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641A -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 Google Patents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5641A KR20100085641A KR1020090005049A KR20090005049A KR20100085641A KR 20100085641 A KR20100085641 A KR 20100085641A KR 1020090005049 A KR1020090005049 A KR 1020090005049A KR 20090005049 A KR20090005049 A KR 20090005049A KR 20100085641 A KR20100085641 A KR 201000856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oral treatment
- oral
- tongue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 치료 등을 포함한 구강 치료에 사용되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치료 시 환자의 피 또는 세척액 등이 환자의 목구멍으로 넘어가는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used in oral treatment, including dental treatment, and more specifically,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for preventing discomfort that the patient's blood or washing liquid, such as to pass to the patient's throat during oral treatmen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치과 치료 등을 포함한 구강 치료 시 환자는 몸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도록 유니트 체어(Unit Chair)에 앉은 후 유니트 체어에 비치된 각종 치료용 장비를 통하여 치료를 받게 된다. 이때, 환자의 몸이 거의 누워있는 상태이므로, 구강 치료 시 세척액이나 환자의 피, 타액 등이 환자의 구강에 고이게 되고, 유니트 체어에 비치된 유체흡입 장치(suction unit)를 통하여 환자의 구강에 고여있는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 등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In general, during oral treatment, including dental treatment, the patient is treated by various treatment equipments provided in the unit chair after sitting on a unit chair to lean the upper body of the body. At this time, since the patient's body is almost lying down, the washing liquid, the patient's blood, saliva, etc. are accumulated in the patient's oral cavity during oral treatment, and accumulated in the patient's oral cavity through a suction unit provided in the unit chair. The washing liquid or the patient's saliv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비록 유체 흡입 장치를 통하여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 등을 외부로 배출하지만, 발생 즉시 배출되지 않으므로, 환자는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 등이 목구멍을 통하여 기도나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혀를 뒤로 말아서 목구멍을 혀로 막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Although the fluid or the patient's saliv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uid inhalation device, it is not immediately discharged, so the patient rolls his tongue backwards so that the cleaning fluid or the patient's saliva does not pass through the throat to the airways or esophagus. There is discomfort that must be covered by the tongue.
또한, 환자가 혀로 목구멍을 막고 있더라도, 일부의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 등이 목구멍으로 넘어가게 되고, 이때 환자는 목구멍으로 넘어오는 세척액이나 피를 삼키게 되는 불쾌함과 더불어 삼킬 때의 구강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치료를 잠시 멈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patient is covering the throat with the tongue, some of the washing liquid or the saliva of the patient is passed to the throat, and at this time, the patient is unpleasant to swallow the washing liquid or blood that comes into the throat and the movement of the mouth when swallowing. There is a discomfort to stop treat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강치료를 받는 환자의 목젖 전방의 구강을 밀폐하여 구강 치료 시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 등이 환자의 목구멍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예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2008-0061702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ral treatment aids are developed to seal the oral cavity in front of the neck of the patient undergoing oral treatment to prevent the washing liquid or saliva of the patient from falling into the throat of the patient during oral treatment. There is a trend. Examples of such oral treatment aids are disclos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8-0061702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그러나, 상기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는 구강치료 후 세척 및 소독을 하게 되는데 일체형으로 구성되므로 내부를 세밀하게 세척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is to be cleaned and disinfected after oral treatment,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terior can not be washed in detai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강치료 시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이 환자의 목구멍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treatment aid that can prevent the washing liquid or saliva of the patient to pass to the throat of the patient during oral treat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이원화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구강치료 후 세척과 소독이 용이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easy to clean and disinfect after oral treatment by configuring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환자의 목젖 전방의 구강 내를 밀폐하고, 상기 제 1 몸체 보다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유체의 유동에 따른 음압에 의해 상기 환자의 구강 내의 피부에 흡착되는 제 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Oral treatment aid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body, and the first body to seal the oral cavity in front of the neck of the patient, the first body It may include a second body made of a softer material and adsorbed to the skin in the mouth of the patient by the negative pressure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fluid.
또한,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to be detachably coupled.
또한,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제 1 몸체의 삽입방향과 대향되는 일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is preferably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on one surface faci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body so that the first body is inserted into the seat.
또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 1 몸체의 외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preferably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또한,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제 1 몸체의 가장자리를 에워싸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 1 몸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preferably extends to surround the edge of the first body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rib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first body is formed.
또한, 상기 제 1 몸체에는 상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연결통로가 유체흡입용 체결단자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에는 상기 연결통로와 연결되는 흡착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may have a connec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and be connected to a fluid intake fastening terminal, and the second body may have at least one suction ho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또한, 상기 연결통로는 상기 안착홈과 대향되는 상기 제 1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ssage is preferab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facing the seating groove.
또한, 상기 제 2 몸체는 외주연에 상기 안착홈과 연결되도록 상기 흡착홀이 형성되는 구강흡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may have an oral adsorption portion in which the suction hol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ating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ce.
또한, 상기 제 1 몸체는 외주연에 상기 연결통로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들에 의해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홈 및 상기 돌기가 상기 흡착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has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by the connection grooves, and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grooves and the protrusions is formed on the suction hole. Preferably located.
또한, 상기 2 몸체는 상기 흡착홀에 음압이 형성될 때 상기 연결통로 및 상기 연결홈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인장응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wo bodies preferably have a sufficient tensile stress to maintain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connection groove is open when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suction hole.
또한,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환자의 구강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이 오목하거나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is preferably one surface of the patient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is concave or flat.
또한, 상기 제 2 몸체는 외주연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환자의 구강 내 상면 피부에 밀착되는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may be provided with a wing portion protruding forward on the outer peripher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kin of the patient's mouth.
또한, 상기 제 1 몸체는 하단 양측부를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여 만곡되게 돌출 형성하여 상기 환자의 혀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주는 한 쌍의 혀말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may have a pair of tongue portions that roll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to protrude inwardly to form a curved protrusion to roll both sides of the tongue of the patient inward.
또한, 상기 제 2 몸체는 한 쌍의 상기 혀말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단 양측부를 각각 연장되게 연결하여 상기 환자의 혀 하면을 걸어주는 혀걸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may be provided with a tongue hook portion to hang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of the patient by connecting each of the lower both sides formed to surround the pair of the tongu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는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al treatment aid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멍에 삽입되는 체결핀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is preferably a fastening pin inserted into at least one fastening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또한,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 2 몸체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구멍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외주연에 삽입저지용 리브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in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body,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rib for insertion blocking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또한, 상기 체결핀은 삽입되는 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fastening pin is tapered.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 2 몸체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체결핀의 삽입되는 단부를 나사 체결하는 체결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bracket positioned on the rear of the second body and screwing the end portion of the fastening pin to be inserted.
또한, 상기 체결브래킷은 상기 제 1 몸체 또는 상기 제 2 몸체의 상기 환자 의 구강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bracket preferably has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direction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of the first body or the second body.
또한,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연결통로가 형성되는 일면의 체결구멍 주위에 단차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몸체의 체결구멍에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통로와 상기 체결구멍간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 사이에 상기 연결통로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has a stepped protrusion formed around a fastening hole on one surface on which the connection path is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second body to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path and the fastening hole and to the first body.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distance of the connecting passage between the second body.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에 따르면, 구강치료를 받는 환자의 목젖 전방의 구강을 밀폐하여 세척액이나 환자의 타액 등이 환자의 목구멍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강치료를 받는 환자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ral treatment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ealing the oral cavity in front of the neck of the patient receiving the oral treatment to prevent the washing liquid or saliva of the patient to go to the throat of the patient, the patient receiving the oral treatmen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로 이원화하여 구성함으로써, 구강치료 시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결합한 상태로 사용하고, 구강치료 후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분리하여 세밀하게 세척 및 소독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by dualiz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t is used to combin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during oral treatment, and separates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fter oral treatment Can be carefully cleaned and disinfected.
또한, 체결핀 및 체결브래킷을 이용하여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pin and the fastening bracket may be used to firmly fast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shows a state wearing the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One front view and side view.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는 몸체부(1100), 날개부(1200) 및 혀말이부(1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oral care
몸체부(1100)는 환자의 목젖(uvula)(7) 전방의 구강(oral cavity)(1) 내를 밀폐하도록 삽입되며, 환자의 혀(3)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볼록한 반달 형상 또는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를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바람직하게는 경구개(hard palate)에 위치시킴에 따라, 환자의 목젖(7)에 접촉하여 환자에게 구토를 유발하는 등의 거부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부(1100)는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 즉 목구멍(5) 측에 대응하는 일면이 오목하거나 적어도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y placing the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가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내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혹시 환자의 목구멍(5)을 통해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몸체부(1100)는 환자의 목구멍(5)보다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ven if the
또한, 몸체부(1100)는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내를 밀폐할 수 있도록 외부의 하중에 대해 일정 정도의 형상을 유지하며, 너무 딱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몸체부(11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등의 경한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 몸체의 외곽을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 몸체가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날개부(1200)는 몸체부(1100)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밀착된다. 바람직하게, 날개부(1200)는 몸체부(1100)의 외주연에 대응되는 외곽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몸체부(1100)와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또한, 날개부(1200)는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밀착되기 용이하여야 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형태에 대응되도록 유연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날개부(1200)는 몸체부(1100)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날개부(12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10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혀말이부(1300)는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줄 수 있도록 몸체부(1100)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혀말이부(1300)는 몸체부(1100)의 하단 양측부를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여 만곡되게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혀말이부(1300)는 몸체부(11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1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혀말이부(1300)는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줄 수 있도록 외부의 하중에 대해 일정 정도의 형상을 유지하며, 너무 딱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혀말이부(13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10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 또는 내부 몸체에 사용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부 몸체에 사용된 플라스틱 재질의 외곽을 외부 몸체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혀말이부(1300)를 몸체부(1100)와 일체형으로 형 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부(1100)와 한 쌍의 혀말이부(1300)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ir of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는 구강치료를 받는 환자의 목젖(7) 전방, 바람직하게는 경구개와 혀(3)의 윗부분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환자의 구강(oral cavity)(1)과 인후(인두(pharynx)와 후두(larynx)를 합하여 칭하는 말이며, 목구멍(5)이라고도 함)를 밀폐함으로써, 환자가 구강치료를 받으면서 발생하는 세척액 또는 환자의 침, 피 등의 타액 또는 치료용 집도 도구가 인후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의 몸체부(1100) 외주연에 대응되는 외곽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날개부(120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다양한 구강 형태에 대응되도록 유연성이 향상되어 구강(1) 내 피부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특히, 몸체부(1100)의 하단 양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혀말이부(1300)가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줌으로써,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와 환자 혀(3)의 양측면 사이에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air of
또한, 몸체부(1100)의 하단 양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혀말이부(1300)가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줌으로써, 환자의 환부, 즉 치아 또는 잇몸으로부터 환자의 혀(3)를 이격시켜 구강치료 시 환자의 혀를 구강치료용 도구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 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It is the front view and side view shown.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2000)는 몸체부(2100), 날개부(2200), 혀삽입부(2300) 및 혀걸이부(2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4 to 6, the
몸체부(2100)는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내를 밀폐하도록 삽입되며, 환자의 혀(3)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볼록한 반달형상 또는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2000)를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바람직하게는 경구개(hard palate)에 위치시킴에 따라, 환자의 목젖(7)에 접촉하여 환자에게 구토를 유발하는 등의 거부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부(2100)는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 즉 목구멍(5) 측에 대응하는 일면이 오목하거나 적어도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2100)는 환자의 목구멍(5) 보다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y placing the
또한, 몸체부(2100)는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내를 밀폐할 수 있도록 외부의 하중에 대해 일정 정도의 형상을 유지하며, 너무 딱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몸체부(21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등의 경한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 몸체의 외곽을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 몸체가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날 개부(2200)는 몸체부(2100)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밀착된다. 바람직하게, 날개부(2200)는 몸체부(2100)의 외주연에 대응되는 외곽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몸체부(2100)와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2200)는 몸체부(2100)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날개부(22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210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혀삽입부(2300)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2000)에 환자의 혀(3)를 삽입하여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날개부(2200)의 하면을 혀(3)의 양측면 길이 정도로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혀걸이부(2400)는 환자의 혀(3)가 혀삽입부(2300)에 삽입될 때 환자의 혀(3) 하면을 걸어줄 수 있도록 혀삽입부(2300)의 하부에 날개부(22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혀걸이부(2400)의 두께는 환자의 혀(3) 하면을 탄성적으로 걸어줄 수 있도록 날개부(2200)의 두께보다 적어도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2000)의 작용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치료용 보조장치(2000)에 형성되는 혀삽입부(2300)를 통해 환자의 혀(3)를 삽입한 후 혀걸이부(2400)로 혀(3)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걸어주어 환자의 구강(1) 내에 장착할 수 있다. Since the operation of the
따라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가 환자의 구강(1) 내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혹시 환자의 목구멍(5)을 통해 넘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구강치료 시 환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as seen from the front side and rear side of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7, Figures 10 and 11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7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는 몸체부(3100), 혀삽입부(3200), 구강흡착부(3300) 및 날개부(3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7 to 11, the oral care
몸체부(3100)는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내를 밀폐하는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100)는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 내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혹시 환자의 목구멍(5)을 통해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환자의 목구멍(5) 보다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100)는 외부의 하중에 대해 일정 정도의 형상을 유지하며, 너무 딱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몸체부(31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등의 경한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 몸체의 외곽을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 몸체가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몸체부(3100)는 후술할 혀삽입부(3200)에 삽입되는 환자 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주는 한 쌍의 혀말이부(3110)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혀말이부(3110)는 몸체부(3100)의 하단 양측부를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여 만곡되게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혀말이부(3110)는 몸체부(31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1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또한, 혀말이부(3110)는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줄 수 있도록 외부의 하중에 대해 일정 정도의 형상을 유지하며, 너무 딱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혀말이부(311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10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 또는 내부 몸체에 사용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부 몸체에 사용된 플라스틱 재질의 외곽을 외부 몸체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혀말이부(3110)를 몸체부(310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부(3100)와 한 쌍의 혀말이부(3110)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ir of
몸체부(3100)는 환자의 혀(3)가 혀삽입부(3200)에 삽입될 때 환자의 혀(3) 하면을 걸어주는 혀걸이부(3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혀걸이부(3120)는 한 쌍의 혀말이부(3110)의 하단을 각각 연장되게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혀걸이부(312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혀말이부(311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혀걸이부(3120)는 몸체부(3100)의 삽입되는 반대측 일면, 즉 후술할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를 포함하는 일면의 혀말이부(3110)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혀걸이부(3120)의 두께는 환자의 혀(3) 하면을 탄성적으로 걸어줄 수 있도록 혀말이부(3110)의 두께보다 적어도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서는, 혀걸이부(3120)를 혀말이부(311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혀걸이부(3120)를 혀삽입부(3200)의 하부에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한 쌍의 혀말이부(3110)와 결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몸체부(3100)는 내부에 유체,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연결통로(3101)가 형성되며, 연결통로(3101)는 후술할 구강흡착부(3300)의 흡착홀(3301)과 연결된다. 또한, 몸체부(3100)는 구강흡착부(3300)에 음압(negative press)을 제공하도록 연결통로(3101)와 연결되는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는 몸체부(3100)의 삽입되는 반대측 일면, 즉 목구멍(5) 측과 반대되는 몸체부(3100)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luid
또한,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는 유체 이송관(미도시)과의 체결을 통하여 유체 흡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이때,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에는 유체 이 송관과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나사선은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의 내부에 암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의 외부에 수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luid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유체 흡입장치는 별도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강치료용 유니트 체어에 포함된 에어 펌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수동에 의하거나 전기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유체 흡입장치는 유니트 체어에 포함된 에어 펌프 즉, 치과 치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흡입기(suction instrument)를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luid suction device may use a separate pump, or may use an air pump included in the unit chair for oral treatment. At this time, in the case of using a separate pump may be by manual or using electrical energy. The fluid suction device may use an air pump included in the unit chair, that is, a suction instrument commonly used in dental treatment.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를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바람직하게는 경구개(hard palate)에 흡착시킴에 따라, 환자의 목젖(7)에 접촉하여 환자에게 구토를 유발하는 등의 거부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부(3100)는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 즉 목구멍(5) 측에 대응하는 일면이 오목하거나 적어도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y adsorbing the
혀삽입부(3200)는 몸체부(3100)에 환자의 혀(3)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때, 혀삽입부(3200)의 개구 면적은 혀 중간뒷부분의 단면적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혀삽입부(3200)는 몸체부(3100)의 하단면을 반원의 홈 형태로 형성하거나 몸체부(3100)에 타원 형태로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혀삽입부(3200)는 몸체부(3100)의 하단부, 한 쌍의 혀말이부(3110) 및 혀걸이부(3120)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구강흡착부(3300)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와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와 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몸체부(3100)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구강흡착부(3300)는 몸체부(3100)의 외주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100)의 상면 및 좌우측면하부의 외주연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강흡착부(3300)에는 공기를 흡입하여 이 흡입력(음압)에 의해 환자의 구강(1) 내의 피부에 흡착되도록 연결통로(3101)와 연결되는 흡착홀(3301)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흡착홀(3301)은 구강흡착부(330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이때, 흡착홀(3301)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강흡착부(3300)는 환자의 구강 내 피부에 흡착되기 용이하여야 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구조에 대응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구강흡착부(33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10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날개부(3400)는 몸체부(3100)의 외주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100)의 상면 및 좌우측면 외주연에 몸체부(3100)의 삽입되는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1) 내 상면 및 좌우측면 피부에 밀착된다.
또한, 날개부(3400)는 구강흡착부(3300)와 일체로 형성되고, 구강흡착부(3300)의 흡착홀(3301)이 날개부(3400)의 일부까지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또한, 날개부(3400)는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흡착되기 용이하여야 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구조에 대응되도록 탄성적으로 구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몸체부(3100)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날개부(34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3100)에 사용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날개부(340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날개부(3400)는 상면날개부(3410) 및 측면날개부(3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면날개부(3410)는 몸체부(3100)의 상면 외주연에 몸체부(3100)가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즉 구강(1)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1) 내 상면, 예컨대 입천정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상면날개부(3410)는 몸체부(3100)의 외주연 양측부위에서 중앙부위로 갈수록 돌출되는 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측면날개부(3420)는 몸체부(3100)의 양측면 외주연에 몸체부(3100)가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구강(1)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1) 내 양측면 볼부분의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날개부(3420)는 상면날개부(3410)의 양측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상면날개부(3410) 보다 더 돌출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이때, 측면날개부(3420)가 환자의 어금니 안쪽 위/아래의 잇몸 사이에 안정적으로 끼워지도록 상면날개부(3410)와 측면날개부(3420)가 만나는 부위에 환자의 어금니 안쪽의 잇몸이 삽입되는 잇몸삽입홈(3421)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ms inside the patient's molar tooth are inserted into a portion where the
또한, 구강흡착부(3300)의 흡착홀(3301)이 상면날개부(3410) 및 측면날개부(3420)까지 확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dsorption holes 3301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는 구강치료를 받는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 내를 밀폐하도록 삽입됨으로써, 환자가 구강치료를 받으면서 발생하는 세척액 또는 환자의 침, 피 등의 타액 또는 치료용 집도 도구가 인후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이때, 몸체부(3100)의 유체흡입용 체결단자(3130)에 유체 이송관을 체결한 후 유체 흡입장치를 통해 유체를 흡입하면, 몸체부(3100) 내의 연결통로(3101)와 연결되는 구강흡착부(3300)의 흡착홀(3301)에 음압이 형성되어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를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흡착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fluid suction tube is fastened to the fluid
따라서, 구강치료 시 환자가 입을 움직이더라도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와 환자의 피부 간의 밀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혀말이부(3110)가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주어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와 환자 혀(3)의 양측면 사이에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혀걸이부(3120)가 혀삽입부(3200)를 통해 삽입되는 혀(3)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걸어주어 혹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3000)가 환자의 목구멍(5)을 통해 넘어가지 않도록 구강치료 시 환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100)의 상면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는 상면날개부(3410)가 환자의 구강(1) 내 상면, 예컨대 입천정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고, 몸체부(3100)의 양측면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는 측면날개부(3420)가 환자의 구강(1) 내 양측면 볼부분의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된 다. 이때, 상면날개부(3410)와 측면날개부(3420)가 만나는 부위에 환자의 어금니 안쪽의 잇몸이 삽입되는 잇몸삽입홈(3421)이 형성됨으로써, 측면날개부(3420)를 환자의 어금니 안쪽 위/아래의 잇몸 사이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patient moves the mouth during oral treatment, it is possible to firmly maintain the close contact state between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3는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3에 나타낸 제 1 몸체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3에 나타낸 제 2 몸체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2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2의 A부위에 대한 확대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and FIG. 14 is for an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4, FIG. 1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the first body shown in FIG. 13, and FIG. 17 is a second view shown in FIG. 13.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the body, and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2, and FIG. 1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도 12 내지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4000)는 제 1 몸체(4100), 제 2 몸체(4200) 및 체결수단(4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2 to 19, the
제 1 몸체(4100)는 후술할 제 2 몸체(4200)의 안착홈(4201)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 1 몸체(4100)는 환자의 구강(1)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혀(3)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볼록한 반달형상 또는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내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혹시 환자의 목구멍(5)을 통해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환자의 목구멍(5) 보다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The
또한, 제 1 몸체(4100)는 외부의 하중에 대해 일정 정도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몸체(4100)는 후술 할 제 2 몸체(4200) 보다 탄성력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였다.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4000)를 환자의 목젖(7) 전방의 구강(1), 바람직하게는 경구개(hard palate)에 위치시킴에 따라, 환자의 목젖(7)에 접촉하여 환자에게 구토를 유발하는 등의 거부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몸체(4100)는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 즉 목구멍(5) 측에 대응하는 일면이 오목하거나 적어도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제 1 몸체(4100)는 후술할 제 2 몸체(4200)의 혀삽입부(4220)에 삽입되는 환자의 혀(3) 양측면을 안쪽으로 말아주는 한 쌍의 혀말이부(411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혀말이부(4110)는 제 1 몸체(4100)의 하단 양측부를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여 만곡되게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혀말이부(4110)는 제 1 몸체(41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1 몸체(41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 1 몸체(4100)는 제 2 몸체(4200)의 안착홈(4201)과 대향되는 일면에 유체,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연결통로(4101)가 형성되며, 제 1 몸체(4100)를 제 2 몸체(4200)에 삽입하여 체결한 후에는 연결통로(4101)가 후술할 제 2 몸체(4200)의 흡착홀(4231)과 연결된다. The
또한, 제 1 몸체(4100)는 흡착홀(4231)에 음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를 구비할 수 있다.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는 제 1 몸 체(4100)가 제 2 몸체(4200)에 대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제 1 몸체(4100)의 일면, 즉 목구멍(5) 측과 반대되는 제 1 몸체(4100)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또한,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는 유체 이송관(미도시)과의 체결을 통하여 유체 흡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이때,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에는 유체 이송관과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나사선은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의 내부에 암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의 외부에 수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luid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유체 흡입장치는 별도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강치료용 유니트 체어에 포함된 에어 펌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수동에 의하거나 전기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유체 흡입장치는 유니트 체어에 포함된 에어 펌프 즉, 치과 치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흡입기(suction instrument)를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luid suction device may use a separate pump, or may use an air pump included in the unit chair for oral treatment. At this time, in the case of using a separate pump may be by manual or using electrical energy. The fluid suction device may use an air pump included in the unit chair, that is, a suction instrument commonly used in dental treatment.
제 1 몸체(4100)는 외주연에 연결통로(4101)와 연결되도록 연결홈(4103)이 다수 개 형성되고, 이 연결홈(4103)들을 형성함에 따라 연결홈(4103)들 사이에는 다수 개의 돌기(4105)가 형성된다. 이때 돌기(4105)들은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 사이에 연결통로(4101)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통로(4101)가 형성되는 제 1 몸체(4100)의 일면으로 약간 돌출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제 1 몸체(4100)의 연결통로(4101)가 연결홈(4103)을 통해 제 2 몸체(4200)의 흡착홀(4231)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제 1 몸체(4100)에 형성되는 연결 홈(4103) 및 돌기(4105)는 흡착홀(4231)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제 1 몸체(4100)에는 후술할 체결핀(4310)이 삽입되어 관통하도록 체결구멍(4107)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흡입용 체결단자(4130)를 기준으로 좌우에 대칭되도록 한 쌍의 제 1 체결구멍(410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체결구멍(4107)의 내경은 체결핀(4310)의 외경에 대응되며, 후술할 제 2 체결구멍(4205a)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제 1 몸체(4100)는 연결통로(4101)가 형성되는 일면의 제 1 체결구멍(4107) 주위에 제 1 단차돌기(4109a)가 형성되어 후술할 제 2 몸체(4200)의 제 2 체결구멍(4205b)에 끼워지면서 연결통로(4101)와 제 1 및 제 2 체결구멍(4107,4205b)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또한, 제 1 몸체(4100)는 연결통로(4101)가 형성되는 일면 및 제 1 단차돌기(4109a) 주위에 제 1 단차돌기(4109a) 보다 작게 돌출되는 제 2 단차돌기(4109b)가 형성되어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 사이에 연결통로(4101)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The
제 2 몸체(4200)는 제 1 몸체(410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환자의 목젖 전방의 구강(1) 내를 밀폐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형태에 대응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제 1 몸체(4100) 보다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몸체(420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The
제 2 몸체(4200)는 제 1 몸체(4100)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제 1 몸체(4100) 의 삽입방향과 대향되는 일면에 제 1 몸체(4100)의 형상과 대응하는 안착홈(4201)이 형성된다. 이때,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흡착홀(4231)에 음압이 형성될 때 제 1 몸체(4100)의 연결통로(4101) 및 연결홈(4103)과 제 2 몸체(4200)의 흡착홀(4231) 간의 개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 2 몸체(4200)에 충분한 인장응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 2 몸체(4200)의 안착홈(4201) 내경을 제 1 몸체(4100)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몸체(4200)에 삽입되는 제 1 몸체(41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의 가장자리 부위를 밀폐할 수 있도록 안착홈(4201)의 가장자리로부터 제 1 몸체(4100)의 가장자리를 에워싸도록 이탈방지용 리브(4203)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이탈방지용 리브(4203)에는 후술할 체결핀(4310)의 외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 2 체결구멍(4205a)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 2 몸체(4200)에는 제 1 몸체(4100)의 제 1 체결구멍(4107)과 대응되는 위치에 후술할 체결핀(4310)이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제 2 체결구멍(4205a,4205b)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이탈방지용 리브(4203) 각각에 제 2 체결구멍(420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몸체(4100)가 제 2 몸체(4200)에 삽입되어 체결될 때 제 1 몸체(4100)의 제 1 단차돌기(4109a)가 끼워지면서 체결핀(4310)이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제 2 체결구멍(4205b)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제 2 몸체(4200)는 하단 양측부(4209)가 제 1 몸체(4100)의 한 쌍의 혀말이부(411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 2 몸체(4200)는 하단 양측부(4209) 를 제 1 몸체(4100)의 한 쌍의 혀말이부(4110)의 형상과 대응되게 내측으로 각각 연장하여 만곡되게 돌출 형성한다. 또한, 제 2 몸체(4200)는 돌출되는 하단 양측부(4209)를 각각 연장되게 연결하여 환자의 혀(3) 하면을 걸어주는 혀걸이부(4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2 몸체(4200)의 하단부(4207), 하단 양측부(4209) 및 혀걸이부(4210)의 조합에 의해 혀삽입부(4220)가 형성된다.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혀걸이부(4210)는 제 2 몸체(420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혀걸이부(4210)는 목구멍(5) 측 반대되는 제 2 몸체(4200)의 일면의 하단 양측부(4209)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혀걸이부(4210)는 환자의 혀(3) 하면을 탄성적으로 걸어줄 수 있도록 제 2 몸체(4200)의 하단 양측부(4209)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혀걸이부(4210)를 제 2 몸체(4200)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혀걸이부(4210)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 2 몸체(4200)는 유체의 유동에 따른 음압에 의해 환자의 구강(1) 내의 피부에 흡착되는 구강흡착부(42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강흡착부(4230)는 제 2 몸체(4200)의 외주연, 바람직하게는 제 2 몸체(4200)의 상면 및 좌우측면하부의 외주연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강흡착부(4230)에는 공기를 흡입하여 이 흡입력(음압)에 의해 환자의 구강(1) 내의 피부에 흡착되도록 제 1 몸체(4100)의 연결통로(4101) 및 제 2 몸체(4200)의 안착홈(4201)과 연결되는 흡착홀(4231)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The
바람직하게는 흡착홀(4231)은 구강흡착부(42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착홀(4231)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강흡착부(4230)는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흡착되기 용이하여야 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구조에 대응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구강흡착부(4230)는 제 2 몸체(420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제 2 몸체(4200)는 외주연, 바람직하게는 제 2 몸체(4200)의 상면 및 좌우측면 외주연에 구강(1)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1) 내 상면 및 좌우측면 피부에 밀착되는 날개부(42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4240)는 구강흡착부(4230)와 일체로 형성되고, 구강흡착부(4230)의 흡착홀(4231)이 날개부(4240)의 일부까지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날개부(4240)는 환자의 구강(1) 내 피부에 흡착되기 용이하여야 하며, 환자의 다양한 구강구조에 대응되도록 탄성적으로 구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 2 몸체(4200)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날개부(4240)는 인체에 무해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제 2 몸체(420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날개부(424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날개부(4240)는 상면날개부(4241) 및 측면날개부(42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면날개부(4241)는 제 2 몸체(4200)의 상면 외주연에 제 2 몸체(4200)가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즉 구강(1)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1) 내 상면, 예컨대 입천정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상면날개부(4241)는 제 2 몸체(4200)의 외주연 양측부위에서 중앙부위로 갈수록 돌출되는 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측면날개부(4242)는 제 2 몸체(4200)의 양측면 외주연에 제 2 몸체(4200)가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구강(1)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1) 내 양측면 볼부분의 피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또한, 측면날개부(4242)는 상면날개부(4241)의 양측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상면날개부(4241) 보다 더 돌출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 측면날개부(4242)가 환자의 어금니 안쪽 위/아래의 잇몸 사이에 안정적으로 끼워지도록 상면날개부(4241)와 측면날개부(4242)가 만나는 부위에 환자의 어금니 안쪽의 잇몸이 삽입되는 잇몸삽입홈(4245)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ms inside the molars of the patient are inserted into the site where the upper wing portion 4221 and the
또한, 구강흡착부(4230)의 흡착홀(4231)이 상면날개부(4241) 및 측면날개부(42424)까지 확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dsorption holes 4231 of the
체결수단(4300)은 제 1 몸체(4100)가 제 2 몸체(4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The fastening means 4300 fastens and fixes the
체결수단(4300)은 체결핀(4310) 및 체결브래킷(4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means 4300 may include a
체결핀(4310)은 원형의 봉 형태로 형성되며, 제 1 몸체(4100)의 제 1 체결구멍(4107)과 제 2 몸체(4200)의 제 2 체결구멍(4205)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체결핀(4310)은 제 2 몸체(4200)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2 몸체(4200)의 이 탈방지용 리브(4203)에 형성되는 제 2 체결구멍(4205)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체결핀(4310)이 제 1 몸체(4100) 및 제 2 몸체(4200)를 관통하여 환자의 목젖(7)에 닿지 않도록 체결핀(4310)의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체결핀(4310)의 외주연에 삽입저지용 리브(431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 삽입저지용 리브(4311)는 제 1 체결구멍(4107) 및 제 2 체결구멍(4205)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핀(4310)은 제 2 몸체(4200)의 이탈방지용 리브(4203)에 형성되는 제 2 체결구멍(4205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또한, 체결핀(4310)은 테이퍼진 단부 또는 테이퍼진 단부 근처의 외주연에 수나사(4313)가 형성되며, 수나사 단부가 후술할 체결브래킷(4320)의 암나사 홀(4321)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체결브래킷(4320)은 제 2 몸체(4200)의 후면에 위치하며,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관통하는 체결핀(4310)의 후방 단부와 나사 체결된다. 체결브래킷(432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체결구멍(4107)과 제 2 체결구멍(4205)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핀(4310)의 후방 단부의 수나사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 홀(4321)이 형성된다. The
또한, 체결브래킷(4320)은 제 1 몸체(4100) 또는 제 2 몸체(4200)의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 컨대, 제 1 몸체(4100)가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 즉 목구멍(5)을 향한 일면이 오목하거나 평평하게 형성되면, 그와 대응하는 체결브래킷(4320)도 오목하거나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핀(4310) 및 체결브래킷(4320)을 이용하여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체결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4000)의 작용은 상기 제 3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치료용 보조장치(4000)를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로 이원화하여 구성하고, 제 1 몸체(4100)를 제 2 몸체(4200)에 삽입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Since the operation of the oral care
따라서, 구강치료 시에는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결합한 상태로 사용하고, 구강치료 후에는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분리하여 세밀하게 세척 및 소독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사용 회수가 많아짐에 따라 제품이 손상되거나 분실되는 경우에 제 1 몸체(4100) 또는 제 2 몸체(4200)만 추가 구매함으로써 비용절감을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oral treatment, the
또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4000)가 환자의 목젖(7)에 접촉하여 환자에게 구토를 유발하는 등의 거부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구강(1) 내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 즉 목구멍(5) 측에 대응하는 일면을 오목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 핀(4310) 및 체결브래킷(4320)을 이용하여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objection of the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22는 도 20에 나타낸 흡입구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ral treatment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al car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20, and FIG. 22 is an exploded view of the inlet filter shown in FIG. 20. Perspective view.
도 20 내지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5000)는 몸체부(5100) 및 호흡구필터부(5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4 실시예의 체결핀(4300) 대신에 필터(5220)를 포함하는 호흡구필터부(5200)를 이용하여 몸체부(5100)를 구성하는 제 1 몸체(5110)와 제 2 몸체(5120)를 체결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2 내지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제 4 실시예의 제 1 몸체(4100) 및 제 2 몸체(4200)의 구성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20 to 22, the
본 실시예에서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 및 흡착함에 따라 환자가 코를 통해서만 숨을 쉬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한 응급 시 환자에게 입으로 숨을 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부(5100)를 관통하고 몸체부(5100) 내부의 연결통로(4101)와는 차단되어 있는 호흡구멍(5111,512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as the oral treatment aid is inserted into and adsorb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e body part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reathe only through the nose and also to breathe in the mouth to the patient in an emergenc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breathing holes (5111, 5121) penetrating the 5100 and is blocked from the connecting passage (4101) inside the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몸체(5110)에는 후술할 호흡구필터부(5200)가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제 1 호흡구멍(5111)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호흡구멍(5111)은 상기 제 4 실시예의 제 1 체결구멍(4107)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몸체(5120)에는 제 1 호흡구멍(5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호흡구멍(5121)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호흡구멍(5121)은 상기 제 4 실시예의 제 2 체결구멍(4205)에 대응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t least one
호흡구필터부(5200)는 제 1 몸체(5110) 및 제 2 몸체(512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호흡관(5210) 및 필터(5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호흡관(5210)은 원통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호흡구멍(5111) 및 제 2 호흡구멍(5121)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흡관(5210)을 2개의 플라스틱 케이스의 조립체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조립체로 구성되고 관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경도를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또한, 호흡관(5210)은 제 2 몸체(5120)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2 몸체(5120)의 이탈방지용 리브(4203)에 형성되는 제 2 호흡구멍(5121)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흡관(5210)이 제 1 몸체(5110) 및 제 2 몸체(5120)를 관통하여 환자의 목젖(7)에 닿지 않도록 호흡관(5210)의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호흡관(5210)의 외주연에 삽입저지용 리브(521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 삽입저지용 리브(5211)는 제 1 호흡구멍(5111) 및 제 2 호흡구멍(512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흡관(5210)은 제 2 몸체(5120)의 이탈방지용 리브(4203)에 형성되는 제 2 호흡구멍(51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호흡관(5210)은 테이퍼진 단부 또는 테이퍼진 단부 근처의 외주연에 수나사(5213)가 형성되어 고정브래킷(5230)의 암나사 홀(5231)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브래킷(5230)은 상기 제 4 실시예의 체결브래킷(4320)에 대응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호흡관(5210)은 내벽에 후술할 필터(5220)가 안착되는 안착홈(5215)이 필터(522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호흡관(5210)의 내부에는 필터(5220)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필터삽입저지턱(5217)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필터(5220)는 호흡관(5210)의 내벽에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원형의 봉 형태로 형성되어 호흡관(52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필터(5220)는 구강 치료 시 환자의 구강(1) 내에 고인 세척액 또는 환자의 타액이 호흡관(5210)을 통해 목구멍(5)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따라서, 필터(5220)는 미세 다공성 재질, 예컨대 스폰지,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5000)의 작용은 상기 제 4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5100)를 관통하고 몸체부(5100) 내부의 연결통로(4101)와는 차단된 호흡구멍(5111,5121)을 포함하는 구강치료용 보조장치(5000)를 환자의 구강(1) 내에 삽입 및 흡착함에 따라 환자가 코를 통해서만 숨을 쉬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한 응급 시 환자에게 입으로 숨을 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evice for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4 실시예의 체결핀(4300) 대신에 필터(5220)를 포함하는 호흡구필터부(5200)를 이용하여 제 1 몸체(5110)와 제 2 몸체(5120)를 체결함으로써, 구강 치료 시 필터(5220)에 의해 환자의 구강(1) 내에 고인 세척액 또는 환자의 타액이 호흡관(5210)을 통해 목구멍(5)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treatment aid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treatment ai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7.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는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ide of the oral treatment ai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이다.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4.
도 16은 도 13에 나타낸 제 1 몸체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the first body illustrated in FIG. 13.
도 17은 도 13에 나타낸 제 2 몸체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 of the second body shown in FIG. 13.
도 18은 도 12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2.
도 19는 도 12의 A부위에 대한 확대도이다.FIG. 1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2.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구강치료용 보조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Figure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oral treatment aid shown in FIG.
도 22는 도 20에 나타낸 흡입구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let filter shown in FIG. 20.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0,2000,3000,4000,5000 : 구강치료용 보조장치1000,2000,3000,4000,5000: Oral Therapy Aids
1100,2100,3100,5100 : 몸체부 1200,2200,3400,4240 : 날개부1100,2100,3100,5100:
1300,3110,4110 : 혀말이부 2300,3200,4220 : 혀삽입부1300,3110,4110:
2400,3120,4210 : 혀걸이부 3130,4130 : 유체흡입용 체결단자2400, 3120, 4210:
3300,4230 : 구강흡착부 3410 : 상면날개부3300,4230: oral adsorption part 3410: upper wing
3420 : 측면날개부 4100,5110 : 제 1 몸체3420:
4200,5120 : 제 2 몸체 4241 : 상면날개부4200, 5120: second body 4241: upper wing portion
4242 : 측면날개부 4300 : 체결수단4242: side wing 4300: fastening means
4310 : 체결핀 4320 : 체결브래킷4310: Fastening pin 4320: Fastening bracket
5200 : 호흡구필터부 5210 : 호흡관5200: breathing filter unit 5210: breathing tube
5220 : 필터 5230 : 고정브래킷5220: filter 5230: fixed bracket
Claims (21)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5049A KR101088298B1 (en) | 2009-01-21 | 2009-01-21 |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
PCT/KR2010/000392 WO2010085098A2 (en) | 2009-01-21 | 2010-01-21 | Aid for treating oral cavity diseases and filter for breathing device use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5049A KR101088298B1 (en) | 2009-01-21 | 2009-01-21 |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5641A true KR20100085641A (en) | 2010-07-29 |
KR101088298B1 KR101088298B1 (en) | 2011-12-09 |
Family
ID=4264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5049A KR101088298B1 (en) | 2009-01-21 | 2009-01-21 |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8298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89491A (en) | 1988-03-14 | 1989-12-26 | Krygier S James | Dental throat shield |
JP2002017755A (en) | 2000-07-03 | 2002-01-22 | Kenichi Suzuki | Mouth net |
KR200317515Y1 (en) | 2003-04-01 | 2003-06-25 | 권오흥 | A guarding plate for dental treatment |
-
2009
- 2009-01-21 KR KR1020090005049A patent/KR10108829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88298B1 (en) | 2011-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49783B2 (en) | Negative pressure oral apparatus | |
US10413690B2 (en) |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 |
AU2014295979B2 (en) | Sleep apnea prevention mask | |
WO2006090598A1 (en) | Lip closing tool | |
FR2707504A1 (en) | Oral respiratory mask. | |
US10028885B2 (en) |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 |
JP2017029654A (en) |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e or the like | |
KR102177023B1 (en) | With no straps, wrapped around the face and replace filters easy to mask | |
CA2792033C (en) | Oral mouthpie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 |
KR101088301B1 (en) |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 |
WO2007091084A1 (en) | Tongue - holding device | |
JP2010537706A (en) | Auxiliary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unit chair having the same | |
WO2019195579A1 (en) | Mouth shield device for treatment of dry mouth, teeth grinding, snoring, and sleep apnea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US2019000872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aliva Replenishment And Control | |
KR101088297B1 (en) |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 |
US20200383762A1 (en) | Dental treatment assisting tool | |
JP2006304976A (en) | Beauty and sanitary appliance for nose | |
KR101088300B1 (en) | Breathing filter and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having the same | |
KR101088298B1 (en) |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 |
KR101684247B1 (en) | Improved Snoring Prevention Device | |
CN207286436U (en) | A kind of noninvasive ventilator Ventilation mask of improvement | |
JP2013078545A (en) | Pharyngeal region protector for intraoral treat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