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133A -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133A
KR20100073133A KR1020080131724A KR20080131724A KR20100073133A KR 20100073133 A KR20100073133 A KR 20100073133A KR 1020080131724 A KR1020080131724 A KR 1020080131724A KR 20080131724 A KR20080131724 A KR 20080131724A KR 20100073133 A KR20100073133 A KR 20100073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oice
transmission
voice frame
m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130B1 (ko
Inventor
구기종
배현주
이병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1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130B1/ko
Priority to US12/556,051 priority patent/US8369350B2/en
Publication of KR20100073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based on age of data to be s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은 송신 대기 중인 음성 프레임과 비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을 산출하고, 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이 비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보다 큰 경우 음성 프레임과 비음성 프레임을 결합하여 결합프레임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MAC 계층에 송신 대기중인 음성 프레임의 유무에 따라 내부 충돌 해결 및 프레임 결합을 수행하여 음성 프레임의 송신 지연을 줄이고, 그에 따라 VoIP 서비스를 위한 종단간 음성 전달 지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IEEE 802.11, Wireless LAN, Voice-over-IP(VoIP)

Description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frame in wireless LAN}
본 발명은 무선랜 MAC에서 음성 프레임을 비음성 프레임과 결합하여 송수신하는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11-01, 과제명: FMC 어커스틱 융합코덱 및 제어기술 연구].
인터넷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인터넷을 이용한데이터 서비스 외에, 음성 및 영상 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실시간 품질 보장이 더욱 더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 제공을 위한 VoIP는 데이터 및 영상에 비해 지연(delay) 및 지터(jitter)에 대한 민감도가 커서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품질 보장이 더욱 필요한 응용이다.
한편, 설치의 편리성과 이동성을 장점으로 하는 무선랜은 1990년 중반부터 널리 보급되었고, 최근에는 유선랜 100Mbps급과 유사한 전송속도를 제공하면서 사 용자들에게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랜과 VoIP의 접목으로 인해 이동성과 이용료 절감 효과를 보고 있다.
IEEE(The Institute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는 무선랜 단말과 AP간의 데이터 프레임 전송에 관한 프로토콜을 정의한 규격을 개발했고, 그 결과 무선랜 매체 접속과 물리계층에 관한 규격(IEEE 802.11-PHY/MAC)이 1999년에 표준화 되었고, 이 후, MAC 계층에서의 QoS를 강화하기 위한 규격(IEEE 802.11e)이 2005년에 표준화 되었다.
IEEE 802.11 무선랜 규격은 무선랜을 구성하는 주요 두 가지 구성요소인 이동 단말과 고정 AP(Access Point)에 관하여 기술한다. IEEE 802.11 무선랜 규격을 사용하는 하나의 셀(single-cell)은 Basic Service Set(BSS)으로 정의 되고, 다중 셀(multiple-cell)은 Extended Service Set(ESS)로 정의된다. 각각의 단말 및 AP는 MAC 프레임을 교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MAC 계층을 구현한다. MAC 프레임은 무선 단말과 AP간에 제어, 관리, 데이터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사용된다.
지연에 민감한 음성 서비스 제공의 신뢰성을 위하여 MAC 프레임, 특히 음성 프레임의 효율적인 송수신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송신 대기중인 음성 프레임의 유무에 따라 내부 충돌 해결 및 프레임 결합을 수행하여 음성 프레임의 송신 지연을 줄이고, 궁극적으로, VoIP 서비스를 위한 종단간 음성 전달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무선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은 송신 대기 중인 음성 프레임과 비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을 산출하고, 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이 비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보다 큰 경우 음성 프레임과 비음성 프레임을 결합하여 결합프레임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신 단말은 MAC 디스크립터를 확인하여, 목적지 단말에 해당하는지, 프레임이 결합 프레임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음성 프레임 및 비음성 프레임을 추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MAC 계층에 송신 대기중인 음성 프레임의 유무에 따라 내부 충돌 해결 및 프레임 결합을 수행하여 음성 프레임의 송신 지연을 줄이고, 그에 따라 VoIP 서비스를 위한 종단간 음성 전달 지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상업화 되어 있는 매체접근제어(media access control : MAC) 접속 규격으로는 DCF(802.11)와 EDCA(802.11e) 방식이 사용된다.
DCF(802.11)를 살펴보면, DCF에서 모든 스테이션은 프레임 전송을 위한 경합에 참여할 수 있다. 802.11 MAC의 기본적인 접속 방식은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이다. CSMA 방식에서 WLAN 무선 매체 상에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매체를 탐지한다. 만일 매체가 비어 있으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데이터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전송을 지연시킨다.
만일, 무선 매체상에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바로 스테이션에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면, 복수개의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 시도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데이터 충돌 확률은 높아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일정 기간의 휴지 기간(IFS, Inter-Frame Space)을 가진 후, 전송 기회를 획득하기 위한 2진 랜덤 백오프(Binary Random Backoff)를 수행하여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 : CW)의 크기를 결정하고, CW를 최소값으로 결정한 스테이션에게 전송 기회를 부여한다. 이러한 과정이 Collision Avoidance(CA) 기능이다.
IEEE 802.11e 규격에서 EDCA는 응용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전송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해 4개의 AC(Access Category)를 분류한다. 각 AC별로 차별화된 AIFS를 할당하고, AC별로 차별화된 Contention Window를 사용하여 서비스 차별화를 제공한다. IEEE 802.11e 표준을 따르면, MAC은 AC별로 전송 큐를 보유하고, 각 AC별 큐는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방식에 따라 AIFSN 및 Backoff Window 값을 할당한 후 자신의 큐에 있는 프레임을 송신할 차례를 기다린다. 그 후, 백오 프를 우선적으로 종료한 큐가 채널 액세스 권한을 갖고 프레임을 송신한다. 만일, 여러 개의 큐가 동시에 백오프를 종료하면 내부 충돌 해결(internal collision resolution) 규칙에 따라 우선순위(UP)가 높은 큐에 채널 액세스 권한을 부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AC별로 송신 우선 순위를 부여했다고는 하나, 피할 수 없는 내부 경쟁을 유발하여 지연에 민감한 음성 프레임을 송신할 때 불필요한 지연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IEEE 802.11e 기반의 MAC 계층에서 상위(LLC)계층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을 프레임 결합(Frame aggregation) 과정을 거쳐 하위(물리)계층으로 전달하는 방식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위 계층으로부터 MSDU(MAC Service Data Unit)를 수신하면 하기의 표1과 같이 데이터의 우선 순위(UP, User Priority)에 따라 해당 AC (Access Category)에 맵핑(mapping)하고, AC별로 할당된 송신 큐(100)에 입력한다.
Figure 112008088108096-PAT00001
MAC 계층에 도착하는 프레임의 사용자 우선 순위는 서로 대응되는 하나의 AC로 할당된다. 모든 AC는 각각의 전송 큐와 AC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AC간 우선 순위의 차이는 서로 다르게 설정된 AC 파라미터 값으로부터 구현된다. 표1과 같이 각 AC 큐마다 분류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서 우선순위가 다르게 적용된다.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트래픽이고 최선형(Best Effort) 트래픽, 영상(video), 마지막으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음성(Voice) 트래픽의 순서이다.
우선순위가 높은 프레임일수록 전송을 위한 접근 대기 시간이 짧다. 또한 높은 우선순위일수록 경쟁윈도우 CWmin[AC]와 CWmax[AC]의 크기가 작으며, 결과적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타임슬롯을 사용한 후 프레임 전송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2.11e MAC에 정의된 4개의 AC별 전송 큐는 하나의 수신 단말(STA) 내에서 무선 매체 접근을 위해 각각 개별적인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경쟁 개체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하나의 AC는 자신의 Arbitrary IFS(AIFS)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채널 접근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DCF의 경우 DCF Inter-Frame Space (DIFS)의 시간이 경과한 후, EDCA의 경우는 AIFS의 시간이 경과되면 전송을 시작한다. 각 출력 큐는 각 우선 순위에 따라 서로 다른 AIFS(Arbitration Interframe Space)를 사용하여 트래픽을 전송한다. EDCA의 전송 전 대기 시간인 AIFS는 DCF의 DIFS보다 긴 시간을 가진다. 이는 ACK 프레임 등의 전송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백오프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한다. 단말에서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전송 충돌이 발생하여 재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백오프를 시작하기 위해 단말은 백오프 시간을 백오프 타이머에 설정한다.
각 AC별 큐는 EDCA 방식에 따라 AIFSN(Arbitration Inter Frame Spacing Number) 및 백오프 윈도우(Backoff Window) 값을 할당한 후 자신의 큐에 있는 프레임을 송신할 차례를 기다린다. 이 때, 각 큐는 내부 충돌 해결 및 프레임 결합 결정 (collision resolution and frame aggregation decision : CR_FAD) (200) 방식에 따라 채널 액세스 권한을 부여 받는다.
CR_FAD(200)는 음성 큐(AC_VO)와 비음성 큐(AC_BK, AC_BE, AC_VI)간에 AIFSN과 백오프 윈도우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송신대기 시간을 비교하여 음성 큐의 송신 대기 시간이 비음성 큐의 대기 시간보다 긴 경우에 프레임 결합하도록 결정한다. 만일, 음성 큐의 송신대기 시간이 비음성 큐의 대기 시간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음성 큐를 우선적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CR_FAD에 의해 프레임 결합이 결정되면, 프레임 결합(Frame Aggregation) 블록(300)은 송신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에 따라 MAC 프레임의 헤더 형식을 수정하여 수신 단말(STA)로 하여금 송신 프레임이 결합된 것임을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결합 대상 프레임들의 송신률이 다를 경우, 결합 프레임을 낮은 송신률로 송신하여 해당 목적지 단말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은 송신 대기 중인 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송신 대기 중인 비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이 상기 비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음성 프레임과 상기 비음성 프레임을 결합하여 결합프레임을 생성하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은 상기 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이 상기 비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음성 프레임에 우선 송신 권한을 부여하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프레임 및 비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에 앞서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 큐에서 송신 대기 중인 프레임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내부 충돌 해결 및 프레임 결합 결정 절차를 설명한다. EDCA에 따르면 MAC은 자신이 소유한 프레임을 송신하기에 앞서, 무선 채널상에 전송 중인 프레임이 있는지 확인하고, 만일 전송 중인 프레임이 있어, 채널이 busy 상태이면, 프레임 전송이 완료되어 채널이 idle 상태가 되기를 기다린다. 이 때, 채널이 idle 상태로 되는 시점이 IFS(Inter-Frame Space)의 시작(310)이다.
IFS가 시작되면, CR_FAD(200)는 모든 AC큐에 송신 대기 중인 프레임이 있는지 확인(320)한다. 상기 음성 및 비음성 프레임은 서로 다른 큐에 할당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성 큐(AC_VO)에 대기 중인 음성 프레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330)한다.
각 큐에 송신 대기 중인 프레임은 하기의 표 2에 명시된 바와 같이 AC별로 할당된 AIFSN 값과 Backoff window 값으로부터 계산된 시간만큼 송신 대기한다.
Figure 112008088108096-PAT00002
여기서, AIFSN은 해당 AC의 트래픽에 대한 송신을 시작하거나 규격에서 정의하는 백오프(backoff)프로시저를 호출하기 전의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슬롯(slot)의 수이고, AIFS[AC]는 특정 프레임의 최초 전송 혹은 재전송 전에 대기해야 하는 시간이다. 따라서, AIFS(Arbitration Inter FrameSpace)은 AIFSN에 하나의 슬롯 타임(SlotTime)을 곱하고, SIFS(Short Inter Frame Space) 타임을 더한 시간이다.
AIFS[AC] = AIFSN[AC] x aSlotTime + aSIFSTime
슬롯 타임과 SIFS는 물리계층에 사용되는 IEEE 802.11의 기기에 따라 달라지며, AIFSN은 사용자에 의해 각 AC 마다 변경가능하다. CWmin과 CWmax의 값은 음성 파라미터(AC_VO)가 비음성 파라미터보다 (CWmin+1)/2-1 ~ (CWmin+1)/4-1 정도 적은 값을 가지며, 이는 변경가능하다.
T(송신대기시간)= AIFS[AC] + Backoff_Time
상기의 수학식2와 같이, 송신 대기 시간은 AIFS[AC]와 Backoff_Time의 합으로 결정된다.여기서 AIFS[AC]는 0보다 큰 정수값이다. 송신 대기 시간은 프레임이 할당된 각각의 큐 별로 계산될 수 있다.
EDCA 방식은 AC에 할당된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경쟁에 있어 AIFS[AC], CWmin[AC], CWmax[AC]를 사용한다. AIFS[AC], CWmin[AC], CWmax[AC] 등의 값은 AP에 의해 비콘 프레임에 실려 각 수신 단말(STA)에 통보될 수 있다.
CWmin[AC]과 CWmax[AC]는 특정 프레임의 첫 전송이 실패한 다음 재전송에 사용되는 백오프 (back-off) 시간이 결정될 때 최소값과 최대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백오프 타임은 하기의 수학식과 같이 정의된다.
Backoff_Time = Random() x aSlotTime
여기서 Random()은 균등 분포된 [0,CW]에서 랜덤하게 추출한 정수이다. CW는 aCWmin <= CW <= aCWmax 범위의 값으로 결정된다.
기본적으로 AIFS[AC]와 CWmin[AC]의 값이 작을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며, 이에 따라 채널 접근 지연이 짧아져 주어진 트래픽 환경에서 보다 많은 대역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송신 대기 시간은 AIFS[AC] + Backoff_Time로 결정된다.
따라서, 송신 대기 시간 비교 단계(340)에서는 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 간, Tvo(=AIFS[AC_VO]+ Backoff_Time[AC_VO])와 비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 Toth(=AIFS[AC_BK, AC_BE, AC_VI] + Backoff_Time[AC_BK, AC_BE, AC_VI])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음성 프레임의 송신대기시간(Tvo)이 다른 AC의 프레임의 송신대기시간(Toth)보다 큰 경우, 프레임 결합을 수행하고(350),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음성 프레임을 우선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우선 송신(360)한다.
프레임 결합 단계(350)에서는 음성 프레임과 비음성 프레임의 결합을 수행한다. 프레임 결합이 완료되면, MAC은 채널 상태를 체크하여 프레임 송신 가능 여부(370)를 확인한 후, 가능하면 프레임을 송신한다.
도 4는 음성 프레임과 비음성 프레임의 결합 방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프레임 결합은 MAC descriptor(410)와 음성 MAC 프레임(420), 비음성 MAC 프레임(430) 순으로 결합한다.
MAC 디스크립터(410)는 상기 결합프레임을 나타내는 식별자와, 결합 프레임 교환 소요 시간 정보, 결합프레임의 목적지 주소, 및 음성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AC 프레임 수신 단말에서 결합된 프레임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MAC 디스크립터(descriptor)는 Type(440) 필드와 Subtype(450)의 값을 이용하여 결합 프레임을 표시하고, 결합 프레임에 의한 채널 점유 시간을 Duration(460) 필드에 기록하고, 결합 프레임의 목적지를 ADD(Dest[VO])(470)와 ADD(Dest[OT])(480) 필드에 기록하고, 음성 프레임의 길이를 Length[AC_VO](490)에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은 수신 단말이 프레임의 MAC 디스크립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MAC 디스크립터 내에 상기 수신 단말의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MAC 디스크립터로부터 상기 프레임이 결합프레임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프레임에서 음성 프레임과 비음성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소스 단말이 프레임을 송신하면(510), 수신 단말은 MAC 디스크립터를 확인한다. 자신의 주소지가 ADD(Dest[VO])(470)와 ADD(Dest[OT])(480) 필드에 포함되는 지 확인하여 목적지 단말에 포함된다면(530), Type(440) 필드와 Subtype(450)의 값을 확인하여 결합 프레임 여부를 판단한다.(540)
음성 프레임 및 비음성 프레임을 추출한다(560).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SIFS(Short Interframe Space) 시간 후에 즉시 ACK 프레임을 전송하여 프레임을 수신했음을 알린다. 만일 데이터 전송 후에 ACK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았으면, 랜덤 백오프 후 재전송을 수행한다.
수신 단말이 목적지 단말이 아닌 경우에는 NAV를 설정하여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는다.(550) NAV 시간이 설정되면 NAV이 설정된 단말들은 해당 NAV 값이 0으로 되기 이전에는 매체 접근을 위한 경쟁을 하지 않는다.
도 6은 결합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말과, 수신하는 단말간에 프레임 교환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소스(Source) 단말이 결합 프레임(600)을 송신하 면, BSS내의 수신 단말은 MAC descriptor로부터 목적지 주소를 디코딩하여 프레임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 음성 프레임의 목적지 단말(Destination[AC_VO])은 결합 프레임 수신 후 SIFS(610) 뒤에 ACK 프레임(620)을 소스(Source) 단말로 송신한다.
비음성 프레임의 목적지 단말(Destination[AC_Others])은 음성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620) 전송 완료 후 SIFS(630) 시간 후에 ACK 프레임(640)을 source 단말로 송신한다.
결합 프레임의 해당 목적지 단말이 아닌 단말들은 자신의 NAV를 결합 프레임 이후로, 2*SIFS + 2*ACKtime으로 설정한다. 즉, 비음성 프레임을 수신한 단말의 ACK 프레임(640)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NAV를 설정하여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IEEE 802.11e 기반의 MAC 계층에서 상위(LLC)계층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을 프레임 결합(Frame aggregation) 과정을 거쳐 하위(물리)계층으로 전달하는 방식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채널 접근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음성 프레임과 비음성 프레임의 결합 방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결합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말과, 수신하는 단말간에 프레임 교환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Claims (7)

  1. 송신 대기 중인 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송신 대기 중인 비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이 상기 비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음성 프레임과 상기 비음성 프레임을 결합하여 결합프레임을 생성하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이 상기 비음성 프레임의 송신 대기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음성 프레임에 우선 송신 권한을 부여하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음성 프레임, 상기 비음성 프레임, MAC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MAC 디스크립터(descriptor), 상기 음성 프레임, 상 기 비음성 프레임의 순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MAC 디스크립터는 상기 결합프레임을 나타내는 식별자와, 결합 프레임 교환 소요 시간 정보, 결합프레임의 목적지 주소, 및 음성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6. 수신단말이 프레임의 MAC 디스크립터(descriptor) 내에 상기 수신 단말의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단말의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MAC 디스크립터로부터 상기 프레임이 결합프레임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이 결합프레임인 경우에 음성 프레임과 비음성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MAC 디스크립터 내에 상기 수신 단말의 주소가 포함되어 않은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은 NAV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KR1020080131724A 2008-12-22 2008-12-22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KR101354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724A KR101354130B1 (ko) 2008-12-22 2008-12-22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US12/556,051 US8369350B2 (en) 2008-12-22 2009-09-09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in wireless L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724A KR101354130B1 (ko) 2008-12-22 2008-12-22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133A true KR20100073133A (ko) 2010-07-01
KR101354130B1 KR101354130B1 (ko) 2014-01-24

Family

ID=4226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724A KR101354130B1 (ko) 2008-12-22 2008-12-22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69350B2 (ko)
KR (1) KR101354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7411B2 (en) * 2009-10-05 2014-09-16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784082A (zh) * 2009-12-22 2010-07-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局域网内增强服务质量的方法及装置
EP2418903A1 (en) * 2010-08-13 2012-02-15 Thomson Telecom Belgium A packet retransmission method in a wirelss transmitter
CN102948244B (zh) 2010-06-18 2016-08-03 汤姆森特许公司 发送分组的方法及无线设备
KR20120084234A (ko) 2011-01-19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Mpeg media transport(mmt)에서 mmt au를 전송하는 방법
JP5707576B2 (ja) * 2011-09-30 2015-04-30 サイ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送信器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9173224B2 (en) 2012-03-01 2015-10-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differentiated association service provisioning in WiFi networks
KR20140124506A (ko) * 2013-04-17 2014-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어그리게이션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US8837515B1 (en) 2013-06-06 2014-09-16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 resolution
US10104676B2 (en) 2015-05-04 2018-10-16 Mediatek Inc. Gaining an mu-TXOP for transmitting packet using OFDMA
CN106231682A (zh) * 2016-08-05 2016-12-14 南京理工大学 一种车载自组织网安全信号传输机制的优化方法
US10820349B2 (en) 2018-12-20 2020-10-27 Autonomous Roadway Intelligence, Llc Wireless message collision avoidance with high throughput
US10820182B1 (en) 2019-06-13 2020-10-27 David E. Newman Wireless protocols for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S10939471B2 (en) 2019-06-13 2021-03-02 David E. Newman Managed transmission of wireless DAT messag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4772B1 (en) 2000-07-27 2002-06-11 Symbol Technologies, Inc. Voice and dat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US7099283B2 (en) 2002-01-25 2006-08-29 Ntt Docomo, Inc. Quality of service aware handoff trigger
KR100693035B1 (ko) 2003-06-25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7590118B2 (en) 2003-12-23 2009-09-15 Agere Systems Inc. Frame aggregation format
US7489688B2 (en) 2003-12-23 2009-02-10 Agere Systems Inc. Frame aggregation
KR100608914B1 (ko) 2004-11-11 2006-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oIP용 무선랜에 있어서 통신품질을 보장하는 매체접속 제어 장치
US20070297375A1 (en) 2006-06-27 2007-12-27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an ad hoc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9350B2 (en) 2013-02-05
KR101354130B1 (ko) 2014-01-24
US20100157962A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130B1 (ko) 무선랜 프레임 송수신 방법
US7990872B2 (en) Wireless LAN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of data thereof
Natkaniec et al. A survey of medium access mechanisms for providing QoS in ad-hoc networks
US20120314694A1 (en) Method of Back-off Procedure Setu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64512A (ko) 무선 랜 기지국장치의 서비스 품질 제어방법
US200501414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wireless and wired networks
Hamidian et al. An enhancement to the IEEE 802.11 e EDCA providing QoS guarantees
US200701656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in wireless networks
Wang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EDCA with strict priorities broadcast in IEEE802. 11p VANETs
Gupta et al. Random-access scheduling with service differentiation in wireless networks
Ahemd et al. QoS and Admission Controller in IEEE 802.11 e WLAN
WO2024021860A1 (zh) 数据传输方法及其装置、存储介质、程序产品
Kim et al. Deterministic priority channel access scheme for QoS support in IEEE 802.11 e wireless LANs
Majkowski et al. Enhanced TXOP scheme for efficiency improvement of WLAN IEEE 802.11 e
Yu et al. Distributed resource reservation mechanism for IEEE 802.11 e-based networks
Anh et al. An enhanced MAC-layer improving to support QoS for multimedia data in wireless networks
Roy et al. An efficient cooperative MAC protocol for enhancing QoS of IEEE 802.11 e EDCA in saturated conditions
Yazdani et al. A fair access mechanism based on TXOP in IEEE 802.11 e wireless networks
Tsai et al. An analytical model for IEEE 802.11 e EDCA
Takeuchi et al. Dynamic Adaptation of Contention Window Sizes in IEEE 802. lie Wireless LAN
Wang et al. A new MAC scheme in cognitive network for different priority of secondary users
Yu et al. Comparison of modified dual queue and EDCA for VoIP over IEEE 802.11 WLAN
KR100799584B1 (ko) 무선랜 환경에서의 매체접속 방법
Chen et al. Adaptive wireless networks QoS evaluation analysis through enhanced parameters tuning algorithms
Farhana et al. A Novel Slotted Allocation Mechanism To Provide QoS For EDCF Protoc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