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482A - A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A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482A
KR20100082482A KR1020090001809A KR20090001809A KR20100082482A KR 20100082482 A KR20100082482 A KR 20100082482A KR 1020090001809 A KR1020090001809 A KR 1020090001809A KR 20090001809 A KR20090001809 A KR 20090001809A KR 20100082482 A KR20100082482 A KR 20100082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uct
cabinet
condensation duct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33597B1 (en
Inventor
손영복
채애경
진용철
엄윤섭
김상훈
예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597B1/en
Priority to CN2009102067522A priority patent/CN101736550B/en
Publication of KR2010008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4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PURPOSE: A washing apparatus is provid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condensation duct by heat-exchanging condensed water to humid air discharged from a tub. CONSTITUTION: A washing apparatus(100) comprises a cabinet(1), a tub(2) which is formed in the cabinet, stores washing water, and comprises a tub heat exchanging fin(21) which facilitates cooling by a cooling fan, a drum(3) which is rotatably formed in the tub, a condensation duct(4) which condenses air exhausted from the drum inside, a condensed water supply section(6) which supplies condensed water to the condensation duct, and a cooling fan(7) which circulates the air of the cabinet inside to cool the tub and the condensation duct.

Description

세탁장치{A 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A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이하, "세탁장치"로 통칭함)에 있어서 응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탁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machin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washing apparatus for improving condensation efficiency in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drying laundry.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물에 묻은 때나 더러운 물질을 화학적인 분해작용과 기계적인 충격작용에 의해 제거하는 기기로서, 세탁물에 충격을 가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즉, 펄세이터에 의하여 세탁물에 충격을 주는 펄세이터 세탁기와,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을 낙하시켜 세탁물에 충격을 주는 드럼세탁기로 나눌 수 있다.In general, a laundry machine is a device that removes dirty or dirty materials by chemical decomposition and mechanical impact, and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impacting laundry. That is, it can be divided into a pulsator washing machine that impacts the laundry by the pulsator, and a drum washing machine that drops the laundry by the rotation of the drum and impacts the laundry.

이 중 드럼세탁기는 세탁조인 드럼이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세탁기에 비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의류의 꼬임 등의 문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펄세이터 세탁기와는 달리 건조기능을 부가하기에 용이하다.Among them, the drum washing machine can reduce the overall height compared to the pulsator washing machine that rotates in the drum washing drum standing up, there is an advantage that problems such as twisting of the clothes hardly occurs. In addition, unlike the pulsator washing machine is easy to add a drying function.

한편, 건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드럼세탁긴느 드럼내부의 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덕트와 응축공기를 가열하여 드럼내부에 공급하는 건조덕트가 구비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a drum washing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a drying function should be provided with a condensation duct for condensing the air in the drum and a drying duct for heating the condensed air and supplying it into the drum.

상기 응축덕트는 드럼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터브의 일측에 결합되는 공기유로이고, 상기 건조덕트는 일측이 상기 응축덕트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의 일측에 결합하여 드럼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이다.The condensation duct is an air flow path coupled to one side of the tub to discharge the air in the drum, the drying duct is coupled to the condensation duc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ub to heat the air inside the drum It is a structure to supply.

그러나 종래 건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는 응축덕트 내부로 응축수를 공급하고, 상기 터브를 통해 배출되어 응축덕트로 유입되는 드럼내부의 공기가 상기 응축수와 열교환을 일으키도록 하여 드럼내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응축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세탁과정 뿐만아니라 건조과정에서도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물 소비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drum washing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a conventional drying function supplies condensed water into the condensation duct, and the air inside the drum discharged through the tub and introduced into the condensation duct causes heat exchange with the condensed water and is discharged from the drum. It was a way to condense the ai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consumption increases because the water is used in the drying process as well as the washing process.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과정에서 세탁장치에 사용되는 응축수의 양을 줄일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laundry machine that can reduce the amount of condensate used in the laundry machine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the laundry.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laundry machine that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dry the laundry.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덕트, 상기 응축덕트에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공급부 및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터브와 응축덕트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storing the wash water, a drum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tub, condensation to condens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It provides a washing apparatus including a duct, a condensate supply unit for supplying condensate to the condensation duct and a cooling fan for circulating air in the cabinet to cool the tub and the condensation duct.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터브는 상기 냉각팬에 의한 냉각을 용이하게 하는 터브열교환핀을 포함할 수 있고, In this case, the tu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ub heat exchange fin to facilitate the cooling by the cooling fan,

상기 터브열교환핀은 상기 터브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tub heat exchange pi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ub.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응축덕트는 상기 냉각팬에 의한 냉각을 용이하게 하는 덕트열교환핀을 포함할 수 있고, On the other hand, the condensation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uct heat exchange fin to facilitate the cooling by the cooling fan,

상기 덕트열교환핀은 상기 응축덕트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터브의 배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uct heat exchange fin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and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surface of the tub.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냉각팬은 상기 캐비닛의 배면패널에 연결되는 사이드 패널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In addition, the cooling fa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de panel connected to the rear panel of the cabinet,

상기 터브의 배면과 인접하는 상기 캐비닛의 배면패널에 구비될 수도 있다.It may be provided on the rear panel of the cabinet adjacent to the back of the tub.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의하면, 세탁물의 건조과정에서 세탁장치에 사용되는 응축수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건조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used in the washing apparatus in the drying process of the laundry, and to provide an effect of providing a washing apparatus that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drying proces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구성, 방법 기타의 실시예는 실시에 필요한 구성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equivalent to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used herein if they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herein. According to the defined definition.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method and other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only for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components Indicates.

도1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the laundry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고하여 세탁기와 건조기를 포함하는 개념인 세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 세탁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 상기 터브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한 드럼(3), 상기 드럼(3) 내부의 공기를 응축하는 응축덕트(4), 상기 응축덕트(4)에서 응축된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덕트(5), 상기 응축덕트(4)에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공급부(6) 및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는 냉각팬(7)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including a concept including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laundry apparatus 100 is a cabinet (1) to form an appearance, a tub (2)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cabinet, A rotatable drum 3 provided inside the tub, a condensation duct 4 for condensing air in the drum 3, a drying duct 5 for heating the air condensed in the condensation duct 4, It includes a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6 for supplying condensed water to the condensation duct (4) and a cooling fan (7) provided in the cabinet (1).

상기 캐비닛(1)은 세탁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어(D)가 구비되는 전면패널(11), 상기 전면패널(11)의 양측에 연결되는 사이드패널(13), 상기 사이드패널(13)의 말단에 결합되는 배면패널(15)을 포함한다. 또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캐비닛(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멍인 유입구(17, 도2참고)와 유출구(19)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17)는 상기 캐비닛(1)의 내부로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통로이고, 상기 유출구(19)는 상기 유입구(17)로 유입된 공기를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통로이다. The cabinet 1 is configured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washing apparatus 100, a front panel 11 having a door D, side panels 13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panel 11, and And a rear panel 15 coupled to the end of the side panel 13. In addition, the cabinet 1 includes an inlet port 17 (see FIG. 2) and an outlet port 19, which are holes formed through the cabinet 1. The inlet 17 is a passage for introducing air outside the cabinet into the cabinet 1, and the outlet 19 is a passage for discharging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7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

한편, 상기 유출구(19)는 도1에서와 같이 배면패널(15)에 구비하되, 상기 응축덕트(4)와 터브(2)의 배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출구(19)가 응축덕트(4)와 터브(2)에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 캐비닛(1)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때 항상 상기 터브(2)와 응축덕트(4)를 지나면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터브(2)와 응축덕트(4) 외주면의 온도를 낮추는데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 상기 유출구(19)의 위치는 다양하게 선택가능할 것이므로 배면패널(15)에 상기 유출구(19)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let 19 is provided on the rear panel 15 as shown in Figure 1,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4 and the tub (2). This is because the outlet 19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ndensation duct 4 and the tub 2 so that when the air inside the cabinet 1 is discharged, it is always discharged through the tub 2 and the condensation duct 4. This is because it is more effective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2) and the condensation duct (4). However, since the location of the outlet 19 may be variously selected as long as the above-described effects can be expected, the position of the outlet 19 is not limited to the rear panel 15.

상기 유입구(17)는 상기 캐비닛(1)의 내부로 캐비닛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인 바,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며, 도2에서는 그 일례로 사이드패널(13)의 일측에 유입구(17)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The inlet 17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outside the cabinet can be introduced into the cabinet 1, and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as long as the effect can be expected. It is shown that the inlet 17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de panel (13).

상기 터브(2)는 세탁물의 세탁에 필요한 세탁수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터브(2)는 상기 캐비닛(1)과 스프링(미도시) 및 댐퍼(미도시)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The tub 2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to store laundry water required for washing laundry. The tub 2 is positioned inside the cabinet by coupling the cabinet 1 with a spring (not shown) and a damper (not shown).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드럼(3)의 회전력은 모터(M)에 의해 제공받게 된다.The drum 3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2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to the laundr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3 is provided by the motor (M).

도2는 본 발명 세탁장치의 배면도이다.2 is a rear view of the laundry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고하여 본 발명 세탁장치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응축덕트(4)는 건조행정시 상기 드럼(3)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시킨 뒤 터브(2)를 거쳐 배출되는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응축덕트(4)의 일측은 상기 터브(2)의 배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건조덕트(5)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condensation duct (4) is a dry air discharged through the tub (2) after drying the laundry inside the drum (3) Condensation. Therefore, one side of the condensation duct 4 is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tub 2, the other side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drying duct 5 to be described later.

도1을 참고하여 상기 건조덕트를 설명하면, 상기 건조덕트(5)는 제습을 마친뒤 건조해진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터브(2)를 거쳐 드럼(3)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건조덕트(5)는 일측이 상기 응축덕트(4)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2)에 연결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덕트(5)는 응축덕트(4) 내부의 공기를 건조덕트(5)로 유입시켜 상기 터브(2)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팬(51)과 상기 송풍팬(51)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rying duct 5 is configured to heat the dried air after dehumidification and to supply the inside of the drum 3 through the tub 2. Therefore, the drying duct 5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ion duct 4,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tub (2). In addition, the drying duct 5 flows through the blower fan 51 and the blower fan 51 which blow air into the tub 2 by introducing the air in the condensation duct 4 into the drying duct 5. And a heater 53 for heating the air.

상기 응축수공급부(6)는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서 상기 응축덕트(4)의 내부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공급부(6)의 일측은 상기 응축덕트(4)에 형성된 응축수유입구(43, 도2참고)에 연결된다.The condensed water supply unit 6 is configured to supply condensed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et to the inside of the condensation duct 4. Accordingly, one side of the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6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inlet 43 (see FIG. 2) formed in the condensation duct 4.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세탁물의 건조과정은 먼저 응축수공급부를 통해 응축덕트 내부로 응축수를 공급하고, 상기 터브를 통해 배출되어 응축덕트로 유입되는 드럼내부의 공기는 상기 응축수와 열교환을 일으키도록 하여 드럼내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응축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세탁과정 뿐만 아니라 건조과정에서도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는 문제가 있다. In the washing apparatu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aundry drying process first supplies condensed water into the condensation duct through the condensate supply unit, and the air inside the drum discharged through the tub and introduced into the condensation duct may exchange heat with the condensate. It caused a condensa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drum.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of using a large amount of water in the drying process as well as the washing process.

따라서 본 발명 세탁장치(100)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비닛(1)의 일측에 냉각팬(7)을 구비시키고, 터브(2)의 일측에 터브열교환핀(21)을 구비시키며, 상기 응축덕트(4)에 덕트냉각핀(41)을 구비시키는 세탁장치(1)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laundry machi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ling fan 7 on one side of the cabinet 1 and a tub heat exchange fin 21 on one side of the tub 2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washing apparatus (1) having a condensation duct (4) with a duct cooling fin (41) is provided.

도2를 참고하여 상기 터브열교환핀(21)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터브(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물의 세탁에 필요한 세탁수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이며, 상기 터브열교환핀(21)은 상기 터브(2)의 배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the tub heat exchange pin 21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tub (2) is configured to store the wash water for washing the laundry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cabinet (1) The tub heat exchange fin 21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back of the tub (2).

상기 터브열교환핀(21)은 상기 터브(2)의 배면에 구비되어, 후술할 냉각팬(7)을 통해 상기 유출구(19)로 캐비닛(1)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거나 순환될 때 상기 터브(2)의 외주면에서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건조행정이 진행되면 후술할 드럼(3)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세탁물을 건조시킨 뒤 다습해진 공기가 터브(2)의 배면을 통해 응축덕트(4)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터브(2)의 배면을 통해 응축덕트(4)로 유출되는 공기가 상기 터브열교환핀(21)에 의해 냉각된 터브(2) 를 거쳐가도록 하여 응축덕트(4)에 공급되기전 미리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tub heat exchange fin 21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 and when the internal air of the cabinet 1 is discharged or circulated to the outlet 19 through a cooling fan 7 to be described later, the tub ( It is a configuration to facilitate heat exchange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2). As the drying process proceeds, the laundry is dr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drum 3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condensation duct 4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 Therefore, the air flowing into the condensation duct 4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 passes through the tub 2 cooled by the tub heat exchange fin 21 so as to be humid beforehand before being supplied to the condensation duct 4. The effect of condensing the air will be expected.

한편, 상기 터브열교환핀(21)은 상기 터브(2)의 배면에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터브열교환핀(21)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 터브열교환핀의 형상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그 위치 또한 터브의 배면이 아닌 터브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ub heat exchange pin 2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dially on the back of the tub (2). However, the shape of the tub heat exchange pins may be variously selected as long as the above-described tub heat exchange pins 21 can function, and the position may also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ub instead of the back of the tub.

도2를 참고하여 본 발명 세탁장치의 구성인 응축덕트(4)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응축덕트(4)는 외주면에 구비되는 덕트열교환핀(41), 응축덕트(4)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응축수유입구(43), 상기 응축덕트(4)의 하부에 구비되는 응축수배출구(4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2 with respect to the condensation duct 4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ation duct 4 is formed through the duct heat exchange fin 41, the condensation duct 4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ondensate inlet 43, and the condensate outlet 45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ensation duct (4).

상기 덕트열교환핀(41)은 상기 응축덕트(4)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로 구비되는 열교환핀이다. 덕트열교환핀(41)의 역할은 후술할 냉각팬(7)을 통해 캐비닛 내부의 공기가 상기 캐비닛(1)의 유출구(19)를 통해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상기 덕트열교환핀(41)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응축덕트(4)의 표면온도를 낮출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터브(2)를 통해 배출되는 다습한 공기는 후술할 응축수와의 열교환을 진행함과 동시에 응축덕트 내부의 낮은 온도와도 열교환을 할 수 있어 응축덕트(4)의 응축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The duct heat exchange fin 41 is a heat exchange fin provided in pluralit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4. The role of the duct heat exchange fin 41 is to exchange heat with the duct heat exchange fin 41 in the process of the air inside the cabinet through the outlet 19 of the cabinet 1 through the cooling fan 7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reduc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ondensation duct (4). Therefore, the humid air discharged through the tub 2 can exchange heat with the low temperature inside the condensation duct while conducting heat exchange with the condens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by increasing the condensation efficiency of the condensation duct 4. Will be exercised.

상기 덕트열교환핀(41)의 형상이나 위치는 상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채택가능하며, 덕트열교환핀(41)을 응축덕트(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시키는 것이 일례가 될 수 있다.The shape or position of the duct heat exchange fin 41 can be variously adopted as long as the above-described effects can be exerted, and one examp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uct heat exchange fins 4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ensation duct 4. Can be.

상기 응축수유입구(43)는 상기 응축덕트(4)에 구비되어 응축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다습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응축수가 유입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후술할 응축수공급부(6, 도1참고)가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수유입구(43)의 위치는 상기 덕트열교환핀(41)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응축수공급부(6)를 통해 공급되는 응축수의 유동방향은 응축덕트(4)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반대되도록 하여 열교환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측면에서 상기 응축덕트(4)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condensate inlet 43 is provided at the condensation duct 4 to condense water for dehumidifying humid air flowing in the condensation duct. Therefore, the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6 (see FIG. 1)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of the condensate inlet 43 may be variously selected as long as it can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function without causing interference with the duct heat exchange fin 41. However, the flow direction of the condensate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ndensate water supply unit 6 is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moving along the condensation duct 4 in order to maximiz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condensation duct 4 in terms of It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top.

상기 응축수유출구(45)는 상기 응축덕트(4)에 공급되어 다습한 공기와 열교환을 마친 응축수가 상기 응축덕트(4)에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유출구(45)는 일측이 상기 응축덕트(4)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1)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비시킴이 바람직하다.The condensate outlet 45 is configured to form a flow path for supplying the condensate duct 4 and the condensed water after the heat exchange with the humid air is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ion duct 4. Therefore, the condensate outlet 45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ondensation duct 4, the other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도1을 참고하여 본 발명 세탁장치(100)의 냉각팬을 설명하면, 상기 냉각팬(7)은 상기 캐비닛(1)의 배면패널(15)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의 내부공기를 유동시키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터브열교환핀(21)과 덕트열교환핀(41)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을 촉진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7)의 위치는 상기 캐비닛(1) 내부의 공기가 반드시 상기 터브열교환핀(21)과 덕트열교환핀(41)을 거친뒤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캐비닛(1)의 배면패널(15)에 구비된 유출구(19)는 그 일례가 될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1 describes the cooling fan of the laundry machi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fan 7 is provided on the rear panel 15 of the cabinet (1) to flow the internal air of the cabinet (1) In addition, by flowing air in the cabinet, the tub heat exchange fin 21 and the duct heat exchange fin 41 are configured to promote heat exchange. Therefore, the location of the cooling fan 7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osition such that the air inside the cabinet 1 must be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tub heat exchange fin 21 and the duct heat exchange fin 41. The outlet 19 provided in the rear panel 15 of the cabinet 1 will be one example.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세탁장치의 건조과정에 대해 도1과 도2 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rying process of the washing apparatu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건조덕트(5)는 히터(53)를 통해 공기를 가열하고, 송풍팬(51)을 통해 터브(2)의 일측으로 상기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게 된다. When the drying operation for drying the laundry starts, the drying duct 5 heats the air through the heater 53 and blows the heated air to one side of the tub 2 through the blowing fan 51. .

가열되어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터브(2)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드럼(3)의 내부로 유입되어 드럼(3)의 내부에 있는 세탁물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고온의 건조공기는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다습한 상태가 된 뒤 상기 드럼(3)의 배면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heated and blown air flows into one side of the tub 2 and flows into the drum 3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laundry inside the drum 3. At this time, the hot dry air absorbs moisture from the laundry and becomes humid, and then moves to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3.

또한, 상기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캐비닛(1)의 배면패널(15)에 형성된 유출구(19)에 구비된 냉각팬(7)이 가동하게 된다. 상기 냉각팬(7)은 유입구(17)를 통해 캐비닛(1)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유출구(19)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캐비닛(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주게 된다. 상기 냉각팬(7)의 인접한 위치에는 터브(2)의 배면에 구비된 터브열교환핀(21)과 응축덕트(4)의 덕트열교환핀(41)이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냉각팬(7)이 캐비닛(1)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응축덕트(4)와 상기 터브(2)의 외주면 온도를 낮추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drying stroke is started, the cooling fan 7 provided in the outlet 19 formed in the rear panel 15 of the cabinet 1 is operated. The cooling fan 7 circulates the air inside the cabinet 1 by discharging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cabinet 1 through the inlet 17 through the outlet 19. In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cooling fan 7, the tub heat exchange fin 21 and the duct heat exchange fin 41 of the condensation duct 4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 so that the cooling fan 7 is a cabinet.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internal air of (1),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4 and the tub 2 is lowered.

한편, 상기 드럼(3)의 배면으로 이동한 다습한 공기는 다시 상기 터브(2)의 배면으로 배출되는데, 이과정에서 상기 냉각팬(7)에 의해 외주면의 온도가 낮아진 터브(2)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습기를 함유한 다습한 공기가 낮은 표면온도를 가진 터브(2)와 접촉하면서 열교환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다습한 공기를 제습하게 된다.Meanwhile, the humid air mov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3 is discharg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 again. In this process, the cooling fan 7 contacts the tub 2 whose temperatur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lowered. Done. Accordingly, heat exchange occurs when the humid air containing the moisture of the laundry contacts the tub 2 having a low surface temperature, resulting in dehumidification of the humid air.

또한 터브(2)에서 일차적으로 제습된 공기는 터브(2)에 연결된 응축덕트(4)로 유입되어 건조덕트(5)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응축덕트(4)는 상기 냉각팬(7)과 덕트열교환핀(41)에 의해 표면온도가 낮아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응축덕트(4)로 유입된 다습한 공기는 건조덕트(5)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응축덕트(4) 표면온도에 의해 이차적 제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primary dehumidified air in the tub (2) is introduced into the condensation duct (4) connected to the tub (2) is moved to the drying duct (5). At this time, since the condensation duct 4 is in a state where the surface temperature is lowered by the cooling fan 7 and the duct heat exchange fin 41, the humid air introduced into the condensation duct 4 moves to the drying duct 5. Second dehumidification is achieved by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ondensation duct (4).

따라서 본 발명 세탁장치는 응축덕트로 유입되기 전에 다습한 공기에서 일차적 제습을 하고, 응축덕트(4)로 유입된 뒤 건조덕트(5)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응축덕트(4)의 표면으로부터 이차적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축수를 이용한 제습에 걸리는 시간과 응축수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laundry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primary dehumidification in humid air before flowing into the condensation duct, and enters the condensation duct 4 and then dehumidifies the secondary dehumidification from the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4 in the process of flowing into the drying duct 5.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taken for dehumidification using condensate and the amount of condensate.

한편, 일차적 제습을 마친 다습한 공기는 응축덕트(4)를 유동하면서 응축덕트(4)의 표면과 이차적 제습을 하게 되고, 상기 이차적 제습과 더불어 응축수에 의한 제습도 이루어 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umid air after the first dehumidification is the secondary dehumidification of the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4) while flowing the condensation duct (4), the dehumidification by the condensate is also made with the secondary dehumidification.

응축수에 의한 제습과정을 살펴보면, 응축덕트(4)의 응축수유입구(43)에 연결된 응축수공급부(6)는 응축덕트(4)의 내부로 응축수를 공급한다. 따라서 다습한 공기는 상기 건조덕트(5)로 이동하고, 다습한 공기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급되는 응축수는 그 유동과정에서 다습한 공기를 제습하게 되며, 열교환을 마친 응축수는 응축덕트(4)의 일측에 구비된 응축수유출구(45)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버려지게 된다.Looking at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by the condensate, the condensate supply unit 6 connected to the condensate inlet 43 of the condensation duct 4 supplies the condensate into the condensation duct (4). Therefore, the humid air moves to the drying duct (5), the condensate suppli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humid air dehumidifies the humid air in the flow process, the condensate after the heat exchange is the condensation duct (4 Through the condensate outlet 4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s discard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또한, 상기 과정을 거친 다습한 공기는 건조덕트(5)로 진입하여 송풍팬(51)과 히터(53)를 거치면서 고온으로 가열된 뒤 상기 터브(2)를 거쳐 드럼(3) 내부로 다시 진입하게 되면서 드럼(3)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humid air passed through the process enters the drying duct (5) and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blowing fan (51) and the heater (53), and then through the tub (2) again into the drum (3). As it enters, the laundry inside the drum 3 is dried.

상술한 과정을 통해 건조행정을 진행하는 세탁장치는 터브열교환핀(21)과 덕트열교환핀(41)을 통해 응축수에 의한 제습과정 이전에 저온 상태인 터브(2)와 응축덕트(4)에서 일차적인 제습 및 이차적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응축수의 사용량을 줄이고, 건조행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ashing apparatus that proceeds the drying administra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primarily in the tub (2) and the condensation duct (4) in the low temperature state before the dehumidification process by the condensate through the tub heat exchange fin 21 and the duct heat exchange fin 41 Phosphorus dehumidification and secondary dehumidification is carried out to reduce the use of condensat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drying administration.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compon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 세탁장치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the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세탁장치의 배면도이다.2 is a rear view of the laundry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세탁장치:100 캐비닛:1 전면패널:11 Laundry unit: 100 Cabinet: 1 Front panel: 11

사이드패널:13 배면패널: 15 유입구: 17 Side panel: 13 Back panel: 15 Inlet: 17

유출구: 19 터브: 2 터브열교환핀: 21 Outlet: 19 Tub: 2 Tub Heat Exchange Fin: 21

드럼: 3 응축덕트: 4 덕트열교환핀: 41 Drum: 3 Condensation duct: 4 Duct heat exchange fins: 41

응축수유입구: 43 응축수유출구: 45 건조덕트: 5 Condensate inlet: 43 Condensate outlet: 45 Drying duct: 5

송풍팬: 51 히터: 53 응축수공급부: 6 Blower fan: 51 Heater: 53 Condensate Supply part: 6

냉각팬: 7Cooling fan: 7

Claims (7)

캐비닛:cabinet: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store washing water;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A drum provided to be rotatable inside the tub; 상기 드럼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덕트;A condensation duct for condens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상기 응축덕트에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공급부;A condensed water supply unit supplying condensed water to the condensation duct;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터브와 응축덕트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세탁장치. And a cooling fan circulating air in the cabinet to cool the tub and the condensation du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터브는 상기 냉각팬에 의한 냉각을 용이하게 하는 터브열교환핀을 포함하는 세탁장치.The tub includes a tub heat exchange fin to facilitate cooling by the cooling fa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터브열교환핀은 상기 터브의 배면에 구비되는 세탁장치.The tub heat exchange pin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tub washing machin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응축덕트는 상기 냉각팬에 의한 냉각을 용이하게 하는 덕트열교환핀을 포함하는 세탁장치.The condensation duct includes a washing apparatus including a duct heat exchange fin to facilitate the cooling by the cooling fa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덕트열교환핀은 상기 응축덕트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터브의 배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세탁장치.The duct heat exchange fin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densation duct, washing apparatus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surface of the tub.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냉각팬은 상기 캐비닛의 배면패널에 연결되는 사이드패널의 일측에 구비되는 세탁장치. The cooling fa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de panel connected to the rear panel of the cabinet.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상기 냉각팬은 상기 터브의 배면과 인접하는 상기 캐비닛의 배면패널에 구비되는 세탁장치.The cooling fan is provided in the back panel of the cabinet adjacent to the back of the tub.
KR1020090001809A 2009-01-09 2009-01-09 A Washing Machine KR101033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809A KR101033597B1 (en) 2009-01-09 2009-01-09 A Washing Machine
CN2009102067522A CN101736550B (en) 2009-01-09 2009-10-19 Was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809A KR101033597B1 (en) 2009-01-09 2009-01-09 A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482A true KR20100082482A (en) 2010-07-19
KR101033597B1 KR101033597B1 (en) 2011-05-11

Family

ID=4246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809A KR101033597B1 (en) 2009-01-09 2009-01-09 A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33597B1 (en)
CN (1) CN101736550B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7524B2 (en) * 2001-06-05 2010-04-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0657474B1 (en) * 2004-09-03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with dryer
KR100601433B1 (en) * 2004-07-09 2006-07-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Laundry drying device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640787B1 (en) 2005-11-04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device combining washing machine having thermoelectric module-type condensing device
KR100640819B1 (en) 2005-11-04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dryer having thermoelectric module-type condenser
KR101467760B1 (en) * 2008-02-27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597B1 (en) 2011-05-11
CN101736550A (en) 2010-06-16
CN101736550B (en)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491B1 (en) Drying apparatus and washing and 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2275595B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6966124B2 (en) Drum washing machine
KR102127383B1 (en) Laundry Machine
JP3574423B2 (en) Pulsator-type drying washing machine
US8209881B2 (en) Condensation type dryer
JP2004135715A (en) Laundry washer/dryer
US20180094379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301489B1 (en) Clothing Dryer
JP4023418B2 (en) Drum type washer / dryer
KR101033597B1 (en) A Washing Machine
JP4682799B2 (en) Drum type washer / dryer
KR20120073582A (en) Condensation type drying apparatus
EP1849911A1 (en) Condensing unit for washer/dryer
KR20150124353A (en) Clothes dryer
EP1852535B1 (en) Washer/dryer with secondary condensing unit
KR100382505B1 (en) Dehumidifier for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KR20100053945A (en) A washing machine having an air-cooled duct
JP2006136447A (en) Drum type washer-dryer
KR101840795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0648171B1 (en) Dehumidifier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200256005A1 (en) Dryer
KR100413445B1 (en)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KR20020064557A (en)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KR100413451B1 (en)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