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092A - Reversely transferring unit of a printing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versely transferring unit of a printing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092A
KR20100083092A KR1020090130073A KR20090130073A KR20100083092A KR 20100083092 A KR20100083092 A KR 20100083092A KR 1020090130073 A KR1020090130073 A KR 1020090130073A KR 20090130073 A KR20090130073 A KR 20090130073A KR 20100083092 A KR20100083092 A KR 20100083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medium
unit
guide plate
transfer path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0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4563B1 (en
Inventor
장흥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685,119 priority Critical patent/US8401458B2/en
Publication of KR2010008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092A/en
Priority to US13/765,764 priority patent/US86260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5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PURPOSE: A reversely transferring unit of a printing medium and an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reduce transfer time of a print media. CONSTITUTION: A plate driving unit(230) comprises an actuator(231), driving source(235) and an electronic clutch(233). The actuator rotates a guide plate. The driving source drives the actuator. The electronic clutch selectively transfers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to the actuator.

Description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REVERSELY TRANSFERRING UNIT OF A PRINTING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REVERSELY TRANSFERRING UNIT OF A PRINTING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a printing speed.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소망하는 화상을 잉크 또는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장치로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및 이들의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중복으로 구비한 복합기가 여기에 속한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printing a desired image on a print medium using ink or toner, and includes a multifunction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pier, a printer, a facsimile, a scanner, and a function thereof.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유닛과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적재유닛을 구비한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print unit for printing a print medium and a stacking unit for loading a print medium printed by the print unit.

*적재유닛은 통상 사용자가 상기 인쇄된 인쇄매체를 쉽게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측 전면부에 설치된다.The loading unit is usually install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so that a user can easily access the printed print medium.

그런데,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후면부를 향해 이송되는 경우, 이러한 인쇄매체를 다시 상기 전면부에 설치된 상기 적재유닛으로 이송할 필요가 있다.By the way, when the print medium printed by the printing unit is transferred toward the rear por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t is necessary to transfer the print medium to the loading unit installed in the front portion again.

여기서, 상기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방향 즉, 상기 후면부를 향하는 방향을 유지하면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적재유닛까지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적재유닛 방향으로 U-턴시켜야 한다.Here, when the print medium is to be transferred to the loading unit while maintain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inted print medium is transferred, that is, the direction toward the rear surface portion, the print medium should be U-turned toward the loading unit.

그런데, 이러한 U-턴 구조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However, such a U-turn structure may increase the heigh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또한, U-턴 구조는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경로가 길어지기 때문에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데 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In addition, the U-turn structure requires a considerable time for the print medium to be discharged because the path for transferring the print medium is lo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을 소형화 할 수 있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inting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capable of miniaturizing a produc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매체의 이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shorten a transfer time of a print mediu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잼 없이 고속으로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capable of switching a transfer direction of a print medium at high speed without jam,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에 있어서,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제1이송경로 및 상기 제1이송경로에 교차하는 제2이송경 로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된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제1위치 및 상기 적재된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 방향으로 전향시키는 제2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액츄에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자클러치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inting medium reverse conveying uni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frame forming a first conveying path through which a printing medium is conveyed and a second conveying path crossing the first conveying path; A guide plate rotat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for supporting the print medium conveyed along the first conveyance path and a second position for redirecting the loaded print medium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veyance path; And a plate driving unit including an actuator for rotating the guide plate,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actuator, and an electromagnetic clutch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to the actuator. Can be achieved.

여기서, 상기 제1이송경로 상에 배치된 센서유닛과; 상기 센서유닛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nsor unit disposed on the first transfer path;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ate driving uni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또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를 E라 이송시키는 제1구동롤러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구동롤러에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구동롤러로부터 이격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roller for transferring the print medium to the second transfer path E; And contacting the first drive roller with the print medium therebetween when the guide plate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e roller when the guide plate is in the first position. can do.

여기서, 상기 접촉부는 아이들롤러, 미끄럼부 및 탄성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ct par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dle roller, a sliding part, and an elastic pad.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may be installed on the guide plate.

또한,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1이송경로를 이송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2구동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iving roller which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ransfers the print medium to the first transfer path and transfers the print medium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along the second transfer path.

그리고, 상기 제1구동롤러와 상기 제2구동롤러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roller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may be driven by the driving source.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ing medium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departure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from the guide plate.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ctuator may include a cam.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인쇄매체를 인쇄하는 인쇄유닛과;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된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적재유닛과;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적재유닛으로 역이송하는, 상술한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ain body, comprising: a printing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printing a print medium; A loading unit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or storing a printing medium printed by the printing unit; It can be achiev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above-described print medium back transfer unit, which transfers the print medium printed by the print unit to the stacking unit.

여기서, 상기 제1이송경로는 상기 인쇄유닛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제2이송경로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적재유닛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first transfer path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printing unit and the guide plate, and the second transfer path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plate and the loading unit.

그리고,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nd,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main body.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inting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제품을 소형화 할 수 있다.First, the product can be miniaturized.

둘째, 인쇄매체의 이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인쇄매체를 고속으로 이송할 수 있어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the transfer time of the print media can be shortened. That is,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print medium at high speed, thereby improving the printing speed.

*셋째, 잼 없이 고속으로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Third,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int medium can be switched at high speed without jammin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에 수용되며 인쇄매체를 인쇄하는 인쇄유닛(120)과; 상기 본체(101)의 상측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인쇄유닛(120)에 의해 인쇄된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적재유닛(130)과; 상기 인쇄유닛(120)에 의해 인쇄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적재유닛(130)으로 역이송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ing unit 120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1 and printing a print medium; A loading unit (130) installed at an upper front of the main body (101) for loading a print medium printed by the print unit (120); And a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200 which transfers the print medium printed by the print unit 120 to the stacking unit 130.

상기 인쇄유닛(120)은 전자사진방식에 따른 인쇄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The printing unit 120 may employ a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lectrophotographic method.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유닛(120)은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1); 상기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1)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노광유닛(124); 상기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1)에 수용된 후술할 상담지체(122)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복수의 전사롤러(123); 이송벨트(125); 상기 이송벨트(125)를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롤러(126); 및 정착유닛(127)을 포함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 the printing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developing cartridges 121; A plurality of exposure units 124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eveloping cartridges 121;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123 for transferring an image formed on a consultation body 122 to be described later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developing cartridges 121 to a print medium; Transfer belt 125; A plurality of driving rollers 126 for driving the conveying belt 125; And a fixing unit 127.

상기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1)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색상의 현상제(토너)를 저장하며, 내부에 상담지체(122)를 각각 수용한다.The plurality of developing cartridges 121 stores a developer (toner) of yellow (Y), magenta (M), cyan (C) and black (K) colors, respectively, and accommodates the counseling member 122 therein. do.

상기 복수의 노광유닛(124)은 각각 대응하는 현상카트리지(121)의 상담지체(122)를 노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상담지체(122)의 각 노광영역에 상기 현상카트리지(121) 내에 저장된 현상제가 도포됨으로써 그 표면에 가시화상이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exposure units 124 expose the consultation members 122 of the developing cartridge 121,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developer stored in the developing cartridge 121 is applied to each exposure area of the consultation body 122 to form a visible image on the surface thereof.

상기 이송벨트(125)는 후술할 급지유닛(110)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가 상기 상담지체(122)와 상기 전사롤러(233)를 통과하도록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한다.The transfer belt 125 transfers the print medium such that the print medium supplied from the paper feeding unit 110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through the consultation body 122 and the transfer roller 233.

이에 따라, 상기 상담지체(122)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가시화상은 상기 전사롤러(233)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125) 상의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122)와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233)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에 따라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색상의 가시화상이 상기 인쇄매체에 중첩적으로 전사된다. 이에 의해, 칼라가시화상이 상기 인쇄매체에 형성된다.Accordingly, the visible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sultation member 122 is transferred to the print medium on the transfer belt 125 by the transfer roller 233. As the print medium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counseling members 122 and the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233, visible images of yellow, magenta, cyan and black colors are transferred to the print medium in a superimposed manner. As a result, a color visible image is formed on the print medium.

이러한 상기 칼라가시화상은 정착유닛(127)을 통과하면서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된다. 상기 정착유닛(127)은 상기 칼라가시화상에 열을 가하는 히트롤러(127a)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히트롤러(127a) 방향으로 가압하는 프레스롤러(127b)를 포함한다.The color visible image is fixed to the print medium while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127. The fixing unit 127 includes a heat roller 127a for applying heat to the color visible image; And a press roller 127b for pressing the print medium in the direction of the heat roller 127a.

상기 정착유닛(127)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인쇄매체의 인쇄가 완료된다. The printing of the print medium is completed by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127.

이상에서 설명한, 인쇄유닛(120)은 한 예에 불과하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전자사진방식 대신에 또는 그와 함께 노즐을 통해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젯방식 및 써멀프린팅헤드(Thermal Printing Head: TPH)를 이용한 열전사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채용될 수도 있다.The printing unit 120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xample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In some cases, at least one of an inkjet method for ejecting ink through a nozzle or a thermal transfer method using a thermal printing head (TPH) may be employed instead of or in conjunction with the electrophotographic method.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될 인쇄매체를 상기 인쇄유닛(120)으로 공급하는 급지유닛(110)을 더 포함한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paper feeding unit 110 for supplying a print medium to be printed to the printing unit 120.

상기 급지유닛(110)은 상기 인쇄매체가 다 소비된 경우 재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다.The paper feeding unit 110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1 to enable recharging when the print medium is exhausted.

상기 급지유닛(110)은 상기 인쇄될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녹업플레이트(111); 상기 녹업플레이트(111) 상의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인쇄유닛(120)으로 픽업하는 픽업롤러(115); 상기 녹업플레이트(111)를 상기 픽업롤러(115)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113)를 포함한다.The paper feeding unit 110 includes a knock-up plate 111 for loading the print medium to be printed; A pickup roller 115 which picks up the print medium on the knock-up plate 111 to the print unit 120;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113 for elastically biasing the knock-up plate 111 toward the pickup roller 115.

한편,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 가이드 플레이트(220); 및 플레이트 구동부(23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int medium transfer unit 200,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frame 210; Guide plate 220; And a plate driver 230.

상기 프레임(210)은 상기 인쇄유닛(120)을 통과한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제1이송경로(S1)와 상기 제1이송경로(S1)에 교차하는 제2이송경로(S2)를 형성한다. The frame 210 forms a first transport path S1 through which the print medium passing through the printing unit 120 is transported, and a second transport path S2 crossing the first transport path S1.

여기서, 상기 제1이송경로(S1)는 상기 인쇄유닛(120)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며, 상기 제2이송경로(S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와 상기 적재유닛(130)을 연결한다.Here, the first transfer path (S1) is connected to the printing unit 120 and the guide plate 220, the second transfer path (S2) is the guide plate 220 and the loading unit 130 Connect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이송경로(S1)는 상기 인쇄유닛(120)에서부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까지의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이고, 상기 제2이송경로(S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로부터 상기 적재유닛(130)까지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이다.In more detail, the first transfer path S1 is a path through which the print medium from the printing unit 120 to the guide plate 220 is transferred, and the second transfer path S2 is the guide plate. The print medium is transferred from the 220 to the loading unit 130.

한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이송된 인쇄매체(P)를 적재하는 제1위치(c)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상기 제2이송경로 방향으로 전향시 키는 제2위치(d) 사이를 회동 가능하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3A and 3C, the guide plate 220 includes a first position c and a guide plate for loading the print medium P transferred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The printing medium P loaded on the 220 may be rotated between the second positions d for redirecting the printing medium P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fer path.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1이송경로(S1)의 하류측에 설치된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The guide plate 220 is rotatable around a hinge shaft 221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transfer path S1.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221)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타단은 후술할 액츄에이터(231)에 의해서 지지된다.In more detail, one end of the guide plate 220 is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221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plate 220 is supported by an actuator 2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2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231)와; 상기 액츄에이터(231)를 구동하는 구동원(235)과; 상기 구동원(235)의 구동력을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자클러치(233)를 포함한다.The plate driver 230 includes an actuator 231 for rotating the guide plate 220 as shown in FIGS. 1 and 2; A drive source 235 for driving the actuator 231; And an electronic clutch 233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235 to the actuator 231.

상기 액츄에이터(23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축(231a)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캠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캠 외에도 상기 플레이트(220)를 승강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동수단이 채용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actuator 231 may be provided as a cam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about the cam shaft 231a.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cam, various driving means may be employed as long as the plate 220 can be elevated.

또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상기 제1이송경로(S1) 상에 배치된 센서유닛(240)과; 상기 센서(240)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230)를 제어하는 제어부(28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200 and the sensor unit 240 disposed on the first transfer path (S1); The control unit 280 further controls the plate driver 230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240.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이송경로(S1) 및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통해 인쇄 완료된 인쇄매체가 상기 적재유닛(130)까지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A to 4, a process of transferring the printed media to the stacking unit 130 through the first transfer path S1 and the second transfer path S2 will be described. do.

한편, 상기 센서유닛(24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경 로(S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에 접촉 가능한 레버(241)와; 상기 레버(241)의 자세변화에 따라 발광부의 광이 수광부로 전달 또는 차단되는 포토센서(243)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nsor unit 240, as shown in Figure 3a, a lever 241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print medium transported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The light sensor includes a photosensor 243 is transmitted or block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ttitude of the lever 241.

상기 레버(241)는 힌지축(242)을 중심으로 상기 발광부의 광을 차단하는 차단위치(도 3b)와, 상기 차단위치(도 3b)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광 차단을 해제하는 해제위치(도 3a) 사이를 회동 가능하다.The lever 241 has a blocking position (FIG. 3B) for block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part about the hinge axis 242, and a release position (FIG. 3A) spaced apart from the blocking position (FIG. 3B). ) Can be rotated.

여기서, 상기 센서유닛(240)은 상기 레버(241)가 상기 차단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버(241)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nsor unit 24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not shown) for elastically biasing the lever 241 so that the lever 241 maintains the blocking position.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레버(241)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레버(241)가 도 3a에 도시된 상기 해제위치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발광부의 광이 상기 수광부에 전달되어 상기 포토센서(243)는 "ON"신호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한다. 반대로,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레버(241)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레버(241)는 도 1,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상기 차단위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광이 상기 수광부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포토센서(243)는 "OFF"신호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한다.In more detail, when the print medium is in contact with the lever 241, the lever 241 is rotated to the release position shown in Figure 3a. Accordingly,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so that the photosensor 243 outputs an "ON" signal as a detection signal. On the contrary, when the print medium does not contact the lever 241, the lever 241 is positioned at the blocking position shown in Figs. 1, 3B and 3C by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Accordingly, since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not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photosensor 243 outputs an "OFF" signal as a detection signa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1에서 상기 포토센서(243)의 감지신호가 "OFF"에서 "ON"으로 전환된 경우, t1 시점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P)의 선단(a)이 상기 레버(241)에 접촉되어 상기 레버(241)를 회전시킨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hotosensor 243 is switched from " OFF " to " ON " at time t1, the front end of the print medium P as shown in FIG. 3A at time t1. (a) is in contact with the lever 241 means that the lever 241 is rotated.

시간 t1 이후의 시간 t2에서와 같이 상기 포토센서(243)의 감지신호가 다시 "ON"신호에서 "OFF"신호로 전환되는 경우, t2시점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레버(241)를 막 통과한 것을 의미한다. Whe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hotosensor 243 is switched back from the "ON" signal to the "OFF" signal as in time t2 after time t1, as shown in FIG. 3B at the time t2, as shown in FIG. It means that the rear end b has just passed through the lever 241.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센서유닛(240)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전자클러치(233)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may control the electronic clutch 233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24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제1이송경로(S1)을 따라 이송된 상기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지지될 때까지 상기 전자클러치(233)를 OFF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231)로 상기 구동원(235)의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1위치(도 3a의 c)에 위치한다.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280 is the electronic clutch until the rear end (b) of the printing medium (P) transferred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is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220. Turn off (233). As a result, since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235 is not transmitted to the actuator 231, the guide plate 22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c of FIG. 3A).

여기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지지되는 시점(t3)은 상기 포터센서(243)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280 may determine the time point t3 at which the rear end b of the printing medium P is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220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orter sensor 243.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포토센서(243)의 감지신호가 "ON"신호에서 "OFF"신호로 전환되는 시점(t2)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을 상기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지지되는 시점(t3)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280 indicates the time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t a time t2 whe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hotosensor 243 is switched from the "ON" signal to the "OFF" signal. The rear end b) may be determined as a time point t3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220.

여기서,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레버(141)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사이의 거리만큼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계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time is taken for the rear end b of the printing medium P to be conveyed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to pass the distance between the lever 141 and the guide plate 220. It can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ime.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가이드 프레이 트(220)에 지지되는 시점 이후, 예를 들어 상기 t3시점부터 상기 전자클러치(233)를 소정시간(△t1)만큼 ON시킨다. 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electronic clutch 233 for a predetermined time (Δt1) after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rear end b of the print medium P is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220. ON by).

상기 소정시간(△t1)동안 상기 구동원(235)의 구동력이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2위치(도 3c의 d)로 회동한다.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235 is transmitted to the actuator 231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Δt1 so that the guide plate 220 rotates to the second position (d in FIG. 3C).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P)도 상기 적재유닛(130)을 향하는 상기 제2이송경로(S2) 방향으로 전향된다.Accordingly, the printing medium P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220 is also turn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fer path S2 toward the loading unit 13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이 전자클러치의 ON/OFF 동작에 의해 간단하게 전향될 수 있으므로 고속 인쇄 시 인쇄매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int medium can be simply turned by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lutch, the print medium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high speed printing.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가 상기 제1위치(c) 및 상기 제2위치(d)의 회동 반경이 작기 때문에 고속으로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plate (c) and the second position (d) of the guide plate 220 is small,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int medium at high speed.

한편,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도 1,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매체(P)를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1구동롤러(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3A to 3C,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200 receives the print medium P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220 in the second transfer path S2.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rive roller 253 for conveying along.

또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선택적으로 상기 제1구동롤러(253)에 접촉하거나 상기 제1구동롤러(253)로부터 이격되는 접촉부(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ortion 255 contacting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o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상기 접촉부(255)는, 상기 인쇄매체(P)를 상기 제2이송경로(S2)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인쇄매체(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구동롤러(253)에 접촉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상기 접촉부(255)의 일례로서 아이들 롤러(255)를 도시한다. 그러나, 반드시 아이들 롤러(255)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미끄럼부(미도시) 및 탄성패드(미도시) 중 어느 하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패드(미도시)는 스펀지 또는 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contact part 255 may contact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with the print medium P therebetween so as to transfer the print medium P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fer path S2. As long as it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3A illustrates an idle roller 255 as an example of the contact portion 255.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dle roller 255 and may be replaced with any one of a sliding part (not shown) and an elastic pad (not shown). The elastic pad (not shown) may be made of a sponge or a soft plastic material.

또한, 상기 접촉부(255)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들 롤러(255)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part 255 may be installed on the guide plate 220.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3A, the idle roller 255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220.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접촉부(255)는 상기 아이들롤러(255) 없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자체가 상기 접촉부(255)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contact portion 255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ontact portion 255 without the idle roller 255, the guide plate 220 itself.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가 상기 제1위치(c)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촉부(255)는 상기 제1구동롤러(253)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진행하는 인쇄매체(P)가 상기 제1구동롤러(253)와 상기 접촉부(255)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a, when the guide plate 220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c), the contact portion 255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e roller 253. Accordingly, the print medium P traveling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may pass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and the contact part 255.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P)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200, as shown in Figure 3a, to prevent the print medium (P)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22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plate 220 It may further include a departure prevention unit 270 for.

상기 이탈방지부(270)는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대향하는 가압레버(273)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270)는 상기 가압레버(273)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lease preventing part 270 includes a pressure lever 273 facing the guide plate 220 with the print medium P transferred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therebetween. The release preventing part 27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not shown) for elastically biasing the pressure lever 273 toward the guide plate 220.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이송된 인쇄매체(P)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레버(273)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가압레버(273)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 사이에 개재된 상기 인쇄매체(P)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인쇄매체(P)가 상기 가압레버(273)에 의해 가압되고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The print medium P transferred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passes between the pressure lever 273 and the guide plate 220 as shown in FIG. 3B. The print medium P interposed between the pressure lever 273 and the guide plate 220 may have the print medium P even when the guide plate 220 is inclined, as shown in FIG. 3C. Since the pressing lever 273 is being pressed,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guide plate 220.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미도시)가 상기 가압레버(273)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향해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력은 상기 인쇄매체(P)의 이송에 심각한 방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상기 인쇄매체(P)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elastic force by which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elastically biases the pressure lever 273 toward the guide plate 220 does not seriously impede the transfer of the printing medium P. I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a range capable of preventing the departure of P).

또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도 1 및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롤러(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iving roller 263, as shown in Figure 1 and 3a to 3c.

상기 제2구동롤러(263)는 한 방향(G)으로 회전하여 상기 인쇄매체(P)를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이송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P)를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따라 이송한다.The second driving roller 263 rotates in one direction G to transfer the print medium P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and to be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220. ) Is transferred along the second transfer path S2.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경로(S1)와 상기 제2이송경로(S2)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 the first transfer path S1 and the second transfer path S2 may be disposed at intersections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1구동롤러(253) 및 상기 제2구동롤러(263)는 상기 구동원(235)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구동원(235)과 별 개의 구동원에 의해서 구동될 수 도 있다.Here,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263 may be driven by the drive source 235. Of course, in some cases it may be driven by a drive source separate from the drive source 235.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센서유닛(240)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구동원(235)을 제어하여 상기 제1구동롤러(253) 및 상기 제2구동롤러(263)를 구동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may drive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263 by controlling the driving source 235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24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센서유닛(240)의 감지결과, 상기 인쇄매체(P)의 선단(a)이 상기 센서유닛(240)을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원(235)을 ON시킨다.In more detai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ront end a of the printing medium P passes through the sensor unit 240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sensor unit 240, the control unit 280 235) is turned on.

여기서, 상기 구동원(235)과 상기 제1구동롤러(253) 및 상기 제2구동롤러(263) 사이에는 상기 구동원(235)의 동력을 각각 상기 제1구동롤러(253) 및 상기 제2구동롤러(263)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롤러(253)는 상기 인쇄매체(P)를 상기 제2이송경로(S2)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일방향(F)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구동롤러(263)도 상기 일방향(G)으로 회전한다.Here, between the driving source 235,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263, the power of the driving source 235, respectively,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A gear (not shown) for transmitting to 263 is provided. Accordingly,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rotates in one direction F to transfer the print medium P to the second transfer path S2,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263 also rotates. Rotate in one direction (G).

이에 의해, 별도의 클러치 없이도 상기 제1구동롤러(253) 및 상기 제2구동롤러(263)를 상술한 일방향(F, G)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263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F, G) described above without a separate clutch, thereby reducing the product cost.

또한, 상기 인쇄매체(P)를 상기 제1이송경로(S1) 및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이송하는 도중에 상기 구동원(235)의 구동축의 회전방향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고속으로 상기 인쇄매체(P)를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ive shaft of the driving source 235 does not need to be changed during the transfer of the print medium P to the first transfer path S1 and the second transfer path S2, the print medium at high speed. (P) can be discharged.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경로(S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는, 비록 상기 제1구동롤러(253)가 상기 일방향(F)으로 회전하더라도, 상 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와 상기 제1구동롤러(253)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상기 제1구동롤러(253)의 회전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a, the print medium (P) conveyed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even if the first drive roller 253 is rotated in the one direction (F),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guide plate 220 and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is wide, it is not disturb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270)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1구동롤러(253)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더욱 더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P)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단(b)부위까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270 is installed, interference may not occur further by the one direction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Accordingly, the print medium P may be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220 to the rear end b of the print medium P, as shown in FIG. 3B.

그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매체(P)의 후단(b)이 상기 가이드 프레이트(220)에 지지되는 시점 이후, 가령 상기 t3시점부터 상기 전자클러치(233)가 상기 소정시간(△t1)만큼 ON된다.Subsequently,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point b of the rear end b of the printing medium P is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220, the electronic clutch 233 starts the predetermined time from? ON by t1).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위치(d)로 회동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설치된 상기 접촉부(255)도 상기 인쇄매체(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구동롤러(253)에 접촉된다. 상기 제1구동롤러(253)가 상기 일방향(F)으로 회전 구동되고 있으므로 상기 인쇄매체(P)는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따라 역방향으로 이송된다.Accordingly, the guide plate 220 is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d), as shown in Figure 3c, the contact portion 255 installed on the guide plate 220 also the print medium (P)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Since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is rotationally driven in the one direction (F), the print medium (P) is conveyed in the reverse direction along the second transfer path (S2).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130)은 상기 제2이송경로(S2)의 하류측에 배치된 배출롤러(2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roller 267 disposed downstream of the second transfer path S2.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따라 역이송되는 상기 인쇄매체(P)는 상기 제2구동롤러(263)와 상기 제2구동롤러(263)에 의해 종동회전 하는 종동롤러(265)에 의해 상기 배출롤러(267)로 이송된다.The print medium P which is conveyed backward along the second transfer path S2 is driven by the driven roller 265 driven by the second driving roller 263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263. It is conveyed to the discharge roller 267.

상기 배출롤러(267)는 상기 이송된 인쇄매체(P)를 상기 적재유닛(130)으로 배출한다.The discharge roller 267 discharges the transferred print medium P to the loading unit 130.

한편,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인쇄매체(P)가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따라 이송됨에 따라 상기 인쇄매체(P)의 상기 선단(a)(역이송방향에 대해서는 후단)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빠져나간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령, 시간 t5에서 시간 t6까지의 소정시간(△t2)동안 상기 전자클러치(233)를 ON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위치(도 3c의 d)에 있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다시 원래의 상기 제1위치(도 3c의 c)로 복원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80 is the front end (a) (rear end for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print medium (P) as the print medium (P) is transferred along the second transfer path (S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uide plate 220 has exited, for example, the electronic clutch 233 may be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Δt2 from the time t5 to the time t6. Accordingly, the guide plate 220 at the second position (d of FIG. 3c) may be restored to the original first position (c of FIG. 3c).

이렇게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를 신속하게 상기 제1위치(도 3c의 c)로 복원함으로써, 상기 인쇄매체(P)가 상기 제2이송경로(S2)를 완전히 빠져나가지 않더라도 그 다음 인쇄매체를 다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로 이송할 수 있다.By quickly restoring the guide plate 220 to the first position (c in FIG. 3C), the next printing medium may be returned even if the printing medium P does not completely exit the second transfer path S2. The guide plate 220 may be transferred.

여기서, 상기 시간 t5는 상기 실제 센싱시간 t2로부터 상기 제1구동롤러(253) 및 상기 제2구동롤러(263)의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추정될 수 있다.Here, the time t5 may be estimated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first driving roller 253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263 from the actual sensing time t2.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2이송경로(S2) 중 상기 제2구동롤러(263)와 상기 배출롤러(267) 사이의 일부 구간(E)에 인쇄매체를 감지할 수 있는 상기 센서유닛을 별도로 배치하고, 상기 센서유닛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전자클러치(233)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술한 센서유닛(240)과 동일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sensor unit capable of detecting a print medium is separately disposed in a section E between the second driving roller 263 and the discharge roller 267 in the second transfer path S2. The electronic clutch 233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Here, the sensor unit may employ the same method as the sensor unit 240 described above.

상기 제어부(280)는 복수매수의 상기 인쇄매체(P)를 인쇄하는 경우, 최종 인쇄매체(P)가 상기 배출롤러(26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후, 가령 t7시점에서, 상기 구동원(235)을 OFF시킬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280 prints the plurality of print media P, after the final print media P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roller 267, for example, at the time t7, the driving source 235 ) Can be turned OFF.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본체(101)에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버(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103 rotatable around the hinge shaft 102 on the main body 101.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커버(103)의 하부에 배치되어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는 스캐너(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scanner 140 disposed under the cover 103 to scan an image of an original.

상기 스캐너(140)에 의해 스캐닝된 상기 화상데이터는 상기 인쇄유닛(120)에 의해 인쇄될 수 있다.The image data scanned by the scanner 140 may be printed by the printing unit 120.

이상에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controller 28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200, but may not be included in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200 as necessary.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동원(235) 및 상기 전자클러치(23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의 외부, 즉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된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In more detail,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ource 235 and the electronic clutch 233 is external to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200, that is,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not shown). May be received from).

가령,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200)은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200 may include an input port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01.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1)의 상측 전방에 설치된 조작패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panel 150 installed at an upp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1.

상기 조작패널(150)은 입력창(미도시)과 입력키(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operation panel 150 includes an input window (not shown) and an input key (not shown).

사용자는 상기 조작패널(150)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100)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복사명령, 인쇄명령과 같은 명령을 입력한다.The us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operation panel 150 or inputs a command such as a copy command or a print command.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P)가 통과 가능한 관통공(104)이 형성된 본체(101a)와, 상기 관통공(104) 주위를 둘러싸는 관통공 차폐 커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a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1a having a through hole 104 through which a print medium P can pass, and the through hole 104. It may include a through hole shielding cover 105 surrounding the periphery.

여기서, 상기 관통공 차폐커버(105)는 화상형성장치(101a)의 사이즈 등의 원인으로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다.Here, the through hole shielding cover 105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due to the siz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1a.

상기 제2구동롤러(263)에 의해 제1이송경로(도 1의 S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의 선단이 상기 관통공(104)을 통과하여 본체(101a) 외부로 빠져 나올 수도 있다. 인쇄매체의 이송경로의 일부를 본체(101a) 외부에 둠으로써 이송경로 전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것에 비해 화상형성장치(100a)의 크기를 줄이고 경량화가 가능하다.The front end of the printing medium P, which is transferred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of FIG. 1) by the second driving roller 263,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04 and exit out of the main body 101a. have. By placing a part of the transfer path of the print medium outside the main body 101a, the siz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a can be reduced and reduced in weight compared with accommodating the entire transfer path therein.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P)의 일부가 상기 관통공(104)을 통해 상기 본체(101a) 외부로 빠져 나오더라도 상기 인쇄매체(P)는 상기 이탈방지부(270)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0)로부터 이탈 방지될 수 있다.Here, even if a portion of the printing medium P is pulled out of the main body 101a through the through hole 104, the printing medium P is guided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270 by the guide plate 220. Departure can be prevented from.

또한, 상기 관통공 차폐커버(105)는 상기 본체(101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101a) 마련된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걸림결합방식 또는 끼움결합방식으로 상기 본체(101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 shielding cover 105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1a. For example, the main body 101a may be rotatably installed around a hinge axis (not shown) provided or may be detachably installed to the main body 101a by a locking method or a fitting method.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블록도, 2 is a block diagram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1;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의 인쇄매체 이송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 단면도,3A to 3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inting medium conveying process of the printing medium reverse conveying un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1;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포토센서, 전자클러치 및 구동원의 타이밍,4 is a timing diagram of a photosensor, an electronic clutch and a driving sour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100a: 화상형성장치 120: 인쇄유닛100, 100a: image forming apparatus 120: printing unit

130: 적재유닛 140: 스캐너130: loading unit 140: scanner

200: 인쇄매체 역이송유닛 210: 프레임200: print medium reverse feed unit 210: frame

220: 가이드 플레이트 230: 플레이트 구동부220: guide plate 230: plate driving unit

231: 액츄에이터 233: 전자클러치231: actuator 233: electronic clutch

235: 구동원 240: 센서유닛235: drive source 240: sensor unit

241: 레버 243: 포토센서241: lever 243: photosensor

253: 제1구동롤러 255: 접촉부253: first drive roller 255: contact portion

263: 제2구동롤러 265: 종동롤러263: second drive roller 265: driven roller

267: 배출롤러267: discharge roller

Claims (12)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에 있어서,In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제1이송경로 및 상기 제1이송경로에 교차하는 제2이송경로를 형성하는 프레임과;A frame forming a first transfer path through which a print medium is transferred and a second transfer path crossing the first transfer path; 상기 제1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된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제1위치 및 상기 적재된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 방향으로 전향시키는 제2위치 간을 회동 가능한 가이드 플레이트와;A guide plate rotat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for supporting the print medium conveyed along the first conveyance path and a second position for redirecting the loaded print medium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veyance path;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액츄에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자클러치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And a plate driver including an actuator for rotating the guide plate, a drive source for driving the actuator, and an electromagnetic clutch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drive source to the actu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이송경로 상에 배치된 센서유닛과;;A sensor unit disposed on the first transfer path; 상기 센서유닛의 감지결과를 기초로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ate driving uni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1구동롤러와;A first driving roller for transferring the print medium along the second transfer path;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구동롤러에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구동롤러로부터 이격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And contacting the first driving roller with the print medium therebetween when the guide plate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roller when the guide plate is in the first position. Print media reverse transf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접촉부는 아이들롤러, 미끄럼부 및 탄성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And the contac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dle roller, a sliding portion, and an elastic pa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And the contact portion is installed on the guide plat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1이송경로를 이송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제2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2구동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And a second driving roller which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ransfers the print medium to the first transfer path and transfers the print medium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along the second transfer path. Reverse feed uni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구동롤러와 상기 제2구동롤러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And the first driving roller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are driven by the driving sour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And a separation preventing part for preventing the print medium supported by the guide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액츄에이터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역이송유닛.And said actuator comprises a cam. 본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ain body,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인쇄매체를 인쇄하는 인쇄유닛과;A printing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printing a print medium;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된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적재유닛과;A loading unit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for storing a printing medium printed by the printing unit; 상기 인쇄유닛에 의해 인쇄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적재유닛으로 역이송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10.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print medium printed by the printing unit is conveyed back to the stacking unit.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이송경로는 상기 인쇄유닛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연결하며, The first transfer path connects the printing unit and the guide plate, 상기 제2이송경로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적재유닛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the second transfer path connects the guide plate and the loading unit.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인쇄매체 역이송유닛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the print medium reverse transfer unit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KR1020090130073A 2009-01-12 2009-12-23 Reversely transferring unit of a printing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674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85,119 US8401458B2 (en) 2009-01-12 2010-01-11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eversing feeding unit
US13/765,764 US8626052B2 (en) 2009-01-12 2013-02-13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eversing feed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2400 2009-01-12
KR1020090002400 2009-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092A true KR20100083092A (en) 2010-07-21
KR101674563B1 KR101674563B1 (en) 2016-11-22

Family

ID=4264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073A KR101674563B1 (en) 2009-01-12 2009-12-23 Reversely transferring unit of a printing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56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2104A (en) * 2000-02-25 2001-11-09 Ricoh Co Ltd Image forming device
KR20060041517A (en) * 2004-11-09 200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072215A (en) * 2007-02-01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067909A1 (en) * 2007-09-06 200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2104A (en) * 2000-02-25 2001-11-09 Ricoh Co Ltd Image forming device
KR20060041517A (en) * 2004-11-09 200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072215A (en) * 2007-02-01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067909A1 (en) * 2007-09-06 200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563B1 (en)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824B2 (en) Sheet inve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EP2009508B1 (en) 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JP4820696B2 (en) Mass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79849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038143B2 (en) Sheet delivery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2008013352A (en) Sheet material carr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US6895195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image according to feature/type of the recording member
JP2009172933A (en) Liquid discharge apparatus
JP2009132499A (en) Recording device
JP542907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4332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3653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6260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eversing feeding unit
US2008018169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083092A (en) Reversely transferring unit of a printing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9659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28590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both-sides printing function
KR100362386B1 (en) Image forming appratus capable of forming a duplex image on one sheet
JP5857657B2 (en) Detachabl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7206949B2 (en) image forming device
JP37564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241484B2 (en) Recording device
JP200519607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1160878A (en) Printer
JP2020086337A (en) Image form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