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412A -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terminal based on sensed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terminal based on sensed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412A
KR20100083412A KR1020090002767A KR20090002767A KR20100083412A KR 20100083412 A KR20100083412 A KR 20100083412A KR 1020090002767 A KR1020090002767 A KR 1020090002767A KR 20090002767 A KR20090002767 A KR 20090002767A KR 20100083412 A KR20100083412 A KR 20100083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utput
terminal
display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39113B1 (en
Inventor
박준아
욱 장
한승주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113B1/en
Publication of KR2010008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1Transducers or their casings adapted for mounting in or to a wall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n output control device of a terminal based on sense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output of a terminal device by using the sense information from a sensor. CONSTITUTION: A sensor unit(110) generates at least one detecting information. A change confirming unit(120) checks the amount of change of the detecting information by using at least one detecting information. An output unit(140) includes an output module outputting at least one among sound and image. A controller(130) controls an output of the output unit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among the detecting information and the amount of change of the detecting information.

Description

감지 정보에 기반한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terminal based on sensed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terminal based on sensed information and method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 장치의 출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One or more aspects of the invention relate to a termin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adjusting the output of a terminal device.

현재의 휴대 단말은 사용자가 통화중이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중일 때 단말의 환경을 바꾸기 위해서는 버튼을 찾아서 눌러야 하는 노력이 필요하거나 시스템 환경 구성 메뉴를 찾아서 변경해 주어야 한다. 또한 시스템 환경 구성 메뉴를 찾아서 원하는 환경 설정을 바꾸기 위해서는 다단계로 구성된 메뉴를 검색하여야 한다. The current portable terminal needs to find and press a button to change the environment of the terminal when the user is in a call or using an application, or find and change a system configuration menu.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the system configuration menu and change the desired environment settings, the menu composed of the multi-level must be searched.

단말 장치의 출력을 센서로부터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a terminal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terminal device using sensed information from a sensor are provided.

일 양상에 따른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는 변화 확인부; 음향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감지 정보 및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sensor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A change confirming unit confirming a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An output unit including an output module configured to output at least one of a sound and an imag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utput of the output uni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센서부는 단말에의 접촉 여부를 나타내는 접촉 정보, 단말의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정보, 물체와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정보, 단말의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 정보 및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황에 기초하여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of contac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pressu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sure of the terminal, distance information indicating a distance to an object, and postu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uses the termi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control the output of the output unit based on the determined situation.

출력부는 오디오 출력 모듈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감지 정보 및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는 음량 크기, 디스플레이의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includes an audio output module and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and the control un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volume of the volume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module, the display, or the displa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The size of the image can be controlled.

제어부는 접촉 정보가 사용자가 단말에 접촉하고 있음을 나타내면, 압력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도록 변화 확인부를 제어하고, 확인된 압력 정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출력 모듈 중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압력 정보의 변화량이 압력 정보가 제1 임계값 이상 커졌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 크기를 감소시키고, 압력 정보의 변화량이 압력 정보가 제1 임계값 이상 커지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음량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접촉 정보가 접촉이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면 거리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도록 변화 확인부를 제어하고, 제어부는 확인된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거리 정보가 제2 임계값 이상 커졌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거리 정보가 제2 임계값 이상 커지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음량을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change confirming unit to check the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and adjust the volume of the audio output module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modules based on the confirmed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have. If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pressure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decreases the volume level of the audio output module, and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s not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In this case, the volume level can be maintain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hange confirming unit to check the change amount of the distance information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contact is released, and when the change amount of the confirmed distanc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e audio output module The volume of the volume may be decreased, and the volume may be maintained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istanc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does not increase beyond the second threshold.

제어부는 출력 모듈 중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특정 물체와의 거리 정보가 수신되면,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계속하여 온 상태로 유지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세 정보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는 것으로 결정되면,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계속하여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If the controller receives information on the distance from a specific objec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while the display is turned on among the output modules,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o keep the display on the display continuously using the posture information. The lighting of the display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cision result. If the posture information determines that the user sees the display, the controller may keep the illumination of the display on.

제어부는 출력 모듈 중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변화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특정 물체와의 거리 정보의 변화량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거리 정보의 변화량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사용자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고,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If the controller receives the change amount information of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object confirmed by the change confirming unit while the display of the output module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change amount information of the received distance information. You can adjust the size. The control unit enlarges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when the change amount of the distance information is approaching the user, and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when the change amount of the distance information indicates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user. Can be reduced.

다른 양상에 따른 단말의 출력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음향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의 출력을 감지 정보 및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of a terminal may include generating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Identifying an amount of change in the at least one piece of sensing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output module that outputs at least one of the sound and the imag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다단계의 메뉴를 통해 조정해야 하는 단말 장치의 출력 모드를 센서로부터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Typically, the output mode of the terminal device, which the user needs to adjust through the multi-level menu,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utput control apparatus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제어 장치(100)는 센서부(110), 변화 확인부(120), 제어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출력 제어 장치(100)는 휴대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a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등 각종 사용자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The output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sensor unit 110, a change checker 120, a controller 130, and an output unit 140. The output control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user terminal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n MP3 player.

센서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 센서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는 단말 에의 접촉 여부를 나타내는 접촉 정보,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정보, 소정의 물체와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정보, 단말의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10)는 소정의 물체와의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에서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접촉 및 압력 센서(112), 소정의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거리 센서(114), 장치(100)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자세 센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10 includes at least one different type of sensor to generate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piece of sensing information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contac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pressu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sure, dist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istance to a predetermined object, and postu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t may include a sensor. To this end, the sensor unit 110 generates distance information by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and pressure sensor 112 and a predetermined object, which detects a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object and a change in pressure at a contact position. The distance sensor 114 may include a posture sensor 116 for detecting a posture of the apparatus 100.

접촉 및 압력 센서(112), 거리 센서(114) 및 자세 센서(116)는 각각 접촉 정보, 압력 정보, 거리 정보, 자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세 센서(116)는 기울기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및 압력 센서(112)는 장치(100)의 사용자가 귀가 장치(100)에 대어 소리를 듣기 위한 스피커 주위에 설치되어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중인 상황 등이 결정될 수 있다. The contact and pressure sensor 112, the distance sensor 114, and the attitude sensor 116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sensor module to generate contact information, pressure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and attitude information,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posture sensor 116 may include a tilt sensor, a gyro senso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act and pressure sensor 112 may be installed around a speaker for the user of the apparatus 100 to hear the sound against the return device 100, for example, to determine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in a call.

변화 확인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한다. 출력부(140)는 음향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오디오 출력 모듈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hange checking unit 120 checks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by using the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The output unit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utput modules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sound and an image. The output unit 140 may include an audio output module and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40 may include various output modules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various forms to a user.

제어부(130)는 출력부(140)에 포함된 출력 모듈의 출력을 관리하고, 감지 정보 및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출력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감지 정보 및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 자가 단말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황에 기초하여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의 이용하고 있는 상황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의 조작하고 있지 않지만 단말의 화면을 보는 상황, 사용자가 화면의 내용을 자세히 보기 위해 단말을 사용자 가까이로 가져오는 상황, 또는 사용자가 휴대 전화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을 자세히 듣기 위해 휴대 전화에 귀를 대는 상황 등 여러 가지 상황이 감지 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nages the output of the output module included in the output unit 140 and controls the output unit 140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uses the termi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control the output of the output unit based on the determined situati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using the terminal may include, for example,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terminal but sees the screen of the terminal,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brings the terminal close to the user to see the contents of the screen in detail, or the user carries the terminal. Various situations may be determined from the sensed information, such as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listens to the mobile phone to listen to the other party's voice in detai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00)가 휴대 단말인 경우 통화 중 휴대 단말의 스피커 소리가 작으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귀에 갖다 대어 소리를 크게 들으려는 사용 패턴과 소리가 너무 크면 휴대 단말의 스피커로부터 귀를 떨어뜨리는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제어부(130)는 다음과 같이 출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evice 100 is a mobile terminal, if the speaker sound of the mobile terminal is small during a call, the user may bring the mobile terminal to his ear, and if the user pattern is too loud, and if the sound is too loud, from the speaker of the mobile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usage pattern of dropping the ear,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140 as follows.

제어부(130)는 접촉 정보가 사용자가 단말에 접촉하고 있음을 나타내면, 압력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도록 변화 확인부(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확인된 압력 정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출력 모듈 중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30)는 압력 정보의 변화량이 압력 정보가 제1 임계값 이상 커졌음은 나타내는 경우에는,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 크기를 감소시키고, 압력 정보의 변화량이 압력 정보가 제1 임계값 이상 커지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음량 크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If the contact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change confirming unit 120 to confirm the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controller 130 may adjust the volume of the audio output module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modules based on the confirmed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In detail, when the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pressure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30 decreases the volume level of the audio output module,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is the first threshold value. In the case where the value is not larger than the value, the volume level can be maintained.

또한, 제어부(130)는 접촉 정보가 접촉이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면 거리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도록 변화 확인부(120)를 제어한다. 변화 확인부(120)에서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확인되면, 제어부(130)는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거리 정보가 제2 임계값 이상 커졌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출력 모듈 중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확인된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거리 정보가 제2 임계값 이상 커졌음을 나타내는 경우,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거리 정보가 제2 임계값 이상 커지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음량을 유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contact is release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change confirming unit 120 to check the change amount of the distance information. When the change confirming unit 120 determine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change amount of the distanc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value,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Volume of the audio output module can be adjusted among the output modules. When the amount of change of the confirmed distanc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30 decreases the volume of the volume of the audio output module and changes the amount of distance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value. If it is not loud, the volume can be maintained.

또한,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상의 메뉴를 보는 중에 디스플레이가 꺼지거나 전반적인 글씨 조정할 때마다 환경 설정 메뉴를 찾아서 조절하는 대신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0)이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를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출력 모듈 중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특정 물체와의 거리 정보가 수신되면,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계속하여 온 상태로 유지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자세 정보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계속하여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stead of searching for and adjusting an environment setting menu every time the display is turned off or the overall font is adjusted while viewing the menu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100 is currently in use. It may be determined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110. To this end, the controller 130 receives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objec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0 while the display of the output module is turned on, the illumination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using the posture information Determines whether to keep on and adjusts the lighting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example, when the posture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the user to view the display, the controller 130 may keep the illumination of the display 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내용을 상세히 보기 위하여 단말(100)을 눈 앞으로 가져오는 행위를 하게 되는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은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문자, 숫자 등을 포함하는 모든 컨텐츠를 의 미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출력 모듈 중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변화 확인부(120)에 의해 확인된 특정 물체와의 거리 정보의 변화량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거리 정보의 변화량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user may adjust the siz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n consideration of a usage pattern for bringing the terminal 100 to the eyes in order to view the contents of the display screen in detail. . Here, the image refers to all content including an image, letters, numbers, and the lik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case, when the change amount information of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object confirmed by the change confirming unit 120 is received while the display of the output module is turned on,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the received change amount information of the dist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can be adjusted.

상세하게는, 제어부(130)는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거리 정보가 제3 임계값 이상 작아졌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100)에 가까워진다고 결정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거리 정보 변화량이 거리 정보가 제4 임계값 이상 커졌음을 나타내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멀어진다고 결정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istanc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is small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closer to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You can enlarge the size.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istanc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fourth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changes from the user, for example, to reduce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이외에도 다양한 사용자의 단말의 이용 패턴과 연관되어 감지될 수 있는 감지 정보를 측정하여 단말(10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의 출력 모드를 센서로부터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terminal 100 may be controlled by measuring sensing information that may be detected in association with various user's usage patterns. Therefore, the output mode of the terminal devic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출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S 210).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는 접촉 정보, 압력 정보, 거리 정보, 단말의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한다(S 220). At least one piece of sensing information is generated (S210). The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ntact information, pressure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and attitud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is checked using the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S220).

음향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출력부에 포함된 출력 모듈의 출력 모드를 감지 정보 및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 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어한다(S 230).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S 230)는 감지 정보 및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황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output mode of the output module included in the output unit including the plurality of output modules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sound and the image is controll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S 230). The controlling of the output (S 230) may determine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uses the termi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determined situation.

또한, 복수 개의 출력 모듈은 오디오 출력 모듈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S 230)에서, 감지 정보 및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는 음량 크기, 디스플레이의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plurality of output modules may include an audio output module and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In this case, in step S230 of controlling the output, the volume level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module, the illumination of the display, or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variation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Can be controll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정보 및 거리 정보에 기반한 음량 설정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lume setting control method based on contact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접촉 정보가 사용자가 단말에 접촉하고 있음을 나타내면(S 310), 압력 정보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한다(S 312). If the contact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S 310),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pressure information (S 312).

압력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고(S 314), 압력 변화량이 압력 정보가 제1 임계값 이상 커졌음을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가 스피커의 소리를 듣기 위해 단말을 귀에 대고 누르는 상황으로 결정하여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S 316). 압력 변화량인 제1 임계값 이상 커지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현 상태에서 스피커의 소리가 잘 들리는 상황으로 결정하여 음량 크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S 320).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s checked (S 314), and the amount of change in pressure indicates that the pressure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presses the terminal to the ear to hear the sound of the speaker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audio output module. The volume may be increased (S316). If the pressure change amount is not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user may determine a situation in which the speaker sounds well in the current state and maintain the volume level (S 320).

압력 변화가 없었으며(S312), 접촉 정보가 접촉이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면 즉, 접촉 센서로부터 접촉 신호가 없으면(S 322), 거리 변화가 있는지 확인한다(S 324). There was no pressure change (S312), if the contact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contact is released, that is, if there is no contact signal from the contact sensor (S 322),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distance change (S 324).

거리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고(S 326),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거리 정보가 제2 임계값 이상 커졌음을 나타내는 경우(S 328), 사용자가 스피커 사용을 중지하고 있는 상황으로 결정하여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S 330).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제2 임계값 이상 크지 않다고 결정되면(S 328), 스피커를 계속 이용하고 있는 상황으로 결정하여 음량 크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S 320). If the change amount of the distance information is checked (S 326),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distanc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S 328), the audio output module is determined as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stops using the speak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f (S 3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change of the distance information is not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S328),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peaker is still being used and the volume level may be maintained (S32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반한 조명 설정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ighting setting control method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and attitu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출력 모듈 중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S 410), 감지된 특정 물체와의 거리 정보가 수신되면(S 412), 일정 거리 내에 물체가 있는지 감지한다(S 414). In the state in which the lighting of the display of the output module is turned on (S 410), when the detected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specific object is received (S 412), it detects whether there is an object within a certain distance (S 414).

단말 장치의 자세 정보를 확인하고(S 416), 단말 장치의 화면 앞에 물체가 있는지 확인한다(S 418). 자세 정보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는 것으로 결정되는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화면 앞에 물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is checked (S 416), and whether an object is present in front of th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S 418).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an object is located in front of the screen by using whether the posture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preset angle range determined by the user viewing the display.

화면 앞에 물체가 있다고 결정되면(S 418),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고 있는 상황으로 결정하여 조명을 켠 상태로 유지한다(S 420). 화면 앞에 물체가 없다고 결정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상황으로 결정하여 조명을 오프시킬 수 있다(S 42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object in front of the screen (S418),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using the display and keeps the lighting on (S4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object in front of the screen, the user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not using the display to turn off the lighting (S422).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정보에 기반한 화면 설정 제어 방법을 나타내 는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setting control method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출력 모듈 중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S 510), 거리 변화가 있으면(S 512), 거리 변화량을 확인한다(S 514). 거리 변화량이 거리 정보가 제3 임계값이 이상 작아졌음을 나타내면(S 516),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에 가까이하고 있는 상황으로 결정하고 디스플레이의 화면 보기를 확대할 수 있다(S 518). In the state in which the lighting of the display of the output module is turned on (S 510), if there is a distance change (S 512), the distance change amount is checked (S 514). If the distance change indicates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is small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S516), the user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display to check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enlarge the screen view of the display ( S 518).

거리 변화량이 거리 정보가 제4 임계값 이상 커졌음을 나타내는 경우(S 522),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S 524). When the distance change amount indicates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fourth threshold value (S522),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reduced (S524).

거리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S 512), 현재 디스플레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S 520). If there is no distance change (S512), the current display environment can be maintained (S520).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de and code segments implementing the abov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fiel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isk, and the lik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and executed in computer 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출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정보 및 거리 정보에 기반한 음량 설정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lume setting control method based on contact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반한 조명 설정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ighting setting control method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and attitu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정보에 기반한 화면 설정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setting control method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laims (18)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A sensor unit generating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는 변화 확인부; A change confirming unit confirming a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using the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음향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An output unit including an output module configured to output at least one of a sound and an image; And 상기 감지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n output of the output uni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단말에의 접촉 여부를 나타내는 접촉 정보, 상기 단말의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정보, 물체와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정보, 상기 단말의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 The sensor unit includes a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contac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contact with the terminal, pressure information indicating a pressure of the terminal, distance information indicating a distance to an object, and postu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utput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using the termi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amount of chang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output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output unit based on the determined situ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력부는 오디오 출력 모듈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The output unit includes an audio output module and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는 음량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의 조명,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제어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The control unit outputs a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volume level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module, the illumination of the display, or the size of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display,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접촉 정보가 사용자가 상기 단말에 접촉하고 있음을 나타내면, 압력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도록 상기 변화 확인부를 제어하고, 상기 확인된 압력 정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출력 모듈 중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을 조절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 If the contact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hange confirming unit to confirm the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audio output module of the plurality of output modules based on the confirmed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Output control device of the terminal to adjust the volume of the.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부는 압력 정보의 변화량이 압력 정보가 제1 임계값 이상 커졌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 크기를 감소시키고, 압력 정보의 변화량이 압력 정보가 상기 제1 임계값 이상 커지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음량 크기를 유지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pressure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decreases the volume level of the audio output module,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s not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In the case of indicating the sound, the output control device of the terminal to maintain the volume level.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부는 접촉 정보가 접촉이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면 거리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도록 상기 변화 확인부를 제어하고,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hange checking unit to check the change amount of the distance information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contact is releas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거리 정보가 제2 임계값 이상 커졌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거리 정보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 커지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음량을 유지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 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reduce the volume of the volume of the audio output module when the amount of change of the determined distanc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threshold value. The output control device of the terminal which maintains the said volume, when it shows that it has not become larger than 2 threshold value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모듈 중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특정 물체와의 거리 정보가 수신되면,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계속하여 온 상태로 유지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조절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 If the controller receives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objec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while the display of the output module is turned on, whether or not to maintain the lighting of the display by using the posture information The output control device of the terminal to determine, and to adjust the illumination of the display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 자세 정보가 상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고 있음을 나타내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계속하여 온 상태로 두는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 And the control unit keeps the illumination of the display on when the postur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user is viewing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모듈 중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변화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특정 물체와의 거리 정보의 변화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거리 정보의 변화량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isplay on the display based on the change amount information of the received distance information when the change amount information of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object confirmed by the change check unit is received while the display of the output module is turned on. Output control device of the terminal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displayed image.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사용자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고, 상기 거리 정보의 변화량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축소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장치. The control unit enlarges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when the change amount of the distance information is closer to the user, and displays the change on the display when the change amount of the distance information is far from the user. Output control device of the terminal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image.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Generating at least one sensing informa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Identifying an amount of change in the at least one piece of sensing information; And 상기 감지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음향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방법. And controlling an output of an output module that outputs at least one of a sound and an imag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ed information and the amount of change of the sensed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정보는 상기 단말에의 접촉 여부를 나타내는 접촉 정보, 상기 단말의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정보, 물체와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정 보, 상기 단말의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방법. The at least one piece of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ntac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pressu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essure of the terminal, distance information indicating a distance to an object, and postur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utput control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Controlling the output, 상기 감지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을 결정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uses the termi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결정된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방법.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output unit based on the determined situation.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출력 모듈은 오디오 출력 모듈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The output module includes an audio output module and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상기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감지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는 음량 크기, 상기 디스플레이의 조명,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제어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방법.In the controlling of the output, the volume level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module, the illumination of the display, or the siz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Output control method of the controlling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접촉 정보가 사용자가 상기 단말에 접촉하고 있음을 나타내면, 상기 변화량을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력 정보의 변화량을 확인하고, If the contact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change amount confirms the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상기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력 정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출력 모듈 중 오디오 출력 모듈의 음량을 조절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방법. The output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udio output module of the plurality of output modules based on the change amount of the pressure information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utput.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출력 모듈 중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특정 물체와의 거리 정보가 수신되면, If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a specific object is received while the display of the output module is turned on, 상기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계속하여 온 상태로 유지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조명을 조절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방법. In the controlling of the output, using the postur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continue to maintain the lighting of the display, and the output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to adjust the lighting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출력 모듈 중 디스플레이의 조명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특정 물체와의 거리 정보의 변화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거리 정보의 변화량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말의 출력 제어 방법. If the change amount information of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specific object is received while the display of the output module is turned on, the output control of the terminal to adjust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change amount information of the received distance information Way.
KR1020090002767A 2009-01-13 2009-01-13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terminal based on sensed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539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67A KR101539113B1 (en) 2009-01-13 2009-01-13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terminal based on sensed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67A KR101539113B1 (en) 2009-01-13 2009-01-13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terminal based on sensed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412A true KR20100083412A (en) 2010-07-22
KR101539113B1 KR101539113B1 (en) 2015-07-22

Family

ID=4264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767A KR101539113B1 (en) 2009-01-13 2009-01-13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terminal based on sensed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11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304A (en) * 2010-09-07 201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outputting a stereophonic sound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WO2017026805A1 (en) * 2015-08-11 2017-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10B1 (en) * 2003-07-28 2007-01-0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inter on a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53424B1 (en) * 2003-08-13 2006-02-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warning damage of display device
KR20070031188A (en) * 2005-09-14 2007-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Using the Same of Position Confirmation Method of a Objec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304A (en) * 2010-09-07 201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outputting a stereophonic sound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WO2017026805A1 (en) * 2015-08-11 2017-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108385B2 (en) 2015-08-11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for displaying detection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113B1 (en)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33643B (en) Adjusting display brightness based on user distance
US1014885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touch force
EP25035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ightness in a portable terminal
EP26529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presentation attribut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392089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sound playback method thereof
US200600931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sens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057571A1 (en) Display Orientation Control
KR1019561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KR20140071208A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Recognition Service
EP2701302B1 (en) A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bration intensity according to situation awareness in electronic device
KR201101055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 portable terminal
KR1020564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ication of message reception according to property of received message
US20120139877A1 (en) Proximity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040127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for power conservation
KR20140065107A (en)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by using humidity sensor and portable device thereof
KR20140103751A (en) Method of controlling voice input and out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070773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4071315A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787452A (en) TWS earphone, TWS earphone control method, TWS earphone contro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542963B (en) Sound mode control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0008341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terminal based on sensed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20210075641A (en) Providing Method for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2014064222A (en) Mobile terminal, brightness control program,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US20120210277A1 (en) Usage based screen management
US109931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