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569A - 뇌파유도 음향장치 - Google Patents

뇌파유도 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569A
KR20100072569A KR1020080131007A KR20080131007A KR20100072569A KR 20100072569 A KR20100072569 A KR 20100072569A KR 1020080131007 A KR1020080131007 A KR 1020080131007A KR 20080131007 A KR20080131007 A KR 20080131007A KR 20100072569 A KR20100072569 A KR 20100072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cm
harmonic
unit
brain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1199B1 (ko
Inventor
백재성
Original Assignee
(주)에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쓰앤아이 filed Critical (주)에쓰앤아이
Priority to KR102008013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1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사람의 두뇌에서 생기는 뇌파 중 인체에 직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뇌파를 유도하는 음향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해당 뇌파 유도음향을 발생시켜 인체의 두뇌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뇌파와 동일한 음을 공명시켜 뇌파를 유도해 뇌의 집중력과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뇌파유도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파유도 음향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원하는 뇌파 유도 주파수와 PCM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을 선택하는 모드 설정부;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을 기본으로 한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로 이루어진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을 생성하는 아날로그음 발생부; 상기 아날로그음 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의 기본 자연배음을 분석하여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에 대한 배음값을 저장하는 배음 분석부; PCM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이 상기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의 배음값에 따른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비율의 값을 설정하는 PCM 합성부; 상기 배음 분석부를 통해 배음값이 분석된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을 제어 프로그램부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뇌파 저장부; 상기 배음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뇌파 유도음향과 PCM 저장부에 저장된 PCM 음향이 동일한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출력하는 제어 프로그램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음원을 저장하여 제어 프로그램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음원을 제공하는 PCM 저장부; 상기 제어 프로그램부에서 전송된 디지털화된 뇌파 유도음향과 PCM 음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하여 스피커부로 전송하는 D/A 컨버터부; 동일한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로 이루어진 뇌파 유도음향과 PCM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로 이루어지는 뇌파유도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80131007
뇌파, 음향장치, 배음, 파형, PCM 음향

Description

뇌파유도 음향장치{sounder of inducing brainwave}
본 발명은 뇌파유도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두뇌에서 생기는 뇌파 중 인체에 직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뇌파를 유도하는 음향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해당 뇌파 유도음향을 발생시켜 인체의 두뇌에 자극을 가함으로써, 뇌파와 동일한 음을 공명시켜 뇌파를 유도해 뇌의 집중력과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뇌파유도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뇌에서 발생하는 뇌파는 다양한 파장을 갖는 미약한 주기성 전류를 띠고 있으며, 이러한 뇌파는 정신활동과 자극 의식수준에 따라 변동되는 것으로 뇌의 기능판정과 질병 진단 등의 기초자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극의 주파수와 일치되거나 공명하려는 뇌의 자연적인 현상을 뇌파유도라고 하며,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소정의 특정 뇌파를 유도시키는 주파수를 뇌파유도주파수라고 한다.
인간의 뇌에서 발생하는 뇌파의 종류는 주파수에 따라서 크게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로 나뉘어 지는데, 상기 알파파(Alpha wave)는 우리가 눈을 감고 몸을 이완시키면 발생하는 뇌파이며 8∼14㎐ 사이의 주파수를 가지며, 베타 파(Beta wave)는 의식이 깨어있을때 발생하는 대부분의 뇌파로 14∼30㎐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며, 세타파(Theta wave)는 얕은 수면상태에서 발생하며, 알파파보다 더욱 낮은 4∼8㎐의 주파수를 가지며, 지각과 꿈의 경계상태에서 생성되고, 델타파(Delta wave)는 세타파보다 더 낮은 4㎐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며, 잠들어 있거나 무의식 상태에서 가장 많이 측정되는 뇌파이다.
종래의 뇌파유도주파수 발생장치를 살펴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설정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 입력하는 유형별 건강파(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등)의 해당 주파수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구동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유형별 데이터를 전송받아 그에 상응하는 파형을 헤드폰의 좌우에 각각 송출하는 음원 공급부와, 상기 구동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유형별 데이터에 상응하는 발광신호를 발광소자가 구비된 안경의 왼쪽과 오른쪽으로 각각 송출하는 조명 공급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의 뇌파유도주파수 발생장치는 사용자가 수면, 활동 등의 특정모드를 선택 입력하면, 구동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모드에 상응하는 유형별 데이터를 음원 공급부 및 조명 공급부에 각각 출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음원 공급부는 상기 유형별 데이터에 상응하는 건강파의 주파수를 갖는 오디오 음원을 독출하여 헤드폰의 왼쪽 및 오른쪽 출력단자를 통해 각각 출력하게 되고, 상기 조명 공급부는 상기 유형별 데이터에 상응하는 건강파의 주파수에 따른 점멸주기로 발광신호로 생성하여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왼쪽 및 오른쪽 광출력단자로 각각 출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된 특정 건강파가 소리 및 빛으로 출력되어 사용자 의 뇌파를 유도 및 자극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뇌파유도주파수 발생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음원 공급부가 구비된 헤드폰을 착용하고, 조명 공급부가 구비된 안경을 착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상기 뇌파유도주파수 발생장치는 단독기기로 구성 및 제조되어 고가격으로 판매됨으로 인해 대중적으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통상적인 휴대기기와 별도로 휴대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배음(overtone)은 어떤 한 음이 소리날 때에 귀에 들리는 한 음 이외에 다른 여러 음이 섞여 울리게 되는데, 상기 배음은 맨 처음 소리난 음의 진동수로부터 정배수의 다른 음의 울림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배음구조는 기본음(배음)이 존재하여 소리의 특징을 나타내어 주고, 다른 배수들의 주파수와 합쳐져 소리가 표현된다는 내용이고, 높은 음역대 및 주파수의 소리라도 기본음인 배음은 포함되는 것이다.
파형(waveform)은 신호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파동의 생김새로, 주파수의 위상이 변화하여 생성되는 것인데, 상기 파형의 종류를 살펴보면, 기본파형인 사인파(sign wave)는 삼각함수의 사인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며, 발전소에서 나오는 교류는 주파수 60Hz를 갖게 되고, 삼각파(sawtooth wave)는 파형이 삼각형 모양 또는 톱니 모양을 이루는 파이고, 사각파(square wave)는 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어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하는 파형이다.
이에 인간의 뇌파 음향에 배음이론의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파형 구조에 따른 뇌파 유도 주파수와 동일한 형태의 배음구조 및 파형구조를 가진 음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뇌파 유도음향을 출력함에 있어 뇌파 유도음향과 동일한 배음구조 및 파형구조로 변조된 PCM 음향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음악을 다양하게 청취하면서 뇌의 집중력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뇌파 유도음향을 통해 뇌파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뇌파유도 음향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원하는 뇌파 유도 주파수와 PCM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을 선택하는 모드 설정부;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을 기본으로 한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로 이루어진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을 생성하는 아날로그음 발생부; 상기 아날로그음 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의 기본 자연배음을 분석하여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에 대한 배음값을 저장하는 배음 분석부; PCM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이 상기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의 배음값에 따른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비율의 값을 설정하는 PCM 합성부; 상기 배음 분석부를 통해 배음값이 분석된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을 제어 프로그램부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뇌파 저장부; 상기 배음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뇌파 유도음향과 PCM 저장부에 저장된 PCM 음향이 동일한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출력하는 제어 프로그램부; 다양한 형태의 디지 털 음원을 저장하여 제어 프로그램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음원을 제공하는 PCM 저장부; 상기 제어 프로그램부에서 전송된 디지털화된 뇌파 유도음향과 PCM 음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부로 전송하는 D/A 컨버터부; 동일한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로 이루어진 뇌파 유도음향과 PCM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로 이루어지는 뇌파유도 음향장치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부는 PCM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을 재생함에 있어 PCM 합성부에서 설정된 뇌파 유도음향의 배음값에 따른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과 동일한 구조로 변환하여 일정한 빠르기의 템포로 뇌파 유도음향과 PCM 음원을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PCM 합성부에서 설정된 뇌파 유도음향의 배음값 정보를 토대로 하여 PCM 저장부에 저장된 PCM 음원의 음향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를 동일하게 변조하는 주파수 변조부; 일정한 템포의 빠르기로 뇌파 유도음향과 PCM 음원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템포 유지부; 좌·우 스피커로 번갈아 가면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채널이 분리되게 하는 패닝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템포 유지부는 60bpm과 그 배수인 120bpm의 빠르기로 템포가 유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뇌파유도 음향장치를 통해 다양한 음악 또는 심리적으로 편안하게 하는 음향을 청취하면서 자연스럽게 동일한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를 가진 뇌파 유도음향을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뇌파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제품의 효용성을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뇌파유도 음향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뇌파유도 발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2a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뇌파유도 음향장치를 통해 발생하는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뇌파유도 음향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설정부(10)에서 선택된 아날로그음 발생부(20)를 통해 발생되는 특정 아날로그음 파형은 배음 분석부(30)에서 뇌파 유도음향에 대한 배음값을 분석하여 저장하고, PCM(Pulse Code Modulation) 합성부(40)는 분석된 뇌파 유도음향의 배음값을 토대로 PCM 음원이 동일한 배음구조 및 파형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비율의 값을 설정한 후, 뇌파 저장부(50)에 각각의 뇌파 유도 음향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제어 프로그램부(60)는 뇌파 저장부(50)와 PCM 저장부(70)에 저장된 특정 뇌파 유도 음향과 PCM 음원을 불러들여 동일한 배음구조 및 파형구조로 위치시키도록 제어한 후, D/A 컨버터부(8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부(9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드 설정부(10)는 본 발명에 의한 뇌파유도 음향장치의 외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 상태에 따른 뇌파 유도 주파수인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등의 전기적 음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아날로 그음 발생부(20)를 통해 해당 전기적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PCM 저장부(70)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 중 원하는 음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날로그음 발생부(20)는 오실레이터(oscillator)를 이용하여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을 기본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음향, 즉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등의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모드 설정부(10)에 의해 특정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이 선택되면, 그에 따른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음 분석부(30)는 아날로그음 발생부(20)를 통해 생성된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으로 이루어진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의 기본 자연배음을 분석하여 상기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인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등의 뇌파 유도음향에 대한 배음값을 저장하되, 상기 삼각파형은 각 배음 배수를 모두 포함한 파형으로 각 순수파형의 위상이 합쳐져 도2a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파형은 각 배음 배수의 홀수에 해당하는 파형만 합쳐져 도2b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PCM 합성부(40)는 배음 분석부(30)에서 분석된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등에 대한 뇌파 유도음향의 배음값을 PCM 저장부(70)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PCM 저장부(70)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의 다양한 배음구조를 상기 뇌파 유도음향의 배음값에 따른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구성비율 값을 설정하여 저장한다.
상기 뇌파 저장부(50)는 배음 분석부(30)를 통해 배음값이 분석된 뇌파 유도음향을 제어 프로그램부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등의 뇌파 유도음향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부(60)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동일한 파형의 주파수로 이루어진 뇌파 유도 음향과 PCM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제어부(61), 음향 변조부(62), 템포 유지부(63) 및 패닝(panning)부(6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어부(61)는 모드 설정부(10)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된 정보를 토대로 하여 뇌파 유도음향과 PCM 음원을 뇌파 저장부(50) 및 PCM 저장부(70)로부터 불러들인 후, 음향 변조부(62)를 통해 동일한 주파수의 배음구조 및 파형구조로 변조하여 D/A 컨버터부(80)로 전송되게 제어한다.
상기 음향 변조부(62)는 제어부(61)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PCM 합성부(40)에서 설정된 뇌파 유도음향의 배음값에 따른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 정보를 토대로 하여 PCM 저장부(70)에서 불러들인 PCM 음향의 주파수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를 동일하게 변조되도록 하고, 상기 템포 유지부(63)는 음향을 출력할 때 인체의 심장이 뛰는 기본적인 템포 60bpm의 배수인 120bpm(Beats per Minute)의 빠르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뇌파 유도음향 및 PCM 음향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패닝부(64)는 동일한 파형을 출력할 때, 좌·우 스피커를 번갈아 가면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채널이 분리되게 한다.
상기 PCM 저장부(70)는 다양한 형태의 음향, 즉 MP3 음악파일, 자연의 소리 또는 사람의 음성 등의 디지털 음원을 저장하여 제어 프로그램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음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D/A 컨버터부(80)는 제어 프로그램부(60)에서 전송된 디지털 신호, 즉 뇌파 유도음향 및 상기 뇌파 유도음향과 동일한 배음구조 및 파형구조로 변조된 PCM 음향신호를 스피커부(9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부(90)로 전송한다.
상기 스피커부(90)는 동일한 배음구조 및 파형구조로 이루어진 뇌파 유도음향과 PCM 음향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뇌파유도 음향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모드 설정부(10)를 통해 다양한 뇌파 유도음향 및 PCM 음원을 선택하여 자유롭게 음악을 청취하면서 원하는 뇌파 유도파형, 즉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를 통해 집중력 강화, 깊은 휴식, 숙면 등을 유도할 수 있는 뇌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되, 뇌파 유도파형과 PCM 음원이 출력될 때, 동일한 형태의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로 이루어져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심리적으로 편안한 상태에서 원하는 음악과 뇌파 유도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모드 설정부(10)를 통해 뇌파 유도음향 중 집중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알파파를 선택하고, PCM 저장부(70)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인 특정 MP3 파일을 선택하게 되면, 아날로그음 발생부(20)의 해당 오실레이터가 작동하게 되어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을 기본으로 이루어진 뇌파 유도 아날로그 파형인 알파파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아날로그음 발생부(20)를 통해 발생된 알파파는 배음 분석부(30)에서 기본 배음이 분석되어 상기 알파파의 배음구조 및 파형구조에 대한 배음값을 저장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음 분석부(30)에서 분석된 뇌파 유도음향인 알파파의 배음값을 토대로 하여 PCM 합성부(40)는 PCM 저장부(70)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이 상기 알파파의 배음값에 따른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비율의 값을 설정한 후, 저장한다.
상기 배음 분석부(30)를 통해 배음값이 분석된 알파파는 제어 프로그램부(60)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뇌파 저장부(50)에 저장되는데, 상기 제어 프로그램부(60)의 제어부(61)는 뇌파 저장부(50)에 저장된 알파파 데이터를 불러들이고, 모드 설정부(10)를 통해 선택된 PCM 저장부(70)의 특정 MP3 음원 데이터를 불러들인 후, 음향 변조부(62)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PCM 합성부(40)에서 설정된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으로 이루어진 구성비율 값으로 MP3 음원 데이터의 음향 주파수를 변조한다.
이 때, 템포 유지부(63)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120bpm의 빠르기로 알파파와 MP3 음원이 출력될 수 있도록 타이밍을 조절하고, 패닝부(64)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알파파와 MP3 음원이 출력될 때, 좌·우 스피커를 번갈아 가면서 출력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 프로그램부(60)를 통해 동일한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로 이루어진 뇌파 유도음향인 알파파와 MP3 음원은 D/A 컨버터부(8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부(90)를 통해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음향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로 이루어진 뇌파 유도음 향과 디지털 음원을 편안한 상태에서 청취하면서 원하는 형태의 뇌파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1은 종래의 뇌파유도 발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2a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뇌파유도 음향장치를 통해 발생하는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을 도시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뇌파유도 음향장피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모드 설정부 20. 아날로그음 발생부
30. 배음 분석부 40. PCM 합성부
50. 뇌파 저장부 60. 제어 프로그램부
61. 제어부 62. 음향 변조부
63. 템포 유지부 64. 패닝부
70. PCM 저장부 80. D/A 컨버터부
90. 스피커부

Claims (3)

  1. 뇌파유도 음향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원하는 뇌파 유도 주파수와 PCM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을 선택하는 모드 설정부;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을 기본으로 한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로 이루어진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을 생성하는 아날로그음 발생부;
    상기 아날로그음 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의 기본 자연배음을 분석하여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에 대한 배음값을 저장하는 배음 분석부;
    PCM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이 상기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의 배음값에 따른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비율의 값을 설정하는 PCM 합성부;
    상기 배음 분석부를 통해 배음값이 분석된 뇌파 유도 아날로그음을 제어 프로그램부에서 인식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뇌파 저장부;
    상기 배음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뇌파 유도음향과 PCM 저장부에 저장된 PCM 음향이 동일한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출력하는 제어 프로그램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음원을 저장하여 제어 프로그램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음원을 제공하는 PCM 저장부;
    상기 제어 프로그램부에서 전송된 디지털화된 뇌파 유도음향과 PCM 음향 신 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부로 전송하는 D/A 컨버터부;
    동일한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로 이루어진 뇌파 유도음향과 PCM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유도 음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부는 PCM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을 재생함에 있어 PCM 합성부에서 설정된 뇌파 유도음향의 배음값에 따른 삼각파형 및 사각파형과 동일한 구조로 변환하여 일정한 빠르기의 템포로 뇌파 유도음향과 PCM 음원을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PCM 합성부에서 설정된 뇌파 유도음향의 배음값 정보를 토대로 하여 PCM 저장부에 저장된 PCM 음원의 음향 배음구조와 파형구조를 동일하게 변조하는 주파수 변조부;
    일정한 템포의 빠르기로 뇌파 유도음향과 PCM 음원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템포 유지부;
    좌·우 스피커로 번갈아 가면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채널이 분리되게 하는 패닝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유도 음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템포 유지부는 60bpm과 그 배수인 120bpm의 빠르기로 템포가 유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유도 음향장치.
KR1020080131007A 2008-12-22 2008-12-22 뇌파유도 음향장치 KR101071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007A KR101071199B1 (ko) 2008-12-22 2008-12-22 뇌파유도 음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007A KR101071199B1 (ko) 2008-12-22 2008-12-22 뇌파유도 음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569A true KR20100072569A (ko) 2010-07-01
KR101071199B1 KR101071199B1 (ko) 2011-10-12

Family

ID=4263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007A KR101071199B1 (ko) 2008-12-22 2008-12-22 뇌파유도 음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1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20B1 (ko) * 2013-08-02 2014-09-17 (주)다보산업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KR101496388B1 (ko) * 2013-06-25 2015-02-2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의 집중력 향상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KR200486563Y1 (ko) * 2017-11-13 2018-06-05 정승일 음향을 이용한 집중력 향상 장치 및 이를 위한 음향 출력 장치
KR20180113329A (ko) 2017-04-06 2018-10-16 김종철 공기정화용 기포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484B1 (ko) 2022-10-18 2023-06-14 이영규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516A (en) 1978-12-13 1980-10-14 Meland Bruce C Apparatus for electrophysiological stimulation
US7674224B2 (en) * 2005-10-14 2010-03-09 Vitrepixel Holdings, Llc Method for incorporating brain wave entrainment into sound produ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388B1 (ko) * 2013-06-25 2015-02-2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의 집중력 향상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KR101441820B1 (ko) * 2013-08-02 2014-09-17 (주)다보산업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KR20180113329A (ko) 2017-04-06 2018-10-16 김종철 공기정화용 기포발생장치
KR200486563Y1 (ko) * 2017-11-13 2018-06-05 정승일 음향을 이용한 집중력 향상 장치 및 이를 위한 음향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199B1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636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ducing desired states of consciousness
JP3341238B2 (ja) 振動を人体に感じさせ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71199B1 (ko) 뇌파유도 음향장치
JP6230993B2 (ja) 睡眠を誘う及び維持するデバイス
US20170182284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ound Signal
CN108310586B (zh) 一种基于音乐节奏的按摩模式控制方法与按摩器
CN104688222A (zh) 基于脑电信号的音色合成装置
KR101441820B1 (ko)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CN114099894A (zh) 脑波音频助眠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785207B (zh) 生物体刺激用信号波生成装置
US20230310792A1 (en) Systems and methodologies for performing brainwave entrainment using nested waveforms
WO2014125833A1 (ja) 低周波印加装置
CN104922805A (zh) 带音乐的声波治疗仪
CN110639112B (zh) 一种节拍音与音乐的合成方法及系统
KR20020037579A (ko) 뇌파 발생 장치
JP2735592B2 (ja) 音楽に脳波を変換する装置
US20230372662A1 (en) Stress treatment by non-invasive, patient-specific, audio-based biofeedback procedures
KR20130061698A (ko)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204516341U (zh) 一种音乐导入仪
KR20010094109A (ko)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한 학습효과 및 건강 증진에 도움이되는 정보 저장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재생 방법
KR100472720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파일의 다운로드 방법및 시스템
KR20030081771A (ko) 뇌파 유도 신호 발생장치
KR200426157Y1 (ko) 알파파 유도기능을 가지는 전기스텐드
JP3016274U (ja) スカラー波発振装置
Leslie Composing at the Border of Experimental Music and Music Experi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