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291A - 젤라틴 나노입자 - Google Patents

젤라틴 나노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291A
KR20100081291A KR1020100063172A KR20100063172A KR20100081291A KR 20100081291 A KR20100081291 A KR 20100081291A KR 1020100063172 A KR1020100063172 A KR 1020100063172A KR 20100063172 A KR20100063172 A KR 20100063172A KR 20100081291 A KR20100081291 A KR 20100081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atin
nanoparticles
solvent
added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희
Original Assignee
임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광희 filed Critical 임광희
Priority to KR102010006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1291A/ko
Publication of KR2010008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9Proteins, e.g. albumin,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92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Abstract

본 발명은 젤라틴 나노입자와 그 제조방법으로서 나노침전에 관한 것이다. 젤라틴은 상대적으로 낮은 항원성을 가지며 비경구적 제제에 많이 쓰인다. 또한 젤라틴은 여러 가지 많은 관능기를 가지고 있는 단백질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타겟팅 리간드, 가교제 및 차폐물질 등의 커플링을 통하여 구조를 다중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백신의 안정제로 쓰이며, FDA로부터 혈관외부의 투약 승인이 되었다. 한편 외부로부터 인체 내부로의 약물전달을 위하여 약물은 약물전달매체인 나노입자 매트릭스에 용해, 고정화, 캡슐화 내지는 흡착된다. 장의 흡수에서 나노입자 크기와는 별개로 나노입자의 고유특성 및 전하특성은 장의 상피세포에 의한 흡수에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이 나노입자는 마이크로입자에 비하여 더 높은 세포내 흡수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현저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젤라틴의 친수성은 친수성약물의 젤라틴 나노입자 내부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확산에 의한 약물전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젤라틴 나노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에멀젼/용매증발법, Reverse phase 제조법, Coacervation/desolvation법 등이 최근까지 사용되어 200-500nm의 젤라틴 나노입자를 제조하였으나 안정성 등에서 문제가 되어 왔고 나노입자의 크기가 세포흡수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인자이므로, 젤라틴 나노입자의 적용성 및 세포흡수율의 개선을 위하여 안정성이 있고 더욱 작은 젤라틴 나노입자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젤라틴 나노입자 제조를 위하여 용매로서 정제수를 사용하여 젤라틴을 약 40-60℃에서 용해시킨, 약물이 첨가 또는 첨가되지 않은,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비용매로서 극성유기용제인 에탄올, n-프로파놀 및 메탄올 중의 하나에 젤라틴 수용액을 방울방울 첨가함으로써, 젤라틴 수용액 액적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용매인 물의 방출에 의해 발생하는 액적의 계면난류에 의해 생성되는 50-150nm의 균일한 젤라틴 나노입자를, 계면활성제농도, 계면활성제 첨가시간, 용매의 젤라틴농도 및 비용매 부피와 같은 적정공정변수를 구축하여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젤라틴 나노입자{Gelatine nano-particle}
본 발명은 젤라틴 나노입자와 그 제조방법으로서 nano-precipitation에 관한 것이다. 젤라틴은 상대적으로 낮은 항원성을 가지며 비경구적 제제에 많이 쓰인다. 또한 젤라틴은 여러 가지 많은 관능기를 가지고 있는 단백질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타겟팅 리간드, 가교제 및 차폐물질 등의 커플링을 통하여 구조를 다중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백신의 안정제로 쓰이며, FDA로부터 혈관외부의 투약 승인이 되었다. 젤라틴의 친수성은 Tizanidine hydrochloride와 Gatifloxacin을 포함하는 수용성 약제, 단백질 또는 핵산계 약제의 젤라틴 나노입자 내부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단백질의 unfolding을 방지하고 핵산약물의 생체적 activity를 보존하고, 확산에 의한 약물전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젤라틴의 친수성은 면역체계로부터 보호될 수 있어서 젤라틴 나노입자는 인체 내에서의 순환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인체 내부로의 약물전달을 위하여 약물은 약물전달매체인 나노입자 매트릭스에 용해, 고정화, 캡슐화 내지는 흡착된다. 장의 흡수에서 나노입자 크기와는 별개로 나노입자의 고유특성 및 전하특성은 장의 상피세포에 의한 흡수에 영향을 준다. Rejman 등[Biochem. J. Immediate Publication, BJ20031253, 2003]은 나노입자의 크기가 세포흡수에 큰 영향을 주며 50nm입자에 비하여 200nm입자의 흡수율은 3-4배 낮고 200-500nm 입자의 흡수율은 8-10배 적어지며, 한편 1μm 보다 큰 입자는 세포흡수가 관찰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나노입자는 마이크로입자에 비하여 더 높은 세포내 흡수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현저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젤라틴 나노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에멀젼/용매증발법, reverse phase 제조법, coacervation/desolvation법 등이 최근까지 사용되었으나, 안정성, 유기용매 및 계면활성제의 사용 및 이에 따른 정제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있어 왔다. Coacervation/desolvation법은 친수성 콜로이드 bulk 용액에 이물질을 첨가하거나 온도를 변화시키는 등의 조작에 의한 dehydration을 통하여 액-액 상분리를 수행하여 polymer-rich dense상(coacervate)을 생성시키는 방법으로서, Kaul and Amiji[Pharm. Research 19(7), 2002]가 이 방법으로써, 에탄올을 젤라틴 bulk 용액으로 첨가하여 그 혼합물을 지속적으로 교반하면서 젤라틴침전을 조절하여 200-500nm의 젤라틴 나노입자를 제조한 것이 최근에 보고되고 있다. 한편 Fessi, H.C. et al.[미국특허출원 593,522, 1990]은 PLGA 또는 PLA와 같은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하여 비용매에 첨가하여서 500nm 미만의 폴리머 나노입자를 nano-precipitation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나, 그들의 용매(1)와 비용매(2)의 조합은 (유기용매(1), 수용매(2)), (유기용매(1), 유기용매(2)), (수용매(1), 수용매(2))에 한정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젤라틴 나노입자와 그 제조방법으로서, 약물이 첨가되거나 첨가되지 않은 젤라틴 수용액으로부터의 최근에 보고된 젤라틴 나노입자 크기인 200 내지 500nm 보다 더욱 작은 50 내지 150nm의 젤라틴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젤라틴 나노입자와 그 제조방법으로서, 용매(1)로서 정제수(수용매)를 사용하고, 비용매(2)로서 에탄올, n-프로파놀 및 메탄올을 포함하는 극성의 유기용매 중의 하나 또는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약물이 첨가되거나 첨가되지 않은 젤라틴 수용액 액적으로부터의 nano-precipitation법을 이용하여 50 내지 150nm의 젤라틴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젤라틴 나노입자 제조를 위하여 용매로서 정제수를 사용하여 젤라틴을 약 40-60℃에서 용해시킨, 약물이 첨가 또는 첨가되지 않은, 젤라틴 수용액을 제조하고, 비용매로서 에탄올, n-프로파놀 및 메탄올을 포함하는 극성의 유기용매 중의 하나 또는 혼합물에 약물이 첨가 또는 첨가되지 않은 젤라틴 수용액을 방울방울 떨어뜨리거나 지속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젤라틴 수용액 액적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용매인 물의 방출에 의해 생성되는 액적의 계면난류에 의해 생성되는 50 내지 150nm의 젤라틴 나노입자를, 계면활성제농도, 계면활성제 첨가시간, 용매의 젤라틴농도 및 비용매 부피와 같은 적정공정조건을 구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약물이 첨가되거나 첨가되지 않은 젤라틴 수용액 액적으로부터 50 내지 150nm 미만의 젤라틴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현재 Coacervation/desolvation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200 내지 500nm의 나노입자보다 배로 적은 입자를 제조하여 나노입자의 size-reduction을 통한 더 높은 세포내 흡수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현저한 장점을 유도하고, 또한 coacervation/desolvation법에 의하여 제조된 젤라틴 나노입자보다 보다 안정성이 있는 젤라틴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젤라틴나노입자의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EM)를 도시한 도면
도 2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대조구의 젤라틴나노입자의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EM)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서는 젤라틴 나노입자 제조를 위하여 용매로서 정제수를 사용하여 젤라틴을 약 40-60℃에서 용해시킨, 약물이 첨가 또는 첨가되지 않은, 수용액을 제조하고, 비용매로서 극성유기용매인 에탄올, n-프로파놀 및 메탄올 중의 하나 또는 혼합물에 약물이 첨가 또는 첨가되지 않은 젤라틴 수용액을 방울방울 떨어뜨리거나 지속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젤라틴 수용액 액적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용매인 물의 방출에 의해 발생하는 액적의 계면난류에 의해 생성되는 50 내지 150nm의 젤라틴 나노입자를, 계면활성제농도, 계면활성제 첨가시간, 용매의 젤라틴농도 및 비용매 부피와 같은 적정공정조건을 구축하여 제조한다. 친수성인 젤라틴 나노입자는 수용성 약제의 carrier로서 적용이 용이하고, 혐수성 고분자와는 다르게 단백질 및 핵산계 약제가 folding structure를 가지게 하여 단백질 및 핵산계 약제가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게 한다. 또한 친수성인 젤라틴 나노입자는 면역체계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젤라틴 나노입자의 인체 내부에서의 순환시간이 혐수성 입자보다 상대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Nano-precipitation법에 의하여 생성되는 나노입자의 생성은 액적내부 용매의 외부로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 계면난류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nano-precipitation법에서는 전술한 coacervation/desolvation법에서처럼 나노입자생성을 위하여 혼합물을 장기간 동안 교반할 필요가 없다. 이 계면난류는 내부에서 빠르고 불규칙하게 고동치는 액적의 국부적으로 낮아진 계면장력에 기인하며, 그 고동은 점성 드랙에 의하여 빨리 소진된다. 계면난류의 분자적 메카니즘은 액적계면에서의 용매 에디의 지속적인 생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런 에디는 나노입자생성시스템에서 액적이 생성되는 동안 또는 열적 불균일성에서 생겨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적이 함유하는 젤라틴은 응집하여 젤라틴 나노입자를 생성한다. 젤라틴은 복잡한 분자구조를 가진 친양쪽성체로서, 글라이신, 프라린 및 하이드록시플라린과 같은 친수성 아미노산과 트립토판, 티로신, 알라닌, 레우신, 아이소레우신 등과 같은 혐수성 아미노산을 동시에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생성된 젤라틴 나노입자는 친양쪽성으로 에탄올, n-프로파놀 및 메탄올을 포함하는 극성의 유기용매 상에서 계면활성제 내부의 혐수성 핵 부분으로 둘러싸여서 젤라틴 나노입자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둘러싸인 젤라틴의 혐수성 측쇄가 계면활성제의 혐수성 부분과 접하게 된다. 계면활성제로서는 FDA에서 승인된 비독점적 명칭으로서 poloxamer인, 에틸렌 옥사이드(A)(ethylene oxide)와 프로필렌 옥사이드(B)(propylene oxide)가 기본적인 A-B-A 블록구조로 구성되어 친양쪽성체인 pluronic block copolymer(비독점적 이름은 poloxamers이다.)를 포함한다. Pluronic micelle은 구형으로서 혐수성인 프로필렌 옥사이드 핵과 관상의 친수성 에틸렌 옥사이드로 구성된다.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젤라틴 나노입자가 생성되고 나노입자끼리 뭉쳐지지 않는 안정성이 있으나, 젤라틴 나노입자가 물에 재용해되지 않도록 젤라틴입자 내부를 가교시키기 위한 가교제를 적용할 때에 젤라틴 나노입자 간의 뭉쳐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정제로서 계면활성제를 적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글루타알데히드(Gluta-aldehyde)를 포함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용매(1)로서 정제수(수용매)를, 비용매(2)로서 에탄올(유기용매)을 적용하였을 때의 nano-precipitation법에 의한 젤라틴 나노입자제조의 주요공정조건 변화에 따른 결과 및 약물을 loading한 젤라틴 나노입자에 대한 결과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결과를, 젤라틴 나노입자 생성을 위하여 용매(1)가 dimethyl sulfoxide(DMSO)와 같은 유기용매이고, 비용매(2)도 에탄올과 같이 유기용매인 경우를 대조구로서 상호 비교하였다.
실시예 1.
젤라틴나노입자의 제조
젤라틴 1.25g을 100ml의 정제수에 60℃에서 용해시키고 교반한 용액 1ml를 취해서, 계면활성제로서 2%의 pluronic-127을 포함한 20ml의 에탄올용액에 방울방울 첨가하였다. 에탄올용액 내부에서 젤라틴나노입자가 생성되어서 투명한 용액이 혼탁해졌다. 15분 후에 가교제로서 5% 글루타알데히드용액 30μl를 첨가하고, 생성된 젤라틴나노입자를 가교시키기 위하여 약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젤라틴나노입자를 포함한 용액은 12000g 원심분리기에 의한 15분 동안의 원심분리 후에 supernatant를 제거하고, 1차 분리된 젤라틴나노입자를 정제수를 첨가한 후에 흔들어서 분산시키고, 전술한 원심분리작업을 반복한 후에 supernatant를 제거하고 2차 분리된 젤라틴나노입자에 3ml 정제수를 첨가하여 재분산한 후에 동결하고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 건조시킨 젤라틴나노입자를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으로 관찰하였고, 도 1에서처럼 50 내지 150nm의 구형 또는 hexagonal형의 매우 균일한 매트릭스상의 젤라틴 나노입자를 생성하였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대한 대조구에서의 젤라틴 나노입자는 도 2에서처럼 직육면체를 포함한 여러 형태를 가지며 입자의 크기도 매우 불균일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1에서의 계면활성제 농도변화
실시예 1의 제조공정을 적용하였으나,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가교제를 사용하면서 계면활성제농도를 0.5, 1.0, 1.5 및 실시예 1에서와 같은 2.0%로 증가시켰다. 계면활성제 및 가교제를 사용하자 않았을 때에 젤라틴 수율은 30.8%이었으나, 가교제를 사용하면서 계면활성제농도를 0.5, 1.0, 1.5 및 2.0%로 증가하면서 젤라틴수율은 29.3, 14.6, 12.8 및 11.7%로 각각 미량 감소하였고 계면활성제농도가 0.5% 이하에서 젤라틴나노입자가 응집되는 불안정성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대한 대조구에서도 계면활성제농도가 0.5% 이하에서 젤라틴나노입자가 응집되는 불안정성이 관찰되었으나, 계면활성제농도가 1.0% 이상에서 대조구의 젤라틴 수율은 본 발명의 수율보다 배 이상 적었고 계면활성제농도가 증가할수록 젤라틴 수율은 본 발명에서와 다르게 급속히 감소하여 계면활성제농도가 2.0%일 때는 젤라틴 수율은 본 발명의 7%에 불과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1에서의 계면활성제 첨가시간 변화
계면활성제를 젤라틴나노입자 생성 후 5분, 10분, 15분, 1시간, 3시간, 5시간 및 24시간에 2% 첨가를 하였을 때에 젤라틴수율이 각각 9.2, 9.8, 8.4, 13.0, 17.0, 17.8 및 21.6%로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1시간 이후부터는 젤라틴나노입자의 cluster 크기가 커지면서 젤라틴나노입자의 응집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대한 대조구에서는 5분, 10분 및 15분의 계면활성제의 첨가시간에서 젤라틴수율이 1.2%, 7.2% 및 8.4%로 급등하여서 계면활성제 첨가시간에 대한 젤라틴수율의 안정성이 본 발명에 미치지 못 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1에서의 용매에서의 젤라틴농도변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계면활성제와 젤라틴 비는 32 대 1로, 비용매 부피는 20ml로, 글루타알데히드와 젤라틴 비는 0.12 대 1로 유지하였다. 실시예 1에서는 0.0125g/ml인 용매에서의 젤라틴농도를 0.02g/ml, 0.03g/ml 및 0.04g/ml로 증가시키며 변화시켰다. 실시예 1의 젤라틴농도가 0.0125g/ml의 경우에는 젤라틴 수율이 11.7%이었는데, 젤라틴농도가 0.02g/ml 및 0.03g/ml로 증가하였을 때에는 젤라틴나노입자가 안정성이 있어서 응집 침전이 육안으로 보이지 않았고 젤라틴 수율은 각각 14.4% 및 30.1%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젤라틴농도가 0.04g/ml인 경우에는 젤라틴수율은 56%로 까지 증가하였지만 젤라틴 나노입자의 응집침전이 관찰되었다. 젤라틴입자크기는 각각 200nm, 250nm 및 300nm로 증가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대조구에서는 더 낮은 젤라틴농도인 0.03g/ml 및 0.04g/ml에서 젤라틴나노입자의 응집침전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1에서의 비용매 부피의 변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계면활성제와 젤라틴 비는 32 대 1로 유지하고, 실시예 1에서는 0.0125g/ml인 용매에서의 젤라틴농도를 0.02g/ml로 고정시켰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글루타알데히드와 젤라틴 비는 0.12 대 1로 유지하면서 비용매 부피를 20ml, 10ml 및 5ml로 감소시켰다. 비용매의 부피가 10ml 및 5ml의 경우 젤라틴입자의 크기는 각각 약 200nm 및 700nm로서 급속히 증가하였다. 또한 비용매부피가 감소할수록 젤라틴 수율은 각각 14.5%, 23.7% 및 53.5%로 증가였으나 비용매 부피가 5ml의 경우에는 젤라틴나노입자의 응집침전이 육안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대조구에서는 젤라틴 수율이 약 15%로서 변화가 거의 없었다.
실시예 6.
실시예1에서의 비용매 종류의 변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이나 비용매를 같은 부피의 메탄올 또는 n-프로파놀로 치환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이 비용매가 에탄올인 경우는 젤라틴 수율이 11.7%이었고, 비용매가 메탄올 및 n-프로파놀인 경우에는 젤라틴 수율이 각각 34.8% 및 41.3%로 증가하였으나 젤라틴나노입자의 응집침전이 육안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대조구에서 같은 방법으로 비용매를 치환하였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젤라틴나노입자의 응집침전이 관찰되었으나 젤라틴수율은, 비용매가 에탄올인 경우는 0.8%이었고 비용매가 메탄올 및 n-프로파놀인 경우에는 각각 11.2% 및 37.6%로서 급증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1에서의 계면활성제와 가교제의 비첨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이나 계면활성제와 가교제를 적용하지 아니하였다. 200nm 미만의 젤라틴나노입자가 생성되었으나 12시간 동안의 stirring 후에 응집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8.
젤라틴나노입자에 loading Tizanidine hydrochloride
Tizanidine hydrochloride 250mg을 정제수 100ml에 실온에서 용해시킨 Tizanidine hydrochloride 수용액에 젤라틴 2.00g을 첨가하여, 5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젤라틴이 용해된 Tizanidine hydrochloride 수용액 2ml를 취해서, 계면활성제 Pluronic 1.28g 및 5%w/v glutaraldehyde 96μl를 첨가한 에탄올 30ml에 방울방울 첨가하고 생성된 Tizanidine hydrochloride를 loading한 젤라틴나노입자를 12시간 동안 가교시켰다. 이 suspension을 12000g 원심분리기에서 15분 동안의 원심분리를 두 번 실시하였다. 분리된 pellet을 물에 재분산하고 동결건조시켰다. Tizanidine hydrochloride을 loading한 젤라틴 나노입자를 phosphate buffer pH 6.8 미디움에 첨가한 후에 단백질분해 효소인 trypsin 5mg을 미디움에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진탕하면서 젤라틴을 분해하여 loading되었던 Tizanidine hydrochloride를 미디움으로 방출하였다. 그 미디움 10ml를 취하고 UV-분광광도계 286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Tizanidine hydrochloride의 검정선을 이용하여 방출된 Tizanidine hydrochloride의 양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Tizanidine hydrochloride의 양으로 계산된 drug loading 효율은 약 14%이었다.
실시예 9.
젤라틴나노입자에 loading Gatifloxacin
Gatifloxacin 250mg을 정제수 100ml에 실온에서 용해시킨 Gatifloxacin 수용액에 젤라틴 2.00g을 첨가하여, 5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젤라틴이 용해된 Gatifloxacin 수용액 2ml를 취해서 에탄올 30ml에 방울방울 첨가한 직후에 바로 Gatifloxacin을 loading한 젤라틴나노입자가 분산된 suspension을 원심분리하였다. 분리된 pellet을 물에 재분산하고 동결건조시켰다. Gatifloxacin을 loading한 젤라틴 나노입자를 phosphate buffer pH 7.4 미디움에 첨가한 후에 단백질분해 효소인 trypsin 5mg을 미디움에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진탕하면서 젤라틴을 분해하여 loading되었던 Tizanidine hydrochloride를 미디움으로 방출하였다. 그 미디움 10ml를 취하고 UV-분광광도계 319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Gatifloxacin의 검정선을 이용하여 방출된 Gatifloxacin의 양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Gatifloxacin의 양으로 계산된 drug loading 효율은 약 15%이었다.
부호없음.

Claims (2)

  1. 용매로서 정제수를 사용하여 젤라틴을 40-60℃에서 용해시킨, 약물이 첨가된 젤라틴 수용액을 제조하고;
    비용매로서 에탄올, n-프로파놀 및 메탄올을 포함하는 극성의 유기용매 중의 하나 또는 혼합물에, 상기 약물이 첨가된 젤라틴 수용액을 방울방울 떨어뜨리거나 지속적으로 첨가하여;
    첨가된 상기 젤라틴 수용액 액적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용매인 물의 방출에 의해 발생하는 액적의 계면난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이 entrap되는 젤라틴 나노입자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크기가 200n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 나노입자
  2. 용매로서 정제수를 사용하여 젤라틴을 40-60℃에서 용해시킨, 약물이 첨가된 젤라틴 수용액을 제조하고;
    비용매로서 에탄올, n-프로파놀 및 메탄올을 포함하는 극성의 유기용매 중의 하나 또는 혼합물에, 상기 약물이 첨가된 젤라틴 수용액을 방울방울 떨어뜨리거나 지속적으로 첨가하여;
    첨가된 상기 젤라틴 수용액 액적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용매인 물의 방출에 의해 발생하는 액적의 계면난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이 entrap되는 젤라틴 나노입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투입공정 및 가교제를 투입하는 공정들이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라틴 나노입자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나노입자의 크기가 50 내지 150nm인 구형 또는 hexagonal을 포함한 다변형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상의 젤라틴 나노입자
KR1020100063172A 2010-06-30 2010-06-30 젤라틴 나노입자 KR20100081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172A KR20100081291A (ko) 2010-06-30 2010-06-30 젤라틴 나노입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172A KR20100081291A (ko) 2010-06-30 2010-06-30 젤라틴 나노입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380A Division KR101076133B1 (ko) 2008-01-28 2008-01-28 젤라틴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291A true KR20100081291A (ko) 2010-07-14

Family

ID=4264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172A KR20100081291A (ko) 2010-06-30 2010-06-30 젤라틴 나노입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12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033A (ko) 2021-08-23 2023-03-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젤라틴 가교입자의 제조 방법
KR20240015203A (ko) 2022-07-26 2024-02-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작물 생장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033A (ko) 2021-08-23 2023-03-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젤라틴 가교입자의 제조 방법
KR20240015203A (ko) 2022-07-26 2024-02-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작물 생장 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na et al. Alginate based nanocarriers for drug delivery applications
Sadeghi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desolvating agents on BSA nanoparticle properties and encapsulation of curcumin
Mora-Huertas et al. Polymer-based nanocapsules for drug delivery
Hofer et al. Recombinant spider silk particles for controlled delivery of protein drugs
Wang et al. Fabrication of drug-loaded biodegradable microcapsules for controlled release by combination of solvent evaporation and layer-by-layer self-assembly
Luo et al. Zein‐based micro‐and nano‐particles for drug and nutrient delivery: A review
Haggag et al. Preparation and in vivo evaluation of insulin-loaded biodegradable nanoparticles prepared from diblock copolymers of PLGA and PEG
Wei et al. Chitosan nanoparticles as particular emulsifier for preparation of novel pH-responsive Pickering emulsions and PLGA microcapsules
Bulmer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chitosan nanoparticles for controlled release of rHu-Erythropoietin
Shu et al. Hollow and degradable polyelectrolyte nanocapsules for protein drug delivery
Reis et al. Preparation of drug-loaded polymeric nanoparticles
Ayoub et al. Study of the effect of formulation parameters/variables to control the nanoencapsulation of hydrophilic drug via double emulsion technique
Joshi et al. Nano-in-micro alginate based hybrid particles
Gupta et al. In vitro cytotoxicity studies of hydrogel pullulan nanoparticles prepared by AOT/N-hexane micellar system
Rahimnejad et al. Investigation and modeling effective parameters influencing the size of BSA protein nanoparticles as colloidal carrier
CA2701377C (en) Dispersion of poloxamer-protein particles,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es thereof
Xiong et 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hybrid biopolymer particles fabricated by co-precipitation cross-linking dissolution procedure
Safdar et 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stability evaluation of ionic liquid blended chitosan tripolyphosphate microparticles
WO2019055539A1 (en) CELLULOSIC POLYMER NANOPARTICL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Rathor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role of nanoparticles in therapeutic delivery of medicine
Dadwal et al. Polymeric nanoparticles as promising novel carriers for drug delivery: an overview
Khan Mini-Revi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the techniques used for preparation of gelatin nanoparticles
Ghasemishahrestani et al. Tunable synthesis of gelatin nanoparticles employing sophorolipid and plant extract, a promising drug carrier
Leo et al. Polymeric nanoparticles as drug controlled release systems: a new formulation strategy for drugs with small or large molecular weight
KR20100081291A (ko) 젤라틴 나노입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026

Effective date: 201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