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259A - 오에스지아이 서비스 플랫폼간 서비스 의존성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에스지아이 서비스 플랫폼간 서비스 의존성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259A
KR20100089259A KR1020090008434A KR20090008434A KR20100089259A KR 20100089259 A KR20100089259 A KR 20100089259A KR 1020090008434 A KR1020090008434 A KR 1020090008434A KR 20090008434 A KR20090008434 A KR 20090008434A KR 20100089259 A KR20100089259 A KR 20100089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ovement
dependency
extension field
ser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931B1 (ko
Inventor
조두환
이춘화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8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9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06F8/41Compilation
    • G06F8/43Checking; Contextual analysis
    • G06F8/433Dependency analysis; Data or control 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OSGi 서비스 플랫폼간의 서비스 의존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의존성 관리 시스템은 둘 이상의 플랫폼에 걸쳐 존재하는 서비스들간의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한 의존성 관계를 나타내는 확장 필드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부 및 상기 등록된 확장 필드에 따라 구성요소들이 상기 둘 이상의 플랫폼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이동을 관리하는 환경 이동 관리부를 포함한다.
OSGi, 플랫폼(platform), 서비스, 의존성, 관리

Description

오에스지아이 서비스 플랫폼간 서비스 의존성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DO FOR MANAGING SERVICE DEPENDENCY ACROSS OSGi SERVICE PLATFOR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에스지아이 서비스 플랫폼간의 서비스 의존성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에스지아이(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이하 OSGi라고 함)는 가정 정보 기기 및 보안 시스템과 같은 인터넷 장비의 표준 연결 방법을 위해 OSGi 단체가 제안한 산업체 표준안이다.
OSGi 서비스 플랫폼의 선언적 서비스(Declarative Service)는 서비스간이 연결을 포함한 부가적인 기능들(nonfunctional requirement)이 구성요소 설명(Component Description)을 통해서 선언적으로 처리되는 서비스이다. 그리고, OSGi 서비스 플랫폼의 선언적 서비스는 서비스 구성요소 런타임(Service Component Runtime)에 의해서 관리하여 개발자에게 오로지 서비스의 핵심적인 기능(functional requirement)에만 집중하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영화재생(MoviePlay)이라는 서비스가 영화코덱(MovieCodec)과 엠 피쓰리리스트서비스(MP3ListService)라는 서비스와 관련을 맺고 유기적인 관계가 필요로 할 때 선언적 서비스(Declarative Service)를 사용하게 되면, 개발자는 구성요소 설명에 해당 사항을 작성해 주면 된다.
하지만 종래 OSGi 플랫폼의 선언적 서비스는 구성요소 설명에 의존성 관계에 있는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명을 기술하는데 단일 플랫폼 내에서만 서비스 검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비스 의존성을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는 선언적 서비스를 확장하여 두 플랫폼 간에 떨어져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의존성을 쉽고 편리하게 맺기 위한 의존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두 플랫폼간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확장 필드를 추가로 등록하여 확장된 선언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존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존성 관리 시스템은, 둘 이상의 플랫폼에 걸쳐 존재하는 서비스들간의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한 의존성 관계를 나타내는 확장 필드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부 및 상기 등록된 확장 필드에 따라 구성요소들이 상기 둘 이상의 플랫폼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이동을 관리하는 환경 이동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존성 관리 방법은, 서비스 등록부가 둘 이상의 플랫폼에 걸쳐 존재하는 서비스들간의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한 의존성 관계를 나타내는 확장 필드를 등록하는 단계 및 환경 이동 관리부가 상기 확장 필드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플랫폼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이동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선언적 서비스를 확장하여 두 플랫폼 간에 떨 어져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의존성을 쉽고 편리하게 맺기 위한 의존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두 플랫폼간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확장 필드를 추가로 등록하여 확장된 선언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존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OSGi 서비스 플랫폼간 서비스 의존성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존성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존성 관리 시스템(100)은 서비스 등록부(110) 및 환경 이동 관리부(120)를 포함한다.
서비스 등록부(110)는 둘 이상의 플랫폼에 걸쳐 존재하는 서비스들간의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한 의존성 관계를 나타내는 확장 필드(Extended field)를 등록한다. 상기 확장 필드는 의존성 관계의 서비스가 다른 플랫폼을 통해서 연결 관계를 맺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일례로 서비스 등록부(110)는 OSGi 플랫폼의 선언적 서비스에 대한 구성요소 설명의 스키마(Schema)를 확장하여 상기 확장 필드를 등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선언적 서비스에서 구성요소 설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등록부(Service Registry)(110)는 확장된 선언적 서비스(Extended Declarative Service)를 사용하기 위해서 구성요소 설명(Component Description)(200)에서 의존성 관계에 있는 서비스의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장 필드(211, 212)를 등록한다. 일례로 상기 확장 필드(211, 212)가 '1'로 정의된 경우는 의존성 관계의 서비스가 다른 플랫폼을 통해서 연결 관계를 맺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환경 이동 관리부(Environment Mobility Management)(120)는 상기 등록된 확장 필드에 따라 구성요소들이 상기 둘 이상의 플랫폼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이동을 관리한다. 환경 이동 관리부(120)는 상기 구성요소 환경 설정에 의한 서비스에 따라 구성요소들이 네트워크상에 분산되는 환경을 지원하도록 미리 서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다른 플랫폼으로의 서비스 연결이 요청될 때 통신을 관리한다. 환경 이동 관리부(120)는 상기 확장 필드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플랫폼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이동을 완전한 이동 또는 프록시 형태의 이동으로 관리한다.
환경 이동 관리부(120)는 상기 확장 필드에 따라 불만족 상태에 있던 구성요소 환경 설정이 원격에 존재하는 의존성 관계를 확인하여 상기 완전한 이동 또는 상기 프록시 형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리한다. 그리고, 환경 이동 관리부(120)는 상기 구성요소 환경 설정이 완전히 이동된 서비스 또는 프록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서비스와 의존성을 맺도록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선언적 서비스를 통한 의존성을 맺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등록부(310-1, 310-2)는 선언적 서비스부(330-1, 330-2)를 통해 수행되어 의존성 관계에 있는 서비스A, B(1, 2)의 속성을 확장 필드에 등록하여 확장된 선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의존성을 맺도록 한다. 이때, 두 플랫폼에 존재하는 서비스들(1, 2)의 이동은 완전한 이동과 프록시 형태의 이동이 가능하다. 환경 이동 관리부(320)는 상기 완전한 이동과 상기 프록시 형태의 이동을 관리한다. 대부분의 서비스는 완전한 이동의 형태를 띠지만 고정된 시스템 장치나 부족한 시스템 자원 등의 이유로 서비스 플랫폼간의 완전한 이동 지원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를 사용하는 서비스라든지 또는 용량이 큰 파일을 재생하는 중에 있는 서비스의 경우는 고정된 시스템 장치나 부족한 시스템 자원으로 인해 상기 완전한 이동 지원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환경 이동 관리부(320)는 상기 완전한 이동 지원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프록시의 방법으로 실행하는데 필요한 인자만 전달하고, 실제 서비스는 원래 존재했던 곳에서 실행하는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다.
환경 이동 관리부(320)는 모니터링을 통한 자원의 상황 기술 또는 장치의 특징에 대한 기술을 통해서 프록시의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를 판단하고, 나머지 경우에는 완전한 이동을 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환경 이동 관리부의 구성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환경 이동 관리부(421~424)는 미리 서로의 위치를 알고 있으며, 선언적 서비스부(411~414)에 의해 다른 플랫폼으로의 서비스 연결이 요청될 시에 통신을 한다.
도 5는 확장된 구성요소 환경설정의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불만족(unsatisfied) 상태(510)에서 구성요소 환경설정(Component Configuration)이 원격에 존재하는 의존성 관계의 서비스가 확인되고, 완전한 이동 또는 프록시 형태의 이동이 가능해짐을 확인하면, 등록(registered) 상태(520)가 된다. 이때, 상기 구성요소 환경설정에 의해서 객체가 생성되어 서비스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된 객체가 그대로 서비스로 동작하게 된다.
등록 상태(520)에 있던 상기 구성요소 환경설정이 완전히 이동된 서비스 또는 프록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서비스와 의존성을 맺은 뒤 활성화(activate) 상태(530) 및 활동(active) 상태(540)가 되어 실행될 수 있다.
활동 상태(540)에서 서비스 의존 관계가 만족하지 않거나 서비스가 획득되지 않으면, 비활성화(deactivate) 상태(550)가 된다.
비활성화 상태(550)는 비만족 상태(510) 또는 등록 상태(520)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존성 관리 시스템은 다중 플랫폼간의 편리한 서비스 의존성 형성 방식을 지원하고 관리함으로써 네트워크상에 분산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응용 프로그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존성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 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10)에서 서비스 등록부(110)는 둘 이상의 플랫폼에 걸쳐 존재하는 서비스들간의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한 의존성 관계를 나타내는 확장 필드를 등록한다. 일례로 단계(610)에서 서비스 등록부(110)는 OSGi 플랫폼의 선언적 서비스에 대한 구성요소 설명의 스키마를 확장하여 상기 확장 필드를 등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확장 필드는 의존성 관계의 서비스가 다른 플랫폼을 통해서 연결 관계를 맺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존성 관리 방법은 두 플랫폼간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확장 필드를 추가로 등록하여 확장된 선언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환경 이동 관리부(120)는 상기 확장 필드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플랫폼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이동을 관리한다.
단계(620)에서 환경 이동 관리부(120)는 상기 구성요소 환경 설정에 의한 서비스에 따라 구성요소들이 네트워크상에 분산되는 환경을 지원하도록 미리 서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다른 플랫폼으로의 서비스 연결이 요청될 때 통신을 관리한다.
단계(620)에서 환경 이동 관리부(120)는 상기 확장 필드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서비스 플랫폼간의 완전한 이동 또는 필요한 인자만 전달하는 프록시 형태의 이동으로 관리한다.
단계(620)에서 환경 이동 관리부(120)는 상기 확장 필드에 따라 불만족 상태에 있던 구성요소 환경 설정이 원격에 존재하는 의존성 관계를 확인하여 상기 완전 한 이동 또는 상기 프록시 형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리한다.
단계(620)에서 환경 이동 관리부(120)는 상기 구성요소 환경 설정이 완전히 이동된 서비스 또는 프록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서비스와 의존성을 맺도록 관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존성 관리 방법은 선언적 서비스를 확장하여 두 플랫폼 간에 떨어져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의존성을 쉽고 편리하게 맺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OSGi 플랫폼으로 구성된 홈 네트워크의 환경에서 사진을 찍으면 바로 저장소로 전송하는 서비스가 있다고 가정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의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장치를 소지하고 외출했을 때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모바일 장치에 저장시키려고 할 때 상기 모바일 장치의 가용량이 없는 경우 확장된 선언적 서비스를 통해서 홈 네트워크 환경에 존재하는 서비스가 검색된다. 이를 통해서 찍은 사진은 상기 모바일 장치에 전송된 프록시(Proxy) 형태의 서비스를 매개체로 하여서 자동으로 홈 네트워크의 저장소로 전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장치의 가용량을 고려할 필요없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존성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선언적 서비스에 따른 구성요소 설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선언적 서비스를 통한 의존성을 맺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환경 이동 관리부의 구성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확장된 구성요소 환경의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존성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의존성 관리 시스템
110: 서비스 등록부 120: 환경 이동 관리부

Claims (10)

  1. 둘 이상의 플랫폼에 걸쳐 존재하는 서비스들간의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한 의존성 관계를 나타내는 확장 필드를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부; 및
    상기 등록된 확장 필드에 따라 구성요소들이 상기 둘 이상의 플랫폼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이동을 관리하는 환경 이동 관리부
    를 포함하는 의존성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등록부는,
    오에스지아이 플랫폼의 선언적 서비스에 대한 구성요소 설명의 스키마를 확장하여 상기 확장 필드를 등록하고,
    상기 확장 필드는,
    의존성 관계의 서비스가 다른 플랫폼을 통해서 연결 관계를 맺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의존성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이동 관리부는,
    상기 구성요소 환경 설정에 의한 서비스에 따라 구성요소들이 네트워크상에 분산되는 환경을 지원하도록 미리 서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다른 플랫폼으로의 서 비스 연결이 요청될 때 통신을 관리하는 의존성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이동 관리부는,
    상기 확장 필드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플랫폼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이동을 완전한 이동 또는 프록시 형태의 이동으로 관리하는 의존성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이동 관리부는,
    상기 확장 필드에 따라 불만족 상태에 있던 구성요소의 환경설정이 원격에 존재하는 의존성 관계를 확인하여 상기 완전한 이동 또는 상기 프록시 형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상기 구성요소의 환경설정이 완전히 이동된 서비스 또는 프록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서비스와 의존성을 맺도록 관리하는 의존성 관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이동 관리부는,
    상기 완전한 이동이 지원되지 않으면, 상기 프록시의 방법으로 실행하는데 필요한 인자만 전달하고, 실제 서비스는 원래 존재했던 곳에서 실행되도록 관리하는 의존성 관리 시스템.
  7. 서비스 등록부가 둘 이상의 플랫폼에 걸쳐 존재하는 서비스들간의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한 의존성 관계를 나타내는 확장 필드를 등록하는 단계; 및
    환경 이동 관리부가 상기 확장 필드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플랫폼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의 이동을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존성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필드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등록부가 오에스지아이 플랫폼의 선언적 서비스에 대한 구성요소 설명의 스키마를 확장하여 상기 확장 필드를 등록하고,
    상기 확장 필드는,
    의존성 관계의 서비스가 다른 플랫폼을 통해서 연결 관계를 맺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의존성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들의 이동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환경 이동 관리부가 상기 확장 필드에 따라 서비스 플랫폼간의 완전한 이동 또는 필요한 인자만 전달하는 프록시 형태의 이동으로 관리하는 의존성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들의 이동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환경 이동 관리부가 상기 확장 필드에 따라 불만족 상태에 있던 구성요소의 환경설정이 원격에 존재하는 의존성 관계를 확인하여 상기 완전한 이동 또는 상기 프록시 형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상기 구성요소의 환경설정이 완전히 이동된 서비스 또는 프록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서비스와 의존성을 맺도록 관리하는 의존성 관리 방법.
KR1020090008434A 2009-02-03 2009-02-03 오에스지아이 서비스 플랫폼간 서비스 의존성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028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434A KR101028931B1 (ko) 2009-02-03 2009-02-03 오에스지아이 서비스 플랫폼간 서비스 의존성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434A KR101028931B1 (ko) 2009-02-03 2009-02-03 오에스지아이 서비스 플랫폼간 서비스 의존성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259A true KR20100089259A (ko) 2010-08-12
KR101028931B1 KR101028931B1 (ko) 2011-04-12

Family

ID=4275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434A KR101028931B1 (ko) 2009-02-03 2009-02-03 오에스지아이 서비스 플랫폼간 서비스 의존성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9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825B1 (ko) 2004-01-08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상에서의 서비스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51456B1 (ko) * 2006-03-24 2007-08-23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OSGi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931B1 (ko) 201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2733B2 (en) Standardized microservices for controlling components of distinct applications in multi-tenant clouds
US10649761B2 (en) Application upgrade method and apparatus
JP4777634B2 (ja) モバイル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コンテキストアウェア自動サービス発見及び実行エンジン
US8930493B2 (en) Inter-domain replication of service information
CN103077024B (zh) 一种支持SaaS应用流程按需定制与运行的装置及方法
CN102413022B (zh) 一种应用调试方法和系统
US96610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legacy software in the cloud
CN104750487B (zh) 一种移动终端app的开发方法及启动方法
CN104541246A (zh) 用于提供在云计算环境下使用的服务管理引擎的系统和方法
US20080256225A1 (en) Osgi-Based Dynamic Service Management Method for Context-Aware Systems
CN110413288A (zh) 应用部署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20060095551A1 (en) Extensible service processor architecture
US9529578B2 (en) Automated service version upgrading
CN102375894B (zh) 一种管理不同类型文件系统的方法
KR101028931B1 (ko) 오에스지아이 서비스 플랫폼간 서비스 의존성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80109599A1 (en) Distributed test system architecture
CN110198225A (zh) 一种多集群的管理方法及管理服务器
JP2007148844A (ja) ソフトウェア無線機におけるドメイン管理インタフェース
JP6781126B2 (ja) 仮想マシン設定投入システム、仮想マシン設定投入方法、及びプログラム
Arora et al. Cloud native Lightweight Slice Orchestration (CLiSO) framework
KR101460787B1 (ko)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시스템, 유저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eyriläinen Smart Hom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T-Based Reconfigurable Smart Home System
WO2018077115A1 (zh) 一种插件的实现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JP2015014896A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im et al. Design of platform management provider based on HPI manageability block using CIM/WBEM stand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