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190A -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190A
KR20100086190A KR1020090005416A KR20090005416A KR20100086190A KR 20100086190 A KR20100086190 A KR 20100086190A KR 1020090005416 A KR1020090005416 A KR 1020090005416A KR 20090005416 A KR20090005416 A KR 20090005416A KR 20100086190 A KR20100086190 A KR 20100086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hot air
clothes
drying rack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0023B1 (ko
Inventor
김국환
Original Assignee
김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환 filed Critical 김국환
Priority to KR102009000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0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electric heating means, e.g. temperature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는 상부에 힌지 부를 중심으로 그 양쪽에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구조의 빨래걸이 프레임이 설치되고, 하부에 받침 프레임이 접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프레임에 상기 빨래걸이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봉이 설치되고, 상기 빨래걸이 프레임의 중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횡 봉이 형성된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송풍 유닛; 상기 송풍 유닛이 탑재될 수 있도록 상부 외곽에 안착 면이 형성되며, 가운데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탑재 플레이트; 상기 탑재 플레이트의 하부 양쪽에 폴딩/언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탑재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상기 송풍 유닛을 지지하기 위하여 끝단에 절곡 부가 형성되는 거치 대; 및 상기 탑재 플레이트 고정 설치되어 상기 빨래 건조대 전체를 둘러 감싸게 위치되는 스커트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 대의 절곡 부를 상기 빨래 건조대용 횡 봉에 걸쳐서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빨래 건조대, 열풍 건조장치, 탑재 플레이트, 거치 대

Description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Heating-air dryer for laundry dryer}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장착되어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는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기존 모든 빨래 건조대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 건조대는 빨래를 널어 건조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할 때에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구조의 접이식 빨래 건조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접이식 빨래 건조대는 상부에 힌지 부를 중심으로 그 양쪽에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구조의 빨래걸이 프레임이 설치되고, 하부에 받침 프레임이 접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 프레임에는 상기 빨래걸이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빨래걸이 프레임의 중간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횡 봉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빨래만을 널기 위한 구조만을 갖는 빨래 건조대용 경우에는 습도가 높은 여름철이나 매우 추운 겨울철에 빨래가 잘 마르지 않아 사용의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열풍 건조기가 힌지 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빨래 건조대가 본 출원인에 의해서 특허 출원 제2008-62060호로 출원된 바가 있다.
상기 특허는 열풍건조장치가 접철식 빨래 건조대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기존 빨래 건조대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기존 빨래 건조대를 폐기하고, 별도로 상기 열풍건조기가 일체로 구비된 빨래 건조기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빨래 건조대에 쉽게 거치(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빨래 건조대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범용성을 갖는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는 상부에 힌지 부를 중심으로 그 양쪽에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구조의 빨래걸이 프레임이 설치되고, 하부에 받침 프레임이 접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프레임에 상기 빨래걸이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빨래걸이 프레임의 중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횡 봉이 형성된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송풍 유닛; 상기 송풍 유닛이 탑재될 수 있도록 상부 외곽에 안착 면이 형성되며, 가운데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탑재 플레이트; 상기 탑재 플레이트의 하부 양쪽에 폴딩/언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탑재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상기 송풍 유닛을 지지하기 위하여 끝단에 절곡 부가 형성되는 거치 대; 및 상기 탑재 플레이트 고정 설치되어 상기 빨래 건조대 전체를 둘러 감싸게 위치되는 스커트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 대의 절곡 부를 상기 빨래 건조대의 횡 봉에 걸쳐서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재 플레이트의 저 면에는 상기 거치 대의 지지 각도를 다단(多段)으 로 조절하기 위해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탑재 플레이트의 저면 타 측에는 상기 거치대의 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 대의 절곡 부는 거치 홈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 대를 펼쳐서 기존 빨래 건조대에 용이하게 설치(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비자 입장에서는 기존 빨래 건조대는 그대로 사용하고 열풍 건조장치만 구입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단순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거치 대를 접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보관 및 이동하기 매우 편리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탑재 플레이트의 저면 요부 발췌 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빨래 건조대(10)는 상부에 힌지 부(11)를 중심으로 그 양쪽에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구조의 빨래걸이 프레임(12)이 설치되고, 하부에 받침 프레임(13)이 접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 리고, 상기 받침 프레임(13)에 상기 빨래걸이 프레임(12)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봉(14)이 설치되고, 상기 빨래걸이 프레임(12)의 중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횡 봉(15)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100)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와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111)이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송풍 유닛(110); 상기 송풍 유닛(110)이 탑재될 수 있도록 상부 외곽에 안착 면(121)이 형성되며, 가운데에 개구부(123)가 형성되는 탑재 플레이트(120); 상기 탑재 플레이트(120)의 하부 양쪽에 폴딩/언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탑재 플레이트(120) 상에 장착된 상기 송풍 유닛(110)을 지지하기 위하여 끝단에 절곡 부(131)가 형성되는 거치 대(130); 및 상기 탑재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빨래 건조대(10) 전체를 둘러 감싸게 위치되는 스커트(140)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 대(130)의 절곡 부(131)를 상기 빨래 건조대의 횡 봉(15)에 걸쳐서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100)는 종래 발명과는 달리 빨리 건조대(10)와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빨래 건조대(10)의 횡 봉(15)에 거치(장착)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새로 빨래 건조대를 구입할 필요없이 기존 빨래 건조대(10)를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닛(110)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111)이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송풍 구(112)가 형성되 고, 그 송풍 구(112)를 통해서 열풍이 송풍 된다.
상기 탑재 플레이트(120)는 상기 송풍 유닛(110)이 탑재될 수 있도록 상부 외곽에 안착 면(121)이 형성되며, 가운데에 개구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 유닛(110)의 상면 외곽에는 상기 안착 면(121)에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통상의 체결수단, 스크류, 결합 돌기 및 결합홈 등에 의해서 상기 송풍 유닛(110)이 상기 탑재 플레이트(120)에 고정된다. 여기서 통상의 체결수단에 대한 도면 표시는 생략한다.
상기 거치 대(130)는 상기 탑재 플레이트(120)의 하부 양쪽에 폴딩/언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탑재 플레이트(120) 상에 장착된 상기 송풍 유닛(110)을 지지하기 위하여 끝단에 절곡 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 부(131)에는 횡 봉(15)이 삽입되는 거치 홈(133)이 형성된다.
상기 스커트(140)는 상기 탑재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빨래 건조대(10) 전체를 둘러 감싸게 위치된다.
상기 탑재 플레이트(120)의 저면 일 측에는 상기 거치 대(130)의 지지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하기 위해 스토퍼(127)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27)는 다단의 홈(128)이 형성되어 그 홈(128) 안으로 거치 대(130)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탑재 플레이트(120)의 저면 타 측에는 상기 거치대(130)의 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 돌기(1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27)에 의해서 열풍 건조기(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걸림 돌기(12)에 의해서 상기 거치대(130)는 폴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의 조립 및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탑재 플레이트(120)의 안착 면(121)에 상기 송풍 유닛(110)을 안착시키고, 통상의 체결수단으로 고정한다. 그 다음, 상기 거치 대(130)를 적당한 폭으로 벌린다. 이때 스토퍼(127)에 의해서 상기 거치대(130)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 다음, 거치대(130)의 절곡 부(131)에 형성된 거치 홈(133) 안으로 상기 빨래 건조대(10)의 횡 봉(15)이 삽입되도록 상기 열풍 건조장치(100)를 빨래 건조대(10) 위에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스커트(140)는 상기 탑재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빨래 건조대(10) 전체를 둘러 감싸게 위치된다.
열풍 건조장치(1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송풍 유닛(110)을 구동하여 빨래 건조대(10)에 있는 빨래를 건조한다.
열풍 건조장치(10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고자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상기 탑재 플레이트(120)에서 상기 스커트(140)를 분리하고, 상기 거치대(130)를 접는다(폴딩 한다).
거치 대(130)를 완전히 폴딩 한 후에는, 상기 스토퍼(127)에 의해서 거치 대(130)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전체 부피가 대폭 줄어들어 보관하기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 대를 펼쳐서 기존 빨래 건조대에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비자 입장에서는 기존 빨래 건조대는 그대로 사용하고 열풍 건조장치만 구입하면 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단순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거치대를 접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보관 및 이동하기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탑재 플레이트의 저면 요부 발췌도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설명
100: 열풍 건조장치
110: 송풍 유닛
110': 하우징
111: 송풍 팬
112: 송풍 구
120: 탑재 플레이트
121: 안착 면
123: 개구부
127: 스토퍼
128: 다단의 홈
130: 거치 대
131: 절곡 부
133: 거치 홈
140: 스커트

Claims (3)

  1. 상부에 힌지 부를 중심으로 그 양쪽에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구조의 빨래걸이 프레임이 설치되고, 하부에 받침 프레임이 접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프레임에 상기 빨래걸이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봉이 설치되고, 상기 빨래걸이 프레임의 중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횡 봉이 형성된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송풍 유닛;
    상기 송풍 유닛이 탑재될 수 있도록 상부 외곽에 안착 면이 형성되며, 가운데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탑재 플레이트;
    상기 탑재 플레이트의 하부 양쪽에 폴딩/언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탑재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상기 송풍 유닛을 지지하기 위하여 끝단에 절곡 부가 형성되는 거치 대; 및
    상기 탑재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빨래 건조대 전체를 둘러 감싸게 위치되는 스커트;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 대의 절곡 부를 상기 빨래 건조대의 횡 봉에 걸쳐서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플레이트의 저면 일 측에는 상기 거치 대의 지지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하기 위해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탑재 플레이트의 저면 타 측에는 상기 거치대의 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대의 절곡 부는 거치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KR1020090005416A 2009-01-22 2009-01-22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KR101090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416A KR101090023B1 (ko) 2009-01-22 2009-01-22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416A KR101090023B1 (ko) 2009-01-22 2009-01-22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190A true KR20100086190A (ko) 2010-07-30
KR101090023B1 KR101090023B1 (ko) 2011-12-05

Family

ID=4264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416A KR101090023B1 (ko) 2009-01-22 2009-01-22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0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50Y1 (ko) * 2009-04-06 2012-06-15 주식회사 하우더 접이식 빨래 건조대의 절첩구조
CN103276570A (zh) * 2013-05-22 2013-09-04 王辉 红外电热折叠晾衣架
KR101368656B1 (ko) * 2011-04-13 2014-03-04 김국환 세탁물 건조용 송풍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열풍 건조장치
KR20210115459A (ko) 2020-03-13 2021-09-27 (주)코로닉스 세탁물 건조대에 구비되는 건조기
KR20220011372A (ko) 2020-07-21 2022-01-28 (주)코러싱 열풍 건조가 가능한 빨래 건조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840Y1 (ko) * 2005-06-02 2005-08-30 황미화 빨래 건조기
KR100882242B1 (ko) * 2008-06-12 2009-02-06 김국환 열풍 건조장치가 구비된 접철식 빨래 건조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50Y1 (ko) * 2009-04-06 2012-06-15 주식회사 하우더 접이식 빨래 건조대의 절첩구조
KR101368656B1 (ko) * 2011-04-13 2014-03-04 김국환 세탁물 건조용 송풍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열풍 건조장치
CN103276570A (zh) * 2013-05-22 2013-09-04 王辉 红外电热折叠晾衣架
KR20210115459A (ko) 2020-03-13 2021-09-27 (주)코로닉스 세탁물 건조대에 구비되는 건조기
KR20220011372A (ko) 2020-07-21 2022-01-28 (주)코러싱 열풍 건조가 가능한 빨래 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023B1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023B1 (ko) 빨래 건조대용 열풍 건조장치
US10151059B1 (en) Clothes dryer
KR101118088B1 (ko) 빨래 건조대
EP1629148A1 (en) Improved rack
KR101368656B1 (ko) 세탁물 건조용 송풍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열풍 건조장치
US6363627B1 (en) Clothes dryer
KR20130136894A (ko) 열풍 건조장치가 구비된 빨래 건조대
KR20090000074U (ko) 건조대 겸용 행거 구조
KR100966023B1 (ko)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 겸용 옷걸이대
JP4938818B2 (ja) 洗濯物乾燥用熱風乾燥装置
KR101896658B1 (ko) 조립된 상태로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한 빨래 건조가 가능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100882242B1 (ko) 열풍 건조장치가 구비된 접철식 빨래 건조대
TWM394334U (en) Easily detached and assembled drying device
KR100958160B1 (ko) 세탁물 건조장치
CN210262380U (zh) 多功能晾衣架
CN210797010U (zh) 一种除皱烘衣机
KR20120120103A (ko) 다용도 건조대
CN219199777U (zh) 一种多功能暖风烘干机
KR101687148B1 (ko) 수평유지장치가 구비된 빨래 건조대
KR101291733B1 (ko) 빨래건조대
CN212698675U (zh) 一种主机内嵌的烘干装置
KR20160024115A (ko) 대차형 건조기
KR20000008465U (ko) 빨래 건조대
KR101487428B1 (ko) 노출식 빨래 건조대
CN212698676U (zh) 一种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