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946A - 채형장치 - Google Patents

채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946A
KR20100089946A KR1020090009149A KR20090009149A KR20100089946A KR 20100089946 A KR20100089946 A KR 20100089946A KR 1020090009149 A KR1020090009149 A KR 1020090009149A KR 20090009149 A KR20090009149 A KR 20090009149A KR 20100089946 A KR20100089946 A KR 20100089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ensor pad
sensor
strength
b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1785B1 (ko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Priority to KR102009000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785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2Orthopaedic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와 적용 위치 및 보조기의 형태를 미리 알아내기 위해 3점압 원리를 이용하여 척추를 바르게 보정하되 각 센서패드에 전달되는 힘의 세기를 수치화여 보조기 제작 프로그램에서 이를 디지털 영상으로 보여줌으로써, 보조기 착용 후의 척추변화를 예측할 수 있으며 특히 환자가 청소년일 경우 성장과정에서 인체변화에 따른 보조기의 능동적인 수정 보완이 가능한 채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의 상부에 다수개의 기둥이 사방으로 구비되고 상기 기둥을 따라 높낮이 조절되는 다수개의 레일들에는 환자의 겨드랑이, 허리 및 골반을 3점지지할 수 있는 센서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각 센서패드는 핸들을 갖는 나사축에 의해 가변되면서 환자의 몸과 밀착되어 척추를 바르게 보정하고, 상기 센서패드에 가해지는 저항치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환자의 몸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를 수치화 하여 보여주는 표시부를 갖는 특징이 있다.
기판, 레일, 센서패드, 바닥센서, 비교분석부, 표시부

Description

채형장치{The copy from apparatus}
본 발명은 개인의 병적 증상과 인체의 특성에 맞는 보조기 제작을 위한 채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와 적용 위치 및 보조기의 형태를 미리 알아내기 위해 3점압 원리를 이용하여 척추를 바르게 보정하되 각 센서패드에 전달되는 힘의 세기를 수치화여 보조기 제작 프로그램에서 이를 디지털 영상으로 보여줌으로써, 보조기 착용 후의 척추변화를 예측할 수 있으며 환자가 청소년일 경우 성장과정에서 인체변화에 따른 보조기의 능동적인 수정 보완이 가능한 채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 측만증 보조기(Scoliosis brace)라 함은 척추(vertebrae)가 옆으로 휘어지거나 회전 변형이 일어나는 증상을 고정하기 위한 보조기를 말한다. 척추 측만증 보조기에는 재질이나 형태에 따라 여러 타입의 보조기가 있으나 외부의 일정한 압력을 이용하여 휘어진 척추를 교정하는 조던(jorden)의 3점압 원리를 이용하여 석고외형 작업, 수지류를 이용한 보조기틀 작업 및 마무리 공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TLSO(thoracolumboscacral orthosis)타입의 보조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종래에는 측만증 환자의 채형을 뜨기 위해 환자를 세운 뒤 환자의 양쪽 방향에서 겨드랑이부분, 허리부분 및 골반부분을 3점압 원리로 눌러 척추의 바른 자세가 유지되도록 한 뒤 석고를 이용하여 본을 뜨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겨드랑이와 허리 및 골반을 패드로 누를때 채형장치를 조작하는 사람마다 그 세기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조작자의 감각과 숙련도에 따라 채형이 서로 다르게 측정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리고 채형에 따른 보조기를 제작하기 전에 보조기의 형태를 환자에게 미리 보여줄 수 없으므로 제작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환자가 성장기 청소년일 경우 보조기를 6개월 단위로 교체해야 되므로 교체할때 마다 채형을 다시 떠야 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와 적용 위치 및 보조기의 형태를 미리 알아내기 위해 3점압 원리를 이용하여 척추를 바르게 보정하되 각 센서패드에 전달되는 힘의 세기를 수치화여 보조기 제작 프로그램에서 이를 디지털 영상으로 보여줌으로써, 보조기 착용 후의 척추변화를 예측할 수 있으며 특히 환자가 청소년일 경우 성장과정에서 인체변화에 따른 보조기의 능동적인 수정 보완이 가능한 채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척성트레이닝(等尺性, isometric training)을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상기 채형장치의 센서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패드의 누르는 힘의 세기를 단계별로 조절하여 근력 유지 및 향상을 위한 일상적인 트레이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채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의 상부에 다수개의 기둥이 사방으로 구비되고 상기 기둥을 따라 높낮이 조절되는 다수개의 레일들에는 환자의 겨드랑이, 허리 및 골반을 3점지지할 수 있는 센서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각 센서패드는 핸들을 갖는 나사축에 의해 가변되면서 환자의 몸과 밀착되어 척추를 바르게 보정하고, 상기 센서패드에 가해지는 저항치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환자의 몸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를 수치화 하여 보여주는 표시부를 갖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정력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얻을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교정기 제작이 가능하고, 측정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정기 처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여 이를 통해 진행정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병원과 제작업체 사이에 사용자간 정보공유가 가능하며, 의료적 임상데이터의 축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IT개발활용으로 교정기기의 진단, 치료기술의 향상 및 척추측만증 치료법의 하나인 등척성 운동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개개인의 병적 증상과 인체의 특성에 맞는 보조기 제작을 위한 채형장치로써, 척추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와 적용 위치를 파악하여 보조기 제작 전에 보조기 착용후의 척추에 영향을 미치는 하지, 족부 및 골반등을 포함한 입체적인 교정력의 세기와 위치를 수치화하여 척추 변화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데이터화하여 인체변화에 따른 능동적인 수정 보완이 가능한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채형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채형장치의 평면도 이다.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채형장치는 환자가 올라 설 수 있는 기판(10) 위에 사방으로 기둥(11)이 입설되고 각 기둥(11)에는 상하측으로 높낮이 조절 가능한 레일(12)이 구비된다. 그리고 각 레일(12)에는 환자의 겨드랑이, 골반 및 허리를 3점 지지하여 누를 수 있는 센서패드(20)를 갖는 나사축(21)이 핸들(22)에 그 위치가 가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기판(10)에는 환자가 올라 섰을때 발바닥의 누르는 힘의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바닥센서(30)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패드(20)는 압력센서의 일종인 FSR(Force Sensing Resistor) 센서로써, 센서 표면에 힘을 증가 시킬 때 감소하는 저항이 발생하는 중합체의 필름(Polymer Film)이 구비되어 그 저항치 변화로써 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채형장치는 도 3에서와 같은 제어 블록을 갖는다. 상기 센서패드(20)는 유무선 방식으로 제어부(40)와 연결되며, 각 환자의 측정 데이터는 저장부(41)에 기록되고 상기 센서패드(20)의 저항치 변화는 비교분석부(42)에서 힘의 세기로 변환되고, 영상프로그램부(43)에서 보조기의 형태가 형상화 되어 표시부(45)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구성이다. 이때 영상프로그램 부(43) 및 비교분석부(42)의 데이터 수정은 키입력부(44)에서 이뤄진다.
채형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가 기판(10)에 올라서면 바닥센서(30)에 의해 환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힘의 분포가 측정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다리의 높낮이를 교정할수 있다.
그리고 환자의 키 높이에 맞게 상기 기판(10)의 사방으로 배치된 레일(12)들의 높낮이를 조절한 뒤 3점압 원리에 맞게 각 센서패드(20)를 환자의 겨드랑이, 골반 및 허리 부분에 대고 핸들(22)을 이용하여 센서패드(20)를 환자 몸에 밀착시키면서 환자의 반응을 관찰한다.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기 전까지 센서패드(20)를 압착시켜 척추의 휜 정도를 교정하고 이때 각 센서패드(20)에서 측정된 저항치는 상기 비교분석부(42)에서 수치화되어 저장부(41)에 기록되고 이는 영상프로그램부(43)에서 미리 프로그램화된 보조기의 형태를 환자의 채형에 맞게 보정하여 표시부(45)에서 보여주는 방식이다.
또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채형장치는 이를 등척성 트레이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등척성 트레이닝은 아이소메트릭트레이닝·정적훈련법이라고도 하는데, 정적인 근육의 수축을 이용한 근력 트레이닝 방법으로서 국소적으로 환자의 근육을 눌러주면 이는 수치화 되어 표시부(45)에 표시되므로 누르는 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일반인의 근력 유지 및 향상을 위한 일상적인 트레이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채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채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채형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기판 11 : 기둥
12 : 레일 20 : 센서패드
21 : 나사축 22 : 핸들
30 : 바닥센서 40 : 제어부
41 : 저장부 42 : 비교분석부
43 : 영상프로그램부 44 : 키입력부
45 : 표시부

Claims (3)

  1. 기판의 상부에 다수개의 기둥이 사방으로 구비되고 상기 기둥을 따라 높낮이 조절되는 다수개의 레일들에는 환자의 겨드랑이, 허리 및 골반을 3점지지할 수 있는 센서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각 센서패드는 핸들을 갖는 나사축에 의해 가변되면서 환자의 몸과 밀착되어 척추를 바르게 보정하고, 상기 센서패드에 가해지는 저항치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환자의 몸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를 수치화 하여 보여주는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패드는 압력센서로써, 센서 표면에 힘을 증가 시킬 때 감소하는 저항이 발생되는 중합체의 필름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환자의 두 발이 각각 놓이면 몸무게의 변화 분포로써 다리의 높낮이를 교정할 수 있는 바닥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형장치.
KR1020090009149A 2009-02-05 2009-02-05 채형장치 KR101031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149A KR101031785B1 (ko) 2009-02-05 2009-02-05 채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149A KR101031785B1 (ko) 2009-02-05 2009-02-05 채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946A true KR20100089946A (ko) 2010-08-13
KR101031785B1 KR101031785B1 (ko) 2011-04-29

Family

ID=4275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149A KR101031785B1 (ko) 2009-02-05 2009-02-05 채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7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503A1 (ko) * 2014-04-24 2015-10-29 하병욱 스마트 척추 측만증 보정조끼
JP2019528811A (ja) * 2016-07-25 2019-10-17 中慧医学成像有限公司 支持具の設計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20086773A (ko) * 2020-12-16 2022-06-2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교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265Y1 (ko) 2005-02-18 2005-05-03 엠에스메디텍 압력센서를 적용한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429080Y1 (ko) 2006-07-27 2006-10-17 문영우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
KR100940729B1 (ko) * 2007-05-22 2010-02-04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척추 측만증 보조기용 체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503A1 (ko) * 2014-04-24 2015-10-29 하병욱 스마트 척추 측만증 보정조끼
JP2019528811A (ja) * 2016-07-25 2019-10-17 中慧医学成像有限公司 支持具の設計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20086773A (ko) * 2020-12-16 2022-06-2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교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785B1 (ko) 201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073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relative mobility of regions of an object
Denteneer et al. Reliability of physical functioning tests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US20130032413A1 (en) Bodyweight distribution and postur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7878990B2 (en) Gait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79272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and detecting ankle torsion
JP4489337B2 (ja) 直立姿勢の人体の異常負荷の測定のための測定装置
Gadotti et al. Validity of surface markers placement on the cervical spine for craniocervical posture assessment
US11957954B2 (en) Gait data collection and analytics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unweighting training systems
US200803125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pasticity
US10952660B2 (en) Berg balanc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McKenna et al. Inter-tester reliability of scapular position in junior elite swimmers
US10813573B2 (en) Biomechanical analysis and validation system and method
Kirstukas et al. Physician-applied contact pressure and table force response during unilateral thoracic manipulation
KR101031785B1 (ko) 채형장치
Lee et al. Comparison of static plantar foot pressure between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with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RU2665957C2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информативности стабилометрическ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и аппарат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131694B1 (ko) 보행훈련 장치의 훈련효과 시험 및 평가방법
KR20090109413A (ko) 체형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242853B (zh) 腰部活动风险评估和监测设备
Ahn et al. Asymmetrical change in the pelvis and the spine during cross-legged sitting postures
CN103974658A (zh) 痉挛性测定装置
Walsh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trecom Skeletal Analysis System in the assessment of sagittal plane lumbar angles
US11350873B2 (en) Portable qua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joint accessory movement
KR102021349B1 (ko) 재활치료용 기립보조기
Yick et al. Analysis of insole geometry and deformity by u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technique: a preliminary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