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751A - 복합기능 자판세트 - Google Patents

복합기능 자판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751A
KR20100089751A KR1020100005840A KR20100005840A KR20100089751A KR 20100089751 A KR20100089751 A KR 20100089751A KR 1020100005840 A KR1020100005840 A KR 1020100005840A KR 20100005840 A KR20100005840 A KR 20100005840A KR 20100089751 A KR20100089751 A KR 20100089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key
function
keyp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근
김정철
Original Assignee
김상근
김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근, 김정철 filed Critical 김상근
Publication of KR20100089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자판에 여러 가지 전기/전자기기의 독립적인 기능들을 자판이라는 하나의 기계적 범주 안에 다층적으로 수용한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좌편 자판부와 우편 자판부로 양분되어 이루어진 일반자판부를 골간으로 하여 숫자키패드 형식을 기반으로 한 다용도 자판부가 결합되고, 그 다용도 자판부가 일반자판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숫자키패드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그 숫자키패드의 키 배열형식을 기본틀로 하여, 전자계산기 자판부, 전화기 자판부, 리모컨 자판부, 멀티탭 제어판 등이 모드변환에 의해 다층적으로 내포되도록 한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개념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따르면, 일반자판에 여러 가지 전기/전자기기의 독립적인 기능들을 자판이라는 하나의 기계적 범주 안에 다층적으로 수용하여 자판 복합기(융합기)와 같은 형식이 되도록 함으로써, 책상 위의 업무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합기능 자판 하나로 업무를 모두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여러 가지 기기를 각각 따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며,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포함된 다용도 자판부를 이용할 경우, 계산기에서 계산된 값을 원터치로 PC의 편집창으로 보내 계산작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다용도 자판부를 전화기 자판으로 전용할 경우, 자판에서 바로 전화를 걸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는 것은 물론, 다용도 자판부와 외장 멀티탭을 연동시켜 운용할 경우, 거리가 떨어져 있는 멀티탭의 전원스위치를 자판 위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낭비되는 전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합기능 자판세트{Multi-functional computer keyboard set}
본 발명은 일반자판에 여러 가지 전기/전자기기의 독립적인 기능들을 자판이라는 하나의 기계적 범주 안에 다층적으로 수용한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좌편 자판부와 우편 자판부로 양분되어 이루어진 일반자판부를 골간으로 하여 숫자키패드 형식을 기반으로 한 다용도 자판부가 결합되고, 그 다용도 자판부가 일반자판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숫자키패드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그 숫자키패드의 키 배열형식을 기본틀로 하여, 전자계산기 자판부, 전화기 자판부, 리모컨 자판부, 멀티탭 제어판 등이 모드변환에 의해 다층적으로 내포되도록 한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관한 것이다.
하드웨어 분야의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디지털 기기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모듈)들의 크기가 날이 갈수록 작고 얇아져 부품의 집적도가 높아지게 되었으며, 그로 말미암아 제품의 소형화와 경박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제품의 소형화와 경박화라는 흐름이 더욱 진행되면서 예전에는 각기 독립되어 있던 기기들이 하나씩 둘씩 결합되기 시작하여 이제는 그 끝이 어디인지 모를 정도로 서로 결합되고 융합되는 기기들이 많아졌다.
지금은 생활필수품 내지는 생존필수품라고 불러야 할 만큼 진화한 휴대폰이라는 기기가 그러한 무한결합 사례의 좋은 예가 될 수 있겠는데, 휴대폰이라는 기기는 본래 음성통화를 주목적으로 개발된 것이었으나, 하드웨어 분야의 발전에 따라 전화기 기능에 TV, 카메라, 캠코더, MP3플레이어 기능까지 결합되었고, 이제는 교통카드, 은행 카드 기능을 말할 것도 없고 인터넷 풀브라우징까지도 지원하는 단말기까지 등장했으며, 한발 더 나아가 이제는 휴대폰이 손안에 PC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만큼 거의 무한기능의 융/복합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복합기능 사례에 대한 또다른 예로서 프린터복합기를 들 수 있겠는데, 예전에는 각기 독립된 제품으로 존재했던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이 다층적으로 결합되어 프린터복합기라는 형식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결국, 컴퓨터 자판이라고 해서 그와 같은 복합기능화의 추세를 따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는데, 자판 쪽에서도 그러한 복합화의 추세와 어느 한 특정 소비자층의 수요를 겨냥한 몇몇 형태가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자판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숫자키패드에서 전자계산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형태, 자판에 스피커를 내장시킨 형태, 자판에 카드 체크홈을 구비한 형태, 자판에 전화기를 결합한 형태와 같은 제품들이 고안되어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은 두 가지로 존재했던 독립적인 제품을 단순히 1+1 형식으로 결합시켰거나, 자판이라는 바탕기기에 하나의 기기를 덧대어 기계적으로 추가하는 형태를 벗어나지 못했고, 게다가 특수 사용자의 수요에 맞추다보니 소량생산으로 인한 높은 생산단가 때문에, 상기와 같은 단순 1+1 형식은 자판을 기반으로 한 복합기능의 초기적인 과정 그 이상의 의미는 부여하기 어렵다.
그 외에도 컴퓨터와 외장 멀티탭을 USB 케이블로 연결하여 연동시킨 형태로서 지능형 멀티탭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기기는 컴퓨터가 켜진 상태에서만 동작하는 제한된 조건을 갖고 있어, 전기/전자기기의 전원스위치를 켜고 끄기 위해서는 반드시 컴퓨터를 켜놓고 마우스 클릭으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다, 이 제품은 반드시 컴퓨터와 멀티탭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목적하는 기능을 발휘하므로,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곳이나 어떤 이유로 컴퓨터를 설치하기 불가능한 환경에서는 아예 사용조차 할 수 없다는 태생적인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일반자판에 여러 가지 전기/전자기기의 독립적인 기능들을 자판이라는 하나의 기계적 범주 안에 다층적으로 수용하여 자판 복합기(융합기)와 같은 형식이 되도록 함으로써, 책상 위의 업무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합기능 자판 하나로 업무를 모두 처리하게 되어 여러 가지 기기를 각각 따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며,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포함된 다용도 자판부를 이용할 경우, 계산기에서 계산된 값을 원터치로 PC의 편집창으로 보내 계산작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다용도 자판부를 전화기 자판으로 전용할 경우, 자판에서 바로 전화를 걸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는 것은 물론, 다용도 자판부와 외장 멀티탭을 연동시켜 운용할 경우, 멀티탭의 전원스위치를 자판 위에서 제어하여 전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전기/전자기기의 On/Off스위치를 끈 상태에서도 기기 자체에서 조금씩 소모되어 사라지는 대기전력과, 전력 사용중에 필요없이 낭비되는 전기를 줄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일반자판에 여러 가지 전기/전자기기의 독립적인 기능들을 자판이라는 하나의 기계적 범주 안에 다층적으로 수용하여 자판 복합기(융합기)와 같은 형식이 되도록 한 것으로, 좌편 자판부와 우편 자판부로 양분되어 이루어진 일반자판부를 골간으로 하여 숫자키패드 형식을 기반으로 한 다용도 자판부가 결합되며,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포함된 다용도 자판부는 일반자판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숫자키패드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그 숫자키패드의 키 배열형식을 기본틀로 하여, 전자계산기 자판부, 전화기 자판부, 리모컨 자판부, 멀티탭 제어판 등을 모드변환에 의해 다층적으로 내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 자판 상태에서 확장부를 추가하게 되면, 그 확장된 부분에 키폰 자판부와 가변형 기능설치부(예: 전화기 수납부)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는데, 그 상태에서 좀더 기계적으로 확장하게 되면, 일반자판부에 화면 및 화상 통화용 카메라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스피커 및 전화선 포트, LAN선 포트, 멀티탭 포트와 같은 다수개의 포트가 자판에 내장되는 형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용도 자판세트는 5열 형식으로 이루어진 다용도 자판부를 중심으로, 그 좌/우편에는 외장 멀티탭의 플러그 꽂이 번호에 1:1로 대응되도록 하는 숫자가 위에서 아래로 표시되고, 다용도 자판부 하단에는 방향키 4개가 배열되며, 좌/우편 멀티탭 번호표시부의 좌/우측 하단부에는 제어키들이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따르면, 일반자판에 여러 가지 전기/전자기기의 독립적인 기능들을 자판이라는 하나의 기계적 범주 안에 다층적으로 수용하여 자판 복합기(융합기)와 같은 형식이 되도록 함으로써, 책상 위의 업무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아울러, 복합기능 자판 하나로 업무를 모두 처리할 수 있어 여러 가지 기기를 각각 따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기 구입비용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포함된 다용도 자판부를 이용하게 되면, 계산기에서 계산된 값을 원터치로 PC의 편집창으로 보내 계산작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다용도 자판부를 전화기 자판으로 전용하여 씀으로서, 자판에서 바로 전화를 걸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다용도 자판부와 외장 멀티탭을 연동시켜 운용하게 되면, 멀티탭의 전원스위치를 자판 위에서 제어하여 전력을 아주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전기/전자기기의 On/Off스위치를 끈 상태에서도 기기 자체에서 조금씩 소모되어 사라지는 대기전력과, 전력 사용중에 필요없이 낭비되는 전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자판세트의 구성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형 복합기능 자판세트의 구성도이다.
도 3a~c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복합기능 자판세트의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리더기가 결합된 특수형 복합기능 자판세트의 구성도이다.
도 4b는 키폰자판부와 신용카드 체크기 기능키부 및 그 부속장치로 구성된 확장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포함된 좌/우편 일반자판부의 키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세트 및 그에 1:1로 대응하는 화상자판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세트에 내포된 바탕모드의 키 배치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부에 내포된 숫자키패드의 키 배치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세트에 내포된 IPTV리모컨의 기능키 배치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IPTV리모컨 기능키 중, 멀티미디어 제어키의 배치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부에 내포된 전자계산기 자판의 키 배치도이다.
도 11은 초성으로 이름을 찾아 전화걸기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자판부의 구성도이다.
도 12a는 확장부에 설치된 중형 키폰자판부의 키 배치도 및 그에 1:1로 대응하는 화상자판부의 구성도이다.
도 12b는 단일 판형으로 된 키폰자판부의 키 배치도 및 그에 1:1로 대응하는 화상자판부의 구성도이다.
도 13a는 키폰자판부에 내선번호를 대응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b는 다용도 자판부에 대응하는 키폰 내선번호의 화상 구성도이다.
도 13c는 키폰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내선 인명부의 화상 구성도이다.
도 14는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인터넷전화 메뉴판의 화상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세트와 멀티탭 스위치의 대응관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포함된 대형/소형 멀티탭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a~k는 다용도 자판세트와 멀티탭을 연결하여 전력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a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자판세트를 이용한 다단식 전자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8b는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다단식 전자인증 항목의 화상 배치도이다.
도 19는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단축키 후보항목의 화상 배치도이다.
도 20은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CCTV 메뉴항목의 화상 배치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자판세트의 구성과 그를 이용한 복합기능의 실행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자판세트의 구성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자판세트는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일반자판에 여러 가지 전기/전자기기의 독립적인 기능들을 자판이라는 하나의 기계적 범주 안에 다층적으로 수용하여 자판 복합기(융합기)와 같은 형식이 되도록 한 것이다.
자판 복합기 형식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자판세트에는 좌편 자판부와 우편 자판부로 양분되어 이루어진 일반자판부를 골간으로 하여 숫자키패드 형식을 기반으로 한 다용도 자판부가 결합되는데,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포함된 다용도 자판부는 일반자판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숫자키패드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그 숫자키패드의 키 배열형식을 기본틀로 하여, 전자계산기 자판부, 전화기 자판부, 리모컨 자판부, 멀티탭 제어판 등이 모드변환에 의해 다층적으로 내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 자판 상태에서 확장부를 추가하게 되면, 그 확장된 부분에 키폰 자판부나 가변형 기능설치부(예: 전화기 수납부)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좀더 기계적으로 확장하게 되면, 일반자판부에 화면 및 화상 통화용 카메라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스피커 및 전화선 포트, LAN선 포트, 멀티탭 포트와 같은 다수개의 포트는 자판본체에 내장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자판세트는 상기와 같은 구성 개념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기본형 자판을 바탕 형식으로 하여 확장부를 결합하는 식으로 자판의 구조가 세분화될 수 있다.
복합기능 자판세트는 사용환경에 따라 3가지(기본형, 확장형, 특수형)로 구성 될 수 있는데, 기본형 자판은 일반자판부에 화면(+카메라)과 무선 송신부가 추가되는 형식이고, 확장형 자판은 기본형 자판과 그 상단에 확장부를 갖는 형식으로서, 상단 확장부 범위 안에 키폰자판부 및 가변형 기능설치부가 결합된 형식과, 단일 판형으로 이루어진 대형 키폰자판부가 결합된 형식, 그리고 올인원(all-in-one) 형식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특수형 자판은 상기 확장형 자판 상태에서 특수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확장부가 다시 추가되는 형식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형 복합기능 자판세트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기본형 복합기능 자판세트는, 일반자판부와 IPTV리모컨 기능키부, 다용도 자판세트, 내장형 스피커, IC카드 삽입홈, 그리고 다수개의 접속 포트가 설치되어 자판본체를 이루며, 여기에 화면 및 화상 통화용 카메라가 결합되고, 또 외장형 전화기와 멀티탭(multi-tab)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기본형 복합기능 자판세트의 구성을 좀더 세분화하여 설명하면, 왼손이 담당하는 좌편 자판부와 오른손이 담당하는 우편 자판부로 양분되어 설치된 일반자판부를 골간으로 하여, 일반자판부의 하부에는 IPTV리모컨 기능키부가 설치되고, 좌편 자판부와 우편 자판부로 양분되어 이루어진 일반자판부의 사이에는 다용도 자판세트가 설치되며, 자판 본체의 좌/우측에는 스피커가 내장형식으로 설치되고, 자판 본체의 상단에는 IC카드 삽입홈이 설치되며, 자판 본체의 좌/우측과 상부에는 다수개의 접속포트가 설치되고, 자판 본체의 상부에는 화면 및 화상 통화용 카메라가 일체형으로 결합되거나 외장형식으로 연결되며, 외장형 전화기와 멀티탭이 유/무선 형식으로 자판본체에 연결되어 복합기능 자판세트가 이루어진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에 보인 복합기능 자판세트는, 자판을 이용하여 복합기능을 실행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기능들로만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를 “기본형 복합기능 자판세트”(이하, ‘기본형 자판세트’라 한다)로 정의한다.
도 3a~c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복합기능 자판세트의 구성도이다. 도 3a~c에 보인 바와 같이, 확장형 복합기능 자판세트는 상기 기본형 자판세트에 확장부라는 요소가 기계적으로 추가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확장부는 상기 기본형 자판세트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추가되는 형태로 구성되되, 키폰자판부와 내장형 전화기 수납부로 구성되거나(도 3a), 키폰자판부와 가변형 기능설치부로 구성되거나(도 3b), 하나의 판형으로 이루어진 키폰자판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도 3c).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a~c에 보인 복합기능 자판세트는, 기본형 자판세트에 확장부가 추가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이를 “확장형 복합기능 자판세트”(이하, ‘확장형 자판세트’라 한다)로 정의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리더기가 결합된 특수형 복합기능 자판세트의 구성도이고, 도 4b는 키폰자판부와 신용카드 체크기 기능키부 및 부속장치로 구성된 확장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 보인 바와 같이, 특수형 복합기능 자판세트는 상기 확장형 자판세트에 다시 제2 확장부가 기계적으로 추가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특수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2 확장부는 상기 확장형 자판세트에 추가되는 형태로 구성되므로, 확장형 자판세트에 포함된 제1 확장부와 새로 추가되는 제2 확장부는 기능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특수한 목적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제1 확장부에는 신용카드 리더기 기능키부와 매출전표 인쇄기 및 키폰자판부가 설치되고, 제2 확장부에는 신용카드 체크홈과 IC카드 삽입홈이 설치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 확장부와 제2 확장부는 신용카드 리더기라는 하나의 목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a에 보인 복합기능 자판세트는 확장형 자판세트에 다시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확장부가 추가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이를 “특수형 복합기능 자판세트”(이하, ‘특수형 자판세트’라 한다)로 정의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포함된 좌/우편 일반자판부의 키 배치도이다.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포함된 일반자판부는 좌편 자판부와 우편 자판부로 양분되어 설치된다. 일반자판부에는 일반문자키, 기호키, 숫자키, 그리고 기능키와 같이 자판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키들이 왼손이 담당하는 좌편 자판부와 오른손이 담당하는 우편 자판부로 양분되어 대칭형태로 배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자판 상단 제1행에는 10개의 숫자키가 5개씩 양편으로 나뉘어 수평으로 배열되고, 제2~4행에는 다수개의 일반문자키와 기호키가 양편으로 나뉘어 배열되고, 제5~6행에는 다수개의 기능키가 양편으로 나뉘어 배열되되, 그 좌편에는 F1~F12키 12개가 3행 4열 형식으로 배열되고, 그 우편에는 방향성을 나타내는 8개의 기능(4방향, Page-Up/Down, Home/End)키가 2행 4열 형식으로 배열되고, F1~F12키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키들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기능키가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정규로 구비된 키들로 이루어진 자판부의 좌측 제1열에는 다수개의 기능실행 단축키가 배열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자판세트 및 그에 1:1로 대응하는 화상자판부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다용도 자판세트는 5열 형식으로 이루어진 다용도 자판부를 중심으로, 그 좌/우편에는 외장 멀티탭의 플러그 꽂이 번호에 1:1로 대응되도록 하는 숫자가 위에서 아래로 표시되고, 다용도 자판부 하단에는 방향키 4개가 배열되며, 좌/우편 멀티탭 번호표시부의 좌/우측 하단부에는 제어키들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그 제어키부에는 자판의 형식조건에 따라 자판본체를 컨트롤하는 On/Off스위치, 지문인식 장치 및 트랙볼세트(트랙볼 +좌/우 클릭버튼 +스크롤 버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용도 자판세트는 일반자판부와 결합되어 복합기능 자판세트를 구성하고 있지만, 사용목적에 따라 양자가 별개로 동작되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다용도 자판세트만을 기계적으로 분리하여 독립된 기기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용도 자판세트에 내포된 전화기 자판형식을 분리하여 독립시키면 유선 전화기 자판부가 될 수도 있고, 다용도 자판부와 무선 송신부 기능을 묶어 분리시키면 리모컨으로 독립시킬 수 있다.
키들이 5열 격자형으로 배열된 다용도 자판부는 그 각각의 키가 ‘xy’(좌표값)형식으로 인식되도록 구성되며, 제 1열에 위치하는 키는 ‘1n’으로, 제 2열에 위치하는 키는 ‘2n’으로, 제 3열에 위치하는 키는 ‘3n’으로, 제 4열에 위치하는 키는 ‘4n’으로, 제 5열에 위치하는 키는 ‘5n’으로 정의가 가능하다. 즉, 다용도 자판부에 배치된 각각의 키는 제 1행부터 [11]키, [21]키, [31]키, [41]키, [51]키로 정의되고, 제 2행은 [12]키, [22]키, [32]키,…와 같은 식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다용도 자판부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키마다 정의된 [xy]좌표식 숫자값은 다용도 자판부의 가로 5열(x값에 해당)과 자판부의 좌/우편에 2줄로 표시된 숫자(y값에 해당)를 좌표식으로 조합하여 쉽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숫자값으로 표시된 [xy]를 자판부에 인쇄하지 않더라도 별문제는 없을 것이다.
다용도 자판세트에 포함된 멀티탭 번호표시부는 5열로 된 다용도 자판의 좌/우편에 세로로 설치되며, 외장형식의 멀티탭과 회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자판본체 중앙에 위치한 다용도 자판부와 좌/우편 일반자판부 사이에 플러그 꽂이 갯수만큼 숫자가 인쇄된다. 여기서 숫자가 인쇄되는 부분만을 투명하게 하여 그 투명한 면으로 빛이 새어 나오도록 한다면, 표면에 인쇄된 숫자를 더욱 쉽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복합기능 자판세트 중에서 화면이 구비되지 않는 형식과, 화면의 크기가 작아 스위치 On/Off가 체크되는 상황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여의치 않는 경우에는, 외장형 멀티탭의 전원스위치 체크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없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숫자가 인쇄되는 면을 투명하게 하여 빛이 바깥으로 새어나오게 한다면 숫자가 뚜렷하게 보이게 될 것이다. 그렇게 하면 외장형 멀티탭에서 현재 전원스위치가 켜진 기기의 번호에 대응하는 부분만 표시등이 켜진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세트에 내포된 바탕모드의 키 배치도이다.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다용도 자판부에는 숫자 10개(1~9, 0)가 3행 4열 형식을 취하면서 좌에서 우로 가로 방향으로 인식되도록 배열된다. 숫자 부분을 3행 4열 형식으로 배열하는 방법은, 종래 일반자판의 숫자키패드에서 숫자가 4행 3열 형식으로 배열되는 것과는 다른,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숫자키 배열구조가 된다.
바탕모드에는 다용도 자판에 다층적으로 내포된 숫자키패드, 전자계산기, 전화기자판, 리모컨자판 중에서, 그 중요도나 비중 면에서 월등히 앞서는 전화기 기능에 쓰이는 명칭을 최우선으로 인쇄하되, 제 5~7행에는 숫자키 10개를 배열하고, 숫자키의 상부에는 *, #키 및 문자입력에서 쓰이는 기능을 배정하며, 숫자키 그룹의 상부에는 전화기 기능 명칭을 배정한다. 다용도 자판부 하단에는 다중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모드)키와 전력관리키, 리모컨(IPTV)키, 전자인증 모드키 등이 배정된다.
다용도 자판세트를 구성하고 있는 4가지 요소, 즉 숫자표시부(제5~7행)와 기능키부(제2~4행), 방향키부, 그리고 다용도 자판의 좌/우측에 배치된 제어키부는, 모드변환이라는 조건에 따라 하나의 키가 다중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하나의 키가 그처럼 다중적인 기능을 수행하려면 기능의 명칭이 각각의 키에 다층식으로 인쇄되어야 하지만, 키 면적의 공간적인 제약 때문에 사실상 여러 기능의 명칭을 하나의 키에 모두 인쇄할 수가 없다. 따라서, 그러한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용도 자판부에 내포된 숫자키패드, 전자계산기, 전화기자판, 리모컨자판에서 공통되는 부분(예: 숫자 10개)을 최우선적으로 인쇄하여 배치함으로써 인쇄 공간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다용도 자판에 내포된 각각의 기기를 그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정하여 기능의 명칭을 인쇄하게 되는데, 중요도가 높은 기기의 기능 명칭은 키 면의 상단부에, 그 다음으로 중요한 기기의 명칭은 하단부에, 그 중 가장 중요도가 낮은 기기의 기능 명칭은 키캡 하단 경사면에 인쇄하게 되면, 각 기기의 기능 명칭을 인쇄하는데 있어 제한된 키의 면적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전화기는 다른 기기들(숫자키패드, 전자계산기, 리모컨)에 비해 그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사용빈도 면에서도 다른 기기들보다 월등히 앞서므로 키의 가장 상단에 인쇄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키의 하단에는 전화기 다음으로 중요도나 사용도가 높은 전자계산기 기능이 인쇄되어야 하고, 그리고 PC용 숫자키패드 기능은 그 중에서 중요도가 가장 낮으므로 최하단, 즉 키캡의 하단 경사면에 인쇄하는 것이 좋다.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전화기 자판부에는 통화, 재발신, 스피커폰 등과 같이 음성통화와 직접 관련된 기본적인 기능키와, 문자관리, 전화번호부, 다자통화와 같은 부가적인 기능키가 배정된다. 그리고, 전화기 자판부의 하단 2줄에는 다수개의 단축키, 인터넷 전화메뉴, 전자인증, 모든 메뉴, 전력관리, 창재움 등과 같은 기능이 배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세트에 내포된 숫자키패드의 키 배치도이다. 키캡의 최하단 경사면에 인쇄되는 PC용 숫자키패드 요소들은 숫자가 제5~7행에 가로로 인식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그 숫자 배열부의 좌편에는 연산기호(+,-,*,/) 및 숫자 입력과 관련된 기호들이 배정된다.
도 9a~b는 다용도 자판세트에 내포된 IPTV리모컨의 기능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 보인 바와 같이, 다용도 자판세트에 내포된 IPTV리모컨 기능키부는 제 8~9행의 키에 IPTV리모컨 기능제어에 필요한 4방향키와 ‘이전’(취소)키, 검색키, 종료키, 메뉴키, OK키, 내채널키 등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멀티미디어 제어키부는 도 9b에 보인 바와 같이, 좌편 자판부와 우편 자판부로 양분되어 구성된 일반자판부 바로 밑에 설치되며, 멀티미디어 제어키부에는 음량 조절(+, -)키 2개와 음소거 키, 재생시작/일시정지 키와 앞으로/뒤로키, 채널 넘김키(↑, ↓) 2개, 그외 IPTV 리모컨 기능실행에 필요한 다수개의 키가 배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부에 내포된 전자계산기 자판의 키 배치도이다.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전자계산기 자판부는 다용도 자판부에 내포된 형태로 실행될 때 PC용 숫자키패드와 공유되거나 그 쓰이는 기호의 성격이 유사한 부분이 많아, 전자계산기 자판과 PC용 숫자키패드 둘 중 어느 한 쪽의 기호를 주로 표기하고 나머지 한 쪽을 보조적으로 표시하거나 공통부분을 생략하게 되면, 공간적인 제약도 해결될 뿐만아니라 키의 위치를 2중으로 암기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내포된 다용도 자판부에서 제5~7행에 배정된 숫자 10개와, 연산기호 및 점(.)이 전자계산기 자판에 키의 위치가 1:1로 대응되어 배정된다. 이렇게 되면, 일반자판에 함께 구성되는 숫자키패드와 전자계산기 자판이 숫자입력과 관련된 기본적인 요소들을 공유하게 되고, 그렇게 양자가 기본적인 요소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전자계산에만 필요한 요소들, 예컨데 =, %, AC, M-, M+, MU, GT와 같은 키들만 제자리를 찾아 배정하면 된다.
전화선 접속포트, LAN선 접속포트, 멀티탭 연결포트, USB포트와 같은 접속(연결)포트들과 무선 송신부, 그리고 헤드폰 연결구, 마이크 연결구 등은 자판 본체의 좌/우측 및 상부에 설치된다.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판 본체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거나 케이블로 외장 모니터와 연결되고, 화상 통화용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된다.
복합기능 자판세트의 구성요소로서 포함되어 있는 전화기는 먼저 외장형식과 자판 본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내장형식으로 구분되고, 다시 외장형식은 유선형식과 무선형식으로 구분되어 설치된다.
도 16은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포함된 대형/소형 멀티탭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 보인 바와 같이, 멀티탭은 플러그 꽂이가 8개인 8구형을 기본형으로 잡은 뒤, 플러그 꽂이 수가 모자랄 경우 4구형을 8구형에 연결하여 전체 소켓 수를 확장할 수 있다. 플러그를 꽂는 각각의 소켓에는 전원 On/Off 스위치가 설치되고, 그 각각의 스위치에는 번호가 매겨져 멀티탭의 표면에 인쇄된다.
올인원(all-in-one) 형식으로 이루어진 확장형 자판세트에서는 전화기 수납부가 자판 상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설치되므로, 외장형식으로 된 전화기는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자판 본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전화기 수납부는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할 때 확장부의 좌편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수형 자판세트의 제2 확장부에 설치되는 IC카드 삽입홈과 신용카드 체크홈은 자판본체 우측에 나란히 설치되되, 2가지 모두 자판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꽂거나 그을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설치된다. IC카드 삽입홈은 위에서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카드를 꽂을 수 있도록 설치되고, 신용카드 체크홈은 자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그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상에서는 복합기능 자판세트의 구성형식에 따른 구분과 그 각각의 구성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고, 다음은 복합기능 자판세트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요소들이 어떻게 기능하는지 그 실시되는 과정 및 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1. 일반자판부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본 발명의 복합기능 자판세트는 컴퓨터 자판을 기본 기능으로 하여 여러 가지 전기/전자기기의 기능을 결합한 것이므로, 컴퓨터 본체의 전원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는 컴퓨터 자판과 다용도 자판부 모두 기능이 실행되지만, 컴퓨터 본체의 전원스위치를 끄게 되면, 다용도 자판부에서만 기능이 실행된다. 그러므로, 컴퓨터 본체의 전원스위치가 켜져있는 상태에서는 자판에서 한글, 영문자,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2. 일반자판 상황에서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
일반자판부에서 문자를 입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좌편 일반자판부의 왼손 엄지손가락 운지범위 안에 배치된 ‘Num Lock’키를 누를 경우, 다용도 자판부는 일반자판에 통상적으로 구비된 숫자키패드와 동일한 기능을 하게 되어 그 상태에서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은 컴퓨터 본체 전원스위치의 On/Off에 관계없이, 다용도 자판부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3. 다용도 자판부에서 IPTV 리모컨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세트에 내포된 IPTV리모컨의 기능키 배치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IPTV리모컨 기능키 중, 멀티미디어 제어키의 배치도이다. 도 7 및 도 9a, 9b를 참조하여 다용도 자판부에서 IPTV리모컨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다용도 자판부의 바탕모드에 배정된 [38](리모컨/IPTV)키를 2회 연속 누르면 IPTV리모컨 모드로 변환된다. 음량 조절(+, -)과 음소거, 재생시작/일시정지와 앞으로/뒤로, 채널 넘김(↑, ↓) 등과 같은 기능들은 멀티미디어 제어키부에서 바로 실행하고, 검색, 종료, 메뉴, OK, 내채널, 4방향 조작 및 ‘이전으로(취소)’는 제 8~9행에 배정된 키를 눌러 실행한다.
4. 다용도 자판부에서 전자계산기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부에 내포된 전자계산기 자판의 키 배치도이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여 다용도 자판부에서 전자계산기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다용도 자판부의 바탕모드 상태에서 [14](계산기)키를 누르면 1타수에 전자계산기 모드로 변환된다. 다용도 자판부에서 계산이 끝난 뒤 다용도 자판부에 결합된 화면에 결과값이 나온 상태에서 [38](>>PC)키를 누르면 계산결과가 원터치로 PC의 편집창으로 전송되어 커서 위치에 입력된다. 이 기능은 계산기에서 계산된 값을 원터치에 PC의 편집창으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계산작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5. 다용도 자판부에서 전화를 거는 방법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세트에 내포된 바탕모드의 키 배치도이다.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전화기와 관련된 기능은 다용도 자판부의 2행~4행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들 전화기능들은 바탕모드 상태에서 모두 1타수에 실행된다. 다용도 자판부의 바탕모드는 애초에 전화걸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어, 바탕모드에서 다용도 자판부상의 숫자키를 누르면 화면에 전화번호가 바로 입력되고, 전화번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24](통화)키를 누르면 신호가 발신된다.
도 11은 초성으로 이름을 찾아 전화걸기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자판부의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여 다용도 자판부에서 초성으로 이름을 찾아 전화걸기를 실시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용도 자판부의 바탕모드에 배정된 [14](이름 초성식)키를 누르면, 도 11에 보인 화상자판부가 나타나는데, 그 화상자판부상의 키와 다용도 자판부의 키는 1:1로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화상자판부에 표시된 초성 문자판을 보면서 초성 위치에 대응하는 키를 누르면, 화면 좌측에 번호가 매겨진 후보목록이 상하로 나열된다. 상하로 나열된 후보목록에 대응하는 다용도 자판부의 좌측 제1열 8개의 키 가운데 어느 하나를 누르면 신호가 발신된다.
예를 들어, 다용도 자판부에서 [56](ㅎ)키를 누르면 ‘ㅎ’으로 시작되는 이름이 가나다 순으로 나열되기 시작하고, 이어 [25](ㄱ)키-[27](ㅅ)키를 연속 누르면 초성 나열형 ㅎ-ㄱ-ㅅ에 대응하는 이름인 ‘홍길수’라는 후보목록이 화면 상단에 표출될 것이다. ‘홍길수’라는 이름이 화상자판부의 [15]키 위치에 놓여 있다고 간주하고 다용도 자판부의 [15]키를 누르면 신호가 발신된다.
영문자만으로 된 이름(예: Tom, Judy)이나 GS25(편의점 이름), YES24(인터넷 서점 이름)와 같이 영문자와 숫자가 결합된 이름인 경우에도 그 방법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GS25’라는 이름을 초성식으로 찾으려면, ‘G’가 배정되어 있는 [42]키, ‘S’가 배정되어 있는 [24]키, 숫자 10개와 ‘&’기호가 배정되어 있는 [33](123&)키를 2회 연속 누른다.
6. 상단 확장부에서 키폰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도 12a는 확장부에 설치된 중형 키폰자판부의 키 배치도 및 그에 1:1로 대응하는 화상자판부의 구성도이고, 도 12b는 단일 판형으로 된 키폰자판부의 키 배치도 및 그에 1:1로 대응하는 화상자판부의 구성도이다. 도 3b, 3c 및 도 12a, 12b를 참조하여 확장형 자판에서 키폰자판부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b에 보인 바와 같이, 확장형 자판 중 어느 하나는 자판본체 상단부의 1/2에 해당하는 공간에 키폰자판부가 설치되고, 도 3c에 보인 바와 같이, 확장형 자판 중 어느 하나는 자판본체 상단부 전체 공간에 키폰자판부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두가지 형식에서 기능적인 차이는 없고, 내선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수용능력에 대한 차이만 있다.
자판 본체 상단부에 위치하는 키폰자판부에는 좌에서 우로 나아가는 순서로 숫자가 인쇄되되, 숫자가 표시되는 형식은 좌표식으로 구성된다. 즉, x값은 ‘0’부터 시작되는 0, 1, 2, 3, …이 되고, y값은 ‘1’부터 시작되는 1, 2, 3, …과 같이 된다. 이와 같이 키폰자판부 각각의 키에 매겨진 숫자는 화면에 1:1로 대응하도록 화상 키폰자판부가 구성되어, 자판 본체 상단부의 키폰자판부와 화면의 화상자판부는 연동관계를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키폰자판부의 ‘44’키를 누르면, 화상자판부의 ‘44’키 위치에 배정된 항목과 대응하고, 키폰자판부의 ‘82’키를 누르면, 화상자판부의 ‘82’키 위치에 배정된 항목과 대응한다.
상기와 같은 ‘xy’ 키배열 구조로 이루어진 키폰자판부에서는 내선번호를 ‘xy’개만큼만 대응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화상자판부의 유연성을 이용하게 되면, 도 13a에 보인 바와 같이, 수용 가능한 내선번호의 갯수를 ‘nxy’(n= 1~9)개만큼 확장할 수 있다. 확장된 내선번호부의 페이지 수는 ‘n’(n= 1~9)개가 될 것이므로, 이를 9분면으로 구성한 뒤 5분면을 기준으로 방향키를 상하좌우로 조작하게 되면 1타수에 각 분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동된 그 분면에서 목적하는 내선번호를 바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b에 보인 대형 키폰자판부를 화상에서 9분면으로 확장할 경우, 내선번호를 수 백개라도 수용할 수 있으며, 거기에다 어느 한 내선번호를 2타수만에 선택할 수 있으므로, 내선번호를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키폰방식이 된다.
도 13b는 다용도 자판부에 대응하는 키폰 내선번호의 화상 구성도이고, 도 13c는 키폰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내선 인명부의 화상 구성도이다. 도 13b, 13c를 참조하여 내선번호를 등록하는 방법과 내선 인명부의 구성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b에 보인 바와 같이, 내선번호는 화상자판부에 2줄로 구성되고, 그 2줄은 다용도 자판부의 제 1열과 5열에 대응한다. 다용도 자판부에서 내선번호에 대응하는 키를 누르면 ‘이름’란이 문자 편집상태가 되고, 문자 편집상태에서 넣고자 하는 이름을 기입한다. 도 13c는 내선번호에 이름이 모두 기입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데, 내선인명부에 어떤 변동사항이 생길 경우에는 내선번호는 그대로 두고 그 내선번호에 배정된 이름만 고쳐주면 된다.
7. 다용도 자판부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다용도 자판부의 제 5~7행에는 문자입력에 필요한 자판이 구성되어 있는데, 도 7을 참조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용도 자판부의 바탕모드 상태에서 [13]키를 누르면 문자관리 모드로 전환되고, 문자관리 모드 안의 문자쓰기 항목을 누르면 문자 편집창이 나타나며, 편집창에 한글, 영문자, 특수문자,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n~nnnn 부분은 동일 키를 연타하는 다중타 규칙으로 입력되고, 5n~555n 부분은 5번키가 선행 결합되는 규칙으로 입력되고, 0n~00n 부분은 0번키가 선행 결합되는 규칙으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완타”라는 문구를 입력한다면, 8번키를 1회 누르면 ‘ㅇ’이 입력되고, 3번키를 3회 연타하면 ‘ㅘ’가 입력되고, 2번키를 1회 누르면 ‘ㄴ’이 입력된다. 0번키를 누르고 나서 2번키를 누르면 ‘ㅌ’이 입력되고, 3번키를 누르면 ‘ㅏ’가 입력된다.
Figure pat00002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5n~55n 부분은 5번키가 선행 결합되는 규칙으로 입력되고, 0n~00n 부분은 0번키가 선행 결합되는 규칙으로 입력되는데, 제1 순위에 배치된 문자(a,d,g,j,m,p,t,w)는 해당 키가 단독으로 1회 눌리면 입력되고, 제2 순위에 배치된 문자(b,e,h,k,n,q,u,x)는 5번키가 1회, 해당 키가 1회 눌리면 입력되고, 제3 순위에 배치된 문자(c,f,i,l,o,r,v,y)는 5번키가 2회, 해당 키가 1회 눌리면 입력되거나 0번키가 1회, 해당 키가 1회 눌리면 입력되고, 제4 순위에 배치된 문자(s,z)는 0번키가 1회, 해당 키가 1회 눌리면 입력된다.
예를 들어, “yes”라는 단어를 입력한다면, 5번키가 2회, 9번키가 1회 눌리면 ‘y’가 입력되고, 5번키가 1회, 2번키가 1회 눌리면 ‘e’가 입력되고, 0번키가 1회, 7번키가 1회 눌리면 ‘s’가 입력된다.
다용도 자판부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정규 규칙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자판에서는 다용도 자판부와 일반자판을 문자입력 수단으로서 함께 이용할 수 있다. 현재모드인 다용도 자판 상태에서 일반자판으로 모드 스위치를 변환하여 일반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한 다음, 문자입력이 끝나면 다시 다용도 자판모드로 환원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다용도 자판부와 일반자판을 문자입력 수단으로 함께 이용하는 편리성은 본 발명의 특장이 된다.
8. 다용도 자판부에서 인터넷전화 메뉴를 실행하는 방법
도 14는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인터넷전화 메뉴판의 화상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14를 참조하여 다용도 자판부에서 인터넷 전화메뉴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용도 자판부의 바탕모드 상태에서 [18](전화메뉴)키를 누르면 도 14에 보인 인터넷 전화 메뉴판이 나타나고, 다용도 자판부에 인터넷 전화 메뉴판의 각 항목을 1:1로 대응시키게 되면 목적하는 항목이 선택되거나 실행된다.
예를 들어, 날씨를 알아보고자 한다면, 다용도 자판부의 바탕모드 상태에서 [18](전화메뉴)키를 눌러 인터넷 전화 메뉴판을 띄운 뒤, [18](날씨)키 위치에 대응하는 다용도 자판부상의 키를 누르면, 2타수만에 날씨 정보를 바로 볼 수 있다.
홈ATM의 경우를 보면, 홈ATM이라는 인터넷 전화메뉴의 대분류 밑에 도 14에 보인 바와 같이, 잔액조회, 계좌이체, 현금서비스, 상품결제, 거래조회, 지로납부, 하이패스와 같은 중간 분류가 있고, 그 중간 분류 밑에 다시 최하위 분류가 있는데, 메뉴의 분류 단수가 얼마가 되었든지 다용도 자판부와 화상의 메뉴 배치도를 1:1로 대응시켜 순차로 누르면 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를 통해 ‘계좌이체’를 하고자 한다면, 다용도 자판부의 바탕모드 상태에서 [18](전화메뉴)키를 눌러 인터넷 전화 메뉴판을 띄운 뒤, [52](계좌이체)키 위치에 대응하는 다용도 자판부상의 키를 누르면, 보안인증 단계로 넘어가는데, 여기서 자판본체 상단부에 설치된 카드 삽입홈에 보안카드를 삽입한다. 보안카드를 삽입한 뒤 계좌이체의 최하위 메뉴까지 실행규칙에 따라 수행해 나가면 된다.
9. 다용도 자판을 이용한 전력 사용량 절감방법
전기/전자기기를 사용하면서 전력 사용량을 절감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하나는 전기를 쓰지 않는 시간에 전원스위치 자체를 완전히 끄는, 즉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아 놓은 것과 동일한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기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가 전력 소비량의 단수를 최적으로 조절하여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줄이거나, 전기/전자기기에 부착된 감지센서가 자동으로 밝기(세기)의 단수를 최적으로 조절하도록 하여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2가지 전력 사용량 절감 방법 중, 전기를 쓰지 않는 시간에 전원스위치 자체를 끄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뽑아 바로 전원스위치를 끄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원스위치가 꺼지는 시간을 사용자가 예약하여 설정하는 것이다. 전기를 쓰지 않는 시간에 전원스위치를 끄는 방법 중, 전원스위치를 바로 끄는 방법에는 다시 2가지가 있는데, 기기들의 스위치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끄는 방법과 여러 기기들의 스위치를 하나로 묶어 한꺼번에 끄는 방법이 있다.
또, 사용자가 스위치가 꺼지는 시간을 예약하여 설정하는 방법에도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예약된 시간에 스위치가 꺼지도록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매일 정해진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스위치가 켜지고 꺼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절전방법에 의하면, 대기전력(standby power)을 없애고 낭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여기서 대기전력이란 전기/전자기기의 스위치를 끈 상태에서도 기기 자체에서 조금씩 소모되어 사라지는 전력을 말하고, 낭비전략이란 전기/전자기기를 쓰고 있는 동안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말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자판세트를 이용해 위에 제시한 2가지 절전방법, 즉 전기를 쓰지 않는 시간에 전원스위치를 끄도록하여 대기전력을 없애는 방법과, 전기를 쓰고 있는 동안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세트와 외장 멀티탭의 대응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 보인 바와 같이, 다용도 자판세트와 외장 멀티탭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접선상태가 되며, 다용도 자판부의 좌/우측 번호표시부에 배정된 각각의 번호는 외장 멀티탭에 표시된 플러그 꽂이번호와 1:1로 대응한다. 즉, 다용도 자판세트의 좌측 번호와 좌편에 위치한 멀티탭의 번호가 1:1로 대응하고, 다용도 자판세트의 우측 번호와 우편에 위치한 멀티탭의 번호가 1:1로 대응한다. 예를 들어, 다용도 자판세트의 우측 ‘6’번은 우편 멀티탭의 ‘6’번(프린터)과 대응하고, 다용도 자판세트의 좌측 ‘8’번은 좌편 멀티탭의 ‘8’번(전기히터)과 대응한다.
다용도 자판세트와 외장 멀티탭을 1:1로 대응시켜 다용도 자판부에서 멀티탭의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절전방법에서는 기본적으로 8구형 멀티탭 2개를 연결하여 모두 16개의 기기를 꽂아 쓸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도 16에 보인 것처럼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따라 4구형(소형) 멀티탭을 8구형(대형) 멀티탭의 어느 한 꽂이에 꽂아 연결하게 되면, 플러그 꽂이를 16개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다. 8구형 멀티탭의 어느 한 플러그 꽂이에 4구형(소형) 멀티탭을 꽂아 연결할 경우, 8구형 멀티탭의 스위치 하나에 4구형 멀티탭이 대응하게 되는데, 스위치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기기들을 4구형 멀티탭에 꽂아 쓰게 되면, 8구형 멀티탭에 구비된 스위치 하나만을 제어하여 4구형 멀티탭에 연결된 스위치 4개를 모두 켜고 끌 수 있어 여러 개의 스위치를 각각 켜고 끄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스위치를 켜고 끄는 시간이 동일한 기기로 분류할 수 있는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개인 전등을 8구형에 연결된 4구형 멀티탭에 꽂아 쓰게 되면, 그 기기들의 스위치를 하나씩 켜고 끌 때보다 시간이 절약되는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것을 실시할 때마다 똑같은 동작을 반복해야하는 번거로움도 없어지게 된다.
도 17a~k는 다용도 자판세트와 멀티탭을 연결하여 전력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a는 다용도 자판부에 내포된 1타수 제어키 및 그 하부 2타수 제어키의 화상 배치도로서, 좌편 도면의 전력관리(28), 일괄On/Off(29), 리모컨/IPTV(38)은 1타수에 실행되는 키이고, 우편 도면의 On/Off, 시간설정, 공용기기관리, 일괄On/Off설정, 공용기기등록, 기기명칭등록, 기기별 전력소비량, 개인별 전력소비량, 전체 전력소비량이 표시된 키는 1타수에 실행되는 모드나 기능의 하부 연계기능으로서 2타수에 실행된다.
예를 들어, [28](전력관리)키를 누르고 나서 [16]키를 누르면, 다용도 자판부상의 [16]키에 대응하는 좌편 멀티탭 6번에 배정된 기기의 스위치가 On/Off되어 2타수에 최종 기능이 실행되고, [29](일괄On/Off)키를 누르면 1타수에 해당 기능이 바로 실행된다. 여기서, 1타수 제어키인 [28]키와 2타수 제어키인 [16]키는 반드시 선/후 관계로 실시된다.
전기/전자기기의 전원스위치를 외부에서 제어하려면, 반드시 제어할 대상 기기의 명칭이 정의돼 있어야 한다. 기기의 명칭을 정의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공급자가 제공하는 기기명칭 선택창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기기를 선택해서 등록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가 임의로 기기의 명칭을 정하여 기입하는 방법이 있다. 사용자가 편집창에 임의의 명칭을 기입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여기서는 기기의 명칭이 배열된 창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기기의 명칭을 선택하여 등록하는 방법에 관해서만 도 17a~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기/전자기기의 명칭은 공급자가 격자식으로 배열된 목록형식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그 목록들 가운데 목적하는 기기의 명칭을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가 찾는 기기의 명칭이 제 1쪽에 없을 경우에는 방향키로 기기명칭 선택창을 제 2쪽으로 넘겨 그 곳에서 선택한다.
[28](전력관리)키를 누른 뒤, [34]키(기기 명칭 등록키)를 누르면(도 17a 참조), 도 17b에 보인 바와 같은 기기명칭 선택창이 나타나고, 그 기기명칭 선택창에 배열된 어느 한 기기의 명칭을 선택하면, 그 명칭이 화면상의 어느 한 위치에 등록된다.
예를 들어, [54]키 위치에 개인전등(스탠드)을 등록하고자 한다면, 먼저 다용도 자판부상의 [54]키를 누르고 나서 개인전등이 배치되어 있는 [47]키를 누르면 [54]키 위치에 개인전등이 등록된다. [54]키 위치에 개인전등이라는 기기의 명칭이 등록된 뒤, [38]키를 누르면 등록이 완료됨과 동시에 기기명칭 선택창이 닫히면서 바탕화면으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기별로 하나씩 배치할 위치를 잡아나가면,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기기의 명칭이 도 17c에 보인 바와 같은 형태로 모두 등록된다.
상기와 같이 기기의 명칭이 모두 등록되고 나면, 그 가운데 해당 단위(랜 세그먼트) 안에 있는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쓸 기기를 지정해서 공동관리 형태로 등록할 수 있다. 기기를 공동관리 형태로 등록해 놓으면 해당 단위 안의 구성원이면 누구라도 해당 공용기기를 필요할 때마다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애초에 개인관리 형태로 등록되어 있던 기기를 공동관리 형태로 전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28](전력관리)키를 누르고 나서 [35](공용기기 등록)키를 누르면(도 17a 참조), 기기의 명칭이 모두 등록되어 있는 현재 상태창이 나타난다(도 17c 참조). 현재 상태창에서 공동관리 기기로 등록할 기기(예: 팩시밀리)가 배정된 [11]키를 누르고 나서 [38](설정완료)키를 누르면 공동관리 기기로서 등록이 완료된다. 여기서 공동관리 기기로 등록된 기기의 명칭에는 개별관리 기기와 다른 표시를 해둘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공동관리 기기의 시각적인 판별성이 높아져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
어떤 기기(예: 복합기)를 공동관리 기기로 등록했다가 도중에 사용환경이 바뀌어 공동관리 기기에서 해제하고자 한다면, [35](공용기기 등록)키를 2회 연속 누른 뒤, 공용기기에서 해제하고자 하는 기기가 배정된 키(52)를 누른다. 그리고 나서 [38]키를 누르면 해당 기기가 공용기기에서 해제되어 개별기기로 환원됨과 동시에 기기명칭 선택창이 닫히면서 바탕화면으로 되돌아온다.
사용 환경에 따라 스위치를 켜고 끄는 시간이 동일한 기기들이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본체는 항상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와 같은 주변기기들과 연결되어 있고, 그렇게 연결된 상태에서 그 기기들은 스위치를 켜고 끄는 시간이 동일한 조건을 갖게 된다. 즉,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와 같은 주변기기들은 컴퓨터 본체가 켜져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주변기기들이 단독적으로 어떤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한 컴퓨터 주변기기들은 스위치를 켜고 끄는 시간에 있어서 동시성이라는 조건을 갖고 있으므로, 여러 기기의 스위치를 어느 한 키에 모아 한꺼번에 켜고 끄도록 할 수 있다. 여러 기기의 스위치를 다용도 자판부의 어느 한 키에 모아 켜고 끌 수 있도록 기기들을 어느 한 키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7a, 1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용도 자판부의 [28](전력관리)키를 누른 뒤, [37](일괄On/Off 설정)키를 누르면(도 17a 참조),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 배치도가 나타나고, 그 화상 배치도에 배치된 기기들 가운데 스위치를 한꺼번에 묶어 켜고 끌 기기들을 모두 선택한 뒤, 다시 [38]키 누르면 일괄On/Off 기기로 모두 등록된다.
예를 들어,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개인전등(스탠드)의 스위치를 다용도 자판부 상의 어느 한 키에 묶어 제어하고자 할 경우, 먼저 다용도 자판부상의 [28](전력관리)키를 누른 뒤, [37](일괄On/Off 설정)키를 누르면 개별 기기들의 화상 배치도가 나타나고, 그 화상 배치도의 [57]키(모니터), [56]키(프린터), [55]키(스피커), [54]키(개인전등) 위치에 배정되어 있는 기기들을 다용도 자판부상에서 차례로 눌러 선택하고 나서, 다시 [28](전력관리)키를 누르면 일괄On/Off 기기로 등록됨과 동시에 화상 배치도 창이 닫히면서 바탕화면으로 되돌아온다.
여기서, 컴퓨터 본체의 스위치를 켤 때는 상기 일괄On/Off에 속해있는 기기들의 스위치도 함께 켜(꺼)지도록 하고, 컴퓨터 본체까지 포함된 일괄On/Off 상황일 때는 컴퓨터 본체 하나만 재움모드(sleep mode)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스캐너나 복합기도 컴퓨터 주변기기에 포함되지만, 이들 기기들이 다른 주변기기들보다 사용빈도가 낮다고 판단되면, 일괄On/Off 기기로 등록하지 말고 필요할 때만 스위치를 켜서 쓰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9-1. 전기를 쓰지 않는 시간에 전원스위치를 차단하는 방법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전력을 관리할 개별 대상기기의 명칭이 등록되었고, 그 개별 대상 기기들 가운데 공동으로 관리할 기기의 명칭도 모두 등록되었다. 다음은 다용도 자판부에 그 관리대상 기기를 1:1로 대응시켜 대상기기의 스위치를 켜고 끄는 방법에 관하여 도 17a, 17c, 17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a는 다용도 자판부에 내포된 1타수 제어키 및 그 하부 2타수 제어키의 화상 배치도이다. 도 17a의 좌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용도 자판부에 내포된 키 중, 전력관리에 관여하는 키는 [28](전력관리)키, [29](일괄On/Off)키, [38](리모컨/IPTV)키이며, 이들 키들은 바탕모드 상태에서 미리 정의된 기능이 1타수에 실행된다.
2타수 제어키는 도 17a의 우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행 제어키에 해당하는 [28](전력관리)키를 누른 뒤, 그 후속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다시 다용도 자판부의 어느 한 키를 누르는 것이다. 2타수 제어키 중, 스위치 On/Off 기능은 다용도 자판부의 제 1열과 5열에 배정되고, 스위치 켜기/끄기 예약시간 설정 기능은 제 2열과 4열에 배정되며, 그외 전력관리와 관련된 기능들은 제 3열에 배정된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자판부상의 [38](전력관리)키를 누르면, 도 17c에 보인 화상 배치도가 나타나고, 그 화상 배치도 안에 사용자가 목적하는 기기의 명칭이 있을 경우, 그 기기가 배정된 키 위치를 다용도 자판부상에 대응시켜 누르면 해당 기기의 전원이 On/Off된다.
예를 들어, 도 17c의 화상 배치도에서 [17](가습기)키에 배정된 기기의 스위치를 On/Off하고자 할 경우, [28](전력관리)키를 눌러 화상 배치도를 띄운 다음, 화상에 배정된 [17]키에 1:1로 대응하는 다용도 자판부상의 키를 누르면, 가습기의 스위치가 On/Off된다. 여기서 [17]키를 눌렀을 때 현재의 스위치 상태가 On으로 되어있으면 Off로 바뀌고, 반대로 Off로 되어 있으면 On으로 바뀌게 된다. 즉, 현재의 스위치 상태에서 다용도 자판부상의 제 1열과 5열에 배치된 어느 한 키를 눌렀을 경우, On은 Off로 바뀌고, Off는 On으로 바뀌는 것이다.
도 17d는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공용기기 목록의 화상 배치도이다. 도 17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에서 공용기기로 등록된 기기들이 한 화면에 정렬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데, 공용기기의 스위치를 관리하는 방법은 개별기기의 스위치를 관리하는 과정이나 방법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12](선풍기)키 위치에 배정된 선풍기를 켜(끄)고자 할 경우, [28](전력관리)키를 2회 연속 눌러 도 17d에 보인 공용기기 관리창을 띄운 다음, 화상에 배정된 [12]키에 1:1로 대응하는 다용도 자판부상의 키를 누르면, 선풍기의 스위치가 On/Off된다.
여러 기기의 스위치를 다용도 자판부상의 어느 한 키에 묶어 대응시킨 뒤, 스위치를 한꺼번에 켜고 끄는 방법에 관하여 도 17a, 1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용도 자판부의 바탕모드 상태에서 [29](일괄On/Off)키를 누르면, 미리 선택해 정의해 놓은여러 기기의 스위치가 한꺼번에 켜(꺼)지는데, 여러 기기의 스위치가 한꺼번에 켜(꺼)진 그 상태에서 다시 한꺼번에 꺼(켜)지게 하려면 다시 [29](일괄On/Off)키를 누른다. 즉, 스위치 일괄On/Off는 바탕모드 상태에서 1타수에 바로 켜(꺼)지고, 그 반대로 하려면 다시 그(29) 키를 누르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7c의 화상 배치도에 표시된 모니터(57키), 프린터(56키), 스피커(55키), 개인전등(54키)의 스위치를 한꺼번에 켜(끄)고자 할 경우, 그 4가지 기기의 스위치를 일괄하여 하나의 키에 대응시켜 등록해 놓은 다용도 자판부상의 [29](일괄On/Off)키를 누른다.
스위치가 켜(꺼)지는 시간을 예약해서 설정해 놓으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스위치가 켜(꺼)지는 시간을 예약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1회에 한하여 임의의 시각을 예약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매일 정해진 시각에 반복해서 스위치가 켜지고 꺼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위치가 꺼진 상태에서 예약시간을 설정하면 스위치가 켜지는 시간을 예약하는 것이 되고, 반대로 스위치가 켜진 상태에서 예약시간을 설정하면 스위치가 꺼지는 시간을 예약하는 것이 된다. 즉, 현재 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라면 끄기 예약이 되는 것이고, 꺼져 있는 상태라면 켜기 예약이 되는 것이다.
도 17e는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스위치 켜기/끄기 예약설정 시간표의 화상 구성도이다. 도 17a, 17e를 참조하여 스위치 켜기/끄기 예약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용도 자판부에서 [28](전원관리)키를 누르면 전원관리판이 나타나고, 그 전원관리판에서 목적하는 기기의 명칭이 보이면 제 2열과 4열에 속해있는 어느 한 키를 누른다. 여기서 제 1열과 5열은 스위치 On/Off 제어키이고, 제 2열과 4열은 예약시간 설정키이다. 제 2열(좌측)과 4열(우측)의 어느 한 키를 누르면 화상에 예약설정 시간표(도 17e 참조)가 나타나고, 다용도 자판부에서 원하는 예약시간에 대응하는 키를 누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예약시간이 화상의 예약시간 설정란에 표시된다. 이어 [38]키를 누르면 예약시간 설정이 완료된다.
예를 들어, [18]키 위치에 배정된 전기히터의 스위치가 20분 후에 꺼지도록 예약시간을 설정하고자 할 경우, [28](전원관리)키를 눌러 화상 전원관리판(도 17c 참조)을 띄운 다음, 화상에 배정된 [28]키에 1:1로 대응하는 다용도 자판부상의 키를 누르면, 도 17e에 보인 예약설정 시간표가 나타나고, 그 시간표의 [17]키 위치에 배정된 예약시간(20분)을 다용도 자판부상에서 해당 키를 눌러 선택하면, 설정시간란에 20분이 표시된다. 이어 [38]키를 누르면 예약시간 설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화상 관리판이 닫히면서 바탕화면으로 되돌아온다.
도 17f는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정시반복 예약설정 시간표의 화상 구성도이다. 도 17a, 17f를 참조하여 매일 정해진 시각에 스위치가 켜지고 꺼지도록 예약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용도 자판부에서 [28](전원관리)키를 누르면 전원관리판이 나타나고, 그 전원관리판에서 목적하는 기기의 명칭이 보이면 제2열과 4열에 속해있는 어느 한 키를 눌러 화상에 예약설정 시간표(도 17e 참조)를 띄운 뒤, 다용도 자판부에서 화상에 배정된 ‘정시반복’에 대응하는 키를 누르면, 도 17f에 보인 정시반복 예약설정 시간표가 나타난다. 다용도 자판부에서 원하는 예약시간에 대응하는 키를 누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예약시간이 화상의 예약시간 설정란에 표시된다. 이어 [38]키를 누르면 예약시간 설정이 완료된다.
예를 들어, [13]키 위치에 배정된 환풍기가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작동되도록 설정하고자 할 경우, [28](전원관리)키를 눌러 화상 전원관리판을 띄운 다음, 화상에 배정된 [23]키에 1:1로 대응하는 다용도 자판부상의 키를 누르면, 도 17e에 보인 예약설정 시간표가 나타나고, 그 시간표의 [51]키 위치에 배정된 정시반복을 다용도 자판부상에서 해당 키를 눌러 선택하면, 정시반복 예약설정 시간표(도 17f 참조)가 나타난다. 다용도 자판부에서 그 시간표의 [11](08/22)키 위치에 대응하는 키를 누르면, 정시반복할 시작시간과 끝시간이 설정되고, 이어 [38]키를 누르면 켜기/끄기 예약시간이 설정됨과 동시에 바탕화면으로 되돌아온다.
9-2. 전기를 쓰고 있는 동안에 절약하는 방법
이상에서는 다용도 자판부를 이용하여 기기의 전원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 즉 전력을 쓰지 않는 시간에 전원스위치를 켜거나 끄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고, 다음은 전력을 쓰고 있는 동안 전기/전자기기의 밝기나 세기를 다용도 자판부를 통해 조절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무실이나 강의실같이 다중이 이용하는 공간의 조명시설은 수 십개의 전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수 십개의 전등을 다수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마다 대표 스위치를 설치하고, 대표 스위치 가운데 필요한 것만 선별적으로 제어할 경우, 낭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실내 조명등 60개가 10개씩 6줄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해본다면, 조명등 10개당 대표 스위치가 하나씩 설치되므로 대표 스위치는 모두 6개가 되고, 그 6개의 대표 스위치를 관리상의 필요에 따라 선별적으로 제어한다. 만약, 대표 스위치가 6개라고 한다면, 그 공간의 조도를 6단으로 조절할 수 있겠는데, 대표 스위치를 1개만 켜면 조명의 밝기가 가장 낮을 것이고, 6개를 모두 켜면 가장 밝은 상태가 될 것이다.
건물 밖이 밝아 자연광만으로도 실내 조도를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는 경우, 실내 조명등 중에서 바깥쪽 1~2줄(그룹)의 스위치를 끄더라도 실내에서 일을 보는데 별지장이 없을 것이다. 도 17g에 보인 바와 같이, 모두 켜기/끄기에 해당되는 [18]키 위치의 On/Off를 포함한 6개 그룹의 대표 스위치 가운데 필요한 그룹의 대표 스위만을 선별적으로 제어하게 되면, 건물 밖의 자연광을 최대한으로 활용한 상태가 되므로, 실내 조명에 필요한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에어컨이나 대형 선풍기(냉풍기)와 같은 기기들은 리모컨으로 온도나 풍속의 단수를 조절하는데, 일반적으로 그와 같이 리모컨으로 단수를 조절하는 기기들은 공동으로 사용하는 기기이거나, 그 기기들이 설치된 거리가 멀거나 두 경우 중 하나에 해당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리모컨으로 제어하는 그러한 기기들은 전력이 소모되는 단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돼 있어, 최적의 단수를 설정해주면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에어컨의 온도를 조절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도 17h에 보인 바와 같이,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온도 단수목록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온도의 단수를 다용도 자판의 어느 한 키를 눌러 선택할 수 있다. 단수나 선택항목의 가짓수가 좀더 많은 경우를 하나더 예로 들면, 예약시간 설정, 풍속(정지-미풍-약풍-강풍), 회전/정지와 같은 다수의 선택사항을 가진 선풍기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단수나 선택사항을 연속 키누름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다(도 17i 참조). 즉, 미풍(12키)-회전(18키)-예약시간 2시간(54키)과 같이 3가지 선택사항을 연속 동작으로 완료할 수 있다.
9-3. 소비/절전 전력량을 집계하는 방법
이상에서는 다용도 자판부에서 외장 멀티탭의 전원스위치를 제어하여 전력소비량을 줄이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고, 다음은 멀티탭의 각 소켓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별로, 그리고 그 멀티탭의 사용 주체인 개인별로, 더 나아가 건물 전체의 전력관리 차원에서 각 단위(층별)에서 소비된 전력량을 다용도 자판부를 통해 집계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7j는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기기별 전력소비량 집계표의 화상 구성도이다. 도 17j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멀티탭의 소켓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별로 각각 사용기간에 따른 전력소비량을 집계할 수 있는데, 어떤 기기의 기간당 전력소비량은 사용시간에 그 기기의 정격 소비전력(Wh)를 곱하여 계산한다.
예를 들어, 개인전등(14키)의 지난 달 전력소비량을 알아보고자 한다면, [28](전력관리)키를 눌러 전력관리판을 띄우고, 관리판의 [31](기기별 전력소비량)키 위치에 대응하는 키를 누르면, 기기별 사용기간 선택창(미도시)이 나타난다. 사용기간의 시작과 끝을 선택해주면 사용기간에 따른 전력소비량의 합계가 계산되어 표시된다.
또, 어느 기간 동안 개인별로 사용한 전력량을 알아보고자 한다면(도 17k 참조), [28](전력관리)키를 눌러 전력관리판을 띄우고, 관리판의 [32](개인별 전력소비량)키 위치에 대응하는 키를 누르면, 개인별 사용기간 선택창(미도시)이 나타난다. 사용기간의 시작과 끝을 선택해주면 사용기간에 따른 개인별 전력소비량의 합계가 계산되어 표시된다.
에어컨, 사무실 조명등, 냉장고, 서버와 같은 기기들은 어느 개인의 멀티탭에 꽂혀 사용되지만 실제로는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어, 개인별 전력사용량에 포함시킬 수가 없다. 그래서 공용기기는 기기 하나하나를 개인과 동격으로 간주하여 전력소비량을 계산하는데, 그렇게 되면 어느 (사무)실 단위의 전력소비량의 총합은 개인별 사용량과 공용기기의 사용량을 합산한 값이 된다.
그리고, 건물 전체의 전력사용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층단위로 사용한 전력량의 합과, 비상구 표시등, 화장실 환풍기, 엘리베이터 등과 같은 건물 전체가 공용으로 쓰는 전력을 모두 합산한다.
10. 다용도 자판부에서 전자인증을 실행하는 방법
도 18a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자판세트를 이용한 다단식 전자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8a에 보인 바와 같이, 복합기능 자판세트를 이용한 다단식 인증시스템은 제어부 위치의 지문인식 장치와 화면 상단의 얼굴(홍채)인식 장치, 자판 본체 상단의 보안카드 삽입구, 그리고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다용도 자판부로서 이루어진다. 다단식 인증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이들 요소들은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인증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보안등급에 따라 복수의 요소가 조합되어 인증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보안등급이 높을수록 자연히 복수의 요소가 결합되어 인증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8b는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다단식 전자인증 항목의 화상 배치도이다. 도 7 및 도 18b를 참조하여 보안등급에 따른 다단식 인증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용도 자판부에서 제어키(전자인증)를 누르면, 보안단계 선택창(도 18b 참조)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3단으로 보안단계를 설정하고자 한다면, [13](지문인식)키-[23](얼굴인식)키-[33](보안카드 삽입)키 순으로 키를 각각 눌러 소정의 설정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보안 단계 중 어느 하나를 자판 접근권 인증에 할당하여 외부에서 내자판에 접속하여 전력제어 설정값을 확인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퇴근 후에도 빈 사무실의 전력관리 상황을 확인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사람이 사무실에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11. 다용도 자판부에서 단축키를 설정하는 방법
도 19는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단축키 후보항목의 화상 배치도이다. 도 7 및 도 19를 참조하여 다용도 자판부에서 단축키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축키라고 하는 것은 바로 실행하기를 원하는 어떤 모드(기능)를 1타수에 실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해놓고 쓰는 키로서, 1타수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그러한 단축키를 여러 개 정의해 놓게 되면 기능실행이 아주 빨라지게 된다. 다용도 자판부 제 1행을 단축-1, 단축-2, 단축-3, 단축-4, 단축-5와 같은 식으로 설정해놓고, 메뉴판에 올라있는 어느 한 모드(기능)를 그 키에 대응시켜 할당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식으로 진행했을 때 2타수에 실행되는 [56]키의 위치의 ‘계산기’메뉴를 [14]키 위치의 ‘단축-4’에 할당하여 1타수에 실행하고자 한다면, [19](모든 메뉴)키를 눌러 메뉴판을 띄우고, 메뉴판의 [14](단축-4)키 위치에 대응하는 키를 누르고 나서, 사용자가 단축키에 설정하기를 원하는 ‘계산기’메뉴가 배정된 [56]키를 누르면, 화면 하단 단축키 표시란의 ‘단축-4’위치에는 ‘계산기’라고 표시된다.
12. 다용도 자판부에서 CCTV 메뉴를 실행하는 방법
도 20은 다용도 자판부에 1:1로 대응하는 CCTV 메뉴항목의 화상 배치도이다. 도 7 및 도 20을 참조하여 다용도 자판부에서 CCTV 메뉴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단축키 설정에서 ‘CCTV 메뉴’가 ‘단축-3’위치에 배정되었으므로, 바탕모드 상태에서 [13]키를 누르면 도 20에 보인 관리판이 나타나며, 관리판에 보인 카메라 위치 가운데 관리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것에 대응하는 키를 누르면, CCTV가 비추고 있는 현장 화면이 나타난다. 그리고, 관리자가 카메라 위치를 선택하여 확인한 시각이 확인시각란에 표시된다.
상기에 보인 예들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자판부를 이용하게 되면, 방범장치 제어하기, 신용카드 체크기 실행하기, 일정관리 프로그램 실행하기 등이 가능하다.

Claims (9)

  1. 일반자판부와 다용도 자판부, 멀티탭 번호표시부, 멀티미디어 제어부, 확장 1/2 자판부, 내장형 스피커, IC카드 삽입홈, 접속포트 설치부, 화면, 내장형 카메라, 외장형 멀티탭, 그리고 외장형 수화기 등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복합기능 자판세트에 있어서,
    좌편 자판부와 우편 자판부로 양분되어 이루어진 일반자판부와;
    하나의 키패드에, 숫자 키패드, 전자계산기 자판부, 전화기 자판부, 리모컨 자판부가 다층적으로 결합된 다용도 자판부와;
    키들이 격자형으로 배열된 다용도 자판부에서 키의 위치를 좌표(x,y)값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자판부 좌/우편과 상부에 숫자를 표시한 멀티탭 번호표시부와;
    다용도 자판부의 좌우편 하부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제어부와;
    일반 자판부 상부에 추가되는 형태로 구성된 제1 확장부와;
    일반 자판부 일측면에 추가되는 형태로 구성된 제2 확장부와;
    자판 본체 상부에 설치된 내장형 스피커와;
    자판 본체 상부에 설치된 IC카드 삽입홈과;
    자판 본체의 좌우측 또는 상부에 결합된 접속포트 설치부와;
    자판 본체 상부에 설치된 화면과;
    화면 상단 중앙부에 내장형으로 설치된 화상 통화용 카메라와;
    플러그를 꽂는 각각의 소켓에 번호가 표시된 외장형 멀티탭; 및
    다용도 자판부와 케이블로 연결된 외장형 수화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자판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자판부는,
    좌편 자판부와 우편 자판부로 양분되어 대칭형태로 구성되되, 자판 상단 제1행에는 10개의 숫자키가 5개씩 양편으로 나뉘어 수평으로 배열되고, 제2~4행에는 다수개의 일반문자키와 기호키가 양편으로 나뉘어 배열되고, 제5~6행에는 다수개의 기능키가 양편으로 나뉘어 배열되되, 그 좌편에는 F1~F12키 12개가 3행 4열 형식으로 배열되고, 그 우편에는 방향성을 나타내는 8개의 기능(4방향, Page-Up/Down, Home/End)키가 2행 4열 형식으로 배열되고, F1~F12키와 방향성을 나타내는 키들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기능키가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정규로 구비된 키들로 이루어진 자판부의 좌측 제1열에는 다수개의 기능실행 단축키가 배열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자판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자판부는,
    5열 격자형으로 구성되되, 1~9,0 그리고 *,#키가 배열된 숫자키와;
    4방향키와;
    숫자 키패드, 전자계산기 자판부, 전화기 자판부, 리모컨 자판부가 모드변환에 의해 공유되는 기능키와;
    다용도 자판부에서 키의 위치를 좌표(x,y)값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자판부 좌/우편과 상부에 숫자를 표시한 숫자 표시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자판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부는,
    키폰 자판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자판세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키폰 자판부는,
    키들이 20×5 형식으로 배열되되, 각각의 키에 번호가 배정되고, 키폰 자판부 각각의 키에 배정된 번호와 1:1로 대응하도록 화면에 키폰 자판부가 표시되어, 키폰 자판부와 화상 키폰 자판부가 연동관계를 이루도록 하며, 방향키 조작에 의해 상기 화상 키폰 자판부의 번호가 확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자판세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부는,
    키폰 자판부와 수화기 수납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자판세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폰 자판부는,
    키들이 10×5 형식으로 배열되되, 각각의 키에 번호가 배정되고, 키폰 자판부 각각의 키에 배정된 번호와 1:1로 대응하도록 화면에 키폰 자판부가 표시되어, 키폰 자판부와 화상 키폰 자판부가 연동관계를 이루도록 하며, 방향키 조작에 의해 상기 화상 키폰 자판부의 번호가 확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자판세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장부는,
    키폰 자판부와 신용카드 리더기 기능키부, 그리고 매출전표 인쇄기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자판세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장부는,
    신용카드 체크홈과 IC카드 삽입홈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자판세트.
KR1020100005840A 2009-02-03 2010-01-22 복합기능 자판세트 KR20100089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8591 2009-02-03
KR1020090008591 2009-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751A true KR20100089751A (ko) 2010-08-12

Family

ID=4275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840A KR20100089751A (ko) 2009-02-03 2010-01-22 복합기능 자판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97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3711B1 (ja) 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313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CN102541414A (zh) 一种能自动切换操作模式的移动终端装置
CN103577033B (zh) 一种输入法面板的设置方法和系统
CN103164155A (zh) 显示处理装置
CN102184013B (zh) 一种用于电子设备间的输入方法及相应的电子设备
CN101303672B (zh) 电脑多路输入输出命令操作系统、输入设备及运行方法
CN207638900U (zh) 蓝牙遥控器
KR20100089751A (ko) 복합기능 자판세트
CN102609098A (zh) 一种移动终端、移动终端的键盘及其使用方法
US20150009151A1 (en) Touch keyboard
CN202339540U (zh) 电器设备的显示控制装置及空调
CN101325763A (zh) 显示装置
JP7233022B2 (ja) 照明設計プラン提示プログラム
CN201780552U (zh) 可触摸键盘
CN201069560Y (zh) 具有触摸按键模块的笔记本计算机
CN101083733B (zh) 一种快速控制电视功能的方法
CN203086560U (zh) 多功能无线呼叫器摆件
CN203086635U (zh) 基于多功能无线呼叫器摆件的呼叫系统
CN218828309U (zh) 一种拓展坞
CN201118892Y (zh) 手持式电子装置
CN102111590B (zh) 一种换台的系统及方法
CN111627334B (zh) 一种显示装置和展示系统
CN107948832A (zh) 一种便携式多功能音响
CN1937647A (zh) 模拟按键手机及其按键模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