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053A -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053A
KR20100075053A KR1020080133654A KR20080133654A KR20100075053A KR 20100075053 A KR20100075053 A KR 20100075053A KR 1020080133654 A KR1020080133654 A KR 1020080133654A KR 20080133654 A KR20080133654 A KR 20080133654A KR 20100075053 A KR20100075053 A KR 20100075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waste
photosensitive medium
waste develop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6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형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5053A/en
Publication of KR2010007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0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Abstract

PURPOSE: A cartridge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simplify the transport structure of a waste developer. CONSTITUTION: A housing receives a developer, and a developer transfer member(330) transports the developer from and to the housing. The developer transport member includes plural slits(332) arranged along a first direction. In order for the developer transport member to transport the developer in a second direction, the plural slit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The width of the slit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is lower than the movement width of the developer transport member.

Description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시적인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제로서 사용되는 토너를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toner used as a developer for forming a visible image.

통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토너카트리지에는 토너를 이송하는 장치가 복수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에 사용될 토너를 감광매체 쪽으로 이송시키는 토너이송장치나 감광매체 상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소정 공간으로 이송하는 폐토너이송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Typically, a toner cartridge applied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evices for transferring toner. For example, a toner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toner to be used for image formation toward the photosensitive medium or a waste toner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waste toner remaining on the photosensitive medium to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토너이송장치나 폐토너이송장치로서 적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장치에서 이송력 개선을 위해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폐토너이송장치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a toner transfer device or a waste toner transfer device, and is designed to improve the transfer force in such a devic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be used as a waste toner transfer device.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는 감광매체에서 미처 전사되지 못하고 잔류한 폐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감광매체 클리닝 유닛이 마련된다.In general,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 is provided with a photosensitive medium cleaning unit for removing waste toner that has not yet been transferred from the photosensitive medium.

상기 감광매체 클리닝 유닛은 감광매체 표면을 물리적으로 청소하는 클리닝 부재와, 상기 클리닝 부재가 긁어낸 폐토너를 수거하는 폐토너 수용부를 포함한다.The photosensitive medium cleaning unit includes a cleaning member for physically cleaning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 and a waste toner container for collecting the waste toner scraped by the cleaning member.

감광매체에서 제거된 폐토너는 폐토너 수용부 내부에 적층된다. 그런데 폐토너가 클리닝부재의 근처에서 적층되는 경우, 적층된 폐토너가 열에 의해 고화될 수 있다. 그러면 폐토너 수용부의 공간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폐토너 유입이 차단되어 폐토너가 넘치는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다. Waste toner removed from the photosensitive medium is stacked inside the waste toner container. However, when the waste toner is stacked in the vicinity of the cleaning member, the stacked waste toner may be solidified by heat. Then, despite the remaining spac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the waste toner inflow may be blocked and overflow of the waste toner may occur.

따라서 클리닝부재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유닛을 채택하기도 한다. 그러나 폐토너 수용부는 대체적으로 밀폐된 공간이기 때문에 이송유닛이 많이 동작할수록 폐토너 수용부의 내부 압력이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유닛이 회전하며 폐토너를 이송하는 회전체인 경우, 회전하는 이송유닛에 의해 폐토너 수용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폐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폐토너의 일부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유닛의 운동량을 적절히 규제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waste toner removed by the cleaning member may be employed. However, since the waste toner container is generally a closed space, the more the transfer unit operates, the greate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For example, when the transfer unit rotates and transfers the waste toner, the pressure of the waste toner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increased by the rotating transfer unit so that a part of the waste toner contained in the waste toner accommodating portion may leak ou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erly regulate the momentum of the transfer unit.

이러한 문제점은 폐토너 수용부 및 폐토너 이송유닛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현상을 위해 감광매체나 현상부재 쪽으로 토너를 이송하는 토너 이송장치가 위와 마찬가지로 지나친 회전량 혹은 운동량을 가지는 경우, 현상되는 토너량이 균일하지 않아 화상 불균일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토너가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This problem is not limited to the waste toner container and the waste toner transfer unit. If the toner conveying device for transferring the toner toward the photosensitive medium or the developing member for development has an excessive amount of rotation or momentum as above, the amount of toner to be developed may not be uniform, which may cause image unevenness and cause toner leakage. It may b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상제 이송 구조를 단순화하고, 현상제 수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cartridge capable of simplifying a developer transport structure and minimizing developer storage space,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현상제를 현상제 수용부나 감광매체로 안정되게 이송하며, 현상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tridg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stably transfer a developer to a developer accommodating part or a photosensitive medium and to prevent backflow of the developer,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카트리지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 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한 현상제 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는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릿은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가 제2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rtridg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ntaining a developer; and a developer conveying member for transferring the developer to or from the housing, wherein the developer conveying member is arrang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lits, wherein the plurality of slits are provid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developer transfer member can transfer the developer in a second direction.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의 이동폭보다 작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slit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the moving width of the developer transport member.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슬릿 간의 간격은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의 이동폭보다 작을 수 있다.An interval between the slits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a moving width of the developer transport member.

상기 슬릿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약 15°~ 80°사이일 수 있다.The angle at which the sli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may be between about 15 ° and 80 °.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 unit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developer transfer member.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돌출높이가 변화되도록 마련되는 캠부재를 가질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may have a cam member protruding from the rotating member and provided to chang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캠부재의 최저면과 최고면 간의 높이 차이보다 작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slit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owest surface and the highest surface of the cam member.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 unit may include an elastic body for restoring the developer transfer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rtridge may further include a boss provided in the housing to guide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developer transfer member.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는 상기 보스와 결합하는 가이드관통공을 가질 수 있다.The developer conveying member may have a guide through hole coupled to the boss.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슬릿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관통공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The size of the slit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guide through hole.

상기 슬릿은 상기 제2방향으로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The slits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카트리지는 감광매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되는 현상제는 화상형성 이후 상기 감광매체 상에 잔여하는 폐현상제일 수 있다.The cartridge further includes a photosensitive medium, and the transferred developer may be a waste developer remaining on the photosensitive medium after image formation.

상기 카트리지는 감광매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되는 현상제는 화상형성을 위해 상기 감광매체 쪽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일 수 있다.The cartridge further includes a photosensitive medium, and the transferred developer may be a developer supplied to the photosensitive medium for image 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와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감광매체 상의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과 선단이 상기 감광매체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부재를 가지는 클리닝장치;와 상기 클리닝부재에 의해 감광매체로부터 제거된 폐현상제를 받아내도록 상기 클리닝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며, 제 1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폐현상제 이송부재 및 상기 폐현상제 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 수용부를 가지는 폐현상제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폐현상제 이송부재는 상기 제1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슬릿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otosensitive medium is formed electrostatic latent image; And a developing unit for supplying a developer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 to form a visible image;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an image on the photosensitive medium to a print medium; and a tip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photosensitive medium. A cleaning device having a cleaning member for removing the residual developer remaining in the cleaning device; and a waste developer transported to the first side in order to receive the waste developer removed from the photosensitive medium by the cleaning member and reciprocating in the first direction. A waste developer conveying device having a member and a waste developer containing portion for storing a waste developer conveyed by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wherein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is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It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lits provid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폐현상제 이송부재의 수평 운동만으로 감광매체로부터 제거된 폐현상제를 폐현상제 수용부로 이송이 가능하여 폐현상제가 클리닝 부재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waste developer removed from the photosensitive medium to the waste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only by horizontal movement of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to prevent the waste developer from flowing back to the cleaning member side.

또한, 폐현상제가 클리닝부재 상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폐현상제 적체에 의한 클리닝 성능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waste developer from accumulating on the cleaning member, it is possible to have an effect of improving the deterioration of cleaning performance due to the waste developer accumulation.

또한, 수평 방향 운동 만으로 폐현상제를 이송시킴으로서 폐현상제 이송 구조를 단순화하고 또한 폐현상제 수납 공간을 최소화 함으로서 콤팩트한 폐현상제 청소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pact waste developer cleaning structure by simplifying the developer transport structure and minimizing the waste developer storage space by transferring the waste developer only by horizontal movem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Y, 30M, 30C, 30K), 카트리지(40Y, 40M, 40C, 40K),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includes a main body 10, a print medium supply unit 20, a light scanning unit 30Y, 30M, 30C, and 30K, a cartridge 40Y, 40M, 40C, and 40K. ), A transfer unit 50, a fixing unit 60 and a print medium discharge unit 70.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The main body 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upports various components installed therein.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S)를 전사유닛(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int medium supply unit 20 includes a cassette 21 for storing the print medium S, a pickup roller 22 for picking up the print medium S stored in the cassette 21 one by one, and the picked up print medium. It comprises a feed roller 23 for feeding (S) toward the transfer unit (50).

광주사유닛(30Y, 30M, 30C, 30K)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감광매체(80Y, 80M, 80C, 80K)에 주사한다.The optical scanning units 30Y, 30M, 30C, and 30K are light-sensitive media which ar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 print signal to light corresponding to image information of yellow (Y), magenta (M), cyan (C), and black (K) colors. 80Y, 80M, 80C, 80K).

각각의 카트리지(40Y, 40M, 40C, 40K)는 감광매체(80Y, 80M, 80C, 80K)를 가진다. 감광매체(80Y, 80M, 80C, 80K)는 광주사유닛(30Y, 30M, 30C, 30K)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잠상 및 정전잠상으로 공급된 현상제에 의해 형성되는 가시화상을 담지하는 상담지체(像擔持體, image carrier)이다. 감광매체(80Y, 80M, 80C, 80K)는 카트리지(40Y, 40M, 40C, 40K)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Each cartridge 40Y, 40M, 40C, 40K has photosensitive media 80Y, 80M, 80C, 80K. The photosensitive medium (80Y, 80M, 80C, 80K) is a counseling member carry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by the optical scanning unit (30Y, 30M, 30C, 30K) and a visible image formed by a developer supplied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 Image carrier). The photosensitive media 80Y, 80M, 80C, and 80K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cartridges 40Y, 40M, 40C, and 40K.

감광매체(80Y, 80M, 80C, 80K)는 광주사유닛(30Y, 30M, 30C, 30K)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대전장치(90Y, 90M, 90C, 90K)에 의해 소정전위로 대전된다. 감광매체(80Y, 80M, 80C, 80K)의 표면에는 광주사유닛(30Y, 30M, 30C, 30K)으로부터 주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The photosensitive media 80Y, 80M, 80C, and 80K are charged to a predetermined potential by the charging device 90Y, 90M, 90C, and 90K before light is scanned from the optical scanning units 30Y, 30M, 30C, and 30K.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s 80Y, 80M, 80C, and 80K by the light scanned from the light scanning unit 30Y, 30M, 30C, and 30K.

카트리지(40Y, 40M, 40C, 40K)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를 대응되는 감광매체(80Y, 80M, 80C, 80K)에 공급하여 각 감광매체(80Y, 80M, 80C, 80K)의 표면에 가시화상을 형성시킨다. 카트리지(40Y, 40M, 40C, 40K)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cartridges 40Y, 40M, 40C, and 40K have a developer of different colors, for example, a developer of yellow (Y), magenta (M), cyan (C), and black (K) colors. 80Y, 80M, 80C, and 80K are supplied to form a visible image on the surface of each photosensitive medium 80Y, 80M, 80C, and 80K.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artridges 40Y, 40M, 40C, and 40K will be described later.

전사유닛(50)은 감광매체(80Y, 80M, 80C, 80K)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한다. 전사유닛(50)은 각 감광매체(80Y, 80M, 80C, 80K)에 접촉되어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51)와, 전사벨트(51)를 구동시키는 전사벨트 구동롤러(52)와, 전사벨트(51)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션롤러(53)와, 감광매체(80Y, 80M, 80C, 80K)의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기 위한 4개의 전사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50 transfers the visible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diums 80Y, 80M, 80C, and 80K to the print medium. The transfer unit 50 is in contact with each photosensitive medium 80Y, 80M, 80C, 80K, the transfer belt 51 which circulates and travels, the transfer belt drive roller 52 which drives the transfer belt 51, and the transfer belt. And a tension roller 53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51 and four transfer rollers 54 for transferring the visible images of the photosensitive media 80Y, 80M, 80C, and 80K to the print media. .

인쇄매체는 전사벨트(51)에 부착되어 전사벨트(51)의 주행 속도와 같은 속도로 이송된다. 이 때 각 전사롤러(54)에는 각 감광매체(80Y, 80M, 80C, 80K)에 부착되어 있는 현상제와 반대되는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감광매체(80Y, 80M, 80C, 80K) 상의 화상은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The print medium is attached to the transfer belt 51 and transported at the same speed as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nsfer belt 51. At this time, each transfer roller 54 is applied with a voltag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developer attached to each of the photosensitive media 80Y, 80M, 80C, and 80K, and thus the photosensitive media 80Y, 80M, 80C, and 80K. The image on the image is transferred to a print medium.

정착유닛(6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6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The fixing unit 60 includes a heating roller 61 having a heat source and a pressure roller 62 which is provided to face the heating roller 61. When the print medium passes between the heating roller 61 and the pressure roller 62, the image is printed by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heating roller 61 and the pressure acting between the heating roller 61 and the pressure roller 62. Is fixed to the medium.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은 배출롤러(71)와 핀치롤러(72)를 구비하여 정착유닛(6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The print medium discharge unit 70 includes a discharge roller 71 and a pinch roller 72 to discharge the print medium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6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옐로우(Y) 색상이 수용되는 카트리지(40Y)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후술되는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다른 3개의 카트리지(40M, 40C, 40K)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artridge 40Y in which the yellow (Y) color is accommodated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other three cartridges 40M, 40C, and 40K, which a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40Y)는 감광매체(80Y), 현상유닛(100), 클리닝장치(200) 및 폐현상제 이송장치(3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artridge 40Y includes a photosensitive medium 80Y, a developing unit 100, a cleaning device 200, and a waste developer conveying device 300.

현상유닛(100)은 현상제가 채워지는 용기형상의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2)를 구비하며, 베이스프레임(110) 및 커버(112)에 의해 정의되는 현상제수용실(114)에는 현상제가 수용된다. The developing unit 100 includes a container-shaped base frame 110 filled with a developer and a cover 112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10, and defined by the base frame 110 and the cover 112. The developer is accommodated in 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114.

현상제수용실(114)은 격벽(116)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18)과 제2현상제수용실(120)로 구획되며, 제1현상제수용실(118)과 제2현상제수용실(120)은 격벽(116)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16a)를 통해 상, 하로 서로 연통된다.The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114 is partitioned into the first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118 and the second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120 by the partition wall 116, and the first developer accommodating chamber 118 and the second developing chamber are 116. The water receiving chamber 120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up and down through an inlet 116a formed at one side of the partition 116.

제1현상제수용실(118)에 저장된 현상제는 벨트장치(130)에 의해 제1현상제수용실(118)의 상측으로 이송되어 격벽(116)에 형성된 현상제임시저장부(116b)에 공급된다. 현상제임시저장부(116b)에 공급된 현상제는 공급오거(140)에 의해 격벽(116)의 일측으로 이송된 후, 유입구(116a)를 통해 제2현상제수용실(120)로 자유낙하 된다.The developer stored in the first developer accommodation chamber 118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eveloper accommodation chamber 118 by the belt device 130 in the developer temporary storage unit 116b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16. Supplied. The developer supplied to the developer temporary storage unit 116b is transferred to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116 by the supply auger 140, and then freely falls into the second developer accommodation chamber 120 through the inlet 116a. do.

자유낙하 된 현상제는 제1순환오거(150) 및 제2순환오거(152)에 의해 순환 벽(154)을 사이에 두고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과정에서 현상제는 공급부재(160)를 거쳐 마찰대전력에 의해 현상부재(162)로 공급된다. 현상부재(162)로 공급된 현상제는 규제장치(164)에 의해 그 층이 규제되고, 광주사유닛(30Y)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매체(80Y)의 표면에 부착되어 가시화상을 형성한다.The free-falling developer is circulated by the first circulation auger 150 and the second circulation auger 152 with the circulation wall 154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supplied to the developing member 162 by a large power. The developer supplied to the developing member 162 has its layer regulated by the regulating device 164, and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 80Y on which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by the optical scanning unit 30Y. To form.

본 실시예의 제1순환오거(150), 제2순환오거(152), 공급부재(160) 및 현상부재(162)는 현상제를 감광매체(80Y) 측으로 공급하는 수단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반드시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성분 현상방식에서는 공급부재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공급부재(160)나 현상부재(162)는 실린더 형상의 롤러를 적용하였으나, 롤러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타입이나 브러쉬타입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The first circulation auger 150, the second circulation auger 152, the supply member 160, and the developing member 162 of the present embodiment exemplarily show means for supplying a developer to the photosensitive medium 80Y.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case. For example, in the two-component developing method, the supply member may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ly member 160 or the developing member 162 is applied to the cylindrical roller, but is not limited to the roller shape, it can be applied to the belt type or brush type.

한편, 제2현상제수용실(120)에 충분한 양의 현상제가 공급되면, 유입구(116a)를 통한 현상제의 유입은 중단되고, 유입구(116a)로 유입되지 않은 현상제는 유입구(116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공급오거(140)의 단부에 마련되는 반송날개(141)에 의해 벨트장치(130) 측으로 반송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sufficient amount of the developer is supplied to the second developer chamber 120, the inflow of the developer through the inlet 116a is stopped, the developer not introduced into the inlet 116a to the inlet 116a It is conveyed to the belt apparatus 130 side by the conveyance blade 141 provided in the edge part of the supply auger 140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벨트장치(130)는 이송벨트(132)와, 이송벨트(132)를 구동하는 한 쌍의 구동축(134, 136)을 구비한다.The belt device 130 includes a conveyance belt 132 and a pair of drive shafts 134 and 136 for driving the conveyance belt 132.

본 실시예에서 이송벨트(132)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존에는 복수개의 교반기(Agitator)를 거의 수평하게 배열하여 현상제를 공급부재 쪽으로 공급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카트리지가 거의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는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각 카트리지의 높이를 낮추어야 하고, 이는 카트리지 내측의 교반기 회전반경이 줄어들어야 하는 필수적인 관계가 있다. 그러나, 교반기의 회전반경이 줄어들수록 이송하는 현상제의 회전반경이 줄어들어 이송하는 영역 또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현상제의 원할한 이송을 위해서는 충분한 개수의 교반기가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수의 교반기를 거치면서 현상제가 공급되면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가 심해지며, 교반기의 개수가 많아지면서 구성이 복잡해지고 교반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구조 역시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와 같이 이송벨트 형태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경우, 카트리지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복수개의 교반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구동력 전달구조가 간소해진다. 또한 현상제가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The reason for using the transfer belt 132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follows. Conventionally, a plurality of agitators were arranged almost horizontally to supply the developer toward the supply member. In addition, in the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cartridges are stack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of each cartridge should be lowered in order to lower the heigh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should reduce the stirrer rotation radius inside the cartridge. There is an essential relationship. However, as the rotation radius of the stirrer decreases, the rotation radius of the developer to be transported decreases, thereby reducing the area to be transported. Therefore, a sufficient number of stirrers are required for smooth transfer of the developer. However, when the developer is supplied through a large number of agitators, the stress of the developer becomes severe, and as the number of the agitators increases, the configura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structure for driving the agitator also becomes complicated.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supplying the developer in the form of a conveying bel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plurality of stirrers even if the height of the cartridge is reduced, and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structure is simplified. It also reduces the stress on developers.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40Y)에서 현상부재(162) 및 공급부재(160) 주변의 압력 및 온도에 의해 변형, 변질된 현상제가 제1현상제수용실(118)로 회송되는 것이 격벽(116)에 의해 방지되고, 공급부재(160) 및 현상부재(162) 주변의 현상제부터 순차적으로 소비되므로 항상 일정한 인쇄품질이 보장된다. 또한 양질의 현상제가 변형, 변질된 현상제와 혼합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현상제 사용효율이 향상된다.In the cartridge 40Y of this embodiment, it is returned to the partition wall 116 that the developer deformed and altered by the pressure and the temperature around the developing member 162 and the supply member 160 is returned to the first developer accommodation chamber 118. Is prevented and consumed sequentially from the developer around the supply member 160 and the developing member 162, thereby ensuring a constant print quality at all times. In addition, since a high quality developer is prevented from being mixed with a deformed or deteriorated developer and prevented from being used, the developer use efficiency is improved.

클리닝장치(200)는 화상 형성 과정에서 인쇄매체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매체(80Y)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제거한다. The cleaning apparatus 200 removes the waste developer remaining on the photosensitive medium 80Y without being transferred to the print medium in the image forming process.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클리닝장치와 폐현상제 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 른 카트리지에서 폐현상제 이송부재와,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폐현상제 이송부재와, 홀더 및 회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도시하였으며, 폐현상제 이송부재를 홀더와 하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ing apparatus and a waste developer transport apparatus in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and a holder in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a holder and a rotating member in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FIG. 4, some components are omitted and illustrated, and the waste developer transport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and the lower housing.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장치(200)는 일단부가 감광매체(80Y)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감광매체(80Y)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긁어내는 클리닝부재(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재(210)에 의해 제거된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에 의해 이송되어 폐현상제 수용부(320)에 저장된다. As shown in FIGS. 2 to 4, the cleaning apparatus 200 includes a cleaning member 210 having one end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photosensitive medium 80Y to scrape off the developer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 80Y.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waste developer removed by the cleaning member 210 is transferred by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and stored in the waste developer accommodating part 320.

클리닝부재(210)는 통상적으로 우레탄이나 실리콘 등의 고무 재질로 구성된 블레이드 타입이 적용된다. 고무 블레이드의 모서리는 감광매체와 기계적으로 접촉하여 감광매체 상의 잔류 현상제나 지분 등의 이물을 클리닝한다. 고무 블레이드는 금속재 혹은 강성이 고무 재질보다 높은 재질로 구성된 지지브라켓에 부착되고, 지지브라켓은 카트리지 하우징에 부착되어 지지된다.The cleaning member 210 is typically applied to a blade type made of a rubber material such as urethane or silicone. The edges of the rubber blades are in mechanical contact with the photosensitive medium to clean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sidual developer or stake on the photosensitive medium. The rubber blade is attached to a support bracket made of metal or a material of higher rigidity than the rubber material, and the support bracket is attached to the cartridge housing and supported.

본 실시예에서는 클리닝부재(210)로서 블레이드 타입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형태의 클리닝부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 타입의 클리닝부재가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블레이드 타입이 아닌 브러쉬 타입으로 마련되어 미세한 섬모로 감광매체의 표면을 클리닝할 수 있다. 또한 필름타입의 부재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blade type is taken as the cleaning member 210, but other types of cleaning members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blade-type cleaning member may b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installed to enable flow. Alternatively, the brush type may be used instead of the blade type to clea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 with fine cilia.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film type member.

폐현상제 이송장치(300)는 클리닝장치(200)에 의해 감광매체(80Y)로부터 제 거된 폐현상제를 이송하여 저장한다.The waste developer transfer apparatus 300 transfers and stores the waste developer removed from the photosensitive medium 80Y by the cleaning apparatus 200.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현상제 이송장치(300)는 하우징(310), 폐현상제 이송부재(330), 구동유닛(350) 및 폐현상제 수용부(320)를 포함한다.2 to 4, the waste developer transport apparatus 300 includes a housing 310, a waste developer transport member 330, a drive unit 350, and a waste developer receiver 320.

하우징(310)은 상부 및 하부 하우징(312)(314)으로 구성되는데, 감광매체(80Y)는 상부 하우징(312) 또는 하부 하우징(3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리닝부재(210)는 하부 하우징(314)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하우징(312)과 하부 하우징(314)의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부에는 클리닝부재(210)가 제거한 폐현상제를 수거하는 폐현상제 수용부(320)가 마련된다.The housing 310 i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housings 312 and 314. The photosensitive medium 80Y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312 or the lower housing 314, and the cleaning member 210 is lowered. 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314. In addition, a waste developer accommodating part 320 for collecting the waste developer removed by the cleaning member 210 is provi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housing 312 and the lower housing 314.

폐현상제 이송부재(330)는, 클리닝부재(210)가 제거한 폐현상제가 폐현상제 이송부재(330) 위로 이송될 수 있도록 클리닝부재(210)의 상측에 설치된다.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is installed above the cleaning member 210 so that the waste developer removed by the cleaning member 210 can be transferred onto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폐현상제 이송부재(330)는 플레이트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몰드물이나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필름(film)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폐토너 이송부재(330)는 금속성 재질이 첨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현상제 이송부재(330)를 플레이트타입으로 마련하면 카트리지(40Y)의 높이를 낮춤에 따라 폐현상제 수용부(320)의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폐현상제를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The waste developer transport member 330 may be provided in a plate type, and may be formed of a plastic mold or a film having excellent elastic restoring force. In addition, the waste toner conveying member 330 may be formed by adding a metallic material. As such, when the waste developer transporting member 330 is provided in a plate type, the waste developer may be efficiently transferred even if the height of the waste developer accommodating part 320 is lowered as the height of the cartridge 40Y is lowered.

폐현상제 이송부재(330)는 후술할 구동유닛(350)에 의해 제1방향(A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클리닝부재(210)에 의해 회수되는 폐현상제를 폐현상제 수용부(320)를 향해 제2방향(B방향)으로 이송한다.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reciprocates in the first direction (A direction) by the driving unit 3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waste developer recovered by the cleaning member 210 toward the waste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320. Transfer in the second direction (B direction).

폐현상제 이송부재(330)는 폐현상제를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복수의 슬릿(332)을 가진다. 슬릿들(332)은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의 운동 방향, 즉 제1방향(A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된다. 도 3에서는 슬릿들(332)이 제2방향으로 2열로 배치된 예가 도시되었으나, 1열 이나 3열 이상으로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도 3에서는 첫 번째 열에 배치된 슬릿들과 두 번째 열에 배치된 슬릿들(332)이 경사진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예가 도시되었으나, 첫 번째 열에 배치된 슬릿들과 두 번째 열에 배치된 슬릿들(332)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The waste developer transport member 330 has a plurality of slits 332 to effectively transport the waste developer. The slits 332 are arranged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that is, the first direction (A direction), and are provid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lits 332 are arranged in two rows in the second direction, but of course, the slits 332 may be arranged in one row or three rows or more.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slits arranged in a first row and slits 332 arranged in a second row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n inclined direction, but slits arranged in a first row and slits arranged in a second row are illustrate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rrange the 332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클리닝부재(210)에 의해 제거된 토너는 클리닝부재(210)의 상측에 쌓이게 되는데, 상기 경사진 슬릿들(332)은 폐현상제 이송부재(330)가 왕복 이동을 할 때 클리닝부재(210)의 상측에 적층된 폐현상제를 현상제 수용부(370) 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최소한의 폐현상제 수용 공간을 이용하여 현상제의 이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oner removed by the cleaning member 210 is accumul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eaning member 210. The inclined slits 332 are formed by the cleaning member 210 when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reciprocates. The waste developer stacked on the upper side is pushed toward the developer accommodating part 370. Therefore, the transfer operation of the developer can be performed using the minimum waste developer accommodation space.

제1방향(A방향)에 대해 경사진 슬릿(332)의 각도(θ)는 약 15°~ 80°를 갖도록 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폐현상제 이송장치(300)의 설계 특성에 따라 주어진 수치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폐현상제 이송장치(300)의 제1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현상제가 제1방향(A방향)과 제2방향(B방향)으로 모두 이송되어야 하는데, 슬릿(332)의 각도(θ)가 약 15°보다 작을 경우 제1방향으로의 현상제 이송량이 현저히 적어지기 때문에 현상제가 적체 및 고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슬릿(332)의 각도(θ)가 약 80°보다 클 경우에는 제2방향으로의 현상제 이송량이 현저히 적어지기 때문에 현상제가 적체 및 고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 다. The angle θ of the inclined slit 332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A direction) is preferably about 15 ° to 80 ° and within a given value according to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device 300. You can choose appropriately. The developer has to be transferred in both the first direction (A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B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apparatus 30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angle θ of the slit 332 is about 15 degrees. When less than °, since the amount of developer transport in the first direction is significantly smaller, the problem of accumulation and solidification of the developer may occur. On the contrary, when the angle θ of the slit 332 is greater than about 80 °, the developer transfer amount in the second direc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which may cause the developer to accumulate and solidify.

현상제의 회수 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해, 제1방향으로 슬릿(332)의 폭(d)은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의 최대 이동폭(Dmax)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의 폭(d)이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의 이동량보다 큰 경우에는 클리닝부재(210)에서 제거된 토너가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 적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recovery operation of the developer, the width d of the slit 332 in the first direction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maximum moving width Dmax of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This is because when the width d of the slit is larger than the movement amount of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the toner removed from the cleaning member 210 may be loaded in place without moving.

또한, 제1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슬릿들(332) 간의 간격(g)은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의 최대 이동폭(Dmax)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stance g between the slits 33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maximum moving width Dmax of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또한 첫 번째 열에 배치된 슬릿들과 두 번째 열에 배치된 슬릿들의 폭(d)이나 간격(g)이 서로 달라도 무방하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제1방향으로 슬릿(332)의 폭(d)은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의 최대 이동폭(Dmax)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제1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슬릿들(332) 간의 간격(g)은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의 최대 이동폭(Dmax)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lits disposed in the first row and the slits disposed in the second row may have different widths (d) or gaps (g).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width d of the slit 332 in the first direction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maximum moving width Dmax of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and the slits 332 neighboring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g of the gap is smaller than the maximum moving width Dmax of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첫 번째 열에 배치된 슬릿들과 두 번째 열에 배치된 슬릿들은 현상제를 제2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폐현상제는 첫 번째 열에 배치된 슬릿들과 두 번째 열에 배치된 슬릿들의 제1방향 운동으로 인해 제2방향으로 이송된다. 두 번째 열의 슬릿들을 지난 폐현상제는 통공(336)에 의해 제1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통공(336)은 현상제를 제2방향으로 이송하기 보다는 제1방향을 포함한 방향으로 유동을 발생시켜 현상제의 고화나 적체를 방지한다. The slits arranged in the first row and the slits arranged in the second row serve to flow the developer in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the waste developer is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due to the first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lits arranged in the first row and the slits arranged in the second row. The waste developer past the slits in the second row may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aperture 336. The through hole 336 prevents the solidification or accumulation of the developer by generating a flow in a direction including the first direction rather than transferring the developer in the second direction.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현상제 이송부재(330)는 제1방 향으로의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관통공(334)이 제1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하우징(312)과 하부 하우징(314)은 가이드관통공(334)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보스(322, 도 2 참조)와 제1보스(322)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보스(324)를 가진다. 제1보스(322)는 제2보스(324)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323, 도 2 참조)을 가지고, 제2보스(324)는 지지부(325)와 결합부(326)를 가진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guide through-hole 334 for reciprocating the first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upper The housing 312 and the lower housing 314 are at least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at least one first boss 322 (see FIG. 2) and the first boss 322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through hole 334. It has one second boss 324. The first boss 322 has at least one coupling hole 323 (see FIG. 2)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boss 324, and the second boss 324 supports the support part 325 and the coupling part 326. Ha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보스(322)는 상부 하우징(312)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보스(324)는 하부 하우징(314)에 설치되나, 제1보스(322)와 제2보스(324)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first boss 322 is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312, the at least one second boss 324 is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314, The position of the first boss 322 and the second boss 324 may be changed.

도 2와 같이, 제1보스(322)의 외경은 가이드관통공(334)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ss 322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guide through-hole 334.

또한, 제1보스(322)와 제2보스(324)는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의 두께와 대응되는 유격을 가지도록 결합되어, 제1보스의 결합공(323)과 제2보스의 결합부(326)의 결합에 의해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의 상하 유동을 규제 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boss 322 and the second boss 324 is coupled to have a clearanc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hole 323 and the second boss of the first boss.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regulate the vertical flow of the waste developer transport member 330 by the combination of the part 326.

제2보스(324)의 결합부(326)는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의 관통하여 제1보스(322)의 결합공(323)에 삽입되고, 제2보스(324)의 지지부(325)는 가이드관통공(334)의 하부에서 폐현상제 이송부재(3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e coupling portion 326 of the second boss 32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23 of the first boss 322 through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the support portion 325 of the second boss 324. Is provided to support the waste developer transport member 33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through-hole 334.

제2보스의 결합부(326)는 가이드관통공(33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제2보스의 지지부(325)는 가이드관통공(33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보스의 지지부(325)는 상기 가이드관통공(334) 저면에서 폐현상제 이송부재(330)를 지지하여, 폐현상제 이송부재(330)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coupling portion 326 of the second boss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guide through hole 334, the support portion 325 of the second boss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guide through hole 334. Therefore, the support part 325 of the second boss supports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at the bottom of the guide through-hole 334, thereby preventing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from sagging down.

또한 폐현상제 이송부재(330)는 현상제 이송과정에서 폐현상제 이송부재(330) 위로 올라온 현상제가 폐현상제 수용부(3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통공(336)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has a through hole 336 formed to allow the developer, which has been raised above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to flow into the waste developer accommodating part 320 in the developer conveying process.

구동유닛(350)은 폐현상제 이송부재(330)를 제1방향(A방향)으로 왕복 구동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350)은 구동기어(360), 회전부재(370), 홀더(380) 및 탄성체(3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50 reciprocates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in the first direction (A direction). As shown in FIGS. 3 to 6, the driving unit 350 may include a driving gear 360, a rotating member 370, a holder 380, and an elastic body 390.

구동기어(360)는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회전부재(370)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회전부재(370)는 외주면에 기어부(371)가 형성된 몸체(372)와, 몸체(372)의 일면에 마련된 캠부재(3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캠부재(374)는 회전부재(37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부재(370)의 몸체(372)로부터 돌출된 캠면(375)을 가진다. 캠면(375)은 가장 적게 돌출된 최저면(375a), 가장 많이 돌출된 최고면(375b)과, 최저면(375a)과 최고면(375b)을 연결하는 경사면(375c)을 가진다. The drive gear 360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a driving source (not shown),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member 370. The rotating member 370 may include a body 372 having a gear 371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cam member 374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372. The cam member 374 has a cam surface 375 protruding from the body 372 of the rotating member 37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370. The cam surface 375 has the lowest surface 375a which protrudes least, the highest surface 375b which protrudes the most, and the inclined surface 375c which connects the lowest surface 375a and the highest surface 375b.

홀더(380)는 회전부재(370)와 폐현상제 이송부재(330) 사이에 배치되고,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에 결합된다.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의 일단에는 제1,2홀더결합공(338)(340)이 형성되고, 홀더(380)는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의 제1홀더결합공(338)에 결합되는 후크(382)와, 제2홀더결합공(34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84)를 가진다. The holder 380 is disposed between the rotating member 370 and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and is coupled to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First and second holder coupling holes 338 and 340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waste developer transfer member 330, and the holder 380 is coupled to the first holder coupling hole 338 of the waste developer transfer member 330. Hook 382 and a coupling protrusion 384 coupled to the second holder coupling hole 340.

홀더(380)는 회전부재(370)가 회전함에 따라 캠부재(374)에 의해 직선 운동한다. 홀더(380)는 일단부가 캠부재(374)에 간섭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는 작동아암(386)을 가진다. The holder 380 is linearly moved by the cam member 374 as the rotating member 370 rotates. Holder 380 has an actuating arm 386 which is placed at a position where one end may interfere with cam member 374.

작동아암(386)이 캠부재(374)와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부재(370)가 회전하면, 작동아암(386)이 캠면(375)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홀더(380)에 결합되어 있는 폐현상제 이송부재(330)가 제1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When the rotating member 370 rotates while the operating arm 386 is in contact with the cam member 374, the operating arm 386 moves along the cam surface 375, thereby being coupled to the holder 380.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linearly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캠면(375)에서 최저면(375a)과 최고면(375b)의 높이 차이(h)는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에 형성된 슬릿(332)의 폭(d)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폐현상제 이송부재(330)의 최대 이동폭(Dmax)이 슬릿(332)의 폭(d)보다 크게 되고,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폐현상제를 이송할 수 있다. The height difference h between the lowest surface 375a and the highest surface 375b of the cam surface 375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width d of the slit 332 formed in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Then, the maximum moving width Dmax of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becomes larger than the width d of the slit 332, thereby allowing the waste developer to be conveyed more effectively.

탄성체(390)는 캠부재(374)에 의해 이동된 폐현상제 이송부재(330)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홀더(380)를 탄성 바이어스한다. 탄성체(390)의 일측은 하부 하우징(314)에 지지되고, 탄성체(390)의 타측은 홀더(380)에 지지된다.The elastic body 390 elastically biases the holder 380 so that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0 moved by the cam member 374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One side of the elastic body 390 is supported by the lower housing 314, and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body 390 is supported by the holder 380.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폐현상제 이송부재를 복귀시키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탄성체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부재에 작동아암을 구속하는 캠곡선을 형성하여 작동아암이 캠곡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of returning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by using an elastic body has been described, but a cam curve for restraining the working arm is formed on the rotating member without using the elastic body so that the operating arm moves along the cam curve. It will be alr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는 폐현상제 이송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이송장치는 감광매체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할 수 있다. 즉, 감광매체나 현상부재 쪽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이송장치에 대해서도 상기 실 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방향으로 운동하면서 그 제1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가진 제2방향으로 현상제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슬릿의 간격과 폭을 규제하여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제1방향과 제2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인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apparatus, the present conveying apparatus can be applied to the apparatus for supplying the developer to the photosensitive medium. That is, the developer conveying apparatus for supplying the developer toward the photosensitive medium or the developing member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ile the developer is transported in the second direction having a constant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It can be installed to regulate the spacing and width of the slit. In particular, the angle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more effective.

또한 상기 실시예는 클리닝장치와 폐현상제 이송부재가 인접하여 설치된 구조에 관한 것이나, 그 실시방법에 따라서 클리닝장치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가 일정한 공급관로를 따라 이송되고, 이송된 그 현상제를 폐현상제 수용공간으로 이송할 경우, 그 폐현상제 수용공간까지 이송되는 경로 상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현상제 이송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bove embodiment relates to a structure in which the cleaning device and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eveloper removed by the cleaning device is transferred along a constant supply line, and the developer is transferred to the waste developer. When transferring to the accommodation spac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waste developer transporting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ath to be transported to the waste developer accommodation space.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카트리지는 현상유닛과 감광매체, 클리닝장치 등을 포함하는 일체형 카트리지로 구성되었으나, 그 실시방법에 따라 현상유닛이나 현상부재, 감광매체, 대전부재, 클리닝장치, 현상제수용실, 폐현상제 수용부 등을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분리형 카트리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artridge in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n integrated cartridge including a developing unit, a photosensitive medium, a cleaning device, and the like, but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a developing unit, a developing member, a photosensitive medium, a charging member, a cleaning device, a developer chamber, etc. It is also applicable to a removable cartridge that selectively constitutes a waste developer container.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an exemplary manne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regarded as limiting.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Accordingly, unless stated otherwise,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freely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클리닝장치와 폐현상제 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와 사시도.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ing device and a waste developer transporting device in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폐현상제 이송부재와,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and a holder in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폐현상제 이송부재와, 홀더 및 회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a holder, and a rotating member in a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화상형성장치 40Y, 40M, 40C, 40K : 카트리지1: Image forming apparatus 40Y, 40M, 40C, 40K: Cartridge

80Y, 80M, 80C, 80K : 감광매체 100 : 현상유닛80Y, 80M, 80C, 80K: Photosensitive medium 100: Developing unit

210 : 클리닝부재 300 : 폐현상제 이송부재210: cleaning member 300: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10 : 하우징 320 : 폐현상제 수용부310: housing 320: waste developer receiving portion

330 : 폐현상제 이송부재 332 : 슬릿330: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332: slit

350 : 구동유닛 370 : 회전부재350: driving unit 370: rotating member

80 : 홀더 390 : 탄성체80 holder 390 elastic body

Claims (15)

현상제를 수용하는 하우징;과A housing accommodating a developer; and 상기 하우징으로 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한 현상제 이송부재;를 포함하고,And a developer transfer member for transferring a developer to or from the housing,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는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릿은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가 제2방향으로 현상제를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The developer convey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slits arrang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slit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developer conveying member conveys the developer in a second direction.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의 이동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And the width of the slit in the first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moving width of the developer convey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슬릿 간의 간격은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의 이동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And the interval between the slits in the first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moving width of the developer convey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릿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약 15°~ 80°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And the angle at which the slit is inclined relative to the first direction is between about 15 ° and 80 °.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The drive unit is a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membe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developer transfer member.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돌출높이가 변화되도록 마련되는 캠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And the rotating member has a cam member which protrudes from the rotating member and is provid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is chang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캠부재의 최저면과 최고면 간의 높이 차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And the width of the slit is smaller tha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owest and highest surfaces of the cam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The drive unit is a cart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body for restoring the developer transfer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보 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And a boss provided in the housing to guide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developer transfer member.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현상제 이송부재는 상기 보스와 결합하는 가이드관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And the developer conveying member has a guide through hole engaging with the boss.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슬릿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관통공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And the size of the slit in the first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guide through hol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릿은 상기 제2방향으로 복수의 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And the slit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secon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트리지는 감광매체를 더 포함하고,The cartridge further comprises a photosensitive medium, 상기 이송되는 현상제는 화상형성 이후 상기 감광매체 상에 잔여하는 폐현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And the developer to be conveyed is a waste developer remaining on the photosensitive medium after image 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트리지는 감광매체를 더 포함하고,The cartridge further comprises a photosensitive medium, 상기 이송되는 현상제는 화상형성을 위해 상기 감광매체 쪽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And the developer to be conveyed is a developer supplied to the photosensitive medium for image formation.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A photosensitive medium on which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A developing unit supplying a developer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 to form a visible image; 상기 감광매체 상의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A transfer unit to transfer an image on the photosensitive medium to a print medium; 선단이 상기 감광매체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부재를 가지는 클리닝장치;와 A cleaning device having a cleaning member installed at a tip thereof in contact with the photosensitive medium to remove waste developer remaining in the photosensitive medium; and 상기 클리닝부재에 의해 감광매체로부터 제거된 폐현상제를 받아내도록 상기 클리닝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며, 제 1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폐현상제 이송부재 및 상기 폐현상제 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 수용부를 가지는 폐현상제 이송장치;를 포함하고,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eaning member to receive the waste developer removed from the photosensitive medium by the cleaning member, and storing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reciprocat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waste developer conveyed by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It includes; a waste developer conveying device having a waste developer containing portion, 상기 폐현상제 이송부재는 상기 제1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슬릿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the waste developer conveying member comprises slits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KR1020080133654A 2008-12-24 2008-12-24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000750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654A KR20100075053A (en) 2008-12-24 2008-12-24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654A KR20100075053A (en) 2008-12-24 2008-12-24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053A true KR20100075053A (en) 2010-07-02

Family

ID=4263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654A KR20100075053A (en) 2008-12-24 2008-12-24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505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780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715263B2 (en)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us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021383B2 (en) Waste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21600B1 (en) Development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device
JP5035723B2 (en) Toner transport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25951B1 (en) Powder delivery member, and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espectively using such powder delivery member
US20090180817A1 (en)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99457A (en) Replaceabl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62581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757819B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80076548A (en) Toner cartridge,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09949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er thereof
JP5824954B2 (en) Shutter opening / closing mechanism,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724568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655113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developing device
KR101041084B1 (en) Developing device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05359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cartridge and developing cartridge
KR20100075053A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803413B2 (en) Shutter opening / closing mechanism, develop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724567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823161B2 (en) Developer of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system
JP6494293B2 (en)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JP4952853B2 (en)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us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4123065A (en)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085492B1 (en) Developing device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