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8307A -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8307A
KR20100078307A KR1020080136534A KR20080136534A KR20100078307A KR 20100078307 A KR20100078307 A KR 20100078307A KR 1020080136534 A KR1020080136534 A KR 1020080136534A KR 20080136534 A KR20080136534 A KR 20080136534A KR 20100078307 A KR20100078307 A KR 20100078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information
growth management
child
adol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이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석 filed Critical 이현석
Priority to KR102008013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8307A/ko
Publication of KR2010007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영양 섭취량, 운동량, 수면량, 스트레스 정도, 식생활습관 등을 온라인상에서 매일 또는 주별 또는 월별 등으로 주기적으로 입력하게 하여, 그 입력된 자료를 근거로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입력되어 있는 평균 청소년 성장상태와 대비하여,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 상태나 성장 수치와 대비된 사항 등을 온라인상에서 알려주고, 또한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 상태나 성장 수치가 평균 이하일 경우 또는 정상적인 성장상태가 아닐 경우, 정상적인 성장을 위해 개선할 사항을 본인 또는/및 해당 보호자에게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통보하고, 또한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상태와 수치를 분석하여 가장 성장을 많이 할 수 있는 시기 또는/및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를 미리 예보하여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성장관리, 성장관리 요소, 분석, 보호자 통보, 성장예보

Description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THE METHOD OF GROWTH MANAGEMENT AND GROWTH FORECAST}
본 발명은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영양 섭취량, 운동량, 수면량, 스트레스 정도, 식생활습관 등을 온라인상에서 매일 또는 주별 또는 월별 등으로 주기적으로 입력하게 하여, 그 입력된 자료를 근거로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입력되어 있는 평균 청소년 성장상태와 대비하여, 입력 당시의 성장상태를 알 수 있게 하고, 또한 월 단위, 분기 단위, 반기 단위, 연 단위로 계속 성장상태를 종합 분석하여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 상태나 성장 수치가 평균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 상태나 성장 수치와 대비된 사항 등을 온라인상에서 알려주고, 또한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 상태나 성장 수치가 평균 이하일 경우 또는 정상적인 성장상태가 아닐 경우, 정상적인 성장을 위해 개선할 사항을 본인 또는/및 해당 보호자에게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통보하고 또한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상태와 수치를 분석하여 가장 성장을 많이 할 수 있는 시기 또는/및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를 미리 예보하여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온 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장은 출생에서 성장기에 이르기까지 일정하게 예정된 주기에 따라 진행된다. 위와 같은 성장기의 주기는 출생에서 2세까지의 빨리 성장하는 시기(제 1발육 급진기)와, 2세부터 사춘기까지의 서서히 성장하는 시기(완만 성장기)와, 사춘기 시작부터 2~3년 동안의 가장 많이 성장하는 시기 15-16세까지의 빨리 성장하는 시기(제 2발육 급진기)와, 사춘기가 끝나고 성숙기까지의 성장 속도가 급속히 감소하는 시기(신장 완성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생아부터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 동안 여러 조직들이 성장을 하게 되고. 골고루 성장이 잘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키 성장은 사춘기시절에 급격히 이루어지게 된다.
여학생의 경우 초경을 초등학교 5학년 전후로 많이 하고 있으나 그보다 더 빨리 하는 경우도 있고 성장판 역시 만 13세면 서서히 닫혀가면서 성장속도도 급격히 둔화되게 되며, 남학생의 경우 만 15세가 되면 성장판이 닫혀가고 성장이 멈춰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기 때문에 특히 아동 및 청소년의 경우 그 성장 정도를 매달, 매분기 체크하면서 사춘기 전에 예상 키 측정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관리가 필요로 하게 된다.
최근 아동 및 청소년들의 성장관리를 필요로 하는 아동 및 청소년 또는 그 부모의 요구에 부응하여 일반 병원이나 한의원에 성장 클리닉을 전문으로 하는 성장클리닉 과목 및 센터를 개설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관리를 상담하는 곳이 많이 생기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성장 클리닉은 해당 아동 또는 청소년이 직접 병원이나 한의원에 개설된 성장 클리닉 센터 등을 주기적으로 직접 방문하여 전문가와 1:1 상담을 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고 타 아동 또는 청소년보다 현저히 키가 작은 소수의 아동 또는 청소년들만이 이용하고 있으며,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 또는 사춘기에 접어든 청소년들이 자신의 신체 상태에 대하여 제3자에게 알리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어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1:1 상담이 그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동 및 청소년은 각종 과외 학습활동, 시험 및 입시 등을 준비하여야 하는 관계로 유치원 및 학교 수업뿐만 아니라 여러 곳의 학원을 다녀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인 여유가 없고, 친구들에게 자신이 성장 클리닉 센터를 다니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기 꺼려하게 되어 성장 클리닉 센터를 주기적으로 직접 방문하지 않아 성장기에 있는 아동 및 청소년이 성장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관리를 위한 성장 클리닉 비용이 만만치 않아 아동 및 청소년의 부모의 부담이 가중되어 많은 성장기의 아동 및 청소년들이 성장관리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성장기에 있는 아동 및 청소년(7-19세)의 영양 섭취량, 운동량, 수면량, 스트레스 정도, 식생활습관 등을 온라인상에서 매일 또는 주별 등으로 주기적으로 입력하게 하여, 그 입력된 자료를 근거로 입력 당시의 성장상태를 알 수 있게 하고 월 단위, 분기 단위, 반기 단위, 연 단위 로 계속 성장상태를 종합 분석하여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 상태나 성장 수치가 평균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 상태나 성장 수치와 대비된 사항을 온라인상에서 알려주는 것과 함께,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 상태나 성장 수치가 평균 이하일 경우 정상적인 성장을 위해 개선할 사항을 본인 또는/및 해당 보호자에게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통보하여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상태와 수치 등을 분석하여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이 가장 성장을 많이 할 수 있는 시기 또는/및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를 판단하여 그 내용을 미리 예보하게 함으로써,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을 위하여 미리 대처하게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예보 방법은, 온라인상에서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을 관리하는 온라인상의 성장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관리를 성장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상기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부모의 나이, 키를 포함하는 부모정보 항목과,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키, 체중을 포함하는 기존 신체정보 항목을 입력하는 성장관리 기본 정보 입력단계와; 상기 성장관리 기본 정보를 입력한 후,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주기적으로 현재의 키 및 체중 등의 신체정보와 성장관리에 필요한 성장관리 요소 정보를 입력하는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 입력단계와; 상기 기존 신체정보 및 상기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에 의한 상기 아동 및 청소년 성장관리 정보와, 상기 성장관리서버의 성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같은 연령 및 성별의 평균 신체정보 등과 비교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를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분석 결과에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신체 정보가 같은 연령 및 성별의 평균 신체정보의 이하일 경우 상기 성장관리서버가 그 내용을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보호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존 신체정보 및 상기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에 의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 성장관리 정보와, 상기 성장관리서버의 성장관리 데이터베 이스에 저장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같은 연령 및 성별의 평균 신체정보 등과 비교하여 상기 청소년의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를 예측 분석하고, 상기 청소년이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로 판단되면 상기 성장관리서버가 그 내용을 상기 청소년 또는 상기 청소년의 보호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청소년의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를 예측 분석은, 해당 청소년이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나이(14-19세)의 범위에 있고, 상기 청소년의 키가 월간 및 분기간 대비 키 성장 정도가 전분기 대비 50% 이상 감소하였거나, 같은 연령 및 성별의 청소년과 대비하여 같은 연령 및 성별의 청소년 대비 50% 이상 감소하였을 경우, 그리고 사춘기 진입후 남자는 3년 경과후, 여자는 2년 경과후를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청소년이 사춘기에 진입되는 시기인지를 분석하여 상기 청소년이 사춘기에 진입되는 시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청소년이 가장 성장을 많이 할 수 있는 시기에 있는 것으로 보고, 그 내용을 상기 청소년 또는 상기 청소년의 보호자에게 통보하는 것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성장관리 기본 정보는 과거의 생활 습관 항목, 과거의 질병 여부 및 그 내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에서 성장관리 요소 정보는 성장관리에 필요한 섭취 영양정보, 운동량 정보, 수면상태 정보, 스트레스 지수 측정정보, 식생활습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섭취 영양정보는 상기 웹 페이지에서 음식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든 음식물 종류를 나열하여 선택 입력하고 섭취된 음식물이 모두 입력되었을 때 그 총열량을 즉시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운동량 정보는 상기 웹 페이지에서 운동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든 운동의 종류를 나열하게 선택 입력하게 하고, 상기 운동의 종류 및 그 운동시간이 입력되면 그 운동에 따른 소모 열량을 즉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석결과는 월 단위, 분기 단위, 반기 단위, 연 단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분하여 그 기간 내 신체정보의 변동 과정과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의 같은 연령 및 성별의 그 기간 내 신체정보의 변동 과정을 비교 분석한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체정보는 키 정보이고, 그 분석결과는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그래프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장관리서버가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보호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은 상기 보호자의 이메일로 그 내용을 전송하거나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SMS로 그 내용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단말기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PDA, 휴대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방법은, 성장기에 있는 아동 및 청 소년의 신체 상태, 영양 섭취량, 운동량, 수면량, 스트레스 정도, 식생활습관 등을 온라인상에서 입력하게 함으로써,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이 자신의 신체 상태, 생활 습관 등에 대하여 부담감을 가지지 않고 바르게 입력하게 할 수 있어 이로 얻은 데이터를 근거로 보다 정확한 성장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동 및 청소년의 영양 섭취량, 운동량, 수면량, 스트레스 정도, 식생활습관 등을 체크하여 즉시, 주별, 월별 등 온라인상에서 알려주게 함으로써,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에 필요한 올바른 생활 습관을 유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동 및 청소년의 신체 상태, 영양 섭취량, 운동량, 수면량, 스트레스 정도, 식생활 습관 등을 월별 분기별, 반기별, 연도별로 종합 분석하여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 상태나 성장 수치가 평균 성장기에 있는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 상태나 성장 수치와 대비된 사항 및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상태와 수치를 분석하여 가장 많이 클수 있는 시기와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를 미리 예보하여 줌으로써, 자신의 성장 상태를 파악하게 하여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및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동 및 청소년의 신체 상태, 영양 섭취량, 운동량, 수면량, 스트레스 정도, 식생활습관 등을 월별 분기별, 반기별, 연도별로 종합 분석하여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 상태나 성장 수치가 평균 이하일 경우 해당 보호자에게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통보하여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의 보호자 에게 자신의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하여 보다 주의 깊게 관리 관찰을 유도하게 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의 성장관리과 보다 효율적으로 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상태와 수치 등을 분석하여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이 가장 성장을 많이 할 수 있는 시기 또는/및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를 판단하여 그 내용을 미리 예보하게 함으로써, 상기 성장기에 있는 아동 또는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을 위하여 미리 대처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시스템의 전체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에서 기본 정보 입력단계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에서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 입력단계의 흐름도이고, 도 4a 내지 도4d는 온라인상에서 사용자의 입력화면의 일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며, 도 5a 내지 도 5e는 온라인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석결과 화면의 일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성장관리를 받으려고 하는 아동 또는 청소년들이 보유하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0)와, 인터넷 망(20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성장관리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성장관리센터(3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성장관리센터(300)는 상기 성장관리 웹 페이지를 운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자료를 근거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성장관리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가장 많이 성장할 수 있는 시기와 상기 청소년의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를 예측 분석하여 예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성장관리서버(31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입력한 회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성장관리 요소 등의 각 회원들의 성장관리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320)와, 성장기의 아동 및 청소년의 연령별, 성별 등으로 분류되어 최소, 최대, 평균 등의 신체정보들을 저장하고 성장관리 요소별 분석결과 내용 등을 저장하고 있는 성장관리 데이터베이스(3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유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데스크탑 PC나 노트북이 사용될 수 있지만,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화면이 작기 때문에 해당 아동 및 청소년이 입력해야 할 사항을 적게 하거나 그 화면에서 입력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적합하게 설계하면 되고, 그 출력사항도 그 화면에 적합하게 설계하면 된다.
또한, 상기 성장관리서버(310)는 상기 성장관리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저장된 같은 연령 및 성별의 평균 키와 대비하여 해당 아동 및 청소년의 키가 작을 경 우 그 내용을 통신망(400)을 통하여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의 보호자(성장관리 회원 등록시 통보 받기 위해 등록된 부모 또는 부모 중 1인 등)의 단말기(110)에 SMS로 그 내용을 통보한다.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보호자에게로의 통보는 상기 보호자에게 이메일로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성장관리서버(310)는 상기 성장관리서버(310)는 상기 분석 결과에서 해당 청소년이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에 있는 것으로 예측하면 상기 청소년 또는/및 상기 청소년의 보호자(성장관리 회원 등록시 통보 받기 위해 등록된 부모 또는 부모 중 1인 등)에게 통보할 수 있는데, 상기 청소년이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해당 청소년이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나이(14-19세)의 범위에 있고, 사춘기 진입후 남자는 3년 경과, 여자는 2년이 경과된 상태에 있고, 상기 청소년의 키가 월간 및 분기(계절)간 대비 키 성장 정도가 현격하게 낮아졌다거나(전월 또는 전분기 대비 50% 이상 감소), 같은 연령 및 성별의 청소년과 대비하여 그 키 성장 정도가 현격하게 낮아졌을 경우(같은 연령 및 성별의 청소년 대비 50% 이상 감소) 그 시기를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에서 회원가입 및 기본 정보 입력과정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상에서 성장관리를 받으려고 하는 아동 또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단말기(100)에서 인터넷 망(20)을 통하여 상기 성장관리서버(310)가 제공하는 성장관리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보호자(아동 및 청소년을 실제로 보호하고 있는 부모 또는 부모 중 1인 등)의 동의 하에 회원으로 가입하고(S11 단계), 상기 성장관리서버(310)는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등록된 회원인지 판단하여(S12 단계),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등록된 회원이면 성장관리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성장관리 기본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등록된 회원이 아니면 가입을 유도한다.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은 자신의 단말기(100)를 통하여 상기 성장관리 웹 페이지의 성장관리 기본 입력 화면의 안내에 따라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유전적 성장 정도를 알 수 있는 부모의 나이, 키 등을 포함하는 부모정보항목을 입력하고(S13 단계),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의 나이, 키, 체중 등을 포함하는 본인의 기존 신체정보 항목을 입력한다(S14 단계).
또, 상기 성장관리 웹 페이지에서 성장관리에 필요한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생활 습관들에 관하여 제시한 질의사항들을 ‘예, 아니요’로 답할 수 있는 생활습관 항목을 입력하고(S15 단계),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이 과거에 앓았던 질병이 있는지 여부와 질병이 있었다면 생활 습관들에 관하여 제시한 질병 정보 항목을 입력한다(S16단계).
상기와 같이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상기 성장관리 기본 입력 화면의 안내에 따라 성장관리 기본 정보의 입력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요구(웹 페이지상의 버튼 입력)에 의하여 그 성장관리 기본 정보에 따른 평가 결과를 보여 줄 수 있는데(S17 단계), 그 평가 결과는 상기 부모의 나이, 키 등을 포함하는 부모정보와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의 나이, 키, 체중 등을 포함하는 본인의 기존 신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성장광(삭제)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는 유전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예상 평균 키 정보 를 추출하여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이 유전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예상 키 정보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상기 성장관리 기본 입력 화면의 안내에 따라 성장관리 기본 정보의 입력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입력된 성장관리 기본 정보는 화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S18 단계).
상기와 같은 성장관리 기본 정보는 향후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키 및 체중 등의 신체정보, 섭취 영양정보, 운동량 정보, 수면상태 정보, 스트레스 지수 측정정보 등의 성장관리 요소 정보의 기준이 되는 정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에서 상기 주기적으로 입력하는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상에서 성장관리를 받기 위하여 상기 성장관리 웹 페이지를 통하여 성장관리 센터에 등록된 아동 또는 청소년들이 주기적(일별, 주별 또는 월별)으로 보유하고 있는 단말기(100)에서 인터넷 망(20)을 통하여 상기 성장관리서버(310)가 제공하는 성장관리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신의 ID 및 패스워드(P/W)를 입력하면(S21 단계), 상기 성장관리서버(310)는 등록된 회원인지를 판단하여(S22 단계) 등록된 회원이면 주기적으로 성장관리에 필요한 현재의 신체정보와, 성장관리 요소 정보인 성장관리 요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 입력 화면을 제공하다.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은 자신의 단말기(100)를 통하여 상기 성장관리 웹 페이지의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 입력 화면의 안내에 따라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현재 키 및 체중 등의 현재의 신체정보를 입력하고(S23 단계), 성장관리에 필요한 섭취 영양정보, 운동량 정보, 수면상태 정보, 스트레스 지수 측정정보, 식생활습관 정보 등의 성장관리 요소 정보를 입력한다(S24 단계).
상기 성장관리 요소 정보에서 섭취 영양정보 입력화면의 일실시예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침, 점식, 저녁, 간식으로 구분하여 입력하도록 하고, 섭취한 음식물에 대하여 제시할 수 있는 가능한 한 모든 음식물들을 제시하여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이 선택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이 해당 섭취 음식물들을 선택하면 해당 섭취 음식물에 대한 열량이 즉석에서 계산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섭취 음식물에 대한 열량을 즉석에서 계산하게 함으로써 음식물 섭취 종류에 대한 관심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성장관리 요소 정보에서 운동량 정보 입력화면의 일실시예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의 종류에 대하여 제시할 수 있는 가능한 한 모든 운동의 종류를 제시하여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이 선택하도록 하고 있고, 운량량(시간)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이 해당 운동의 종류 및 시간을 선택하면 해당 운동의 종류 및 시간에 따른 소모 열량이 즉석에서 계산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성장관리 요소 정보에서 수면상태 정보 입력화면의 일실시예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상태의 정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항목들을 제시하여 ‘예, 아니요’로 선택하게 하고 있다.
상기 성장관리 요소 정보에서 스트레스 지수 측정정보 입력화면의 일실시예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스 지수 측정을 위하여 여러 가지 항목들을 제시하여 ‘1,자주 그런 경우가 있다, 2. 가끔 그런 경우가 있다, 3.거의 그런 경우가 없다, 4. 전혀 그런 일이 없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상기 성장관리 요소 입력 화면의 안내에 따라 현재의 신체정보와, 성장관리 요소 정보의 입력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요구(웹 페이지상의 분석결과 버튼 입력)에 의하여 각 성장관리 요소 정보에 따른 분석 결과들을 보여 줄 수 있고(S25 단계), 상기 입력된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는 화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S26 단계).
상기 신체정보에 관한 분석 결과화면의 일실시예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 월간, 분기별(계절별), 연간으로 구분하여 키와 체중에 관한 변동과정을 비교할 수 있게 하고, 그 변동과정은 막대 그래프(또는 꺽은선 그래프)로써 표시하여 아동 및 청소년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같은 또래(같은 성별)의 평균 키와 체중을 제시하여 자신의 현재 키와 체중을 비교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분석결과는 상기 회원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성장관리 기본 정보에서 입력된 기존 신체정보와 주기적(일별, 주별 또는 월별)으로 입력되는 키, 체중의 신체정보를 종합하여 그래프로서 나타난 것이고, 이와 덧붙여 상기 성장관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고 있는 연령별, 성별의 키, 제중 정보에서 해당 아동 및 청소년에 해당하는 평균키 및 체중을 추출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성장관리 요소 정보에서 섭취 영양정보에 관한 결과화면의 일실시예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간, 분기별(계절별), 연간으로 구분하여 섭취 영양에 관한 변동과정을 비교할 수 있게 하고, 월간 섭취 영양에 관한 변동과정은 주기적으로 입력된 섭취 영양정보에 대해 열량으로 환산한 값을 월 평균으로 하여 지난 달 섭취 영양정보에 대해 열량의 월평균과 대비하도록 하여 자신이 섭취한 음식물의 열량에 대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막대 그래프 및 꺽은선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분석결과는 상기 회원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주기적으로 입력된 섭취 영양정보에 대한 열량 값을 이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성장관리 요소 정보에서 운동량 정보에 관한 결과화면의 일실시예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간, 분기별(계절별), 연간으로 구분하여 자신이 한 운동량에 관한 변동과정을 비교할 수 있게 하고, 월간 운동량에 관한 변동과정은 주기적으로 입력된 운동량 정보에 대해 소모 열량으로 환산한 값을 월 평균으로 하여 지난 달 운동한 운동량 정보에 대해 열량의 월평균과 대비하도록 하여 자신이 운동한 운동량의 소모 열량에 대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꺽은선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분석결과는 상기 회원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주기적으로 입력된 운동량 정보에 대한 소모 열량 값을 이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성장관리 요소 정보에서 수면상태 정보에 관한 결과화면의 일실시예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간, 분기별(계절별), 연간으로 구분하여 자신의 수면 상태에 관한 분석결과의 변동과정을 비교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그 분석 방법은 수면상태의 정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된 여러 가지 항목들에 대하여 해당 아동 및 청소년이 ‘예, 아니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내용을 근거로 그것을 수치화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양호, 보통, 진단이 필요함’중에서 어느 하나를 분석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성장관리 요소 정보에서 스트레스 지수 측정정보에 관한 결과화면의 일실시예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간, 분기별(계절별), 연간으로 구분하여 자신의 스트레스 지수에 관한 분석결과의 변동과정을 비교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그 분석 방법은 스트레스 지수 측정을 위하여 제시된 여러 가지 항목들에 대하여 해당 아동 및 청소년이 ‘1,자주 그런 경우가 있다, 2. 가끔 그런 경우가 있다, 3.거의 그런 경우가 없다, 4. 전혀 그런 일이 없다’ 중에서 선택한 내용을 근거로 그것을 수치화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좋음, 보통, 나쁨’중에서 어느 하나를 분석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도 5b 내지 도 5e에서는 상기 섭취 영양정보, 운동량 정보, 수면상태 정보, 스트레스 지수 측정정보 등의 성장관리 요소 정보의 결과를 월간, 분기별(계절별), 연간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일별 주별로도 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면상태에 관한 분석 및 스트레스 지수에 관한 분석은 오프라인에서 활용되는 일반화된 수치적 분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온라인상에서 구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해당 아동 또는 청소년이 온라인상에서 주기적으로 입력한 현재 의 신체정보와, 섭취 영양정보, 운동량 정보, 수면상태 정보, 스트레스 지수 측정정보 등의 성장관리 요소 정보를 활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자신이 성장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성장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성장관리 웹 페이지에서는 상기 성장관리 기본 정보 입력 화면 및 상기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 입력 화면 외에 상기 청소년이 사춘기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사춘기 진입 여부 설문항목을 입력할 수 있는 사춘기 진입 정보 입력화면을 더 제공한다.
상기 사춘기 진입 정보 입력화면에는 성별(남녀)로 구분되어 상기 청소년이 성별에 따라 사춘기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사춘기 진입 여부 설문항목들을 제시하고, 해당 청소년이 그 설문항목에 ‘예에(삭제) ‘1. 예, 2.아니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입력하여 상기 성장관리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성장관리서버가 상기 청소년이 사춘기 시기에 진입되었는지 아직 사춘기 시기에 진입하고 있지 않았는지 등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청소년이 성별에 따라 사춘기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사춘기 진입 여부 설문항목들은 통상의 오프라인에서 청소년이 사춘기 시기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설문항목으로서, 상기 청소년이 남자인 경우 ‘몽정 여부’, ‘변성기 여부’ 등이고, 상기 청소년이 여자인 경우 ‘냉의 시작 여부’, ‘가슴 몽우리 시작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내용들이다.
상기 사춘기 시기는 청소년이 가장 많이 키가 클 수 있는 시기(가장 성장을 많이 할 수 있는 시기)로서, 상기 청소년이 사춘기 시기에 진입되었는지는 판단되 면 상기 청소년이 가장 성장을 많이 할 수 있는 시기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청소년이 가장 성장을 많이 할 수 있는 시기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성장관리 서버는 상기 청소년 또는 상기 청소년의 보호자에게 ‘당신은(상기 청소년의 보호자에게 통보할 경우 당신의 000는) 사춘기에 접어든 시기로서 현재 가장 많이 성장할 수 있는 시기에 있습니다.‘ 또는 ‘당신은(상기 청소년의 보호자에게 통보할 경우 당신의 000는) 현재 가장 많이 성장할 수 있는 시기에 있습니다.‘등의 문구로 해당 청소년이 가장 많이 성장할 수 있는 시기에 있음을 통보하게 된다.
상기 통보는 해당 청소년 또는 그 청소년의 보호자의 단말기로 이메일 또는 SMS 등으로 통보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시스템의 전체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에서 기본 정보 입력단계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에서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 입력단계의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섭취 영양정보의 입력화면의 일실시예
도 4b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의 입력화면의 일실시예
도 4c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수면상태 정보의 입력화면의 일실시예
도 4d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 측정정보의 입력화면의 일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신체성장 진행 정보의 출력화면의 일실시예
도 5b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섭취 영양정보에 대한 출력화면의 일실시예
도 5c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에 대한 출력화면의 일실시예
도 5d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수면상태 정보에 대한 출력화면의 일실시예
도 5e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 측정정보에 대한 출력화면의 일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말기 110: 보호자 단말기
200: 인터넷망 300: 성장관리센터
310: 성장관리 서버 320: 회원정보관리 DB
330: 성장관리 DB 400: 통신망

Claims (11)

  1. 온라인상에서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을 관리하는 온라인상의 성장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관리를 성장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상기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부모의 나이, 키를 포함하는 부모정보 항목과,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키, 체중을 포함하는 기존 신체정보 항목을 입력하는 성장관리 기본 정보 입력단계와;
    상기 성장관리 기본 정보를 입력한 후,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이 주기적으로 현재의 키 및 체중 등의 신체정보와 성장관리에 필요한 성장관리 요소 정보를 입력하는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 입력단계와;
    상기 기존 신체정보 및 상기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에 의한 상기 아동 및 청소년 성장관리 정보와, 상기 성장관리서버의 성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같은 연령 및 성별의 평균 신체정보 등과 비교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를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분석 결과에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신체 정보가 같은 연령 및 성별의 평균 신체정보의 이하일 경우 상기 성장관리서버가 그 내용을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보호자에게 통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신체정보 및 상기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에 의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 성장관리 정보와, 상기 성장관리서버의 성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같은 연령 및 성별의 평균 신체정보 등과 비교하여 상기 청소년의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를 예측 분석하고,
    상기 청소년이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로 판단되면 상기 성장관리서버가 그 내용을 상기 청소년 또는 상기 청소년의 보호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년의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를 예측 분석은, 해당 청소년이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나이(14-19세)의 범위에 있고, 상기 청소년의 키 성장 정도가 전분기 대비 50% 이상 감소하였거나, 같은 연령 및 성별의 청소년과 대비하여 같은 연령 및 성별의 청소년 대비 50% 이상 감소하였을 경우 그 시기를 성장기가 끝날 수 있는 시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년이 사춘기에 진입되는 시기인지를 분석하여 상기 청소년이 사춘기에 진입되는 시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청소년이 가장 성장을 많이 할 수 있는 시기에 있는 것으로 보고, 그 내용을 상기 청소년 또는 상기 청소년의 보호자에게 통보하는 것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관리 기본 정보는 과거의 생활 습관 항목, 과거의 질병 여부 및 그 내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주기적 성장관리 정보에서 성장관리 요소 정보는 성장관리에 필요한 섭취 영양정보, 운동량 정보, 수면상태 정보, 스트레스 지수 측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섭취 영양정보는 상기 웹 페이지에서 음식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든 음식물 종류를 나열하여 선택 입력하고 섭취된 음식물이 모두 입력되었을 때 그 총열량을 즉시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운동량 정보는 상기 웹 페이지에서 운동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든 운동의 종류를 나열하게 선택 입력하게 하고, 상기 운동의 종류 및 그 운동시간이 입력되면 그 운동에 따른 소모 열량을 즉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결과는 월 단위, 분기 단위, 반기 단위, 연 단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분하여 그 기간 내 신체정보의 변동 과정과 상기 아동 및 청소년의 같은 연령 및 성별의 그 기간 내 신체정보의 변동 과정을 비교 분석한 내용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정보는 키 정보이고, 그 분석결과는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그래 프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관리서버가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보호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은 상기 보호자의 이메일로 그 내용을 전송하거나 상기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SMS로 그 내용을 통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동 또는 청소년의 단말기는 데스크탑 PC, 노트북, PDA, 휴대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KR1020080136534A 2008-12-30 2008-12-30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KR20100078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534A KR20100078307A (ko) 2008-12-30 2008-12-30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534A KR20100078307A (ko) 2008-12-30 2008-12-30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307A true KR20100078307A (ko) 2010-07-08

Family

ID=4263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534A KR20100078307A (ko) 2008-12-30 2008-12-30 온라인상에서의 성장관리 및 성장예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83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623A (ko) * 2016-06-23 2018-01-03 (주)삼족오 키 성장 예측이 가능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키 성장 예측 방법
KR20190072292A (ko) * 2017-12-15 2019-06-2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신체 성장 예측 모델링 장치 및 방법
WO2022265135A1 (ko) * 2021-06-18 2022-12-22 주식회사 예스나우 부모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녀의 신체 치수를 예측하는 신체 치수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623A (ko) * 2016-06-23 2018-01-03 (주)삼족오 키 성장 예측이 가능한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키 성장 예측 방법
KR20190072292A (ko) * 2017-12-15 2019-06-2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신체 성장 예측 모델링 장치 및 방법
WO2022265135A1 (ko) * 2021-06-18 2022-12-22 주식회사 예스나우 부모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녀의 신체 치수를 예측하는 신체 치수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tchell et al. Physical activity in young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of parental influences
Knofczynski et al. Sample sizes when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 prediction
Hartnett et al. Parental support during young adulthood: Why does assistance decline with age?
Schölzel-Dorenbos et al. Integrating unmet needs into dementi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earch and care: Introduction of the Hierarchy Model of Needs in Dementia
Hills et al. Information search in decisions from experience: Do our patterns of sampling foreshadow our decisions?
Rabe-Hesketh et al. Reliable estimation of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using adaptive quadrature
Chen et al. Intensive care unit admitting patterns in the Veterans Affairs health care system
Wang et al. The effects of doing part‐time jobs on college student academic performance and social life in a Chinese society
Blevins et al. Motivational pathways from antecedents of alcohol use to consequences: A structural model of using alcohol to cope with negative affect
Saloner et al. Episodes of mental health treatment amo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hung et al. Risk factors for smoking behaviors among adolescents
Jakobsen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in adolescence and positive mental health outcomes in early adulthood: a prospective cohort study
Hill et al. A path model of psychosocial and health behaviour change predictors of excessive gestational weight gain
Kerin et al. Resisting the temptation of food: Regulating overeating and associations with emotion regulation, mindfulness, and eating pathology
Blevins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ituational determinants of use and drinking motives
Jung et al. Predicting need for advanced illness or palliative care in a primary care population using electronic health record data
Park et al.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patient turnover in inpatient hospital settings
Finger et al. Hostile–Helpless states of mind mediate relations between childhood abuse severity and personality disorder features
Melius Overweight and obesity in minority children and implications for family and community social work
Martinsson et al. Modeling the effects of telephone nursing on healthcare utilization
Aichele et al. Illness and intelligence are comparatively strong predictor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depressive symptoms following middle age
Nes et al. Well-being and ill-being: shared environments, shared genes?
Kukk et al. The interplay between binge eating risk factors: Toward an integrated model
Paterson et al. Managing the risk of suicide in acute psychiatric inpatients: A clinical judgement analysis of staff predictions of imminent suicide risk
O'Brie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ing styles of Irish immigrant moth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