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998A -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αck/nack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αck/nack 시그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998A
KR20100073998A KR1020090123316A KR20090123316A KR20100073998A KR 20100073998 A KR20100073998 A KR 20100073998A KR 1020090123316 A KR1020090123316 A KR 1020090123316A KR 20090123316 A KR20090123316 A KR 20090123316A KR 20100073998 A KR20100073998 A KR 20100073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k
information
base station
pdcch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1864B1 (ko
Inventor
안준기
이정훈
양석철
서동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S19172565T priority Critical patent/ES2845249T3/es
Priority to US13/139,429 priority patent/US8553635B2/en
Priority to EP19172565.4A priority patent/EP3544214B1/en
Priority to PCT/KR2009/007682 priority patent/WO2010074490A2/en
Priority to EP09835256.0A priority patent/EP2342860B1/en
Publication of KR20100073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91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arrangements specific to receivers, e.g.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되, 각각의 제어 채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상기 제어 채널의 총 개수를 지시하는 정보를 나르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제어 채널의 총 개수와 상기 단말이 수신한 제어 채널의 개수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ΑCK/NACK 시그널링{UPLINK ACK/NACK SIGNALLING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 상향링크 ACK/NACK 시그널링에 관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 시그널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이 복수의 콤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ACK/NACK 정보의 에러를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되, 각각의 제어 채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상기 제어 채널의 총 개수를 지시하는 정보를 나르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제어 채널의 총 개수와 상기 단말이 수신한 제어 채널의 개수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기지국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RF(Radio Frequency) 유닛; 상기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정보 및 상기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RF 유닛과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해 상기 RF 유닛과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되, 각각의 제어 채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상기 제어 채널의 총 개수를 지시하는 정보를 나르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제어 채널의 총 개수와 상기 단말이 수신한 제어 채널의 개수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은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은 FDD 방식에 따라 동일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또는 서브프레임 상에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은 복수의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동일 서브프레임 상에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제어 채널의 총 개수와 상기 단말이 수신한 제어 채널의 개수가 다른 경우,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제어 채널의 총 개수와 상기 단말이 수신한 제어 채널의 개수가 다른 경우, 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HARQ 과정을 수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되, 각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 내에서 자신의 순서 값을 지시하는 정보를 나르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순서 값이 연속적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기지국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RF(Radio Frequency) 유닛; 상기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정보 및 상기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RF 유닛과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해 상기 RF 유닛과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되, 각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 내에서 자신의 순서 값을 지시하는 정보를 나르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순서 값이 연속적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FDD 방식에 따라 동일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또는 서브프레임 상에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복수의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동일 서브프레임 상에서 수신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에 대한 순서 값이 불연속적인 경우, ACK/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에 대한 순서 값이 불연속적인 경우, 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에 대한 순서 값이 불연속적인 경우, 미수신된 순서 값의 하향링크 물리 채널에 의해 지시되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NACK으로 설정된 ACK/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에 대한 순서 값이 연속적인 경우, 마지막 순서 값을 갖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ACK/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HARQ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과 대응되도록 지시된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과 관련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기지국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RF(Radio Frequency) 유닛; 상기 기지국과 송수 신하는 정보 및 상기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RF 유닛과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해 상기 RF 유닛과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과 대응되도록 지시된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과 관련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동시에 수신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FDD 방식에 따라 동일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또는 서브프레임 상에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복수의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동일 서브프레임 상에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각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나르는 1-비트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1-비트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비트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적용되는 스크램블링 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마스킹을 다르게 함으로써 지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ACK/NACK 시그널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복수 의 콤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ACK/NACK 정보의 에러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CDMA, FDMA, TDMA, OFDMA, SC-FDMA, MC-FDMA와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이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E-UMTS의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다. E-UMTS는 LTE 시스템이라 불리기도 한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120)과 기지국(eNode B; eNB)(110a 및 110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낸다. 제어평면은 단말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제2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 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ed)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 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3은 OFDMA 및 SC-FDMA를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302~314)는 단말이고 수신기(316~330)는 기지국의 일부이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OFDMA 송신기는 직/병렬 변환기(Serial to Parallel converter, 302), 부반송파 맵핑(sub-carrier mapping) 모듈(306), M-포인트(point)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모듈(308), 순한전치(Cyclic prefix; CP) 부가 모듈(310), 병/직렬 변환기(Parallel to Serial converter, 312) 및 RF(Radio Frequency)/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모듈(314)을 포함한다.
OFDMA 송신기에서 신호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비트 스트림(bit stream)이 데이터 심볼 시퀀스(data symbol sequence)로 변조된다. 비트 스트림은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블록에 채널 부호화(channel encoding), 인터리빙(interleaving), 스크램블링(scrambling)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 처리를 하여 얻어질 수 있다. 비트 스트림은 부호어(codeword)로 지칭되기도 하며 MAC 계층으로부터 받는 데이터 블록과 등가이다. MAC 계층으로부터 받는 데이터 블록은 전송 블록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변조 방식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n-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직렬의 데이터 심볼 시퀀스는 N개씩 병렬로 변환된다(302). N개의 데이터 심볼은 전체 M개의 부반송파 중에서 할당받은 N개의 부반송파에 맵핑(mapping)되고 남은 M-N개의 반송파는 0으로 패딩된다(306). 주파수 영역에 맵핑된 데이터 심볼은 M-포인트 IDFT 처리를 통해 시간 영역 시퀀스로 변환된다(308). 그 후,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과 반송파간 간섭(Inter-Carrier Interference; ICI)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시간 영역 시퀀스에 순환전치를 더하여 OFDMA 심볼을 생성한다(310). 생성된 OFDMA 심볼은 병렬에서 직렬로 변환된다(312). 그 후, OFDMA 심볼은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 주파수 상향변환 등의 과정을 거쳐 수신기로 전송된다(314). 다른 사용자는 남은 M-N개의 부반송파 중에서 가용한 부반송파를 할당받는다. 반면, OFDMA 수신기는 RF/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모듈(316), 직/병렬 변환기(318), 순환전치 제거(Remove CP) 모듈(320), M-포인트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모듈(322), 부반송파 디맵핑(demapping)/등화(equalization) 모듈(324), 병/직렬 변환기(328) 및 검출(detection) 모듈(330)을 포함한다. OFDMA 수신기의 신호 처리 과정은 OFDMA 송신기의 역으로 구성된다.
한편, SC-FDMA 송신기는 OFDMA 송신기와 비교하여 부반송파 맵핑 모듈(306) 이전에 N-포인트 DFT 모듈(304)을 추가로 포함한다. SC-FDMA 송신기는 IDFT 처리 이전에 DFT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에 확산시켜 송신 신호의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을 OFDMA 방식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다. SC-FDMA 수신기는 OFDMA 수신기와 비교하여 부반송파 디맵핑 모듈(324) 이후에 N-포인 트 IDFT 모듈(326)을 추가로 포함한다. SC-FDMA 수신기의 신호 처리 과정은 SC-FDMA 송신기의 역으로 구성된다.
도 4는 LTE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32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2048)=3.2552×1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7(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은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단일 콤포넌트 반송파 상황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FDD 방식에서는 하나의 하향링크 대역과 이에 대응하는 하나의 상향링크 대역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FDD 방식에서는 도 4의 무선 프레임 구조가 하향링크 전송 또는 상향링크 전송에만 사용된다. 반면, TDD 방식에서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시간 영역에서 하향링크 구간과 이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구간으로 나눔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FDD 방식에서는 도 4의 무선 프레임 구조가 하향링크 전송 및 이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구분된다. 도 5는 LTE 시스템에서의 통신 예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단말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제어 정보(예, 스케줄링 정보)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 내에 설정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에게 전달된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단말은 제어 채널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예, 데이터가 할당된 자원, 데이터의 크기, 코딩 방식, 리던던시 버전 등)를 수신한 뒤,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하향링크 공용 채널을 통해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하향링크 공용 채널은 PDSCH(Physical Uplink Channel)를 포함한다. 그 후, 단말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 내에 설정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응답정보(예, HARQ ACK/NACK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HARQ ACK/NACK를 간단히 ACK/NACK으로 표시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ACK/NACK 정보를 수신한 뒤, NACK으로 지시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해 재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이 복수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HARQ 과정은 각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송 블록별로 수행될 수 있다.
LTE 시스템의 경우, ACK/N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은 주파수-시간 자원(예, 자원블록)의 위치, 주파수 확산을 위한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및 시간 확산을 위한 (준)직교 코드를 포함한다. 주파수 확산을 위한 시퀀스는 CG-CAZAC(Computer Generated Constant Amplitude Zero Auto Correlation) 시퀀스를 포함한다. 시간 확산을 위한 (준)직교 코드는 왈쉬(Walsh)/DFT 코드를 포함한다. PUCCH 자원은 상술한 세 가지 자원의 조합으로 표현되며, 각 PUCCH 자원은 PUCCH (자원) 인덱스를 이용하여 지시된다.
LTE 시스템에서 ACK/N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은 각 단말에게 미리 할당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PUCCH 자원을 셀 내의 복수의 단말들이 매 시점마다 나눠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PUCCH 자원은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PDCCH에 대응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가 전송되는 전체 영역은 복수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로 구성되고, 단말에게 전송되는 PDCCH는 하나 이상의 CCE로 구성된다. 단말은 자신이 수신한 PDCCH를 구성하는 CCE들 중 특정 CCE (예, 첫 번째 CCE)에 대응되는 PUCCH 자원을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LTE 시스템의 경우, PUCCH 자원 인덱스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n(1) PUCCH = nCCE + N(1) PUCCH
여기에서, n(1) PUCCH는 ACK/NACK을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 인덱스를 나타내고, N(1) PUCCH는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받는 시그널링 값을 나타내며, nCCE는 PDCCH 전송에 사용된 CCE 인덱스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편의상, 이하의 도면에서는 N(1) PUCCH을 0으로 가정한다.
도 6은 ACK/N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PUCCH와 PDCCH의 대응 관계를 예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DownLink Component Carrier; DL CC)에서 각 사각형은 CCE를 나타내고, 상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UpLink Component Carrier; UL CC)에서 각 사각형은 PUCCH 자원을 나타낸다. 각각의 PUCCH 인덱스는 ACK/N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에 대응된다. 도 6에서와 같이 4~6 번 CCE로 구성된 PDCCH를 통해 PDSCH에 대한 정보가 전달된다고 가정할 경우, 단말은 PDCCH를 구성하는 첫 번째 CCE인 4번 CCE에 대응되는 4번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 도 6은 DL CC에 최대 N개의 CCE가 존재할 때에 UL CC에 최대 M개의 ACK/NACK 정보용 PUCCH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N=M일 수도 있지만 M값과 N값을 다르게 설계하고 CCE와 PUCCH들의 매핑이 겹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다중 콤포넌트 반송파 상황 하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LTE-A 시스템에서의 통신 예에 대응할 수 있다. LTE-A 시스템은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상/하향링크 주파수 블록을 모아 더 큰 상/하향링크 대역폭을 사용하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또는 bandwidth aggregation) 기술을 사용한다. 각각의 주파수 블록은 콤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CC는 문맥에 따라 반송파 집성을 위한 주파수 블록 또는 주파수 블록의 중심 반송파를 의미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혼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하향링크에 각각 5개의 20MHz CC들이 모여서 100MHz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CC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인접하거나 비-인접할 수 있다. 도 4에서 예시한 무선 프레임 구조는 다중 콤포넌트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무선 프레임, 서브프레임 및 슬롯은 시간 단위이므로, 일 예로 기지국과 단말은 하나의 서브프레임 상에서 복수의 콤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편의상 UL CC의 대역폭과 DL CC의 대역폭이 모두 동일하고 대칭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각 CC의 대역폭은 독립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일 예로, UL CC의 대역폭은 5MHz(UL CC0) + 20MHz(UL CC1) + 20MHz(UL CC2) + 20MHz(UL CC3) + 5MHz(UL CC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UL CC의 개수와 DL CC의 개수가 다른 비대칭적 반송파 집성도 가능하다. 비대칭적 반송파 집성은 가용한 주파수 대역의 제한으로 인해 발생되거나 네트워크 설정에 의해 인위적으로 조성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는 일대일로 매핑된 CC를 통해 전송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네트워크 설정 또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실제로 신호가 전송되는 CC는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스케줄링 명령이 전송되는 CC와 스케줄링 명령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되는 CC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CC간의 매핑 여부와 관계없이 특정 UL/DL CC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전체 대역이 N개의 CC로 구성되더라도 특정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은 M(<N)개의 CC로 한정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는 셀 특정(cell-specific), 단말 그룹 특정(UE group-specific) 또는 단말 특정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셀 내에 N개의 CC가 존재할 때에 단말은 N개의 CC 모두를 통해 PDSCH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은 반-정적(semi-static) 방식으로 단말이 PDSCH를 수신할 수 있는 CC를 M(M<N)개로 한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편의상 N개의 CC에 적용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M개의 CC들에 대해 적용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단말에게 할당된 N (또는 M)개의 CC를 L개의 CC 그룹으로 나눈 뒤, 각 CC 그룹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하나 이상의 DL CC를 통해 복수의 PDSCH를 동시(예, 서브프레임)에 수신한 경우에 복수의 PDSCH에 대한 ACK/NACK 정보를 하나의 상향링크 물리 채널(예, PUCCH, PUSCH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복수의 PDSCH에 대해 하나의 다중화된 ACK/NACK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음의 3가지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묶음 ACK/NACK 전송(ACK/NACK bundling): 단말은 복수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가 모두 성공했을 경우 하나의 상향링크 물리 채널을 통해 하나의 ACK을 전송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NACK을 전송한다. 즉, 동시에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들의 복호 결과에 논리곱(AND) 연산이 적용된다. 일 예로, 단말은 복수의 PDSCH들의 복호화에 모두 성공했을 경우 하나의 PUCCH를 통해 하나의 ACK 정보를 전송한다. 이 외의 경우에는 NACK 정보를 전송한다.
둘째, PUCCH 선택 전송(PUCCH selection): 단말은 복수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ACK/N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상향링크 물리 채널을 점유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복수의 PDSCH를 수신한 경우에 각각의 PDSCH를 지시하는 PDCCH의 특정 CCE를 이용하여 동일한 수의 PUCCH를 점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유한 복수의 PUCCH 중 어느 PUCCH를 선택하여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가와 선택한 PUCCH에 적용되는 변조/부호화된 내용의 조합을 이용하여 복수의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셋째, 복수의 ACK/NACK 전송: 복수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하나의 상향링크 물리 채널을 통해 각각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개별 ACK/NACK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복수의 PDSCH를 수신한 경우에 하나의 PUCCH를 통해 각 PDSCH에 대한 개별적인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하나의 PUCCH에 복수의 ACK/NACK 비트를 변조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에서 단말이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자원은 PUCCH가 아닌 다른 자원일 수도 있다. 일 예로, 묶음 ACK/NACK 전송 및 복수의 ACK/NACK 전송 방식에서 ACK/NACK 정보는 PUSCH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상술한 방식들을 통하여 기지국에게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첫째, 기지국이 복수의 PDSCH 스케줄링용 PDCCH를 단말에게 전송하였으나 단말이 일부 PDCCH를 놓친 경우 단말은 놓친 PDCCH에 해당되는 PDSCH의 전송 사실을 알 수 없으므로 ACK/NACK 정보 생성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단말이 복 수의 PDSCH 스케줄링용 PDCCH를 통해 PDSCH들을 수신한 경우 단말은 어느 PDCCH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할지 정해야하며 이를 기지국도 알아야 한다. 복수의 PDSCH 스케줄링용 PDCCH는 일정 시구간 동안 하나 이상의 DL CC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일정 시구간은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축에서 인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일 예로, FDD 시스템에서 복수의 PDSCH 스케줄링용 PDCCH는 동일 시점(예, 서브프레임)에 하나 이상의 DL CC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TDD 시스템에서 복수의 PDSCH 스케줄링용 PDCCH는 하나 이상의 DL CC/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방식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단말이 PDCCH를 놓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ACK/NACK 정보 생성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예시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단말이 복수의 PDCCH를 수신한 경우 ACK/N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PUCCH를 결정하는 방안을 예시한다. 편의상, 이하의 설명에서 PDSCH 스케줄링용 PDCCH는 다르게 언급하지 않는 한 간단히 PDCCH로 지칭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HARQ 과정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각각의 PDCCH를 통해 단말에게 송신되는 PDCCH의 개수를 알려주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8은 편의상 단말 입장에서 작성되었지만 기지국 입장에서 HARQ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대칭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하나 이상(Nr)의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S810). 하나 이상(Nr)의 PDCCH는 동시 (예, 동일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수신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Nr)의 PDCCH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PDCCH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외에 단말이 수신해야하는 PDCCH (또는 PDSCH의 개수)의 총 개수(Nt)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나를 수 있다. 편의상, 단말이 동시에 수신해야 하는 총 PDCCH (또는 PDSCH)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PDCCH 개수 정보라고 지칭한다. PDCCH 개수 정보는 기지국이 동시에 한 단말에게 전송한 총 PDCCH (또는 PDSCH)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은 PDCCH를 통해 해당 단말이 그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해야 하는 PDCCH (또는 PDSCH)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한 서브프레임에 3개의 PDCCH를 전송한다면, 3개의 PDCCH를 송신한다는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되는 3개의 PDCCH에 모두 실어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PDSCH의 타입이 여러 개 존재할 경우, 상기 PDCCH 개수 정보는 특정 타입의 PDSCH 또는 이를 스케줄링하는 PDCCH를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타입의 PDSCH는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semi-persistently scheduled PDSCH)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2개의 일반 PDSCH와 1개의 반-영구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를 전송하는 경우, PDCCH 개수 정보(2개 지시)는 일반 PDSCH를 지시하는 2개의 PDCCH에만 실려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도 수신한 PDCCH (또는 PDSCH)를 카운팅하는 과정에서 특정 타입의 PDSCH 또는 이를 스케줄링하는 PDCCH를 생략한다.
PDCCH 개수 정보는 PDCCH 내에 명시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번에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PDCCH의 최대 개수를 M이라고 할 때, 각각의 PDCCH는 ceil(log2M) 비트로 구성된 필드를 통해 단말이 PDCCH의 개수(Nt)를 지시할 수 있다. ceil()는 올림 함수를 나타낸다. 또한, PDCCH 개수 정보에 사용되는 비트 수를 보다 줄이기 위하여 PDCCH의 최대 개수를 ceil(log2M)보다 더 작은 사용하여 랩-어라운드(wrap-around)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PDCCH 개수 정보에 사용되는 비트 수를 2-비트로 제한할 경우, PDCCH 개수는 [0->1->2->3->0->1,…]과 같은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도 수신한 PDCCH (또는 PDSCH)의 개수를 2-비트를 사용하여 랩-어라운드 방식으로 카운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PDCCH 개수 정보는 PDCCH 부호열의 스크램블링(scrambling), CRC 마스킹(masking) 등이 달라지는 방식을 이용하여 간접적 또는 묵시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LTE 시스템의 경우, PDCCH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이용해 CRC(Cyclic Redundancy Check) 마스킹된다. 따라서, LTE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하여, PDCCH는 PDCCH 개수 정보를 위해 추가로 확보된 RNTI를 이용하여 CRC 마스킹될 수 있다. 또한, PDCCH는 PDCCH 개수가 일정한 방식으로 적용된 RNTI를 이용해 CRC 마스킹될 수 있다. 일 예로, RNTI에는 PDCCH 개수가 곱해지거나 PDCCH 개수에 따라 일정한 오프셋이 적용될 수 있다. RNTI는 C-RNTI(Cell-RNTI), TC-RNTI(Temporary Cell-RNTI), RA-RNTI(Random Access-RNTI), 단말 그룹 RNT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자신이 수신해야되는 PDCCH의 총 개수(Nr)와 실제로 수신한 PDCCH의 개수(Nr)를 비교할 수 있다(S820).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자신에게 전송된 복수의 PDCCH 중 하나라도 놓쳤을 경우에는 그 사실을 자신이 수신한 다른 PDCCH들에 실린 PDCCH 개수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수신해야되는 PDCCH의 총 개수(Nr)와 실제로 수신한 PDCCH의 개수(Nr)가 동일한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한 PDCCH를 모두 수신했다고 판단하고, ACK/NACK 전송 방식에 따라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S830). ACK/NACK 정보는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수신해야되는 PDCCH의 총 개수(Nr)와 실제로 수신한 PDCCH의 개수(Nr)가 다른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한 PDCCH 중 일부가 손실됐다고 판단하고, NACK 정보를 전송하거나 ACK/NACK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S840). 구체적으로, 단계 S830 및 S840에서, 단말은 ACK/NACK 전송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동작을 취할 수 있다.
1) 묶음 ACK/NACK 전송: 단말은 PDCCH 개수 정보를 이용하여 얻은 PDCCH 개수(Nt)와 실제로 수신한 PDCCH 개수(Nr)가 일치하고 각각의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PDSCH들의 복호화에 모두 성공했을 경우 ACK을 전송한다. 이 외의 경우에는 NACK을 전송하거나 ACK/NACK을 전송하지 않는다. ACK/NACK은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2) PUCCH 선택 전송: 단말은 PDCCH 개수 정보를 이용하여 얻은 PDCCH 개수(Nt)와 실제로 수신한 PDCCH 개수(Nr)가 일치할 경우 PUCCH 선택 전송 방식에 따라 ACK/NACK 전송을 수행한다. 이 외의 경우에는 ACK/NACK을 전송하지 않거나 복수(예, Nr 또는 Nt)의 NACK을 지시하는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3) 복수 ACK/NACK 전송: 단말은 PDCCH 개수 정보를 이용하여 얻은 PDCCH 개수(Nt)와 실제로 수신한 PDCCH 개수(Nr)가 일치할 경우 복수 ACK/NACK 전송 방식을 통한 ACK/NACK 전송을 수행한다. 이 외의 경우에는 ACK/NACK을 전송하지 않거나 복수(예, Nr 또는 Nt)의 NACK을 전송할 수 있다. ACK/NACK은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서 예시한 HARQ 수행 과정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은 PDCCH 개수 정보를 이용하여 얻은 PDCCH 개수(Nt)와 실제로 수신한 PDCCH 개수(Nr)가 다를 경우, ACK/NACK을 전송하지 않거나 (복수의) NACK을 전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Nt와 Nr이 다를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는 단말에 의해 일단 복호가 시도된 후에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의 복호 부담을 낮추기 위해, Nt와 Nr이 다를 경우, 동일 시점(예, TTI, 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추가로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Nt와 Nr이 다를 경우, 단말은 PDCCH를 통해 수신한 스케줄링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S930; Case 1). 즉, 단말은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PDSCH의 존재를 알 수 있지만, 해당 PDSCH에 대한 수신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PDCCH가 포함된 제어 영역만을 수신한 뒤, PDSCH가 포함된 데이터 영역에 대해서는 수신 자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Nt와 Nr이 다를 경우, 단말은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PDSCH를 수신하기는 하지만, 해당 PDSCH에 대한 복호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S930; Case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HARQ 과정을 수행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다. 본 실시예는 각각의 PDCCH를 통해 단말에게 송신되는 PDCCH의 순서 값을 알려주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0은 편의상 단말 입장에서 작성되었지만 기지국 입장에서 HARQ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대칭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하나 이상의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S1010). 하나 이상의 PDCCH는 동시(예, 동일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수신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Nr)의 PDCCH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PDCCH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외에 단말이 수신해야하는 PDCCH (또는 PDSCH)의 순서 값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나를 수 있다. 편의상, 단말이 동시에 수신해야 하는 총 PDCCH (또는 PDSCH)들간의 순서에 관한 정보를 PDCCH 순서 정보라고 지칭한다. PDCCH 순서 정보는 기지국이 동시에 한 단말에게 전송한 총 PDCCH (또는 PDSCH)들간의 순서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은 한 서브프레임에서 임의의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PDCCH를 송신할 때에 해당 단말에게 각 PDCCH (또는 PDSCH)의 순서 값에 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이 한 단말에게 한 서브프레임에서 3개의 PDCCH를 송신한다면 3개의 PDCCH를 통해 각각 0, 1, 2 (또는 1, 2, 3)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PDCCH 순서는 PDCCH 순서 정보는 DL CC 인덱스, DL CC의 주파수 순서, CCE 인덱스 등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PDCCH 순서는 동일한 DL CC 안에서는 PDCCH를 구성하는 CCE 인덱스의 크기로 결정되고 서로 다른 DL CC들에 대해서는 DL CC의 주파수 순서로 결정될 수 있다. PDCCH 순서 정보는 PDCCH 내에 명시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번에 단말이 수신할 수 있 는 PDCCH의 최대 개수를 M이라고 할 때, 각 PDCCH는 ceil(log2M) 비트로 구성된 필드를 통해 단말이 PDCCH의 순서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PDCCH 순서 정보는 각 비트가 PDCCH의 순서를 지시하는 비트맵을 이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PDCCH 순서 정보는 PDCCH 스크램블링 또는 CRC 마스킹 등을 다르게 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PDCCH는 PDCCH 순서 정보를 위해 추가로 확보된 RNTI를 이용해 CRC 마스킹될 수 있다. 또한, PDCCH는 PDCCH 순서가 일정한 방식으로 적용된 RNTI를 이용해 CRC 마스킹될 수 있다. 일 예로, RNTI에는 PDCCH 순서가 곱해지거나 PDCCH 순서에 따라 일정한 오프셋이 적용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자신이 수신한 PDCCH의 순서가 연속적인지 확인한다(S1020).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자신이 수신한 PDCCH의 순서가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 일부의 PDCCH를 놓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 예로, 한 서브프레임에서 0번 PDCCH와 2번 PDCCH만을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1번 PDCCH와 이에 대응되는 PDSCH를 놓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는 연속된 값 이후의 PDCCH를 놓쳤을 경우에는 확인이 곤란하다. 따라서, 수신된 PDCCH의 순서 값이 연속적인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한 PDCCH를 모두 수신했다고 가정하고 ACK/NACK 전송 방식에 따라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S1030). ACK/NACK 정보는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PDCCH의 순서 값이 불연속적인 경우, 단말은 일부 PDCCH가 손실됐다고 판단하고, NACK 정보를 전송하거나 ACK/NACK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S1040). 구체적으로, 단계 S1030 및 S1040에서, 단말은 ACK/NACK 전송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동작을 취할 수 있다.
1) 묶음 ACK/NACK 전송: 수신한 PDCCH들의 순서 값이 연속이 아닐 경우, 단말은 NACK을 전송하거나 ACK/NACK을 전송하지 않는다. 이 외의 경우에는 기존의 묶음 ACK/NACK 전송 방식에 따라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ACK/NACK은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2) PUCCH 선택 전송: 수신한 PDCCH들의 순서 값이 연속이 아닐 경우, 단말은 ACK/NACK 정보를 전송하지 않거나, 복수의 NACK을 지시하는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말은 놓친 PDCCH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응답 정보를 NACK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외의 경우에는 기존의 PUCCH 선택 전송 방식에 따라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3) 복수 ACK/NACK 전송: 수신한 PDCCH들의 순서 값이 연속이 아닐 경우, 단말은 ACK/NACK을 전송하지 않거나 복수의 NACK을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말은 놓친 PDCCH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해 NACK을 전송할 수 있다. 이 외의 경우는 기존의 복수 ACK/NACK 전송 방식에 따라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ACK/NACK은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예시한 HARQ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10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은 수신한 PDCCH의 순서 값이 연속이 아닌 경우, ACK/NACK 신호를 전송하지 않거나 (복수의) NACK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PDCCH의 순서 값이 연속적이지 아닌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는 단말에 의해 일단 복호가 시도된 후에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의 복호 부담을 낮추기 위해, PDCCH의 순서 값이 연속적이지 아닌 경우, 동일 시점(예, TTI, 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추가로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도 10를 참조하면, PDCCH의 순서 값이 연속적이지 아닌 경우, 단말은 PDCCH를 통해 수신한 스케줄링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S1130; Case 1). 즉, 단말은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PDSCH의 존재를 알 수 있지만, 해당 PDSCH에 대한 수신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PDCCH가 포함된 제어 영역만을 수신한 뒤, PDSCH가 포함된 데이터 영역에 대해서는 수신 자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PDCCH의 순서 값이 연속적이지 아닌 경우, 단말은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PDSCH를 수신하기는 하지만, 해당 PDSCH에 대한 복호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S1130; Case 2).
도 12는 도 10에서 예시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지국 입장에서 HARQ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를 통해 하나 이상(Nt)의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S1210). 하나 이상(Nr)의 PDCCH는 동시(예, 동일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Nr)의 PDCCH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PDCCH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외에 단말이 수신해야하는 PDCCH (또는 PDSCH)의 순서 값에 관한 정보(즉, PDCCH 순서 정보)를 추가로 나를 수 있다. PDCCH 순서 정보에 대한 사항은 도 10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PDCCH 순서 값은 0 내지 Nt-1을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그 후, 기지국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PDCCH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를 기다릴 수 있다(S1220). 기지국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 단말로부터 ACK/NACK 정보를 나르는 PUCCH를 수신한 경우, ACK/NACK 정보를 나르는 PUCCH가 몇 번째 PDCCH에 대응하는지 확인한다(미도시). 본 실시예에서 단말은 순서 값이 연속인 PDCCH 중에서 가장 높은 순서 값을 갖는 PDCCH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ACK/NACK 정보를 나르는 PUCCH가 순서상 마지막 PDCCH에 대응되는 경우, 기지국은 ACK/NACK 정보에 따라 재전송 또는 새로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ACK/NACK 정보를 나르는 PUCCH가 순서상 N-번째(N < Nt-1) PDCCH에 대응되는 경우, 기지국은 (N+1)-번째 내지 (Nt-1)-번째 PDCCH에 의해 스케줄링 되었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해 재전송할 수 있다(S1240). PDCCH 순서 값은 PUCCH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일 예로, PUCCH는 ACK/NACK 정보에 대응되는 PDCCH의 순서 값 중에서 가장 높은 값을 지시하는 정보를 직접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ACK/NACK 정보에 대응되는 PDCCH의 순서 값 중에서 가장 높은 값을 지시하는 정보는 PUCCH가 전송되는 상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 또는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단계 S1230 및 단계 S1240은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받고 해당 PUCCH로부터 PDCCH 순서 값을 확인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자원 또는 다른 물리 채널을 통해 ACK/NACK 정보를 받는 경 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PUS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받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에 단말로부터 ACK/NACK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계 S1210의 PDCCH에 의해 스케줄링 되었던 모든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해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1240).
이하, 단말이 복수의 PDCCH를 통해 PDSCH들을 수신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정보를 전송할 PUCCH를 정하는 방식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편의상, 도 13 내지 도 15는 상/하향링크 대역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CC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로서 상/하향링크 대역은 독립적으로 설정되며 연속된/불연속된 CC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는 대칭적 반송파 집성 상황을 가정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DL CC와 UL CC의 개수가 다른 비대칭적 반송파 집성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는 ACK/NACK 정보와 관련하여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DL CC와 UL CC간에 매핑 관계가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로서 DL CC와 UL CC간의 매핑 관계는 시변될 수 있다. 일 예로, DL CC와 UL CC간의 매핑 관계는 정적(static), 반-정적(semi-static) 또는 동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은 각각의 DL CC는 서로 동일한 개수의 CCE를 갖고, 각각의 UL CC는 서로 동일한 개수의 PUCCH 자원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로서 CCE 개수, PUCCH 자원의 개수는 각 CC의 대역폭, 네트워크 설정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CC에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는 복수의 DL CC를 통해 복수의 PDCCH를 수신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는 하나의 DL CC를 통해 복수의 PDCCH를 수신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DL CC가 하나의 UL CC에 매핑되는 비대칭적 반송파 집성의 경우, 복수의 DL CC 내의 CCE 또는 {복수의 DL CC 내의 CCE 및 DL 서브프레임}의 조합에 대응되는 PUCCH를 하나의 UL CC 내에 정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정보를 전송할 PUCCH를 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PDCCH를 통해 PDSCH들을 수신한 경우에 특정 PDCCH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일 예로, 단말은 동일 시점(예, TTI, 서브프레임)에 복수의 PDCCH 수신을 통해 복수의 PDSCH를 수신할 경우 수신한 복수의 PDCCH 중 마지막 또는 첫 번째 PDCCH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PDCCH 순서는 CCE 인덱스, DL CC 인덱스, DL CC의 주파수 순서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PDCCH 순서는 동일한 DL CC 내에서는 PDCCH를 구성하는 CCE 인덱스의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CCE 인덱스는 PDCCH를 구성하는 CCE들 중에서 가장 작은 값 또는 가장 큰 값일 수 있다. 또한, PDCCH 순서는 서로 다른 DL CC들에 대해서는 DL CC 인덱스 또는 DL CC의 주파수 순서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셀이 2개의 DL CC와 이에 대응하는 2개의 UL CC로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DL CC1의 전체 PDCCH 영역은 N1개의 CCE(CCE1,1~CCEN1,1)로 구성되고, DL CC2의 전체 PDCCH 영역은 N2개의 CCE(CCE1,2~CCEN2,2)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CCEX,Y에서 X는 DL CC 내에서의 CCE 인덱스를 나타내고, Y는 DL CC 인덱스를 나타낸다. 또한, UL CC1은 총 M1개의 ACK/NACK 전송용 PUCCH(PUCCH1,1~PUCCHM1,1)를 가지고, UL CC2는 총 M2개의 ACK/NACK 전송용 PUCCH(PUCCH1,2~PUCCHM1,2)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PUCCHX,Y에서 X는 DL CC 내에서의 PUCCH (자원) 인덱스를 나타내고, Y는 DL CC 인덱스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DL CC1으로는 CCE1,1 및 CCE2,1로 구성된 PDCCH를 통해 PDSCH를 스케줄링하고, DL CC2로는 CCE2,2 및 CCE3,2으로 구성된 PDCCH를 통해 PDSCH를 스케줄링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두 PDCCH 중 마지막 PDCCH에 해당되는 DL CC2를 통해 수신한 PDCCH의 특정 CCE(예, 첫 번째 CCE)에 대응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마지막 PDCCH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은 도 10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의 PDCCH를 통해 해당 PDCCH의 순서 값을 알려주는 방식과 결합되면 더욱 유용하다. 일 예로, 도 10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3개의 PDCCH를 수신하고 각각의 PDCCH를 통해 0, 1, 2의 순서 값을 읽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단말은 수신된 PDCCH의 순서가 연속적이므로 자신에게 전송된 PDCCH를 모두 제대로 수신했다고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기지국이 4개의 PDCCH(예, PDCCH 순서 값: 0 ~ 3)를 전송했고 그 중 3번 PDCCH를 단말이 놓쳤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수신된 PDCCH의 순서가 연속적이므로, 단말은 3번 PDCCH를 놓쳤다는 사실을 알 수 없다. 이 때, 단말이 자신이 수신한 마지막 PDCCH(즉, 2번 PDCCH)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을 전송한다면 기지국은 단말이 3번 PDCCH를 놓쳤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3번 PDCCH를 통해 스케줄한 PDSCH를 재전송할 수 있다. 위의 예는 단말이 마지막 PDCCH를 놓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이 마지막 PDCCH로부터 시작하여 복수의 연속된 PDCCH를 놓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는 기지국이 5개의 PDCCH(예, PDCCH 순서 값: 0 ~ 4)를 전송했고 그 중 4번 및 5번 PDCCH를 단말이 놓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정보를 전송할 PUCCH를 정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PDCCH를 통해 PDSCH들을 수신한 경우에 각각의 PDCCH 안에 ACK/N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을 해당 PDCCH를 이용하여 결정할지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편의상, ACK/N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을 해당 PDCCH를 이용하여 결정할지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를 PUCCH 할당 정보라고 지칭한다. PUCCH 할당 정보는 ON/OFF의 두 가지 상태로 표현되는 1-비트 정보일 수 있다. PUCCH 할당 정보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예로, PUCCH 할당 정보는 PDCCH 정보 내에 직접 포함될 수 있다. 또한, PUCCH 할당 정보는 PDCCH의 CRC 마스킹 또는 PDCCH 부호열의 스크램블링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복수의 PDCCH를 통해 복수의 PDSCH를 스케줄링할 때에 하나의 PDCCH에는 ON 정보를, 다른 PDCCH들에는 OFF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PUCCH 정보가 ON인 PDCCH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복수의 PDCCH에 ON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PUCCH 할당 정보가 ON인 PDCCH에 대응하는 복수의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PUCCH 할당 정보가 ON인 복수의 PDCCH 중에서 일부 PDCCH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PUCCH 할당 정보가 ON인 복수의 PDCCH 중에서 미리 정해진 규칙(예, 첫 번째 또는 마지막 PDCCH)에 따라 특정 PDCCH를 선택하고, 특정 PDCCH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PUCCH 할당 정보가 ON인 복수의 PDCCH 중에서 랜덤하게 특정 PDCCH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PDCCH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ACK/NACK을 전송할 PUCCH를 정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특정 UL CC를 통해서만 ACK/NACK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는 ACK/NACK 정보와 관련하여 복수의 DL CC가 하나의 특정 UL CC와 매핑되는 경우로 생각될 수 있다. ACK/NACK 정보와 관련하여, 특정 UL CC는 하향링크 전대역 또는 DL CC 그룹과 매핑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전대역은 하나 이상의 DL CC 그룹을 포함하고, 각각의 DL CC 그룹은 하나 이상의 DL CC를 포함한다. 따라서, DL CC와 UL CC의 일반적인 매핑 관계와 상관 없이, 복수의 DL CC를 통해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PDCCH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는 특정 UL CC를 통해서만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ACK/NACK 정보는 특정 UL CC의 특정 PUCCH를 통해서만 전송되도록 설정/시그널링될 수 있다. 다른 예로, ACK/NACK 정보 는 특정 DL CC의 특정 CCE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전송되도록 설정/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특정 DL CC 내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CCE들 중 특정 CCE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시그널링될 수 있다. 특정 PUCCH/특정 DL CC/특정 CCE는 시변될 수 있다.
특정 DL CC 및/또는 특정 CCE는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DL CC 및/또는 특정 CCE를 지시하는 정보는 시스템 정보 또는 RRC 메시지를 통해 직접 시그널링될 수 있다. 한편, 특정 DL CC 및/또는 특정 CCE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설정되거나 묵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DL CC는 단말 식별자, DL CC와 관련된 파라미터(예, 대역, 인덱스 등)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특정 CCE는 특정 DL CC 내에서 해당 단말에 대한 (PDCCH 또는) PDCCH 검색 공간에서 특정 위치의 CCE(예, 첫 번째 또는 마지막 CCE)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특정 DL CC 내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CCE들 중 특정 CCE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지국이 단말에게 복수의 DL CC를 통해 PDCCH/PDSCH를 전송하는 경우는 반드시 특정 DL CC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항상 특정 DL CC를 통해 수신한 PDCCH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DL CC1 및/또는 DL CC2를 통해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ACK/NACK 정보가 UL CC1을 통해서만 전송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5는 특정 PUCCH가 PUCCH3,1인 것을 가정한다. PUCCH3,1은 직접 지정되거나, DL CC1의 특정 CCE를 통해 간접적 으로 지정될 수 있다. 특정 CCE는 DL CC1의 PDCCH 검색 공간에 포함된 CCE들 중 하나일 수 있다. PDCCH 검색 공간은 각 단말이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해야 하는 하나 이상의 CCE를 지칭한다. 따라서, UL CC1과 매핑되지 않은 DL CC2를 통해 PDCCH를 수신했을 경우에 단말은 UL CC1의 PUCCH3,1을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도 15(a)). 한편, 특정 UL CC와 매핑된 DL CC1을 통해 PDCCH를 수신했을 경우에 단말은 특정 CCE에 대응하는 PUCCH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하거나(미도시), 실제 수신한 PDCCH에 대응되는 PUCCH(즉, PUCCH1,1)를 통해 ACK/NACK 정보를 전송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도 15(b)).
도 16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과 단말을 예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S, 110) 및 단말(UE, 120)을 포함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120)의 일부이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110)의 일부이다. 기지국(110)은 프로세서(112), 메모리(114)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11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4)는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16)은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120)은 프로세서(122), 메모리(124) 및 RF 유닛(12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4)는 프로 세서(12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26)은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기지국(110) 및/또는 단말(12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 상향링크 ACK/NACK 시그널링에 관한 방법 및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에 기초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를 예시한다.
도 3은 OFDMA 및 SC-FDMA를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4는 LTE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단일 콤포넌트 반송파 상황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와 PDCCH의 대응 관계를 예시한다.
도 7은 다중 콤포넌트 반송파 상황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DCCH를 놓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ACK/NACK 정보 생성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예시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복수의 PDCCH를 수신한 경우 ACK/N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PUCCH를 결정하는 방안을 예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을 예시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되, 각각의 제어 채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상기 제어 채널의 총 개수를 지시하는 정보를 나르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제어 채널의 총 개수와 상기 단말이 수신한 제어 채널의 개수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은 동시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제어 채널의 총 개수와 상기 단말이 수신한 제어 채널 의 개수가 다른 경우,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제어 채널의 총 개수와 상기 단말이 수신한 제어 채널의 개수가 다른 경우, 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되, 각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전송된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 내에서 자신의 순서 값을 지시하는 정보를 나르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순서 값이 연속적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동시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에 대한 순서 값이 불연속적인 경우,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에 대한 순서 값이 불연속적인 경우, 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에 대한 순서 값이 불연속적인 경우, 미수신된 순서 값의 하향링크 물리 채널에 의해 지시되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NACK으로 설정된 ACK/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에 대한 순서 값이 연속적인 경우, 마지막 순서 값을 갖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ACK/NACK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 중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과 대응되도록 지시된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과 관련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동시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포함된 1-비트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HARQ 과정 수행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하향링크 채널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적용되는 스크램블링 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마스킹을 다르게 함으로써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ARQ 과정 수행 방법.
KR1020090123316A 2008-12-23 2009-12-11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αck/nack 시그널링 KR101711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19172565T ES2845249T3 (es) 2008-12-23 2009-12-22 Señalización de ACK/NACK de enlace ascendente en entorno de agregación de portadoras
US13/139,429 US8553635B2 (en) 2008-12-23 2009-12-22 Uplink ACK/NACK signaling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EP19172565.4A EP3544214B1 (en) 2008-12-23 2009-12-22 Uplink ack/nack signaling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PCT/KR2009/007682 WO2010074490A2 (en) 2008-12-23 2009-12-22 Uplink ack/nack signaling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EP09835256.0A EP2342860B1 (en) 2008-12-23 2009-12-22 Uplink ack/nack signaling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07908P 2008-12-23 2008-12-23
US61/140,079 2008-12-23
US14836909P 2009-01-29 2009-01-29
US61/148,369 2009-01-29
US16931809P 2009-04-15 2009-04-15
US61/169,318 2009-04-15
US21898409P 2009-06-21 2009-06-21
US61/218,984 2009-06-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632A Division KR101799277B1 (ko) 2008-12-23 2017-02-22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αck/nack 시그널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998A true KR20100073998A (ko) 2010-07-01
KR101711864B1 KR101711864B1 (ko) 2017-03-03

Family

ID=426368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316A KR101711864B1 (ko) 2008-12-23 2009-12-11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αck/nack 시그널링
KR1020170023632A KR101799277B1 (ko) 2008-12-23 2017-02-22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αck/nack 시그널링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632A KR101799277B1 (ko) 2008-12-23 2017-02-22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αck/nack 시그널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53635B2 (ko)
EP (2) EP2342860B1 (ko)
KR (2) KR101711864B1 (ko)
ES (1) ES2845249T3 (ko)
WO (1) WO201007449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261A1 (ko) * 2012-04-23 2013-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4109553A1 (ko) * 2013-01-08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864B1 (ko) * 2008-12-23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αck/nack 시그널링
CN102365837B (zh) * 2009-03-29 2014-05-1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控制信息的方法及其装置
CN101873698B (zh) * 2009-04-23 2012-12-2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信号传送方法及其相关设备
CA2758216C (en) 2009-04-24 2016-08-02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BR112012004235B1 (pt) * 2009-08-26 2021-08-2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étodo e aparelho para reportar informações de retorno para operação multiportadora
EP2472975A4 (en) * 2009-08-27 2013-05-01 Fujitsu Ltd COMMUNICATION APPARATUS, APPARATUS FOR BASE STATION, APPARATUS FOR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WI628933B (zh) 2009-10-01 2018-07-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傳輸上鏈控制資訊的方法及系統
JP5005018B2 (ja) * 2009-11-02 2012-08-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5395961B2 (ja) * 2010-01-12 2014-01-22 ノキア シーメンス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送信・受信・周波数ギャップ帯域に基づきキャリアアグレゲーション型の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装置及び方法
JP5150006B2 (ja) * 2010-02-22 2013-02-20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101813031B1 (ko) 2010-04-13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457002B2 (en) * 2010-07-29 2013-06-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grant loss detection and related process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923223B2 (en) * 2010-08-16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ple component carriers
US8885496B2 (en) 2010-10-08 2014-11-11 Sharp Kabushiki Kaisha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on backward compatible PUCCH formats with carrier aggregation
WO2012051750A1 (zh) * 2010-10-19 2012-04-26 富士通株式会社 传输上行响应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基站
JP5388369B2 (ja) * 2010-11-08 2014-01-15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9325411B2 (en) * 2010-12-02 2016-04-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CK/NACK in TD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460740B (zh) 2011-02-07 2017-10-10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在免许可频谱中操作补充小区的方法和装置
EP2696523B1 (en) 2011-04-08 2018-10-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wireless access system and base station for same
US9497741B2 (en) * 2011-09-26 2016-1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radio access system
US10244517B2 (en) * 2011-11-13 2019-03-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12693B2 (en) 2012-03-16 2015-08-1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vices for sending and receiv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formation for carrier aggregation
US9155089B2 (en) * 2012-08-10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Cell ID and antenna port configurations for EPDCCH
US9521655B2 (en) * 2013-07-30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power scaling in uplink data transmission
CN104734821B (zh) * 2013-12-19 2019-04-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数据传输方法和装置
US20170214559A1 (en) * 2014-01-29 2017-07-2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ansmission/reception of a partial sc-fdm symbol
CA2997527A1 (en) * 2015-11-13 2017-05-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and device utilizing the same
WO2017155290A1 (ko) * 2016-03-07 2017-09-1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50500A1 (ja) * 2017-02-15 2018-08-23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11678332B2 (en) * 2017-08-22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and data multiplexing in uplink wireless transmissions
KR102193191B1 (ko) * 2017-09-15 2020-12-21 주식회사 케이티 코드 블록 그룹 기반의 전송 블록을 송수신하는 방법
EP4254840A3 (en) * 2017-11-14 2023-1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knowledgement signaling processes for radio access networks
CN110035524B (zh) * 2018-01-12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上行资源确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5236B2 (en) 2003-02-18 2006-12-26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ed and autonomous transmission and acknowledgement
US20040179493A1 (en) 2003-03-14 2004-09-16 Khan Farooq Ullah Methods of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and power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1273598B (zh) * 2005-09-30 2012-11-21 富士通株式会社 控制信道信息传送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基站和终端
KR101414630B1 (ko) 2007-01-09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및 수신 방법
CN103326843B (zh) 2007-05-29 2016-06-29 三星电子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中用于将码元映射到资源的装置和方法
US8559946B2 (en) * 2008-02-08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transmission signaling over an uplink control channel
EP2117155B1 (en) * 2008-05-06 2014-03-19 Godo Kaisha IP Bridge 1 Control channel signalling for triggering the independent transmission of a channel quality indicator
KR101711864B1 (ko) * 2008-12-23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αck/nack 시그널링
US8514883B2 (en) * 2009-04-24 2013-08-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for component carrier aggregation
US8767651B2 (en) * 2009-05-26 2014-07-01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TWI628933B (zh) * 2009-10-01 2018-07-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傳輸上鏈控制資訊的方法及系統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kia 외, "L1 control signaling with carrier aggregation in LTE-Advanced", 3GPP Draft, R1-083730, 2008.09.24.*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261A1 (ko) * 2012-04-23 2013-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US9602253B2 (en) 2012-04-23 2017-03-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ARQs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s
US9794030B2 (en) 2012-04-23 2017-10-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ARQs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s
US10164742B2 (en) 2012-04-23 2018-1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ARQS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s
WO2014109553A1 (ko) * 2013-01-08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US9729297B2 (en) 2013-01-08 2017-08-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45249T3 (es) 2021-07-26
WO2010074490A3 (en) 2010-09-23
EP2342860A2 (en) 2011-07-13
EP3544214A1 (en) 2019-09-25
KR101799277B1 (ko) 2017-11-20
EP2342860B1 (en) 2019-06-19
EP2342860A4 (en) 2014-06-11
EP3544214B1 (en) 2020-11-04
US8553635B2 (en) 2013-10-08
US20110243088A1 (en) 2011-10-06
WO2010074490A2 (en) 2010-07-01
KR20170024596A (ko) 2017-03-07
KR101711864B1 (ko) 2017-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277B1 (ko)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αck/nack 시그널링
KR101825001B1 (ko)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8003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KR10118661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5936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29550B1 (ko)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59933B1 (ko)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8625509B2 (en)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101648584B1 (ko)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US92317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 for merging carriers in transmission
KR101505761B1 (ko) 시간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복수의 수신 확인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61610B1 (ko) 시간-슬롯 기반으로 다중 α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KR10205494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2036534A2 (ko)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8121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9419763B2 (en) Method for searching for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egion
KR101785656B1 (ko)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0491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