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957A -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및 전자기파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및 전자기파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957A
KR20100087957A KR1020090007043A KR20090007043A KR20100087957A KR 20100087957 A KR20100087957 A KR 20100087957A KR 1020090007043 A KR1020090007043 A KR 1020090007043A KR 20090007043 A KR20090007043 A KR 20090007043A KR 20100087957 A KR20100087957 A KR 20100087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rfid
tag
electromagnetic wave
rfid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술
권순태
김우중
한태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7957A/ko
Publication of KR2010008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9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on the record carrier to allow stacking of a plurality of similar record carriers, e.g.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non-contact communication of the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는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에 있어서,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RFID 시스템의 상부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 및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RFID 시스템의 하면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장 이상의 교통카드를 지갑 등의 휴대장치에 넣고 사용하는 경우에 자주 발생하는 교통카드 리더(Reader) 장치에서의 오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교통카드에 의해서만 원활한 결재처리가 이루어 질 수 있다. 특히, 사용하지 않는 교통카드에서의 불필요한 오류 발생 및 원하지 않는 결재처리를 미리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RFID, 태그, 리더, 호스트 컴퓨터

Description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및 전자기파 차단 방법{Apparatus of isolating the electro magnetic wave used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파 차단장치 및 전자기파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및 전자기파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류 유통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물품관리를 위해 바코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바코드는 가격이 매우 싼 반면에 기본적으로 다량의 물품을 동시에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고,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실시간 정보 파악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근접한 상태(수 cm이내)에서만 정보를 읽을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가 주목을 받고 있다.
RFID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상품과 사물에 내장된 정보를 근거리(수십 cm 내지 수십 m)에서 읽어내는 기술로서, 물류, 유통, 조달, 군사, 식품 및 안전 등 다양한 상업 영역에서 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각광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비쿼터스(Ubiquitous)의 기초 기술로 활용되어 향후 인간의 생활 방식과 기존 산업 구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은 소형 RFID 칩과 안테나로 구성된 전자 태그를 사물에 부착하여 전자 태그의 고유 주파수를 통해 사물을 인식하거나 사물이 주위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하여 기존 IT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정보 교환,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기술은 새롭게 창조된 기술이기 보다는 기존에 사용해 오던 기술을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RFID는 현재 저주파(125 kHz), 고주파(13.56 MHz)의 전자태그를 중심으로 60cm 이내의 짧은 거리에서는 출입통제, 교통카드 등의 인식기능(Identification)에 중심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극초단파(433 MHz, 900 MHz) 대역에서는 유통, 물류 분야를 중심으로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대량생산에 의해 가격이 저렴해지면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예상된다. 또한, RFID에 sensing 기능이 추가되어 의료, 안전, 국방 분야 등으로 그 이용이 확대되면서 본격적으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센서 기능을 담당하는 핵심 기반으로 발전할 것이다.
RFID 산업의 잠재력에 대한 인식 제고로 물류, 유통을 넘어 활용 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각국의 경쟁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형 유통기업 등에서 RFID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RFID 태그(Tag)는 각 물품 고유의 코드를 가지게 되어 물품의 종류, 생산이력 등이 저장되고 활용된다. 또한, 인식범위가 바코드 시스템보다 넓어 물류관리에 편리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교통카드의 경우에 표준화에 대중교통 수단을 언제 어디서나 동일한 교통카드 한 장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즉, 교통카드를 보유한 개개인은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 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것이다. 다만, 교통카드의 사용 시에 두 장 이상의 교통카드를 지갑 등의 휴대장치에 넣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교통카드 리더(Reader) 장치에서 오류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는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RFID 태그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 및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RFID 태그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기파 차단장치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서로 부착 되어 상기 RFID 태그(Tag)를 넣을 수 있는 홀더(Holder)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는 상기 RFID 태그(Tag)의 형상에 따라 상기 RFID 태그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의 유동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태그(Tag)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태그(Tag)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도성 수지 및 금속 파우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료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방법은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RFID 태그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RFID 태그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커버를 장착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는 상기 RFID 태그(Tag)의 형상에 따라 상기 RFID 태그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의 유동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태그(Tag)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태그(Tag)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도성 수지 및 금속 파우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료인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및 전자기파 차단방법에 따르면, 두 장 이상의 교통카드를 지갑 등의 휴대장치에 넣고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자주 발생하는 교통카드 리더(Reader) 장치에서의 오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교통카드에 의해서만 원활한 결재처리가 이루어 질 수 있다. 특히, 사용하지 않는 교통카드에서의 불필요한 오류 발생 및 원하지 않는 결재처리를 미리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RFID 태그, RFID 리더 및 호스트 컴퓨터로 구성된 RFID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100)은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태그(Tag, 110), 태그의 정보에 대한 판독기능을 수행하는 리더(Reader, 12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 130)로 구성되며, 리더와 태그 사이의 통신은 미리 정해진 RF와 세 가지 신호인 데이터(Data), 클록(Clock) 및 에너지(Energy) 신호에 기반을 둔 리퀘스트-리스폰스(request-response)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태그(110)는 각각의 개체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기 위한 소규모의 데이터 저장 영역을 가지며, 제한된 논리 기능을 수행하는 RFID 칩(112)과 안테나(111)로 구성된다. 태그에는 RFID 칩(112)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원과 태그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안테나(111)와 RFID 칩(112)이 연결되어 있다. RFID 태그(110) 안에 내장된 안테나(111)가 리더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면 RFID 태그에 탑재된 RFID 칩(112)이 태그 안의 안테나로부터 공급되는 미세한 전류로 동작되며, RFID 칩(112) 내부의 정보를 무선 신호화하여 리더(120)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태그(110)는 내부의 전원 유무 또는 전력 공급 방식에 따라 수동형 태그, 능동형 태그 및 반 수동형 태그로 구별된다. 수동형 태그는 자체 전원을 갖지 않기 때문에 수동형 태그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전원은 리더를 통해서 받아야 하며 태그 내에는 수백 내지 수천 바이트의 메모리를 갖고 있다. 능동형 태그는 자체 배터리를 가지고 있어서 RFID 칩을 구동할 전원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급받게 된다. 능동형 태그는 내부 전원을 이용함에 따라 수동형 태그보다는 먼 거리의 통신이 가능하며, 센서와 같은 기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수동형 태그에 비해 배터리에 대한 추가적인 부담을 가지게 된다. 반 수동형 태그는 자체 전원을 내장하고 있어 태그의 일부 기능을 리더의 도움 없이 운용한다. 반 수동형 태그는 능동형 송신부를 내장하지 않고 수동형 태그와 같이 리더에서 공급받은 신호를 후 방 산란 변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태그(110)는 응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고 있다. 교통카드와 신용카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카드 형태와 잠금용 나사 구멍이 있는 디스크 형태, 동물의 피부에 주입할 수 있는 유리 태그, 사무실 출입 통제에 적합한 열쇠고리 태그, 상품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종이처럼 얇으며 유연성이 있는 레이블 형태의 태그, 안테나를 칩 상에 집적하여 아주 작은 크기로 구현할 수 있는 코일 온 칩 태그 등의 여러 형태가 있다.
리더(120)는 태그(110)의 정보를 읽어내기 위해 태그와 송수신하는 기기이며, 태그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RFID 리더(120)와 태그(110)는 서로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RFID 리더(120)와 호스트 컴퓨터(130)는 직렬통신(RS-232) 등의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RFID 리더(120)는 고정형, 이동형, PC 카드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안테나 및 RF회로, 변복조기, 실시간 신호처리 모듈 및 프로토콜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된다. 현재 리더는 안테나의 성능 및 주변의 환경에 의해 인식거리, 검출 정확도가 영향을 받아 적용 범위가 제한되는 특성이 있으며 인식 성능을 높이기 위해 2개 내지 4개의 안테나를 사용하고 있으나, 향후 주변 환경에 적응하여 빔을 제어할 수 있는 빔 성형 안테나 기술이 개발될 전망이다. 향후에는 13.56 MHz, 900 MHz, 2.45 GHz 대역이 혼합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중 대역 RF 안테나가 요구될 것이다. 현재는 안테나와 RF 모듈들이 분리되어 있으나 정보기기와 RFID 리더가 통합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호스트 컴퓨터(130)는 리더(120)에서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식별코드 데이터를 수집, 제어, 관리하는 기능을 하며, 모든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계층적으로 조직화되고 분산된 구조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서로 통신한다. 호스트 컴퓨터(130)는 다양한 형태의 리더 인터페이스, 다양한 코드 및 망 연동, 여러 가지 응용 플랫폼에 대해서도 상호 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호스트 컴퓨터(130) 내에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RFID 미들웨어는 RFID 정보가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서 사용되도록 RFID 태그(1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적정한 장소와 적절한 시간에 응용 서비스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RFID 미들웨어에서는 RFID 리더(120)로부터 수집된 정보 중 응용 서비스가 필요한 데이터만 필터링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의 형식 및 전달 조건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이 달라진다. 이것은 다양한 조건에 따른 필터링 방법, 처리 대상 데이터의 양과 동시에 처리되어야 하는 조건의 수 등을 고려하여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손실 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응용 서비스로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기능이 가능해야 한다.
한편, 상기 호스트 컴퓨터 내에서 동작하는 미들웨어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연결해 이들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정의된다. 어플리케이션들을 직접 연결할 경우, 일반적으로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모두에 코드를 추가해 각 어플리케이션이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지시해야만 한다. 반면 미들웨어는 이 대화 과정에서 번역기라는 독립적인 제3자의 역할을 함으로써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코드를 추가하는 엄청난 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한다. 응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미들웨어가 존재하며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RFID 시스템(100)은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비접촉(contactless)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개인 정보나 보안에 대해 취약하다. 바코드 시스템과 비교하여 시야가림에 대한 문제가 없어졌지만, 시야가림의 문제로 인하여 RFID 태그는 항상 읽혀질 준비를 하고 있게 된다. 태그의 소유자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해당하는 정보가 원격으로 취득될 수 있는 등의 프라이버시 침해 요소들이 많다. 이에 프라이버시 침해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에 있다. RFID 보안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태그 내 데이터의 누출이고, 두 번째는 임의의 태그 ID를 추적함으로서 일어날 수 있는 불법 추적행위이다. 일상생활에서 인간들은 다양한 물건을 지니고 다닌다. 그러한 물건들 중 일부는 개인적이며, 타인이 물건이 어떤 것인지 아는 것을 원치 않는 경우도 있다. 만약 그러한 물건들에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소유자의 허락 없이 태그의 내용 정보가 타인에게 유출될 위험을 가지고 있다. RFID 태그에는 많은 정보가 들어있기 때문에 이러한 보안 문제를 고려한다면 RFID 시스템에서 태그에 부여하는 정보의 양은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RFID 태그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RFID 태그(210)는 RFID 칩(212)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수신하고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리더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안테나(211)와 각각의 개체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기 위한 소규모의 데이터 저장 영역을 가지며, 제한된 논리 기능을 수행하는 RFID 칩(212)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안테나(211)와 RFID 칩(212)을 보호하기 위한 하부구조물(213)과 상부구조물(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리더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시에 안테나(211)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클록(Clock) 신호와 에너지(Energy)를 함께 수신하며, 수신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RFID 칩(212)을 구동한다. RFID 칩(212)은 안테나(21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클록에 동기화 시켜 추출한다. 이를 분석하여 리더로 부터의 명령어를 분별한다. 리더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RFID 칩(212)은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수신된 에너지를 후방 산란 방법에 따라 다시 리더로 결과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RFID 리더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RFID 리더(320)는 태그(110)의 정보를 읽어내기 위해 태그와 송수신하는 기기이며, 태그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태그(110)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신부(321)와 수신부(322), 호스트 컴퓨터(130)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태그(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RFID의 리더(320)인 RF 캐리어 신호를 태그(110)에 송신부를 이용하여(321) 송신하고, 신호를 받은 태그는 RF 신호가 들어오면 이것의 진폭 또는 위상을 변조하여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더로 송신한다. 태그로부터의 데이터는 수신부(322)를 통하여 수신되고, 태그로부터 되돌려 받은 변조 신호는 리더의 프로세서(323)에서 복호/복조화되어 태그 정보가 해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RFID 태그 및 차단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장치(400)는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RFID 태그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440); 및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RFID 태그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커버(4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파 차단장치(400)는 상기 상부커버(440)와 하부커버(450)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RFID 태그(Tag)를 넣을 수 있는 홀더(Holder)일 수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440)와 하부커버(450)는 상기 RFID 태그(Tag)의 형상에 따라 상기 RFID 태그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의 유동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태그(Tag)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태그(Tag)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도성 수지 및 금속 파우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료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부는 금속 재질 중에서도 RFID 시스템에 주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차단 특성이 우수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출입통제, 교통카드 등의 전자태그에 주로 사용되는 저주파(125 kHz) 및 고주파(13.56 MHz) 대역과 유통, 물류 분야에 주로 사용되는 극초단파(433 MHz, 900 MHz) 대역에 대한 전자기파 차단 특성이 우수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접착수단과 함께 결합하여 전자태그의 표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전도성 수지 및 금속 파우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페인트 또는 풀과 같이 도료의 형태로 전자태그의 표면에 부착되어 칠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커버(440)와 하부커버(450)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차단부를 이용하여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태그가 리더의 작동 범위 내에 진입하더라도 작동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는 전자태그의 상부 및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전자태그를 밀봉할 수 있으며, 접착수단과 함께 사용되어 전자태그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어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다. 더불어, 전자태그의 표면에 전도성 수지 및 금속 파우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료의 형태로 칠해져서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방법은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RFID 태그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를 장착하는 단계(S510); 및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RFID 태그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커버를 장착하는 단계(S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는 상기 RFID 태그(Tag)의 형상에 따라 상기 RFID 태그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의 유동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태그(Tag)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태그(Tag)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도성 수지 및 금속 파우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료의 형태일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RFID 태그, RFID 리더 및 호스트 컴퓨터로 구성된 RFID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RFID 태그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RFID 리더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RFID 태그 및 차단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 차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태그 111: 안테나
112: RFID 칩 120: 리더
130: 호스트 컴퓨터 321: 송신부
322: 수신부 323: 프로세서
440: 상부커버 450: 하부커버

Claims (13)

  1.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RFID 태그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 및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RFID 태그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커버로 구성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파 차단장치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서로 부착되어 상기 RFID 태그(Tag)를 넣을 수 있는 홀더(Hol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는 상기 RFID 태그(Tag)의 형상에 따라 상기 RFID 태그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의 유동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태그(Tag)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태그(Tag)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도성 수지 및 금속 파우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8.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RFID 태그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RFID 태그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커버를 장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전자기파 차단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는 상기 RFID 태그(Tag)의 형상에 따라 상기 RFID 태그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단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단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금속 성분 및 전도성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의 유동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단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태그(Tag)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단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RFID 태그(Tag)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도성 수지 및 금속 파우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 차단방법.
KR1020090007043A 2009-01-29 2009-01-29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및 전자기파 차단 방법 KR20100087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043A KR20100087957A (ko) 2009-01-29 2009-01-29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및 전자기파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043A KR20100087957A (ko) 2009-01-29 2009-01-29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및 전자기파 차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957A true KR20100087957A (ko) 2010-08-06

Family

ID=4275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043A KR20100087957A (ko) 2009-01-29 2009-01-29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및 전자기파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79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6373A (zh) * 2017-09-19 2018-03-27 浙江大学城市学院 一种圈舍养羊采食饲料的物联网数据采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6373A (zh) * 2017-09-19 2018-03-27 浙江大学城市学院 一种圈舍养羊采食饲料的物联网数据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0172B2 (en) RFID system with distributed transmitters
US7525434B2 (en) RF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nd singulating tagged items
US7561107B2 (en) RFID device with microstrip antennas
CN101145192B (zh) 智能射频标识基础结构和方法
US201103009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 Object Using a Mobile Device
KR100730745B1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952790B2 (en) Strong passive ad-ho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WO2008018945A2 (en) Calibrating interrogator signal strength and/or tag response range setting
WO2007039835A2 (en) Radio tag and system
US20050156039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Bridgelall Enabling mobile commerce through pervasive communications with ubiquitous RF tags
KR101105009B1 (ko) 태그의 위치 인식이 가능한 rfid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태그의 위치 인식방법
US8183981B2 (en) Passive tag with oscillator circuit and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utilizing the same
US84160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s
US9978009B1 (en) RFID antenna structure for increased range when coupled with a mobile device
KR20100087957A (ko) Rfid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단장치 및 전자기파 차단 방법
CN203838734U (zh) 手持式物联网终端
CN203192015U (zh) 一种新型无线射频识别系统
US20090153299A1 (en) Wrapping with Antenna
KR100701124B1 (ko) 단말기와 연동하는 통합 전파 식별 장치 및 시스템
CN110852412A (zh) 一种超高频rfid标签及其生产和装配方法
CN111476335A (zh) Rfid电子标签、rfid芯片及商品
Metras RFID tags for ambient intelligence: present solutions and future challenges
CN210691367U (zh) 一种超高频rfid标签及系统
KR20050099685A (ko) Rf 태그 리더기 겸용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