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320A -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320A
KR20100085320A KR1020090004531A KR20090004531A KR20100085320A KR 20100085320 A KR20100085320 A KR 20100085320A KR 1020090004531 A KR1020090004531 A KR 1020090004531A KR 20090004531 A KR20090004531 A KR 20090004531A KR 20100085320 A KR20100085320 A KR 20100085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st
mask
unit
d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221B1 (ko
Inventor
정덕진
송재연
이상설
김병수
왕규열
신성섭
최재영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2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unctional genomics or proteomics, e.g. genotype-phenotype associ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34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prost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는 환자의 DNA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생성된 테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테스트 값 저장부; 정상 상태의 전립선 특징을 지닌 DNA 정보 또는 전립선암의 특징을 지닌 DNA 정보로 형성된 복수의 레퍼런스 정보가 저장되는 레퍼런스 저장부;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서 서로 비교할 부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복수의 마스크가 저장되는 마스크 저장부;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서 상기 마스크에 대응하는 부분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복수의 비교부; 상기 비교부가 일치한 것으로 확인한 부분의 합계인 일치량 정보를 생성하는 누산부; 및, 상기 일치량 정보가 가장 많은 레퍼런스 정보를 판별하고, 상기 일치량 정보가 가장 많은 레퍼런스 정보에 대응하는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판별부를 포함한다.
DNA 정보, 테스트, 레퍼런스, 마스크, 진단.

Description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JUDGING PROSTATIC CARCINOMA USING DNA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DNA 정보를 정상 DNA 또는 전립선암의 특징을 지닌 DNA 정보로 형성된 레퍼런스 정보와 대조하여 전립선암을 판별할 수 있는 전립선암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암은 확실한 발병 원인이 아직 불명이지만 연령과 남성호르몬이 유발인자로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암으로써 50세 이상의 남성에게서 볼 수 있고, 보통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처음에는 뚜렷한 자각증세는 없는 것이 특징이다.
초기에는 회음부 및 직장부의 불쾌감 또는 압박감 정도이나, 진행되면 배뇨장애, 혈뇨, 농뇨, 신기능 장애 등이 일어나고, 전이가 뼈에 많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으며, 뚜렷한 자각증세가 없는 특징으로 인하여 환자나 의사의 관심과 증세 자체로 인해 발견되는 경우보다는 정기 건강검진이나 전립선비대증 검사 도중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전립선암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전립선암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조직검사가 필요하다.
현재로는 외과적 절제술과 방사선요법으로 근치될 수 있는 국소적 전립선암일 경우 10년 생존율이 65% 정도로 보고되어 있으며, 진단 시의 전이 정도가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즉, 전립선암은 조기에 발견된다면 생존율이 상당히 높으므로 전립선암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정상 상태의 전립선 특징을 지닌 DNA 또는 전립선암 특징을 지닌 DNA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레퍼런스 정보들을 환자의 DNA 정보와 비교하여 진단함으로써 전립선암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전립선암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밀 검사가 아닌 평소에 혈액을 사용한 DNA 검사만으로 전립선암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환자의 DNA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들 중에서 특정 비트들만을 비교하여 판단함으로써 동일한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가장 유사한 증상을 판별할 수 있는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복수의 비교부를 사용하여 환자의 DNA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 중에서 비교에 사용되는 모든 특정 비트들을 동시에 병렬 연산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환자의 DNA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 중에서 비교에 사용되는 특정 비트의 수와 위치를 변경하면서 반복 비교함으로써 판별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는 환자의 DNA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생성된 테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테스트 값 저장부; 정상 상태의 전립선 특징을 지닌 DNA 정보 또는 전립선암의 특징을 지닌 DNA 정보로 형성된 복수의 레퍼런스 정보가 저장되는 레퍼런스 저장부;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서 서로 비교할 부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복수의 마스크가 저장되는 마스크 저장부;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서 상기 마스크에 대응하는 부분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복수의 비교부; 상기 비교부가 일치한 것으로 확인한 부분의 합계인 일치량 정보를 생성하는 누산부; 및, 상기 일치량 정보가 가장 많은 레퍼런스 정보를 판별하고, 상기 일치량 정보가 가장 많은 레퍼런스 정보에 대응하는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판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비교부는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의 특정 비트가 동일한가를 확인하는 복수의 동일 확인부; 상기 동일 확인부와 대응하며, 상기 특정 비트가 상기 마스크에서 비교하기로 한 비트인가를 확인하는 복수의 특정 비트 확인부; 및, 상기 동일 확인부에서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의 특정 비트가 동일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고, 상기 동일 확인부와 대응하는 특정 비트 확인부에서 상기 마스크에서 비교하기로 한 비트인 것으로 확인된 비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있으면 상기 마스크에서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는 일치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는 매치 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정상 상태의 전립선 특징을 지닌 DNA 또는 전립선암 특징을 지닌 DNA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레퍼런스 정보들을 환자의 DNA 정보와 비교 하여 진단함으로써 전립선암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전립선암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밀 검사가 아닌 평소에 혈액을 사용한 DNA 검사만으로 전립선암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환자의 DNA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들 중에서 특정 비트들만을 비교하여 판단함으로써 동일한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가장 유사한 증상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복수의 비교부를 사용하여 환자의 DNA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 중에서 비교에 사용되는 모든 특정 비트들을 동시에 병렬 연산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환자의 DNA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 중에서 비교에 사용되는 특정 비트의 수와 위치를 변경하면서 반복 비교함으로써 판별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100)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DNA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생성된 테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테스트 값 저장부(111)와, 정상 상태의 전립선 특징을 지닌 DNA 정보 또는 전립선암의 특징을 지닌 DNA 정보로 형성된 복수의 레퍼런스 정보가 저장되는 레퍼런스 저장부(112,113)와,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서 서로 비교할 부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복수의 마스크가 저장되는 마스크 저장부(114)에서 각각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 및 상기 마스크를 제공하면, 비교부(121,122,123,124)가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서 상기 마스크에 대응하는 부분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누산부(131,132)가 비교부(121,122,123,124)에서 일치한 것으로 확인된 부분의 합계인 일치량 정보를 생성하면, 판별부(140)가 상기 일치량 정보가 가장 많은 레퍼런스 정보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일치량 정보가 가장 많은 레퍼런스 정보에 대응하는 진단 결과를 표시한다.
이때, 테스트 값 저장부(111)와, 레퍼런스 저장부(112,113)와, 마스크 저장부(114)는 저장된 정보를 영구 보존하는 ROM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퍼런스 저장부(112,113)는 정상 상태의 전립선 특징을 지닌 DNA 정보로 형성된 제1 레퍼런스 정보가 저장되는 제1 레퍼런스 저장부(112)와 전립선암의 특징을 지닌 DNA 정보로 형성된 제2 레퍼런스 정보가 저장되는 제2 레퍼런스 저장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립선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레퍼런스 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각기 다른 레퍼런스 정보가 저장되는 각각의 레퍼런스 저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는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의 특정 비트의 수와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서 서로 비교할 부분의 크기와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상기 마스크에 포함된 상기 특정 비트의 수는 9개일 수 있다.
비교부(121,122,123,124)는 하나의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 복수의 상기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의 여러 부분을 비교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값 저장부(111)로부터 상기 테스트 정보를 입력 받고, 제1 레퍼런스 저장부(112)로부터 전송된 제1 레퍼런스 정보를 입력 받는 복수의 비교부(121,122)는 각자 매칭된 마스크 저장부(114)로부터 각기 다른 상기 마스크를 입력 받고, 각각 입력 받은 상기 마스크에 대응하는 부분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마스크에 대응하는 부분이 일치하면, 일치한다는 내용의 매치 정보를 제1 누산부(13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값 저장부(111)로부터 상기 테스트 정보를 입력 받고, 제2 레퍼런스 저장부(113)로부터 전송된 제2 레퍼런스 정보를 입력 받는 복수의 비교부(123,124)는 각자 매칭된 마스크 저장부(114)로부터 각기 다른 상기 마스크를 입력 받고, 각각 입력 받은 상기 마스크에 대응하는 부분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마스크에 대응하는 부분이 일치하면, 일치한다는 내용의 매치 정보를 제2 누산부(13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비교부(121,122,123,124)가 하나의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 사용하는 마스크의 총량을 개체군(Population)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 기 개체군의 값은 50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레퍼런스 정보를 입력 받는 복수의 비교부(121,122,123,124)의 숫자는 상기 개체군의 숫자와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개체군의 수가 5000개일 경우에 비교부(121)와 비교부(122)사이에는 4998개의 비교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비교부(123)와 비교부(124)사이에도 4998개의 비교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100)는 비교부들을 사용하여 각기 다른 5000개의 마스크에 대응하는 테스트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의 비교를 동시에 할 수 있다.
비교부(121,122,123,124)가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 상기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를 비교하는 구성은 이하 도 2를 사용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이때, 마스크 저장부(114)는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각기 다른 마스크 저장부가 각자 매칭된 비교부(121,122,123,124)에 마스크를 전송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하나의 마스크 저장부에서 각기 다른 마스크를 복수의 비교부(121,122,123,124)로 전송할 수도 있다.
누산부(131,132)는 비교부(121,122,123,124)들로부터 전송된 매치 정보의 량을 통합하여 상기 레퍼런스 정보 별로 상기 일치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비교부(121)로부터 상기 매치 정보를 4번 수신한 제1 누산부(131)는 제1 레퍼런스 정보의 일치량 정보의 값을 4개로 생성하고, 제2 비교부(122)로부터 상기 매치 정보를 8번 수신한 제2 누산부(132)는 제2 레퍼런스 정보의 일치량 정보의 값 을 8개로 생성할 수 있다.
판별부(140)는 누산부(131,132)가 생성한 상기 레퍼런스 정보 별 상기 일치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일치량 정보가 가장 많은 레퍼런스 정보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일치량 정보가 가장 많은 레퍼런스 정보에 대응하는 진단 결과를 표시한다. 일례로 누산부(131,132)가 제1 레퍼런스 정보의 일치량 정보의 값을 4개로 생성하고, 제2 레퍼런스 정보의 일치량 정보의 값을 8개로 생성하였으면, 판별부(140)는 제2 레퍼런스 정보가 상기 일치량 정보가 가장 많은 레퍼런스 정보라고 판별하고, 제2 레퍼런스 정보에 대응하는 진단 결과인 전립선암에 걸려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교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비교부(200)는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 및 상기 마스크의 비트 수가 178일 경우의 일례로써,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의 특정 비트가 동일한가를 확인하는 복수의 동일 확인부(211,221); 동일 확인부(211,221)와 대응하며, 상기 특정 비트가 상기 마스크에서 비교하기로 한 비트인가를 확인하는 복수의 특정 비트 확인부(212,222); 및, 상기 동일 확인부에서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의 특정 비트가 동일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고, 상기 동일 확인부와 대응하는 특정 비트 확인부에서 상기 마스크에서 비교하기로 한 비트인 것으로 확인된 비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있으면 상기 마스크에서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는 일치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는 매치 확인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크는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서 비교해야 하는 상기 특정 비트와 동일한 위치의 비트의 값에 1을 부여하고, 상기 특정 비트가 아닌 비트의 값에 0을 부여하여 서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동일 확인부(211,221)와 특정 비트 확인부(212,222)는 동일 확인부(211)와 특정 비트 확인부(212), 동일 확인부(221)와 특정 비트 확인부(222)의 경우처럼 각각 한 쌍으로 대응하며, 동일 확인부(211)와 특정 비트 확인부(212)의 쌍과 동일 확인부(221)와 특정 비트 확인부(222)의 쌍 사이에는 176개의 동일 확인부와 특정 비트 확인부의 쌍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동일 확인부(211)와 특정 비트 확인부(212)의 쌍은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 및 상기 마스크의 비트에 1:1 대응할 수 있다.
첫 번째 비트에 대응하는 동일 확인부(211)는 익스클루시브(EXCLUSIVE) OR 게이트로 형성되어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의 첫 번째 비트인 테스트0과 레퍼런스 0을 입력 받아 상기 테스트0과 레퍼런스 0이 동일하면 0을 출력하고, 상기 테스트0과 레퍼런스 0이 다르면 1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비트에 대응하는 특정 비트 확인부(212)는 NAND 게이트(212)로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의 첫 번째 비트인 마스크0과 동일 확인부(211)의 출력 값이 모두 1인 경우에만 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크0과 동일 확인부(211)의 출력 값이 모두 1이라는 것은 상기 첫 번째 비트가 비교해야 하는 상기 특정 비트이며,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가 다르다는 것이므로 상기 특정 비트에서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서는 동일 확인부(211)와 특정 비트 확인부(212)의 쌍과 동일 확인부(221)와 특정 비트 확인부(222)의 쌍 사이에 있는 두 번째 비트에 대응하는 동일 확인부와 특정 비트 확인부의 쌍부터 백칠십칠 번째 비트에 대응하는 동일 확인부와 특정 비트 확인부의 쌍들의 표시를 생략하였다.
그리고, 백칠십팔 번째 비트에 대응하는 동일 확인부(221)는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의 마지막 비트인 테스트177과 레퍼런스 177을 입력 받아 상기 테스트177과 레퍼런스 177이 동일하면 0을 출력하고, 상기 테스트177과 레퍼런스 177이 다르면 1을 출력할 수 있으며, 특정 비트 확인부(222)는 상기 마스크의 마지막 비트인 마스크 177과 동일 확인부(221)의 출력 값이 모두 1인 경우에만 0을 출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매치 확인부(240)는 AND 게이트로 형성되어 특정 비트 확인부(212,222)들의 출력이 모두 1인 경우에만 상기 마스크에 대응하는 부분이 일치한다는 내용의 매치 정보인 1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의 178개 비트에 포함된 상기 특정 비트 중에서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가 동일하지 않는 비트가 하나라도 있으면,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특정 비트 확인부에서 0이 입력되어 매치정보인 1을 출력하지 못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비교부(121,122,123,124)는 환자의 DNA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생성된 테스트 정보와 정상 상태의 전립선 특징을 지닌 DNA 정보 또는 전립선암의 특징을 지닌 DNA 정보로 형성된 복수의 레퍼런스 정보 중에 하나에서 특정 마스크에 대응하는 비트들을 비교하고(S301), 상기 비트들이 동일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S302).
상기 테스트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에서 특정 마스크에 대응하는 비트들이 동일하면, 비교부(121,122,123,124)는 동일한 값이 있다는 매치 정보를 누산부(131,132)로 전송하여, 누산부(131,132)가 매치 정보의 수를 나타내는 매치 값을 증가시키도록 한 다음에(S303) 개체군 안의 모든 마스크로 상기 테스트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를 비교하였는지를 확인하고(S304), 상기 테스트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에서 특정 마스크에 대응하는 비트들이 동일하지 않으면, 바로 개체군 안의 모든 마스크로 상기 테스트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를 비교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304). 이때, 매치 값은 레퍼런스 정보의 일치량 정보일 수 있다.
개체군 안의 모든 마스크로 상기 테스트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를 비교하지 않았으면, 개체군의 값과 마스크 값을 증가할 수 있다(S305). 이때, 개체군의 값은 개체군에 포함된 마스크 중에 몇 번째 마스크인가를 나타내는 값이고, 마스크 값은 비교부(121,122,123,124)가 사용하는 마스크의 종류를 나타내는 값으로써, 개체군의 값을 증가하여 1개의 마스크를 사용한 비교가 끝났음을 알리고, 마스크 값을 증가하여 다른 마스크를 비교에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체군의 값이 개체군의 마지막 값이 되면, 비교부(121,122,123,124)는 개체군 안의 모든 마스크로 상기 테스트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를 비교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04).
그리고, 개체군 안의 모든 마스크로 상기 테스트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를 비교하였으면, 비교부(121,122,123,124)는 모든 레퍼런스 정보를 상기 테스트 정보와 비교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306). 모든 레퍼런스 정보를 상기 테스트 정보와 비교하지 않았으면, 비교부(121,122,123,124)는 단계(S304)를 통과하지 않은 다른 레퍼런스 정보를 로드 하여(S307) 테스트 정보와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S301).
마지막으로 모든 레퍼런스 정보를 상기 테스트 정보와 비교하였으면, 판별부(140)는 단계(S303)에서 계산된 각각의 레퍼런스 정보들의 매치 값을 확인하고, 상기 매치 값이 가장 큰 레퍼런스 정보에 대응하는 진단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는 전립선암 특징을 지닌 DNA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각종 전립선암의 레퍼런스 정보들을 환자의 DNA 정보와 비교하여 진단함으로써 전립선암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전립선암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밀 검사가 아닌 평소에 혈액을 사용한 DNA 검사만으로 전립선암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DNA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들 중에서 특정 비트들만을 비교하여 판단함으로써 동일한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가장 유사한 증상을 판별할 수 있고, 복수의 비교부를 사용하여 환자의 DNA 정보와 레퍼런스 정보 중에서 비교에 사용되는 모든 특정 비트들을 동시에 병렬 연산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비트의 수와 위치를 변경하면서 반복 비교함으로써 판별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교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Claims (5)

  1. 환자의 DNA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생성된 테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테스트 값 저장부;
    정상 상태의 전립선 특징을 지닌 DNA 정보 또는 전립선암의 특징을 지닌 DNA 정보로 형성된 복수의 레퍼런스 정보가 저장되는 레퍼런스 저장부;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서 서로 비교할 부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복수의 마스크가 저장되는 마스크 저장부;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서 상기 마스크에 대응하는 부분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복수의 비교부;
    상기 비교부가 일치한 것으로 확인한 부분의 합계인 일치량 정보를 생성하는 누산부; 및,
    상기 일치량 정보가 가장 많은 레퍼런스 정보를 판별하고, 상기 일치량 정보가 가장 많은 레퍼런스 정보에 대응하는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판별부
    를 포함하는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교부는 동일한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 상기 비교부마다 각기 다른 상기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의 여러 부분을 비교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의 특정 비트가 동일한가를 확인하는 복수의 동일 확인부;
    상기 동일 확인부와 대응하며, 상기 특정 비트가 상기 마스크에서 비교하기로 한 비트인가를 확인하는 복수의 특정 비트 확인부; 및,
    상기 동일 확인부에서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의 특정 비트가 동일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고, 상기 동일 확인부와 대응하는 특정 비트 확인부에서 상기 마스크에서 비교하기로 한 비트인 것으로 확인된 비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있으면 상기 마스크에서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는 일치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는 매치 확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확인부의 숫자는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 및 상기 마스크의 비트 수와 동일하며, 각각의 상기 비교 확인부는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 및 상기 마스크의 비트와 대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에서 하나의 상기 테스트 정보와 상기 레퍼런스 정보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량은 50이고, 상기 마스크에 대응하는 부분의 량은 9비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KR1020090004531A 2009-01-20 2009-01-20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104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531A KR101104221B1 (ko) 2009-01-20 2009-01-20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531A KR101104221B1 (ko) 2009-01-20 2009-01-20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320A true KR20100085320A (ko) 2010-07-29
KR101104221B1 KR101104221B1 (ko) 2012-01-10

Family

ID=4264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531A KR101104221B1 (ko) 2009-01-20 2009-01-20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695A1 (en) * 2011-04-20 2012-10-26 Im Co., Ltd. Prostate cancer diagnosis device using fractal dimension value
KR101338403B1 (ko) * 2011-04-20 2013-12-10 (주)아이엠 프랙탈 차원값을 이용한 전립선암 진단기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695A1 (en) * 2011-04-20 2012-10-26 Im Co., Ltd. Prostate cancer diagnosis device using fractal dimension value
KR101338403B1 (ko) * 2011-04-20 2013-12-10 (주)아이엠 프랙탈 차원값을 이용한 전립선암 진단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221B1 (ko)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ff et al. Validity of using ICD‐9‐CM codes to identify selected categories of obstetric complications, procedures and co‐morbidities
Patel et al. Emergency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does not result in nodal understaging compared with elective surgery
Lantz et al. Expanding active surveillance inclusion criteria: a novel nomogram including preoperative clinical parameter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CN104694384B (zh) 线粒体dna拷贝数变异性的检测装置
KR101104221B1 (ko) Dna 정보를 사용한 전립선암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Yuan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a nomogram for predicting overall survival in patients with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Fassil et al. Approaches for classifying the indications for colonoscopy using detailed clinical data
Kim et al. Quality metrics of a fecal immunochemical test-based colorectal cancer screening program in Korea
Lee et al. Is there a difference in adenoma detection rates between gastroenterologists and surgeons?
KR101113535B1 (ko) Dna 정보를 사용한 폐암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Tan et al. A clinical scoring system to predict the clinical sequelae of computed tomography diagnosed intussusception
KR101081114B1 (ko) Dna 정보를 사용한 백혈병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760584B (zh) 前列腺癌疾病进展生物标志物及其应用
Hoover et al. Prophylactic mastectomy in high risk patients: a practice-based review of the indications. Do we follow guidelines?
KR101151495B1 (ko) Dna 정보를 사용한 소아 악성 종양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Zhou et al. Risk factors and incidence of non-closure stoma in patients with anterior resection of rectal cancer with temporary st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diz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PI-RADS categories and incidental findings in multiparametric prostate MRI
US20230298690A1 (en) Genetic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unbounded-sample analysis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Li et al. Prognostic nomogram that predicts progression-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of patients with ovarian clear cell carcinoma
WO2020117620A1 (en) Method, system and kit to detect metastatic hepatic cancer stemming from colorectal tumors and to determine a proposed treatment regime
Azin et al. Diagnostic utility of staging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and repeat endoscopy in detecting localization errors at initial endoscopy in colorectal cancer
Assel et al. Biomarker evaluation and clinical development
John et al. High Adenoma Detection Rates in Fecal Immunochemical Test-Based Colorectal Cancer Screening: Interim Results of the National Bowel Cancer Screening Program in Qatar
Bae et al. Cost-Utility Analysis for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ccording to the Initiating Age of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in Korea
US119356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based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with analysis refin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