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289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289A
KR20100082289A KR1020090030997A KR20090030997A KR20100082289A KR 20100082289 A KR20100082289 A KR 20100082289A KR 1020090030997 A KR1020090030997 A KR 1020090030997A KR 20090030997 A KR20090030997 A KR 20090030997A KR 20100082289 A KR20100082289 A KR 20100082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type
control signal
uplink control
ofdm symb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0717B1 (ko
Inventor
천진영
박성호
임빈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143,723 priority Critical patent/US8498263B2/en
Priority to PCT/KR2009/006914 priority patent/WO2010079890A2/ko
Publication of KR2010008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8Feedback reduction
    • H04B7/066Combined feedback for a number of channels, e.g. over several subcarriers like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은 제어신호의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서브프레임의 유형은 기본적인 개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1 서브프레임, 상기 유형-1 서브프레임보다 많은 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 및 상기 유형-1 서브프레임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3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따라 정해지는 구조의 제어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은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과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1999년부터 표준화가 진행되어 2001년 IEEE 802.16-2001이 승인되었다. 이는 'WirelssMAN-SC'라는 단일 반송파(single carrier) 물리계층에 기반한다. 이후 2003년에 승인된 IEEE 802.16a 표준에서는 물리계층에 'WirelssMAN-SC' 외에'WirelssMAN-OFDM'과 'WirelssMAN-OFDMA'가 더 추가되었다. IEEE 802.16a 표준이 완료된 후 개정된(revised) IEEE 802.16-2004 표준이 2004년 승인되었다. IEEE 802.16-2004 표준의 결함(bug)과 오류(error)를 수정하기 위해 'corrigendum'이라는 형식으로 IEEE 802.16-2004/Cor1(이하, IEEE 802.16e)이 2005년에 완료되었다.
현재, IEEE 802.16e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술 표준 규격인 IEEE 802.16m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새로이 개발되는 기술 표준 규격인 IEEE 802.16m은 앞서 설계된 IEEE 802.16e를 함께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즉, 새로이 설계되는 시스템의 기술(IEEE 802.16m)은 기존 기술(IEEE 802.16e)을 효율적으로 포괄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역지원성(backward compatibility)이라 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전송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전송을 의미한다. IEEE 802.16e 시스템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반면, IEEE 802.16m 시스템에서는 TDD 방식뿐만 아니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주파수적으로 구분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도 도입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IEEE 802.16m 시스템의 프레임을 설계함에 있어서, 전송률 향상을 위하여 대역폭의 확장, CP(cyclic prefix) 크기의 축소, 프레임을 다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분한 서브프레임 단위의 전송 등이 고려되고 있다. 또한, IEEE 802.16m 시스템에서 역지원성을 지원하는 경우와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따라 다른 구조의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프레임에 있어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적응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적응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은 제어신호의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서브프레임의 유형은 기본적인 개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1 서브프레임, 상기 유형-1 서브프레임보다 많은 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 및 상기 유형-1 서브프레임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3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따라 정해지는 구조의 제어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은 시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 및 주파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미니타일을 복수개 포함하는 제어채널에 제어신호를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니타일은 서브프레임의 범위 내에서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은 참조 서브프레임보다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더 포함하거나 적게 포함하고, 상기 더 포함된 OFDM 심볼에는 널(null) 또는 상기 제어신호의 시퀀스가 반복되어 맵핑되고, 상 기 적게 포함되는 OFDM 심볼에 대하여 상기 제어신호의 시퀀스 또는 파일럿이 생략되어 맵핑된다.
다양한 구성의 프레임을 통하여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적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e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전송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전송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다.
도 2는 단말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50)은 프로세서(processor, 51), 메모리(memory, 52), RF부(RF unit, 53),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5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 5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1)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 콜의 계층들을 구현하여,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각 계층들의 기능은 프로세서(51)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송수신되는 데이터 및/또는 제어신호를 처리한다.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와 연결되어, 단말 구동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일반적인 파일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54)는 단말의 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5)는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등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F부(53)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radio signal)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 계층), L2(제2 계층), L3(제3 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3 계층에 위치하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도 3은 프레임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슈퍼프레임(Superframe, SU)은 슈퍼프레임 헤 더(Superframe Header)와 4개의 프레임(frame, F0, F1, F2, F3)을 포함한다. 각 슈퍼프레임의 크기는 20ms이고, 각 프레임의 크기는 5ms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슈퍼프레임 헤더는 슈퍼프레임의 가장 앞서 배치될 수 있으며, 공용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이 할당된다. 공용 제어채널은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에 대한 정보 또는 시스템 정보와 같이 셀 내의 모든 단말들이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채널이다.
하나의 프레임은 다수의 서브프레임(Subframe, SF0, SF1, SF2, SF3, SF4, SF5, SF6, SF7)을 포함한다. 각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5, 6, 7 또는 8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프레임에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TDD 방식에서, 각 서브프레임이 동일한 주파수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즉, TDD 방식의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들은 시간영역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분된다. FDD 방식에서, 각 서브프레임이 동일한 시간의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즉, FDD 방식의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분된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고,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는 패스트 피드백 채널(Fast Feedback Channel), 대역폭 요청 채널(Bandwidth Request Channel), HARQ 피드백 채널(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Channel)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패스트 피드백 채널은 일반적인 상향링크 데이터보다 신속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채널이다. 대역폭 요청 채널은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자원을 요청하는 채널이다. HARQ 피드백 채널은 데이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이다. 패스트 피드백 채널, 대역폭 요청 채널, HARQ 피드백 채널 등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프레임의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구획(Frequency Partition)을 포함한다. 주파수 구획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자원유닛(Physical Resource Unit, PRU)으로 구성된다. 주파수 구획은 국부적(Localized) PRU 및/또는 분산적(Distributed) PRU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구획은 부분적 주파수 재사용(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 또는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MBS)와 같은 다른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PRU는 복수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과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자원할당을 위한 기본적인 물리적 유닛으로 정의된다. PRU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6 OFDM 심볼로 구성될 때, PRU는 18 부반송파 및 6 OFDM 심볼로 정의될 수 있다. 논리적 자원유닛(Logical Resource Unit, LRU)은 분 산적(distributed) 자원할당 및 국부적(localized) 자원할당을 위한 기본적인 논리 단위이다. LRU는 복수개의 OFDM 심볼과 복수개의 부반송파로 정의되고, PRU에서 사용되는 파일럿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LRU에서의 적절한 부반송파의 개수는 할당된 파일럿의 수에 의존한다.
논리적 분산 자원유닛(Logical Distributed Resource Unit, DRU)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DRU는 하나의 주파수 구획 내에 분산된 부반송파 그룹을 포함한다. DRU의 크기는 PRU의 크기와 같다. DRU를 형성하는 최소 단위는 하나의 부반송파이다.
논리적 국부 자원유닛(Logical Contiguous Resource Unit, CRU)은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이득을 얻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CRU는 국부적 부반송파 그룹을 포함한다. CRU의 크기는 PRU의 크기와 같다.
이제,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향링크 제어채널에는 패스트 피드백 채널, 대역폭 요청 채널, HARQ 피드백 채널 등이 포함된다. 서브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할당단위를 포함한다. 할당단위는 DRU에 대응될 수 있다. 할당단위는 복수의 타일(tile)을 포함하고, 타일은 복수의 미니타일(mini tile)을 포함한다. 미니타일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자원 할당의 최소단위를 의미한다. 미니타일의 크기는 제어신호의 종류, 서브프레임의 유형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 유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의 유형은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에 따라 기 본적인 개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1 서브프레임(type-1 subframe), 유형-1 서브프레임보다 많은 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type-2 subframe) 및 유형-1 서브프레임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3 서브프레임(type-3 subframe)으로 분류될 수 있다. 유형-1 서브프레임은 다른 유형의 서브프레임의 기준이 되는 참조 서브프레임(reference subframe) 또는 일반적인 서브프레임(general subframe)이라 할 수 있다. 유형-1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DRU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는 유형-1 서브프레임이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유형-2 서브프레임은 7개 또는 9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유형-3 서브프레임은 5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고 하자.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따라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제한이 아니다.
상향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영역(UL region)이 유형-1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 수의 배수인 경우에는 유형-1 서브프레임만으로 상향링크 영역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향링크 영역이 유형-1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 수의 배수가 아닌 경우에는 유형-1 서브프레임만으로 상향링크 영역이 구성될 수 없으며, 유형-2 서브프레임 또는 유형-3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영역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영역이 15 OFDM 심볼을 포함한다고 하자. 상향링크 영역은 2개의 유형-1 서브프레임과 3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짧은 서브프레임(short subfra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짧은 서브프레임은 유형-1 서브프레임보다 적은 수 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의미하며, 유형-1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 수의 1/2 또는 1/3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영역은 2개의 유형-2 서브프레임 및 하나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영역은 3개의 유형-3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영역은 6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1 서브프레임 및 9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영역은 하나의 유형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거나 다수 유형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향링크 영역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수, 서브프레임의 유형,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서브프레임의 유형(유형-1, 유형-2, 유형-3)에 따라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일의 구성 및 타일을 구성하는 미니타일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상향링크 영역 또는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방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유형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한다(S110). 서브프레임 유형 정보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유형 정보는 통신을 위한 필수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유형 정보는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유형의 변경에 대한 정보가 주기적 또는 사건발생적으로 전송될 수 있 다. 또는 서브프레임 유형 정보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대역폭을 요청하는 단말에게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S120). 상향링크 제어신호에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대역폭 요청 신호, ACK/NACK 신호,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formation) 등이 있다.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따라 정해지는 구조의 타일에 포함되는 미니타일에 상향링크 제어신호가 맵핑된다.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따른 타일 및 미니타일에 제어신호를 맵핑하는 방법은 후술한다.
단말은 생성된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S130).
<6 OFDM 심볼을 기본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
도 6은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일예를 나타낸다. 6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1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형-1 서브프레임에서 할당단위는 연속하는 6개의 부반송파 및 6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이하, 부반송파의 수 × OFDM 심볼의 수 = 6×6 으로 나타낸다) 타일 3개로 구성된다. 기존 시스템의 타일 구조인 4×3 타일을 지원하는 경우, 할당단위는 4×6 타일 6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할당단위에는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폭 요청 채널로 6×6 타일 3개가 할당되거나 4×6 타일 3개가 할당될 수 있다. 패스트 피드백 채널로 2×6 미니타일 3개가 할당될 수 있다. HARQ 피드백 채널로 2×2 미니타일 3개가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는 6×6 타일 중에서 2×6 미니타일 3개가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할당되는 예를 나타낸다. 3개의 타일은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될 수 있고,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할당되는 3개의 미니타일은 서로 다른 타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할당되는 3개의 미니타일은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S0,...,S11)는 3개의 미니타일에 맵핑된다.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는 미니타일마다 서로 다른 순서로 맵핑될 수 있다. 각 미니타일에는 파일럿(pilot)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논-코히런트 검출(non-coherent detection) 방식으로 상향링크 제어신호가 검출될 수 있다.
도 7은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6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1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7을 참조하면, 6×6 타일 중에서 2×2 미니타일 3개가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할당될 수 있다. 3개의 미니타일은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될 수 있다. 각 미니타일에는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가 맵핑되거나 하나의 심볼이 맵핑될 수 있다. 각 미니타일에는 파일럿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논-코히런트 검출 방식으로 상향링크 제어신호가 검출될 수 있다.
도 8은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6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1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과 비교하여 코히런트 검출(coherent detection)을 위 한 파일럿이 할당되는 일예이다. 2번째 OFDM 심볼 및 5번째 OFDM 심볼에 파일럿이 할당된다. 즉, 2×6 미니타일마다 4개의 파일럿이 할당된다. 파일럿이 할당된 OFDM 심볼을 제외한 OFDM 심볼에 상향링크 제어신호가 맵핑된다. 상향링크 제어신호는 코히런트 검출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도 9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6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1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6과 비교하여 코히런트 검출(coherent detection)을 위한 파일럿이 할당되는 다른 예이다. 각 2×6 미니타일마다 서로 다른 OFDM 심볼에 파일럿이 할당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부반송파에 하나의 파일럿이 할당된다. 즉, 2×6 미니타일마다 2개의 파일럿이 할당된다. 도 8과 비교하여 파일럿의 수가 줄어드는 반면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파일럿이 고르게 분산된다.
도 10은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6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1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6×6 타일 중에서 2×2 미니타일 3개가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할당되고, 각 미니타일에 파일럿이 할당된다. 파일럿은 각 미니타일이 하나의 OFDM 심볼에 할당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파일럿의 배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3개의 미니타일은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될 수 있다. 여기서는 각 미니타일에 하나의 심볼(S)이 맵핑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각 미니타일에는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가 맵핑될 수도 있다. 상향링크 제어신호는 파일럿을 이용한 코히런트 검출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5 OFDM 심볼을 기본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
상향링크 영역이 유형-1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 수의 배수가 아닌 경우에는 유형-1 서브프레임만으로 상향링크 영역이 구성될 수 없고, 유형-2 서브프레임 또는 유형-3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영역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5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3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형-1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 제어신호가 맵핑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형-3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 제어신호가 맵핑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5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3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형-3 서브프레임은 5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타일은 6×5 구조이다. 유형-3 서브프레임은 유형-1 서브프레임과 비교하여 OFDM 심볼의 수가 하나 적으므로,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는 일부 비트가 펑처링(puncturing)되어 유형-3 서브프레임에 맵핑된다.
예를 들어, 유형-1 서브프레임에서 3개의 상향링크 제어신호 S(S0,S1,S2,S3), A(A0,A1,A2,A3), D(D0,D1,D2,D3)가 각각 2×2 미니타일 3개에 분산되어 맵핑된다고 하자. 유형-3 서브프레임에서는 각 제어신호의 인접한 2×2 미니타일로 이루어지는 미니타일 그룹에서 하나의 OFDM 심볼에 해당하는 상향링크 제어신호 시퀀스의 2 비트가 펑처링되어 맵핑된다. 유형-1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미니타일 그룹에서는 S3 및 A0이 펑처링되고, 두 번째 미니타일 그룹에서는 D3 및 S0이 펑처링되며, 세 번째 미니타일 그룹에서는 A3 및 D0이 펑처링된다. 제어신호의 시퀀스 중에서 펑처링되는 비트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며, 할당되는 미니타일의 구조에 따라 펑처링되는 비트수가 달라질 수 있다. 각 제어신호의 시퀀스마다 동일한 수의 비트를 펑처링할 수도 있으나, 제어신호의 중요성이나 시퀀스 길이에 따라 제어신호마다 다르게 펑처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길이의 시퀀스를 이용하는 제어신호가 미니타일 그룹을 이룰 때에는 동일한 수의 비트가 펑처링되고, 다른 제어신호에 비하여 길이가 긴 시퀀스를 이용하는 제어신호가 미니타일 그룹을 이룰 때에는 제어신호마다 펑처링되는 비트수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유형-3 서브프레임에서는 유형-1 서브프레임에서 적용되는 코드율(coding rate)에 비해 높은 코드율을 적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신호에 대하여 5 OFDM 심볼 구조에 적절한 코드율을 별도로 마련하여야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5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3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에 파일럿이 포함되는 경우, 유형-1 서브프레임에서 파일럿의 수를 줄이고 유형-1 서브프레임에 맵핑되는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를 유형-3 서브프레임에 맵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형-1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제어신호 S(S0,S1,S2,S3,S4,S5,S6,S7)가 2×6 미니타일 3개에 맵핑된다고 하자. 이때, 두 번째 및 다섯 번째 OFDM 심볼에 파일럿이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에 상향링크 제어신호가 맵핑된다.
유형-3 서브프레임에서는 세 번째 OFDM 심볼에 파일럿이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에 상향링크 제어신호가 맵핑된다. 즉, 유형-1 서브프레임에서 하나의 OFDM 심볼의 파일럿을 줄여 유형-3 서브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파일럿의 수가 줄어들므로 채널추정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고속으로 이동하는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채널추정이 용이하므로 파일럿을 줄인 유형-3 서브프레임을 통하여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으로 이동하는 사용자가 제1 패스트 피드백 채널(primary fast feedback channel)을 이용할 때, 제2 패스트 피드백 채널은 고속으로 이동하지 않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으므로, 파일럿을 줄인 유형-3 서브프레임이 제2 패스트 피드백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신호의 시퀀스는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 우선으로 맵핑될 수 있으며, 제어신호의 시퀀스가 맵핑되는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유형-3 서브프레임에서 파일럿은 임의의 하나의 OFDM 심볼에 배치되거나 시간 영역에서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5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3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와 비교하여 유형-3 서브프레임에서 파일럿이 시간 영역에서 분산되어 배치되는 경우이다. 파일럿이 배치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5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3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HARQ 피드백 채널과 같이 작은 크기 미니타일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경우에는 6×5 타일에서 1×2 미니타일 및 1×3 미니타일이 이용될 수 있다. 파일럿은 각 미니타일에 하나씩 할당될 수 있으며, 나머지 OFDM 심볼에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 또는 심볼이 맵핑된다. 파일럿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1×2 미니타일 및 1×3 미니타일은 시간 영역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5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3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와 비교하여 파일럿이 할당되지 않는 경우이다. 도 14의 경우에는 파일럿을 이용한 코히런트 방식으로 제어신호가 검출될 수 있으며, 도 15의 경우에는 논-코히런트 방식으로 제어신호가 검출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5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3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6×5 타일에서 2×2 미니타일 및 2×3 미니타일이 이용될 수 있다. 각 미니타일마다 하나의 OFDM 심볼에 파일럿이 할당될 수 있으며, 나머지 OFDM 심볼에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 또는 심볼이 맵핑된다. 파일럿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2×2 미니타일 및 2×3 미니타일은 시간 영역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과 비교하여 각 미니타일에서 파일럿이 하나의 OFDM 심볼에 맵핑되지 않고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어 맵핑되는 경우이다. 파일럿의 개수 및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6 및 17과 비교하여 파일럿이 할당되지 않는 경우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5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3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6×5 타일에서 2×2 미니타일 2개 및 2×1 미니타일이 이용될 수 있다. 각 미니타일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이 할당될 수 있으며, 나머지 자원요소에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 또는 심볼이 맵핑된다. 파일럿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는 파일럿이 각 미니타일의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부반송파에 맵핑된다. 2×2 미니타일 및 2×1 미니타일은 시간 영역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19와 비교하여 파일럿이 2×2 미니타일의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OFDM 심볼에 맵핑되는 경우이다. 2×1 미니타일에서는 파일럿이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부반송파에 맵핑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 19 및 20과 비교하여 파일럿이 할당되지 않는 경우이 다.
<3 OFDM 심볼을 기본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
상향링크 영역이 15 OFDM 심볼을 포함할 때, 상향링크 영역은 2개의 유형-1 서브프레임과 3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짧은 서브프레임(short subfra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짧은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제어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2개의 유형-1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또는 다른 상향링크 제어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3 OFDM 심볼을 기본 단위로 하여 상향링크 제어신호가 맵핑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3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짧은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유형-1 서브프레임에서 2×6 미니타일 3개를 이용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짧은 서브프레임에서 4×3 미니타일 3개를 이용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짧은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미니타일은 유형-1 서브프레임에서 3 OFDM 심볼을 초과하는 부분이 줄어들고 줄어든 자원요소만큼 주파수 영역으로 확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유형-1 서브프레임에서 3 OFDM 심볼을 초과하는 부분에 맵핑되는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 또는 심볼은 짧은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확장되는 부분에 맵핑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가 짧은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맵핑되는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3을 참조하면, 도 22와 비교하여 하나의 OFDM 심볼에 파일럿이 할당되는 경우이다. 파일럿의 위치 및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일럿은 각 미니타일의 모서리 부분에 할당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3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짧은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유형-1 서브프레임에서 2×6 미니타일 3개를 이용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짧은 서브프레임에서 2×3 미니타일 6개를 이용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유형-1 서브프레임의 2×6 미니타일에서 3 OFDM 심볼을 초과하는 부분이 짧은 서브프레임의 시간 영역 내에서 2×3 미니타일로 추가되어 짧은 서브프레임에서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각 미니타일에는 파일럿이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는 두 번째 OFDM 심볼에 파일럿이 할당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파일럿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논-코히런트 검출 방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파일럿이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가 짧은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에 맵핑되는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복수의 짧은 서브프레임이 시간 영역에서 연속하는 경우에는 3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짧은 서브프레임 2개를 이용하여 유형-1 서브프레임에서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구성할 수도 있다.
<7 OFDM 심볼 또는 9 OFDM 심볼을 기본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7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7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의 타일은 6×7 구조를 가진다. 이때, 유형-2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유형-1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고, 나머지 하나의 OFDM 심볼에는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가 반복되어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형-2 서브프레임의 타일에서 2×7 미니타일 3개가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신호 S(S0,...,S11)는 6 OFDM 심볼에 맵핑되고 나머지 하나의 OFDM 심볼에는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 일부가 반복되어 맵핑된다. 여기서는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의 처음 2 심볼(S0, S1)이 반복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제한이 아니며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의 임의의 부분이 나머지 OFDM 심볼에 반복되어 맵핑될 수 있다. 유형-2 서브프레임에서도 유형-1 서브프레임에서의 상향링크 제어채널 구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7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7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유형-1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그대로 이용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널(null)이 맵핑되어 구성될 수 있다. 널이 맵핑되는 OFDM 심볼은 TDD 방식의 프레임 구조에서 상향링크 영역 및 하향링크 영역의 갭(gap)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널이 맵핑되는 OFDM 심볼은 사운딩 채널(sounding channel)로 활용될 수 있다. 사운딩 채널은 상향링크 채널의 채널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가 실리는 채널이다.
이와 같이, 유형-2 서브프레임에서 유형-1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제어채널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널 또는 사운딩 채널로 활용하므로, 유형-2 서브프레임을 위한 별도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설계할 필요가 없으며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복잡도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9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9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대역폭 8.75MHz인 경우 유형-2 서브프레임에 9 OFDM 심볼이 포함될 수 있다. 9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의 타일은 6×9 구조를 가진다. 이때, 유형-2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유형-1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고, 나머지 3 OFDM 심볼에는 유형-1 서브프레임의 처음 3개의 OFDM 심볼 또는 마지막 3개의 OFDM 심볼이 반복될 수 있다. 반복되는 OFDM 심볼은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 일부가 나머지 3 OFDM 심볼에 반복하여 맵핑된다. 유형-2 서브프레임에서 나머지 OFDM 심볼에 반복되는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 부분은 제한되지 않으며,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의 임의의 부분이 나머지 OFDM 심볼에 반복되어 맵핑될 수 있다. 9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에서, 이용되는 유형-1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파일럿은 나머지 3 OFDM 심볼에서도 반복하여 맵핑될 수 있다. 단말은 유형-2 서브프레 임에 포함된 파일럿을 이용하여 코히런트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나머지 3 OFDM 심볼에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 및 파일럿이 반복되지 않고 널(null)이 맵핑될 수도 있다. 널이 맵핑된 나머지 OFDM 심볼은 상향링크 영역과 하향링크 영역 간의 갭으로 활용되거나 사운딩 채널로 할용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8을 참조하면, 도 27과 비교하여 파일럿이 할당되지 않는 경우이다. 단말은 논-코히런트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9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유형-1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고, 나머지 3 OFDM 심볼에는 유형-1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3개의 OFDM 심볼이 반복될 수 있다.
도 29 및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9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다.
도 29 및 30을 참조하면, 9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유형-1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고, 나머지 3 OFDM 심볼에서는 하나의 OFDM 심볼에 널(null)이 맵핑되고 다른 2개의 OFDM 심볼에 유형-1 서브프레임의 임의의 2개의 OFDM 심볼이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ARQ 피드백 채널과 같이 2×2 미니타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형-1 서브프레임의 6 OFDM 심볼 중에서 처음 2 OFDM 심볼 또는 중간의 2 OFDM 심볼 또는 마지막 2 OFDM 심볼이 나머지 OFDM 심볼에 반복되고 하나의 OFDM 심볼에 널이 맵핑될 수 있다. HARQ 피드백 신호 S(S0,S1,S2,S3), A(A0,A1,A2,A3), D(D0,D1,D2,D3)는 2×9 미니타일 3개에 서로 겹치지 않게 분산되어 맵핑되고, 2×9 미니타일에서 2×2 구조의 HARQ 피드백 신호가 나머지 OFDM 심볼에 반복하여 맵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형-1 서브프레임을 초과하는 수 N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유형-1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고 나머지 N-6개의 OFDM 심볼에 널이 맵핑되거나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시퀀스의 일부가 반복되어 맵핑될 수 있다(N>6인 정수).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단말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프레임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 유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신호의 전송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나타낸다.

Claims (8)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에 있어서,
    제어신호의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서브프레임의 유형은 기본적인 개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1 서브프레임, 상기 유형-1 서브프레임보다 많은 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2 서브프레임 및 상기 유형-1 서브프레임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유형-3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인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따라 정해지는 구조의 제어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유형이 상기 유형-2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기 유형-1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고 나머지 OFDM 심볼에 널(null) 또는 상기 제어신호의 시퀀스(sequency)의 일부를 맵핑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널이 맵핑되는 OFDM 심볼에 채널상태 측정을 위한 사운딩 신호(sounding signal)를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유형이 상기 유형-3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의 시퀀스의 일부가 펑처링(puncturing)되어 상기 유형-3 서브프레임에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3 서브프레임은 상기 유형-1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파일럿(pilot)의 수에 비하여 OFDM 심볼 수의 차이에 해당하는 적은 수의 파일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7. 시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 및 주파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미니타일을 복수개 포함하는 제어채널에 제어신호를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니타일은 서브프레임의 범위 내에서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은 참조 서브프레임보다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더 포함하거나 적게 포함하고, 상기 더 포함된 OFDM 심볼에는 널(null) 또는 상기 제어신호의 시퀀스가 반복되어 맵핑되고, 상기 적게 포함되는 OFDM 심볼에 대하여 상기 제어신호의 시퀀스 또는 파일럿이 생략되어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논리적 분산 자원유닛(Logical Distributed Resource Unit, DRU)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KR1020090030997A 2009-01-08 2009-04-0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KR101530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43,723 US8498263B2 (en) 2009-01-08 2009-11-24 Method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9/006914 WO2010079890A2 (ko) 2009-01-08 2009-11-2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39809P 2009-01-08 2009-01-08
US61/143,398 2009-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289A true KR20100082289A (ko) 2010-07-16
KR101530717B1 KR101530717B1 (ko) 2015-06-23

Family

ID=4264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997A KR101530717B1 (ko) 2009-01-08 2009-04-0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98263B2 (ko)
KR (1) KR101530717B1 (ko)
WO (1) WO201007989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705B1 (ko) * 2011-07-24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비트 맵핑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4384B2 (en) * 2009-12-14 2014-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757299B1 (ko) * 2010-03-26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US8576719B2 (en) * 2011-01-06 2013-11-05 Clearwire Ip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balancing a maximum number of active remote device users between base stations
US20150036558A1 (en) * 2012-02-17 2015-02-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of user equipment (ue) configured to perform d2d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830383B (zh) 2014-03-13 2020-01-10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低延迟信号的方法及其装置
RU2682916C1 (ru) * 2015-09-24 2019-03-22 Хуаве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US11831584B2 (en) * 2015-12-15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indicating a dynamic subframe type
WO2017150942A1 (ko) 2016-03-03 2017-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716036B2 (en) * 2018-02-16 2020-07-14 Nokia Technologies Oy Transmission of signaling indication for intra-UE punctured uplink transmiss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558A (ko) 2006-04-26 2007-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반 셀룰러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공통제어채널의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한방법 및 장치
US8451915B2 (en) * 2007-03-21 2013-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fficient uplink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68490B1 (ko) * 2007-05-02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들의 집합을 한정하여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BRPI0909301A2 (pt) * 2008-03-10 2017-09-19 Nortel Networks Ltd Métodos para sinalização de controle para sistemas sem fio
WO2010066280A1 (en) * 2008-12-08 2010-06-17 Nokia Siemens Networks Oy Uplink control signaling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8768257B2 (en) * 2008-12-09 2014-07-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blank zone by macro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705B1 (ko) * 2011-07-24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비트 맵핑 방법 및 장치
US9407408B2 (en) 2011-07-24 2016-08-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it mapping for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4081A1 (en) 2011-11-10
KR101530717B1 (ko) 2015-06-23
WO2010079890A3 (ko) 2010-08-26
US8498263B2 (en) 2013-07-30
WO2010079890A2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71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KR10123078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KR10104892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JP6034485B2 (ja) Harqをサポートする、ワイヤレス通信方法、ユーザ装置および基地局
KR101449031B1 (ko) 미드앰블의 전송방법
WO2009096757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qi 전송 방법
KR2009005906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KR20180034539A (ko)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방법과 수신 방법, 및 관련 장치
US83912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37915A1 (en) Message sending method and device
KR1016878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US8494067B2 (en) Pilot transmiss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9366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6912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50717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예비하는 방법
EP3619997B1 (en) Physical control channel structure
RU2460228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WO2011099779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66331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JP6280972B2 (ja) Harqをサポートする、ワイヤレス通信方法、ユーザ装置および基地局
KR2010008190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시그널링 방법
JP535654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制御信号送信方法及び装置
KR10166781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구성 방법
JP2018085763A (ja) Harqをサポートする、ワイヤレス通信方法、ユーザ装置および基地局
KR2010000404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