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849A - 송신기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 내의 조정가능한 국부 발진기 경로 - Google Patents

송신기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 내의 조정가능한 국부 발진기 경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849A
KR20100083849A KR1020107013631A KR20107013631A KR20100083849A KR 20100083849 A KR20100083849 A KR 20100083849A KR 1020107013631 A KR1020107013631 A KR 1020107013631A KR 20107013631 A KR20107013631 A KR 20107013631A KR 20100083849 A KR20100083849 A KR 20100083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l oscillator
signal
path
power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164B1 (ko
Inventor
웨이 줘
아리스토텔레 하드지크리스토스
추-왕 판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8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통신 디바이스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와 국부 발진기 (LO) 신호를 믹싱하여 수신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 (IF) 로 하향변환한다. 하향변환 믹서로 LO 신호를 공급하는 LO 겨로는 송신기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높은 송신 전력에 있어서, LO 경로의 구동이 증가됨으로써, 믹서에 입력되는 LO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를 증가시킨다. 낮은 송신 전력 레벨들에 있어서, LO 경로로의 구동이 감소되어, 통신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이 방식으로, 자기-생성된 송신기 신호와 LO 위상 잡음의 믹싱으로 인한 수신기 경로 잡음이 더 낮은 전력 소비 불이익을 유발하면서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통신 디바이스는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해 구성된 액세스 단말기일 수도 있다.

Description

송신기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 내의 조정가능한 국부 발진기 경로{ADJUSTABLE LOCAL OSCILLATOR PATH IN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TRANSMITTER}
우선권
본원은 2007년 11월 20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ADJUSTABLE LOCAL OSCILLATOR PATH IN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TRANSMITTER" 인 미국 가출원 번호 제 60/989,203 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 개시물은 본원의 개시물의 일부로 고려된다.
배경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프로세싱 시스템들, 방법들, 및 제조품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신된 신호를 중간 또는 베이스밴드 주파수로 하향변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시스템들, 방법들, 및 제조품들은 셀룰러 액세스 단말기들에서의 사용을 포함하여 텔레커뮤니케이션들에서 채용될 수도 있다.
배경
최신 통신 시스템은 음성 및 데이터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송신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인트-투-멀티포인트 통신 컨텍스트에서, 알려진 통신 시스템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FDMA), 시분할 다중 접속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및 다른 다중 접속 통신 기법들에 기초한다.
CDMA 시스템은, (1) "TIA/EIA-95 듀얼-모드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셀룰러 시스템을 위한 이동국-기지국 호환성 표준 (TIA/EIA-95 Mobile Station-Base Station Compatibility Standard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System)" (이 표준 및 이 표준의 인핸스드 리비전들 A 및 B는 "IS-95 표준" 이라 지칭될 수도 있다), (2) "TIA/EIA-98-C Recommended Minimum Standard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Mobile Station (TIA/EIA-98-C 듀얼-모드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셀룰러 이동국을 위한 권고 미니멈 표준)" ("IS-98 표준"), (3)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라는 명칭의 컨소시엄에 의해 후원되고 "W-CDMA 표준" 라 알려진 문헌들의 세트에 삽입된 표준, (4)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 (3GPP2) 라는 명칭의 컨소시엄에 의해 후원되고 "TR-45.5 Physical Layer Standard for cdma2000 Spread Spectrum Systems", "C.S0005-A Upper Layer (Layer3) Signaling Standard for cdma 2000 Spread Spectrum Systems", 및 "TIA/EIA/IS-856 cdma2000 High Rate Packet Data Air Interface Specification" (일괄하여 "cdma2000 표준") 을 포함하는 문헌들의 세트에 삽입된 표준, (5) 1xEV-DO 표준, 및 (6) 특정 다른 표준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CDMA 표준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위에 명확히 나열된 표준들은, 첨가물 (annex), 부록 (appendix), 및 다른 부속물 (attachment) 을 포함하여 여기서 전부 설명되는 것처럼 참조로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기들의 수신기들은 베이스밴드 또는 더 낮은 중간 주파수 (IF) 에서의 후속 프로세싱을 위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베이스밴드 또는 더 낮은 중간 주파수 (IF) 로 변환하기 위한 믹서들을 포함한다.
상술된 표준들에 따라 동작하는 CDMA 및 W-CDMA 시스템들과 같은 풀 듀플렉스 시스템들에서, 액세스 단말기의 수신기는, 송신 신호가 듀플렉서를 통해 수신기의 전단의 저잡음 증폭기 (LNA) 의 입력으로 누설되는 단말기의 자체 송신기로부터의 간섭을 경험한다. 송신기의 누설은 외부 재머 (jammer) 신호 (임의의 다른 간섭 신호) 와 변조되어, 혼변조 생성물 (cross-modulation products) 이 수신기의 민감도를 열화시키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로-IF (zero-IF) 수신기에서, 송신기 신호 누설은 또한, 믹서 출력에서 베이스밴드 내에 속하는 제 2 고조파 생성물 (second harmonic products) 을 생성함으로써, 수신 경로에서 원하는 신호에 악영향을 준다.
송신기 신호 누설을 처리하기 위해, LNA는 엄격한 혼변조 (선형성) 요구조건들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LNA에서 큰 전류 소비를 요구한다. 또한, 인터-스테이지 (inter-stage) 표면 탄성파 (SAW) 필터가 LNA 와 믹서 입력 사이에 개재되어, 믹서 이전에 송신기 누설을 감쇠시킴으로써, 국부 발진기 경로 및 하향-변환 믹서에 뒤따르는 컴포넌트들에 적용가능한 요구조건들의 엄격함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액세스 단말기에서의 SAW 필터의 포함은 단말기의 비용 및 사이즈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다수의 종종 경합하는 기준은 셀룰러 액세스 단말기 수신기들 및 GPS 수신기들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들의 설계에 영향을 미친다. 기준은 사이즈, 무게, 전력 소비, 및 잡음 지수를 포함한다. 따라서, 개선된 잡음 지수들을 갖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들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존재한다. 또한, 감소된 사이즈 및 감소된 무게를 갖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들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존재한다. 또한, 감소된 전력 소비를 갖는 수신기들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존재한다.
개요
여기서 개시되는 실시형태들은,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예컨대 수신기의 중간 주파수와 같은 상이한 주파수로 믹싱 및 변환 (번역) 하기 위한 장치들, 방법들, 및 제조품들에 의해 상술된 필요성들 중 하나 이상을 해소할 수도 있다. 송신기의 송신 전력에 응답하여 수신기 내의 국부 발진기 경로의 구동 레벨이 변화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기를 동작시켜서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방법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의 수신기의 국부 발진기에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방법은 수신기의 국부 발진기 경로에서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방법은 송신 신호의 전력에 응답하여 국부 발진기 경로의 위상 잡음 및 전력 소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변화시키는 단계는 수신기가 동작가능한 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방법은 또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방법은 또한 국부 발진기 경로에서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방법은 송신 신호의 전력이 제 1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레벨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국부 발진기 경로의 구동 레벨을 제 1 세팅으로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방법은 송신 신호의 전력이 제 1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국부 발진기 경로의 구동 레벨을 제 2 세팅으로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송신기, 수신기,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송신기에 커플링되어 송신기의 동작들을 제어하고, 수신기에 커플링되어 수신기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송신기는 송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수신기는 믹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국부 발진기, 및 국부 발진기와 믹서 사이에 접속된 국부 발진기 경로를 포함한다. 국부 발진기 경로는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국부 발진기 경로는 또한 믹서에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커플링하도록 구성된다. 수신기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믹서를 사용하여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국부 발진기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의 상이한 레벨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에 따라 변화한다. 제어기는 송신 신호의 전력에서의 증가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증가시키고, 송신 신호의 전력에서의 감소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액세스 단말기는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액세스 단말기는 또한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수신하는 수단은 믹싱하는 수단,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및 믹싱하는 수단에 생성하는 수단을 접속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접속시키는 수단은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수신하는 수단은 믹싱하는 수단을 사용하여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접속시키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의 상이한 레벨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에 따라 변화한다. 액세스 단말기는 액세스 단말기의 풀 듀플렉스 동작 동안 송신 신호의 전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머신-판독가능한 매체는 명령들을 저장한다. 명령들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명령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다수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믹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국부 발진기, 및 국부 발진기와 믹서 사이에 접속된 국부 발진기 경로를 포함한다. 국부 발진기 경로는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여 믹서에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커플링하도록 구성된다. 수신기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믹서를 사용하여 수신 신호를 상이한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국부 발진기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의 상이한 레벨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에 따라 변화한다. 복수의 단계들은 송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송신 신호의 전력에 응답하여 국부 발진기 경로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변화시키는 단계는 수신기가 동작가능한 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는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방법은 또한 국부 발진기 경로에서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송신 신호의 전력에 응답하여 국부 발진기 경로의 전력 소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방법은 또한, 국부 발진기 경로에서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발진기 신호를 획득한다. 그 방법은 송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송신 신호의 전력 레벨에 응답하여 국부 발진기 경로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변화시키는 단계는 통신 디바이스의 수신기가 동작가능한 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형태들 및 양태들은 다음의 설명, 도면들, 및 첨부된 청구의 범위를 참조하여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송신기 전력에서의 변화들에 응답하여 국부 발진기 경로 전력 소비 및 위상 잡음 성능이 조정되는 수신기의 선택된 컴포넌트들 및 블록들을 예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신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조정가능한 국부 발진기 경로의 선택된 컴포넌트들 및 블록들을 예시한다.
도 3은 송신기 전력에서의 변화들에 응답하여 국부 발진기 경로를 조정하는 프로세스의 선택된 단계들 및 판정 블록들을 도시한다.
상세한 설명
본 명세서에서, "실시형태", "변형" 이라는 단어들, 및 유사한 표현들은 특정한 장치, 프로세스, 또는 제조품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동일한 장치, 프로세스, 또는 제조품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나의 위치 또는 컨텍스트에서 사용되는 "일 실시형태" (또는 유사한 표현) 는 특정한 장치, 프로세스, 또는 제조품을 지칭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위치에서의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표현은 상이한 장치, 프로세스, 또는 제조품을 지칭할 수도 있다. "대안의 실시형태" 라는 표현 및 유사한 어구들은 다수의 상이한 가능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가능한 실시형태들의 수는 반드시 2개 또는 임의의 다른 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트랜스컨덕턴스 증폭기" 또는 "트랜스컨덕턴스 스테이지" 는 증폭기이거나, 입력 전압이 출력 전류를 생성하는 더 우수하거나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이며, 본질적으로 전류-소스 (고 임피던스) 출력 또는 출력들을 실질적으로 제공하도록 설계된 전압-제어되는 전류 소스이다.
"중간 주파수" 또는 "IF" 는 제로 IF를 포함한다.
"국부 발진기 경로" 및 "LO 경로" 라는 표현들은, 수신된 신호를 IF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믹서의 입력에 국부 발진기의 출력을 접속시키는 컴포넌트들을 지칭한다.
"전력 레벨" 및 "송신 전력 레벨" 은 에너지가 송신되지 않는 제로 전력 레벨을 포함하며; 제로 전력 레벨에서 송신하는 송신기는 턴오프될 수도 있다.
"구동 레벨 (drive level)" 은 공급 또는 바이어싱 전압, 또는 전류의 레벨을 지칭하며; 상세한 설명에서 보게 될 바와 같이, 국부 발진기 경로의 구동 레벨은, 경로의 전력 소비 및 경로의 출력에서의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 양자 모두를 변경한다.
AT, 가입자 스테이션, 사용자 장비, UE, 이동 단말기, MT, 또는 셀룰러 통신 디바이스라 또한 지칭될 수도 있는 액세스 단말기는 이동식 또는 고정식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 (PC) 카드, 외장 또는 내장 모뎀, 무선 전화기, 및 무선 통신 능력을 갖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타입들 중 임의의 것일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 기지국들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거나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한다.
송수신 기지국들 및 기지국 제어기들은 무선 네트워크, RN,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AN이라 호칭되는 네트워크의 부분들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UTRAN 또는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다수의 액세스 단말기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는, 기업 인트라넷, 인터넷, 종래의 일반 전화 교환망 (PSTN),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그 무선 네트워크 외부의 부가적인 네트워크들에 접속될 수도 있고, 각각의 액세스 단말기와 그러한 외부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데이터 및 음성 패킷들을 전달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들 및 특정 구현들에 따르면, 송수신 기지국은 노드-B, 기지국 시스템 (BSS) 및 단순하게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른 명칭들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 제어기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 제어기, 이동 전화 교환국, 또는 서빙 GPRS 지원 노드를 포함하는 다른 명칭들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및 유사한 무선 통신 시스템 컴포넌트들 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 장비까지 확장된다.
여기서 "예시적인" 이라는 단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 또는 변형은 반드시 다른 실시형태들 또는 변형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리하다고 해석될 필요는 없다. 본 설명에서 설명되는 모든 실시형태들 및 변형들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 및 변형들이며, 본 발명에 부여되는 법적 보호의 범위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술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기 또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의 저잡음 증폭기는 다소 엄격한 선형성 요구조건들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한 강화된 선형성 요구조건들은 LNA의 비용, 사이즈, 및 전류 소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믹서로의 송신기 누설을 감쇠시키기 위해, LNA와 믹서 입력 사이에 표면 탄성파 필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유사하게, SAW 필터는 액세스 단말기의 비용 및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집적도를 개선하고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LNA와 믹서 사이의 SAW 필터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동시에, LNA에 부과되는 선형성 요구조건들을 엄격하게 하지 않는 것이 (또는 가능하게는 심지어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결과로서, 액세스 단말기의 송신 주파수에서 국부 발진기 (LO) 신호에 매우 엄격한 위상 잡음 요구조건들이 부과되어야만 할 수도 있으며; 그러한 위상 잡음 요구조건들은, LO 경로의 전류 소비를 상당히 증가시킬 수도 있고 통상적으로 그러하며, 결국 액세스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
위상 잡음 성능 요구조건들은, 액세스 단말기의 송신기가 최대 전력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가장 엄격하다. 또한, 통상적인 셀룰러 액세스 단말기는 시간의 작은 퍼센티지 동안만 최대 송신기 전력에서 동작한다.
도 1은, 액세스 단말기의 송신기 전력에서의 변화들에 응답하여 LO 위상 잡음 성능이 동적으로 조정되는 액세스 단말기 수신기 경로 (100) 의 선택된 컴포넌트들 및 블록들을 예시한다. 이 방식으로, 액세스 단말기의 수신기의 LNA에 불필요하게 엄격한 선형성 요구조건들을 부과하지 않으면서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소비되는 평균 전류가 감소될 수도 있다.
수신기 경로 (100) 는 저잡음 증폭기 (105), 중간 주파수 믹서 (110), 국부 발진기 (115), 국부 발진기 경로 (120), 필터 (125), 프로세서 (130), 및 송신 신호 강도 표시자 블록 (135) 을 포함한다. 수신기 경로 (100) 는 LNA (105) 와 믹서 (110) 로의 입력 사이에 SAW 필터를 개재시키지 않고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A (105) 로의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가 하향변환되는 주파수는 제로이다. 이는 반드시 요구조건인 것은 아니며; 넌-제로 중간 주파수로의 변환도 또한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넌-제로 IF 변형들에서, 필터 (125) 는 수신기의 실제 중간 주파수에 또는 그 근방에 중심이 놓인다.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 (130) 는 예컨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여러 프로세서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Tx (송신) 강도 표시자 블록 (135) 은 예컨대, 프로세서 (130) 에 의해 판독가능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위치들과 같은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수신기 경로 (100) 가 그 일부인 액세스 단말기의 송신기의 송신 강도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130) 로의 입력일 수도 있다. Tx 강도 표시자 블록 (135) 은 실시간으로 송신 강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블록 (135) 은 송신 전력의 변경 상태의 표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블록 (135) 은 송신기가 파워 업되는 것의 표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변형들에서, 블록 (135) 은, 현재 송신 전력의 표시 및 송신 전력에서의 펜딩하는 (pending) 변화의 표시 양자 모두를 제공한다. 몇몇 변형들에서, 블록 (135) 은, (1) 송신기의 상태의 실시간 표시를 제공하고, (2) 송신기가 턴온되는 경우에, 송신기의 현재 송신 전력의 표시를 제공한다. 그러나, 몇몇 변형들에서, 블록 (135) 은 송신 전력의 표시 없이 송신기의 상태의 실시간 표시를 제공하며; 유사하게, 몇몇 변형들에서, 블록 (135) 은 송신기 상태의 표시 없이 송신 전력의 표시를 제공한다. (때때로, 송신기 상태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추측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제로 송신 전력은 송신기가 오프인 것을 암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웨이크-업하도록 액세스 단말기의 송신기에게 지시하는 신호인 Tx 전력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송신기 상태의 표시가 제공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Tx 전력 웨이크-업 신호는, 액세스 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 사이에서 음성 및/또는 데이터 호가 셋업되고 있는 경우에 액세스 단말기의 송신기를 턴온시킨다. 또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송신 전력의 표시는 Tx AGC 신호에 의해 제공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LO (115) 는 수신기의 국부 발진기이다. 이는, 프리-러닝 (free-running) 수정 발진기이거나, 다른 신호에 직접적으로 락킹 (lock) 된 전압 제어되는 수정 발진기이거나,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하거나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하지 않은 합성기의 발진기일 수도 있다.
LO (115) 의 출력은 LO 경로 (120) 를 통과한다. LO 경로 (120) 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컨덕턴스 스테이지들, 하나 이상의 버퍼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분할기들 뿐만 아니라 다른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LO 경로 (120) 또는 LO 경로 (120) 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선행하는 문단에서 언급된 합성기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동작에서, 프로세서 (130) 는 블록 (135) 으로부터 액세스 단말기의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송신 전력 정보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130) 는 믹서 (110) 로의 LO 입력에서의 LO 신호의 적절한 위상 잡음, 및 LO 경로 (120) 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대응하는 구동 레벨(들)을 결정한다. 몇몇 변형들에서, LO 경로 (120) 의 구동 레벨(들)은 LO 경로 (120) 의 1개, 여러개, 또는 모든 컴포넌트들에 제공되는 공급 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구동 레벨(들)은 단일의 단계에서 또는 다수의 단계들에서 조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LO 경로 (120) 의 각각의 제어가능한 공급 전압에 대해 2개, 3개, 4개, 또는 임의의 복수의 별개의 세팅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단순한 경우에서, 송신기가 오프인 경우에 제 1 구동 레벨이 제공될 수도 있고, 송신기가 턴온되는 경우에 제 2 (더 높은) 구동 레벨이 제공될 수도 있다. 구동 레벨은 송신기가 턴온되기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이전에, 또는 송신 전력 레벨이 증가되기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이전에 조정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구동 레벨은 송신기가 턴오프된 후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이후에, 또는 송신 전력 레벨이 감소된 후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이후에 조정될 수도 있다.
더 복잡한 예에서, LO 경로 (120) 의 성능을 조정하기 위해 2개보다 더 많은 상이한 구동 레벨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변형들에서, 송신기의 가능한 송신 전력 레벨들이 존재하는 만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의 구동 레벨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송신기를 턴온시키거나 또는 송신 전력을 변경하기 위해 램프 프로파일이 사용되는 경우에, 프로세서 (130) 는 송신 전력 레벨의 조정에 따라 락스텝 (lockstep) 으로 LO 경로 (120) 의 구동 레벨을 조정할 수도 있다. 송신기 전력이 프로파일 램프 상에서 스텝 업되기 전의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이전에 LO 경로 (120) 의 구동 레벨이 스텝 업될 수도 있고, 송신 전력이 프로파일 램프 상에서 스텝 다운된 후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이후에 구동 레벨이 스텝 다운될 수도 있다. 이 방식으로, LO의 위상 잡음은 송신 전력에서의 증가들 이전에 개선되고, 송신 전력에서의 감소들 이후에 줄어든다 (diminish).
몇몇 변형들에서, 프로세서 (130) 는, 수신기에서의 소정의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해 일정한 신호 대 잡음 비를 유지하기 위해, LO 경로 (120) 의 구동 레벨을 대략적으로 (roughly) 변화시킨다.
몇몇 변형들에서, 프로세서 (130) 는 송신 전력 레벨의 소정의 함수로서 LO 경로 (120) 의 구동 레벨을 변화시킨다. 함수는 선형 관계일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의 상이한 상태들에 대해 상이한 소정의 함수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 (130) 는, 배터리 상태가 미리 결정된 충전 표시를 하회하는 경우의 (더 낮은 구동 레벨에 대응하는) 덜 적극적인 (aggressive) 제어에 비해, 배터리 상태가 미리 결정된 충전 표시를 상회하는 경우에 (더 높은 구동 레벨에 대응하여) 더 적극적인 방식으로 LO 경로 (120) 의 위상 잡음을 제어하는 것을 시도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프로세서 (130) 는, 액세스 단말기가 배터리에 의해 전원공급되는 경우의 덜 적극적인 제어에 비해, 액세스 단말기가 충전기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더 적극적인 방식으로 LO 경로 (120) 의 위상 잡음을 제어하는 것을 시도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LO 경로 (120) 와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할 수도 있는 LO 경로 (200) 의 선택된 컴포넌트들 및 블록들을 예시한다. LO 경로 (200) 는 국부 발진기 Gm 스테이지 (210), 국부 발진기 주파수 분할기 (220), 및 국부 발진기 버퍼 (230) 를 포함한다. LO Gm 스테이지 (210) 는 출력 전류를 그 입력 전압의 함수로서 제공하고 분할기 (220) 로부터 국부 발진기 (115) 를 분리시키는 트랜스컨덕턴스 증폭기 또는 버퍼이다. LO Gm 스테이지 (210) 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 (130) 와 같은, LO 경로 (200) 가 속하는 수신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바이어싱 전류 소스 (211) 를 포함한다. 전류 소스 (211) 로의 입력은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공급 전압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효율적인 설계들에 있어서, 전류 소스 (211) 를 제어하는 공급 전압이 높을수록, LO 경로 (200) 의 출력에서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이 낮아진다. (상대적인 LO 위상 잡음은 LO 신호 강도에 대한 소정의 오프셋에서의 LO 위상 잡음이며; 공급 전압에서의 증가는 통상적으로 잡음 플로어 및 신호 양자 모두를 상승시키지만 통상적으로 신호가 잡음 플로어보다 더 급속히 상승할 것이다).
LO Gm 스테이지 (210) 의 입력은 LO (115) 의 출력과 같은 국부 발진기 (115) 의 출력에 커플링된다. LO Gm 스테이지 (210) 의 출력은 주파수 분할기 (220) 의 입력에 커플링된다.
주파수 분할기 (220) 의 출력에서의 분할된 LO 주파수 신호는 버퍼 (230) 에 커플링된다. 버퍼 (230) 의 출력은, 도 1에 도시된 믹서 (110) 와 같이, 수신 신호 (예컨대, 액세스 단말기 수신 신호) 를 중간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도록 구성된 믹서의 LO 입력 포트에 커플링된다. 버퍼 (230) 는 분할기 (220) 로부터 믹서를 분리시키고, 또한 약간의 LO 신호 증폭을 제공할 수도 있다.
주파수 분할기 (220) 및 버퍼 (230) 로의 공급 전압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된다. 다시, 효율적인 설계들에 있어서, 분할기 (220) 및 버퍼 (230) 의 공급 전압들이 높을수록, LO 경로 (200) 의 출력에서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이 낮아진다. 프로세서는 단일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분할기 (220), 버퍼 (230), 및 LO Gm 스테이지 (210) 의 전류 소스 (211) 로의 공급 전압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는 이들 공급 전압들의 각각, 또는 이들 공급 전압들의 임의의 조합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공급 전압들의 일부만이 실제로 제어되고, 나머지 공급 전압 또는 전압들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LO 경로 (200) 의 (그리고 따라서 액세스 단말기의) 전류 소비는 전류 소스 (211), 분할기 (220), 및 버퍼 (230) 에 제공되는 공급 전압들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동시에, LO 경로 (200) 의 출력에서의 국부 발진기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는 공급 전압들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CMOS 로직 구현들에 있어서, 회로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동작 주파수 및 로직 계열의 부하 용량에 따라 선형으로 증가하고, 공급 전압의 제곱에 따라 증가한다:
Figure pct00001
아래의 표 1은 특정한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특정한 실시형태의 국부 발진기-LO 경로 조합에 대한 결과들 (위상 잡음 대 상이한 공급 전압들) 을 요약한다. 표에서, 가장 좌측의 열은 상이한 전류 세팅 코드들을 나타내고; 좌측으로부터 2번째 열은 전류 세팅 코드들에 대응하는 공급 전압들을 나타내고; 우측으로부터 2번째 열은 송신 주파수 오프셋에서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 플로어를 도시하며; 마지막으로 가장 우측의 열은 테스트되는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한 대응하는 전류 소모들을 나타낸다.
전류 세팅 코드 CMOS 버퍼에 대한 공급 전압 PN @ Tx 주파수 전류 소비
11 1.6 -158 dBc/Hz 17.5 mA
00 1.4 -148 dBc/Hz 12.4 mA
도 1의 수신기 경로 (100) 및 설명된 다른 수신기 경로 실시형태들 및 변형들은 액세스 단말기의 메인 수신기에서, 즉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설계된 수신기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수신기 경로 (100) 및 설명된 다른 실시형태들/변형들은 액세스 단말기에 포함될 수도 있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블록의 수신기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실제로, 수신기 경로 (100) 및 다른 실시형태들 및 변형들은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을 포함하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LO 경로 (120 또는 200) 를 제어하는 코스에서 프로세서 (13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프로세스 (300) 의 선택된 단계들 및 판정 블록들을 도시한다. 플로우 포인트 (301) 에서 시작하여, 수신기 경로 (100) 가 그 일부인 액세스 단말기가 구성되었고 동작가능하다.
단계 (310) 에서, 프로세서 (130) 는 액세스 단말기의 송신기의 현재 및/또는 예측되는 송신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이 단계는 예컨대, Tx 전력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Tx AGC 신호를 판독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320) 에서, 프로세서 (130) 는 LO 경로 (120) 의 구동 레벨 또는 레벨들을 결정한다. (단일 레벨 또는 다수의 레벨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제어될 수도 있다는 것을 상기한다). 단계 (320) 는 예컨대, LO 경로 (120) 의 컴포넌트(들)에 대한 프로그래밍된 공급 전압(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레지스터들 또는 메모리 위치들을 판독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판정 블록 (330) 에서, 프로세서는 송신 전력이 LO 경로 (120) 의 구동 레벨 또는 레벨들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한다. 구동 레벨(들)과 송신 전력 사이의 관계(들)는 프로세서 (130) 의 메모리 또는 액세스 단말기의 다른 메모리 내에 어레이 또는 어레이들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송신 전력이 구동 레벨 또는 레벨들에 대응하는 경우에, 프로세스 플로우는 단계 (310) 로 루프백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프로세스 플로우는, 구동 레벨 또는 레벨들이 적절한 지시로 조정되는 단계 (340) 로 분기된다. 예컨대, 송신 전력이 구동 레벨(들)에 대해 너무 높은 경우에, 구동 레벨(들)은 증가될 수도 있으며; 송신 전력이 구동 전력(들)에 대해 너무 낮은 경우에, 구동 레벨(들)은 감소될 수도 있다. 단계 (340) 에서 조정이 행해진 이후에, 프로세스 플로우는 단계 (310) 로 루프백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에, 부가적인 조정이 다음 프로세스 반복 동안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단계 (340) 는 구동 레벨들에서의 전체 조정을 한번에 실시할 수도 있거나, 또는 점진적인 조정을 실시하지만 전체 조정이 실시될 때까지 루프백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 및 변형들에서, 액세스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게들은 펌웨어로 저장되지만, LO 경로의 구동 레벨(들)을 제어하는 단계들은 소프트웨어로 저장된다. 그러나, 이들 저장 선택들은 모든 실시형태들 및 변형들에서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방법들의 단계들 및 판정들이 본 개시에서 연속으로 설명되지만, 이들 단계들 및 판정들의 몇몇은 함께 또는 병렬로, 비동기적으로 또는 동기적으로,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 개별적인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들 및 판정들은, 명시적으로 표시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컨텍스트로부터 명료하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요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설명이 이들을 나열한 동일한 순서로 수행되어야 하는 특정한 요구조건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선택된 변형들에서, 단계들 및 판정들은 상술되고/되거나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특정한 시퀀스들로 수행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예시된 단계 및 판정 모두가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형태/변형에서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예시된 몇몇 단계들 및 판정들이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형태들/변형들에서 바람직하거나 또는 필요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상이한 CMOS 디바이스들이 LO 경로 및 다른 곳에서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비-CMOS 디바이스들이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상이한 기술 체계들 및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정보 및 신호들이 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 필드 또는 입자, 광학 필드 또는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당업자는, 여기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함께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 상호교환성을 명료히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에 의해 일반적으로 상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따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 판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함께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르게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일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실시형태들과 함께 설명되었을 수도 있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제거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저장 매체의 임의의 다른 형태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액세스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액세스 단말기 내의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들의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만들거나 또는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이 당업자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서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가 부여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34)

  1.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기를 동작시켜서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수신기의 국부 발진기에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의 국부 발진기 경로에서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에 응답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의 위상 잡음 및 전력 소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가 동작가능한 동안 수행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의 증가에 응답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의 위상 잡음을 개선하고 전력 소비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의 감소에 응답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의 위상 잡음을 열화시키고 전력 소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수신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와 상기 증폭된 수신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국부 발진기 경로에서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이 제 1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레벨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의 구동 레벨을 제 1 세팅으로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이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의 상기 구동 레벨을 제 2 세팅으로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벨을 제 1 세팅으로 세팅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레벨을 제 2 세팅으로 세팅하는 단계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가 소비하게 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 레벨은 실질적으로 제로 (zero) 인,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의 상기 구동 레벨을 제 2 세팅으로 세팅하는 단계는, 액세스 단말기의 풀 듀플렉스 동작 동안 수행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벨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에 대응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를 증폭시켜서 증폭된 수신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와 상기 증폭된 수신 신호를 믹싱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주파수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9. 송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믹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국부 발진기, 및 상기 믹서와 상기 국부 발진기 사이에 접속된 국부 발진기 경로를 포함하는 수신기로서,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는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는 또한 상기 믹서에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커플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믹서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의 상이한 레벨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에 커플링되어 상기 송신기의 동작들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기에 커플링되어 상기 수신기의 동작들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에서의 증가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증가시키고,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에서의 감소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은 복수의 공급 전압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에서의 증가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공급 전압들의 각각의 공급 전압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에서의 감소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공급 전압들의 상기 각각의 공급 전압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증가시키는 것은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에서의 감소를 유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감소시키는 것은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에서의 증가를 유발하는, 통신 디바이스.
  12.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수신하는 수단은, 믹싱하는 수단,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믹싱하는 수단에 상기 생성하는 수단을 접속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시키는 수단은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하는 수단은 상기 믹싱하는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시키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의 상이한 레벨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수신하는 수단; 및
    액세스 단말기의 풀 듀플렉스 동작 동안에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시키는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수신하도록 접속된 트랜스컨덕턴스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시키는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수신하도록 접속된 주파수 분할기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시키는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수신하도록 접속된 버퍼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기.
  16. 명령들을 저장하는 머신-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복수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고,
    상기 수신기는 믹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국부 발진기, 및 상기 믹서와 상기 국부 발진기 사이에 접속된 국부 발진기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는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는 또한 상기 믹서에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를 커플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믹서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를 상이한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의 상이한 레벨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에 따라 변화하며;
    상기 복수의 단계들은,
    송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에 응답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가 동작가능한 동안 수행되는, 머신-판독가능한 매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의 증가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의 감소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머신-판독가능한 매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은 복수의 공급 전압들을 포함하는, 머신-판독가능한 매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의 증가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공급 전압들의 각각의 공급 전압을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의 감소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공급 전압들의 각각의 공급 전압을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머신-판독가능한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이 감소되도록 수행되며, 상기 낮추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이 증가되도록 수행되는, 머신-판독가능한 매체.
  21.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국부 발진기 경로에서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프로세싱된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에 응답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의 전력 소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의 증가에 응답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의 전력 소비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의 감소에 응답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의 전력 소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이 감소되도록 수행되며, 상기 낮추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이 증가되도록 수행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의 증가에 응답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에 제공되는 구동 레벨을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의 감소에 응답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의 상기 구동 레벨을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이 감소되도록 수행되며, 상기 낮추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이 증가되도록 수행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6.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국부 발진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싱된 발진기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국부 발진기 경로에서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 경로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수신기가 동작가능한 동안 수행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수신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와 상기 증폭된 수신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의 증가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의 감소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을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이 감소되도록 수행되며, 상기 낮추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이 증가되도록 수행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전압은 복수의 공급 전압들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 레벨의 증가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공급 전압들의 각각의 공급 전압을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 레벨의 감소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공급 전압들의 상기 각각의 공급 전압을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이 감소되도록 수행되며, 상기 낮추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싱된 국부 발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잡음이 증가되도록 수행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기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 것, 버퍼링하는 것, 및 트랜스컨덕턴스 스테이지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20107013631A 2007-11-20 2008-11-18 송신기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 내의 조정가능한 국부 발진기 경로 KR101146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920307P 2007-11-20 2007-11-20
US60/989,203 2007-11-20
US11/947,597 2007-11-29
US11/947,597 US8472890B2 (en) 2007-11-20 2007-11-29 Adjustable local oscillator path in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transmitter
PCT/US2008/083944 WO2009067464A1 (en) 2007-11-20 2008-11-18 Adjustable local oscillator path in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transmi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849A true KR20100083849A (ko) 2010-07-22
KR101146164B1 KR101146164B1 (ko) 2012-05-16

Family

ID=4064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631A KR101146164B1 (ko) 2007-11-20 2008-11-18 송신기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 내의 조정가능한 국부 발진기 경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72890B2 (ko)
EP (1) EP2215728B1 (ko)
JP (2) JP5199381B2 (ko)
KR (1) KR101146164B1 (ko)
CN (1) CN101911512B (ko)
TW (1) TW200939648A (ko)
WO (1) WO2009067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26132A1 (en) * 2009-11-18 2011-05-25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interferences generated by radio signals
CN102255659B (zh) * 2010-05-17 2014-06-11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低噪声降频器、多住宅单元设备及相关卫星电视系统
US9112508B2 (en) * 2010-06-09 2015-08-18 Broadcom Corporation Adaptive powered local oscillator generator circuit and related method
US8787854B2 (en) * 2012-07-25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local oscillator signal generation
GB2507087B (en) * 2012-10-18 2015-07-22 Broadcom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reception
DE102015114541A1 (de) 2015-08-31 2017-03-02 Intel IP Corporation Ein Empfänger und ein Verfahren zum Reduzieren einer Verzerrungskomponente innerhalb eines Basisbandempfangssignals
US9712113B2 (en) 2015-12-01 2017-07-18 Analog Devices Global Local oscillator paths
US9755678B2 (en) 2015-12-01 2017-09-05 Analog Devices Global Low noise transconductance amplifiers
EP3226624A1 (en) * 2016-03-31 2017-10-04 Intel IP Corporation Transceiver, transmitter, recei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minimum supply voltage for receivers and transmitters
EP3264615B1 (en) * 2016-07-01 2021-08-25 Intel Corporation Adaptation circuit and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adapting, fabricating, and operating, radio transceiver, mobile transceiver, base station transceiver, and storage for computer programs or instructions
KR102387572B1 (ko) 2017-04-20 2022-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US10670699B2 (en) * 2017-09-07 2020-06-02 Nxp B.V. RF radar device BIST using noise injection
JP6929203B2 (ja) * 2017-11-15 2021-09-01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ダイレクトコンバージョン受信機
KR102618561B1 (ko) 2018-07-16 2023-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로컬 오실레이터를 포함하는 rf 집적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1776A (en) 1988-10-27 1991-03-19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with adaptive transceivers to control intermodulation distortion
JP2968592B2 (ja) * 1990-12-26 1999-10-2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SE514943C2 (sv) * 1994-01-12 2001-05-21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Sätt vid energibesparing i en batteridriven sändare - mottagare
US6298221B1 (en) * 1998-04-01 2001-10-02 Denso Corporation Adaptive receiver linearity techniques for a radio transceiver
US6625238B2 (en) * 2000-03-29 2003-09-23 Sony Corporation Low power and high linearity receivers with reactively biased front ends
US6965655B1 (en) * 2000-06-20 2005-11-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a radio frequency receiver in the presence of interference
JP2003188754A (ja) * 2001-12-14 2003-07-04 Hitachi Ltd 局部発振周波信号出力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端末
US7299021B2 (en) * 2001-12-28 2007-11-2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ing the dynamic range of a receiver for continuously optimizing performance versus power consumption
JP2003249865A (ja) * 2002-02-22 2003-09-05 Sharp Corp 発振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受信装置
JP2003283361A (ja) 2002-03-22 2003-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受信装置、無線受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JP2003298441A (ja) * 2002-04-01 2003-10-17 Hitachi Ltd 低消費電力受信装置
KR100785003B1 (ko) 2002-09-06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동기루프(pll)의 제어전압을 이용한 멀티밴드용송수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
US7139542B2 (en) * 2003-03-03 2006-11-2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DC level in an adaptive radio receiver
US7283851B2 (en) 2004-04-05 2007-10-1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mode for receiver circuit blocks based on transmitter activity
JP2006345116A (ja) 2005-06-07 2006-12-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圧制御発振器
JP4923659B2 (ja) * 2006-03-24 2012-04-25 日本電気株式会社 局部発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送受信機
US7937120B2 (en) * 2007-04-21 2011-05-03 Paratek Microwave,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frequency based current reduction in wireless portable devices
US7787850B2 (en) * 2007-09-05 2010-08-31 Broadcom Corporation Multi-input multi-output transceiver with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based on receiver parameter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67464A1 (en) 2009-05-28
JP2013070389A (ja) 2013-04-18
EP2215728A1 (en) 2010-08-11
CN101911512B (zh) 2015-05-20
JP2011504069A (ja) 2011-01-27
TW200939648A (en) 2009-09-16
EP2215728B1 (en) 2016-03-23
JP5450771B2 (ja) 2014-03-26
US8472890B2 (en) 2013-06-25
US20090130994A1 (en) 2009-05-21
CN101911512A (zh) 2010-12-08
KR101146164B1 (ko) 2012-05-16
JP5199381B2 (ja)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164B1 (ko) 송신기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 내의 조정가능한 국부 발진기 경로
US9154088B2 (en) SPS receiver with adjustable linearity
JPH11317690A (ja) ラジオトランシ―バ用受信機直線性の適応制御技術
US9078215B2 (en) Programmable transmit continuous-time filter
US20180198428A1 (en) Low-noise amplifier (lna) with capacitive attenuator
KR20180044288A (ko) 저잡음 증폭기 및 노치 필터
US10298187B2 (en) Selective high and low power amplifier switch architecture
WO20000087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current consumption and performance in a receiver down converter of a wireless device
US20030114182A1 (en) Adaptive power amplifier
KR101103446B1 (ko) 저전력 페이징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A2781646C (en) Sps receiver with adjustable linearity
JP2002217774A (ja) 携帯電話機
JP2004128863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