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유닛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가 전극과 상기 다수의 통전 전극은 각각 짝수개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전극 유닛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가 전극과 상기 다수의 통전 전극은 상기 전극 유닛의 중심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원 둘레상에 서로 다른 간격 또는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가 전극과 상기 다수의 통전 전극은 상기 원 둘레상에 서로 교차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유닛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가 전극과 상기 다수의 통전 전극은 상기 전극 유닛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반경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원 둘레에 서로 다른 간격 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가 전극과 상기 다수의 통전 전극은 상기 다수의 원 둘레에 교차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유닛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장치는
    두피 관리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유닛
  10. 고주파 전원을 피부에 인가하여 심부열을 발생시키는 전극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원을 신체에 인가하는 다수의 인가 전극; 및
    상기 다수의 인가 전극 유닛을 통해 인가된 고주파 전원을 신체로 통전시키는 다수의 통전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전원을 신체로 인가하는 상기 다수의 인가 전극의 일측면과 상기 인가된 고주파 전원을 통전하는 다수의 통전 전극의 일측면은 신체에 접촉하도록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유닛.
KR1020090009795A 2009-02-06 2009-02-06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 KR101068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795A KR101068761B1 (ko) 2009-02-06 2009-02-06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795A KR101068761B1 (ko) 2009-02-06 2009-02-06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486A true KR20100090486A (ko) 2010-08-16
KR101068761B1 KR101068761B1 (ko) 2011-09-28

Family

ID=4275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795A KR101068761B1 (ko) 2009-02-06 2009-02-06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7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97B1 (ko) * 2012-06-27 2014-07-22 (주)휴먼드림 고주파 치료기
WO2015199253A1 (ko) * 2014-06-24 2015-12-30 조정호 전기자극장치
KR20150146088A (ko) * 2014-06-20 2015-12-31 세광테크 주식회사 저주파 온열 핸드 마사지기
KR20160052144A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정훈기공 멀티 교차 전극을 갖는 고주파 미용장치
KR20210150757A (ko) * 2020-06-04 2021-12-13 주식회사 제이엘유 고주파 온열 치료기
US11338132B2 (en) 2011-11-24 2022-05-24 Lutronic Corporation Treatment device using high frequenc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84602A1 (en) 2013-02-13 2016-06-30 Habalan Med & Beauty Co., Ltd. Portable high-frequency therapeutic apparatus having internal battery
KR101677132B1 (ko) * 2016-07-19 2016-11-18 세익메디칼 주식회사 전기 자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5899B2 (ja) * 2000-10-30 2009-09-02 京セラ株式会社 電気メス用ワンドヘッド
US7313446B2 (en) * 2001-09-21 2007-12-25 Indiba, S.A. Electrode assembly for electrotherapy devices
KR200453811Y1 (ko) * 2008-05-27 2011-05-27 유한철 두피 관리용 고주파 전극 유닛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8132B2 (en) 2011-11-24 2022-05-24 Lutronic Corporation Treatment device using high frequency
KR101421697B1 (ko) * 2012-06-27 2014-07-22 (주)휴먼드림 고주파 치료기
KR20150146088A (ko) * 2014-06-20 2015-12-31 세광테크 주식회사 저주파 온열 핸드 마사지기
WO2015199253A1 (ko) * 2014-06-24 2015-12-30 조정호 전기자극장치
KR20160052144A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정훈기공 멀티 교차 전극을 갖는 고주파 미용장치
KR20210150757A (ko) * 2020-06-04 2021-12-13 주식회사 제이엘유 고주파 온열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761B1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761B1 (ko) 고주파 치료용 전극 유닛
KR101013581B1 (ko) 전기 피부 미용기
KR101773508B1 (ko) 고주파와 저주파를 이용한 미용기기
TW201731554A (zh) 具有遠紅外線之導電導熱電極裝置及其電極片製造方法
KR101191951B1 (ko) 전기자극을 개선한 피부미용장치
KR100856736B1 (ko) 전기 침술기 및 전기 침술 시스템
KR20160095579A (ko)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개인용 경두개직류자극장치
KR101421697B1 (ko) 고주파 치료기
WO2016010257A1 (ko) 고주파 치료기용 전극 유닛
KR101128607B1 (ko) 고주파 치료기의 핸드피스
EP3151909B1 (en) Radio frequency skin treatment device
KR101470377B1 (ko) 고주파 마사지 장치
KR200453811Y1 (ko) 두피 관리용 고주파 전극 유닛
KR20060128766A (ko) 초음파 및 전기자극용 도자
CN106388933A (zh) 用于不可逆电穿孔设备的电极
KR101824212B1 (ko) 고주파 온열 치료장치
KR101154014B1 (ko) 고주파치료장치용 전극봉패드
KR200414783Y1 (ko) 레이저 다이오드를 갖는 의료기용 일렉트로드 홀더
KR20070098384A (ko) 고주파치료장치
KR101300695B1 (ko) 고주파 치료기용 밴드타입 전극 유닛
KR200444949Y1 (ko) 고주파 자극 장치
CN113940868A (zh) 一种按摩养发梳
JPH11290462A (ja) 低周波治療器における治療器具
KR101192108B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388350Y1 (ko) 고주파 의료기용 일렉트로드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