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833A -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833A
KR20100074833A KR1020080133368A KR20080133368A KR20100074833A KR 20100074833 A KR20100074833 A KR 20100074833A KR 1020080133368 A KR1020080133368 A KR 1020080133368A KR 20080133368 A KR20080133368 A KR 20080133368A KR 20100074833 A KR20100074833 A KR 20100074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anagement system
facility
concep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074B1 (ko
Inventor
최태숙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3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0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2Energy audits or management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활용과 가치 평가에 관한 유효 데이터를 확보하여 공간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 공간 재배치 및 활용을 가능하도록 한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간 사용 비용 평가를 하고, 공간 공개념을 기반으로 한 공간 배치 표준 모델을 구축하여 공간 배정을 하는 공간 관리 시스템;상기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공간들의 사용 에너지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상기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공간들을 나타내는 도면상에서 비품, 기자재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산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해당 공간의 채산성을 계산하여 공간 배분 및 관리를 하는 것이다.
CAFM, 공간, 에너지, 자산, 공간 공개념, 공간 재배치

Description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AFM based on public concept of space ownership}
본 발명은 공간 공개념을 도입한 시설 관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공간 활용과 가치 평가에 관한 유효 데이터를 확보하여 공간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 공간 재배치 및 활용을 가능하도록 한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산 관리를 위하여 에너지 관리 시스템, 부동산 관리 시스템, 건물 관리 시스템 등의 여러 가지 형태의 자산 관리 시스템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관리 시스템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것으로 자산 활용 및 관리의 효율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대학 및 연구소, 기업체 등의 많은 입주자 및 대형 건물을 갖는 조직들의 시설 자산 관리에는 공간 배정의 불균형 해소 및 공간 활용을 위한 기반 데이터의 제공, 에너지 비용의 과학적인 배분을 위한 사용 에너지 현황 및 공간 정보의 제공, 비품 및 기자재등의 물품 소재지, 수리보수 이력에 관한 데이터 제공 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대학의 경우에는 대학 경쟁력 강화, 효율적인 경영 관리 체계 구축, 실험실습 기자재의 체계적인 관리, 공간 활용도 제고 등의 목적과, 학생 및 학교 시설 이용자에게 신속하고 편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새로운 자산관리 시스템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대학에서는 공간 배정에 필요한 건물 현황 및 각종 면적 자료의 부재, 대학시설 과부족 해결을 위한 용도별 시설현황 통계 자료의 부재, CAD 도면과 일치되지 않은 공간변경, 공간에 대한 사유화 및 관리 도구 부재 등의 이유로 인하여 대학 공간 활용율 저하, 공간 비용 배분 어려움, 자산관리의 정확성 결여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자산 관리 시스템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간 공개념을 도입한 시설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간 활용과 가치 평가에 관한 유효 데이터를 확보하여 공간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 공간 재배치 및 활용을 가능하도록 한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학과 기업, 공공단체 등의 사용 주체에게 공간 배정의 불균형 해소를 도모하고 공간 활용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여 공간 및 자산을 과학적으로 관리하고 시설자산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간 재분배 및 채산제 도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자산 관리의 비용 절감 및 서비스 능력 확대를 위한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계 시스템, 구매 시스템, 인사 시스템 등의 일반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운용되고 관련 기관(교육부,보험/리스사,용역사, 남품 업체) 서버와 선택적으로 연동될 수 있는 확장성을 갖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은 공간 사용 비용 평가를 하고, 공간 공개념을 기반으로 한 공간 배치 표준 모델을 구축하여 공간 배정을 하는 공간 관리 시스템;상기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공간들의 사용 에너지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상기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공간들을 나타내는 도면상에서 비품, 기자재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산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해당 공간의 채산성을 계산하여 공간 배분 및 관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해당 공간의 채산성 계산은, 상기 해당 공간 영역에서 얻어지는 전체 수입을 계산하고, 상기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건물 사용료,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사용액, 자산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산액, 인건비, 유지보수비를 지출로 합산하여 해당 공간의 채산성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 관리 시스템은, 공간 관리 모듈, 건물 운영 관리 모듈, 비품 기자재 관리 모듈, 도면 관리 모듈, 시설 자산 기준 정보 체계 관리 모듈 및 공간 분류 DB, 조직 분류 DB, 시설 용도 분류 DB, 자원 분류 DB, 도면 분류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공간을 공용 공간, 실별, 용도별로 나누어 공간 사용 비용 평가를 진행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공간 회수, 공간 재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방법은 공간 정보를 관리하고 공간활용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한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공간 공개념 지원을 위하여 공간 사용 비용 평가를 하는 단계;공간 공개념을 기반으로 한 공간 배치 표준 모델을 기준으로 공간 회수 및 재배정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는,공간분류체계, 시설용도분류체계 및 조직분류체계를 활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공간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와,보행자 접근 용이성을 고려하여 전체 대상 지역을 단위 지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와,공간 분석을 위하여 구분된 단위 지역별로 시설들의 연면적 현황, 지역별 건물별 연면적 누계 현황을 구하고, 건물 면적을 분석하는 단계와,조직 분석 과정의 하나로 조직별 면적 현황을 구하는 단계와,시설 용도 분석 과정의 하나로 용도별 면적 현황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설 용도 분류 체계는, 시설 용도, 시설 구분, 시설 타입을 구분하는 개념(IFMA), 서비스 면적과 수직 동선 면적을 배분하는 개념(BOM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공간 사용 비용 평가를 하는 단계는,공용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와,실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와,용도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용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에서, 평가 기준을 건물 전체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주차장 이용 거리, 옥상 정원 설치 유무 및 면적, 엘리베이터 설치 유무 및 용량, 관리 상태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고, 평가 기준을 층별로 적용 하는 경우에는 휴게실 설치 유무 및 개수, 화장실 설치 유무 및 설치 형태, 관리 상태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에서,평가 항목은 실의 배치 방향, 외부 조망 가능(실 높이), 관리 상태, 냉난방 설비 형태, 안전 관리 장비 설치 유무 및 형태, 기구 및 집기 상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도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에서,용도별로 공간을 구분하여 각 공간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면적, 사용 인원, 위치, 사용 대상, 설비, 효율, 장비, 연구 성과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공간 사용 비용 평가 진행시에 각 평가 항목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공간 활용과 가치 평가에 관한 유효 데이터를 확보하여 공간 공개념을 도입하여 공간을 관리하는 것에 의해 공간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 공간 재배치 및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시설 자산 관리 업무의 자동화 및 온라인화가 가능하다.
셋째, 시설 현황의 실시간 조회가 가능하고, 통계 정보 구축이 가능하여 자산 관리의 전문화 및 선진화가 가능하다.
넷째, 사용 에너지 현황과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에너지 비용의 과학적인 배 분을 가능하다.
다섯째, 공간 재분배 및 채산제 도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자산 관리의 비용 절감 및 서비스 능력 확대 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공개념을 기반으로 한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은 대학에 적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이 대학이 아닌 다른 조직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공간 재분배 및 채산제 도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자산 관리의 비용 절감 및 서비스 능력 확대를 위한 통합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간 관리 시스템(100), 에너지 관리 시스템(200), 자산관리 시스템(300)으로 크게 구성된다.
공간 관리 시스템(100), 에너지 관리 시스템(200), 자산관리 시스템(300)의 각각의 DB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모든 시스템에서 공유되고, 이들 시스템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서버가 구축될 수 있다.
공간 관리 시스템(100)은 공간 관리 모듈, 건물 운영 관리 모듈, 비품 기자재 관리 모듈, 도면 관리 모듈, 시설 자산 기준 정보 체계 관리 모듈 및 공간 분류 DB, 조직 분류 DB, 시설 용도 분류 DB, 자원 분류 DB, 도면 분류 DB를 포함한다.
그리고 에너지 관리 시스템(200)은 설비 감시 모듈, 설비제어 모듈, 운전 기록 모듈, 시설물 관리 모듈, 이벤트 전송 모듈, 엔지니어링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자산관리 시스템(300)은 기초 정보 관리 모듈, 자산정보 관리 모듈, 자산운용관리 모듈, 구매 관리 모듈, 재물 조사 모듈, 현황 통계/보고서 모듈, 시스템 관리 모듈, 자원 관리 모듈, RFID 기반 인프라 및 태그 표준화 관리 모듈, PDA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은 외부의 회계 시스템, 구매 시스템, 인사 시스템 등과 연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공간 공개념 기반의 공간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공간 관리 데이터 체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의 공간 공개념 도입을 위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 트이다.
공간 관리 시스템(100)은 공간 공개념 기반 구축 필요, RFID 태그자산과 공간자료의 연계 관리, 합리적인 에너지 비용 배분을 위한 것으로, 공간분류체계, 시설용도분류체계 및 조직분류체계를 활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현장실사를 바탕으로 건물별/층별 공간배치 현황을 Cross Check 하여 공실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공간분류체계를 바탕으로 공간관리코드와 위치별 건물면적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조직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조직별(계열, 대학, 학과) 건물면적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시설용도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시설용도별(교육기본시설, 교육시설, 강의실/실험실) 건물면적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의 공간 관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도 3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간 공개념 도입을 위하여 크게 시설 자산 관리를 위한 DB 구축을 위한 단계(가~아)와, 공간 공개념 도입을 위한 평가 단계(A~C, 자~아)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가)공간 분류 체계를 구축하고 해당 공간에 대하여 캠퍼스 코드, 지역 코드, 건물 코드, 층별 코드, 호실번호, 명패용 번호 등으로 이루어진 공간 코드를 부여한다.
그리고 (나)조직 분류 체계를 구축하고, (다)시설 용도 분류 체계를 구축한다.
시설 용도 분류 체계는 시설 용도, 시설 구분, 시설 타입을 구분하는 개념(IFMA) 및 서비스 면적과 수직 동선 면적 구분 개념(BOMA)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라)건물 레벨을 기준으로 보행자 접근 용이성을 고려하여 전체 대상 지역을 몇개의 단위 지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공간 분석 과정의 하나로 (마)상기 구분된 단위 지역별로 교육 시설 연면적 현황을 구하고, 지역별 건물별 연면적 누계 현황을 구한다.
그리고 공간 분석 과정의 하나로 도 5에서와 같이 (바)건물 면적을 분석한다.
그리고 (사)조직 분석 과정의 하나로 대학별 면적 현황을 구한다.
그리고 (아)시설 용도 분석 과정의 하나로 용도별 면적 현황을 구하고, (자)공간 공개념 지원 단계, (차)건물 설계 효율 분석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공간 공개념 지원을 위하여 (A)공용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 (B)실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 (C)용도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간 공개념 지원 및 건물 설계 효율 분석 단계를 진행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공간 회수 및 공간 재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공간 공개념 지원을 위한 계산 방식을 나타낸 계산 테이블이고, 도 7은 건물 설계 효율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건물별 배분면적 = 대상지역 공용면적 * (건물별전용면적 /대상지역 전용면적),
층별 배분면적 = 건물별 배분면적 * (층별전용면적/건물전용면적),
호실배분면적 = 층별 배분면적 * (호실별전용 면적/층전용면적)으로 계산된다.
그리고 건물 설계 효율(U/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사용가능면적/점용가능면적 비율 = (바닥면적 - 수직동선면적합계)/(바닥면적 - 수직 동선면적합계 - 서비스면적합계)
그리고 임대 수익 효율(R/U)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점용가능면적/사용가능면적 비율 = (바닥면적 - 수직동선면적합계 - 서비스면적합계)/(바닥면적 - 수직동선면적합계)
여기서, 바닥 면적은 건물별 층평면도상의 gros$ 레이어에 작도된 CAD 도면 요소의 면적값, 수직동선 면적은 건물별 층평면도상의 vert$ 레이어에 작도된 수직 동선별 CAD 도면 요소의 면적값, 서비스 면적은 건물별 층평면도상의 serv$ 레이어에 작도된 서비스 공간별 CAD 도면 요소의 면적값이다.
이와 같이 구해진 건물 설계 효율(U/R)을 대상 지역의 전체 건물에 대하여 구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층별 바닥면적중 공용 면적을 제외한 실사용 가능면적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간 관리 시스템(100)의 구축에 의해 공간활용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공간 활용률을 높일 수 있고, 정확하고 종합적인 공간 활용 현황 및 정보 제공하고, 시설 및 공간의 정보, 이력, 현황을 체계적ㆍ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에서 공간 활용을 위한 도면 관리 모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관리 시스템(100)은 도면 관리 모듈을 통하여 문서와 도면을 중앙집중 형태로 관리한다.
또한, 윈도우 탐색기와 유사한 기능과 인터페이스로 개발되어 사용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중앙집중식 통합자료관리가 이루어지므로 여러 사용자가 손쉽게 자료를 공유할 수 있으며, 협업작업이 가능하며, 강력한 권한관리 기능을 통해 효과적인 사용자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파일 이력관리 기능을 통해 파일별 이력(revision) 관리가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정보 손실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이전에 작성되어 있던 CD의 폴더, 파일 목록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모든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관리되도록 한다.
특히, 사용자가 직접 도면문서관리시스템의 파일을 불러와 수정할 수 있는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의 자산관리 시스템(300)은 도 8에서와 같은 기본 구성을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자산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자산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자산관리 시스템(300)은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자산의 변동 현황을 실시간 체크하여 관리하고, RFID 태그에 코드를 입력하여 데이터와 1:1 매핑하여 실제 정 보는 서버에서 관리한다.
자산관리 시스템(300)은 검수부서 프로그램 모듈, 관리부서 프로그램 모듈, PDA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검수부서 프로그램 모듈을 통하여 처리되는 항목들은 물품 검수, 검수 승인, 태그 발행, 검수 내역 조회를 포함하고, 관리부서 프로그램 모듈을 통하여 처리되는 항목들은 기초정보 관리, 물품 분류 관리, 자산 등록관리, 자산정보 관리, 자산 운용 관리, 재활용 장터, 고가기자재, 시스템 관리를 포함하고, PDA 프로그램 모듈을 통하여 처리되는 항목들은 로그인, 데이터 전송, 자산 정보, 재물 조사 항목을 포함한다.
자산관리 시스템(300)을 통하여 자산 등록을 하는 경우에는 물품 코드를 부여하는데, 물품 코드는 (물품 분류 코드) + (공간 코드)로 이루어진다.
물품 분류 코드는 대분류/중분류/소분류, 자산취득 연도, 일련 번호를 포함하고, 공간 코드는 캠퍼스 코드, 지역 코드, 건물 코드, 층별 코드, 호실번호, 명패용 번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2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지역별로 에너지 사용량 검침을 한다.
즉,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한 사용량 검침 수단을 지 역별로 관리를 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월별, 일별, 일자별, 요일별 에너지 사용 현황을 분석하여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전기 사용량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하고, 공간 관리 시스템과 연계한 건물별/호실별 에너지 사용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공간 채산제를 도입 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의 공간 채산제 적용시의 일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등록료,연구비,발전기금,행정 지원금 등을 수입으로 하고, 공간 관리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건물 사용료, 에너지 관리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사용액, 자산관리 시스템(300)에서 제공하는 자산액(등재 자산액의 20%), 인건비, 유지보수비를 지출로 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산출하면 해당 공간에서의 채산성이 계산된다.
이와 같은 채산성 계산은 학교 전체, 지역별, 대학별, 호실별 등으로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공간 사용에 대한 수익 계산을 하여 이를 근거로 공간 재분배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의 공간 공개념 지원을 위한 공간 평가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간 공개념 지원을 위한 평가 과정은 크게 (A)공용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 계, (B)실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 (C)용도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로 나눌수 있다.
먼저, (A)공용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를 먼저 설명한다.
도 13a와 도 13b는 공간 공개념 도입을 위한 공용 공간 사용 비용 평가 기준의 일예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13a는 공용 공간 사용 비용 평가 기준을 건물 전체에 적용하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주차장 이용 거리, 옥상 정원 설치 유무 및 면적, 엘리베이터 설치 유무 및 용량, 관리 상태 등의 항목을 포함하고, 각 항목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b는 공용 공간 사용 비용 평가 기준을 층별로 적용하는 경우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휴게실 설치 유무 및 개수, 화장실 설치 유무 및 설치 형태, 관리 상태 등의 항목을 포함하고, 각 항목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항목들은 도 13a와 도 13b의 테이블에서와 같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평가 항목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B)실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가 이루어진다.
도 14a와 도 14b는 공간 공개념 도입을 위한 실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기준의 일예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실별 공간 평가 항목은 실의 배치 방향, 외부 조망 가능(실 높이), 관리 상 태, 냉난방 설비 형태, 안전 관리 장비 설치 유무 및 형태, 기구 및 집기 상태 등의 항목을 포함하고, 각 항목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C)용도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가 이루어진다.
도 15a내지 도 15g는 공간 공개념 도입을 위한 용도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기준의 일예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대학을 기준으로 용도별로 공간을 구분하면, 교수 연구실, 대학원 연구실, 강의실, 실험실, 행정실, 학사 운영실, 원장실,학장실, 부서처장실, 학생자치실, 연구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평가 항목은 면적, 사용 인원, 위치, 사용 대상, 설비, 효율, 장비, 연구 성과 등의 항목을 포함하고, 각 항목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은 공간 관리, RFID 자산 관리, 에너지 관리를 통합 관리하는 것에 의해 시설 자산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에너지 관리와 자산 관리에 공간 개념을 도입하고, 공간 공개념을 도입하여 에너지 비용의 과학적인 배분 및 공간 배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공개념을 기반으로 한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공간 관리 데이터 체계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의 공간 공개념 도입을 위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는 공간 관리를 위한 처리 과정에서 지역 구분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공간 관리를 위한 처리 과정에서 공간 분석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공간 공개념 지원을 위한 계산 방식을 나타낸 계산 테이블
도 7은 건물 설계 효율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자산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자산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의 공간 채산제 적용시의 일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3a와 도 13b는 공간 공개념 도입을 위한 공용 공간 사용 비용 평가 기준의 일예를 나타낸 테이블
도 14a와 도 14b는 공간 공개념 도입을 위한 실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기준의 일예를 나타낸 테이블
도 15a내지 도 15g는 공간 공개념 도입을 위한 용도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기준의 일예를 나타낸 테이블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공간 관리 시스템 200. 에너지 관리 시스템
300. 자산 관리 시스템

Claims (12)

  1. 공간 사용 비용 평가를 하고, 공간 공개념을 기반으로 한 공간 배치 표준 모델을 구축하여 공간 배정을 하는 공간 관리 시스템;
    상기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공간들의 사용 에너지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상기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공간들을 나타내는 도면상에서 비품, 기자재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산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해당 공간의 채산성을 계산하여 공간 배분 및 관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해당 공간의 채산성 계산은,
    상기 해당 공간 영역에서 얻어지는 전체 수입을 계산하고,
    상기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건물 사용료,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사용액, 자산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산액, 인건비, 유지보수비를 지출로 합산하여 해당 공간의 채산성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관리 시스템은,
    공간 관리 모듈, 건물 운영 관리 모듈, 비품 기자재 관리 모듈, 도면 관리 모듈, 시설 자산 기준 정보 체계 관리 모듈 및 공간 분류 DB, 조직 분류 DB, 시설 용도 분류 DB, 자원 분류 DB, 도면 분류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공간을 공용 공간, 실별, 용도별로 나누어 공간 사용 비용 평가를 진행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공간 회수, 공간 재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5. 공간 정보를 관리하고 공간활용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한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
    공간 공개념 지원을 위하여 공간 사용 비용 평가를 하는 단계;
    공간 공개념을 기반으로 한 공간 배치 표준 모델을 기준으로 공간 회수 및 재배정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는,
    공간분류체계, 시설용도분류체계 및 조직분류체계를 활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공간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와,
    보행자 접근 용이성을 고려하여 전체 대상 지역을 단위 지역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공간 분석을 위하여 구분된 단위 지역별로 시설들의 연면적 현황, 지역별 건물별 연면적 누계 현황을 구하고, 건물 면적을 분석하는 단계와,
    조직 분석 과정의 하나로 조직별 면적 현황을 구하는 단계와,
    시설 용도 분석 과정의 하나로 용도별 면적 현황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용도 분류 체계는,
    시설 용도, 시설 구분, 시설 타입을 구분하는 개념(IFMA), 서비스 면적과 수직 동선 면적을 배분하는 개념(BOM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공간 사용 비용 평가를 하는 단계는,
    공용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와,
    실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와,
    용도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에서,
    평가 기준을 건물 전체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주차장 이용 거리, 옥상 정원 설치 유무 및 면적, 엘리베이터 설치 유무 및 용량, 관리 상태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고,
    평가 기준을 층별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휴게실 설치 유무 및 개수, 화장실 설치 유무 및 설치 형태, 관리 상태의 평가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에서,
    평가 항목은 실의 배치 방향, 외부 조망 가능(실 높이), 관리 상태, 냉난방 설비 형태, 안전 관리 장비 설치 유무 및 형태, 기구 및 집기 상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별 공간 사용 비용 평가 단계에서,
    용도별로 공간을 구분하여 각 공간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면적, 사용 인원, 위치, 사용 대상, 설비, 효율, 장비, 연구 성과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공간 사용 비용 평가 진행시에 각 평가 항목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방법.
KR1020080133368A 2008-12-24 2008-12-24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4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368A KR101044074B1 (ko) 2008-12-24 2008-12-24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368A KR101044074B1 (ko) 2008-12-24 2008-12-24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833A true KR20100074833A (ko) 2010-07-02
KR101044074B1 KR101044074B1 (ko) 2011-06-27

Family

ID=4263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368A KR101044074B1 (ko) 2008-12-24 2008-12-24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0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355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60371584A1 (en) 2015-06-05 2016-12-22 Uptake Technologies, Inc. Local Analytics at an Asset
WO2018213617A1 (en) * 2017-05-18 2018-11-22 Uptake Technologies, Inc. Computing system and method for approximating predictive models and time-series values
US10176279B2 (en) 2015-06-05 2019-01-08 Uptake Technologies, Inc. Dynamic execution of predictive models and workflows
US10261850B2 (en) 2014-12-01 2019-04-16 Uptake Technologies, Inc. Aggregate predictive model and workflow for local execution
US10579750B2 (en) 2015-06-05 2020-03-03 Uptake Technologies, Inc. Dynamic execution of predictive models
US10878385B2 (en) 2015-06-19 2020-12-29 Uptake Technologies,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execution of a predictive mod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054A (ko) * 2003-07-29 2005-02-07 엘지칼텍스정유 주식회사 설비 자산 관리 방법 및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KR100679118B1 (ko) * 2005-05-19 2007-02-06 이경수 설비의 최적관리기법을 이용한 시설자산관리 및 에이에스피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355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261850B2 (en) 2014-12-01 2019-04-16 Uptake Technologies, Inc. Aggregate predictive model and workflow for local execution
US20160371584A1 (en) 2015-06-05 2016-12-22 Uptake Technologies, Inc. Local Analytics at an Asset
US10176279B2 (en) 2015-06-05 2019-01-08 Uptake Technologies, Inc. Dynamic execution of predictive models and workflows
US10254751B2 (en) 2015-06-05 2019-04-09 Uptake Technologies, Inc. Local analytics at an asset
US10579750B2 (en) 2015-06-05 2020-03-03 Uptake Technologies, Inc. Dynamic execution of predictive models
US10878385B2 (en) 2015-06-19 2020-12-29 Uptake Technologies,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execution of a predictive model
US11036902B2 (en) 2015-06-19 2021-06-15 Uptake Technologies, Inc. Dynamic execution of predictive models and workflows
WO2018213617A1 (en) * 2017-05-18 2018-11-22 Uptake Technologies, Inc. Computing system and method for approximating predictive models and time-series val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074B1 (ko) 201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074B1 (ko) 공간 공개념 기반의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arcellus‐Zamora et al. Estimating materials stocked by land‐use type in historic urban buildings using spatio‐temporal analytical tools
Zhang et al. Integrating BIM and GIS for large-scale facilities asset management: a critical review
Azizi et al.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in academic buildings for space use efficiency using occupancy and booking data
Róka-Madarász et al. Benchmarking facilities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using CAFM database: Data analysis and new results
Yilmaz et al. BIM-CAREM: Assessing the BIM capabilities of design, construction and facilities management process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pudys et al. Classifying the operational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with the use of digital twins
Muczyński et al. Supporting tenant relocation in social housing management: Development of the dedicated geoinformation system in Poland
Kik et al. Decision support framework for the regional facility location and development planning problem
KR101044075B1 (ko)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한 통합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ope et al. Renovation versus new construction and building decision tool for educational facilities
Keymer Design strategies for new and renovation construction that increase the capacity of buildings to accommodate change
Ebrahimi et al. GIS applications in developing zero-waste strategies at a mid-size American university
El-Motasem Integrating value engineering and facility management as an approach to face risks
Mohamed et al. A hybrid prioritization model for funding school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project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linear programming algorithms
Han et al. Cost assessment model for sustainabl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large public research infrastructures
Ornstein et al. Pre‐design Evaluation as a Strategic Tool for Facility Managers
Di Giuda et al. Bim-Gis And Bi Integration For Facility And Occupancy Management of University Assets: The Unito Pilot Case
Kheradranjbar et al. Application of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ethod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Policy for Maintenance of Buildings in Karaj City, Iran
May et al. BIM in FM Applications
Civiero et al. Positive Energy District Renovation Model for Large Scale Actions. Energies 2021, 14, 2833
Hassanain Integrated systems for maintenance management
Andersen et al. D5. 1 How to identify buildings for life-cycle extension? Guide for case selection via the mapping of transformable neighbourhoods and buildings
Muhey Facility management model for maintenance and repair for office buildings
Di Giuda et al. Chapter BIM-GIS and BI Integration for Facility and Occupancy Management of University Assets: The UNITO Pilot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