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249A - 턱을 이용한 용접면 흑경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턱을 이용한 용접면 흑경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249A
KR20100088249A KR1020090007329A KR20090007329A KR20100088249A KR 20100088249 A KR20100088249 A KR 20100088249A KR 1020090007329 A KR1020090007329 A KR 1020090007329A KR 20090007329 A KR20090007329 A KR 20090007329A KR 20100088249 A KR20100088249 A KR 20100088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lding surface
jaw
black
we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봉
Original Assignee
양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봉 filed Critical 양영봉
Priority to KR1020090007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8249A/ko
Publication of KR2010008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1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movable shutters, e.g. filter discs; Actu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1/00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 F16P1/06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specially designed for w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2009/0035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2009/0035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 A61F2009/0043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by supporting the instrument on the patient's head, e.g. head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용접 작업시 용접사가 부득이 양손을 사용하게 될 때 불편함과 위험을 무릅쓰고 용접면을 벗은체 한손으로는 용접할 물체를 잡고 또 다른 한손으로는 용접봉(속칭 고데)을 잡고 감각에 의한 눈감기를 하면서 위험한 용접을 해왔었는데,
이때 용접봉 끝의 스파크와 눈감기의 타이밍이 잘못 맞으면(현장용어-아다리) 눈에 심각한 손상을 입고 며칠씩 병원 신세를 지면서 고생을 하는 경우가 많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용접면을 개발하게 되었는데,
이 용접면은 용접 현장에서 용접사가 양손을 자유자재로 쓰면서도 확실하게 얼굴과 눈을 보호 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저가의 용접면 이다.
물론 광센서를 이용한 국산 또는 외국제의 자동 용접면이 있기는 하지만 이 경우 가격이 2∼30만원대 이상의 고가이고 복잡한 작업 현장의 여건상 고가의 용접면이 자주 망가저서 수명이 짧아 대다수의 현장에서는 여전히 재래식 저가의 용접면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용접현장의 실태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확실하고 편리한 용접면을 부담 없는 저가로, 현장에 보다 많이 공급하여 용접사들이 보다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용접면의 간단한 사용법과 원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용접면의 외형적인 모양은 일반 용접면과 같으나,
구조적인 면에서는 크게 개폐 흑경부분(도 1의1 창부분)과 용접면 하단의 턱걸이 부분(도 2의 11)으로 나누어 설명할수 있는데,
개폐 흑경부분은 용접면 내부의 피아노선(12)으로서 하단의 턱걸이와 연결되어 있어서 용접사 턱의 동작을 전달받아 열리고 닫히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용접면 하단의 턱걸이 부분은 용접사의 턱의 높 낮이를 조절할수 있는 턱걸이 KIT(도 2의11)와 이 KIT에 의지하고 있는 턱걸이(4) 구조로 되어 있는데,
용접사는 이 턱걸이에 자신의 턱을 맞추어 본 다음 용접면을 쓰고서,
턱을 벌리면 용접면의 흑경이(도 1의1) 열리고 턱을 닫으면 용접면의 흑경이 조임 스프링(도 9의 3)에 의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아주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새로운 개념의 용접면인 것이다.
흑경, 투명유리, 턱걸이KIT, 턱걸이.

Description

턱을 이용한 용접면 흑경의 개폐장치.{omitted}
본 발명은 용접사가 재래식 용접면을 쓰고 작업을 할 때 간혹 한손으로 용접물체를 잡고 부득이 용접면을 벗은체 위험을 무릅쓰면서 오로지 눈감기만으로 용접을 하는 경우가 많다함은 앞에서도 상세히 설명한바 있고 지금도 많은 현장에서는 저가의 재래식 용접면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데,
본 발명에 따른 "턱을 이용한 용접면 흑경의 개폐 장치는 기존의 용접현장에서 많이 쓰고 있는 재래식 용접면의 기능에다 턱을 이용한 자동의 기능(도 1의 4)을 조합하여 첨부하면 보다 편리하고 유용한 기능의 개폐 흑경(도 1의1)이 부착된 용접면이 되는 것인데,
이의 사용 예를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용접사의 턱에 용접면의 턱걸이(4)를 끼운 다음 이 KIT(도 2의11)의 높낮이가 알맞도록 적절한 위치를 설정하고 다시 두 군데의 턱걸이 조정 넛트(5)를 단단히 고정하고,
이어 도 2의 흑경개폐 레버(6)에 끼워저 있는 개폐 피아노선(12)의 중간에 붙어 있는 조정넛트(15 속칭-담바클)를 조절하여 흑경의 닫힘과 열림이 알맞도록 조정만 하면 되는데,
이 용접면의 위아래의 조정 작업이 모두 끝나고 나면 윗 머리띠(7)와 수평 머리띠(8)를 알맞게 맞춘 다음 용접면을 쓰고,
턱을 다물면(도 10) 용접면의 흑경이 닫히고,
입을 벌리면 용접면이 열리는데(도 11) 평상시에는 도 1의 3 스프링이 조여서 닫혀 있고 양손을 쓰기 위해 턱을 벌릴 때 만 흑경이 열리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접 현장에서 쓰는 용접면으로서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는 손잡이가 달려있는 저가의 수작업 용접면과,
광센서를 이용한 국내외의 고가의 자동 용접면이 있는데,
이 자동 용접면은 용접물체와 용접봉 사이에 스파크가 일어나는 즉시 광센서가 이를 감지하면 순간적으로 가변 투명유리가 자동으로 흑경으로 변하여 강열한 유해광선을 차단하는 원리로 제작된 제품으로서,
가격이 2∼30만원이 넘는 고가여서 널리 보급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인 반면,
아직 까지 신체의 턱을 이용한 단순하고 저가인 용접면은 없었으며,
아울러 이 제품이 특히 유용한 이유로서 가격이 저렴하면서 비교적 편리 하다는 점을 들수있다.
본 발명은 수많은 용접의 작업 현장에서 얼굴과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 필히 사용하는 용접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의 작업 현장에서 일반적인 용접의 경우 한손에 용접면의 손잡이를 잡고 한손에는 용접봉 손잡이(속칭-고데)를 잡고 용접을 하지만,
많은 경우 용접물체를 잡기위해 부득이 한손만을 사용해야할 경우가 허다한데,
이때 얼굴은 용접면 없는 무방비 상태로서 오로지 눈감기에만 의존하여 위험한 용접을 하는데 간혹 용접봉 스파크와 눈감기가 타이밍이 잘못 맞으면 눈에 심각한 손상을 입고 병원신세를 지는 경우가 허다하고 용접 스파크의 자외선에 얼굴이 타서 피부가 상하기도 하는 것이다.
물론 고가의 광센서 용접면이 있기는 하나,
턱을 이용한 저가의 편리한 용접면은 아직 까지는 없었고,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 또한 없었다.
따라서 새로운 이 용접면이 영세의 많은 현장에 저가로 공급되고 많은 사람들이 쉽게 사용될수 있다면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라 하겠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재래식 용접 방법에 의한 얼굴의 손상이나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이의 두드러진 특징은 저가이면서 단순하고 이용이 편리하다는 것을 들수 있는데,
이로서 이 새로운 용접면을 많은 용접사들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앞서 반복된 내용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턱을 이용한 용접면 흑경의 개폐장치는,
용접면 상부의 흑경 개폐부분과 하단의 턱걸이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 두 개의 부분이 결합되어 양손을 자유자재로 쓰면서도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용접을 할수 있는것에 주안점을 두고 개발한 발명품이며.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용접면 흑경의 개폐장치(도 1의 1) 부분은,
우선 1의 흑경 부분과 이 흑경을 작동하지 않을때는 저절로 닫히도록 하는 조임 스프링(도 9의3)과,
열렸을 때 투명인 투명유리(2)가 일체로 된 흑경 개폐 장치부분과,
이 용접면의 흑경을 자유자재로 열고 닫을수 있는 턱받침이 있는 턱걸이 KIT(도 2의 11) 두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기능을 발휘하는 것인데, 이 흑경 개폐 장치 부분을 분해 사시도로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의 참고도 에서,
흑경 개폐 레버(6)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흑경의 테(20)에 흑경(1)을 끼우고 다시 흑경의 위에 흑경면을 보호하기위한 투명유리(2)를 다시 끼우고 유리홀더(19)로서 고정을 하면 되는데 이 부분이 열고 닫히는 유동 부분이며 용접면 벽에 고정되어 있는 또 하나의 삼중 안전 투명유리(21)가 있는 구조로서 되어 있으며 이 흑경테가 닫히도록 도와주는 조임 스프링(3)이 얽혀있는 얼개로 되어 있다.
이 용접면의 내부 하단에는 턱걸이 후레임(도 2의 11) KIT가 덧붙여저 있는 데, 이 용접면을 사용하려는 용접사는 우선 이 후레임의 턱걸이에 자기의 턱을 걸처 보고서 이의 높낮이를 알맞게 조정한 후 피아노선(도 2의12) 중간에 있는 조정넛트(15 속칭-담바클)로 알맞게 고정하고 턱을 벌리면(도 10) 흑경(1)이 열리고,
입을 닫으면(도 11) 흑경이 닫히는데,
이 턱걸이는 후레임 몸체와 턱걸이 축(13)을 중심으로 유연하게 움직이며 이 턱걸이의 우측 상단에는 흑경의 개폐를 돕는 개폐 피아노선(12)이 흑경의 개폐레버(6)에 유격이 있게 끼워저 있으며 피아노선 중간에는 조정 넛트(15 속칭-담바클)로 풀고 조이고 하여 흑경의 개폐정도를 알맞게 조정하면 되는것이다.
용접사가 용접물체를 투명으로 보고 작업을 해야될 경우에는 용접사가 단지 턱을 벌리기만 하면 흑경이 열려서 양손을 다 쓰면서도 불편 없이 작업을 하고 다시 용접을 해야될 경우에는 입을 닫으면 개폐 흑경 부분의 스프링(도 1의 3)이 조여서 원래대로 닫혀 흑경의 면이 되어서 용접 스파크로 부터 용접사의 얼굴과 눈을 보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재래식 저가의 용접면을 쓰고 용접사가 용접을 할 때 부득이 용접물체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용접봉(고데)을 잡고 용접면을 벗은체 위험한 눈감기 용접으로 눈에 심각한 손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본 발명품은 이러한 많은 재해로부터 용접사의 얼굴과 눈을 보호하려는 해결 수단으로서 본 용접면을 발명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이 용접면을 사용하면 용접사는 고가의 광센서가 부착된 용접면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정확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양손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면서 용접을 할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매우 편리할뿐더러 고가의 광센서 용접면에 비해 가격이 저렴해서 보다 많은 용접현장에 보다 많이 보급 시킬수가 있으며,
아직도 국내외의 조선소, 건설 현장, 제조업등 많은 현장에서 자동 용접면 보다 재래식의 저가 용접면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볼때 본 발명품인 이 용접면이 얼마나 싸고 편리한지는 더 이상 언급이 필요 없을 정도이며 또한 이 용접면의 수출전망 또한 밝다고 말할수 있겠다.
.
실제로 제작하여 사용해본 바에 의하면 고가의 자동면 못지않은 대단히 우수하고 편리한 기능이 확인 되었으며,
다음의 실시예 에서 추상해 본다면 본 용접면이 대량 생산되어 많은 산업 현장과, 건설 현장등에서 널리 보급되고 유용하게 이용되리라고 확신 한다.
턱을 이용한 용접면 흑경의 개폐장치가 부착된 이 용접면은 저가이면서도 편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절찬리에 판매가 되고 대량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확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면의 정면 사시도로서 눈을 보호하는 흑경이 용접면 내부와 연결된 레버(6)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2는 도시된 용접면의 얼개를 표시한 배면 사시도로서 흑경 레버(6)에 개폐 피아노선(12)이 연결되어 용접면 하단의 턱걸이(4) 부분과 연결되어 용접사 턱의 동작을 흑경의 열고 닫힘을 하게 되어 있으며,
피아노선(12)의 길고 짧음을 조절하는 조절넛트(15 속칭-담바클)가 있고,
하단에는 턱걸이(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넛트(5)가 있어서 용접사의 턱높이를 맞춘 다음 조절 넛트를 조여서 고정하면 된다.
도 3은 정면도로서 흑경이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하단의 턱걸이(4)는 턱을 벌린 상태이고 상단 우측의 레버(6)는 용접면 내부로 들어간 모습을 표시한 정면도 이다.
도 4는 용접면의 배면도로서 턱걸이(4)는 입을 다문 상태이고 내부의 창(21)은 고정 투명창이며 레버(6)에 연결된 피아노선(12)의 중간에 조절넛트(15 속칭-담바클)가 있고 벗거나 쓸때 간혹 사용하는 손잡이(9)가 있다.
도 5는 좌측면도로서 흑경(1)은 닫힌 상태이고 턱걸이(4)의 턱은 다문 상태이며 윗머리띠(7)와 수평머리띠(8)가 교차하는 조절봉(18)으로 머리띠를 조절하며 고정볼트(16,17)로 길이를 맞추고 조이며 턱걸이 조정나사(5)는 용접면의 밖에 있어서 조일 때 편리하다.
도 6은 용접면의 우측면도 제 5도와 동일하고.
도 7은 평면도로서 턱걸이(4) 흑경(1)은 닫힌 상태이며 윗머리띠(7)와 수평 머리띠(8)가 교차하는 조절봉(18)로 머리띠를 머리에 알맞게 조절하여 고정한다.
도 8은 용접면의 저면도로서 평면도의 구조와 동일하고.
도 9는 흑경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KIT 분해 사시도로서 흑경(1)은 유리테(20)에 끼워지고 그 위에 다시 흑경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유리(2)가 얹어지며 이두장의 유리를 고정홀더(19)가 고정 시키며 개폐레버(6)와 유리테(20)는 한 몸체이고 이 개폐 흑경을 평상시 원위치로 닫히게 하는 조임 스프링(3)에 의해 흑경은 평상시 항상 닫혀 있는 것이다.
도 10은 참고도로서 흑경의 닫힘을 표시한 단면 상세도인데 이의 상단에 머리와 용접면의 간격을 유지하기위한 머리받침(10)이 있고 턱은 오무려서 흑경은 닫힌 상태이며,
도 11은 참고도로서 흑경의 열림을 표시한 단면 상세도인데 용접사의 입을 벌려서 턱걸이(4)가 하향하면 피아노선(12)가 당겨저서 개폐 레버(6)가 하강하여 흑경(1)이 열리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

  1. 용접면 흑경의 개폐를 턱걸이 동작을 이용하여 자유자재로 사용할수 있게 하는 구조와 장치가 있는 용접면.
KR1020090007329A 2009-01-30 2009-01-30 턱을 이용한 용접면 흑경의 개폐장치. KR20100088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329A KR20100088249A (ko) 2009-01-30 2009-01-30 턱을 이용한 용접면 흑경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329A KR20100088249A (ko) 2009-01-30 2009-01-30 턱을 이용한 용접면 흑경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249A true KR20100088249A (ko) 2010-08-09

Family

ID=4275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329A KR20100088249A (ko) 2009-01-30 2009-01-30 턱을 이용한 용접면 흑경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82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38Y1 (ko) * 2011-09-26 2012-04-27 이상훈 손잡이 일체형 용접 마스크
KR20190136310A (ko) * 2018-05-30 2019-1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
CN111281654A (zh) * 2020-03-12 2020-06-16 王伟 一种眼科用防护罩
KR102336031B1 (ko) 2020-06-04 2021-12-03 송영우 홀더 거치식 용접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38Y1 (ko) * 2011-09-26 2012-04-27 이상훈 손잡이 일체형 용접 마스크
KR20190136310A (ko) * 2018-05-30 2019-1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보안면을 구비한 안전모
CN111281654A (zh) * 2020-03-12 2020-06-16 王伟 一种眼科用防护罩
KR102336031B1 (ko) 2020-06-04 2021-12-03 송영우 홀더 거치식 용접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8706A (en) Lateral eye shielding device
KR20100088249A (ko) 턱을 이용한 용접면 흑경의 개폐장치.
EP1804598A4 (en) ATTACHABLE, CUSTOMIZABLE SUNGLASSES ON A CAP
CN210277477U (zh) 一种使用牙齿咬合控制的焊帽
JP6239236B2 (ja) 溶接用面
KR102154157B1 (ko) 편광렌즈조립체
CN211326112U (zh) 一种便于观察周围环境宽视野焊接面罩
CN203885711U (zh) 预防电光眼职业病的防护头盔
CN207613962U (zh) 一种护目镜可自动开合的手提电焊面罩
CN2855389Y (zh) 焊接用防护罩
CN211123525U (zh) 一种近视眼氩弧焊护目镜
CN202235906U (zh) 一种可调式防护帽
CN218917809U (zh) 一种虚拟现实互动用显示装置
CN209332466U (zh) 一种新型焊接用面罩
CN202490075U (zh) 翻镜电焊面罩
KR200200629Y1 (ko) 용접용 마스크
CN205826978U (zh) 一种可调换镜片的眼镜
CN218304868U (zh) 一种用于口腔医学的口腔镜
CN213883786U (zh) 一种便于穿戴焊接用面罩
CN211244039U (zh) 一种定位精准的儿童用眼科滴液装置
CN202223423U (zh) 电焊防光面罩
CN203506972U (zh) 头戴式防焊烟电焊帽子
CN207148453U (zh) 一种新型眼镜用的镜腿连接结构
CN207965390U (zh) 一种记忆合金眼镜
CN201127675Y (zh) 下颌自控电焊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