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469A -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469A
KR20100083469A KR1020090002856A KR20090002856A KR20100083469A KR 20100083469 A KR20100083469 A KR 20100083469A KR 1020090002856 A KR1020090002856 A KR 1020090002856A KR 20090002856 A KR20090002856 A KR 20090002856A KR 20100083469 A KR20100083469 A KR 20100083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fish
camera
artificia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227B1 (ko
Inventor
곽철우
Original Assignee
곽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철우 filed Critical 곽철우
Priority to KR102009000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2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1/00Counting of objects distributed at random, e.g. on a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중에 설치된 인공어초에 서식하는 어류의 현존량을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수중카메라에 의해 어류의 파악이 가능하여 낚시의 크기나 미끼, 그물의 크기에 따른 제안을 받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인공어초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중카메라에 의해 어류의 촬영이 가능하고, 거리표시깃발과 카메라의 화각 및 조사거리에 의해 조사체적의 계산이 가능하여, 1대의 카메라에 촬영된 어류의 어종 및 수량의 파악이 모니터링 및 평균치의 산출이 가능하므로, 이를 미리 계산된 인공어초의 체적에 적용시켜 인공어초 전체체적에 서식하는 어류의 시간대나 물때에 따른 어종 및 현존량의 산출이 가능한 것으로, 인공어초 전체에 서식하는 어류의 현존량, 행동관찰, 위집상태, 행동특성의 정확한 파악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어획을 목적으로 어류의 서식을 유도하기위해 수중에 설치되는 인공어초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의 상부로 수상에 정박된 메인선박;
상기 인공어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에 이르게 등간격으로 설치하되, 각단에는 동일한 갯수가 설치되는 다수의 수중카메라;
상기 인공어초 내에서 각각의 수중카메라의 전방에 설치되어, 카메라 조사 거리를 표시하는 다수의 거리표시깃발;
상기 수중카메라의 조사부위를 밝히기 위해 인공어초에 설치되는 다수의 조 명장치;
상기 다수의 수중카메라와 케이블 연결되며, 메인선박에 설치되어 다수의 수중카메라를 단속하는 다채널 컨트롤박스;
상기 컨트롤박스와 케이블 연결되며, 메인선박에 설치되어 수중카메라의 영상물을 관찰하는 모니터; 및
상기 모니터와 케이블연결되며, 상기 수중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물을 저장하는 영상기록기로 구성된 것으로,
컨트롤박스의 조작에 의해 수중카메라의 촬영위치를 설정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물을 모니터에 의해 출력 및 영상기록기에 저장하며, 각각의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물을 화각과 거리표시깃발의 거리를 대비하여 카메라 조사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카메라 조사체적에 현존하는 어류의 현존량 및 어종을 육안으로 산출하며, 산출된 현존량 및 어종을 합하여 설치된 수중카메라의 수량으로 나누어 수중카메라 1대에 현존하는 현존량 및 어종을 통계 산출하고, 미리 계산된 인공어초의 전체체적에서 수중카메라 1대의 조사체적을 나누어 인공어초의 전체체적에 수중카메라의 필요 수량을 파악하며, 수중카메라 필요 수량에 산출된 수중카메라 1대의 현존량 및 어종을 곱하여 인공어초 전체체적에 현존하는 어류의 현존량 및 어종을 산출 가능한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공어초, 수중카메라,

Description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Calcul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fish }
본 발명은 수중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중에 설치된 인공어초에 서식하는 어류의 현존량을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어초내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에 의해 인공어초에 위집한 어류들을 촬영 및 저장하여 산출 하므로서, 인공어초 내의 어류 현존량(개체수 및 생체량)의 측정이나, 어류의 행동 관찰, 물때별 어류의 위집상태 및 자원조성 효과 조사, 유향 유속의 영향과 어류의 행동특성 조사 등 인공어초 내에 위집된 어류의 정확한 특성파악이 가능한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어류 등의 수산 생물이 초(礁)나 침전 등에 위집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어획을 목적으로 만든 구조물로서 수중에 설치되는 것으로, 인공어초 어장은 인공어초를 계획적으로 배치하여 대상으로 하는 수산 생물의 어획증대, 조업의 효율화 및 보호배양을 도모하기 위해 조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공어초의 시설목적을 살펴보면, 첫째, 대상 어종의 성장 단계에 적합한 서식장을 조성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어류의 서식장 증대로 인공어초에 각종 부착 생물이 착생하며, 인공어초의 주변 수역 및 해저에는 플랑크톤, 벤토스 등이 증가됨으로써 각종 어류가 모여들게 된다.
둘째, 상업적 어업이나 기선저인망 등에 의한 불법 어업 방지와는 달리 공공의 이익 증진이다. 즉, 저서성 어류에 대한 레저용 어업의 성과를 증진시키는데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인공어초 시설이 어업의 관리 장치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레저 및 선박 대여업자들 사이에 가장 인기 있는 어장조성 기술은 어업 생산성이 낮고 상업적 트롤 어업이 이루어질 수 없는 해역을 선정하여 이곳에 인공어초를 시설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해저에 딱딱한 면이 조성되어 생물 군락이 대량으로 서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넷째, 인공어초를 시설하여 자연초 어장의 이용 강도를 완화시켜 주는 것이다. 즉, 해수욕장의 백사장 조성 사업을 위한 모래 채취, 어항이나 항만 시설의 확충, 선박 등에 의한 산호초의 파괴 등과 같이 인간의 활동에 의해 피해를 입었거나 파괴된 저면을 인공어초로 조성해 주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에 의한 인공어초의 설치로 어획증대, 조업의 효율화 및 보호배양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인공어초로는, 재질에 따라, 콘크리트 어초, 강제 어초, 산업 부산물을 이용한 어초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콘크리트 어초는 수 심이 얕은 곳에, 강제 어초는 수심이 깊은 곳에 주로 시설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류용 인공어초를 살펴보면, 사각형 어초, 육각형 어초, 잠보형 어초, 반구형 어초, 원통형 어초, 육교형 어초, 상자형 어초 등 이 사용되며, 이러한 어초를 수중에 대량 적재 및 배열하여 다양한 인공어초군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인공어초 내에는 다수의 어류가 서식하는 것인바, 이러한 어류의 현존량 및 어종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의 산출방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그 산출방법을 살펴보면,
첫째. 외줄낚시조사 방법으로, 인공어초에 위집된 어종을 대상으로 낚시로 낚아서 어종을 파악하는 방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대량의 어종 파악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낚시의 크기, 미끼 등에 따라 어획물이 한정될 경우가 있기 때문에 조사 전, 후에 어구의 사양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 어획 시기가 아닌 특정 어종의 어획을 의뢰하는 경우에는 결과를 얻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둘째. 자망조사 방법으로, 긴 사각형 모양의 그물 아래에는 "발돌"을, 위에는 "뜸"을 붙여 인공어초 주변의 일정 수층에 수평 방향으로 펼쳐두고 그곳을 지나가는 어류가 그물코에 꽂히도옥 하여 어획하여 조사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대량의 어종을 어획할 수는 있으나 어구를 인공어초에 너무 가깝게 설치한 경우나 인공어초의 형상에 따라서는 그물이 그것에 걸리는 경우가 발행할 수 있으며, 특히, 그물코의 크기, 그물 콧수, 사용 폭수등에 의해 어종의 어획이 한정되고, 인공어초 주변의 어류를 어획하므로 실질적인 인공어초 내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의 어획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셋째. 연승조사 방법으로, 축이 되는 긴 모릿줄에 낚시가 달린 여러 개의 아릿줄이나 망태기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고, 그것을 표시 부자와 닻 등으로 인공어초가 시설된 해역의 일정수층에 고정하여 인공어초의 주변에 서식하는 어류들 어획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인공어초에 너무 근접시켜 부설하거나 인공어초의 형상에 따라서는 어구가 그것에 걸리는 경우도 있으며, 조업시기, 어구의 부설수심, 미끼에 따라 어획 대상이 한정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다종의 어류를 어획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기존의 조사방법의 문제점에 의해 조사물에 따른 신뢰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낚시줄이나, 그물, 망태를 사용하지 않고, 수중에 시설된 인공어초에 다수의 수중카메라를 일정시간 설치하고, 수장에서 모니터에 의해 수중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물을 통해 인공어초 내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의 현존량, 어류의 행동관찰, 위집상태, 어류의 행동특성등의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게 한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어획을 목적으로 어류의 서식을 유도하기위해 수중에 설치되는 인공어초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의 상부로 수상에 정박된 메인선박;
상기 인공어초의 바닥면으로 부터 상부면에 이르게 등간격으로 설치하되, 각단에는 동일한 갯수가 설치되는 다수의 수중카메라;
상기 인공어초 내에서 각각의 수중카메라의 전방에 설치되어, 카메라 조사 거리를 표시하는 다수의 거리표시깃발;
상기 수중카메라의 조사부위를 밝히기 위해 인공어초에 설치되는 다수의 조명장치;
상기 다수의 수중카메라와 케이블 연결되며, 메인선박에 설치되어 다수의 수 중카메라를 단속하는 다채널 컨트롤박스;
상기 컨트롤박스와 케이블 연결되며, 메인선박에 설치되어 수중카메라의 영상물을 관찰하는 모니터; 및
상기 모니터와 케이블연결되며, 상기 수중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물을 저장하는 영상기록기로 구성된 것으로,
컨트롤박스의 조작에 의해 수중카메라의 촬영위치를 설정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물을 모니터에 의해 출력 및 영상기록기에 저장하며, 각각의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물을 화각과 거리표시깃발의 거리를 대비하여 카메라 조사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카메라 조사체적에 현존하는 어류의 현존량 및 어종을 육안으로 산출하며, 산출된 현존량 및 어종을 합하여 설치된 수중카메라의 수량으로 나누어 수중카메라 1대에 현존하는 현존량 및 어종을 통계 산출하고, 미리 계산된 인공어초의 전체체적에서 수중카메라 1대의 조사체적을 나누어 인공어초의 전체체적에 수중카메라의 필요 수량을 파악하며, 수중카메라 필요 수량에 산출된 수중카메라 1대의 현존량 및 어종을 곱하여 인공어초 전체체적에 현존하는 어류의 현존량 및 어종을 산출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은, 수중카메라에 의해 어류의 파악이 가능하여 낚시의 크기나 미끼, 그물의 크기에 따른 제안을 받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인공어초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중카메라에 의해 어류의 촬영이 가능하고, 거리표시깃발과 카메라의 화각 및 조사거리에 의해 조사체적의 계산이 가능하여, 1대의 카메라에 촬영된 어류의 어종 및 수량의 파악이 모니터링 및 평균치의 산출이 가능하므로, 이를 미리 계산된 인공어초의 체적에 적용시켜 인공어초 전체체적에 서식하는 어류의 시간대나 물때에 따른 어종 및 현존량의 산출이 가능한 것으로, 인공어초 전체에 서식하는 어류의 현존량, 행동관찰, 위집상태, 행동특성의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게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지역이나 수심, 인공어초의 종류에 따라 적용하면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인공어초의 선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어획증대, 조업의 효율화 및 보호배양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의 산출장치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의 산출장치 깃발 설치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의 산출장치 설치 관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는,
어획을 목적으로 어류의 서식을 유도하기위해 수중에 설치되는 인공어초(100)에 있어서,
수상에 정박된 메인선박(10)과; 상기 인공어초(100)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20)와; 상기 수중카메라(20)의 전방에 설치되는 거리표시깃발(30)과; 상기 인공어초(100)에 설치되는 조명장치(40)와; 상기 메인선박(10)에 설치되는 다채널 컨트롤박스(50)와; 상기 컨트롤박스(50)와 연결되는 모니터(60); 및 상기 모니터(60)와 연결되는 영상기록기(7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메인선박(10)은, 인공어초(100)의 상부에서 수상에 정박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수중카메라(20)는, 수중에서 사용가능하게 방수 기능을 갖는 카메라로, 상기 인공어초(100)의 내측 및 외측을 향하게 다단 인공어초(100)에 설치되며, 100 °의 화각을 갖는 다수의 수중카메라(20)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수중카메라(20)는, 인공어초(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에 이르게 등간격으로 4단 설치하되, 각단에는 각각 4대의 수중카메라(20)를 설치함으로 인공어초(100)의 내측 및 외측 즉, 인공어초군의 촬영이 가능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거리표시깃발(30)은, 인공어초 내에서 각각의 수중카메라(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중카메라(20)의 조사 거리를 판독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거리표시깃발(30)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수중카메라(20)의 전방에 1m 간격으로 적어도 3m까지 3개씩 설치하되, 1m거리는 적색, 2m거리는 노랑색, 3m거리는 황색으로 설치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3m 이상 설치시 1m 간격으로 적색, 노랑색, 황색,이 반복하여 설치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조명장치(40)는, 방수기능을 갖는 수중 조명장치로 수중카메라(20)의 조사범위를 밝히기 위해 인공어초(100)에 다수개 산발 설치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다채널 컨트롤박스(50)는, 다수의 수중카메라(20)와 케이블 연결되는 것으로, 메인선박(10)에 설치되어 다수의 수중카메라(20)를 단속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상기 모니터(60)는, 상기 컨트롤박스(50)와 케이블 연결되는 것으로, 메인선박(10)에 설치되어 수중카메라(20)의 영상물을 관찰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영상기록기(70)는 상기 모니터(60)와 케이블 연결되는 것으로, 메인선 박(10)에 설치되어 상기 수중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물을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이때, 도 3의 도시와 같이 인공어초(100)에 설치되는 각각의 수중카메라(20)에서 인출되는 케이블은 다채널 컨트롤박스(50)와 연결되고, 컨트롤박스(50)와, 모니터(60)와, 영상기록기(70)는 연속되게 메인선박(10)에 설치되는 것이다.
설치관계를 살펴보면, 인공어초의 상부 수상에 인공어초의 어류 현존량을 조사하기위한 메인선박을 정박하고, 수중촬영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잠수부가 인공어초의 잠수조사를 실시하며, 잠수조사에 의해 인공어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까지 등간격으로 다수의 수중카메라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수중카메라의 전방에는 조사거리를 확인하기 위해 1m 간격으로 다수의 거리표시깃발을 설치하며, 상기 인공어초 내에는 카메라의 조사부위를 밝히기위해 다수의 조명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수중카메라를 메인선박에 설치된 다채널 컨트롤박스와 케이블 연결하며, 상기 컨트롤박스는 모니터 와 영상기록기를 케이블 연결하여 조사장비를 설치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방법은,
컨트롤박스의 조작에 의해 수중카메라의 촬영위치를 설정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물을 모니터에 의해 출력 및 영상기록기에 저장하며, 각각의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물을 화각과 거리표시깃발의 거리를 대비하여 카메라 조사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카메라 조사체적에 현존하는 어류의 현존량 및 어종을 육안으로 산출하며, 산출된 현존량 및 어종을 합하여 설치된 수중카메라의 수량으로 나누어 수중카 메라 1대에 현존하는 현존량 및 어종을 통계 산출하고, 미리 계산된 인공어초의 전체체적에서 수중카메라 1대의 조사체적을 나누어 인공어초의 전체체적에 수중카메라의 필요 수량을 파악하며, 필요 수량에 산출된 수중카메라 1대의 현존량 및 어종을 곱하여 인공어초 전체체적에 현존하는 어류의 현존량 및 어종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24시간 촬영된 결과물에 의한 본 발명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에 의한 산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공어초의 면적 즉, 체적조사는 수산과학원 어초어장 관리 사업 결과물에 어초 전체면적조사는 이루어져있는 상태이다.
이에, 인공어초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의 조사체적을 살펴보면, 카메라의 화각을 100°하며, (V:체적, R:원뿔을 전개 했을때 반지름, Q:원뿔의 각, r:원뿔의 밑면의 반지름, h=원뿔의 높이)으로,
V=⅓×π×r²×h
h=√(R²-r²) 와 같이 통상적인 계산식에 의해 계산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원뿔체적 계산시 h(원뿔의 높이)는 수중카메라의 조사거리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거리는 수중카메라의 전방에 설치된 거리표시깃발(30)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수중의 상황에 따라 조사거리가 정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뿔의 체적이 정해진 상태에서 그 체적이 30m²로 가정하고, 미리 계산된 인공어초 전체 체적이 6000m²라 가정된 상태에서 인공어초 전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의 수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ex) 6000÷30=200
즉, 인공어초 전체체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의 설치수량은 200대가 되는 것이다.
이에,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공어초에 설치된 카메라를 4단으로 각단에 4대의 카메라를 설치하면 16대의 수중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로 인공어초 내에 현존하는 어류의 현존량을 살펴보면,
16대 각각에 촬영된 어류를 산출하고, 각각의 카메라에 촬영된 어류를 합하며, 이를 16으로 나누면 카메라 1대에 촬영된 어류의 평균 현존량이 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중카메라 1대에 촬영된 어류의 수량에 200을 곱하게 되면 인공어초 전체체적에 현존하는 어류의 현존량이 산출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4의 도시와 같이 16대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24시간 촬영 기준으로 하여 도표를 만들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하여 인공어초내에 현존하는 어류의 어종에 따른 현존량의 산출이 가능한 것으로,
각 어종에 따라 1 ~ 24의 수를 모두 합한 값을 16으로 나누면 1개의 카메라에 촬영된 평균값이 산출되는 것이다.
이에, 카메라 1대당 46개체로 했을 경우 인공어초 전체 체적조사에 필요한 카메라수(200대)를 곱하면 24시간 동안의 전체 어류의 현존량이 산출되는 것이다.
ex) 46×200=9200
즉, 인공어초 전체체적에 현존하는 전체 어류의 현존량이 9200마리로 산출되 는 것이다.
또한, 이를 각 어종별로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각 어종별 현존량의 산출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4의 도시와 같이 얻어진 결과를 시간대별로 산출하면, 각 시간대의 어류의 어종 및 현존량의 산출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유속의 변화에 따른 자원량의 조사나 밤과 낮의 자원량의 차이(일출, 일몰시)의 자원의 변동량의 조사 또한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은 인공어초내에 현존하는 어류의 현존량을 시각적으로 직접 확인이 가능하여 그 자원량 산출의 정확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인공어초내 자원의 현존량 뿐만 아니라 어류의 행동관찰, 물때별 어류의 위집상태 및 자원조성 효과 조사, 유향 유속의 영향과 어류의 행동특성 등의 조사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각 지역이나 수심, 인공어초의 종류에 따라 적용하면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인공어초의 선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어획증대, 조업의 효율화 및 보호배양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의 산출장치를 나타낸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의 산출장치 깃발 설치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의 산출장치 설치 관계도.
도 4는 본 발명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및 방법에 의해 산출된 시간대별 어종 및 현존량을 나타낸 조사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선박 20 : 수중카메라
30 : 거리표시깃발 40 : 조명장치
50 : 컨트롤박스 60 : 모니터
70 : 영상기록기 100 : 인공어초

Claims (5)

  1. 어획을 목적으로 어류의 서식을 유도하기위해 수중에 설치되는 인공어초(100)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100)의 상부로 수상에 정박된 메인선박(10);
    상기 인공어초(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에 이르게 등간격으로 설치하되, 각단에는 동일한 갯수가 설치되는 다수의 수중카메라(20);
    상기 인공어초 내에서 각각의 수중카메라(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카메라 조사 거리를 표시하는 다수의 거리표시깃발(30);
    상기 수중카메라(20)의 조사부위를 밝히기 위해 인공어초(100)에 설치되는 다수의 조명장치(40);
    상기 다수의 수중카메라(20)와 케이블 연결되며, 메인선박(10)에 설치되어 다수의 수중카메라(20)를 단속하는 다채널 컨트롤박스(50);
    상기 컨트롤박스(50)와 케이블 연결되며, 메인선박(10)에 설치되어 수중카메라(20)의 영상물을 관찰하는 모니터(60); 및
    상기 모니터(60)와 케이블연결되며, 상기 수중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물을 저장하는 영상기록기(7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카메라(20)는, 인공어초(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에 이르게 등간격으로 적어도 4단 설치하되, 각단에 각각 적어도 4대의 수중카메라(2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표시깃발(30)은, 각각의 수중카메라(20)의 전방에 1m 간격으로 적어도 3m까지 3개씩 설치하되, 1m거리는 적색, 2m거리는 노랑색, 3m거리는 황색으로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4.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거리표시깃발(30)은, 3m 이상 설치시 1m 간격으로 적색, 노랑색, 황색,이 반복하여 설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장치.
  5. 컨트롤박스의 조작에 의해 수중카메라의 촬영위치를 설정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물을 모니터에 의해 출력 및 영상기록기에 저장하며, 각각의 카메라에 촬 영된 영상물을 화각과 거리표시깃발의 거리를 대비하여 카메라 조사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카메라 조사체적에 현존하는 어류의 현존량 및 어종을 육안으로 산출하며, 산출된 현존량 및 어종을 합하여 설치된 수중카메라의 수량으로 나누어 수중카메라 1대에 현존하는 현존량 및 어종을 통계 산출하고, 미리 계산된 인공어초의 전체체적에서 수중카메라 1대의 조사체적을 나누어 인공어초의 전체체적에 수중카메라의 필요 수량을 파악하며, 수중카메라 필요 수량에 산출된 수중카메라 1대의 현존량 및 어종을 곱하여 인공어초 전체체적에 현존하는 어류의 현존량 및 어종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방법.
KR1020090002856A 2009-01-14 2009-01-14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 방법 KR101110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856A KR101110227B1 (ko) 2009-01-14 2009-01-14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856A KR101110227B1 (ko) 2009-01-14 2009-01-14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469A true KR20100083469A (ko) 2010-07-22
KR101110227B1 KR101110227B1 (ko) 2012-02-16

Family

ID=4264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856A KR101110227B1 (ko) 2009-01-14 2009-01-14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2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22B1 (ko) * 2012-03-27 2014-02-28 주식회사 환경생태공학연구원 수중 어류 조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54049A (ko) * 2020-06-11 2021-12-20 서정수 스마트폰 기능이 있는 인공어초
KR102351398B1 (ko) * 2021-06-17 2022-01-14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영상 장비를 이용한 해양 생물 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7968A (ko) * 2021-03-12 2022-09-20 김태섭 실뱀장어 수량 측정장치
KR102626586B1 (ko) * 2022-08-29 2024-01-17 유병자 카메라를 이용한 양식어류의 밀식률 자동측정장치 및 자동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069A (ja) * 1994-06-15 1996-01-12 Hitachi Ltd 画像処理を用いた魚種別魚数計測装置
KR20060083001A (ko) * 2005-01-14 2006-07-20 최용희 잠수 및 부상 기능을 갖는 인공어초와 이에 결합되는타이어의 제조방법
KR100696872B1 (ko) * 2005-10-25 2007-03-20 한국해양연구원 수중 가두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22B1 (ko) * 2012-03-27 2014-02-28 주식회사 환경생태공학연구원 수중 어류 조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54049A (ko) * 2020-06-11 2021-12-20 서정수 스마트폰 기능이 있는 인공어초
KR20220127968A (ko) * 2021-03-12 2022-09-20 김태섭 실뱀장어 수량 측정장치
KR102351398B1 (ko) * 2021-06-17 2022-01-14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영상 장비를 이용한 해양 생물 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2626586B1 (ko) * 2022-08-29 2024-01-17 유병자 카메라를 이용한 양식어류의 밀식률 자동측정장치 및 자동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227B1 (ko)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llet et al. Underwater video techniques for observing coastal marine biodiversity: a review of sixty years of publications (1952–2012)
Kaiser et al. Catches in\'ghost fishing\'set nets
KR101110227B1 (ko) 수중촬영을 이용한 어류 현존량 산출 방법
Hedgärde et al. Coming and going
Papastamatiou et al. Animal-borne video cameras and their use to study shark ecology and conservation
Shortis et al. A review of the status and trends in underwater videometric measurement
Hannah et al. Evaluating the behavioral impairment of escaping fish can help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bycatch reduction devices
Fukuba et al. A new drifting underwater camera system for observing spawning Japanese eels in the epipelagic zone along the West Mariana Ridge
Tsukamoto et al. Video observation of an eel in the Anguilla japonica spawning area along the West Mariana Ridge
Lester et al. Coldwater fish in small standing waters
Unger et al. Shelter guarding behavior of the Eastern Hellbender (Cryptobranchus alleganiensis alleganiensis) in North Carolina streams
Langård et al. Tracking individual herring within a semi-enclosed coastal marine ecosystem: 3-dimensional dynamics from pre-to post-spawning
Zhu et al. Nesting activity of the Chinese softshell turtle, Pelodiscus sinensis, on the Yellow River, Northwestern China
Huchzermeyer et al. Evaluation of acoustic transmitter implantation and determination of post-translocation behaviour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in a South African impoundment
Vienneau et al. Evaluation of the catch mechanism of conventional conical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traps by underwater video camera observations
Wraith Assessing reef fish assemblages in a temperate marine park using baited remote underwater video
Irschick et al. Creating 3D models of several sea turtle species as digital voucher specimens
Abril et al. Fisheries-independent evidence of longline fisheries impact on the threatened mediterranean blue shark Prionace glauca in the waters around the balearic Islands (Spain)
Cullen et al. A brief examination of underwater video and hook-and-line gears for sampling black sea bass (Centropristis striata) simultaneously at 2 Mid-Atlantic sites off the Maryland coast
Goñi Beltrán de Garizurieta et al. Introductory guide to methods for selectec ecological studies in marine reserves
Cooke et al. Determination of fish community composition in the untempered regions of a thermal effluent canal–The efficacy of a fixed underwater videography system
Sahin Conservationists’ hide-and-seek with seabirds
Corney Extent of plasticity in the nuptial body coloration of the white ecotype of the Threespine Stickleback (Gasterosteus aculeatus)
Yakovlev et al. Seasonal movements of western gray whales Eschrichtius robustus between the feeding areas on the northeast coast of Sakhalin Island (Russia) in 2002–2006
Watanabe Development of the deep-sea video monitoring system on a towed sledge to estimate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