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959A -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anxiolytic drug - Google Patents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anxiolytic dru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959A
KR20100077959A KR1020080136054A KR20080136054A KR20100077959A KR 20100077959 A KR20100077959 A KR 20100077959A KR 1020080136054 A KR1020080136054 A KR 1020080136054A KR 20080136054 A KR20080136054 A KR 20080136054A KR 20100077959 A KR20100077959 A KR 20100077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hcl
amount
drug
tab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0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국렬
Original Assignee
윤국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국렬 filed Critical 윤국렬
Priority to KR102008013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7959A/en
Publication of KR20100077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959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etretin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17Cellul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7Malvaceae (Mallow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에 관한 것으로, 약리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및 경화(hydrogenated) 목화씨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친유성 물질과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소디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친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모두를 포함하는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harmaceutical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s, which include, as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sulpiron hydrochloride; And a lipophilic substa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yl behenate and hydrogenated cottonseed oil and a hydrophilic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and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Pharmaceutical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s comprising one or both are provided.

본 발명의 약학 제제는 약리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로서, 초기 속효성과 수시간후의 서방출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물의 급격한 방출에 따른 환자의 부작용 발현에 대한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약물 운반을 제공함으로써 급격한 약물방출로 인한 부작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투여 빈도를 줄이고 약물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prepa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an antidepressant comprising buspyrone hydrochloride as a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 which not only achieves both initial fast release and sustained release after several hours, but also according to the rapid release of the drug. The likelihood of adverse events in patien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us, by providing constant drug deliver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side effects due to rapid drug release, reduce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and increase the effect of the drug.

Description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anxiolytic drug}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anxiolytic drug

본 발명은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약리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항우울제의 방출 속도가 제어된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controlled oral administration controlled release rate of antidepressant comprising buspyrone hydrochloride as a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 .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C21H31N5O2·HCl)는 422.0의 분자량을 갖는 백색 결정질의 수용성 화합물이다. 화학적으로,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8-[4-[4-(2-피리미디닐)-1-피퍼라지닐)-1-피퍼라지닐]부틸]-8-아자-스피로[4.5]데칸-7,9-디온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이다. 부스피론은 벤조디아제핀과는 다른 항우울제이다. 항우울제로서 벤조디아제핀과 같은 효능이 있으나, 부스피론은 벤조디아제핀에서 발견되는 진정작용 또는 운동 장애를 일으키지않는다. 화학적으로, 부스피론은 아자스피로데칸디온 유도체(화학식 1)이다. 이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형태는 422의 분자량을 가지며 고 수용성이다. 부스피론은 2염기성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이 며, 4.12의 pKa1 및 7.32의 pKa2를 갖는다.Buspyrone hydrochloride (C21H31N5O2.HCl) is a white crystalline, water-soluble compou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422.0. Chemically, buspyrone hydrochloride is 8- [4- [4- (2-pyrimidinyl) -1-piperazinyl) -1-piperazinyl] butyl] -8-aza-spiro [4.5] decane- 7,9-dione monohydrochloride. Buspyrone is an antidepressant other than benzodiazepines. As an antidepressant, it has the same effect as benzodiazepines, but buspyrone does not cause the sedation or motor disorders found in benzodiazepines. Chemically, buspyrone is an azaspirodecandione derivative (Formula 1). Its hydrochloride form has a molecular weight of 422 and is highly water soluble. Buspyrone is a dibasic heterocyclic compound and has a pK a1 of 4.12 and a pK a2 of 7.32.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08090129610-PAT00001
Figure 112008090129610-PAT00001

부스피론의 작용 메카니즘은 확립되지 않았으나, 부스피론은 중추신경계(CNS)의 도파민 경로에 작용하며, 도파민 대사물인 호모바닐라산 및 디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의 스트리아탈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부스피론은 또한 송아지 해마에서 세로토닌 (5-히드록시트립트아민; 5-HT) 리셉터에 바인딩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송아지에서 5-HT 리셉터는 사람에서의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부스피론은 아마도 사람에서 5-HT 리셉터에 바인딩할 것이다. 상기 약물은 5-HT1, 특히 5-HT1A에 대한 고 친화력으로 바인딩하며, 이러한 타입의 활성은 이의 작용 메카니즘의 중요한 부분인 것으로 여겨진다. Berlin 등(1995)은 부스피론의 정신자극적 영향은 이의 활성 대사물 1-피리미디닐피퍼라진(1-PP), a2-아드레노셉터 길항제에 의해 야기될 수 있으며, 이의 혈장 농도는 실질적으로 치료 투여량에서 부스피론보다 높다고 보고하였다. Although the mechanism of action of buspyron has not been established, it is known to act on the dopamine pathway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and to increase the striatal concentrations of the dopamine metabolites homovanilanic acid and dihydroxyphenylacetic acid. Buspyron is also known to bind to 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receptors in calf hippocampus. Because 5-HT receptors in calves are similar to those in humans, Buspyron will probably bind to 5-HT receptors in humans. The drug binds with high affinity for 5-HT1, in particular 5-HT1A, and this type of activity is believed to be an important part of its mechanism of action. Berlin et al. (1995) suggest that the psychostimulatory effects of buspyron can be caused by its active metabolite 1-pyrimidinylpiperazine (1-PP), a2-adrenoceptor antagonists, whose plasma concentrations are substantially therapeutic. The dosage was reported to be higher than buspyrone.

부스피론은 경구 투여후 잘 흡수되지만, 실질적인 제 1 통과 대사는 경구 생체이용률을 감소시킨다. 2-웨이 크로스오버 시험으로, 8마리의 건강한 지원자들에게 10분 정맥내 주입으로 [14C]부스피론 1mg 또는 경구 용액으로 [14C]부스피론 200mg을 주었다. 혈액 시료를 24시간동안 수집하고, (방사성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총 방사성 및 부스피론 농도를 혈장, 소변 및 배설물에서 측정하였다. 경구 투여후 부스피론의 최대 혈장 농도(Cmax)는 약 2.5mg/L이었으며, 이 농도에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은 1시간미만(0.8시간)이었다. 부스피론의 절대 생체이용률은 약 4%이다.Buspyron is well absorbed after oral administration, but substantial first pass metabolism reduces oral bioavailability. In a two-way crossover test, eight healthy volunteers were given 1 mg of [14C] buspyron by 10 minutes intravenous infusion or 200mg of [14C] buspyron by oral solutio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24 hours and total radioactivity and buspyron concentrations (using radioimmunoassays) were measured in plasma, urine and feces. Th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max) of buspirone after oral administration was about 2.5 mg / L, and the time taken to reach this concentration was less than 1 hour (0.8 hours). The absolute bioavailability of buspyrone is about 4%.

부스피론은 투여 배출량이 1%미만으로 변화되지 않으면서 광범위하게 대사된다. 소변 대사물에 대한 연구 결과, 부스피론의 대사는 스피로 및 피리미딘 고리에서의 하이드록실화 및 부틸-치환 측쇄의 N-디알킬화를 통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들은 또한 1-PP는 혈장에서 주요 대사물이며 부스피론과 유사한 약리학적 활성을 가질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약물 상호작용 연구로부터 간접적인 증거에 기초하여, 시토크롬 P450(CYP) 3A4는 부스피론의 대사에 관련될 수 있다.Buspyron is metabolized extensively without changing the dose to less than 1%. Studies on urine metabolites have shown that the metabolism of buspyron occurs through hydroxylation at the spiro and pyrimidine rings and N-dialkylation of the butyl-substituted side chains. Studies also suggest that 1-PP is a major metabolite in plasma and may have similar pharmacological activity as buspyrone. Based on indirect evidence from drug interaction studies, cytochrome P450 (CYP) 3A4 may be involved in the metabolism of buspyron.

한편, 지난 30년에 걸쳐, 조절된 약물 운반의 치료 잇점의 수반된 인식과 함께 새로운 약물 실체를 마케팅하는데 비용과 문제가 증가됨에 따라, 이러한 투여 형태가 매력적인 여러 이유가 있다. 다수의 질병 상태에 대해 상당히 많은 수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화합물이 이미 존재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있다. 그 러나, 이러한 약물의 효과는 종종 임상 시험에서 이러한 화합물 투여시 불가피한 부작용으로 제한된다. 지연 운반 시스템의 목적은 작용부에 국소화시키거나, 필요한 투여량을 감소시키거나 혹은 일정한 약물 운반을 제공함으로써 투여 빈도를 줄이고 약물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such dosage forms are attractive over the past 30 years, as the cost and problem of marketing new drug entities with the accompanying recognition of the therapeutic benefits of controlled drug delivery have increased.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a large number of therapeutically effective compounds already exist for many disease stat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se drugs is often limited to the inevitable side effects of administering these compounds in clinical trials. The purpose of the delayed delivery system is to reduce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drug by localizing the site of action, reducing the required dose or providing constant drug delivery.

지속된 운반 시스템에서 이러한 약물의 효과는 투여빈도를 줄이고, 환자의 순응을 향상시키고, 악영향을 방지하고, 그리고 지연된 기간동안 약물의 치료적 혈중 혹은 조직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투여 스케쥴의 감소는 환자 순응의 향상 뿐만 아니라 약물 투여의 용이성을 이끈다. 지연 방출로 디자인된 시스템은 또한 조제형태일 수 있으며, 각 투여는 정기적인 간격으로 방출이 계속된다. 약리학적 효과는 약물의 양이 치료범위내에 있는 한 유지된다. 피크 농도가 이러한 범위를 넘거나 못미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좁은 치료 윈도우를 갖는 약물의 경우에 그러하지만, 지속된 운반 시스템을 디자인할 경우 좁은 치료 윈도우를 갖는 약물은 지연된 기간동안 약물의 치료적 혈중 또는 조직 수준을 유지함으로써 다중 투여에 의해 혈중 농도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투여량을 감소시키기위해 지속 운반 시스템을 디자인하는 경우 이러한 약물들은 작용부 국소화에 의해 약물의 효과를 증가시킴으로써 일정한 약물 운반을 필요로 하거나 제공한다. 약물을 우수하고 신속한 흡수로 위내로 투여한 후, 이러한 약물은 고 혈중 농도를 나타내지만 이러한 약물이 지연-방출 시스템으로 디자인됨에따라 고 혈중 농도에서 발생하는 전신성 악영향은 감소될 수 있으며, 강한 치료 효과를 갖는 약물에 대한 안전 치료 범위는 넓어지며, 악영향에 대한 환자 민감도에 대한 전신적 및 국소적 악영향은 감소된다. The effect of such drugs in sustained delivery systems is to reduce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improve patient compliance, prevent adverse effects, and maintain the therapeutic blood or tissue levels of the drug for a delayed period of time. Reducing the dosing schedule leads to improved patient compliance as well as ease of drug administration. Systems designed for delayed release can also be in the form of a formulation, with each dose continuing to be released at regular intervals. The pharmacological effect is maintained as long as the amount of drug is within the therapeutic range. Problems arise when the peak concentration is above or below this rang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drugs with a narrow therapeutic window, however, when designing a sustained delivery system, a drug with a narrow therapeutic window may be used to maintain blood or tissue levels of the drug for a delayed period of time, thereby maintaining Reduce the size When designing sustained delivery systems to reduce dosage, these drugs require or provide constant drug delivery by increasing the effect of the drug by localization of the action. After administration of the drug into the stomach with good and rapid absorption, these drugs show high blood concentrations, but as these drugs are designed as delayed-release systems, the systemic adverse effects that occur at high blood levels can be reduced and a strong therapeutic effect The range of safe treatments for drugs with is widened, and the systemic and local adverse effects on patient sensitivity to adverse effects are reduced.

지연 방출 정제는 수불용성 물질, 천연 혹은 합성 거대분자, 왁스, 지방산 및 알코올을 습식 과립화법으로 이용하여 약물 용해도를 제한하는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약물동력학적 인자 및 약력학적 인자를 이용하여 약물의 흡수를 조절함으로써 약리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지속 약물 운반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보다 큰 관심이 집중되어왔다.Delayed-release tablets can be prepared by using water insoluble substances, natural or synthetic macromolecules, waxes, fatty acids and alcohols in wet granulation to limit drug solubility. Greater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sustained drug delivery systems that can regulate pharmacologic activity by controlling the absorption of drugs using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factors.

한편, 앞서 언급한 부스피론은 매우 높은 일차 통과 대사를 나타내고, 경구 투여후 치료 투여량의 약 4%만이 변하지 않고 대순환계에 도달한다(Mayol 등의 Clin. Pharmacol. Ther., 제37호, 210페이지, 1985년 참조). 부스피론의 흡수에 있어서, 개체간의 큰 편차는 최대 약 10배의 혈장 농도 편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Gammans 등의 American J. Med., 제80호, 부록 3B, 제41-51페이지, 1986년 참조). 2개의 대사 산물이 확인되었는데, 이 중에서 5-OH-부스피론은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1-(2-피리미디닐)피페라진, 즉, 1-PP는 그 자체로서 부스피론 활성의 20-25%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스피론 자체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인체내에서 매우 짧은 반면에(예, 2-11시간), 활성이 훨씬 더 적은 대사 산물인 1-PP는 보다 느리게 제거된다(Mayol 등의 Clin. Pharmacol. Ther., 제37호, 210페이지, 1985년 참조). 이러한 약물 속도론적 특성은 다소 빈번한 일일 복용을 불가 피하게 하며, 이것은 환자의 순응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부스피론은 경구 투여후 신속하게 흡수되기때문에, 약물 투여직후 높은 혈장 피크값이 나타나는데, 이는 치료 초기에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 발생과 관련있을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치료를 방해한다는 점에서 환자의 순응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ooth pyrons exhibit very high first-pass metabolism, and after oral administration only about 4% of the therapeutic dose remains unchanged (Cay. Pharmacol. Ther., No. 37, 210, Mayol et al. Page, 1985). In the uptake of buspyrone, large variations between individuals were observed to exhibit up to about 10-fold variation in plasma concentrations {Gammans et al. American J. Med., No. 80, Appendix 3B, pages 41-51, 1986. Reference). Two metabolites were identified, of which 5-OH-buspyron showed no pharmacological activity and 1- (2-pyrimidinyl) piperazine, ie 1-PP by itself, had 20 It was found to represent -25%. While the biological half-life of buspyrone itself is very short in the human body (e.g., 2-11 hours), much less active metabolite 1-PP is removed more slowly (Cay. Pharmacol. Ther., Mayol et al., 37, pp. 210, 1985). These pharmacokinetic properties make it somewhat inevitable to take frequent daily doses, which can negatively affect patient compliance. Because buspyrone is rapidly absorbed after oral administration, high plasma peak values appear immediately after drug administration, which may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undesirable side effects that may occur temporarily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This can also seriously affect patient compliance in that it interferes with treatment.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부스피론은 광범위한 일차-통과 대사 및 보다 높은 변이성을 갖는 복잡한 약물동력학을 갖기 때문에, 변형된 부스피론 경구 흡수를 제공하고, 원하는 약물 혈중 수준을 유지하고, 원치않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부스피론의 경구 지연방출 투여형태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Thus, as described above, because Buspyron has complex pharmacokinetics with extensive first-pass metabolism and higher variability, it provides modified Buspyron oral absorption, maintains desired drug blood levels, and minimizes unwanted side effects. There is a need to develop oral delayed release dosage forms of buspyrone.

이에 본 발명은 약리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항우울제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키는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 which delays the release rate of antidepressant comprising buspyrone hydrochloride as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에 의하면, 약리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및 경화(hydrogenated) 목화씨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친유성 물질과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소디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친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모두를 포함하는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 busyrone hydrochloride; And a lipophilic substa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yl behenate and hydrogenated cottonseed oil and a hydrophilic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and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Pharmaceutical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s comprising one or both are provided.

본 발명의 약학 제제는 약리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로서, 초기 속효성과 수시간후의 서방출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물의 급격한 방출에 따른 환자의 부작용 발현에 대한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약물 운반을 제공함으로써 급격한 약물방출로 인한 부작용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투여 빈도를 줄이고 약물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prepa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an antidepressant comprising buspyrone hydrochloride as a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 which not only achieves both initial fast release and sustained release after several hours, but also according to the rapid release of the drug. The likelihood of adverse events in patien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us, by providing constant drug deliver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side effects due to rapid drug release, reduce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and increase the effect of the drug.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는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친유성 물질 및/또는 친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약리활성 성분인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harmaceutical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retarding the release rate of the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 busyrone hydrochloride, including busyrone hydrochloride and lipophilic substances and / or hydrophilic polymers. .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의 구성 성분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mponents of 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서 약리학적 활성 성분으로 사용되는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항우울제로서, 그 첨가량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약학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 내지 48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Buspyrone hydrochloride used as a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depressant, but the amount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7 to 4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10 to 20% by weight.

본 발명에서 상기 친유성 물질은 상기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방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 첨가량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77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친 유성 물질의 함량이 40중량%미만인 경우에는 약물의 방출 속도가 너무 빨라져 경구 투여시 즉시 모두 방출될 수 있으며, 77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약물의 방출 속도가 너무 느려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친유성 물질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6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pophilic material is used to control the release rate of the buspyrone hydrochlor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40 to 77%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have. When the content of the lipophilic substance is less than 40% by weight, the release rate of the drug may be too fast to be released all upon oral administration, and when the content exceeds 77% by weight, the release rate of the drug may be too slow. Preferably, the lipophilic material is included in an amount of 30-6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상기 친유성 물질은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및 경화(hydrogenated) 목화씨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친유성 물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글리세릴 베헤네이트가 사용된다.The lipophilic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yl behenate and hydrogenated cottonseed oil. Preferably, the lipophilic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but glyceryl behenate is used.

상기 친유성 물질은 용융법에 의해 고형 분산물로 제조된 약물과 함께 배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디베이직 칼슘포스페이트 디아히드레이트 또는 미정질 셀룰로오즈와 같은 첨가제와 함께 지연 방출 정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pophilic material can be combined with a drug prepared as a solid dispersion by the melting method, and in the form of a delayed release tablet together with additives such as lactose anhydrous, dibasic calcium phosphate dihydrate or microcrystalline cellulose. It is preferred to be prepared with.

상기 친수성 폴리머 또한 상기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방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 첨가량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80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폴리머의 함량이 30중량%미만인 경우에는 약물의 방출 속도가 너무 빨라져 경구 투여시 즉시 모두 방출될 수 있으며, 8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약물의 방출 속도가 너무 느려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친수성 폴리머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7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The hydrophilic polymer is also used to control the release rate of the buspyrone hydrochloride, but the amoun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3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hydrophilic polymer is less than 30% by weight, the release rate of the drug may be too fast to be released all upon oral administration, and when the content exceeds 80% by weight, the release rate of the drug may be too slow. Preferably, the hydrophilic polymer is included in an amount of 40 to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상기 친수성 폴리머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 오즈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소디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The hydrophilic polymer can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oz and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상기 친수성 폴리머는 용매법에 의해 고형 분산물로 제조된 약물과 함께 배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디베이직 칼슘포스페이트 디아히드레이트 또는 미정질 셀룰로오즈와 같은 첨가제와 함께 지연 방출 정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ydrophilic polymer can be combined with a drug prepared as a solid dispersion by the solvent method, and in the form of a delayed release tablet with additives such as lactose anhydrous, dibasic calcium phosphate dihydrate or microcrystalline cellulose. It is preferred to be prepared.

본 발명의 약학 제제는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팽윤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발포제, 향미제, 조절 방출제, 코팅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further compris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s, which may include diluents, binders, disintegrants, lubricants, swelling agents, surfactants, antioxidants, foaming agents, flavoring agents, controlled release agents, Coatings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 첨가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디베이직 칼슘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미정질 셀룰로오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The additiv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lactose anhydrous, dibasic calcium phosphate dihydr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or mixtures thereof.

상기 첨가제의 양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7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 additive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0.5 to 57%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본 발명의 약학 제제는 일반적인 약학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리학적 활성 성분인 부스피론 HCl의 고형 분산물은 용융법 또는 용매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고형 분산물을 다른 성분들과 함께 직접 압축법에 의해 정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general pharmaceutical preparation method. For example, a solid dispersion of the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 Buspiron HCl may be prepared by melting or solvent method, and the solid dispersion may be prepared in tablet form by direct compression with other ingredients. hav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which are on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1. 실험 방법1. Experiment Method

1-1. 재료1-1. material

다음 재료들이 추가 정제없이 공급받은 대로 사용되었다.The following materials were used as received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JiangSu NHWA Pharmacetical Group. Co. Ltd., China)Buspyrone hydrochloride (JiangSu NHWA Pharmacetical Group.Co. Ltd., China)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Precirol® ATO 5, Gattefosse, s.a.s, France) Glyceryl Palmitostearate (Precirol ® ATO 5, Gattefosse, sas, France)

글리세릴 베헤네이트(Compritol® 888ATO, Gattefosse, s.a.s, France)Glyceryl Behenate (Compritol ® 888ATO, Gattefosse, sas, France)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MS, B&M Chemicals Ltd. India)Glyceryl Monostearate (GMS, B & M Chemicals Ltd. India)

경화(hydrogenated) 목화씨 오일(Sterotex, Abitec Co, WI, U.S.A.)Hydrogenated cottonseed oil (Sterotex, Abitec Co, WI, U.S.A.)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PMC K15M, Shin-Etsu Chemicals Co., Japan)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PMC K15M, Shin-Etsu Chemicals Co., Japan)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PMC K4M, Shin-Etsu Chemicals Co., Japan)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PMC K4M, Shin-Etsu Chemicals Co., Japan)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소디움(NaCMC, Sigma-Aldrich Chemie GmbH, Germany)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NaCMC, Sigma-Aldrich Chemie GmbH, Germany)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저점도(Klucel LF, Hercules U.S.A.)Hydroxypropylcellulose, low viscosity (Klucel LF, Hercules U.S.A.)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고점도(Klucel LF, Hercules U.S.A.)Hydroxypropylcellulose, high viscosity (Klucel LF, Hercules U.S.A.)

락토즈 안하이드로스(DMV International Pharma, Holland)Lactose Anhydrous (DMV International Pharma, Holland)

디베이직 칼슘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레이트(Emcompress, Edward Mendell Co., U.K.)Dibasic calcium phosphate dihydrate (Emcompress, Edward Mendell Co., U.K.)

미정질 셀룰로오즈(Comprecel® , Mingtai Chemical Co., Ltd., Taiwan)Microcrystalline cellulose (Comprecel ® , Mingtai Chemical Co., Ltd., Taiwan)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Katayama Chemical Co., Japan)Magnesium Stearate (Katayama Chemical Co., Japan)

HPLC 등급 아세토니트릴(J. T. Baker Co., U.S.A.)HPLC grade acetonitrile (J. T. Baker Co., U.S.A.)

HPLC 등급 메탄올(J. T. Baker Co., U.S.A.)HPLC grade methanol (J. T. Baker Co., U.S.A.)

물은 역삼투압에 의해 정제되고 여과되었다.The water was purified and filtered by reverse osmosis.

1-2. 부스피론 HCl 고형 분산물의 제형1-2. Formulation of Buspyrone HCl Solid Dispersion

고형 분산물은 용매법 및 용융법으로 제조되었다.Solid dispersions were prepared by a solvent method and a melting method.

1-2-1. 용융법에 의한 고형 분산물의 제조1-2-1. Preparation of Solid Dispersion by Melting Method

부스피론 HCl의 고형 분산물은 용융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프리시롤, GMS, 컴프리톨 또는 스테록스는 지연방출 매트릭스 정제를 위한 친유성 폴리머로 사용되 었다. 부스피론 HCl 대 폴리머의 중량비는 1:1, 1:2, 1:5 및 1:10(w/w)으로 변화시켰다. 적절한 중량의 순수 부스피론 HCl 및 폴리머를 각각 칭량하고 혼합하였다. 물리적 혼합물을 90℃로 유지되는 가열 블록에서 15분간 교반하에 모든 혼합물이 완전히 용해되고 균일하게 분산될때까지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서서히 냉각하였다. 고형화 용융물을 분쇄하고 35메쉬 및 60메쉬를 이용하여 체질하였다. 35메쉬와 60메쉬 사이의 분말을 밀폐 용기내에 보관하였다.Solid dispersions of buspyrone HCl were prepared by melting. Pricyrrole, GMS, Compritol or Sterox have been used as lipophilic polymers for delayed release matrix purification. The weight ratios of buspyron HCl to polymer were varied to 1: 1, 1: 2, 1: 5 and 1:10 (w / w). Appropriate weights of pure buspyron HCl and polymer were weighed and mixed respectively. The physical mixture was heated under stirring for 15 minutes in a heating block maintained at 90 ° C. until all the mixture was completely dissolved and uniformly dispersed. The mixture was cooled slowly to room temperature. The solidified melt was ground and sieved using 35 and 60 mesh. The powder between 35 and 60 mesh was stored in a closed container.

1-2-2. 용매법에 의한 고형 분산물의 제조1-2-2. Preparation of Solid Dispersion by Solvent Method

고형 분산물을 용매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적절한 중량의 부스피론 HCl 분말 및 HPMC를 각각 칭량하여 이들을 혼합하였다. 부스피론 HCl을 적절한 양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의 혼합물에 HPMC와 함께 용해하였다. 상기 약물 대 HPMC의 중량비는 1:1, 1:2, 1:5 및 1:10(w/w)이었다. 그 혼합물을 초음파처리하고, 30분간 자기교반하고 45℃로 유지되는 오븐에서 24시간 보관하여 용매를 증발시켰다. 고형화된 용융물을 분쇄하고 35메쉬 및 60메쉬를 이용하여 체질하였다. 35메쉬와 60메쉬 사이의 분말을 밀폐 용기내에 보관하였다.When solid dispersions were prepared by the solvent method, appropriate weights of Buspyron HCl powder and HPMC were weighed and mixed respectively. Buspyron HCl was dissolved with HPMC in a mixture of methylene chloride and methanol in an appropriate amount. The weight ratios of the drug to HPMC were 1: 1, 1: 2, 1: 5 and 1:10 (w / w). The mixture was sonicated, self-stirred for 30 minutes and stored in an oven maintained at 45 ° C. for 24 hours to evaporate the solvent. The solidified melt was ground and sieved using 35 and 60 mesh. The powder between 35 and 60 mesh was stored in a closed container.

1-3.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조 및 평가1-3.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Buspyrone HCl Delayed-Release Tablets

1-3-1.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조1-3-1. Preparation of Buspyrone HCl Delayed-Release Tablets

다른 제형들의 성분들은 모터 및 비닐팩을 이용하여 10분간 혼합한 다음, 오목 펀치 사이즈 8mm 직경 툴링을 이용하여 직접 압축법에 의해 압축하였다. 각 정 제 배합물은 중량 및 경도 변화에 의해 특성화되었다. 평균 정제 경도는 경도 측정기(Dr. Sheleuniger Model 6D Tablet Tester, Pharmatron, U.S.A.)로 측정시 60-70N이었다.The components of the other formulations were mixed for 10 minutes using a motor and a plastic pack and then compressed by direct compression using a concave punch size 8 mm diameter tooling. Each tablet formulation was characterized by weight and hardness changes. The average tablet hardness was 60-70 N as measured by a hardness tester (Dr. Sheleuniger Model 6D Tablet Tester, Pharmatron, U.S.A.).

1-3-2. 친유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조1-3-2. Preparation of Bus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s Containing Lipophilic Polymer

친유성 폴리머를 이용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배합물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부스피론 HCl 30mg을 각 정제당 적용하였으며, 30-300mg 범위로 친유성 폴리머를 배합하였다. 희석제는 정제당 28-178mg 범위로 사용하였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윤활제로서 정제당 2mg 적용하였다.The combination of bus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s with lipophilic polymers is shown in Table 4. 30 mg of Buspyron HCl was applied per tablet and lipophilic polymers were formulated in the range of 30-300 mg. Diluents were used in the range 28-178 mg per tablet. Magnesium stearate was applied 2 mg per tablet as lubricant.

친유성 폴리머로서, Precirol® ATO 5, Compritol® 888 ATO, GMS 및 스테로텍스를 각각 적용하였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엠컴프레스 또는 컴프리셀을 직접 압축 희석제로서 사용하였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윤활제로서 사용하였다. 고형 분산물 및 희석제의 중량비를 달리하여 직접 압축법에 의해 압축하였다. 고형 분산물을 이용한 지연-방출 정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되었다: ① 부스피론 HCl 및 지질을 각각 칭량하였다. ② 지질을 완전히 용융될때까지 45-90℃에서 모르타르에서 가열하였다. ③ BSP를 용융된 지질에 첨가하고 45-90℃에서 잘 교반하였다. ④ 가열기에서 모르타르를 제거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⑤ 고형 혼합물을 분쇄하고 35 또는 60메쉬 체를 이용하여 체질하였다. ⑥ 희석제를 첨가한 후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⑦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고, 균질하게 혼합하고, 압축하여 정제 를 제조하였다.As lipophilic polymers, Precirol ® ATO 5, Compritol ® 888 ATO, GMS and sterotex were applied respectively. Lactose Anhydrous, Empress or Comprisel were used directly as compression diluents and magnesium stearate was used as lubricant. Different weight ratios of solid dispersions and diluents were compressed by direct compression. Delayed-release tablets using solid dispersions were prepared as follows: ① Busyron HCl and lipid were weighed respectively. ② The lipids were heated in mortar at 45-90 ° C. until complete melting. ③ BSP was added to the molten lipid and stirred well at 45-90 ° C. ④ Mortar was removed from the heater and cooled to room temperature. ⑤ The solid mixture was ground and sieved using a 35 or 60 mesh sieve. ⑥ After adding the diluent, mixed homogeneously. ⑦ Magnesium stearate was added, mixed homogeneously, and compressed to prepare a tablet.

[표 1] TABLE 1

친유성 폴리머를 이용한 부스피론 HCl ER 정제의 배합물(단위: mg/정제)Formulation of Buspyron HCl ER Tablet with Lipophilic Polymer (in mg / tablet)

배합combination 함량content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친유성 폴리머a Lipophilic polymer a 30-30030-300 희석제b Thinner b 28-17828-17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gun 62-42062-420

aPrecirol® ATO 5, Compritol® 888 ATO, GMS 및 Sterotex a Precirol ® ATO 5, Compritol ® 888 ATO, GMS and Sterotex

b락토즈 안하이드로스, Emcompress, Comprecel b Lactose Anhydrous, Emcompress, Comprecel

1-3-3. 친유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조1-3-3. Preparation of Bus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s Containing Lipophilic Polymer

친유성 폴리머를 이용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배합물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부스피론 HCl 30mg을 각 정제당 적용하였으며, 30-300mg 범위로 친유성 폴리머를 배합하였다. 희석제를 28-148mg/정제의 범위로 적용하였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윤활제로서 2mg/정제로 적용하였다.The formulation of the bus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with a lipophilic polymer is shown in Table 2. 30 mg of Buspyron HCl was applied per tablet and lipophilic polymers were formulated in the range of 30-300 mg. Diluent was applied in the range of 28-148 mg / tablet and magnesium stearate was applied at 2 mg / tablet as lubricant.

HPMC K15M, HPC 및 NaCMC를 지연-방출 재료를 위한 친유성 폴리머로 사용하였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엠컴프레스 또는 컴프리셀을 직접 압축 희석제로 사용하였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윤활제로 사용하였다. 약물과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한 다음,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켰다. 건조물을 풀어서 35 또는 60메쉬로 체질 한 다음, 균질한 혼합을 위해 희석제를 첨가한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윤활제로서 적용한 다음, 압축하였다. 약물, 폴리머, 및 다른 부형제들을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윤활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적용하고 직접 압축하였다.HPMC K15M, HPC and NaCMC were used as lipophilic polymers for delayed-release materials. Lactose Anhydrous, Empress or Comprisel were used directly as compression diluents and magnesium stearate as lubricant. The drug and polymer were dissolved in the solvent and then the solvent was evaporated completely. Dissolve the dry matter and sift to 35 or 60 mesh, then add diluent for homogeneous mixing. Magnesium stearate was applied as lubricant and then compressed. The drug, polymer, and other excipients were mixed homogeneously, then lubricant magnesium stearate was applied and directly compressed.

[표 2] TABLE 2

친유성 폴리머를 이용한 부스피론 HCl ER 정제의 배합물(단위: mg/정제)Formulation of Buspyron HCl ER Tablet with Lipophilic Polymer (in mg / tablet)

배합combination 함량content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친유성 폴리머a Lipophilic polymer a 30-30030-300 희석제b Thinner b 28-14828-14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gun 120-390120-390

aHPMC, HPC, NaCMC a HPMC, HPC, NaCMC

b락토즈 안하이드로스, Emcompress, Comprecel b Lactose Anhydrous, Emcompress, Comprecel

1-4.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용해법1-4. Dissolution of Bus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s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용해 시험을 37±0.5℃에서 용해 시험기(Dissolution tester DST-810, Labfine, Korea)를 이용하여 1000rpm의 교반 속도에서 USP XXV 및 용해 장치 2, 패들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용해 매체는 0.01N HCl 매체이었으며, 용해 매체의 체적은 900mL이었다. 각 용해 시험에서, 부스피론 HCl 30mg을 함유하는 칭량된 양의 시료를 900mL의 용해 매체에 넣었다. 분취액(6mL)을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회수하고 Nylon Acrodisc® 0.45마이크로미터 멤브레인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각 시료 채취시, 제거된 체적으로서 6mL가 새로운 용해 매체로 즉시 대체되었다. 매체내 약물 농도는 UV 분광 광도계로 측정되었다. 약물 농도가 검출되고 시간에 따른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로 나타내었다(각각 n=3). 용액을 여과하기전에, 용해 매체 4mL를 통과시킴으로써 멤브레인 필터에서의 흡수를 방지하기 위해 멤브레인 필터를 세츄레이션하였다. 이 공정은 본 시험에서 모든 여과 공정에 적용되었다.The dissolution test of the bus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was measured according to USP XXV and dissolution apparatus 2, paddle method at a stirring speed of 1000 rpm using a dissolution tester (Dissolution tester DST-810, Labfine, Korea) at 37 ± 0.5 ° C. . The dissolution medium was 0.01 N HCl medium and the volume of the dissolution medium was 900 mL. In each dissolution test, a weighed amount of sample containing 30 mg of buspiron HCl was placed in 900 mL of dissolution medium. Aliquots (6 mL) were recover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filtered through a Nylon Acrodisc ® 0.45 micrometer membrane filter. At each sampling, 6 mL of volume removed was immediately replaced with fresh dissolution medium. Drug concentration in the medium was measured by UV spectrophotometer. Drug concentrations were detected and expressed as percentage of drug released over time (n = 3 each). Prior to filtering the solution, the membrane filter was set to prevent absorption in the membrane filter by passing through 4 mL of dissolution medium. This process was applied to all filtration processes in this test.

Sakr 및 Andheria(2001a,b)는 부스피론 지연-방출 정제의 약물동력학 연구를 보고한바 있으며, 상기 연구는 시험관내에서 지연방출 정제로부터 효과적인 약물 방출 프로필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보고에 의하면, 최종 배합물이 선별되고, 용해 속도를 기준 배합물과 비교하였다. 표 3은 이러한 용해 시험에 적절한 스펙을 보여준다(Sakr 및 Andheria(2001a,b)). 이는 용해 프로필, 2시간에 30-50%, 4시간에 55-75%, 8시간에 85-100% 및 12시간에 완전 용해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프로필은 본 발명의 목표 프로필이 될 것이다.Sakr and Andheria (2001a, b) reported a pharmacokinetic study of buspyron delayed-release tablets, which demonstrated an effective drug release profile from delayed-release tablets in vitro. According to this report, the final formulation was selected and the dissolution rate wa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formulation. Table 3 shows the appropriate specifications for this dissolution test (Sakr and Andheria (2001a, b)). This showed a dissolution profile, 30-50% at 2 hours, 55-75% at 4 hours, 85-100% at 8 hours and complete dissolution at 12 hours, which will be the target pro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3][Table 3]

부스피론 HCl ER 정제의 용해 시험에 대한 스펙Specification for Dissolution Testing of Buspyron HCl ER Tablets

시간(hr)Time (hr) 방출 약물(%)Release drug (%) 22 30-5030-50 44 55-7555-75 88 85-10085-100 1212 >90> 90

1-5. 부스피론 HCl의 정량 분석1-5. Quantitative Analysis of Buspiron HCl

1-5-1. UV-분광광도 검사1-5-1. UV-spectrophotometry

용해 시험에서 고형 분산물 및 지연 방출 정제로부터 방출되는 부스피론 HCl의 양은 UV-분광광도법으로 측정되었다(Takka et al., 2003).The amount of buspyron HCl released from the solid dispersion and delayed release tablets in the dissolution test was determined by UV-spectrophotometry (Takka et al., 2003).

1-5-1-1. 기구1-5-1-1. Instrument

미리정해진 시간에 회수된 시료를 UV-Vis 분광광도계(UV mini 1240,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UV-분광광도기 조건은 파장이 238nm로 고정되었다. 사용된 셀은 1X1㎠ 쿼츠 셀이었다. 기준선에 대한 블랭크 시료는 0시간에서의 용해 매체이었다.Samples recovered at predetermined times were analyzed using a UV-Vis spectrophotometer (UV mini 1240, Shimadzu, Japan). UV-spectrophotometer conditions were fixed at a wavelength of 238 nm. The cell used was a 1 × 1 cm 2 quartz cell. The blank sample for baseline was the dissolution medium at 0 hours.

1-5-1-2. 방출된 %의 계산1-5-1-2. Calculation of% Released

각 시료에서 지연방출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퍼센트는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The percent release of buspyrone HCl from delayed-release tablets in each sampl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식 1][Equation 1]

Figure 112008090129610-PAT00002
Figure 112008090129610-PAT00002

여기서, %R은 부스피론 HCl의 방출 누적 %이며, As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회수된 용해 시료의 흡수도이며, Ast는 표준 용액의 흡수도이며, C는 표준 용액의 농도(㎍/mL)이며, V는 용해 매체의 체적(mL)이며, 그리고 D는 지연방출 정제내 부스피론 HCl의 초기 양(mg)이다. 용해 프로필의 곡선은 시간(hr)에 대한 방출 누적 %로 나타내었다.Where% R is the cumulative percent release of Buspyron HCl, As is the absorbance of the dissolved sample recover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st is the absorbance of the standard solution, and C is the concentration of the standard solution (μg / mL) Where V is the volume of dissolution medium (mL) and D is the initial amount (mg) of Buspyron HCl in the delayed release tablet. The curve of dissolution profile is expressed as cumulative percent release over time (hr).

1-6. 통계1-6. statistics

통계 처리는 비선형 회귀 프로그램, SigmaPlot ver 8.0(SPSS Inc., Chicago, IL, USA)의 지원을 이용하여 선형 또는 2차 회귀법으로 수행되었다. 통계학적 유의도는 p<0.05 또는 p<0.10으로 수용하였다.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by linear or quadratic regression using the support of a nonlinear regression program, SigmaPlot ver 8.0 (SPSS Inc., Chicago, IL, US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ccepted as p <0.05 or p <0.10.

2. 결과 및 디스커션2. Results and discussion

2-1. 즉시 방출 정제 및 기준 제형으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용해 프로필2-1. Dissolution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Immediate Release Tablets and Reference Formulations

용해 시험은 시중에 이미 존재하는 즉시 방출 배합물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또한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을 규정하기위해 서지적 조사가 추가되었다.Dissolution testing was conducted to evaluate immediate release formulations already present on the market, and bibliographic investigations were added to define the dissolution profile of delayed release tablets.

도 1은 (A) 시판되는 즉시 방출 정제 및 (B) 문헌상의 기준 배합물(Sakr and Andheria, 2001a,b)로부터의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그 결과는 즉시 방출 정제로부터 약물의 방출은 신속하였으며 5분내에 완료되었다. 즉시 방출 정제로부터 5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90%이상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스피론 ER의 기준 배합물은 12시간동안 서서히 용해되었다. 용해량은 2, 4 및 8시간에 각각, 30-50%, 55-75% 및 85-100%이었으며, 12시간에 90%이상이 용해되었다(Sakr and Andheria, 2001a,b).1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A) commercially available immediate release tablets and (B) reference formulations in the literature (Sakr and Andheria, 2001a, b). The result was that the release of the drug from the immediate release tablet was rapid and completed within 5 minutes.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5 minutes from the immediate release tablet was greater than 90%. As shown in FIG. 1, the reference formulation of Buspyron ER slowly dissolved for 12 hours. Dissolution amounts were 30-50%, 55-75% and 85-100% at 2, 4 and 8 hours, respectively, and more than 90% were dissolved at 12 hours (Sakr and Andheria, 2001a, b).

2-2. 친유성 폴리머를 이용한 부스피론 HCl 지연 방출(ER) 정제의 용해 프로필2-2. Dissolution Profile of Buspyron HCl Delayed-Release (ER) Tablets with a Lipophilic Polymer

2-2-1. 친유성 폴리머의 타입이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용해에 미치는 영향2-2-1. Effect of the Type of Lipophilic Polymer on the Dissolution of Busyron HCl from ER Tablets

Precirol, Compritol, GMS 및 Sterotex와 같은 친유성 폴리머는 약물의 방출을 지연시키기위해 정제에 사용된다. 이들이 약물의 방출 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정제내에 이들의 적절한 양을 찾기위해 평가되었다. Precirol, Compritol, GMS 및 Sterotex를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은 각각 표 4 및 5에 주어진다.Lipophilic polymers such as Precirol, Compritol, GMS and Sterotex are used in tablets to delay the release of the drug. The effect of these on the rate of release of the drug was evaluated to find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se in the tablet. Formulations applied using Precirol, Compritol, GMS and Sterotex are given in Tables 4 and 5, respectively.

[표 4][Table 4]

고형 분산법(용융법)을 이용하여 Precirol 및 Compritol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형Formulation of Buspirone HCl Delayed-Release Tablets Prepared with Precirol and Compritol Using Solid Dispersion (melting)

(단위: mg/tablet)                                                            (Unit: mg / tablet)

제형Formulation LMP01LMP01 LMP02LMP02 LMP03LMP03 LMP04LMP04 LMC01LMC01 LMC02LMC02 LMC03LMC03 LMC04LMC04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PrecirolPrecirol 3030 6060 150150 300300 -- -- -- -- CompritolCompritol -- -- -- -- 3030 6060 150150 30030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22 22 22 22 6060 150150 300300 gun 6262 9292 182182 332332 6262 9292 182182 332332

[표 5]TABLE 5

고형 분산법(용융법)을 이용하여 GMS 및 Sterotex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형Formulation of Bus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s Prepared by GMS and Sterotex Using Solid Dispersion (melting)

(단위: mg/tablet)                                                            (Unit: mg / tablet)

제형Formulation LMG01LMG01 LMG02LMG02 LMG03LMG03 LMG04LMG04 LMS01LMS01 LMS02LMS02 LMS03LMS03 LMS04LMS04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GMSGMS 3030 6060 150150 300300 -- -- -- -- SterotexSterotex -- -- -- -- 3030 6060 150150 30030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22 22 22 22 22 22 22 gun 6262 9292 182182 332332 6262 9292 182182 332332

각 정제는 부스피론 HCl 30mg 및 친유성 폴리머 30-300mg 범위를 함유하였으며, 용해 시험은 압축후 수행되었으며, 최종 정제 무게는 62-332mg 범위내이었다.Each tablet contained 30 mg of buspyron HCl and 30-300 mg of lipophilic polymer, the dissolution test was performed after compression and the final tablet weight was in the range of 62-332 mg.

도 2 내지 5는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Precirol(Reitz and Kleinebudde, 2007; Sinchaipanid et al., 2004; Hamdani et al., 2002, 2003) 및 GMS(Adeyeye and Price, 1991, 1994; Allababidi and Shah, 1998a,b; Lu et al, 2007)은 지연방출 투여형태의 개발에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시험에서의 결과는 Precirol 또는 GMS로 제조된 정제로부터 약물의 방출은 모든 배합물에서 신속하였음을 나타내었다. Precirol 또는 GMS로 제조된 정제로부터 5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80-90%이상이다. 따라서,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지질 매트릭스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2-5 show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Precirol (Reitz and Kleinebudde, 2007; Sinchaipanid et al., 2004; Hamdani et al., 2002, 2003) and GMS (Adeyeye and Price, 1991, 1994; Allababidi and Shah, 1998a, b; Lu et al, 2007) I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development of delayed release dosage forms. However, the results in this test showed that the release of drug from tablets made with Precirol or GMS was rapid in all formulations.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5 minutes from a tablet made with Precirol or GMS is at least 80-90%. Therefore, the influence of the lipid matrix on the release of buspyron HCl was not significant.

그러나, Compritol 또는 Sterotex를 이용한 정제로부터 약물의 방출 프로필은 친유성 폴리머의 양에 따라 지연되었다. Compritol은 여러 조사에서 지연 방출 부형제로서 통속적으로 적용되는 원자화된 글리세릴 베헤네이트이다. 다량의 Sterotex는 정제로부터 약물의 극적인 지연 방출 효과를 나타내었다. Compritol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80%(80% 방출시간)은 Compritol의 양이 30mg/정제에서 300mg/정제로 증가함에따라 9.2분에서 20.6분으로 증가하였다(도 6).However, the release profile of the drug from tablets with Compritol or Sterotex was delay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lipophilic polymer. Compritol is an atomized glyceryl behenate which is commonly applied as a delayed release excipient in many irradiations. Large amounts of Sterotex showed a dramatic delayed release of the drug from the tablet. T 80% (8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made with Compritol increased from 9.2 minutes to 20.6 minutes as the amount of Compritol increased from 30 mg / tablet to 300 mg / tablet (FIG. 6).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150mg의 범위에서 Compritol의 양 증가는 T80%에 대해 선형 관계로 실행되었다(p<0.05, r 2=0.998). T80%에 대해 30-300mg 범위에서 Compritol 양은 (T80%) = 0.079 x (Compritol의 양) + 6.597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150mg이상의 Compritol에서, T80%의 증가 속도는 감소하였다. As shown in FIG. 6, the amount of Compritol increase in the range of 30-150 mg was performed in a linear relationship for T 80% (p <0.05, r 2 = 0.998). Compritol amount in the range 30-300mg for T 80% can be interpreted as (T 80%) = 0.079 x ( amount of Compritol) + 6.597. However, at over 150 mg of Compritol, the rate of increase of T 80% decreased.

Sterotex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50%(50% 방출 시간)은 Sterotex의 양이 30mg/정제에서 300mg/정제로 증가함에따라 9.4분에서 25.4분으로 증가하였다(도 7). 도 7은 또한 Sterotex 양이 60mg에서 300mg으로 증가함에 따라 T50%의 선형 증가가 일어남을 보여준다((p<0.05, r 2=0.999). 그러나, Sterotex 양이 60mg미만인 경우, T50%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 결과를 고려하여, Compritol 또는 Sterotex가 계속된 시험에 사용될 수 있었다.T 50% (5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made with Sterotex increased from 9.4 minutes to 25.4 minutes as the amount of Sterotex increased from 30 mg / tablet to 300 mg / tablet (FIG. 7). Figure 7 also shows that a linear increase of T 50% occurs as the amount of Sterotex increases from 60 mg to 300 mg (p <0.05, r 2 = 0.999). However, when the amount of Sterotex is less than 60 mg, T 50% is rather Therefore, in view of these experimental results, Compritol or Sterotex could be used for subsequent testing.

2-2-2. Compritol의 양이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용해에 미치는 영향2-2-2. Effect of Compritol Amount on the Dissolution of Buspyron HCl from ER Purification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Compritol의 영향에 대한 평가 목적으로, Compritol의 양은 약물의 지연 방출을 위해 정제내에 달리하였다. 약물 방출 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정제내에 이들의 적절한 양을 찾기위해 평가되었다. Compritol 및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를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이 표 6에 주어진다. 도 8 및 9는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도 8 및 9는 또한 상기 배합물이 목표 기준 용해보다 신속하거나(LMCL01, LMCL02, LMCL05, LMCL06) 혹은 느리게(LMCL03, LMCL04, LMCL07, LMCL08) 약물을 방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매트릭스 정제는 고형 분산법(용융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으며, 친유성 폴리머의 양은 정제당 30 내지 300mg으로 달리하였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은 정제당 58mg 또는 88mg으로 고정되었다. 그 결과 Compritol 30mg으로 제조된 정제(LMCL01 및 LMCL05)로부터의 약물 방출은 1시간내에 80%이상이었으며, Compritol 60mg으로 제조된 정제(LMCL02 및 LMCL06)로부터의 약물 방출은 약 3시간에 80%이상이었다. 그러나, Compritol 150mg 또는 300mg을 이용하여 제조된 정제로부터의 약물 방출 프로필은 Compritol의 양에 따라 극적으로 지속되었다. 약 55.6% 약물 방출은 LMCL03(Compritol 150mg)으로부터 12시간동안 획득되었으며, 단지 23.8%만의 약물 방출은 LMCL04(Compritol 300mg)으로부터 12시간동안 이루어졌다. 두 배합물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58mg을 함유하였다. 이와 반대로,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88mg, LMCL07(Compritol 150mg) 및 LMCL08(Compritol 300mg)을 함유한 제형으로부터 약물 방출 속도는 각각 LMCL03 및 LMCL04보다 빨랐다. LMCL07 및 LMCL08로부터의 약물 방출량은 각각 12시간동안 75.4% 및 58.6%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들 은 Compritol의 양 조절로 매트릭스 정제로부터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은 매트릭스 정제로부터의 약물 방출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첨가제의 양 및 첨가제의 타입이 약물 방출 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또한 평가되었다.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effect of Compritol on the dissolution profile, the amount of Compritol was varied in the tablet for delayed release of the drug. The effect on drug release rate was evaluated to find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se in the tablet. Formulations applied using Compritol and Lactose Anhydrous are given in Table 6. 8 and 9 show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8 and 9 also show that the formulation is releasing the drug either faster (LMCL01, LMCL02, LMCL05, LMCL06) or slower than the target reference dissolution (LMCL03, LMCL04, LMCL07, LMCL08). Matrix tablets were prepared using a solid dispersion method (melting method) and the amount of lipophilic polymer varied from 30 to 300 mg per tablet.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was fixed at 58 mg or 88 mg per tablet. As a result, drug release from tablets made with Compritol 30 mg (LMCL01 and LMCL05) was at least 80% within 1 hour and drug release from tablets made with Compritol 60 mg (LMCL02 and LMCL06) was at least 80% at approximately 3 hours. . However, drug release profiles from tablets prepared using Compritol 150 mg or 300 mg lasted dramatically depending on the amount of Compritol. About 55.6% drug release was obtained for 12 hours from LMCL03 (Compritol 150mg) and only 23.8% drug release was made for 12 hours from LMCL04 (Compritol 300mg). Both formulations contained 58 mg of lactose anhydroose. In contrast, drug release rates were faster than LMCL03 and LMCL04 from formulations containing Lactose Anhydrous 88 mg, LMCL07 (Compritol 150 mg) and LMCL08 (Compritol 300 mg), respectively. Drug release from LMCL07 and LMCL08 was 75.4% and 58.6% for 12 hours,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rate of release of drug from the matrix tablet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ompritol, and that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ose can affect the rate of drug release from the matrix tablet. do. Thu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additive and the type of additive on the rate of drug release was also evaluated.

[표 6]TABLE 6

고형 분산법(용융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양의 Compritol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형Formulation of Booth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s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Compritol Using Solid Dispersion (melting)

(단위: mg/tablet)                                                            (Unit: mg / tablet)

제형Formulation LMCL01LMCL01 LMCL02LMCL02 LMCL03LMCL03 LMCL04LMCL04 LMCL05LMCL05 LMCL06LMCL06 LMCL07LMCL07 LMCL08LMCL08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CompritolCompritol 3030 6060 150150 300300 3030 6060 150150 300300 락토즈 안하이드로스Lactose Anhydrous 5858 5858 5858 5858 8888 8888 8888 888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22 22 22 22 22 22 22 gun 120120 150150 240240 390390 150150 180180 270270 420420

3-2-3. Compritol을 이용하여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용해에 미치는 첨가제 타입의 영향 3-2-3. Effect of Additive Type on Dissolution of Busyron HCl from ER Tablets Prepared with Compritol

약물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키기위해 정제내에 첨가제의 양 및 첨가제의 타입을 변화시켰다. 이들이 약물 방출에 미치는 영향은 정제내에 이들의 적절한 양을 찾기위해 평가되었다.The amount of additives and the type of additives in the tablets were varied to delay the release rate of the drug. The effect of these on drug release was evaluated to find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se in the tablets.

Compritol 및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를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7에 나타내었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은 28 내지 118mg/정제로 달리하였으며, Compritol의 양은 60mg/정제로 고정하였다. 도 10은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28, 58 또는 118mg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로 제조된 정제로부터 4시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각각 86.7, 90.0 또는 92.8%이었다. 3가지 배합물 모두에서 약물 방출은 기준보다 빨랐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80%(80% 방출시간)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이 28에서 118mg/정제로 증가함에따라 3.1에서 2.0시간으로 감소하였다(도 11). 따라서,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의 영향은 크지 않았으며 유의하지 않았다(p>0.10).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Compritol and Lactose Anhydrous are shown in Table 7.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ose was varied from 28 to 11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Compritol was fixed to 60 mg / tablet. 10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4 hours from tablets made with 28, 58 or 118 mg lactose anhydrous was 86.7, 90.0 or 92.8%, respectively. Drug release was faster than baseline in all three combinations. T80% (8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prepared with lactose anhydrous decreased from 3.1 to 2.0 hours as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ose increased from 28 to 118 mg / tablet (FIG. 11). ). Therefor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ose on the release of buspyrone HCl was not significant and was not significant (p> 0.10).

Emcompress의 양은 28 내지 118mg/정제로 달리하였으며, Compritol의 양은 60mg/정제로 고정되었다. 도 12는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28, 58 또는 118mg Emcompress로 제조된 정제로부터 12시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각각 70.8, 67.8 또는 60.0%이었다. Emcompress의 경우에, 모든 배합물은 목표 용해 프로필보다 느린 용해를 나타내었다. Emcompress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50%(50% 방출시간)은 Emcompress의 양이 28 내지 118mg/정제로 증가함에따라 5.1 내지 6.9시간으로 증가하였다(도 13). T50%가 약간 증가하였지만 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10). 따라서, Emcompress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The amount of Emcompress varied from 28 to 11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Compritol was fixed to 60 mg / tablet. 12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12 hours from tablets made with 28, 58 or 118 mg Emcompress was 70.8, 67.8 or 60.0%, respectively. In the case of Emcompress, all formulations showed dissolution slower than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T50% (5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prepared with Emcompress increased from 5.1 to 6.9 hours as the amount of Emcompress increased from 28 to 118 mg / tablet (FIG. 13). A slight increase in T50% was not significant (p> 0.10). Therefor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Emcompress on the release of buspyrone HCl was not significant.

Compritol 및 Comprecel을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7에 나타내었다. Comprecel은 종종 직접 압축용으로 가장 우수한 부형제 중의 하나로 간주된다. 배합물내에 편입된 Comprecel은 고전단 과립화에 의해 제조된 정제의 용해 속도와 압축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precel의 양을 28 내지 118mg/정제로 변화시키고, Compritol의 양을 60mg/정제로 고정하였다. 도 14는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보여준다. 28, 58 또는 118mg Comprecel로 제조된 정제로부터 4시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각각 66.4, 70.5 또는 87.4%이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MCC01 및 LMCC02는 목표 프로필에 거의 이상적인 약물 방출을 나타내었다. Comprecel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80%(80% 약물량의 방출시간)은 Comprecel의 양이 28 내지 118mg/정제로 증가함에 따라 5.4에서 3.5시간으로 감소하였다(도 15).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120mg 범위에서 Comprecel 량 증가는 T80%에 선형 관계이다(p<0.10, r 2=0.980). 30-120mg 범위에서 Comprecel의 양과 T80%의 상관성은 (T80%) = -0.022 x (Comprecel의 양) + 6.155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Comprecel의 양의 영향은 유의하였다.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Compritol and Comprecel are shown in Table 7. Comprecel is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best excipients for direct compression. Comprecel incorporated into the formulation has been shown to increase the dissolution rate and compression rate of tablets prepared by high shear granulation. The amount of Comprecel was changed from 28 to 11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Compritol was fixed at 60 mg / tablet. 14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4 hours from tablets made with 28, 58 or 118 mg Comprecel was 66.4, 70.5 or 87.4%,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4, LMCC01 and LMCC02 showed nearly ideal drug release for the target profile. From ER tablets made with Comprecel, T80% (80% drug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decreased from 5.4 to 3.5 hours as the amount of Comprecel increased from 28 to 118 mg / tablet (FIG. 15). As shown in FIG. 15,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Comprecel in the range of 30-120 mg is linearly related to T80% (p <0.10, r 2 = 0.980). The correlation between Comprecel amount and T80% in the 30-120 mg range can be expressed as (T80%) = -0.022 x (Comprecel amount) + 6.155. Therefor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Comprecel on the release of buspyrone HCl was significant.

[표 7]TABLE 7

고형 분산법(용융법)을 이용하여 Compritol 및 여러 가지 양의 첨가제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형Formulation of Buspirone HCl Delayed-Release Tablets Prepared with Compritol and Various Additives by Solid Dispersion (melting)

(단위: mg/tablet)                                                            (Unit: mg / tablet)

제형Formulation LMCL09LMCL09 LMCL02LMCL02 LMCL10LMCL10 LMCE01LMCE01 LMCE02LMCE02 LMCE03LMCE03 LMCC01LMCC01 LMCC02LMCC02 LMCC03LMCC03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CompritolCompritol 6060 6060 6060 6060 6060 6060 6060 6060 6060 락토즈 안하이드로스Lactose Anhydrous 2828 5858 118118 -- -- -- -- -- EmcompressEmcompress -- -- -- 2828 5858 118118 -- -- -- ComprecelComprecel -- -- -- -- -- -- 2828 5858 11811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22 22 22 22 22 22 22 22 gun 120120 150150 120120 120120 150150 210210 120120 120120 120120

3-2-4.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용해에 미치는 Sterotex의 양의 영향3-2-4. Effect of the amount of Sterotex on the dissolution of buspyrone HCl from ER purification

Sterotex의 양은 약물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키기위해 정제내에서 변화시켰다. 또한, 약물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키기위해 정제내에 첨가제의 양 및 첨가제의 타입을 변화시켰다. 이들이 약물 방출에 미치는 영향은 정제내에 이들의 적절한 양을 찾기위해 평가되었다.The amount of Sterotex was changed in the tablet to slow the rate of drug release. In addition, the amount of additives and the type of additives in the tablets were varied to delay the release rate of the drug. The effect of these on drug release was evaluated to find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se in the tablets.

Sterotex 및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를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8에 나타내었다. 도 16은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매트릭스 정제는 고형 분산법(용융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으며, Sterotex의 양은 정제당 30 내지 300mg으로 달리하였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은 58mg/정제로 고정하였다. 그 결과 30mg Sterotex(LMSL01) 및 60mg Sterotex(LMSL02)로 제조된 정제로부터 약물의 방출은 각각 1시간 및 2시간내에 80%이상이었다. 그러나, 150mg 또는 300mg Sterotex를 이용하여 제조된 정제로부터 약물의 방출 프로필은 Sterotex의 양에 따 라 극적으로 지속되었다. LMSL03(150mg Sterotex) 및 LMSL04(300mg Sterotex)로부터의 약물 방출량은 각각 66.8% 및 15.5%이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배합물의 용해 프로필은 기준 목표 프로필보다 빠르거나(LMSL01, LMSL02) 또는 느렸다(LMSL03, LSMSL04). 이러한 결과로부터, Sterotex의 양을 조절하여 매트릭스 정제로부터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약물 방출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제의 양 및 첨가제의 타입이 약물 방출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평가하였다.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Sterotex and Lactose Anhydrous are shown in Table 8. 16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Matrix tablets were prepared using a solid dispersion method (melting method) and the amount of Sterotex varied from 30 to 300 mg per tablet.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was fixed at 58 mg / tablet. As a result, the drug release from tablets made with 30 mg Sterotex (LMSL01) and 60 mg Sterotex (LMSL02) was more than 80% in 1 and 2 hours, respectively. However, the release profile of the drug from tablets prepared using 150 mg or 300 mg Sterotex was dramatically sustain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Sterotex. Drug release from LMSL03 (150 mg Sterotex) and LMSL04 (300 mg Sterotex) was 66.8% and 15.5%,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6,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test formulation was faster (LMSL01, LMSL02) or slower than the reference target profile (LMSL03, LSMSL04).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mount of Sterotex can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rate of drug release from the matrix tablets. Therefore, in order to control the rate of drug releas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the additive and the type of the additive on the rate of drug release was further evaluated.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은 58 내지 178mg/tablet으로 변화시키고, Sterotex의 양은 150mg/tablet으로 고정하였다(표 9). 도 17은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58, 118 또는 178mg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로 제조된 정제로부터 12시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각각 68.7, 76.4 또는 84.2%이었다. 3가지 배합물 모두에서 목표 기준보다 느린 약물 용해를 보였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50%(50% 방출시간)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이 58에서 178mg/정제로 증가함에따라 6.1에서 4.2시간으로 감소하였다(도 18). 58-178mg 범위내에서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양 증가는 T50%의 선형 증가를 이루었다(p<0.10, r 2=0.989). 58-178mg 범위에서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와 T80%의 상관성은 (T50%) = -0.016 x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 + 6.97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의 영향은 유의하였다.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was varied from 58 to 17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Sterotex was fixed at 150 mg / tablet (Table 9). 17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12 hours from tablets made with 58, 118 or 178 mg lactose anhydrous was 68.7, 76.4 or 84.2%, respectively. All three combinations showed slower drug dissolution than the target criteria. T50% (5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prepared with lactose anhydrous decreased from 6.1 to 4.2 hours as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ose increased from 58 to 178 mg / tablet (FIG. 18). ). Increasing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in the 58-178 mg range resulted in a linear increase of T50% (p <0.10, r 2 = 0.989). The correlation of T80% with Lactose Anhydros in the 58-178 mg range can be expressed as (T50%) = -0.016 x (amount of Lactose Anhydrous) + 6.976. Thu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on the release of buspyrone HCl was significant.

[표 8][Table 8]

고형 분산법(용융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양의 Sterotex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형Formulation of Buspirone HCl Delayed-Release Tablets Prepared with Various Volumes of Sterotex Using Solid Dispersion (melting)

(단위: mg/tablet)                                                            (Unit: mg / tablet)

제형Formulation LMSL01LMSL01 LMSL02LMSL02 LMSL03LMSL03 LMSL04LMSL04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3030 3030 3030 SterotexSterotex 3030 6060 150150 300300 락토즈 안하이드로스Lactose Anhydrous 5858 5858 5858 585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22 22 22 gun 120120 150150 240240 390390

Sterotex 및 Emcompress를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9에 나타내었다. Emcompress의 양은 58 내지 178mg/tablet으로 변화시키고, Sterotex의 양은 150mg/tablet으로 고정하였다. 28, 58 또는 118mg으로 제조된 정제로부터 12시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각각 19.6, 25.1 또는 29.4%이었다. Sterotex 및 Emcompress의 적용은 약물 방출의 의미있는 감소를 이끌었다. Emcompress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20%(20% 방출 시간)은 Emcompress의 양이 28에서 118mg/tablet으로 증가함에따라 12.7에서 5.5시간으로 감소하였다(도 20). Emcompress가 전체적인 약물 방출 동역학을 감소시켰으나,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Emcompress의 양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p>0.10).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Sterotex and Emcompress are shown in Table 9. The amount of Emcompress was varied from 58 to 17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Sterotex was fixed at 150 mg / tablet.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12 hours from tablets prepared at 28, 58 or 118 mg was 19.6, 25.1 or 29.4%, respectively. Application of Sterotex and Emcompress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drug release. T20% (2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made with Emcompress decreased from 12.7 to 5.5 hours as the amount of Emcompress increased from 28 to 118 mg / tablet (FIG. 20). Although Emcompress reduced the overall drug release kinetic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Emcompress on the release of buspyrone HCl was not significant (p> 0.10).

[표 9]TABLE 9

고형 분산법(용융법)을 이용하여 Sterotex 및 여러 가지 첨가제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형Formulation of Buspirone HCl Delayed-Release Tablets Prepared with Sterotex and Various Additives Using Solid Dispersion Method

(단위: mg/tablet)                                                            (Unit: mg / tablet)

제형Formulation LMSL05LMSL05 LMSL06LMSL06 LMSL07LMSL07 LMSE01LMSE01 LMSE02LMSE02 LMSE03LMSE03 LMSC01LMSC01 LMSC02LMSC02 LMSC03LMSC03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SterotexSterotex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락토즈 안하이드로스Lactose Anhydrous 5858 118118 178178 -- -- -- -- -- EmcompressEmcompress -- -- -- 5858 118118 178178 -- -- -- ComprecelComprecel -- -- -- -- -- -- 5858 118118 17817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22 22 22 22 22 22 22 22 gun 240240 300300 360360 240240 300300 360360 240240 300300 360360

Sterotex 및 Comprecel을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9에 나타내었다. Comprecel의 양은 58 내지 178mg/tablet으로 변화시키고, Sterotex의 양은 150mg/tablet으로 고정하였다. 도 21은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28, 58 또는 118mg Comprecel로 제조된 정제로부터 12시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각각 73.3, 79.6 또는 83.9%이었다. 이들 3 배합물 모두 기준 프로필보다 느리게 약물을 방출하였다. Comprecel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50%(50% 방출 시간)은 Comprecel의 양이 28에서 118mg/tablet으로 증가함에따라 7.4에서 3.9시간으로 감소하였다. Comprecel의 양 증가는 T50%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10). 따라서,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Comprecel의 양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Sterotex and Comprecel are shown in Table 9. The amount of Comprecel was changed from 58 to 17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Sterotex was fixed at 150 mg / tablet. 21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12 hours from tablets made with 28, 58 or 118 mg Comprecel was 73.3, 79.6 or 83.9%, respectively. All three of these combinations released the drug slower than the reference profile. T50% (5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made with Comprecel decreased from 7.4 to 3.9 hours as the amount of Comprecel increased from 28 to 118 mg / tablet. Increasing amounts of Comprecel tended to decrease T50%, bu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10). Therefor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Comprecel on the release of buspyron HCl was not significant.

2-3. 친수성 폴리머를 이용한 부스피론 HCl ER 정제의 용해 프로필2-3. Dissolution Profile of Buspyron HCl ER Tablets Using Hydrophilic Polymer

2-3-1.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용해에 미치는 HPMC의 영향2-3-1. Effect of HPMC on the Dissolution of Buspyron HCl from ER Purification

HPMC는 pH-의존성 물질이며, HPMC 매트릭스 배합물로부터 약물 방출 속도는 일반적으로 압축 압력, 약물 입자 크기 및 윤활제의 편입과 같은 공정 변수에 비의존적이다. 따라서, HPMC는 프로메타진 및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지연 방출 투여 형태를 제조하는데 널리 사용된다.HPMC is a pH-dependent material and the rate of drug release from the HPMC matrix formulation is generally independent of process variables such as compression pressure, drug particle size and incorporation of lubricants. Thus, HPMC is widely used to prepare delayed release dosage forms such as promethazine and acetaminophen.

본 시험에서, HPMC K15M 및 HPMC K4M은 ER 정제를 제조하기위한 친수성 폴리머로 사용되었다. ER 정제의 용해 속도에 미치는 제조 방법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HPMC K15M을 함유하는 ER 정제는 2가지 다른 방법, 직접 압축법 및 고형 분산법(용매법)으로 제조되었다. HPMC K15M 및 HPMC K4M으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ER 정제의 적용된 배합물을 표 10에 나타내었다.In this test, HPMC K15M and HPMC K4M were used as hydrophilic polymers to prepare ER tablets. In order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n the dissolution rate of the ER tablets, ER tablets containing HPMC K15M were prepared by two different methods, the direct compression method and the solid dispersion method (solvent method). The applied formulations of Buspyron HCl ER tablets made with HPMC K15M and HPMC K4M are shown in Table 10.

HPMC K15M의 양은 직접 압축법에 대해 60-300mg/tablet의 범위로 사용되었으며, HPMC K15M 또는 HPMC K4M의 양은 고형 분산법에 대해 30-300mg/tablet의 범위로 적용되었다. 부스피론의 방출 프로필에 미치는 HPMC의 영향을 도 23 내지 25에 나타내었다.The amount of HPMC K15M was used in the range of 60-300 mg / tablet for the direct compression method and the amount of HPMC K15M or HPMC K4M was applied in the range of 30-300 mg / tablet for the solid dispersion method. The effect of HPMC on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is shown in Figures 23-25.

[표 10]TABLE 10

직접 압축법 또는 고형 분산법(용매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양의 HPMC K15M 또는 HPMC K4M으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형Formulation of Buspirone HCl Delayed-Release Tablets Prepared with Various Quantities of HPMC K15M or HPMC K4M Using Direct Compression or Solid Dispersion (Solvent)

(단위: mg/tablet)                                                            (Unit: mg / tablet)

제형Formulation HMHMD01a HMHMD01 a HMHMD02a HMHMD02 a HMHMD03a HMHMD03 a HMHMD04a HMHMD04 a HMHMML01b HMHMML01 b HMHML02b HMHML02 b HMHML03b HMHML03 b HMH4L01b HMH4L01 b HMH4L02b HMH4L02 b HMH4L03b HMH4L03 b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HPMC K15MHPMC K15M 3030 6060 150150 300300 6060 150150 300300 -- -- -- HPMC K4MHPMC K4M -- -- -- -- -- -- -- 6060 150150 300300 락토즈 안하이드로스Lactose Anhydrous 5858 5858 5858 5858 5858 5858 5858 5858 5858 585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gun 120120 150150 240240 390390 150150 240240 390390 150150 240240 390390

a직접 압축법adirect compression

b고형 분산법(용매법)b Solid dispersion method (solvent method)

HPMC K15M의 양 증가에 따라, 부스피론 HCl의 방출은 직접 압축법으로 제조된 배합물에서 감소하였다(도 23). 팽창성 폴리머의 고 함량은 겔 형성량을 보다 많아지게 하므로, 약물 방출이 지연되었다. 그러나, HPMC K15M으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은 특히, 모든 배합물에 대해 초기 단계에서 원하는 용해 프로필과 비교하여 여전히 빨랐다. HMHMD01, HMHMD02, HMHMD03 및 HMHMD04의 제형으로부터 2시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각각 65.6, 50.3, 44.9 및 30.4%이었다. 정제내 HPMC K15M의 함량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HMHMD04의 배합물의 경우와 같이, 초기 단계에서 약물의 방출 속도를 감소시키지 않았다.With increasing amount of HPMC K15M, the release of buspyron HCl decreased in the formulations prepared by direct compression method (FIG. 23). The high content of the expandable polymer leads to higher gel formation, thus delaying drug release. However, the release of buspyrone HCl from ER tablets made with HPMC K15M was still fast compared to the desired dissolution profile, especially at the initial stage for all formulations. The percentages of drug released after 2 hours from the formulation of HMHMD01, HMHMD02, HMHMD03 and HMHMD04 were 65.6, 50.3, 44.9 and 30.4%, respectively. Despite the high content of HPMC K15M in tablets, as in the case of the combination of HMHMD04, it did not reduce the rate of release of the drug at an early stage.

HPMC는 경구 조절 방출 약물 시스템의 제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친 수성 폴리머이다. 그러나, HPMC는 겔 팽창 및 매트릭스 이완을 생성하기 위해 물 흡수에 의존하며, 이는 결국 매트릭스로부터 약물 용해 및 확산을 촉진시킨다. 이는 왜 부스피론 HCl이 HPMC의 겔층을 통해 신속히 방출되었는지 설명해준다. 초기 용해 단계에서, 방출을 조절하는 겔 장벽은 아직 형성되지 않았으며, 이는 정제 표면으로부터 약물의 신속한 용해가 이루어지게 하였다.HPMC is a useful hydrophilic polymer that can be used for the manufacture of oral controlled release drug systems. However, HPMC relies on water absorption to produce gel swelling and matrix relaxation, which in turn promotes drug dissolution and diffusion from the matrix. This explains why buspyron HCl was released rapidly through the gel layer of HPMC. In the initial dissolution step, a gel barrier controlling release was not yet formed, which resulted in rapid dissolution of the drug from the tablet surface.

고형 분산법(용매법)으로 HPMC K15M을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10에 나타내었다. HMHML01, HMHML02 및 HMHML03으로부터 12시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각각 58.5, 73.7 또는 45.4%이었다. 고형 분산법(용매법)으로 HPMC K4M을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10에 나타내었다. HMH4L01, HMH4L02 및 HMH4L03으로부터 12시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각각 64.5, 73.3 또는 36.2%이었다. HPMC K15M 및 HPMC K4M을 함유하는 배합물의 경우와 같이, 이들은 초기 단계에서 약물의 방출 속도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이는 HPMC K15M 및 HPMC K4M을 함유하는 고형 분산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매트릭스 정제를 제조하는데 유용하다. 더욱이,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HPMC K15M 및 HPMC K4M의 영향은 유의하였다.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HPMC K15M as the solid dispersion method (solvent method) are shown in Table 10.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12 hours from HMHML01, HMHML02 and HMHML03 was 58.5, 73.7 or 45.4%, respectively. 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HPMC K4M as the solid dispersion method (solvent method) are shown in Table 10.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12 hours from HMH4L01, HMH4L02 and HMH4L03 was 64.5, 73.3 or 36.2%, respectively. As in the case of combinations containing HPMC K15M and HPMC K4M, they reduced the release rate of the drug at an early stage. Thus, it is useful for preparing matrix tablets made using a solid dispersion method containing HPMC K15M and HPMC K4M. Moreover, the effect of HPMC K15M and HPMC K4M on the release of buspyron HCl was significant.

2-3-2. HPMC K4M을 이용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용해에 미치는 첨가제 타입의 영향2-3-2. Effect of Additive Type on Dissolution of Busyron HCl from ER Purification with HPMC K4M

부스피론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키기위해 HPMC K4M을 함유하는 정제내에 첨가 제의 양 및 첨가제의 타입을 변화시켰다. 이들이 약물 방출 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정제내에 이들의 적절한 양을 찾기위해 평가되었다.The amount of additive and the type of additive in the tablet containing HPMC K4M were varied to delay the release rate of buspyrone. The effect of these on the rate of drug release was evaluated to find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se in the tablets.

HPMC K4M 및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를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11에 나타내었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은 28 내지 148mg/정제로 달리하였으며, HPMC K4M의 양은 150mg/정제로 고정하였다. 도 26은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28, 58 또는 148mg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로 제조된 정제로부터 12시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각각 71.7, 74.7 또는 70.7%이었다. 3가지 배합물 모두에서 약물 방출은 기준 용해 프로필보다 느렸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50%(50% 방출시간)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에 따라 3.1 내지 4.0시간으로 변하지 않았다(도 27). 따라서,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p>0.10).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HPMC K4M and Lactose Anhydrous are shown in Table 11.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varied from 28 to 14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HPMC K4M was fixed to 150 mg / tablet. 26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12 hours from tablets made with 28, 58 or 148 mg lactose anhydrous was 71.7, 74.7 or 70.7%, respectively. Drug release was slower than the baseline dissolution profile in all three formulations. T50% (5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prepared with lactose anhydrous did not vary from 3.1 to 4.0 hours depending on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ose (FIG. 27). Therefor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ose on the release of buspyrone HCl was not significant (p> 0.10).

HPMC K4M 및 Emcompress를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11에 나타내었다. Emcompress의 양은 28 내지 148mg/정제로 달리하였으며, HPMC K4M의 양은 150mg/정제로 고정되었다. 도 28은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28, 58, 118 또는 148mg Emcompress로 제조된 정제로부터 12시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각각 58.8, 56.2, 또는 51.7%이었다. 이들 4 배합물 모두 목표 용해도보다 느린 약물 방출량을 나타내었다. Emcompress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50%(50% 방출시간)은 Emcompress의 양이 28 내지 148mg/정제로 증가함에따라 6.7 내지 9.9시간으로 증가하였다(도 29).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Emcompress 28-148mg의 범위내에서 Emcompress의 양 증가는 T50%의 선형 증가를 이루었다(p<0.05, r 2=0.988). 따라서, 이러한 범위에서 Emcompress와 T50%의 상관성은 (T50%) = -0.027 x (Emcompress의 양) + 5.82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Emcompress의 양의 영향은 유의하였다.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HPMC K4M and Emcompress are shown in Table 11. The amount of Emcompress varied from 28 to 14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HPMC K4M was fixed to 150 mg / tablet. 28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12 hours from tablets made with 28, 58, 118 or 148 mg Emcompress was 58.8, 56.2, or 51.7%, respectively. All four of these combinations showed slower drug release than the target solubility. T50% (5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made with Emcompress increased to 6.7 to 9.9 hours as the amount of Emcompress increased from 28 to 148 mg / tablet (FIG. 29). As shown in FIG. 29, the increase in amount of Emcompress within the range of Emcompress 28-148 mg resulted in a linear increase of T50% (p <0.05, r 2 = 0.988).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Emcompress and T50% in this range can be expressed as (T50%) = -0.027 x (amount of Emcompress) + 5.826. Therefor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Emcompress on the release of buspyrone HCl was significant.

HPMC K4M 및 Comprecel을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11에 나타내었다. Comprecel의 양은 28-148mg/tablet으로 변화시키고, HPMC K4M의 양은 150mg/tablet으로 고정하였다. 도 30은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28, 58, 118 또는 148mg의 Comprecel로 제조된 정제로부터 12시간후 방출된 약물의 퍼센트는 각각 62.3, 59.2, 59.2 또는 59.0%이었다. 시험된 4 배합물 모두 기준 목표 프로필보다 느린 약물 방출을 나타내었다. Comprecel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50%(50% 방출시간)은 Emcompress의 양이 28 내지 148mg/정제로 증가함에따라 5.0 내지 7.1시간으로 증가하였다(도 31).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8-148mg의 범위내에서 Comprecel의 양 증가는 T50%의 선형 증가를 이루었다(p<0.10, r 2=0.901). Comprecel의 양과 T50% 사이의 상관성은 (T50%) = 0.016 x (Comprecel의 양) + 4.84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Comprecel의 양의 영향은 유의하였다.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HPMC K4M and Comprecel are shown in Table 11. The amount of Comprecel was changed to 28-14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HPMC K4M was fixed at 150 mg / tablet. 30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The percentage of drug released after 12 hours from tablets made with 28, 58, 118 or 148 mg of Comprecel was 62.3, 59.2, 59.2 or 59.0%, respectively. All four combinations tested showed slower drug release than the reference target profile. T50% (5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prepared with Comprecel increased from 5.0 to 7.1 hours as the amount of Emcompress increased from 28 to 148 mg / tablet (FIG. 31). As shown in FIG. 31, the amount of Comprecel increase in the range of 28-148 mg resulted in a linear increase of T50% (p <0.10, r 2 = 0.901).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comprecel and T50% can be expressed as (T50%) = 0.016 x (amount of comprecel) + 4.846. Therefor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Comprecel on the release of buspyrone HCl was significant.

[표 11]TABLE 11

고형 분산법(용매법)을 이용하여 HPMC K4M 및 여러 가지 첨가제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형Formulation of Bus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s Prepared with HPMC K4M and Various Additives Using Solid Dispersion (Solvent)

(단위: mg/tablet)                                                            (Unit: mg / tablet)

제형Formulation HMH4L04HMH4L04 HMH4L05HMH4L05 HMH4L06HMH4L06 HMH4E01HMH4E01 HMH4E02HMH4E02 HMH4E03HMH4E03 HMH4E04HMH4E04 HMH4C01HMH4C01 HMH4C02HMH4C02 HMH4C03HMH4C03 HMH4C04HMH4C04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HPMC K4MHPMC K4M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락토즈 안하이드로스Lactose Anhydrous 2828 5858 148148 -- -- -- -- -- -- -- -- EmcompressEmcompress -- -- -- 2828 5858 118118 148148 -- -- -- -- ComprecelComprecel -- -- -- -- -- -- -- 2828 5858 118118 14814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gun 210210 240240 330330 210210 240240 300300 330330 210210 240240 300300 330330

2-3-3.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용해에 미치는 HPC의 영향2-3-3. Effect of HPC on the Dissolution of Buspyron HCl from ER Purification

정제내에 HPC의 양을 변화시켜 약물의 방출 속도를 지연시켰다. HPC LF 및 HPC HF는 친수성 폴리머용으로 사용되었다. 약물 방출 속도에 미치는 HPC의 영향은 정제내에서 이들의 적절한 양을 찾기위해 평가되었다.The amount of HPC in the tablets was varied to slow the rate of release of the drug. HPC LF and HPC HF were used for hydrophilic polymers. The effect of HPC on drug release rate was evaluated to find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se in the tablets.

HPC LF 및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를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12에 나타내었다. 도 32는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HPL LF의 양은 정제당 30-300mg으로 달리하였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은 58mg/tablet으로 고정하였다. HMHLL01(HPC LF 30mg)으로부터의 약물 방출은 66.1%이었고, 실제로 1시간후 변하지 않았다. HMHLL02(HPC LF 60mg) 및 HMHLL03(HPC LF 150mg)으로부터의 약물 방출은 또한 3시간후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HMHLL04(HPC LF 300mg)으로 부터의 약물 방출 프로필은 7시간동안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HMHLL04로부터 약물 방출의 양은 7시간동안 62.0%이었다.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HPC LF and Lactose Anhydrous are shown in Table 12. 32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The amount of HPL LF varied from 30-300 mg per tablet.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was fixed at 58 mg / tablet. Drug release from HMHLL01 (HPC LF 30 mg) was 66.1% and did not actually change after 1 hour. Drug release from HMHLL02 (HPC LF 60 mg) and HMHLL03 (HPC LF 150 mg) also did not change after 3 hours. However, drug release profiles from HMHLL04 (HPC LF 300 mg) gradually increased over 7 hours. The amount of drug release from HMHLL04 was 62.0% for 7 hours.

HPC HF 및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를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12에 나타내었다. 도 33은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HPC HF의 양은 정제당 30-300mg으로 달리하였다. HPC HF를 이용한 정제로부터 약물 방출 프로필은 HPC HF의 양에 따라 지연되었다. 특히, 다량의 HPC HF는 정제로부터 극적인 약물 방출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HPC HF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50%(50% 방출시간)은 HPC HF의 양이 30에서 300mg/tablet으로 증가함에 따라 0.6에서 8.6시간으로 증가하였다(도 34). 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HPC HF and lactose anhydrous are shown in Table 12. 33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The amount of HPC HF varied from 30-300 mg per tablet. Drug release profiles from tablets with HPC HF were delay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HPC HF. In particular, large amounts of HPC HF showed dramatic drug release delay effects from tablets. T50% (5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prepared with HPC HF increased from 0.6 to 8.6 hours as the amount of HPC HF increased from 30 to 300 mg / tablet (FIG. 34).

[표 12]TABLE 12

직접 압축법 또는 고형 분산법(용매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양의 HPC LF 또는 HPC HF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형Formulation of Buspirone HCl Delayed-Release Tablets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HPC LF or HPC HF Using Direct Compression or Solid Dispersion (Solvent)

(단위: mg/tablet)                                                            (Unit: mg / tablet)

제형Formulation HMHLL01HMHLL01 HMHLL02HMHLL02 HMHLL03HMHLL03 HMHLL04HMHLL04 HMHHL01HMHHL01 HMHHL02HMHHL02 HMHHL03HMHHL03 HMHHL04HMHHL04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HPC LFHPC LF 3030 6060 150150 300300 -- -- -- -- HPC HFHPC HF -- -- -- -- 3030 6060 150150 300300 락토즈 안하이드로스Lactose Anhydrous 5858 5858 5858 5858 5858 5858 5858 585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22 22 22 22 22 22 22 gun 120120 150150 240240 390390 120120 150150 240240 390390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300mg 범위에서 HPC HF의 양 증가는 T50%와 선형 상관성이 관찰되었다(p<0.10, r 2=0.901). HPC HF의 양과 T50% 사이의 이러한 상관성은 (T50%) = 0.028 x (HPC HF의 양) - 0.121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HPC HF의 양의 영향은 유의하였다. As shown in FIG. 34,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HPC HF in the 30-300 mg range was linearly correlated with T50% (p <0.10, r 2 = 0.901). This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HPC HF and T50% can be expressed as (T50%) = 0.028 x (amount of HPC HF)-0.121. Therefor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HPC HF on the release of buspyrone HCl was significant.

2-3-4. HPC HF를 이용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용해에 미치는 첨가제 타입의 영향2-3-4. Effect of Additive Type on the Dissolution of Buspyron HCl from ER Purification with HPC HF

HPC HF 및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를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13에 나타내었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은 28-148mg/tablet으로 변화시키고, HPC HF의 양은 150mg/tablet으로 고정하였다. 도 35는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6시간후 용해 속도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HMHHL은 목표 기준 배합물과 유사한 용해 프로필을 나타내었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80%(80% 방출 시간)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이 28-58mg/tablet으로 증가함에 따라 5.3-11.4시간으로 증가하였으나,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이 58-148mg/tablet으로 증가함에 따라 11.4-5.1시간으로 감소하였다(도 36).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HPC HF and lactose anhydrous are shown in Table 13.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was changed to 28-14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HPC HF was fixed at 150 mg / tablet. 35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After 6 hours the rate of dissolution slightly decreased, but HMHHL showed a dissolution profile similar to the target reference formulation. T80% (80% release time) of buspyrone HCl from ER tablets prepared with lactose anhydrous increased to 5.3-11.4 hours as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ose increased to 28-58 mg / tablet, but lactose The amount of anhydrous decreased to 11.4-5.1 hours as it increased to 58-148 mg / tablet (FIG. 36).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8-148mg 범위내에서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 증가는 T80%와 2차 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r 2=0.997). 이러한 범위에서 HPC HF 양과 T50%의 관계는 (T80%) = -0.002 x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2 +0.379 x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 - 3.488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지연 효과는 HPC HF를 함유하는 배합물내에 58-118mg/tablet 농도에서 최대화되었다.As shown in FIG. 36,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increase in the 28-148 mg range was secondary to T80% (p <0.05, r 2 = 0.997). The relationship between HPC HF amount and T50% in this range can be explained as (T80%) = -0.002 x (amount of lactose anhydrous) 2 +0.379 x (amount of lactose anhydroose)-3.488. Thus, the delayed effect of lactose anhydrous on the release of buspyrone HCl was maximized at 58-118 mg / tablet concentration in the formulation containing HPC HF.

HPC HF 및 Emcompress를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13에 나타내었다. Emcompress의 양은 28-148mg/tablet으로 변화시키고, HPC HF의 양은 150mg/tablet으로 고정하였다. 도 37은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4가지 배합물 모두 최대 4시간까지 유사한 용해 프로필을 보였으나, 이후에는 보다 낮은 약물 방출을 보여 12시간에서 약 80%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Emcompress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80%(80% 방출시간)는 Emcompress의 양이 28-118mg/tablet으로 증가함에따라 7.7-10.1시간으로 증가하였으나, Emcompress의 양이 118-148mg/tablet으로 증가함에따라 10.1-8.8시간으로 감소하였다. 28-148mg 범위내에서 Emcompress이 양 증가는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와 유사하게 T80%와 2차 관계를 나타내었다(p<0.10, r 2=0.992). HPC HF와 T50%간의 상관성은 (T80%) = -0.0006 x (Emcompress의 양)2 + 0.116 x (Emcompress의 양) + 5.017로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부스피론 HCl에 미치는 Emcompress의 지속 방출 효과는 HPC HF를 함유하는 배합물에서 58-118mg/tablet 농도에서 최대화되었다.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HPC HF and Emcompress are shown in Table 13. The amount of Emcompress was changed to 28-14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HPC HF was fixed at 150 mg / tablet. 37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All four formulations showed similar dissolution profiles for up to 4 hours, but then lower drug release resulting in about 80% solubility at 12 hours. T80% (8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made with Emcompress increased to 7.7-10.1 hours as the amount of Emcompress increased to 28-118 mg / tablet, but the amount of Emcompress increased to 118-148 mg / tablet. As it increased, it decreased to 10.1-8.8 hours.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Emcompress in the 28-148 mg range was secondary to T80%, similar to lactose anhydrous (p <0.10, r 2 = 0.9992). The correlation between HPC HF and T50% can be described as (T80%) = -0.0006 x (amount of Emcompress) 2 + 0.116 x (amount of Emcompress) + 5.017. Thus, the sustained release effect of Emcompress on buspyrone HCl was maximized at 58-118 mg / tablet concentration in the formulation containing HPC HF.

HPC HF 및 Comprecel을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13에 나타내었다. Comprecel의 양은 28-148mg/tablet으로 변화시키고, HPC HF의 양은 150mg/tablet으로 고정하였다. 도 39는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4가지 배합물 모두 Emcompress와 비교하여 낮은 용해 속도를 보였다. 이는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또는 Emcompress의 경우와 같이 2차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으나, Comprecel의 양과 T50% 사이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0)(도 40). 따라서, Comprecel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50%(50% 방출 시간)은 Comprecel의 양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으며, 부스피론 HCl의 방출에 미치는 Comprecel의 양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HPC HF and Comprecel are shown in Table 13. The amount of Comprecel was changed to 28-14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HPC HF was fixed at 150 mg / tablet. 39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All four formulations showed lower dissolution rates compared to Emcompress. This appeared to have a secondary relationship as in the case of lactose anhydrous or Emcompres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Comprecel and T50% (p> 0.10) (FIG. 40). Thus, the T50% (50% release tim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made with Comprecel did not depend on the amount of Comprecel, and the effect of the amount of Comprecel on the release of Boothpyron HCl was not significant.

[표 13]TABLE 13

직접 압축법을 이용하여 HPC HF 및 여러 가지 첨가제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형Formulation of Buspirone HCl Delayed-Release Tablets Prepared with HPC HF and Various Additives Using Direct Compression

(단위: mg/tablet)                                                            (Unit: mg / tablet)

제형Formulation HMHHL05HMHHL05 HMHHL06HMHHL06 HMHHL07HMHHL07 HMHHL08HMHHL08 HMHHE01HMHHE01 HMHHE02HMHHE02 HMHHE03HMHHE03 HMHHE04HMHHE04 HMHHC01HMHHC01 HMHHC02HMHHC02 HMHHC03HMHHC03 HMHHC04HMHHC04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HPC HFHPC HF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락토즈 안하이드로스Lactose Anhydrous 2828 5858 118118 148148 -- -- -- -- -- -- -- -- EmcompressEmcompress -- -- -- -- 2828 5858 118118 148148 -- -- -- -- ComprecelComprecel -- -- -- -- -- -- -- -- 2828 5858 118118 14814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gun 210210 240240 300300 330330 210210 240240 300300 330330 210210 240240 300300 330330

2-3-5.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확산에 미치는 NaCMC의 영향2-3-5. Effect of NaCMC on the Diffusion of Buspyron HCl from ER Purification

약물 방출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해 정제내에서 NaCMC의 양을 변화시켰다. 또한, 약물 방출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해 정제내에서 첨가제의 양 및 첨가제의 타입을 변화시켰다. 약물 방출 속도에 미치는 이들의 영향은 정제내에서 이들의 적절한 양을 찾기위해 평가되었다.The amount of NaCMC in the tablets was varied to delay the rate of drug release. In addition, the amount of additives and the type of additives in the tablets were varied to delay the rate of drug release. Their impact on drug release rates was evaluated to find their proper amount in tablets.

NaCMC 및 락토즈 안하이드로스를 이용하여 적용된 배합물을 표 14에 나타내었다. 도 41은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NaCMC의 양은 30-300mg/tablet으로 변화되었다.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은 58mg/tablet으로 고정하였다.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배합물은 기준 용해보다 빠르거나(HMCML01, HMCML02) 또는 느린(HMCML03, HMCML04) 용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그 용해 속도는 12시간내에 90%미만이었다. NaCMC로 제조된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T50%(50% 방출 시간)은 NaCMC의 양이 30-300mg/tablet으로 증가함에 따라 1.3-5.1시간으로 증가하였다(도 42).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300mg 범위에서 NaCMC의 양 증가는 선형으로 T50%를 증가시켰다((p<0.05, r 2=0.986). 이러한 범위에서 NaCMC와 T50%사이의 관계는 (T50%) = 0.014 x (NaCMC의 양) + 0.97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약물 방출 속도를 조절하기위해, 첨가제의 양 및 첨가제의 타입이 약물 방출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평가하였다.The formulations applied using NaCMC and lactose anhydrous are shown in Table 14. 41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The amount of NaCMC was varied to 30-300 mg / tablet.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was fixed at 58 mg / tablet. As shown in FIG. 41, these formulations showed faster (HMCML01, HMCML02) or slower (HMCML03, HMCML04) dissolution than the standard dissolution. The dissolution rate was less than 90% in 12 hours. T50% (50% release time) of buspyrone HCl from ER tablets prepared with NaCMC increased to 1.3-5.1 hours as the amount of NaCMC increased to 30-300 mg / tablet (FIG. 42). As shown in Figure 42, the increase in NaCMC in the range 30-300 mg linearly increased T50% ((p <0.05, r 2 = 0.986). In this r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NaCMC and T50% was (T50% ) = 0.014 x (amount of NaCMC) + 0.970. Thus, in order to control the rate of drug release, the effect of the amount of additive and the type of additive on the rate of drug release was further evaluated.

[표 14][Table 14]

직접 압축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양의 NaCMC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형Formulation of Buspirone HCl Delayed-Release Tablets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NaCMC Using Direct Compression

(단위: mg/tablet)                                                            (Unit: mg / tablet)

제형Formulation HMCML01HMCML01 HMCML02HMCML02 HMCML03HMCML03 HMCML04HMCML04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3030 3030 30
30
NaCMCNaCMC 3030 6060 150150 300300 락토즈 안하이드로스Lactose Anhydrous 5858 5858 5858 58
5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22 22 2
2
gun 120120 150150 240240 390
390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Emcompress 및 Comprecel과 같은 첨가제의 양을 28-148mg/tablet으로 변화시키고, NaCMC의 양은 150mg/tablet으로 고정하였다(표 15). 도 43 내지 45는 ER 정제로부터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 배합물 HMCML05 내지 HMCML07 및 HMCMC01 내지 HMCMC04는 4시간까지 목표 프로필과 유사하게 약물을 방출하였으며, 이후 점차 보다 낮은 용해를 보이는 경향을 가졌다. 배합물 HMCME01 내지 HMCME04는 6시간까지 기준 목표 약물과 유사한 용해 프로필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도 44). The amount of additives such as lactose anhydrous, Emcompress and Comprecel was changed to 28-148 mg / tablet and the amount of NaCMC was fixed at 150 mg / tablet (Table 15). 43-45 show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ER tablets. The formulations HMCML05 to HMCML07 and HMCMC01 to HMCMC04 released the drug similar to the target profile by 4 hours, and then tended to show gradually lower dissolution. Combinations HMCME01 to HMCME04 showed a dissolution profile similar to the baseline target drug by 6 hours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FIG. 44).

[표 15]TABLE 15

직접 압축법을 이용하여 NaCMC 및 여러 가지 첨가제로 제조된 부스피론 HCl 지연방출 정제의 제형Formulation of Buspirone HCl Delayed-Release Tablets Prepared with NaCMC and Various Additives Using Direct Compression

(단위: mg/tablet)                                                            (Unit: mg / tablet)

제형Formulation HMCML05HMCML05 HMCML06HMCML06 HMCML07HMCML07 HMCML08HMCML08 HMCME01HMCME01 HMCME02HMCME02 HMCME03HMCME03 HMCME04HMCME04 HMCMC01HMCMC01 HMCMC02HMCMC02 HMCMC03HMCMC03 HMCMC04HMCMC04 부스피론 HClBuspyron HCl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3030 NaCMCNaCMC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150150 락토즈 안하이드로스Lactose Anhydrous 2828 5858 118118 148148 -- -- -- -- -- -- -- -- EmcompressEmcompress -- -- -- -- 2828 5858 118118 148148 -- -- -- -- ComprecelComprecel -- -- -- -- -- -- -- -- 2828 5858 118118 14814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22 gun 210210 240240 300300 330330 210210 240240 300300 330330 210210 240240 300300 330330

3. 결론3. Conclusion

상기 결과로부터, 용융법에 의해 고형 분산물내에 약물과 함께 제조된 글리세릴 베헤네이트(Compritol 888 ATO) 또는 경화 목화씨 오일(Sterotex)와 같은 친유성 물질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디베이직 칼슘포스페이트 디하이드레이트(Emcompress) 또는 미정질 셀룰로오즈(Comprecel)와 같은 다른 첨가제와 함께 지연 방출 정제 형태로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용매법에 의해 고형 분산물내에 약물과 함께 제조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PMC K4M),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HPC)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소디움(NaCMC)과 같은 친수성 폴리머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디베이직 칼슘포스페이트 디하이드레이트(Emcompress) 또는 미정질 셀룰로오즈(Comprecel)과 같은 첨가제와 함께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글리세릴 베헤네이트(Compritol 888 ATO)가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가장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친유성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From the above results, lipophilic substances such as glyceryl behenate (Compritol 888 ATO) or hardened cottonseed oil (Sterotex) prepared together with the drug in the solid dispersion by the melting method are lactose anhydrous, dibasic calcium phosphate di It has been found that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e HCl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in the form of delayed release tablets with other additives such as hydrate (Emcompress) or microcrystalline cellulose (Comprecel). Hydrophilic polymers, such as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PMC K4M), hydroxypropylcellulose (HPC) or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NaCMC), are prepared with lactose anhydrous, dibasic calcium phosphate dihydrate (Emcompress) or undetermined.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with Additives Such as Vaginal Cellulose It was found that can be adjuste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glyceryl behenate (Compritol 888 ATO) is a lipophilic compound that can most effectively control the release profile of Busyron HCl.

도 1은 (A) 시판되는 즉시 방출 정제(평균±S.D., n=3) 및 (B) 문헌상의 기준 배합물(Sakr and Andheria, 2001a,b)로부터의 부스피론 HCl의 방출 프로필을 나타낸다.FIG. 1 shows the release profile of Buspyron HCl from (A) commercially available immediate release tablets (mean ± S.D., N = 3) and (B) reference formulations in literature (Sakr and Andheria, 2001a, b).

도 2는 Precirol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LMP01, ■; LMP02, ▲; LMP03, ▼; LMP04).Figure 2 shows the effect of Precirol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mean ± S.D., n = 3) (•; LMP01, ■; LMP02, ▲; LMP03, ▼; LMP04).

도 3은 Compritol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LMC01, ■; LMC02, ▲; LMC03, ▼; LMC04).Figure 3 shows the effect of Compritol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s (mean ± S.D., n = 3) (•; LMC01, ■; LMC02, ▲; LMC03, ▼; LMC04).

도 4는 GMS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LMG01, ■; LMG02, ▲; LMG03, ▼; LMG04).4 shows the effect of GMS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mean ± S.D., N = 3) (•; LMG01, ■; LMG02, ▲; LMG03, ▼; LMG04).

도 5는 Sterotex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LMS01, ■; LMS02, ▲; LMS03, ▼; LMS04).FIG. 5 shows the effect of Sterotex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s (mean ± S.D., N = 3) (•; LMS01, ■; LMS02, ▲; LMS03, ▼; LMS04).

도 6은 Compritol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8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Figure 6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Compritol on T 80% of buspyrone HCl.

도 7은 Sterotex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5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Figure 7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Sterotex on T 50% of buspyrone HCl.

도 8은 Compritol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 해 프로필을 나타냄)(●; LMCL01, ■; LMCL02, ▲; LMCL03, ▼; LMCL04).FIG. 8 shows the effect of Compritol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in the literature reference formulation) (•; LMCL01, ■; LMCL02, ▲; LMCL03, ▼; LMCL04).

도 9는 Compritol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LMCL05, ■; LMCL06, ▲; LMCL07, ▼; LMCL08).FIG. 9 shows the effect of Compritol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s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reference formulation in literature) (•; LMCL05, ■; LMCL06 , ▲; LMCL07, ▼; LMCL08).

도 10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LMCL09, ■; LMCL02, ▲; LMCL10).FIG. 10 shows the effect of lactose anhydrous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represent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LMCL09 , ■; LMCL02, ▲; LMCL10).

도 11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8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11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on T 80% of buspirone HCl.

도 12는 Emcompress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LMCE01, ■; LMCE02, ▲; LMCE03).FIG. 12 shows the effect of Emcompress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 LMCE01, ■; LMCE02 , ▲; LMCE03).

도 13은 Emcompress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5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FIG. 13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Emcompress on T 50% of Buspyron HCl.

도 14는 Comprecel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LMCC01, ■; LMCC02, ▲; LMCC03).FIG. 14 shows the effect of Comprecel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 LMCC01, ■; LMCC02 , ▲; LMCC03).

도 15는 Comprecel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8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15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Comprecel on T 80% of Buspyron HCl.

도 16은 Sterotex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 해 프로필을 나타냄)(●; LMSL01, ■; LMSL02, ▲; LMSL03, ▼; LMSL04).FIG. 16 shows the effect of Sterotex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arget dissolution profile in literature reference formulation) (•; LMSL01, ■; LMSL02, ▲; LMSL03, ▼; LMSL04).

도 17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LMSL05, ■; LMSL06, ▲; LMSL07).FIG. 17 shows the effect of lactose anhydroose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LMSL05 , ■; LMSL06, ▲; LMSL07).

도 18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5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18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on T 50% of buspirone HCl.

도 19는 Emcompress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LMSE01, ■; LMSE02, ▲; LMSE03).FIG. 19 shows the effect of Emcompress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 LMSE01, ■; LMSE02 , ▲; LMSE03).

도 20은 Emcompress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2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20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Emcompress on T 20% of Buspyron HCl.

도 21은 Comprecel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LMSC01, ■; LMSC02, ▲; LMSC03).FIG. 21 shows the effect of Comprecel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 LMSC01, ■; LMSC02 , ▲; LMSC03).

도 22는 Comprecel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5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22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Comprecel on T 50% of buspyrone HCl.

도 23은 HPMC K15M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HMD01, ■; HMHMD02, ▲; HMHMD03, ▼; HMHMD04).FIG. 23 shows the effect of HPMC K15M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HMD01, ■; HMHMD02, ▲; HMHMD03, ▼; HMHMD04).

도 24는 HPMC K15M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 해 프로필을 나타냄)(●; HMHML01, ■; HMHML02, ▲; HMHML03).FIG. 24 shows the effect of HPMC K15M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HML01, ■ ; HMHML02, ▲; HMHML03).

도 25는 HPMC K15M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H4L01, ■; HMH4L02, ▲; HMH4L03). FIG. 25 shows the effect of HPMC K15M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H4L01, ■; HMH4L02, ▲; HMH4L03).

도 26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H4L04, ■; HMH4L05, ▲; HMH4L06).FIG. 26 shows the effect of lactose anhydrous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H4L04) , ■; HMH4L05, ▲; HMH4L06).

도 27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5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27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us on T 50% of buspyrone HCl.

도 28은 Emcompress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H4E01, ■; HMH4E02, ▲; HMH4E03, ▼; HMH4E04).FIG. 28 shows the effect of Emcompress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H4E01, H; , ▲; HMH4E03, ▼; HMH4E04).

도 29는 Emcompress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5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29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Emcompress on T 50% of buspirone HCl.

도 30은 Comprecel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H4C01, ■; HMH4C02, ▲; HMH4C03, ▼; HMH4C04).FIG. 30 shows the effect of Comprecel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 HMH4C01, , ▲; HMH4C03, ▼; HMH4C04).

도 31은 Comprecel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5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31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Comprecel on T 50% of Buspyron HCl.

도 32는 HPC LF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HLL01, ■; HMHLL02, ▲; HMHLL03, ▼; HMHLL04).FIG. 32 shows the effect of HPC LF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HLL01, ■; HMHLL02, ▲; HMHLL03, ▼; HMHLL04).

도 33은 HPC HF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HHL01, ■; HMHHL02, ▲; HMHHL03, ▼; HMHHL04).FIG. 33 shows the effect of HPC HF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HHL01, ■; HMHHL02, ▲; HMHHL03, ▼; HMHHL04).

도 34는 HPC HF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5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34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HPC HF on T 50% of buspyrone HCl.

도 35는 락토즈 안하이드로즈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HHL05, ■; HMHHL06, ▲; HMHHL07, ▼; HMHHL08).FIG. 35 shows the effect of lactose anhydroz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HHL05 , ■; HMHHL06, ▲; HMHHL07, ▼; HMHHL08).

도 36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즈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8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36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lactose anhydroz on T 80% of buspyrone HCl.

도 37은 Emcompress 농도가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HHE01, ■; HMHHE02, ▲; HMHHE03, ▼; HMHHE04).FIG. 37 shows the effect of Emcompress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HHE01, HMHHE02) , ▲; HMHHE03, ▼; HMHHE04).

도 38은 Emcompress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8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38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Emcompress on T 80% of buspyrone HCl.

도 39는 Comprecel 농도가 직접 압축법을 이용한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HHC01, ■; HMHHC02, ▲; HMHHC03, ▼; HMHHC04).FIG. 39 shows the effect of Comprecel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using the direct compression method (mean ± SD, n = 3, dashed line represent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HHC01, ■; HMHHC02, ▲; HMHHC03, ▼; HMHHC04).

도 40은 Comprecel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5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40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Comprecel on T 50% of Buspyron HCl.

도 41은 NaCMC 농도가 직접 압축법을 이용한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CML01, ■; HMCML02, ▲; HMCML03, ▼; HMCML04).FIG. 41 shows the effect of NaCMC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using the direct compression method (mean ± SD, n = 3, dashed line represent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CML01, ■; HMCML02, ▲; HMCML03, ▼; HMCML04).

도 42는 NaCMC의 양이 부스피론 HCl의 T50%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42 shows the effect of the amount of NaCMC on T 50% of buspyrone HCl.

도 43은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농도가 직접 압축법을 이용한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CML05, ■; HMCML06, ▲; HMCML07, ▼; HMCML08).FIG. 43 shows the effect of lactose anhydrous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using the direct compression method (mean ± SD, n = 3, dashed line show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in the literature reference formulation). (●; HMCML05, ■; HMCML06, ▲; HMCML07, ▼; HMCML08).

도 44는 Emcompress 농도가 직접 압축법을 이용한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CME01, ■; HMCME02, ▲; HMCME03, ▼; HMCME04).FIG. 44 shows the effect of Emcompress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 release tablet using the direct compression method (mean ± SD, n = 3, dashed line indicate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CME01, ■; HMCME02, ▲; HMCME03, ▼; HMCME04).

도 45는 Comprecel 농도가 직접 압축법을 이용한 부수피론 HCl 지연 방출 정제의 용해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평균±S.D., n=3, 일점쇄선은 문헌상 기준 배합물의 목표 용해 프로필을 나타냄)(●; HMCMC01, ■; HMCMC02, ▲; HMCMC03, ▼; HMCMC04).FIG. 45 shows the effect of Comprecel concentration on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busupyron HCl delayed-release tablet using the direct compression method (mean ± SD, n = 3, dashed line represents the target dissolution profile of the reference formulation in the literature); HMCMC01, ■; HMCMC02, ▲; HMCMC03, ▼; HMCMC04).

Claims (9)

약리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Buspirone hydrochloride as a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 And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및 경화(hydrogenated) 목화씨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친유성 물질과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소디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친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모두A lipophilic substa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yl behenate and hydrogenated cottonseed oil and a hydrophilic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and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Species or both 를 포함하는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Pharmaceutical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피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 내지 48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2. 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buspyron hydrochloride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7 to 4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물질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77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pophilic substance is included in an amount of 40 to 77%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유성 물질은 글리세릴 베헤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pophilic substance is glyceryl behen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머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8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2. 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ydrophilic polymer is included in an amount of 3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2.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팽윤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발포제, 향미제, 조절 방출제, 코팅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dditiv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luents, binders, disintegrants, lubricants, swelling agents, surfactants, antioxidants, foaming agents, flavoring agents, controlled release agents, coating agents, and combinations thereof.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an antidepressant with controlled releas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락토즈 안하이드로스, 디베이직 칼슘 포스 페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미정질 셀룰로오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8. 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dditive is lactose anhydrous, dibasic calcium phosphate dihydr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or a mixture thereof.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7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성이 제어된 항우울제의 경구 투여용 약학 제제.8. 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release antidepressan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dditive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5 to 57%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KR1020080136054A 2008-12-29 2008-12-29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anxiolytic drug Withdrawn KR201000779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054A KR20100077959A (en) 2008-12-29 2008-12-29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anxiolytic dr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054A KR20100077959A (en) 2008-12-29 2008-12-29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anxiolytic dr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959A true KR20100077959A (en) 2010-07-08

Family

ID=4263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054A Withdrawn KR20100077959A (en) 2008-12-29 2008-12-29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anxiolytic dru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795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57747A (en) * 2023-11-21 2023-12-22 泊诺(天津)创新医药研究有限公司 Bupropion hydrochloride tabl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57747A (en) * 2023-11-21 2023-12-22 泊诺(天津)创新医药研究有限公司 Bupropion hydrochloride tabl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7050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rbesartan
KR101406767B1 (en) An extended release tablet formulation containing pramipexol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JP5763063B2 (en) Solid pharmaceutical fixed dose compositions comprising irbesartan and amlodipine, their preparation and their therapeutic use
KR20180109992A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JAK kinase inhibitor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EP2749270B1 (en) Racecadotri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CZ286417B6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that is useful for preparing dosage forms for oral administration with prolonged release of gepirone
AU2007254990A1 (en) Oral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of an interleukin-1 beta converting enzyme inihibitor
EP2595607A2 (en) Medicinal drug for oral administration comprising a mixture of silodosin and a basic copolymer
EP2155169B1 (en) Extended release formulation of nevirapine
EP4074308A1 (en) Elagolix formulation
CN107951853A (en) A kind of body of Pramipexole dihydrochloride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06103551A1 (en)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of oxycodone
WO2006123213A1 (en) Modified release formulations of gliclazide
KR20090086686A (en) Silymarin-contai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improved dissolution r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00077959A (en)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anxiolytic drug
CN109001353B (en) Quetiapine fumarate tablet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6919907A (en) Rumepirone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3592350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metyrapone and oxazepam and uses thereof
KR20080043855A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lecozotan
KR20150096787A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n-[5-[2-(3,5-dimethoxyphenyl)ethyl]-2h-pyrazol-3-yl]-4-[(3r,5s)-3,5-dimethylpiperazin-1-yl]benzamide
EP264419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Entecavir
Rani et al. Formulation and development of ER Metoprolol succinate tablets
EP4238555A2 (en) Immediate release fixed-dose combination of memantine and donepezil
KR20160141044A (en) Extended Release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Sildenafil
WO2024047352A1 (en) An orodispersi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fexofenadine and its process of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