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942A - 그늘안경 - Google Patents

그늘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942A
KR20100079942A KR1020080138543A KR20080138543A KR20100079942A KR 20100079942 A KR20100079942 A KR 20100079942A KR 1020080138543 A KR1020080138543 A KR 1020080138543A KR 20080138543 A KR20080138543 A KR 20080138543A KR 20100079942 A KR20100079942 A KR 20100079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present
barrel
shade
vi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이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희 filed Critical 이성희
Priority to KR1020080138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9942A/ko
Publication of KR2010007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개구부를 자연의 공간으로 두고 안구주변에 전후 또는 상하로 절첩이 가능한 경통을 가져서 눈주위에 일정한 폭과 길이의 작은 어둠의 장을 형성하여 제작된 안경테몸체 전후확장형식의 그늘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고자하는 사물이 위치한 장의 광도보다 상대적으로 어둡게하여 명암의 차이로 동공의 조절력을 높이고 심리적으로 정서적 안정감을 도모하고 정신집중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안경, 안경테

Description

그늘안경 {EYESHADE SPECTACLES}
본 발명은 그늘안경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눈으로 보는 작용이 그 어느때보다 중대한 현대 정보산업사회에서 컴퓨터, 텔레비죤, 낚시, 야외경기관람 또는 독서등 실내외의 특정대상을 일목요연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안출한 그늘안경 및 이 그늘안경을 모자챙에 부착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안경은 눈보호와 시력교정에 치중하였고, 눈에 그늘을 줌으로 인한 그늘안경의 효용 및 필요성을 무시 내지 간과하여 왔던바,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시정하고 활용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종래에는 절첩식 정신집중모가 특허공개 제89-2904호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절첩식 정신중집모의 경우에는 좌우차양판을 모자챙에 부착하여 제작된 발명이 있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모재챙의 좌우 차양판에 의하여 종래의 모자챙보다 정신집중과 차양효과를 높였으나 아랫방향은 열려있고 또한 빛은 지표면이나 수면으로부터의 반사가 가장 심하나 공지의 발명으로는 이러한 지표면이나 수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은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본발명은 안구전방의 주시공에 렌즈나 투명막등의 일체의 빛여과 또는 투과장치를 장착함이 없이 자연의 공간그대로 두고 안구가 내재한 안와(眼窩)주변의 사면을 일연의 차단판으로 돌출통으로 이루어진 경통으로되게 하여 눈주위에 일정한폭과 길이의 작은 어둠의 장(場)을 형성하여, 보고자하는 사물이 위치한 장의 광도보다 상대적으로 어둡게하여 명암의 차이로 동공의 조절력을 높이고 심리적으로 정서적 안정감을 도모하고 정신집중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발명된 것이다. 사람들은 어떠한 사물을 잘 관찰하기위하여 본능적으로 눈가에 제1도에 예시된바와 같이 손을 동그랗게 하여 경통과 같은 눈그늘을 만들어 사물을 본다. 경험법칙상 주야를 막론하고 실내외, 차안밖등 어두운곳에서 밝은 곳을 볼 때 사물을 인지하기 용이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원리에 착안하여 눈주위에 일정한 폭의 눈그늘 공간을 조성하여 이 그늘을 빛의 통로로 삼아 외부의 제한된 사물을 선명하게 식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특징으로 하고 또한 눈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부수적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물(水)이나 눈(雪) 또는 가상의 현실등을 보는 특수안경중에는 외견상으로 본 발명의 그늘안경과 유사한 디자인도 있으나 본발명은 첫째, 눈앞이 완전히 개방된 공간(空間)인 점에서 상이하고, 둘째, 사면차단막이 눈에 그늘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 구조가 계획되고 입안된 점에 있으며 이 두 사실의 합리적인 결합을 통하여 그늘안경특유의 시각증대효과(視覺增大效果)를 가져오는 점에있어서 근본적으로 다르다. 또, 본 발명은 눈앞(眼前)에 사각통 또는타원형의 통타잎의 공간을 형성하는 경통을 둠으로서(망원경이나 현미경에서의 경통과 같은 기능을 한다.) 빈공간이상의 좋은 안경이 없다는 자연의 깊은 의미를 실증하고 눈주위 사면을 차단하여 확실하게 눈그늘을 형성함으로서 명암(明暗)이 주는 시각증대의 효과를 높이도록 발명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변형성이 뛰어나고 안경테 형식으로 존재영역을 확보함은 물론 일반 차양모와의 조화로 실용성이 대단히 크다. 모자챙에 부착하기 위해 제1도 기본형으로 투시공을 하나로 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발명의 원리를 보여주는 것으로, 양손으로 눈그늘을 형성시켜서 사물을 보는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종래의 안경테 몸체(Front)를 전후로 확장한 것에 해당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그늘안경의 한 예로, 전후가 관통된 사각통형의 경통(1)은 4각의 모서리(11,11',11'',11''')는 접거나 또는 펼수 있으며, 좌우측면의 중앙에도 절첩이 가능하도록 안출된 중앙선(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4각통은 눈에 안경처럼 쓸 수 있도록 밴드(5)나 또는 안경걸이(5')를 형성하여 머리에 쓰거나 또는 귀에 걸수있도록 뒷쪽의 좌우측면에 부착시켜서 사용될 수 있다. 밑면의 코에 닿는 부분에는 코걸이 홈(4)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밑면(10)은 전후를 윗면(9)보다 그 길이를 짧게하여 얼굴과의 접촉부분을 완화하고 시야를 넓힐 수도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그늘안경에서 밴드(5)나 안경걸이(5')를 떼어내고 모자의 챙(6)에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는 그늘안경의 윗면(9)에 합단추, 매직테이프 또는 자석(7)을 부착시키고, 모자챙(6)의 하부에도 상응하는 합단추, 매직테이프 또는 자석(7)(7')등을 부착시켜서 사용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본 발명의 그늘안경의 착탈이 가능하다. 제4도에서와 같이 모자챙(6)에 부착시에는 그늘안경의 경통(1)의 상부에 길게 가이드홈(12,12')을 파고 모재챙(6)의 하부에 상응하는 부위에 가이드걸이(3,3')를 설치하여 그늘안경의 몸체의 가이드홈에 압입시켜서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그늘안경의 경통(1)을 가이드홈(12,12')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그늘안경의 경통(1)의 좌우측면의 상부에도 합단추, 매직테이프 또는 자석등(8)을 부착시켜서 그늘안경의 기능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모자챙(6)의 안쪽면에 부착된 합단추, 매직테이프 또는 자석등(8)(8')에 부착시켜서 시야를 넓힐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그늘안경을 통상의 모자의 챙(6)아랫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서의 본 발명의 그늘안경을 통상의 모자의 챙(6)아랫면에 부착하고 절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그늘안경의 또다른 예를 예시한 것으로, 모자챙에 경통(1)을 일체화시킨 상태도이다. 이는 모자챙을 2중으로 하여 상부챙(6) 및 하부챙(6')으로 구성시켜서, 하부챙(6')을 열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필요시에 챙의 위아래를 열어서 그늘안경의 기능을 하도록 한다. 통상의 모자로 사용시에는 챙(6)의 상하부(9',10')를 접어서 통상의 모자챙으로 사용된다. 상하부챙(9')(10')을 접는 경우에는 그 안쪽의 좌우측면에 합단추, 매직테이프 또는 자석등(7)(7')을 챙의 내부 상하에 부착시켜서접을 수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그늘안경의 또다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늘안경의 경통(1)에 다수의 주름(13)을 주어서 전후로 그 길이를 늘이거나 또는 줄일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보관시에는 주름(13)을 따라서 접어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늘안경의 재질은 통상의 판지, 플라스틱, 또는 셀룰로오스물질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그늘안경의 내면은 빛이 반사되지않도록 화학적인 처리를 하거나 또는 빛이 반사되지않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작된 본 발명의 그늘안경은 현미경과 망원경의 중간적인 효과를 가지며 안구(眼球)를 접안렌즈로 삼고 경통의 어둠을 외계의 빛보다 낮은 그늘로 삼아 명암차에 자연대처하는 눈동자의 집광력을 향상시켜서 대물렌즈없이 특정사물을 직시하도록하는 역할과 기능을 한다. 낮에 별빛이 햇빛에 가려서 안보이는 현상처럼 눈은 큰빛에 가려져서 작은 빛을 놓치는 시각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어둠은 빛을 살리고 빛을 비치게 하는 본질적 요소이다. 본 발명의 그늘안경은 태양 및 인공광원의 빛싸움에 가려 눈에 감지되는 과정에서 어려움에 처해 있는 빛속의 사물들에 생동감을 주고 제모습 제자리를 찾게 하므로서 시각에 보다 쉽게 포착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고자 하는 사물이 위치한 장의 광도보다 상대적으로 어둡게하여 명암의 차이로 동공의 조절력을 높인다.
심리적으로 정서적 안정검을 도모하고 정신집중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늘안경의 원리를 손으로 도형화한 도면

Claims (1)

  1. 전후 개구부를 자연의 공간으로 두고 안구주변에 전후 또는 상하로 절첩이 가능한 경통(1)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주위의 빛이 차단으로 눈 주위에 그늘을 형성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몸체(front)전후확장형식의 그늘안경.
KR1020080138543A 2008-12-31 2008-12-31 그늘안경 KR20100079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543A KR20100079942A (ko) 2008-12-31 2008-12-31 그늘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543A KR20100079942A (ko) 2008-12-31 2008-12-31 그늘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942A true KR20100079942A (ko) 2010-07-08

Family

ID=4264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543A KR20100079942A (ko) 2008-12-31 2008-12-31 그늘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99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3971A (zh) * 2021-06-16 2021-08-27 郴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有综合功能的智能睡眠监测眼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3971A (zh) * 2021-06-16 2021-08-27 郴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有综合功能的智能睡眠监测眼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8483B1 (en) Shade system attachable to a bill of a hat
JP2801880B2 (ja) 蔭眼鏡
WO2008083170A3 (en) Eyeglasses with integrated telescoping video display
CN102033328A (zh) 眼镜镜片
CN111194426B (zh) 眩光减少器
KR20100079942A (ko) 그늘안경
KR0174366B1 (ko) 그늘안경
CN206161986U (zh) 防光害眼镜的遮阳镜片抽取结构
CN204613536U (zh) 一种组合式眼镜
US2687671A (en) Adjustable spectacle shield for protecting the eyes from intense light and glare
CN207882597U (zh) 一种双色镜片及眼镜
KR200231929Y1 (ko) 쌍안경이 부착된 모자
CN218647234U (zh) 一种头戴式望远镜
CN2291675Y (zh) 阴眼镜
KR200236686Y1 (ko) 차양에 투시창을 구비한 모자
CN206321897U (zh) 一种三棱镜眼镜架
KR200312282Y1 (ko) 차광용 모자
KR20000020626U (ko) 선글라스를 갖는 모자
KR200261651Y1 (ko) 눈 주변 햇빛가리개
CN105974608A (zh) 一种可穿戴便携式无框架眼镜及其制备方法
KR20050045975A (ko) 자외선 차단용 차양이 구비된 모자
US20200121013A1 (en) Headwear with transparent visor providing ultraviolet ray protection
CN205787428U (zh) 铝合金眼镜铰链合口结构
CN204374543U (zh) 一种眼镜帽遮
KR200331342Y1 (ko) 선글라스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