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661A - 냉장고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냉장고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661A
KR20100079661A KR1020080138198A KR20080138198A KR20100079661A KR 20100079661 A KR20100079661 A KR 20100079661A KR 1020080138198 A KR1020080138198 A KR 1020080138198A KR 20080138198 A KR20080138198 A KR 20080138198A KR 20100079661 A KR20100079661 A KR 20100079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cover
opening
dispenser cov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609B1 (ko
Inventor
정봉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6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609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는,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데코커버; 상기 데코커버에 개구되는 개구부; 상기 데코커버의 후방에 장착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는 디스펜서 케이스;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얼음의 취출시 회동되어 돌출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디스펜서 커버;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가로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회동시 상기 개구부와의 간섭을 줄이는 회동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관 품질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디스펜서, 디스펜서 커버, 단차

Description

냉장고 디스펜서{ Dispenser for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구성이 부가되고 있다.
예컨데, 근래에는 냉장고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을 도어의 개방 없이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도어 외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서 고내에 제공되는 제빙장치에서 제빙된 얼음이 취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는 일반적으로 도어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부가 제공되며, 상기 함몰부에 얼음을 받기 위한 얼음을 배치시킨 후 얼음 취출을 위한 버튼 또는 레버를 조작하여 얼음을 취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의 취출시 회동에 의해 돌출되어 얼음이 취출되는 개구부를 개부를 개방하는 디스펜서 커버의 상단에 좌우 양측이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와 개구부 사이의 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원활하게 회동 동작 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디스펜서는,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데코커버; 상기 데코커버에 개구되는 개구부; 상기 데코커버의 후방에 장착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는 디스펜서 케이스;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얼음의 취출시 회동되어 돌출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디스펜서 커버;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가로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회동시 상기 개구부와의 간섭을 줄이는 회동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가이드부는, 상기 개구부의 가로방향 폭과 대응하는 가로방향폭을 가지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가로방향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늬 내측 둘레에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내측 둘레에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개구부의 전단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두께 만큼 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와의 접촉시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상기 데코커버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배면에는 얼음의 취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와 함께 회동되어 얼음이 취출되는 단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회동에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며, 얼음의 취출을 위해 조작되는 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는, 도어의 일측에 개구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얼음의 취출시 상방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디스펜서 커버; 상기 디스펜서커버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좌우 양측단이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부의 단부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회동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펜서커버는,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며, 회동 동작 중에는 상기 회동가이드부가 점진적으로 상기 개구부의 좌우 양측단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하단에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두께만큼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배면이 상기 스토퍼와 접하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기 도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회동에 의해 돌출되는 디스펜서 커버의 양측면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의 동작시,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개폐를 위한 회동 동작을 데코커버 또는 디스펜서 케이스와의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동작성능의 향상 및 소음을 저감 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 양측면에 경사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전면의 좌우 폭을 상기 데코커버의 개구부 크기와 대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펜서 커버의 회동 동작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데코커버와 디스펜서 커버 사이의 갭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데코커버 개구부의 테두리에 돌출되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정위치에서 닫힌상태를 유지하도록 제한하는 스토퍼가 제공되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과도한 회동에 의한 도어 외면과의 단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디스펜서가 닫힌 상태에서 디스펜서 커버 양측의 갭을 최소화 하는 한편, 디스펜서 커버와 도어 외면과의 단차를 방지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방에 배치되는 바텀프리즈타입(Bottom freeze type)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모든 형태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에 냉장실(12)을 형성하고, 하부에 냉동실(1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4)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장실(12)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22)와 냉동실(14)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24)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2)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제공되며, 각각 상기 본체(10)의 좌우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냉장실(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4)는 서랍식으로 형성되며, 음식물의 저장을 위한 수납부재와 함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되어 상기 냉동실(14)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전면에는 디스펜서(1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100)는 고내에 제공되는 제빙장치(30)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22) 내측에 제공된다.
상기 디스펜서(100)의 외형은 디스펜서 커버(400)와 데코커버(2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조작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0) 및 데코커버(20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에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450)이 제공되고, 그 하측에는 디스펜서 커버(400)를 관통하여 얼음의 취출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460)이 형성된다.
상기 데코커버(200)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외측 둘레를 형성하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개구부(210)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210)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얼음의 취출 조작시 개방되어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커버(200)의 개구부(210) 상측에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창(2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펜서(100)가 냉장실 도어(이하, 도어(20)라 함)에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형태에 따라서 냉동실 도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도어(20)에 형성되는 디스펜서 케이스(110),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에 수납되며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디스펜싱유닛(300),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의 선택적인 돌출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00) 및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이 돌출된 상태에서 수납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조작되는 복귀스위치(16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는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장착되며, 개구된 전면이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는 상기 디스펜싱유닛(300) 등의 구성들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20)의 내측방향 즉, 후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개구된 전면의 둘레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데코커버(2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상측에는 이송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120)는 상기 제빙장치(30)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빙장치(30)에서 공급되는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00)의 내측을 향하도록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120)의 내측에는 상기 이송부(120)를 선택적으로 개방 시키는 개폐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122)는 일 측이 상기 이송부(120) 또는 디스펜서 케이스(110)에 힌지결합되며 별도로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124) 등과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은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내부로 수납되며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상기 도어(2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게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내부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은 가이드부(130)와 디스펜서 커버(400) 그리고, 취출버튼(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130)는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00)를 통해서 취출되는것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부(12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빙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이 통과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아래에서 상게하게 설명할 디스펜서 커버(400)와 결합되어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의 돌출시 회동되어 얼음위 취출되기 위한 개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상기 얼음의 취출시 상기 가이드부(130)와 함께 돌출되어 상기 데코커버(200)의 개구부(21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으로, 상기 데코커버(200)에 형성된 개구부(210)와 대응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전면외형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410)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의 후방에 제공되는 버튼 피시비(420), 그리고 상기 버튼 피시비(420)가 수용되는 피시비 케이스(4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피시비 케이스(430)의 배면은 상기 가이드부(130)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130)와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430)의 좌우 양측 상단에는 상기 힌지결합부재(44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힌지결합부재(440)는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이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피시비 케이스(43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피시비 케이스(43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힌지결합부재(440)의 중앙부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구동부(500)의 기어들과 연동되는 제1종동기어(44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종동기어(442)는 반원 또는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기어(512)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시비 케이스(430)의 하부 즉, 상기 가이드부(130)의 하방에는 취출버튼(140)이 구비된다. 상기 취출버튼(140)은 상기 가이드부(130) 및 디스펜서 커버(400)의 회동에 의한 돌출시 함께 전방으로 돌출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물 취출을 위해 누르는 버튼부(142)와 상기 버튼부(142)를 가이드 하며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의 돌출시 연동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버튼 가이드부(144)로 구성된다.
상기 버튼부(142)의 후방에는 상기 버튼부(142)의 누름 조작시 접촉되는 스위치(미도시)가 제공되며, 상기 스위치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22)가 개방되어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 가이드부(144)는 상기 버튼부(142)를 수용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부(130) 및 디스펜서 커버(400)와 연동될 수 있도록 아래에서 설명할 제2종동기어(530)의 슬라이딩레버(540)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측방에는 구동부(50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의 동작을 위한 것으로, 구동부 케이스(520)의 내측에 구동모터(510)와 구동기어(512) 및 제2종동기어(530)가 장착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442)의 일부가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512)는 상기 제1종동기어(442) 및 제2종동기어(530)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442)와 제2종동기어(53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종동기어(442)는 제2종동기어(53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512)의 회전시 상기 제1종동기어(442)와 제2종동기어(530) 모두 회전하게 되지만 제1종동기어(442)보다 제2종동기어(530)가 더 빠르게 회전하여 상기 디스펜싱유닛(300)과 상기 취출버튼(140)이 동시에 돌출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코커버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데코커버(2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데코커버(200)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 전면의 절곡된 테두리(112)와 접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커버(200)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10)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상 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창(220)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10)의 크기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2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210)의 내측 하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스토퍼(23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30)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닫히게 되었을 때,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배면 하단과 접하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210)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두께만큼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배면은 상기 스토퍼(230)와 접하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전면은 상기 데코커버(20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회동하면서 닫히게 될때에는 상기 스토퍼(230)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과도하게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230)를 대신하여, 상기 개구부(210)의 내측 둘레에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2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40)는 상기 스토퍼(230)와 마찬가지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배면과 접하여 상기 디스펜서(100)의 전면이 상기 데코커버(20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오도록 한다.
상기 단차부(240)는 상기 개구부(210)의 내측 전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하단과 접하는 상기 개구부(210)의 하단에는 형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단차부(240)에 스토퍼(230)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의 배면에 상기 피시비 케이스(430)가 장착되고, 상기 피시비 케이스(430)의 내측에 버튼 피시비(420)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의 하측에는 상기 상태확인창(460)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태확인창(460)의 상방에는 조작버튼(450)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버튼(450)은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을 위해 조작되는 버튼이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작버튼(450)은 일반적인 누름 스위치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정전용량 등을 이용한 터치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는 가로방향 폭이 상기 데코커버(200)의 개구부(210)의 가로방향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의 가로방향 길이는 상기 개구부(210)의 사이 거리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닫혔을 때 상기 개구부(210)와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동가이드부(470)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가이드부(470)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 의 회동에 의한 개방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전면과 상기 데코커버(200) 사이 공간을 차폐해 주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회동 동작시 좌우방향의 유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디 회동가이드부(470)의 양측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이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회동시 상기 개구부(210)와의 간섭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회동가이드부(470)의 좌우 양측단에는 연장부(472)와 경사부(474)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472)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가로방향 길이와 대응하는 가로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닫히게 될 때,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좌우방향의 정위치에 오도록 안내하는 것은 물론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단과의 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경사부(474)는 상기 연장부(472)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경사부(474)는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양단의 사이 폭이 점점 좁하지도록 형성되어 상방에서 볼 때(도 5 참조)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회동시 상기 개구부(210)는 상기 경사부(474)에서는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되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회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가 닫힌 부분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가 개방된 부분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100)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닫혀진 상태로 도 6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펜싱유닛(300)과 취출버튼(140) 등 디스펜서(100)를 구성하는 어떠한 구성도 돌출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닫혀진 상태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상기 도어의 전면 또는 상기 데코커버(20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상기 데코커버(200)의 개구부(210)를 완전히 차폐한 상태로 얼음이 취출되도록 하는 취출버튼(140) 및 얼음이 취출되는 가이드부(130)가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디스펜서(100)의 사용을 위해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전면에 배치된 조작버튼(450)을 조작하여 얼음의 취출을 위한 조작을 입력하게 된다.
상기 조작버튼(450)의 조작으로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하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510)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51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512)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512)에 맞물려 있는 제1종동기어(442)와 제2종동기어(53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종동기어(4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힌지결합부재(440)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힌지결합부재(440)와 결합된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이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종동기어(442)의 회전에 따른 상기 힌지결합부재(440)의 회전으로 상기 가이드부(130)와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은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결합부재(440)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은 상방의 힌지결합부재(440)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며, 대략 45°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은 회동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 중 상기 가이드부(130)는 얼음이 취출되는 하단의 개구된 부분이 외측 하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이 상기 가이드부(130)를 통해서 외부로 취출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이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데코커버(200)의 개구부(210) 좌우 양측단은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커버 플레이트(410)의 좌우 양측단과 접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개방되기 위한 회동의 초기에는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연장부(472)를 지나게 되며, 상기 연장부(472)를 지난 후에는 상기 경사부(474)를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단이 상기 연장부(472)를 지날 때에는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단과 상기 연장부(472) 사이에는 간격이 거의 없어서 상기 개구부(210)와 접하거나 아주 가까운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단이 상기 경사부(474)에 접어들게 되면서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단과의 사이 간격이 조금씩 증가하게 되면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와 접촉에 의한 간섭이 없어지게 되어 자연스럽게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이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취출버튼(140) 또한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세히, 상기 제2종동기어(530)의 회전시 상기 제2종동기어(530)에서 연장되는 슬라이딩레버(540)가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레버(540)에 연결된 상기 버튼 가이드부(144)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 가이드부(144)의 전방 돌출로 상기 버튼 가이드부(144)에 수용된 취출버튼(140) 또한 전방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동시에 상기 디스펜싱유닛(300)과 상기 버튼부(142)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얼음의 취출을 위한 준비를 완료하고 도 7에서와 같이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얼음의 취출을 위해 상기 취출버튼(14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부(142)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스위치(미도시)를 눌러 얼음의 취출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4)가 동작하여 상기 개폐부재(122)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빙장치(30)에서는 얼음을 공급하게 되고, 상기 이송부(120)를 통과한 얼음은 상기 가이드부(13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부(130)의 하방에 컵 또는 용기를 배치시킨 상태 이므로, 얼음이 상기 용기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상태확인창(460)을 통해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 하방의 엄음 취출 상황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얼음의 취출을 위한 조작시, 사용자는 상기 컵 또는 용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이용하여 상기 컵 또는 용기 자체를 상기 버튼부(142)와 접촉시킨 상태에서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142)의 조작으로 사용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얼음의 취출을 완료한 후, 사용자는 다시 상기 디스펜싱유닛(300)과 상기 버튼부(142)를 닫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를 닫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 방법으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500)의 구동모터(51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10)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기어(51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512)에 맞물린 제1종동기어(442)와 제2종동기어(53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두번째 방법으로, 상기 개방되어 돌출된 상태의 디스펜서 커버(400) 자체를 누르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디스펜서(100)와 일체로 결합된 가이드부(130) 또한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130)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복귀스위치(160)와 접하게 되며, 상기 복귀스위치(160)는 상기 구동부(500)의 구동모터(510)에 회전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10)의 회전축에 장착된 상기 구동기어(51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512)에 맞물린 제1종동기어(442)와 제2종동기어(530)가 회전하게 된다.
위의 두가지 방법에 의한, 상기 제1종동기어(442)의 회전으로 상기 힌지결합부재(440)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은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서서히 닫히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데코커버(200)의 개구부(210)를 완전하게 차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닫히게 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우선 상기 커버 플레이트(410) 좌우 양측의 경사부(474)가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을 지나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점차 삽입된다.
이때, 상기 경사부(474)는 내측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단과는 서로 떨어진 상태가 되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회동하면서 닫히게 됨에 따라 상기 경사부(474)와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단은 점차 가까워지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지속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단이 상기 연장부(472)에 이르게 되면,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단과 상기 연장부(472) 즉,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좌우 양측단은 서로 거의 접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더 회동하게 되면서 상기 연장부(472)를 지나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단과 거의 접한 상태가 되어 사이에 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배면 하단이 상기 스토퍼(230) 또는 단차부(240)와 접하여야 한다. 즉,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회동에 의해 상기 개구부(210)를 차폐하게 되는데,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배면이 상기 스토퍼(230) 또는 단차부(240)와 접하는 부분에서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30)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의 두께만큼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스토퍼(230)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멈추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상기 데코커버(200) 또는 상기 도어(2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100)의 사용 전 또는 사용완료 후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이 상기 도어(20)의 전면 전체가 동일평면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이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내측에 회동에 의해 수납되는 순간 상기 버튼부(142)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기어(512)와 맞물린 상기 제2종동기어(5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종동기어(530)에 마련된 상기 슬라이딩레버(54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레버(540)에 연결된 상기 버튼 가이드부(144)가 상기 슬라이딩레버(540)의 회전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100)의 사용 후 상기 디스펜싱유닛(300)이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수납되면, 동시에 상기 취출버튼(140) 또한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수납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상기 개구부(210)를 차폐하여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 내부의 구성을 모두 가리게 되며, 이때, 상기 디스펜서 커버(400)는 상기 개구부(210)의 좌우 양측단에 밀착되고, 상기 도어(20) 및 데코커버(200)의 전면과는 동일평면상에 배치되어 얼음의 취출을 위한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코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가 닫힌 부분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가 개방된 부분 사시도이다.

Claims (12)

  1.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데코커버;
    상기 데코커버에 개구되는 개구부;
    상기 데코커버의 후방에 장착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제공하는 디스펜서 케이스;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얼음의 취출시 회동되어 돌출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디스펜서 커버;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가로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회동시 상기 개구부와의 간섭을 줄이는 회동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이드부는
    상기 개구부의 가로방향 폭과 대응하는 가로방향폭을 가지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가로방향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늬 내측 둘레에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 둘레에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개구부의 전단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두께 만큼 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와의 접촉시 상기 디스펜서 커버가 상기 데코커버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배면에는 얼음의 취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와 함께 회동되어 얼음이 취출되는 단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 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회동에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며, 얼음의 취출을 위해 조작되는 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9. 도어의 일측에 개구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얼음의 취출시 상방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디스펜서 커버;
    상기 디스펜서커버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좌우 양측단이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부의 단부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회동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펜서커버는,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며,
    회동 동작 중에는 상기 회동가이드부가 점진적으로 상기 개구부의 좌우 양측단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단에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두께만큼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커버의 배면이 상기 스토퍼와 접하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기 도어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KR1020080138198A 2008-12-31 2008-12-31 냉장고 디스펜서 KR101611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98A KR101611609B1 (ko) 2008-12-31 2008-12-31 냉장고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98A KR101611609B1 (ko) 2008-12-31 2008-12-31 냉장고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661A true KR20100079661A (ko) 2010-07-08
KR101611609B1 KR101611609B1 (ko) 2016-04-12

Family

ID=4264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198A KR101611609B1 (ko) 2008-12-31 2008-12-31 냉장고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574A (ko) * 2014-03-31 2015-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574A (ko) * 2014-03-31 2015-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609B1 (ko) 201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538B2 (en) Refrigerator
US7997452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US8161767B2 (en) Ice 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US8333305B2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US8881951B2 (en) Refrigerator
KR100951288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8141747B2 (en)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KR20090106938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022654A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00079661A (ko) 냉장고 디스펜서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US8074466B2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door
KR100981821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70093611A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KR101751050B1 (ko) 냉장고
KR100969796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957441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957424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978364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98095B1 (ko) 은폐형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210031885A (ko) 냉장고
KR101000687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54368B1 (ko) 냉장고
KR20170022507A (ko) 냉장고
KR2017010354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