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891A -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891A
KR20100085891A KR1020100056521A KR20100056521A KR20100085891A KR 20100085891 A KR20100085891 A KR 20100085891A KR 1020100056521 A KR1020100056521 A KR 1020100056521A KR 20100056521 A KR20100056521 A KR 20100056521A KR 20100085891 A KR20100085891 A KR 20100085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nonwoven fabric
water treatment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8415B1 (ko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신아에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아에이티(주) filed Critical 신아에이티(주)
Priority to KR102010005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4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8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수처리용 필터의 상부 케이스의 윗면에 위치하는 부직포케이스 내부에 부직포를 장착함으로써, 원수에서 흘러들어오는 이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고 필터 내부의 여재가 일시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처리용 필터의 상부 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필터케이스 밑판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의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열고 닫음이 용이하고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공기를 차단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막으며, 필터의 밑판 케이스의 바닥면에 하나 혹은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샤워기, 연수기 등에 적용될 경우 샤워 플레이트와 공간을 형성하여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콜라겐, 키토산, 한천, 알로에 폴리페놀, 케라틴, 비타민E(토코페놀), 펜테놀, 알부틴, 네츄럴베타인, 캐비어와 같은 미용용 여재나 프로폴리스, 어성초, 녹차, 살구씨, 녹두, 쌀겨, 산수유, 석류, 구절초, 백지, 창포, 상백피, 천궁, 약쑥의 추출물과 같은 천연재료 혹은 한방재료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를 충진시켜 목욕 또는 세안시 원수에 미용용 여과재 재료가 용출되어 미백, 보습, 주름방지, 피부탄력강화, 항산화, 항염, 모발보호, 수분 공급 및 영양공급과 같은 미용수로서의 기능을 부여하며,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비타민C를 충진시켜 원수의 소독에 사용되는 잔류염소를 제거할 수 있고,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향료를 충진시켜 원수에 특유의 향을 부여하여 각종 증상에 따른 아로마 테라피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으며,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가 겔, 과립형, 고체형 또는 분말상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를 분말상태로만 혼합, 배합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하고, 수분함량이 적어 유통기간이 길며, 여과재의 변질이 잘 일어나지 않고, 운송 중 기압차에 의한 외부 유출이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Process method of water treatment filter of the including beauty function}
본 발명은 수처리용 필터의 상부 케이스의 윗면에 위치하는 부직포케이스 내부에 부직포를 장착함으로써, 원수에서 흘러들어오는 이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필터 내부의 여재가 일시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처리용 필터의 상부 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필터케이스 밑판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의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열고 닫음이 용이하며,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공기를 차단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막고, 필터의 밑판 케이스의 바닥면에 하나 혹은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샤워기, 연수기 등에 적용될 경우 샤워 플레이트와 공간을 형성하여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콜라겐, 키토산, 한천, 알로에, 폴리페놀, 케라틴, 비타민E(토코페놀), 펜테놀, 알부틴, 네츄럴베타인, 캐비어와 같은 미용용 여재나 프로폴리스, 어성초, 녹차, 살구씨, 녹두, 쌀겨, 산수유, 석류, 구절초, 백지, 창포, 상백피, 천궁, 약쑥의 추출물과 같은 천연재료 혹은 한방재료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를 충진시켜 목욕 또는 세안시 원수에 미용용 여과재 재료가 용출되어 미용수로서의 기능을 부여하며,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비타민C를 충진시켜 원수의 소독에 사용되는 잔류염소를 제거할 수 있고,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알로에를 충진시켜 미백의 기능을 부여하며,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가 겔, 과립형, 고체형 또는 분말상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를 분말상태로만 혼합, 배합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하고, 수분함량이 적어 유통기간이 길며, 여과재의 변질이 잘 일어나지 않고, 운송 중 기압차에 의한 외부 유출이 없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세안 및 목욕용수로 사용하는 물의 경우 정수장 등에서 선 처리한 물을 가정에서 바로 사용하거나 원풀, 연수기 등의 후처리를 거쳐 사용한 후 별도의 바디 케어 및 모발 보호제를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돗물은 정수처리시설에서 염소 성분을 투입하여 소독하고 있으며, 이렇게 소독 처리된 원수는 가정 또는 산업현장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도 소량의 염소가 잔류하여 수도관 또는 유입단계에서의 유해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지만, 원수 내에 용해된 잔류염소는 수돗물 특유의 냄새를 유발하여 사용자에게 혐오감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민감한 피부와 반응하여 각종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게 되며, 트릴할로메탄 등과 같은 발암물질의 발생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수돗물 내의 잔류염소는 원수의 소독처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기는 하지만, 결과적으로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잔류염소를 완전히 제거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연수기, 샤워기, 비데, 수도용 수전, 씽크대용 수전, 변기, 세탁기, 가습기, 바디샤워기, 원풀형 욕조, 스파기능이 내장된 욕조 등과 같은 수처리 제품에는 각종 수처리용 필터가 장착되어 사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용 필터는 잔류염소 제거 효율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그 사용수명이 매우 짧은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원수에서 흘러들어오는 이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고,필터 내부의 여재가 일시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열고 닫음이 용이하며,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공기를 차단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막고,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미용수로서의 기능을 부여하며, 원수의 소독에 사용되는 잔류염소를 제거할 수 있고, 미백의 기능을 부여하며, 여과재가 겔, 과립형, 고체형 또는 분말상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를 분말상태로만 혼합, 배합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하고, 수분함량이 적어 유통기간이 길며, 여과재의 변질이 잘 일어나지 않고, 운송 중 기압차에 의한 외부 유출이 없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수처리용 필터의 상부 케이스의 윗면에 위치하는 부직포케이스 내부에 부직포를 장착함으로써, 원수에서 흘러들어오는 이물질을 차단시킬 수 있고, 필터 내부의 여재가 일시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처리용 필터 상부 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필터케이스 밑판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의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열고 닫음이 용이하고,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공기를 차단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막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의 밑판 케이스의 바닥면에 하나 혹은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샤워기 적용될 경우 샤워 플레이트와 공간을 형성하여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연수기, 비데, 수도용 수전, 씽크대용 수전, 변기, 세탁기, 가습기, 바디샤워기, 원풀형 욕조, 스파기능이 내장된 욕조 등과 같은 수처리 제품에는 유로 혹은 별도의 케이스에 장착하여 미용용 용재가 미량씩 용출되어 미용수로서의 기능을 부여하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콜라겐, 키토산, 한천, 알로에, 폴리페놀, 케라틴, 비타민E(토코페놀), 펜테놀, 알부틴, 네츄럴베타인, 캐비어와 같은 미용용 여재나 프로폴리스, 어성초, 녹차, 살구씨, 녹두, 쌀겨, 산수유, 석류, 구절초, 백지, 창포, 상백피, 천궁, 약쑥의 추출물과 같은 천연재료 혹은 한방재료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를 충진시켜 목욕 또는 세안시 원수에 미용용 여과재 재료가 용출되어 미용수로서의 기능을 부여하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비타민을 충진시켜 원수의 소독에 사용되는 잔류염소를 제거할 수 있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알로에를 충진시켜 미백의 기능을 부여하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가 겔, 과립형, 고체형 또는 분말상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를 분말상태로만 혼합, 배합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하고, 수분함량이 적어 유통기간이 길며, 여과재의 변질이 잘 일어나지 않고, 운송 중 기압차에 의한 외부 유출이 없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은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향료의 원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혼합하여 과립형, 고체형, 분말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향료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물에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용해된 용액을 겔화제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부직포케이스에 부직포를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케이스를 필터의 상부케이스에 융착 또는 사출금형, 억지끼움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필터의 밑판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형 또는 초음파 융착, 열융착 중에서 어느 하나로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은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향료, 겔화제의 원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향료, 겔화제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원료 또는 혼합된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부직포케이스에 부직포를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케이스를 필터의 상부케이스에 융착 또는 사출금형한 후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필터의 밑판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은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향료, 겔화제의 원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과립형, 고체형, 분말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비타민C를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용해된 용액을 콜라겐, 키토산, 한천, 알로에, 방부제, 향료, 겔화제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부직포케이스에 부직포를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케이스를 필터의 상부케이스에 융착 또는 사출금형한 후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필터의 밑판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교반하는 단계에서 유화제, 겔화보조제, 보존제, 산미제, 현탁화제, 감미제, 산화방지제, 안정제, 미용재료(폴리페놀, 케라틴, 비타민E, 펜테놀, 알부틴, 네추럴베타인), 한방재료(프리폴리스, 어성초, 녹차, 약쑥의 추출물)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더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은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향료의 원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혼합, 배합하여 과립형, 고체형, 분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드는 단계와; 부직포케이스에 부직포를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케이스를 필터의 상부케이스에 융착 또는 사출금형, 억지끼움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한 후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필터의 밑판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형 또는 초음파 융착, 열융착 중에서 어느 하나로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첫째, 본 발명은 수처리용 필터 상부 케이스의 윗면에 위치하는 부직포케이스 내부에 부직포를 장착함으로써, 원수에서 흘러들어오는 이물질을 차단시키고, 필터 내부의 여재가 일시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용기능을 갖는다.
둘째, 본 발명은 수처리용 필터 상부 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필터케이스 밑판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의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열고 닫음이 용이하고,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공기를 차단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막는 미용기능을 갖는다.
셋째, 본 발명은 필터의 밑판 케이스의 바닥면에 하나 혹은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샤워기, 연수기 등에 적용될 경우 샤워 플레이트와 공간을 형성하여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콜라겐, 키토산, 한천, 알로에, 폴리페놀, 케라틴, 비타민E(토코페놀), 펜테놀, 알부틴, 네츄럴베타인, 캐비어와 같은 미용용 여재나 프로폴리스, 어성초, 녹차, 살구씨, 녹두, 쌀겨, 산수유, 석류, 구절초, 백지, 창포, 상백피, 천궁, 약쑥의 추출물과 같은 천연재료 혹은 한방재료, 비타민C, 방부제, 겔화제, 향료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를 충진시켜 목욕 또는 세안시 원수에 미용용 여과재 재료가 용출되어 미용수로서의 기능을 부여한다.
다섯째, 본 발명은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비타민C을 충진시켜 원수의 소독에 사용되는 잔류염소를 제거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가 겔, 과립형, 고체형 또는 분말상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수처리용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를 분말상태로만 혼합, 배합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하고, 수분함량이 적어 유통기간이 길며, 여과재의 변질이 잘 일어나지 않고, 운송 중 기압차에 의한 외부 유출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상부 케이스와 밑판 케이스가 결합된 측면 단면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를 구성하는 부직포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상부 케이스와 밑판 케이스가 분리된 측면 단면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가 장착되어 적용되는 분해된 샤워기의 헤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상부 케이스와 밑판 케이스가 결합된 측면 단면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를 구성하는 부직포케이스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상부 케이스와 밑판 케이스가 분리된 측면 단면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가 장착되어 적용되는 분해된 샤워기의 헤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70)의 구조는 원수가 단수 또는 복수개의 통공을 통해 부직포케이스(20)를 통과하여 유입되어 여과제(50)와 접촉된 후 상기 통공(11)을 통해 유출되는 유입구(13)와 유출구(14)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양쪽 측면 하단부에 홈(12)이 형성되어 필터 밑판 케이스(4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41)가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필터의 상부 케이스(10)와; 상기 필터의 상부 케이스(10)의 윗면에 위치하며, 부직포(30)가 장착되는 부직포케이스(20)와; 상기 부직포케이스(20) 내부에 장착되어 원수에서 흘러들어오는 이물질을 차단시키고, 필터 내부의 여재가 일시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직포(30)와; 상기 필터의 상부 케이스(10)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12)에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41)가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의 형태로 고정되어 필터케이스(60)의 열고 닫음이 용이하며,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공기를 차단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막고, 필터의 밑판 케이스의 바닥면에 하나 혹은 다수개의 돌기(42)가 형성되어 있는 필터의 밑판 케이스(40)와; 상기 필터의 상부 케이스(10)와 필터의 밑판 케이스(40) 사이에 콜라겐, 키토산, 한천, 알로에, 폴리페놀, 케라틴, 비타민E(토코페놀), 펜테놀, 알부틴, 네츄럴베타인, 캐비어와 같은 미용용 여재나 프로폴리스, 어성초, 녹차, 살구씨, 녹두, 쌀겨, 산수유, 석류, 구절초, 백지, 창포, 상백피, 천궁, 약쑥의 추출물과 같은 천연재료 혹은 한방재료,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겔화제, 향료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로 충진되는 겔, 과립형, 고체형 또는 분말상태의 여과재(여재)(50); 로 구성된다.
대표적인 여재의 형상별 제조 방법
형 상 제조 방법
분말형 미용용 여재와 부합제를 일정 크기로 분쇄 및 혼합
과립형 ①미용용 여재와 부합제에 물 또는 유무기 접합제를 넣고 혼합하여 구슬모양으로 성형
②미용용 여재와 부합제에 물 또는 유무기 접합제를 넣고 혼합한 후 압출하여 일정크기로 절단
고체형 미용용 여재와 부합제를 단독 또는 물이나 유무기 접합제를 넣고, 혼합하여 금형을 사용하여 압축 성형
겔형 미용용 여재와 부합제를 물에 녹여 겔을 형성하여 바로 사용하거나 숙성하여 사용
여기서,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과립형, 고체형 및 분말형에서는 미용용 여재와 부합제를 일정 크기로 분쇄 및 혼합하는 공정이 수반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70)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하였으며,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70)를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필터의 상부 케이스(10)는 원수가 단수 또는 복수개의 통공을 통해 부직포케이스(20)를 통과하여 유입되어 여과제(50)와 접촉된 후 상기 통공(11)을 통해 유출되는 유입구(13)와 유출구(14)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양쪽 측면 하단부에 홈(12)이 형성되어 필터 밑판 케이스(4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41)가 끼워져 고정되게 한다.
상기 부직포케이스(20)는 상기 필터의 상부 케이스(10)의 윗면에 위치하며, 부직포(30)가 장착된다.
상기 부직포(30)는 상기 부직포케이스(20) 내부에 장착되어 원수에서 흘러들어오는 이물질을 차단시키고, 필터 내부의 여재가 일시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30)가 부직포케이스(20)가 장착되는 것은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 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이다.
상기 필터의 밑판 케이스(40)는 상기 필터의 상부 케이스(10)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12)에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41)가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의 형태로 고정되어 필터케이스(60)의 열고 닫음이 용이하며,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공기를 차단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막고, 필터의 밑판 케이스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의 밑판 케이스(40)는 필터의 상부 케이스(10)와 후크의 구조로 체결되지만, 초음파 융착이나 열융착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필터의 밑판 케이스(40)의 바닥면에 하나 혹은 다수개의 돌기(42)가 형성되어 샤워기, 연수기 등에 적용될 경우 샤워 플레이트(81)와 공간(81-1)을 형성하여 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여과재(여재)(50)는 상기 필터의 상부 케이스(10)와 필터의 밑판 케이스(40) 사이에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 알로에, 방부제, 겔화제, 향료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로 충진되는 겔, 과립형, 고체형 또는 분말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콜라겐은 섬유성 단백질의 일종으로 1000개의 아미노산이 모여 길이 300nm, 굵기 1.5nm의 가늘고 긴 띠를 만들고, 이 띠 3개가 새끼줄처럼 꼬여 콜라겐 분자를 만드는데, 사람의 몸에서는 장기를 감싸는 막, 관절연골, 눈의 각막, 뼈와 피부 등에 주로 존재하며, 인체 각 부위에 다량 함유되어 세포와 세포를 연결하는 고리 같은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며, 피부의 윤기와 탄력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보통 아기들의 온몸이 매끌매끌한 것은 체내에 콜라겐이 가장 많은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18세 이후부터는 콜라겐의 생산이 감소해 탄력과 윤기가 없어지고 주름, 검버섯, 기미 등이 생기게 된다. 또한 40세가 되면 콜라겐은 18세에 비해 절반 이하가 되면서 뼈와 관절이 약해질 뿐 아니라 혈관과 머리카락까지 영향을 주므로 결국 얼굴은 주름지고 머리카락은 가늘어지며 무릎과 허리가 아파오면서 노화가 진행되는 것이다. 콜라겐의 종류에는 돼지나 소와 같은 동물에서 추출하는 동물성 콜라겐, 해양이나 생선에서 추출하는 마린콜라겐, 식물에서 추출하는 식물 콜라겐이 있으며, 펩타아제, 알카라이제와 같은 단백질분해효소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저하시켜 제조한 콜라겐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단백질은 물에 용해되지 않기에 펩타이드화와 같은 공정을 거쳐 수용성 콜라겐으로 제조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비타민C와 병행하여 사용하여야만 체내에서 아미노산으로 변하지 않고, 흡수율이 배가 된다. 비타민 C는 콜라겐 합성에 중요한 요소로서, 콜라겐 사이의 결합을 형성하여 결합의 안정성과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합이 없을 때 콜라겐은 생성되더라도 분해효소(collagenase)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 때 비타민C의 경우는 천연 혹은 합성 비타민C를 사용하며, 순수 비타민C는 공기, 물, 빛에 쉽게 산화하기 때문에 비타민C를 캡슐화 및 콤플렉스화, 나노화하여, 안정성과 흡수성을 높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키토산은 천연 추출물로 독성이 없고, 생체 친화성이 우수하며, 면역증강과 장내 대사 및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이 우수하고, 항균작용, 보습작용은 물론 아토피에 효과가 있다.
상기 한천은 저분자 한천으로서, 항산화작용이 우수하고, 항 관절염과 혈당저하의 효과가 우수하며, 미백, 항균작용, 보습작용은 물론 아토피에 효과가 있다. 상기 겔화제는 ARONVIS-S, KELTROL F, 쟁탄껌, 젤란껌, 밀납, 타보모940, 카라기난, 로커스트 콩 검, 구아검, 산탄검, 타마린드검, 한천, 글루코만난, 펙틴, 젤라틴, 키틴, 키토산, 알긴산, 나타드코코, 펩틴, 전분, 올리고당, 다당, 아라비아검, 잔탄검, 카제인나트륨, 왁스류 등의 겔화 및 점도를 향상시키는 성능이 있는 천연 혹은 합성의 겔화제를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미용용 여재와 효능
성 분 효 능
콜라겐 피부 노화 방지, 탄력강화, 수분유지
히야루론산 보습
D펜테놀 보습, 습윤, 연화
네츄럴베타인 피부와 모발에 유연성과 탄력을 줌, 보습
바이오플라센타 보습, 탄력
스쿠알란 주름과 노화방지
알부틴 미백
세라마이드 피부에 방어막을 형성
비타민E 기미, 주름, 피부건조등 피부 노화 방지
케라틴 모발코팅, 보호
코엔자임Q10 기미, 주름, 피부건조등 피부 노화 방지
폴리페놀 항산화 기능
프리폴리스 항염, 항산화, 면역력 강화
리피듀어 보습
모이스틴 보습
레티놀 주름 감소, 탄력강화
캐비어 피부재생, 주름, 탄력개선, 노화방지, 수분 및 영양공급
나트로틱스 항상화, 항염, 보습
플라센타 자율 신경이나 호르몬 밸런스의 정상화, 면역력을 높이는 작용, 세포나 조직의 활성을 향상시키는 작용
화이텐스 기미, 노화에 의한 검버섯, 임신시 나타나는 피부의 옅은 갈색반점 호르몬 제제
실크아미노산 피부의 보습, 유연 작용과 모발에 보습을 줌
비타민C 피부 미백과 주름개선
살구씨 잔주름, 기미, 잡티, 주금깨 예방, 미백효과
녹두 항염, 기미, 미백효과
쌀겨 윤조, 잔주름, 주금깨 예방, 미백효과
당귀 피부탄력, 노화방지
천궁 피부조직 재생, 각질제거, 피부진정
감초 피부진정, 소염
구기자 피부 영양 공급
국화 피부진정, 보습
녹차 수렴, 항균, 피지제거
삼백초 피부염, 여드름, 피부를 부드럽게 함
솔잎 피지제거, 노화방지, 기미제거
기미, 노화, 습진, 소염, 소독
어성초 항균, 해독, 염증성 피부질환
오트밀 각질, 여드름, 피지제거
율피 잡티, 기미제거, 미백, 노화방지
석류 노화방지, 기미 제거
알로에 미백, 보습
키토산 항균, 보습
한천 항균, 보습
상술한 바와 같이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70)는 도 5에 도시한 분해된 샤워기의 헤드(80)에 장착되어 적용되는 것이고, 이는 하나의 일실시예를 든 것에 불과하며, 상기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70)는 연수기, 샤워기, 비데, 수도용 수전, 씽크대용 수전, 변기, 세탁기, 가습기, 바디샤워기, 원풀형 욕조, 스파 기능이 내장된 욕조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되는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단계 S1은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 알로에, 방부제, 향료의 원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혼합하여 과립형, 고체형, 분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든다. 다음 단계 S2에서는 상기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 알로에, 방부제, 향료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물에 혼합하여 희석시킨다. 이후 단계 S3에서는 상기 희석된 용액을 겔화제에 투입하여 교반한다. 이후 단계 S4에서는 부직포케이스에 부직포를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한다. 다음 단계 S5에서는 상기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케이스를 필터의 상부케이스에 융착 또는 사출금형한 후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한다. 이후 단계 S6에서는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필터의 밑판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되는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단계 S10은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 알로에, 방부제, 향료, 겔화제의 원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과립형, 고체형, 분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든다. 다음 단계 S20에서는 상기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 알로에, 방부제, 향료, 겔화제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혼합한다. 이후 단계 S30에서는 상기 하나의 원료 또는 혼합된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여 교반한다. 이후 단계 S40에서는 부직포케이스에 부직포를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한다. 다음 단계 S50에서는 상기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케이스를 필터의 상부케이스에 융착 또는 사출금형한 후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한다. 이후 단계 S60에서는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필터의 밑판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되는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단계 S100은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 알로에, 방부제, 향료, 겔화제의 원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과립형, 고체형, 분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든다. 다음 단계 S200에서는 상기 비타민을 물에 희석시킨다. 이후 단계 S300에서는 상기 희석된 용액을 콜라겐, 키토산, 한천, 알로에, 방부제, 향료, 겔화제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에 투입하여 교반한다. 이후 단계 S400에서는 부직포케이스에 부직포를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한다. 다음 단계 S500에서는 상기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케이스를 필터의 상부케이스에 융착 또는 사출금형한 후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한다. 이후 단계 S600에서는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필터의 밑판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교반하는 단계(S3, S30, S300)에서 유화제, 겔화보조제, 보존제, 산미제, 현탁화제, 감미제, 산화방지제, 안정제, 미용재료(폴리페놀, 케라틴, 비타민E, 펜테놀, 알부틴, 네추럴베타인), 한방재료(프리폴리스, 어성초, 녹차, 약쑥의 추출물)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더 투입하여 교반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되는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단계 S1-1은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 알로에, 방부제, 향료의 원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혼합, 배합하여 과립형, 고체형, 분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든다. 다음 단계 S2-1에서는 부직포케이스에 부직포를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한다. 다음 단계 S3-1에서는 상기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케이스를 필터의 상부케이스에 융착 또는 사출금형한 후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한다. 이후 단계 S4-1에서는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필터의 밑판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발명의 수처리용 필터와 종래의 필터를 비교한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먼저, 다음의 표 3은 분말 상태의 비타민C(55 wt%) 및 콜라겐(40 wt%)이 분말형태로 충전된 필터가 샤워기에 적용된 경우와 종래의 샤워기용 비타민C를 적용한 경우에 나타나는 잔류염소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본원발명 종래
통수량(ℓ) 7,800 2,200
1. 원수조건 : 8.0ℓ/min, 12.2℃ 1.0kgf/cm2, 잔류염소 1.0mg/ℓ
2. 종래에 적용되는 분말형태의 비타민C 첨가량 : 30g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필터가 적용된 경우가 종래의 필터가 적용된 경우를 비해 잔류염소 제거율에서 약 3.5배 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의 표 4는 분말 상태의 비타민C(55 wt%) 및 콜라겐(40 wt%)이 분말형태로 충전된 필터가 샤워기에 적용된 경우에 나타나는 단백질 잔류량을 나타낸 결과이다.
통수량(L) 단백질잔류량(ppm) 통수량(L) 단백질잔류량(ppm)
200 8.74 4800 9.53
600 9.02 5200 9.62
1000 9.32 5600 9.41
1400 10.14 6000 9.72
1800 9.85 6200 9.65
2200 10.23 6400 9.58
2600 9.62 6600 9.54
3000 9.41 6800 9.18
3400 9.48 7000 9.08
3600 9.53 7200 9.38
4000 9.65 7400 9.22
4400 9.47 7600 9.16
4600 9.51 7800 9.09
1. 원수조건 : 8.0ℓ/min, 17.4℃ 1.0kgf/cm2, 잔류염소 1.0mg/ℓ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로부터, 콜라겐의 단백질이 유출되므로 미용수의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의 경우 비타민 C의 함량은 물의 토출량과 물중의 염소함량 및 비타민 C의 토출량을 계산하여 설정하였는데, 하나의 카트리지(필터) 당 비타민 C의 함량은 30 내지 6wt0%, 콜라겐 펩타이드의 함량은 20 내지 30wt%, 알긴산 나트륨은 1 내지 5wt%, 아미노산의 함량은 5 내지 10wt%, 기타 구아껌 등의 함량은 14 내지 25wt%의 비율를 형성하도록 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카트리지(필터) 내부 충진물을 비타민C와 고분자물질인 알긴산나트륨, 구아검 및 물의 연수기능, 피부보호 등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콜라겐 펩타이드 분말을 일정비율로 혼합되어야 한다. 비타민의 양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에는 카트리지 내에 유입된 물에 의해서 빨리 용해되고, 알긴산 나트륨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비타민의 용해속도가 현저히 떨어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수도수의 유속과 유량에 따라 비타민과 알긴산 나트륨의 적절한 혼합비가 요구되며, 상기의 충진물에 사용하는 사람의 기호나 목적에 따라 라벤더, 카모마일, 페파민트, 쑥 등의 향치료 효과를 갖는 아로마 성분 또는 녹차 추출물을 혼합하여 또 다른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비타민 C가 물에 용해되면 안전성이 떨어져 비타민C의 염소소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콜라겐 펩타이드를 사용함과 동시에 아미노산을 적당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은 비타민이 물에 조금씩 녹이는 종래의 필터와는 달리 투명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분말 상태의 내용물을 채워 넣음으로써, 별도의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경화제에 의한 연수기능 저하 없기 때문에 연수기와 함께 사용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필터의 상부 케이스 20 : 부직포케이스
30 : 부직포 40 : 필터 밑판 케이스
50 : 여과재(또는 콜라겐 필터) 60 : 필터케이스
70 : 수처리용 필터 80 : 샤워기용 헤드
11 : 통공 12 : 홈
13: 유입구 14 : 유출구
41, 42 : 돌기 81 : 샤워 플레이트
81-1 : 공간

Claims (5)

  1.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향료의 원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혼합, 배합하여 과립형, 고체형, 분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향료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물에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용해된 용액을 겔화제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부직포케이스에 부직포를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케이스를 필터의 상부케이스에 융착 또는 사출금형, 억지끼움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한 후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필터의 밑판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형 또는 초음파 융착, 열융착 중에서 어느 하나로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
  2.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향료, 겔화제의 원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과립형, 고체형, 분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향료, 겔화제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원료 또는 혼합된 혼합물을 물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부직포케이스에 부직포를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케이스를 필터의 상부케이스에 융착 또는 사출금형, 억지끼움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한 후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필터의 밑판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형 또는 초음파 융착, 열융착 중에서 어느 하나로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
  3.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향료, 겔화제의 원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과립형, 고체형, 분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비타민C를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용해된 용액을 콜라겐, 키토산, 한천, 알로에, 방부제, 향료, 겔화제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부직포케이스에 부직포를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케이스를 필터의 상부케이스에 융착 또는 사출금형, 억지끼움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한 후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필터의 밑판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형 또는 초음파 융착, 열융착 중에서 어느 하나로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
  4. 상기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하는 단계에서 유화제, 겔화보조제, 보존제, 산미제, 현탁화제, 감미제, 산화방지제, 안정제, 미용재료(폴리페놀, 케라틴, 비타민E, 펜테놀, 알부틴, 네추럴베타인), 한방재료(프리폴리스, 어성초, 녹차, 약쑥의 추출물)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더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
  5.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콜라겐, 키토산, 한천, 비타민C, 알로에, 방부제, 향료의 원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혼합, 배합하여 과립형, 고체형, 분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드는 단계와;
    부직포케이스에 부직포를 초음파 융착, 열융착, 인서트 사출금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케이스를 필터의 상부케이스에 융착 또는 사출금형, 억지끼움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부착한 후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 내부에 여과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의 상부케이스의 양쪽 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홈에 필터의 밑판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형 또는 초음파 융착, 열융착 중에서 어느 하나로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
KR1020100056521A 2010-06-15 2010-06-15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 KR101058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21A KR101058415B1 (ko) 2010-06-15 2010-06-15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21A KR101058415B1 (ko) 2010-06-15 2010-06-15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454A Division KR20090119417A (ko) 2008-05-16 2008-05-16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구조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891A true KR20100085891A (ko) 2010-07-29
KR101058415B1 KR101058415B1 (ko) 2011-08-24

Family

ID=4264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521A KR101058415B1 (ko) 2010-06-15 2010-06-15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4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181A (ko) * 2020-05-21 2021-11-30 유비에스아이엔씨 주식회사 천연 한방원료를 포함하는 샤워필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헤드 구조
KR20230016399A (ko) 2021-07-26 2023-02-02 주식회사 케이엔텍 자동충진이 용이한 유동성 샤워용 겔 필터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56Y1 (ko) * 2012-06-08 2014-11-05 주식회사 피코그램 더블 체크밸브방식의 기능성 필터 카트리지 및 이를 장착한 필터 하우징
KR101285737B1 (ko) 2012-12-18 2013-07-19 박표준 수처리용 카트리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77Y1 (ko) * 2003-11-27 2004-02-14 주식회사 케이엔텍 샤워 겔 충진 케이스
KR100583799B1 (ko) * 2003-12-30 2006-05-26 신아에이티(주) 수처리용 필터 및 그 여과재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181A (ko) * 2020-05-21 2021-11-30 유비에스아이엔씨 주식회사 천연 한방원료를 포함하는 샤워필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헤드 구조
KR20230016399A (ko) 2021-07-26 2023-02-02 주식회사 케이엔텍 자동충진이 용이한 유동성 샤워용 겔 필터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415B1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2163B2 (en) Natural soap using herbal medicine mature decoc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917566B1 (ko) 수처리 필터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필터
KR101058415B1 (ko)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제조방법
CN104450312A (zh) 一种酵素皂及其制作方法
KR100787105B1 (ko) 미용마사지황토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1545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CN105816373A (zh) 一种毛孔细致型卸妆水及其制备方法
CN110013453A (zh) 一种去屑止痒洗发乳液及其制备方法
KR102368934B1 (ko) 샤워필터 장치
KR20090119417A (ko) 미용기능을 갖는 수처리용 필터의 구조와 그 제조방법
KR20090120120A (ko) 피부미용 효과를 가지는 천연곡물 혼합분말 및 화장품혼합원료 제조방법
KR20130128647A (ko) 기능성 샴푸
KR102356157B1 (ko) 원터치 멀티 위생 필터 시스템
CN106214611A (zh) 一种洁面用盐复合物、其制备方法及对面部皮肤进行清洗的方法
CN104306677A (zh) 一种膨润土足浴盐及其生产方法
KR101845308B1 (ko)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전신 세정용 고체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52110B1 (ko) 홍삼박을 이용한 목욕제 제조방법
CN102451123A (zh) 一种润足液
CN104997677A (zh) 珊瑚姜浴液
KR20090131735A (ko) 미용기능을 갖는 여과재
KR20040072158A (ko) 겔 상태의 슬리밍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465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다회성 입욕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회성 입욕제
CN108653018A (zh) 头皮净肤乳及其制备、使用方法
KR20190017178A (ko) 바디 워시 원액
KR102217586B1 (ko) 순수천연물로 이루어진 두피개선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