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989A - 운동 기구용 컴비네이션 앵커 - Google Patents

운동 기구용 컴비네이션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989A
KR20100081989A KR1020107008215A KR20107008215A KR20100081989A KR 20100081989 A KR20100081989 A KR 20100081989A KR 1020107008215 A KR1020107008215 A KR 1020107008215A KR 20107008215 A KR20107008215 A KR 20107008215A KR 20100081989 A KR20100081989 A KR 2010008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trap
loop
grip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랜달 헤트릭
Original Assignee
피트니스 애니웨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트니스 애니웨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트니스 애니웨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8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18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 A63B21/1663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for anchoring between a door and the door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 A63B21/002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for isometric exercising,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운동기구를 구조물에 연결하는 장치가 기술된다. 상기 장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부착 장치들, 예컨대 도어 앵커와 링을 포함한다. 도어 앵커는 닫힌 문에 의해 지지가능하다. 링은 장치 상에서 뒤로 돌아가 지지 구조물을 둘러쌀 수 있는 루프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링은 벽에 부착된 아이 볼트를 통해 지지되는 것과 같이 구조물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 기구용 컴비네이션 앵커{COMBINATION ANCHOR FOR AN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동기구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운동 기구의 예로서, 저항 운동 기구(resistance exercise device)는 사용자의 팔, 다리 또는 몸통의 이동에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러한 기구는 하나의 근육이 다른 근육에 대해 운동함으로써, 또는 사용자의 체중에 대해 운동함으로써, 사용자의 팔, 다리 또는 몸통의 이동에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저항 운동 기구는 구조물에 고정된다. 다른 기구는 특정 타입의 구조물, 예컨대 문과 문설주 사이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용 앵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앵커는 사용하기에 용이해야 하며 사용자에게 다양한 장소 중 어느 하나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용 앵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다양한 구조물들에 장착가능한 운동기구용 앵커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는 한 타입 이상의 고정 장치 및 운동기구에 연결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앵커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구조물로부터 운동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앵커가 제공된다. 상기 앵커는 운동기구에 연결가능한 부분, 도어 앵커를 포함하는 제 1 앵커, 및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 2 앵커를 포함한다. 제 1 앵커 또는 제 2 앵커는 구조물에 연결가능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구조물로부터 운동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앵커가 제공된다. 앵커는 운동기구를 지지하도록 구성가능한 제 1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앵커 루프를 포함하는 연성 재질, 도어 앵커를 포함하는 제 1 앵커, 및 제 2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 2 앵커를 포함한다. 제 1 앵커 또는 제 2 앵커는 구조물에 연결가능하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운동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앵커가 제공된다. 앵커는 각각이 구조물에 부착가능한 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 중 제 1 부분은 닫힌 문의 문과 문설주 사이에 부착가능하다.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다양한 부수적인 제공 및 특징들과 함께하는 이러한 특징들은 본 발명의 운동기구에 의해 달성되고, 그 실시예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오직 예시적으로만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용 앵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도어와 문설주 사이에 걸린 운동 기구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도어와 문설주 사이에 걸린 운동 기구를 보여주는 도 1의 2-2를 따르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운동 실시예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하이 로우 운동을 수행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운동 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운동 기구의 걸림부(anchor portion)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5B-5B를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두 개의 연장 메카니즘과 두 개의 핸드 그립을 가지는, 도 4에 보여지는 실시예에 따른 연장 부재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과 연장 메카니즘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핸드 그립을 보여주는 도 7의 8-8을 따르는 단면도;
도 9A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슬랙 슬리브의 세부 사향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B는 캠 버클과 캠 버클에 슬랙 슬리브가 결합된 모습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 9A의 9B-9B를 따르는 단면도;
도 10은 하나의 연장 메카니즘과 두 개의 핑거 그립을 가지는 연장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핑거 그립 실시예에 11-11를 따르는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운동 기구의 사용을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도 12A는 최초 상태, 도 12B는 연장 부재의 연장 모습을 보여주고, 도 12E 및 12F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며, 도 12C는 연장 부재의 짧은 쪽 레그에의 힘 작용을 보여주고, 도 12D는 운동 과정에서 그립에 힘을 작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A 내지 도 13C는 서로 다른 암 길이를 가지는 운동기구의 사용을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도 13A는 최초 상태, 도 13B는 한 쌍의 레그 중 어느 하나에 힘을 작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C는 운동 중에 그립에 힘을 작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A는 운동 기구를 기둥 또는 난간에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앵커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14B는 도 14A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기둥에 걸리는 운동 기구;
도 15A 내지 도 15I는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운동 기구의 일실시예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5A는 리버스 컴비네이션 크런치, 도 15B는 싱글 레그 L-스쿼트, 도 15C는 짐네스트 딥, 도 15D는 닐링 컴비네이션 크런치, 도 15E는 라잉 레그 컬, 도 15F는 힙 리프트, 도 15G는 프런트 숄더 레이즈, 도 15H는 크런치, 도 15I는 트라이셉 익스텐션;
도 16A 및 도 16B는 한 손을 이용하여 운동하기 위한 운동 기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6A는 한손 운동을 위해서 핸들을 연동하는 것을 보여주고, 도 16B는 한손 하이로우 운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운동 기구의 사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A 및 도 17B는 운동 기구의 그립에 부착되는 발 파지 부속품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7A는 사용자의 발가락에 의하여 파지되는 발 파지 부속품을 설명하고, 도 17B는 운동 기구의 한 쌍의 그립 각각에 제공되고 사용자의 뒤꿈치에 걸리는 한 쌍의 발 파지 부속품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A 내지 도 18D는 도 17A 및 도 17B의 발 파지 부속품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8A는 발 파지 부속품의 사시도이고, 도 18B는 발 파지 부속품의 저면도이고, 도 18C는 그립 부착부들 중 하나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18D는 파지 부속품 부착 부들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9A 내지 도 19C는 운동 기구의 그립에 부착되는 핑거 그립 부속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며으로서, 도 19A는 루프들 중 하나를 관통하여 놓이는 하나의 손가락을 설명하고, 도 19B는 두 개의 루프 각각에 손가락이 하나씩 관통하여 놓이는 모습을 설명하며, 도 19C는 두 개의 루프 각각을 두 개의 손가락이 관통하여 놓이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A 내지 도 20C는 도 19A 내지 도 19C의 핑거 그립 부속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0A는 핑거 그립 부속품의 사시도이고, 도 20B는 핑거 그립 부속품의 20B-20B의 평면도이고, 도 20C는 핑거 그립 부속품의 20C-20C의 측단면도;
도 21A 내지 도 21C는 운동 기구의 그립에 부착되는 그립 부속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1A는 코드 3개를 파지하는 손을 설명하고, 도 21B는 두 개의 코드를 파지하는 손을 설명하며, 도 21C는 하나의 코드를 파지하는 손을 설명하는 도면;
도 22A 내지 도 22D는 도 21A 내지 도 21C의 그립 부속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2A는 그립 부속품의 사시도이고, 도 22B는 그립 부속품의 평면도이고, 도 22C는 그립 부속품의 저면도이며, 도 22D는 도 22C의 22D-22D를 따르는 측단면도;
도 23은 앵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운동 기구를 나무에 걸기 위한, 도 23의 앵커의 사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25 및 도 26은 앵커의 확장된 제 1 단으로 운동 기구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5는 운동 기구를 안착하기 위한 브라켓의 정면도이고, 도 26은 운동 기구를 걸기 위한 브라켓의 사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2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컴비네이션 그립의 사시도;
도 2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컴비네이션 그립의 사시도;
도 29는 제 4 실시예의 앵커 및 제 2 실시예의 연장 부재를 포함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30은 제 5 실시예의 앵커를 포함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31은 제 6 실시예의 앵커를 포함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32A 내지 도 32C는 도 31의 운동기구를 위한 지지부의 일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도 32A는 링에 연결된 지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2B는 접혀지지 않은 지지부의 사시도, 및 도 32C는 링을 수용할 준비가 된 지지부의 종단도;
도 33은 컴비네이션 앵커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4A 및 도 34B는 각각 앵커 지지부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 및 평면도; 및
도 35는 도 34A 및 도 34B의 앵커 지지부의 임의의 사용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면번호는 도면에서 그에 도시되는 특정 컴포넌트, 양상 또는 특징들을 지시하도록 사용되며, 하나 이상의 도면에서 공통된 도면번호는 그에 도시되는 유사한 컴포넌트, 양상 또는 특징들을 지시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 (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종래 기술의 비교를 위하여, 이들 실시예의 특정 측면 및 유리함이 하기에서 기술된다. 물론, 어떠한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기 모든 측면 또는 효과들이 반드시 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스트랩으로 기술되고, 원형 또는 다른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비탄성 부재들, 및/또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부재들이 재봉(stitching)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는 되는 비탄성 부재들의 사용; 또는 버클, 후크 또는 비탄성 부재를 고정 부재에 감는 것 등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비탄성 부재의 길이 조절을 위한 다른 메카니즘의 사용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로부터 분리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 둔다. 나아가,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로부터 분리됨이 없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 구조에 의하여 지지되거나 지지 구조에 쉽게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길이를 쉽게 조절함으로써 많은 수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에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을 전달함에 따라 균형을 잡을 수 있는 비탄성 운동 기구가 이하에 개시된다. 몇 가지 특징들이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도어(D)와 문설주(J)사이의 어느 지점 A에 "도어 앵커"를 사용하여 걸린 운동 기구(100)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앵커는 도어와 문설주 사이에 위치한다.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되는 부분 절개도로서, 도어(1)를 통과하여 측면에서 운동 기구(100)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U)가 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운동 기구(100)는, 앵커(110) 및 상기 앵커의 양 측면에서 제 1 암(122a)과 제 2 암(122b)으로 지시되는 한 쌍의 암(122)을 가지는 연장 부재(elongated member)(120)를 포함한다. 상기 암(122)의 단부에 각각 한 쌍의 그립(123)이 제공되며, 상세히 제 1 암(122a)에 제 1 그립(123a)이, 제 2 암(122b)에 제 2 그립(1234b)이 제공된다. 연장 부재(120)는 실질적으로 비탄성이고, 상기 한 쌍의 그립(123) 사이의 간격(S)에 따라 유연하며, 스트랩 또는 코드(cord) 또는 다른 비탄성의 연성(flexible) 부재 및, 화살표에 의하여 △S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길이(S)의 증감을 위하여 제공되는 연장 메카니즘(135)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주어로서의 "그립"은 인체의 일부와 연동하는 모든 종류의 기구를 포괄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하면 사람이 힘을 상기 그립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람의 체중 전부 또는 일부와 동일한 힘일 수 있고, 동사로서의 "그립"은, 이하에서는 기구와 본체부가 연동하도록 하는 액션을 말한다. 운동 기구에 사용될 때, 그립은 고정 지지대, 에너지를 축적하거나 방출할 수 있는 탄성 코드(elastic cord) 또는 스프링과 같은 기구, 또는 다른 본체부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물체로 힘이 전달되도록 하는 다른 구성요소에 부착된다. 그립은, 예를 들어 연질의 루프(loop) 또는 후크와 같이 본체부에 의하여 둘러질 수 있는 기구, 또는 손으로 움켜쥐는 동작에 의하여 딱 맞는 탄성 부재와 같이 본체부에 의하여 둘러지는 기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파지할 수 있는 부재는 본체부를 둘러싸거나 본체부에 의하여 둘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로부터 그립으로 힘의 전달을 허용하는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핸드 그립"은 손으로 움켜쥐는데 알맞는 크기를 가지는 그립이고, "풋 그립"은 발을 움켜쥐는데 적절한 사이즈를 가지는 그립이고, "핑거 그립"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손가락에 의해 움켜쥐는데 적절한 사이즈를 가지는 그립이다.
앵커(110)는 임의의 양만큼의 이동을 허용하는 연장 부재(120)를 위한 지지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앵커(110) 및 연장 부재(120)의 상호 작용은 연장 부재가 앵커를 따라 위치되도록 하고, 앵커를 따라 연장 부재의 이동에 저항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항은 일부 상황에서, 지지부가 앵커(110)를 따르는 연장 부재(120)의 이동을 방해하여, 연장 부재의 단부 상에 힘의 미스-매치가 일어나도록 충분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동기구(100)는 예를 들어, 연장 부재(120)의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다양한 운동에 사용될 수 있으며, 운동 도중 사용자를 위한 지지력를 제공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지지력의 일 타입은 여기에서 제한적이지 않도록 "마찰 지지력(frictional support)"으로 언급된다. 마찰 지지력을 제공하는 앵커는 운동 도중 연장 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연장 부재가 그 위로 슬라이드를 할 수 있는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일부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앵커(110) 위로의 연장 부재(120)의 이동에 대한 저항은 부분적으로 앵커 위를 슬라이드하는 연장 부재의 마찰 저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운동기구(100)의 사용 방법에 대한 다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그 자신이 자리잡는 동안 연장 부재(120)는 앵커(110)를 따라 슬라이드한다. 운동 도중, 그립 상의 당기는 힘의 미세한 미스-매치는 마찰 지지력의 정지 마찰력에 의해 매칭되고, 그립은 운동 도중 이동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마찰 지지력에 의해 생성되는 연장 부재(120)와 앵커(110) 사이의 정지 마찰력은 운동 도중 연장 부재(120)가 앵커(110)를 통해 슬라이드 하지 않는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하다. 마찰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단은 앵커에 부착되고 연장 부재를 지지할 수 있고(예를 들어 그립을 포함할 수 있음) 연장 부재가 지지 중인 앵커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일부를 구성하는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일부를 포함하여, 운동 도중 연장 부재의 이동에 마찰 저항을 제공한다.
앵커(110)는 운동 기구(100)의 고정된 앵커 포인트(anchor point)를 제공하고, 도 2 및 도 3에서 화살표 F에 의하여 지시되는 바와 같이, 암(122)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앵커(110)는 도어에 운동 기구(100)의 위치를 잡기 위하여 적용되고, 확장부(111), 스트랩 또는 코드일 수 있는 부분(113), 및 상기 연장 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대략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루프(115)를 가짐으로써, 연장 부재(120)를 지지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상기연장 부재(120)로부터 도어(D)의 반대면에 제공되는 확장부(111)와 함께, 앵커(110)는 그립(123)이 당겨질 때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한다. 게다가, 앵커(110)는 도 1의 화살표 C에 의하여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암(122)의 상대 길이를 설정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연장 부재(120)의 전체 길이 및 각각의 암(122) 사이 거리 분배는 연장 메카니즘(135)과 연장 부재의 단부를 당기는 것에 의하여 쉽게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각각 길이 L을 가지는 암(122)을 보여준다.
도어(D)(예를 들어, 도 1-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음) 또는 레일, 기둥(pole) 또는 도른 지지 부재(예를 들어, 도 14B 및 도 2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음)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지지될 때, 본 발명의 운동 기구는, 상기 기구에 대한 사용자의 상대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에 대항하여 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그립을 제공하며, 상기 기구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구는 선택에 의하여 조절된 길이에 따라서, 그리고 상기 운동 기구에 대하여 사용자가 어떻게 그리고 어디에 서있는지에 따라 어느 방향에서도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길이, 상기 운동 기구 가까이의 지면 위에서 사용자의 자세에 맞게 상기 운동 기구를 설치하고, 자신의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자신의 체중의 일부를 상기 운동 기구로부터 지지하며, 지면 및 상기 운동 기구에 의하여 지지되는 자신의 체중을 이용하여 자신의 몸을 움직이면서 운동한다. 지면과 운동 기구에 대한 지지의 실시예들은, 한쪽 또는 양쪽 다리로 서는 것, 복부 또는 등을 대고 눕는 것, 무릎을 꿇는 것, 또는 손을 땅에 대는 것, 그리고 손이나 발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운동 기구가 자신의 체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대체적인 실시예에서(미도시), 연장 부재(120)는 신축 메커니즘(lengthening mechanism)(135)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연장 부재(120)는 실질적으로 비탄성이고, 한 쌍의 그립(123)들 사이에 고정된 길이 S를 가진다.
도 3과 관련하여, 사용자(U)는 다양한 운동 자세 중 하나를 보여주는데, 특히,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그립(123)을 잡고 사용자의 발은 앵커 포인트(A)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X) 이격된 지점에 두는 하이 로우(high row) 운동을 보여준다. 운동 기구가 도어에 걸려질 때, 문설주(J)가 사용자의체중을 지지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앵커 포인트(A)는 문의 안쪽 면(다시 말하면, 도어가 사용자(U)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열리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상기 앵커 포인트(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대고 상기 운동 기구(100)를 통하여 자신의 체중 일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이로서, 사용자(U)는 앵커 포인트(A)와 암(122)의 길이(L)에 대하여 자신의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되는 체중의 정도를 가변할 수 있고, 따라서 운동 기구(100)의 저항성을 가변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도 3의 사용자(U)는 앵커 포인트(A)로부터 멀어지는 E 방향으로 자신의 몸을 움직임으로써 하이 로우 운동을 수행한다. 이 자세에서 사용자가 지면과 상기 운동 기구에 의하여 지지되는 자신의 체중을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른 운동도 수행 가능하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몇 가지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의도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4 내지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400)를 다양한 측며에서 본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운동기구(400)의 사시도는 앵커(410) 및 연장 부재(420)를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운동기구(400), 앵커(410) 및 연장 부재(420)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세부사항을 제외하고 각각 운동기구(100), 앵커(110) 및 연장 부재(120)와 유사하다. 가능한 한, 유사한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9의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여 식별된다.
앵커(410)는, 비탄성의 연질 스트랩(413)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413)은 스트랩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확장된 제 1 단부(411)와, 루프(415)를 형성하는 제 2 단부를 가지는 앵커(410)의 설명적인 예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연장 부재(420)는 루프(415)를 통과하여, 암 422a와 422b로 지시되는 한 쌍의 암(422)을 형성한다. 상기 암(422)은, 단부 421a와 421b로 지시되는 단부(421)를 각각 가지며, 상기 단부 각각은 그립 423a와 423b로 보여지는 루프(425)를 형성하여 그립 423a, 423b로써 표현되는 한 쌍의 그립(423)을 지지한다. 연장 부재(420)는 또한 버클(435a,4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스트랩(429)의 단부 중 하나에 한 쌍의 길이 조절 장치 또는 버클들(435)을 포함한다. 버클들(435)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연장 부재(420)의 길이의 조절을 위해 제공된다. 특히, 스트랩(429)는, 431a와 431b로 지시되는 한 쌍의 단부(431)를 가지며, 상기 단부(431)는 버클 435a와 435b를 각각 통과한다. 이어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연장 부재(420)은 실질적으로 비탄성이고, 상기 연장 부재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버클(435) 전부 또는 일부의 조작을 통하여 조절된다.
도 4,5A 및 5B는 앵커(410)의 몇 가지 모습을 보여주는데, 도 5A는 앵커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5B-5B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이전에 지적된 바와 같이, 앵커(410)는 비탄성의 연질 스트랩(413)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410)와 연장 부재(420)의 길이 대부분은, 기구의 사용자 체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천연 소재 또는 합성 소재의 띠 스트랩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띠 물질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폴리머 섬유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연질 소재의 단일 길이는, 재봉(stitched)되거나, 접착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서로 부착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편(piece)을 포함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410)의 길이는 6 내지 18 인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스트랩(413)의 길이는 약 12 인치일 수 있다.
스트랩(413)은, 상기 스트랩보다 넓게 확장된 제 1 단부(411)와, 루프(415)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스트랩에 부착되는 제 2 단부(417)를 가진다.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413)은 상기 제 1 단부(411)의 중심을 형성하는 단부(502)를 가진다. 앵커(410)의 의도된 사용 중 하나는, 운동 기구(400)을 도어와 문설주 사이에 걸기 위함이기 때문에, 상기 단부(411)가 나무 재질의 도어 또는 도어 프레임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부드러운 반면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히 튼튼한 소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드러운 반면 튼튼한 소재의 일 실시예가 도 5B에 보여진다. 특히, 스트랩 단부(502)는 함몰된 인클로져(enclosure)(505)와, 상기 스트랩 단부 및 인클로져를 덮는 필로우(pillow)(507)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상기 인클로져(505)와 필로우(507)를 접착 및 재봉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재봉(509)을 이용하여 상기 필로우를 닫음으로써, 상기 스트랩 단부(502)가 상기 단부(411) 내부에 가두어질 수 있다. 스트랩(413)은 상기 인클로져(505)에 형성되는 슬롯(504)과 상기 필로우(507)에 형성되는 슬롯(501)을 통하여 상기 제 1 단부(411) 내부로 통과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단부(411)는 대략 3.5" ×2.5" 크기이고, 상기 스트랩(413)에 대략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클로져(505)는 고밀도의 밀폐 기포 폼(closed cell foam)으로 성형되고, 상기 필로(507)는 펠트 소재로 이루어지며 재봉(503)을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제 2 스트랩 또는 다른 소재 일부가 재봉되거나(sewn), 접착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상기 스트랩(413)의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단부(502)를 형성할 수 있다. 더 다른 실시예로서, 인클로져(505)는, 상기 스트랩 단부(411)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금속 또는 강성 플라스틱 판과 같은 다른 종류의 강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부재(420)는, 도 6 내지 9에서 더욱 상세히 보여지는데, 도 6은 연장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7은 상기 한 쌍의 그립(421)과, 그에 대응하는 한 쌍의 버클(435) 중 어느 하나의 사시도이며, 도 8은 상기 한 쌍의 그립(421) 중 하나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며, 도 9A는 상기 한 쌍의 버클 및 인접하는 스트랩(429)을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 부재(420)는 길이 S5를 가지며, 427a와 427b로 지시되는 비탄성 스트랩부(427)와, 스트랩(429) 및 길이 S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한 쌍의 버클(435)을 포함한다. 각 단부로부터 가장 근접한 버클에 이르는 연장 부재 부분은 고정된 길이를 가지며, 다시 말하면, 상기 한 쌍의 단부(421)의 하나로부터 상기 한 쌍의 버클(435) 중 대응되는 하나에 이르는 두 부분 각각은 고정된 길이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길이 S는 광범위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길이에 걸쳐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길이 S는 약 6 피트 내지 12 피트의 길이 내에서 변경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장 부재(420)는 대략 1.5"의 폭을 가진다. 운동에 사용되는 경우, 스트랩(429) 및 루프(415)는 앵커(410)를 따라서 연장 부재(4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반면 충분한 마찰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운동하는 도중 앵커를 통해 슬라이딩하는 연장 부재가 없이도 두 개의 단부들(421) 상에 힘의 미스-매치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립(423)을 위한 스트랩(429)과 버클(435)을 포함하는 상기 한 쌍의 단부(421) 중 하나에 대한 상세 설명이 도 7, 9A 및 9B에 보여진다. 버클(435)은 캠 버클이고, 상기 버클의 디자인 및 용도는 종래에 널리 알려져 있다. 버클(435)은 스트랩(427)에 부착되고, 따라서 각 단부(421)의 길이는 조절이 불가하다. 버클(435)은 또한 길이 S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스트랩(429)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걸리게 한다.
버클(435)은, 프레임(709), 제 1 스트랩 바(bar)(705), 제 2 스트랩 바(707) 및 사용자 가동 캠(user movable cam)(711)을 가진다. 상기 제 1 스트랩 바(705)는 바람직하게 제봉(703)에 의하여 고정되는 스트랩(427)의 루프를 지지한다. 다른 방법으로, 스트랩(427)은, 다른 루프 형태의 스트랩 또는 바(705)를 중심으로 감기고, 스트랩(427)을 부착하기 위한 위치를 제공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편과 같은 제 2 부재를 통하여 바(705)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스트랩(427)은, 이어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그립(423)을 고정하는 루프(425)를 형성하기 위하여 재봉(701)에 의하여 묶여지는 반대측 단부를 가진다. 제 2 스트랩 바(707)와 캠(711)은 스트랩(429)을 지지한다. 여기서 기술되는 스트랩부를 고정하기 위한 재봉의 용도는 또한 접착제 또는 스트랩부를 함께 녹이는 작업과 같은 다른 고정 방법의 사용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캠(711)에는 스프링이 제공되어 스트랩(429)을 정상적으로 구속하도록 하며, 캠을 당기거나 누르는 동작과 같은 사용자의 조작 하에서 상기 캠이 움직여서 스트랩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캠(711)과 바(707) 사이의 길이는, 캠(711)을 눌러서스트랩(429)이 캠(711)과 바(707) 사이로 미끌어지도록 하함으로써 사용자와 버클(435) 내의 스프링에 의하여 조절된다. 따라서, 길이 S는 사용자가 버클(435)의 캠(711)을 조작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그립(423)은 도 8의 단면도에서 더욱 상세히 보여진다. 그립(423)은 일반적으로 외측 커버(801)와 내측 실린더 형상 원통부(803)를 가지는 원형관 형태를 이룬다. 커버(801)는, 그립(423)을 쉽게 손으로 쥘 수 있는 정도의 길이와 외경을 가지며, 사용자가 운동 중에 잡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로부터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801) 부재는 고밀도 폼(high-density foam)이다. 원통부(803)는 그립(423)의 강도를 제공하며, 그리고 원통부(803)는 소정의 길이와 외경을 가지는 플라스틱 또는, 원통부(803)의 중심을 통과하는 루프(425)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커버(801)의 크기에 알맞는 다른 종류의 강성 부재로부터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통부(803)는 PVC 튜브와 같은 단단하고 가벼운 소재로부터 성형될 수 있다.
한 쌍의 자유단(431) 중 하나가 도 9A에서 더욱 상세히 보여진다. 각 단(431)은 바람직하게 뒤로 접혀서 제자리에 고정되는데, 예를 들어 재봉선(901)에 의하여 고정되어 용이하게 조작된 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연장 부재(420)는 또한 , 슬리브들(903,905a,905b)와 같이, 상기 자유단(431)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랩(429)을 두번 감는 몇 개의 슬리브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슬리브들(903,905)은 버클(435), 자유단(431) 및 스트랩(429) 사이에 놓인다. 따라서, 상기 운동 기구(420)가 움직일때, 상기 슬리브들(903,905)은 버클(435)부터 이에 대응하는 자유단(431)에 이르는 스트랩(429)의 일부가 움직이는 것을 구속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905)가 스트랩(429)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반면, 슬리브(903)는 자유단(431) 부근에 고정된다. 도 9B는 도 9A의 9B-9B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로서, 캠 버클의 세부 구성과 슬리브(905b)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특히, 도 9B는 버클(435))과 스트랩(909)을 연결하고, 상기 바와 슬리브(905b) 모두에 부착된 바(907)를 보여준다. 스트랩(909)은 상기 운동 기구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슬리브(905b)가 스트랩(429)의 아래쪽으로 과도하게 멀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슬리브(905b)는 용이하게 이동하여 스트랩(429)의 일부분을 잡아 주도록 탄력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체적인 앵커의 실시예
다수의 앵커에 대한 실시예가 도 14A, 도 14B, 도 23 내지 도 26, 및 도 29 내지 도 32A-도 32C에 도시된다. 명시적으로 언급된 바를 제외하고, 임의의 앵커는 운동 기구 중 임의의 연장 부재를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어지는 설명에서, 앵커의 실시예는 설명적인 것으로 해석되며 제한적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운동기구의 실시예는 벽에 설치된 고리로부터 문, 기둥, 철책 또는 지지대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벽 또는 운동 구조물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14A는 운동기구를 기둥 또는 철책에 부착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앵커(1410)의 제 2 실시예이고, 도 14B는 도 14A의 대체적인 앵커링 실시예를 사용하여 기둥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운동기구의 실시예이다.
도 14A는 조절 가능한 루프(1419)와 앵커 루프(1415)를 포함하는 앵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하기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앵커(1410)는 다른 실시예의 앵커이고, 예컨대, 운동 기구(1400)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장 부재(420)의 스트랩(429)을 수용하기 위한 앵커 루프(1415)를 제시한다. 선택적으로, 앵커(1410)는 연장 부재(120) 또는 여기에 기술된 다른 임의의 연장 부재들을 지지할 수 있다. 조절 가능한 루프(1419)는 다음의 연성 스트랩(flexible strap)(1411)과 캠 버클(1412)로부터 형성된다. 캠 버클(1412)은 도 9B에 상세하게 도시된 캠 버클(435)일 수 있다. 연성 스트랩(1411)은, 캠 버클(1412)의 캠부를 통하여 끼워지는 제 1 단(1414)을 가지는데, 예컨대 캠 버클(435)의 가동 캠(711)과 제 2 스트랩 바(707) 사이로 상기 스트랩을 끼움으로써 이루어진다. 연성 스트랩은 또한, 캠 버클(1412)에 부착되는 제 2 단(1418)을 가지는데, 예컨대 캠 버클(435)의 제 1 스트랩 바(705)를 중심으로 상기 제 2 단을 감아서 스트랩(1411)이 두겹으로 되는 부분을 재봉(1416)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버클(1412)을 통하여 끼워지는 스트랩(1411)은, 스트랩(1411)을 풀어주는 캠 버클을 조작하고, 상기 캠 버클을 통하여 상기 스트랩을 이동시키며, 상기 캠을 풀어줌으로써 크기가 증감될 수 있는, 조절 가능한 루프(1419)를 형성한다. 제 1 단(1414)은 슬랙 슬리브(slack sleeve)(1413)에 대하여 고정된다. 앵커 루프(1415)는 재봉(1417)에 의하여 스트랩(1411)에 부착된다.
앵커(1410) 길이의 대부분은 기구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천연 또는 합성 소재의 직조물(webbing) 스트랩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직조물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직조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길이의 연성 소재는, 다른 실시예로, 재봉, 접착 또는 그외의 방법으로 서로 결합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B는 앵커(1410)와 연장 부재(420)로부터 형성되는 운동 기구(1400)를 보여준다. 앵커(1410)의 조절 가능한 루프(1413)는 기둥 P에 단단히 조여지는데, 예를 들어, 조절 가능한 루프를 상기 기둥의 상단에 두고 캠 버클(1412)을 이용하여 단단히 조여진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스트랩(1411)은 캠 버클(1412)로부터 풀어질 수 있고, 상기 기둥(P)에 감겨질 수 있으며, 캠 버클을 통하여 끼워지거나 조여질 수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 제 1 단(1414)은 캠 버클(1412)을 통하여 당겨지고, 조절 가능한 루프(1419)는 운동 기구가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지고 기둥(P)에 조여진다.
기둥에 부착되는 것 외에, 앵커(1410)는 난간, 기둥(post) 또는 다른 부재에 운동 기구(1400)를 지지하도록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앵커는 벽 또는 다른 구조물에 고정되는 카라버니어(carbineer)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3은 재봉(2311)에 의하여 제자리에 고정되는 루프(2307)를 가지는 제 1 단(a first end)(2305)과, 재봉(2309)에 의하여 생성되는 루프 내에 보유되는 링(2304)을 가지는 제 2 단(a second end)(2303)을 가지는 연성 스트랩(2301)을 포함하는 앵커(2300)의 제 3 실시예를 보여주고, 도 24는 상기 운동 기구의 연장 부재(420)를 나무에 걸기 위한 앵커(2300)의 사용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링(2304)은 카라버니어와 같은 여닫이식(gated) 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링(2304)은 스냅식 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트랩(2301) 길이의 대부분은 기구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천연 또는 합성 소재의 직조물(webbing) 스트랩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바람직한 직조물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직조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4는 앵커(2300)와 연장 부재(420)로 형성되는 운동 기구(2400)를 보여준다. 스트랩(2103)은 상기 스트랩을 수용하는 카버니어(2304)에 의하여 나무에 감겨진다. 루프(2307)는, 사용자가 나무 또는 스트랩(2103)이 감기기에 충분히 작은 물체에 대하여 운동 가능하게 하도록 스트랩(429)을 수용한다.
도 25 및 도 26은 앵커를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2500)으로서, 예컨대, 앵커(410)의 제 1 단(411)을 도시하며, 도 25는 상기 브라켓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6은 상기 운동 기구를 걸기 위한 브라켓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브라켓(2500)은, 안착홀(mounting hole)(2509)을 가지는 제 1 플랜지(a first flange)(2503)와, 안착홀(2511) 및 상기 제 1 플랜지로부터 제 2 플랜지까지 연장되는 전면(face)(2507)을 가지는 제 2 플랜지(2505)를 가지며, 전면 테두리(2513)로부터 전면 내부로 연장되는 슬롯(2515)과 중앙 슬롯(2517)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브라켓(2500)은 낱장의 금속 박판(sheet metal)(2501), 예컨대, 제 1 플랜지(2503)에 형성되는 접힘부(2518)와, 제 2 플랜지(2505)에 형성되는 접힘부(2523) 및 전면(2507)과 플랜지(2503,2505) 사이의 접힘부들(2519,2521)을 각각 가지는 박판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박판(2501)의 두께는 0.05 ~ 0.10 인치이거나,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 대략 0.0625인치이고, 상기접힘부들(2518,2519,2521,2523)은 상기 전면(2507)이 플랜지들(2503,2505)로부터 간격(D)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게 놓이며, 상기 간격은 대략 1 ~ 2 인치,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 대략 1.5인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홀(2509,2511)은 대략 1/4인치와 대략 1/2인치의 직경을 가지며, 다른 실시예에서, 대략 3/8인치 직경을 가진다.
도 26은 브라켓(2500)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브라켓(2500)은 벽(W)에 안착되고, 안착홀(2509,2511)을 관통하는 한 쌍의 스크류(2601)에 의하여 제자리에 고정된다. 앵커(410)의 일부분은 도 26의 우측에 점선으로 표시되며, 구체적으로는 확장부(411)와 연성 스트랩(413)이 표시된다. 앵커(410)는 화살표에 의하여 지시되는 바와 같이 브라켓(2500) 내에 놓인다. 구체적으로, 확장부가 브라켓(2500)과 벽 사이에서 중앙 슬롯(2517) 내부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스트랩(413)은 전면 테두리(2513) 내측으로 연장되는 슬롯(2515)를 통하여 미끄러진다. 슬롯(2515)은 스트랩(413)이 미그러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사이즈로 이루어지지만, 확장부(411)가 통과할 정도로 크지는 않도록 한다. 브라켓(2500)의 사용은 이전에 설명된 문설주에 안착 가능한 운동 기구가 상기 브라켓이 안착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벽에 대하여도 안착 가능하게 한다.
다수의 실시예들은 제거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컴포넌트로 구성되는 운동기구를 위한 앵커를 제공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실시예는 연장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일부분에 제거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구조물에 부착하기 위한 부분을 구비하는 앵커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앵커들(110,410 또는 2300) 중 어느 하나는 상호체결 또는 상호연동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는 앵커 컴포넌트의 교체 또는 상호교환을 허용하거나 또는 앵커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스트랩과 같은 추가적인 컴포넌트의 추가를 허용할 수 있다.
도 29는 제 4 실시예의 앵커(2910) 및 제 2 실시예의 연장 부재(2920)를 포함하는 운동기구(2900)의 사시도이다. 운동기구(2900), 앵커(2910) 및 연장 부재(2920)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운동기구(100 또는 400), 앵커(110,410 또는 2300) 및 연장 부재(120 또는 420)과 각각 유사하다. 가능하다면, 유사한 구성요소는 도면 내 동일한 도면번호로서 식별된다.
앵커(2910)는 앵커(410)의 연장을 형성하기 위해 루프(415)를 통해 통과하는 링(2911)을 포함한다. 링(2911)은 운동 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는 폐쇄되거나 폐쇄가능한 루프의 재질이다. 링(2911)의 재질은 운동하는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금속 도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링(2911)의 대체적인 실시예는 연장 부재(2920)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루프이고, 개방형 루프(open loop), 후크, 변형되는 링(스냅 링으로) 또는 링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이동가능한 부분을 구비하는 링(여닫이식 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9는 링(2911)이 스프링 장착된 게이트(2915)를 구비하는 링(2913)인 일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대체적인 실시예에서, 필수적으로 루프(415)를 포함하지는 않는 앵커(4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며, 이는 바람직하게 링(2911)이 통과할 수 있는 금속으로 강화된다.
연장 부재(2920)는 한 쌍의 버클들(2935)을 포함하며, 버클(2935a,2935b)로 도시된다. 버클(2835a)에 대하여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클(2935)는 제 1 링(2931) 및 센터 바(2932)와 탭(2936)을 구비하는 제 2 링(2933)을 포함한다. 스트랩(427)은 링(2931,2933) 둘 모두에 부착되고, 스트랩(429)은 링(2931)를 통해 바(2932) 주변을 통과하고, 다시 링(2931)을 통해 돌아온다. 버클(2935a)은 스트랩(429,427)을 구속하는 버클을 도시한다. 버클(2935b)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탭(2932)이 분리된 링(2931,2933)으로 당겨지면, 연장 부재(2920)의 길이는 변경될 수 있다.
운동을 위해 구성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앵커(410)는 문설주를 통해 통과할 수 있으며, 연장 부재(2920)의 스트랩(429)은 앵커(2910)의 링(2911)을 통해 통과한다.
도 30은 제 5 실시예의 앵커(3010) 및 연장 부재(2920)를 포함하는 운동기구(3000)의 사시도이다. 운동기구(3000)는 명시적으로 후술되는 바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운동기구(100,400 또는 2900)와 유사하고, 앵커(3010)는 일반적으로 앵커(2910)과 유사하다. 가능하다면, 유사한 구성요소는 도면 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여 식별된다.
앵커(3010)는 앵커(2300) 및 링(2911)을 포함하며, 링은 루프(2307)을 통해 통과한다. 앵커(3010)는 운동기구(3000)를 연장 부재(2920)를 지지하는 링(2911)을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지지부 중 하나로 고정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2304)은 구조물에 부착되는 링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랩(2301)은 구조물에 대해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30은 루프(3001) 내에 스트랩(2301)을 배열하도록 위치되는 링(2304)을 도시한다. 루프(3001)는 예를 들어, 운동기구(3000)를 지지하도록 기둥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도 31은 제 6 실시예의 앵커(3110) 및 연장 부재(2920)를 포함하는 운동기구(3100)의 사시도이다. 앵커(3110)는 앵커(2910) 및 앵커 루프(3112)를 포함한다. 운동기구(3100)는 명시적으로 후술되는 바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운동기구(2900 또는 3000)과 유사하고, 앵커(3110)는 일반적으로 앵커(2910 또는 3010)과 유사하다. 가능하다면, 유사한 구성요소는 도면 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여 식별된다.
지지부(3112)는 연장 부재(2920)와 상호작용하는 제 1 부분(3111) 및 앵커(2910)의 링(2911)에 연결되는 제 2 부분(3113)을 구비한다. 앵커(2910)는 도 29에 대해 상술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3112)의 재질은 장치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자연 또는 합성 재질의 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띠 재질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폴리머 섬유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단일 길이의 연성 재질은 선택적으로, 바느질되거나, 접착되거나 또는 서로 간에 부착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조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장된 지지부(3112)의 재질은 금속 도는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전체적으로 그와 같이 구성된다. 운동을 위해 구성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앵커(410)는 문설주를 통과할 수 있으며, 연장 부재(2920)의 스트랩(429)은 지지부(3112)의 제 1 부분(3111)를 통해 통과한다.
도 32A, 도 32B 및 도 32C는 지지부(3112) 또는 그 일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2A는 지지부(3112) 및 링(2911)의 사시도이며, 도 32B는 접혀지지 않은 앵커 루프의 사시도이며, 도 32C는 링을 수용할 준비가 된 앵커 루프의 단부도이다. 도 32A, 도 32B 및 도 32C의 지지부(3112)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도 31의 앵커 루프와 유사하다. 가능하다면, 유사한 구성요소는 도면 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여 식별된다.
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112)는 제 1 부분(3111) 및 제 2 부분(3113)을 형성하는 스트랩(3205)을 포함한다. 제 2 부분(3113)은 스트랩(3205)을 형성하거나 그에 부착된 제 1 루프(3201) 및 제 2 루프(3203)를 포함한다.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3201,3203)는 스트랩(3205)의 양 단부를 구성하고, 오프셋되어 도 3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트랩(3205)이 접혀져 제 2 부분(3113)을 형성하는 경우 루프(3201,3203)가 배열된다.
운동을 위해 조립되는 경우, 스트랩(3205)은 루프(3201,3203)를 배열하도록 접혀지며, 링(2911)은 배열된 루프를 통해 위치된다. 링(2911)은 또한 앵커(410)에 부착되고, 이는 문설주를 통해 위치될 수 있다. 연장 부재(2920)는 제 2 부분(3111)을 통해 위치되고 사용자는 여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운동할 수 있다.
운동기구(100), 보다 구체적으로 운동기구들(400,2900,3000,3100)가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되었지만, 많은 대체적인 실시예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앵커에 대하여 스트랩-모양의 부재의 양측의 길이 및 균형을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조절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비탄성인 스트랩-모양의 부재를 제공하는 많은 실시예들이 존재한다.
도 33은 컴비네이션 앵커(33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컴비네이션 앵커(3300)는 이하 명시적으로 후술되는 바를 제외하고 이전의 앵커들 중 임의의 것과 일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가능하다면, 유사한 구성요소는 도면 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여 식별된다.
컴비네이션 앵커(3300)는 링(2911), 확대된 제 1 단부(411), 및 링(2304)을 포함하며, 이는 연성 재질(3310)과 연결된다. 단부(411) 또는 링(2304)은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고, 링(2911)은 연장 부재(120) 또는 구조물에 의해 지지될 또 다른 운동기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연장 부재를 지지할 수 있따. 연성 재질(3301)은 예를 들어, 멀리 떨어진 부재(420)의 재질을 참조로 상술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재질을 그 자체 또는 인근 부분에 바느질함으로써(예를 들어, 루프를 형성하기 위함) 형성될 수 있는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3의 실시예에서, 연성 재질은 제 1 스트랩(3301) 및 제 2 스트랩(3303)을 포함한다. 스트랩(3301)은 단부, 및 링(2911)을 지지할 수 있는 루프(3307)를 포함한다. 스트랩(3303)은 링(2304)을 지지하는 루프(3305), 및 스트랩과 스트랩(3301)을 부착시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재봉(stitches)을 포함한다.
컴비네이션 앵커(3300)는 선택적인 링 지지부(3320)를 구비하도록 도시되며, 이는 도 34A 및 도 34B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며, 이들은 각각 링 서포트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지지부(3302)는 재봉(3309)에 의해 스트랩(3303)에 위치되는 스트랩(3401)을 포함한다. 재봉(3309) 사이의 부분은 재봉(3403)으로 바느질되고, 일련의 링 루프들(3405)를 형성한다(루프들(3405a,3405b,3405c)로 도시됨).
도 35는 도 34A 및 도 34B의 앵커 지지부의 일 사용의 측면도이다. 스트랩(3303)은 기둥(P)에 대해 싸여지며, 링(2304)은 루프(3305) 및 링 루프(3405b)를 통과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컴비네이션 앵커(3300)를 사용하여, 연장 부재(120)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연장 부재는 링(2911)에 부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링(2304)은 벽에 부착된 아이볼트(eye bolt)로 고정되는 것과 같이 구조물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대체적인 그립의 실시예
운동기구(100)의 사용은 사용자에게 사용가능한 그립에 의해 결정된다. 그립은 사용자가 그의 체중을 지지하도록 충분한 힘으로 쥐어짜는 것과 같이 움켜쥘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당김에 따라 루프 또는 후크 내에 사용자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이 명세서에서, "쥘 수 있는(grippable)" 부분은 몸통부분 주변을 둘러싸 그립의 그 부분을 쥐어짜거나 또는 그립의 루프 또는 후크를 통과하여 몸통의 일부를 위치시켜 사용자가 운동기구에 대해 당길 수 있고 그립 내에서 몸통부분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그립은 목, 손 전부 또는 일부, 팔, 다리, 발가락 또는 발뒤꿈치를 포함하는 몸통의 다양한 부분에 힘을 작용하는 것에 유용하다. 그립에 대한 다수의 실시예는 여기에서 예를 들어, 손, 발 또는 손가락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그립으로서 기술되지만, 이는 제한적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술되는 그립은 기구(10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선택적으로, 운동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그립들(123)을 포함한 한 쌍의 그립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거나 부착가능하다. 용어 "부대물(accessory)" 그립은 여기에서 운동기구(100)에 구비된 그립에 부착될 수 있는 그립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운동기구(100)로의 부대물 그립의 일체화된 정보로 확장된다.
사용자는 동일하거나 다른 부속품을 가지는 한 쌍의 그립 또는 그립 부속품이 없는 한 쌍의 그립을 가지고 운동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기구의 몇 가지 실시예들은, 운동 기구(100), 또는 두 개의 그립 및 손, 발, 손가락 또는 신체의 다른 부분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을 가지는 어떠한 종류의 운동 기구 등과 같은 운동 기구의 그립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그립 부착부를 포함한다. 그립 부속품의 사용은, 발 파지 부속품(foot grip accessory)을 이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손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다른 형태의 파지법을 제공함으로써, 손 또는 손가락에 부가적인 힘을 키울 수 있도록 하며, 부가적인 운동이 수행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그립은 사용자가 하나의 그립 부속품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대체적인 실시예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며, 도 10은 길이조절 장치로서 하나의 캠 버클(435)를 구비하고, 두 개의 핑거 그립들(4001)을 구비하는 대체적인 연장 부재(102)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1은 대체적인 핑거 그립의 단면도(11-11)이다. 하나의 버클(435)을 사용하는 것은 보다 가벼운 운동기구(400)를 제공하지만, 연장 부재(102)를 위한 길이의 유용한 범위가 줄어든다. 핑거 그립(4001)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해 네 개의 구멍(4101)을 포함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손가락 근육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립 부속품의 일 실시예는 발 파지 부속품(foot grip accessory)(1700)인데, 이는 도 17A 및 도 17B에서 운동 기구(100)의 그립(123)에 부착된 상태로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도 17A는 운동 기구(100)에 부착되고 발가락(T)에 의하여 파지되는 발 파지 부속품을 설명하고, 도 17B는 한 쌍의 그립에 각각 하나씩 연결되고, 각각은 사용자의 뒤꿈치(H1,H2)에 의하여 걸리는 것을 설명한다. 각각의 발 파지 부속품(1700)은 연성 루프(1710) 및 그립 부착부(1720)를 가진다. 그립(123)으로부터 연장되는 루프(1710)의 일부분은 사용자의 뒤꿈치 또는 발가락이 상기 루프에 딱맞게 끼워지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대략 12인치 길이가 바람직하다. 발 파지 부속품(1700)이 그렇게 고정된 채로, 발가락(도 17A) 또는 뒤꿈치(도 17B)는 루프(1710)를 통과하여 놓일 수 있고, 운동 기구(100)에 대항하여 발에 의하여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발 파지 부속품(1700)의 대부분은 기구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천연 또는 합성 소재의 직조물(webbing) 스트랩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바람직한 직조물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직조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일 길이의 연성 소재는, 다른 실시예로, 재봉, 접착 또는 그외의 방법으로 서로 결합된 조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 파지 부속품(1700)의 일 실시예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그립(123) 중 하나에 연성 루프(171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발 파지 부속품(1700)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18A 내지 도 10D에서 설명되며, 도 18A는 발 파지 부속품의 사시도이고, 도 18B는 상기 발 파지 부속품의 저면도이며, 도 18C는 그립 부착부들 중 하나의 측면도이고, 도 18D는 그립 부속품 부착부들 중 하나의 평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발 파지 부속품(1700)은 세 개의 스트랩, 즉 하나의 루프 스트랩(loop strap)(1801) 및 두 개의 부착 스트랩(attachment strap)(1803)으로 구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세 개의 스트랩이 부착되면, 루프 스트랩(1801)은 루프(1710)를 형성하고, 상기 두 개의 부착 스트랩(1803)은 그립 부착부(1720)를 형성한다.
루프 스트랩(1801)은 루프를 형성하도록 결합된 양단부를 가지는 소정 길이의 스트랩핑으로부터 형성된다. 루프 스트랩(1801)은, 바람직하게 20인치의 길이와 1.5인치의 폭을 가지는 합성 섬유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루프는 두 개의 삼각형 형태의 이중 재봉부(1815)를 포함하고, 그 중 어느 하나는 루프 스트랩(1801)의 양단부와 결합한다. 상기 두 개의 그립 부착 스트랩(1803) 각각은, 제 1 부착면(a first fastening surface)(1809)을 가지는 제 1 단부(1807) 및 제 2 부착면(a second fastening surface)(1813)을 가지는 제 2 단부(1811)를 가지는 소정 길이의 스트랩핑으로 구성된다. 부착 스트랩(1803)은 합성 섬유 직조물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랩(1803)은 길이 7.5 인치, 폭 1.5인치로 구성된다. 부착면(1809,1811)은 이중 재봉(1817)에 의하여 루프 스트랩(1801)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립 부착 스트랩(1803)은 단부(1807,1811) 사이의 중앙부에서 이중 재봉(1805)에 의하여 상기 루프 스트랩(180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 스트랩(1803) 각각은, 스트랩의 서로 반대되는 면에 제공되는 부착면(1809,1813)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후크와 루프 간 고정 시스템에서 후크와 루프 면의 맞춤, VELCRO®의 후크와 루프 고정부재 등과 같이, 상기 부착면(1809,1813)들은 서로 맞춤면(matching surface)이 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착면(1809,1813)은 각각 약 2 인치 X 1.25 인치로 구성된다.
발 파지 부속품(1700)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발 파지 부속품(1700)의 그립 부착부(1720)는, 소정 길이의 스트랩(1703) 각각을 그립(123a)에 감고 각 스트랩(1803)에 있는 부착면(1809,1813)을 서로 접촉함으로써, 한 쌍의 그립(123)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재봉(1815)은 루프(1710)가 꼬임없이 개방되도록 하고 발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스트랩을 제공한다.
그립 부대물의 다른 예는 핑거 그립 부대물(1900)로서, 이는 도 19A 내지 도 19C에서 운동기구(100)의 그립(123)에 부착된 경우 세 가지 서로 다른 운동으로 도시된다. 핑거 그립 어셈블리(1900)는 엄지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손가락이 안착되고 그에 의해 쥐어지도록 구성된 루프(1910), 및 부대물을 운동 기구의 그립에 부착시키는 그립 부착부(1920)를 구비한다. 그립 부착부(1920)는 한 쌍의 그립 중 어느 하나(123)에 제거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루프(1910a) 및 제 2 루프(1910b)로 구성된 두 개의 루프(1910)가 포함된다. 핑거 그립 부대물(1900)이 이와 같이 고정됨으로써, 손가락(F1)은 루프들 중 어느 하나, 예컨대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루프(1910a)를 통과하여 위치될 수 있고,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F1)은 제 1 루프를 통과하여 위치되고 손가락(F2)은 제 2 루프(1910b)를 통과하여 위치될 수 있거나,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손가락들(F1,F2)은 제 1 루프를 통과하여 위치되고 손가락(F3) 및 손가락(F4)은 제 2 루프를 통과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한 쌍의 그립(123) 각각에는 단일의 핑거 그립 부속품(1900)이 제공된다. 손가락이 적어도 하나의 루프(1910)를 관통하여 놓인 상태에서, 운동 기구(100)를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힘이 가해질 수 있다. 핑거 그립 부속품(1900)은 핑거 그립(4001)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
핑거 그립 부속품(1900)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 20A 내지 도 20C에 설명되며, 도 20A는 상기 핑거 그립 부속품의 사시도이고, 도 20B는 핑거 그립 부속품의 20B-20B를 따르는 평면도이며, 도 20C는 핑거 그립 부속품의 20C-20C를 따르는 측단면도이다. 핑거 그립 부속품(1900)는 제 1 루프(1910a) 및 제 2 루프(1910b)를 포함하는 두 개의 루프(1910)와, 세 부분(1920a,1920b,1920c)을 포함하는 그립 부착부(1920)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핑거 그립 부속품(1900)은 5개의 스트랩: 하나의 루프 스트랩(2001), 3개의 부착 스트랩(1803), 및 하나의 받침 스트랩(backing strap)(2003)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섯 개의 스트랩이 부착된 상태에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루프 스트랩(2001)은 제 1 루프(1910a)와 핑거 루프(1910b)를 형성하여 각각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손가락을 수용하고, 세 개의 부착 스트랩(1803) 각각은 그립 부착부(1920a,1920b,1920c)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한다. 핑거 그립(1900)의 대부분은 핸드 그립(1700)과 같이 동일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루프 스트랩(2001)은 길이 21.5인치, 폭 1인치의 합성 섬유 직조물로 제조되며, 받침 스트랩(2003)은 길이 2인치 및 폭 1인치의 합성 섬유 직조물이다. 핑거 그립 부속품(1900)은 3 개의 재봉(2007)에 의하여 조립되는데, 각각의 재봉은 세 개의 부착 스트랩(1803) 중 어느 하나와 루프 스트랩(2001) 및 바침 스트랩(2003)을 통과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재봉(2007)은 이중 재봉부이다. 도 20A 내지 도 20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루프 스트랩(2001)의 일부는 상기 세 개의 부착 스트랩(1803) 사이에 돌출되어 루프(1910a,1910b)를 형성한다. 루프들(910a,1910b)은 대략 8인치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루프 스트랩(1901)으로부터 형성된다. 루프 스트랩(2001)은, 바람직하게, 두 개의 루프(1910a,1910b)가 인접하는 부착 스트랩(1803)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받침 스트랩(2003)의 길이를 연장시킨다.
핑거 그립 부속품(1900)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핑거 그립 부속품(1900)의 그립 부착부(1920)는, 각 스트랩(1803)에 형성된 부착면(1809,1813)들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그립(123) 중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핑거 그립 부속품(1900)이 그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손가락은 루프들 중 하나, 예를 들어 도 20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루프(1910a)를 관통하여 놓일 수 있거나, 또는 손각락 두개가 도 10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루프들(1910a,1910b) 각각을 관통하여 놓일 수 있다. 손가락(들)이 상기 루프들(1910)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놓인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운동 기구(100)에 대하여 힘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립 부속품의 제 3 실시예는 그립 부속품(2100)이며, 운동 기구(100)의 그립(123)에 부착되는 형태로 도 21A 내지 도 21C에서 설명된다. 그립 부속품(2100)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조합으로 파지될 수 있는 다수 개의 코드(2110) 및 그립 부착부(2120)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코드(2110)의 수는 하나에서 다섯 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고, 4개가 될 수 있으며, 코드 각각은 동일한 직경과 길이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드(2110)는 사람의 손으로 파지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4 내지 6인치 정도의 길이이고, 도 21A 내지 도 21C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손을 코드 사이로 통과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추가 길이(additional length)를 가진다. 일 실시예로서, 그립 부속품(2100)은 네 개의 코드를 가지며, 제 1 코드(2110a), 제 2 코드(2110b), 제 3 코드(2110c) 및 제 4 코드(2110d)로 명명된다. 상기 코드들은 어떤 형태의 조합으로도 모두 파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한 개에서 네 개 모두에 이르는 어떤 수의 코드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도 21A는 세 개의 코드, 예컨대 제 1 내지 제 3 코드(2110a,2110b,2110c)를 파지한 손(H)을 보여주고, 도 21B는 두 개의 코드, 예컨대 제 1 및 제 2 코드를 파지한 손을 보여주며, 도 21C는 하나의 코드, 예컨대 제 1 코드를 파지한 손을 보여준다.
그립 부착부(2120)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그립(120)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립 부속품(2100)이 고정된 상태에서 하나 및 모든 코드(2210)가 파지될 수 있고, 운동 기구(100)를 당김음로써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한 쌍의 그립(120) 각각에는 하나의 그립 부속품(2100)이 제공된다.
그립 부속품(2100)의 실시예가 도 22A 내지 도 22D에서 설명되는데, 도 22A는 그립 부속품의 사시도이고, 도 22B는 상기 그립 부속품의 평면도이고, 도 22C는 상기 그립 부속품의 저면도이며, 도 22D는 도 22C의 22D-22D를 따라 절개되는 측단면도이다. 그립 부속품(2100)은 네개의 스트랩으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받침 스트랩(2205), 전방 스트랩(a front strap)(2207), 두 개의 부착 스트랩(1803) 및 두 개의 코드(2201,2203)로 구성된다. 코드들(2110)은 두 개의 긴 코드(longer cords)(2201,2203)로 구성되고, 그립 부착부(2120)는 스트랩(2205,2207,1803)으로 구성된다.
그립 부착부(2120)를 형성하는 상기 두 개의 스트랩(1803)은, 그 중심부가 받침 스트랩(2205)과 전방 스트랩(2207)의 단부들 사이에 부착된다. 상기 네 개의 코드들(2100a 내지 2100d)은 긴 코드(2201,2203)로부터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2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코드(2101,2103)는 나란하게, 그리고 반으로 접힌다. 코드 각각은, 감김부(2109)에 의하여 두 개의 코드가 함께 묶여서 코드(2101,2103)의 중심 부근에서 루프(2213)를 형성하며, 루프(2113)를 형성하기 위하여 코드(2101,2103)의 네 단부가 감김부(2109)에 의하여 묶인다. 도 22D의 단면도에서, 코드(2203)는 제 1 단부(2213)와 제 2 단부(2217)가 감김부(2209)에 의하여 묶이고, 중심부(2215)가 스트랩(2207)에 대하여 루프(2213)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코드(2201,2203) 각각은 반으로 접히고, 따라서 각 코드는 감김부(2209,2211) 사이에서 두 개의 코드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코드(2201)는 코드(2210a,2210b)을 형성하고, 코드(2203)는 코드(2210c,2210d)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랩(2205,2207)은 고분자 섬유 직조물이다. 받침 스트랩(2205)는 바람직하게 길이 5인치 및 폭 1인치를 가지며, 전방 스트랩(2207)은 바람직하게 길이 6인치 및 폭 1인치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코드(2201,2203)는 대략 20인치에서 대략 30인치 사이의 길이를 가지는 순면 소재 코드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대략 22 인치에서 대략 26인치의 길이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길이는 대략 24 인치의 길이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코드(2201,2203)는 1/2인치에서 1인치의 직경을 가지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략 3/4인치의 직경을 가진다. 스트랩(2205,2207)과 부착 스트랩(1803) 간의 결합부는 바람직하게 이중 재봉이다. 결과적 그립 부착(resulting grip attachment)(2100)은 대략 10인치의 파지 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네 개의 코드를 가지며, 사람의 손이 그립 코드(2110)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공간을 허용한다.
그립 부속품(2100)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그립 부착부(2120)은 각 스트랩(1803)에 형성된 부착면(1809,1813)이 상호 접촉에 의하여 한 쌍의 그립(123)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핑거 그립 부속품(2100)이 고정된 상태에서, 한개, 두개, 세개, 또는 네개 전부의 코드(2110a 내지 2110d)가 손에 의하여 파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A는 사용자에 의하여 코드(2110a,2110b,2110c)가 파지되는 것을 설명하고, 도 22B는 사용자에 의하여 코드(2110a,2110b)가 파지되는 것을 설명하며, 도 22C는 사용자에 의하여 코드(2110a)가 파지되는 것을 설명한다. 코드(2110)가 파지된 상태에서, 운동 기구(100)에 사용자에 의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도 27은 핸드 그립 또는 풋 그립(foot grip)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그립의 사시도이며, 여기서는 (용도)제한 없이 컴비네이션 그립(2700)으로서 기술된다. 그립(2700)은, 하기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것을 제외하고, 운동 기구(100)의 그립 또는 부속품으로서의 그립과 일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가능하면, 도 4,7,17,18 및 27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컴비네이션 그립(2700)은 그립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여기에 기술된 운동 기구(100 또는 400)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운동 기구의 양 단부 또는 일단에 제공될 수 있는 두 개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비네이션 그립(2700)은 양 단부(121), 양 단부(421), 또는 단부들(421a 또는 421b)의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7의 실시예에 있어서, 그립(2700)은 스트랩(427a)으로부터 루프(425a)에 의하여 지지되는 핸드 그립(423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스트랩(427a) 부재는 루프(425a)를 따라 이어지고, 재봉(2711)에 의하여 스트랩에 고정된다. 그립(2700)은 단부(421a)에서 지지되는 루프(271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루프(2710)는 부분(803)을 통하여 연속되는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부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탄성 조각들로부터 형성되는 스트랩이며, 상기 루프는 핸드 그립(423)에 일체로 결합된다. 예컨대, 핸드 그립(423a)은, 원통관부(cylindrical tubular portion)(803)의 내측의 제 1 단부(802-1) 및 제 2 단부(803-2)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단부(423a-1,423a-1)를 가진다. 일 실시예로서, 루프(2710)는 상기 부분(803)을 통하여 단일의 루프를 형성하도록 양 단부가 재봉에 의하여 결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조물 조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루프의 일부가 상기 핸드 그립의 아래에서 매달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도 28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고 그립(2700)과 일반적으로 유사한 컴비네이션 그립(2800)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가능하면,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된다.
컴비네이션 그립(2800)은, 단부(2812) 및 길이 조절 메카니즘(2813)을 가지는 스트랩(2811)을 포함하는 연성 루프(2810)를 포함한다. 스트랩(2811)은 원통부(803) 및 길이 조절 메카니즘(2813)을 통과하고, 루프(2810)의 크기가 상기 메카니즘을 통하여 가동 단부(moving end)(2812)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한다. 메카니즘(2813), 예컨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캠 버클, 또는 VELCRO®의 후크와 루프 고정부재 등과 같은 것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루프(28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트랩(2811)은 핸드 그립(423a)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그립의 탈거를 허용하기에 과도하게 큰 단부를 가져서 상기 핸드 그립으로부터 분리 가능하지 않는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미도시), 스트랩(2811) 및 (가동)단부(2812)는, VELCRO®의 후크 및 루프 고정 부재와 같이, 상기 스트랩 단부의 매달림(dangling)을 방지하기 위한 맞춤 고정 부재(matching fasteners)를 가진다.
일 실시예로서, 그립(423)은 길이가 5인치이고, 루프(2710)은 길이가 대략 20인치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부분(803) 내에 있지 않는 루프(2710)의 일부는, 네오프렌과 같은 폴리클로로프렌(polychloroprene) 기반 고무 소재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1/8인치의 연성 소재가 덧대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루프(2810)는 대략 길이 12 인치에서 23인치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다.
더 다른 실시예로서, 루프(2711 또는 2811)는 상기 부분(803)을 통하여 루프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단부(803-1,803-2)에 또는 그 부근에 부착된다.
운동 방법
운동기구(120)의 사용은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되며, 도 12A는 초기 상태이고, 도 12B는 연장 부재(420)의 길이를 늘인 모습을 보여주며, 도 12E 및 도 12F에 더욱 상세히 도시되며, 도 12C는 연장 부재의 짧은 쪽 레그에 힘을 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도 12D는 운동 과정에서 그립에 힘을 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설명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운동기구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설명을 돕기 위하여, 도 12A는 걸어진 운동 기구의 초기 상태로 가정하고,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암(422)이 동일 길이(거의 S의 절반)로 유지하면서 길이(S)를 연장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버클(435)을 조작하다. 도 12B는, 화살표에 의하여 지시되는 바와 같이, 버클(435a)과 연장 레그(422a)을 조작한 결과를 모식적으로 보여준다. 도 12E는 사용자(U)가 캠(711)을 누르고 단부(431)를 잡는 모습을 보여주며, 도 12F는 사용자가 운동 기구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서 화살표에 의하여 지시되는 바와 같이 단부(431)를 캠으로부터 이격되게 당기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2C의 힘벡터(F1)에 의하여 지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짧은 쪽 레그(422b)를 우선적으로 잡아 당긴다. 상기 두 개의 레그(422) 길이가 거의 같아지도록 하면, 도 12D에 지시된 바와 같이, (레그의) 길이가 길어진 상태에서 핸들 그립 각각에 동일한 힘(F2)을 가하여 운동할 수 있다. 실제로, 도 12D의 두 힘이 같을 필요는 없으며, 심지어 힘이 다르게 적용되는 상황에서도 앵커(4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레그(422)에 작용하는 힘이 연장 부재(420)와 앵커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레그의)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으로, 운동 기구는 길이(S)를 짧게 하기 위하여 단부(431)를 당겨서 레그(422)가 짧아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두 개의 암 사이에 동등하게 균형잡힌 상태 이외에, 운동을 위하여 암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본 발명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서로 다른 길이의 암(422)을 가지는 운동기구의 사용을 도시하며, 도 13A는 초기 상태이고, 도 13B는 한 쌍의 암(422) 중 어느 하나에 힘이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도 13C는 운동 과정에서 상기 그립에 작용하는 힘을 보여준다. 설명을 돕기 위하여, 도 13A는 걸려 있는 운동 기구의 최초 상태로 가정하고, 사용자가 암의 길이가 다르게 되도록 암(422)의 길이를 조절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 13B의 힘 벡터(F1)에 의하여 지시되는 바와 같이 짧은 쪽 레그(422b)을 우선적으로 잡아당긴다. 그 다음 사용자는 도 13C의 동일한 힘(F2)에 의하여 지시되는 바와 같이 운동할 수 있다. 실제로, 도 13C의 두 힘이 동일할 필요는 없는데, 도 12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앵커(4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레그(422)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이 연장 부재(420)와 앵커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이는 심지어 다른 크기의 힘이 작용하는 상황에서도 암의 길이가 변하는 가능성을 제한한다. 다른 길이로 암(422)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은 하나 또는 두 개의 버클(435)을 조작함으로써 길이(S)를 늘이거나 줄이는 동작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 기구는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어 상단부에 놓이는 상기 운동 기구를 이용하기에 가능한 많은 종류의 운동의 실시예들이 테이블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15는 많은 운동 자세 중 세 가지를 설명한다. 이러한 자세들 각각에 있어서, 사용자는 운동 기구(100 또는 400)의 길이를 선택하고, 도 12 또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대로 조절하며, 자신의 체중의 일부가 상기 운동 기구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한 채, 앵커 포인트(A)로부터 소정의 수평 거리(X)만큼 이격된 바닥에 자신의 몸을 위치시킨다. 자신의 체중이 지지되는 상태에서, 도 3 및 도 15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운동자는 자신의 몸을 수행되어야 할 운동의 형태에 적절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예를 들면 자신의 몸을 상기 벽 또는 지면을 향하여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상기 운동 기구에 의하여 자신의 체중을 지지하는 반면 자신의 팔 또는 다리를 구부리거나, 또는 자신의 근육을 단련하는 다른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 앵커 운동(door ahchor exercises)을 통한 몇 가지 기초, 중급, 및 고급 과정
초급( Basic Exercises ) 중급( Intermediate ) 고급( Advanced )

Pull functions

Pull functions

Pull / lateral functions
로 로우(Low row) 원암 로 로우(One-arm low row) 래터럴 레이즈(Lateral raise)
하이 로우(High row) 원암 하이 로우(One-arm high row) 프런트 숄더 레이즈(Front shoulder raise)
풀업(Pull-up) 원암 풀업(One-arm pull-up) 리버스 그립 컬(Reverse-grip curl)
하이 컬(High curl) 원암 하이 컬(One-arm high curl) 컴비네이션 로우/킥백(combination row/kickback)
로 컬(Low curl) 원암 로 컬(One-arm low curl) 인터널 로테이터 커프(Internal rotator cuff)
백 플라이(Back fly) 로어 체스트/랫 크런치(Lower chest/lat crunch) 익스터널 로테이터 커프(external rotator cuff)
리스트 컬(Wrist curl) 리버스 그립 리스트 컬rverse-grip wrists curl) 투웨이 포어암 플렉서스(2-Way forearm flexors)

Core Strength

Core Strength

Core Strength
크런치(Crunch) 닐링 컴비네이션 크런치(Kneeling combination crunch) 스탠딩 컴비네이션 크런치(Standing combination crunch)
리버스 싱글 레이즈(Reverse single leg raise) 리버스 레그 레이즈(Reverse leg raise) 리버스 레그 레이즈/힙 리프트(Reverse leg rais/hip lift)
옵리크 크런치(Oblique crunch) 프이 싯 업(V-sit-up) 리버스 옵리크 레이즈(Reverse oblique raise)
리버스 크런치(Reverse crunch) 힙 리프트(Hip lift) 브이 밸런스(V-balance)
바이시클(Bicycle) 리버스 바이시클(Reverse bicycle) 리버스 컴비네이션 크런치(Reverse combination crunch)
백 브릿지(Back Bridge)

Legs

Legs

Legs
스쿼트(Squat) 라잉 햄스트링 페달(Lying hamstring pedal) 라잉 햄스트링 컬(Lying hamstring curl)
힙 힌지(Hip hinge) 팁 토 스쿼트(Tip-toe squat) 싱글 레그 힙 힌지(Single-leg hip hinge)
스쿼트 런지(Squat lunge) 스텝 백 런지(Step-back lunge) 싱글 레그 스쿼트(Single leg L-squat)
스모 스쿼트(Sumo squat) 싱글 레그 스쿼트(Single leg squat) 다이아고날 스텝 백 런지(Diagonal Step-back lunge)
사이드 투 사이드 런지(Side-to-side lunge) 싱글 캐프 레이즈(Single calf raise) 크로스오버 오프 밸런스 스쿼트(Crossover off-balance squat)
캐프 레이즈(Calf raise) 점핑 스키 피티(Jumping Ski PT)

Push functions

Push functions

Push functions
스탠다드 프레스(Standard press) 원암 인클라인 프레스(One-arm incline press) 트라이셉 킥백(Triceps kickback)
체스트 플라이(Chest fly) 로 체스트 프레스(아웃사이드 그립)(Low chest press) (outside grip) 원암 칸선트레이션 플라이(One-arm concentration fly)
숄더 프레스(Shoulder press) 리버스 푸쉬업(Reverse Push-up) 리버스 크런치/푸쉬업(Reverse crunch/push-up)
오버헤드 트라이셉(Overhead triceps) 원암 트라이셉(One-arm triceps) 콤보(combo)
익스텐션(Extension) 익스텐션(Extension) 익스텐션(extension)
랫 풀오버(Lat-Pullovers) 짐네스트 딥(Gymnast dip)
구체적으로 도 13 및 도 15에는, 사용자가 하이 로우 액서사이즈(a high row exercise)(도 3), 리버스 컴비네이션 크런치(a reverse combination crunch)(도 15A), 싱글 레그 L-스쿼트(a single leg L-squat)(도 15B), 짐네스트 딥(a gymnast dip)(도 15C), 닐링 컴비네이션 크런치(a kneeling combination crunch) (도 15D), 라잉 레그 컬(a lying leg curl)(도 15E), 힙 리프트(a hip lift)(도 15F), 프런트 숄더 레이즈(a front shoulder raise)(도 15G ), 크런치(a crunch) (도 15H), 및 트라이셉 익스텐션(a triceps extension)(도 151)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수행하는 단일 자세들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상기 운동 기구의 길이, 신체 위치, 및 손잡이가 어떻게 파지되는지에 따라, 많은 다른 형태의 운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가능하다는 것이 도 3 및 도 15로부터 자명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 기구는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손 운동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A는 한 손 운동을 위하여 단부들(421a,421b)이 연동하는 운동 기구(400')를 보여주며, 도 16B는 한손 하이 로우 운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상기 운동 기구(400')의 용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 사상은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를 넘어서 다른 변경 가능한 실시예 및/또는 발명의 사용과 자명한 변경, 그리고 균등한 범위까지 연장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하여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기술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기에서 설명된 특정 시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하기 청구항의 정당한 해석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은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는(contatining)", 또는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by)"과 같은 의미를 가질 것이며, 포괄적이거나 개방되어 있어 추가적이거나, 인용되지 않은 구성요소 또는 방법의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가 필수적인 것을 의미하지만, 다른 구성요소들은 추가될 수 있고 여전히 기재된 바의 범위 내에서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100: 운동기구
110: 앵커
120: 연장 부재

Claims (25)

  1. 구조물로부터 운동기구를 지지하는 앵커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에 연결가능한 부분;
    도어 앵커(door anchor)를 포함하는 제 1 앵커; 및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 2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앵커 또는 상기 제 2 앵커는 상기 구조물에 연결가능한 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루프를 포함하는 앵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닫힌 링(closed ring)으로 형성가능한 앵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재질은 실질적으로 강성인 재질을 포함하는 앵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닫힌 문 및 문설주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앵커는 상기 닫힌 문과 상기 문설주 사이를 통과가능한 스트랩, 및 상기 닫힌 문과 상기 문설주 사이를 통과불가능한 확대된 단부를 포함하는 앵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앵커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통과가능한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앵커는 상기 구조물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앵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앵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루프를 구비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루프를 통해 통과가능하고, 상기 제 2 앵커는 상기 구조물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앵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상기 제 1 앵커 및 상기 제 2 앵커는 연성 재질로 연결되는 앵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재질은 띠를 포함하는 앵커.
  10. 구조물로부터 운동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앵커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를 지지하도록 구성가능한 제 1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앵커 루프;
    도어 앵커를 포함하는 제 1 앵커; 및
    제 2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 2 앵커;
    를 포함하는 연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앵커 또는 상기 제 2 앵커는 상기 구조물에 연결가능한 앵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루프를 포함하는 앵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루프는 닫힌 링으로 형성가능한 앵커.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재질은 실질적으로 강성인 재질을 포함하는 앵커.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제 2 루프를 포함하는 앵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루프는 닫힌 링으로 형성가능한 앵커.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 재질은 실질적으로 강성인 재질을 포함하는 앵커.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닫힌 문 및 문설주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앵커는 상기 닫힌 문과 상기 문설주 사이를 통과가능한 스트랩, 및 상기 닫힌 문과 상기 문설주 사이를 통과불가능한 확대된 단부를 포함하는 앵커.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앵커는 상기 제 2 커넥터를 통해 통과가능한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앵커는 상기 구조물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앵커.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앵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루프를 구비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과가능하고, 상기 제 2 앵커는 상기 구조물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앵커.
  2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재질은 띠를 포함하는 앵커.
  2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앵커 및 상기 제 2 앵커는 연성 재질로 연결되는 앵커.
  22. 구조물로부터 운동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앵커에 있어서,
    각각이 구조물에 부착가능한 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 중 제 1 부분은 닫힌 문의 문과 문설주 사이에 부착가능한 앵커.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 중 제 2 부분은 상기 구조물에 부착가능한 후크 또는 링을 포함하는 앵커.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부분들 중 제 2 부분은 루프, 및 상기 루프에 부착가능한 후크 또는 링을 포함하는 앵커.
  25. 실질적으로 도시되고 기술되는 바와 같은 기구.

KR1020107008215A 2007-09-17 2008-09-16 운동 기구용 컴비네이션 앵커 KR20100081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7312307P 2007-09-17 2007-09-17
US60/973,123 2007-09-17
US11/948,868 US20090075790A1 (en) 2007-09-17 2007-11-30 Combination anchor for an exercise device
US11/948,868 2007-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989A true KR20100081989A (ko) 2010-07-15

Family

ID=4045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215A KR20100081989A (ko) 2007-09-17 2008-09-16 운동 기구용 컴비네이션 앵커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90075790A1 (ko)
EP (1) EP2190538A4 (ko)
JP (1) JP2010538768A (ko)
KR (1) KR20100081989A (ko)
CN (1) CN101815560B (ko)
AU (1) AU2008302431A1 (ko)
BR (1) BRPI0816021A2 (ko)
CA (1) CA2699963A1 (ko)
CO (1) CO6270248A2 (ko)
IL (1) IL204529A0 (ko)
MX (1) MX2010002793A (ko)
NZ (1) NZ584641A (ko)
RU (1) RU2483775C2 (ko)
UA (1) UA101163C2 (ko)
WO (1) WO20090391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349A (ko) * 2014-10-22 2016-05-02 홍성균 저항 운동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5053A1 (en) * 2003-04-09 2009-04-23 Randal Hetrick Combination grip for an exercise device
US7806814B2 (en) * 2003-04-09 2010-10-05 Fitness Anywhere, Inc. Combination grip for an exercise drive
US7044896B2 (en) * 2003-04-09 2006-05-16 Fitness Anywhere, Inc. Exercise device including adjustable, inelastic straps
US7946970B2 (en) * 2008-11-24 2011-05-24 Garza Jr Gerardo Exercise kit
US8075462B1 (en) 2010-01-28 2011-12-13 Robert S. Hinds Elastic member exercise device
US8197392B2 (en) * 2010-08-03 2012-06-12 Astone Fitness Ltd. Suspendible exercise straps
WO2012027371A1 (en) 2010-08-24 2012-03-01 Jon Hinds Suspension training exercise device
AU2012214482B2 (en) 2011-02-08 2017-05-25 Pursue Movement,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US8944976B2 (en) 2011-09-01 2015-02-03 The Hygenic Intangible Property Holding Company LLC Exercise device
EP2764896A1 (en) 2013-01-03 2014-08-13 KamiMise Srl Strap device for isometric exercise
US20140228180A1 (en) * 2013-02-13 2014-08-14 Christopher N. Walker Multi-function Jump Rope and Resistance Band
US9486663B2 (en) 2013-03-14 2016-11-08 12Novem Industries,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US9022908B2 (en) 2013-03-14 2015-05-05 Hygenic Intangible Property Holding Co. Exercise device
US9586074B2 (en) * 2013-03-18 2017-03-07 Julien Autogue Portable collaborative exercise device
RU2600699C2 (ru) * 2013-08-20 2016-10-27 Андрей Борисович Лисков Лыжный тренажер
SG11201602909UA (en) * 2013-10-17 2016-05-30 Michael Wayne Tang A fitness device and exercise method for generating opposing muscle resistance
CN203763761U (zh) * 2014-04-10 2014-08-13 张仲甫 拉绳运动器结构
US9808666B1 (en) 2014-04-21 2017-11-07 Colin M. BURKINSHAW Full body exercise apparatus
US8979716B1 (en) 2014-06-20 2015-03-17 Kenneth C. Rawlins Portable exercise equipment
RU2567715C1 (ru) * 2014-12-29 2015-11-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кадемия Федеральной службы охра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Академия ФСО России) Тренажер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содержащий неэластичные ленты и взаимозаменяемые части
US10486008B2 (en) * 2016-12-26 2019-11-26 Liron Prihar Looped suspension exercise system
US10898751B2 (en) * 2017-05-05 2021-01-26 Auster Enterprises Limited Strap-based exercise system
US20190201732A1 (en) * 2018-01-02 2019-07-04 Chung-Fu Chang Belt pulling exercise apparatus
US10953302B2 (en) 2018-06-29 2021-03-23 Palladium Safety Solutions, Inc. Guard to limit abrasions during use of gymnastics rings and method of using same
USD998069S1 (en) 2021-01-05 2023-09-05 Joshua Hunter Resistance band sleeve

Family Cites Families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3725A (en) * 1940-03-25 1941-03-04 Begin Lucien Clothesline bracket
CH300351A (de) * 1952-05-28 1954-07-31 Henry Gehri Fritz Gymnastikgerät.
US3411776A (en) * 1961-06-12 1968-11-19 Edgar E Holkesvick Reciprocating friction-type exercising device
US3369809A (en) * 1965-05-11 1968-02-20 Harry L. Morrill Jr. Isometric type exercising device
US3532189A (en) * 1968-02-02 1970-10-06 Louis R Wade Adjustable brake apparatus for flexible material
US3608900A (en) * 1969-04-09 1971-09-28 Harold Dee Welch Frictional resistant exercising device
US3677543A (en) * 1970-09-30 1972-07-18 John H Richardson Elastic pull type exerciser
US3910578A (en) * 1972-05-15 1975-10-07 Jr William H Brine Lacrosse stick
US3752474A (en) * 1972-07-20 1973-08-14 Boulevard De Dixmoule Arm and leg push pull type exercising device
US3979114A (en) * 1975-06-12 1976-09-07 Codina Anthony E Push-pull type exercising device
US4059265A (en) * 1976-01-22 1977-11-22 Wieder Horst K Elastic pull-type exerciser
US4060240A (en) * 1976-04-19 1977-11-29 Dunston Virgil M Push pull exercising device
US4245839A (en) * 1978-08-03 1981-01-20 Trent Stanley G Exercise device for running in place
US4343466A (en) * 1979-11-15 1982-08-10 Evans Roger C Frictional resistance type exerciser and method of forming an exercising device
US4441707A (en) * 1981-07-15 1984-04-10 Bosch Jack L Isometric exerciser belt for joggers and the like
US4466612A (en) * 1981-11-16 1984-08-21 Marczewski George B Adjustable resistance exercising device
US4522391A (en) * 1982-05-24 1985-06-11 George Rundall Exercising device
US4560160A (en) * 1984-06-18 1985-12-24 Smith Brian C Exercise device for swimmers
US4779867A (en) * 1986-07-01 1988-10-25 Lifeline International, Inc. Elastic cable exerciser
FR2605232B1 (fr) * 1986-10-17 1989-05-19 Moreno Gilbert Poignee d'exerciseur
US4685671A (en) * 1986-10-31 1987-08-11 Sport Cord, Inc. Multi-purpose exerciser
US5556369A (en) * 1986-11-10 1996-09-17 Roberts; William J. Exercise device
US4733862A (en) * 1987-04-20 1988-03-29 Miller Jack V Elastic resistance exerciser
US4909505A (en) * 1988-10-18 1990-03-20 Tee Virgil J Selectively connectable elastomeric exercise apparatus
US5299137A (en) * 1990-04-05 1994-03-29 Vlsi Technology, Inc. Behavioral synthesis of circuits including high impedance buffers
US5217029A (en) * 1990-10-22 1993-06-08 Shields James F Therapeutic glove
US5131650A (en) * 1990-12-27 1992-07-21 Hall Ellen P Exercise device
US5100129A (en) * 1990-12-28 1992-03-31 Porter E Illene Lower leg exercise device
US5186698A (en) * 1991-06-20 1993-02-16 Breg, Inc. Ankle exercise system
US5209712A (en) * 1991-06-24 1993-05-11 Frederic Ferri Proprioceptive exercise, training and therapy apparatus
US5352174A (en) * 1991-07-26 1994-10-04 Breg, Inc. Shoulder exercise system
US5254065A (en) * 1991-12-16 1993-10-19 Pollock Todd E Flexible loop fastening strap supportable in door structure
US5234395A (en) * 1992-01-30 1993-08-10 Miller Jack V Adjustable asymmetric-resistance upper body exerciser
US5624360A (en) * 1992-12-03 1997-04-29 Wilkins; Chester Total gym
AU665870B2 (en) * 1992-12-08 1996-01-18 Adsett, Ashley B Exercise device
US5352172A (en) * 1993-10-25 1994-10-04 Kiyoshi Suzaki Rope exerciser
US5518486A (en) * 1995-02-13 1996-05-21 Sheeler; Judith M. Exercise strap device
US5571064A (en) * 1995-05-26 1996-11-05 Holm; James E. Elastic exercise device with segmented handle
US5842961A (en) * 1995-08-04 1998-12-01 The Jim Davis Connection, Llc Exercise machine
US5871424A (en) * 1995-12-18 1999-02-16 Conner; Gary W. Port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abdominal muscles
US5910073A (en) * 1995-12-18 1999-06-08 Conner; Gary W. Apparatus for exercising abdominal muscles and method
US5795274A (en) * 1996-05-09 1998-08-18 Lawrence C. Chasin Portable exercise pulley belt apparatus
US6102837A (en) * 1996-08-12 2000-08-15 Vital Visions, Inc. Rope exercise device
US5800322A (en) * 1996-09-30 1998-09-01 Spri Products, Inc. Exercise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handles of the device
US5807214A (en) * 1997-03-06 1998-09-15 The Hygenic Corporation Connector for securing an exercise member
US5916070A (en) * 1997-10-31 1999-06-29 Donohue; James P. Exercise device
US6450929B1 (en) * 1998-03-16 2002-09-17 Douglas J. Markham Door mounted exercizing device
WO2000069524A1 (en) * 1999-05-14 2000-11-23 Frank Rotella Adjustable strap and band exercise device mountable on door
WO2001015104A1 (en) * 1999-08-26 2001-03-0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Magnetic sensor
US6500103B2 (en) * 1999-10-08 2002-12-31 Edward L. Porter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US6258011B1 (en) * 1999-11-20 2001-07-10 Kedric R. Wolfe Wall apparatus for supporting an exercise device
US20020022555A1 (en) * 1999-12-20 2002-02-21 Nesci Joseph M. Portable doorway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body strengthening and conditioning
US6368258B1 (en) * 2000-05-02 2002-04-09 Edward J. Emlaw Exercise system
US6348026B1 (en) * 2001-03-08 2002-02-19 Johnson Kuo Pulling exerciser
US20020187885A1 (en) * 2001-05-18 2002-12-12 Chung-Min Liao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MXPA04001662A (es) * 2001-08-22 2004-11-22 S Flynn Thomas Metodo y aparato para hacer ejercicios de esfuerzo.
US6921354B1 (en) * 2002-01-15 2005-07-26 Tessema Dosho Shifferaw Exercise harness and method
US6908418B2 (en) * 2002-02-15 2005-06-21 Saure Paul Door mounted deadman for exercise devices
US20050085350A1 (en) * 2002-05-23 2005-04-21 Charles Shen Swiveling exercise strap for stretching
US6662651B1 (en) * 2002-08-15 2003-12-16 Javelin Sports, Inc. Portable exercise device
US7090622B2 (en) * 2003-04-09 2006-08-15 Fitness Anywhere, Inc. Exercise device grips and accessories for exercise devices
US7044896B2 (en) * 2003-04-09 2006-05-16 Fitness Anywhere, Inc. Exercise device including adjustable, inelastic straps
US7806814B2 (en) * 2003-04-09 2010-10-05 Fitness Anywhere, Inc. Combination grip for an exercise drive
US7125371B2 (en) * 2003-07-02 2006-10-24 Alasdair David Henderson Adjustable bodyweight exercise apparatus
US20050239617A1 (en) * 2004-04-22 2005-10-27 Rosanna Tenaglia Exercise equipment system
US7255666B2 (en) * 2004-09-03 2007-08-14 Cardenas Anthony J Multi-function swing apparatus for total-body exercise, stretching, yoga, spinal traction, gymnastics, inversion therapy, spinal manipulation and weightless coupling and sky chair
US20060084556A1 (en) * 2004-10-18 2006-04-20 Mark Payne Exercise apparatus
JP2006311874A (ja) * 2005-05-06 2006-11-16 Tento Yobo Wo Kangaerukai 筋力訓練装置
US7625325B1 (en) * 2005-05-19 2009-12-01 Raymond Gerald Yost Exercise cord wall mount
US7291099B1 (en) * 2005-06-09 2007-11-06 Marczewski George B Portable fitness device
US20070173383A1 (en) * 2006-01-25 2007-07-26 Feigenbaum Aaron D Portable exercise apparatus
US7785244B2 (en) * 2007-09-17 2010-08-31 Fitness Anywhere Inc. Combination grip for an exercise device
US7762932B2 (en) * 2007-09-17 2010-07-27 Fitness Anywhere, Inc. Inelastic exercise device having a limited range
US7608025B1 (en) * 2008-04-30 2009-10-27 Best Martin C Compact exercise and strength measuring device
US7946970B2 (en) * 2008-11-24 2011-05-24 Garza Jr Gerardo Exercise kit
US7785243B2 (en) * 2008-12-29 2010-08-31 Bodylastics Int., Inc. Resistance training exercise device, system and method
US7819787B2 (en) * 2008-12-29 2010-10-26 Bodylastics International, Inc. Resistance training exercise device, system and method
RU84722U1 (ru) * 2008-12-30 2009-07-20 Николай Владимирович Долинов Спортивный тренажер
US8142337B2 (en) * 2009-01-04 2012-03-27 Hall William B Exercise pole device
US7976445B2 (en) * 2009-05-21 2011-07-12 Nabile Lalaoua Door mounted gy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349A (ko) * 2014-10-22 2016-05-02 홍성균 저항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84641A (en) 2012-11-30
JP2010538768A (ja) 2010-12-16
RU2010112480A (ru) 2011-10-27
CO6270248A2 (es) 2011-04-20
CN101815560A (zh) 2010-08-25
UA101163C2 (ru) 2013-03-11
US20090075790A1 (en) 2009-03-19
EP2190538A1 (en) 2010-06-02
CN101815560B (zh) 2013-03-27
EP2190538A4 (en) 2014-05-07
CA2699963A1 (en) 2009-03-26
BRPI0816021A2 (pt) 2012-03-27
MX2010002793A (es) 2010-08-03
WO2009039110A1 (en) 2009-03-26
RU2483775C2 (ru) 2013-06-10
IL204529A0 (en) 2010-11-30
AU2008302431A1 (en) 200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1989A (ko) 운동 기구용 컴비네이션 앵커
KR20100100756A (ko) 비탄성 스트랩 및 상호교환가능한 부분을 구비하는 운동기구
KR20100100759A (ko) 제한된 범위를 가지는 비탄성 운동 기구
KR101142216B1 (ko) 운동 기구용 컴비네이션 그립
EP1945319B1 (en) Combination grip for an exercise device
KR20100100758A (ko) 운동 기구용 컴비네이션 그립
US7785244B2 (en) Combination grip for an exercise device
CA2634464C (en) Exercise device with adjustable inelastic straps
US20090075787A1 (en) Exercise device having a door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