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110A - Method for providing quick menu and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quick menu and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110A
KR20100072110A KR1020080122681A KR20080122681A KR20100072110A KR 20100072110 A KR20100072110 A KR 20100072110A KR 1020080122681 A KR1020080122681 A KR 1020080122681A KR 20080122681 A KR20080122681 A KR 20080122681A KR 20100072110 A KR20100072110 A KR 20100072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quick
quick menu
providing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04205B1 (en
Inventor
김현호
김현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205B1/en
Publication of KR2010007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1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2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offering quick menus offering a menu scr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with a computer are provided to output a quick menu which is set with a menu order which is frequently used by a user. CONSTITUTION: A terminal control unit(240) controls a memory unit. The terminal control unit drives a browser and a quick menu module. When the quick menu is requested, the terminal control unit comprises the quick menus set up a menu order with received menu history informa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outputs the quick menu. A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 unit(270) proces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nclud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scription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Quick Menu and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Method for Providing Quick Menu and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퀵 메뉴에 대한 요청 키 또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메뉴 이력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메뉴 순서로 설정한 퀵 메뉴를 출력함으로써,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and a system there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enters a request key or command for the quick menu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rver providing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and receives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the menu history received from the menu history server By using the information to output the quick menu set by the user's frequently used menu order, a 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that can provide a menu screen suitable for a mobile environment, and the system,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for it to read To a recording medium.

최근 들어,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 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s computers,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advanced dramaticall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have been provided. Accordingly, a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developing into a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 that transmits data such as circuit data, packet data, as well as voice servic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단말기 내에 탑재된 왑(Wap) 또는 웹(Web)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로 접속한 후 서버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다운로드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In general, in order to receive a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 a web site provided by a communication company using a Wap or Web browser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download a web page provided by the server. To the screen.

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 PC, 노트북,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기타 휴대용 디지털 기기 등에 비해 액정 화면이 작으므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한 화면에 많은 메뉴를 구성하여 출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mall LCD screen compared to a personal PC, a notebook comput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other portable digital devices, and th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output a wireless menu service by configuring many menus on one screen.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퀵 메뉴에 대한 요청 키 또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메뉴 이력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메뉴 순서로 설정한 퀵 메뉴를 출력함으로써,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nu history when a user inputs a request key or command for a quick menu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server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and receives a wireless Internet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that can provide a menu screen suitable for a mobile environment by outputting a quick menu set in a menu order frequently used by a user by using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herefor.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terminal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브라우저 및 퀵 메뉴를 제공하는 퀵 메뉴 모듈을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브라우저 및 상기 퀵 메뉴 모듈을 구동하며, 상기 퀵 메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수신된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순서를 설정한 상기 퀵 메뉴를 구성하며, 상기 퀵 메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처리하는 무선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mory device including a quick menu module for providing a quick menu and a browser for access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Controlling the memory unit to drive the browser and the quick menu module, and to configure the quick menu in which the menu order is set using the received menu history information when a request for the quick menu is requested, and the quick menu is output. A terminal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to be controlled; And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quick menu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선택한 메뉴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저장한 메뉴 이력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메뉴 이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뉴 이력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뉴 이력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generating menu history information accumulated and received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ed from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from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a menu histor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nu history server which transmits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단계; 퀵 메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대한 메뉴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메뉴 이력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순서를 설정한 상기 퀵 메뉴를 구성하며, 상기 퀵 메뉴를 출력하는 퀵 메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tep of receiv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by access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A menu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menu history information on a menu selected by a user when a request for a quick menu is made; And configuring the quick menu using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and setting a menu order, and outputting the quick menu.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전술한 바에 따라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a 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퀵 메뉴에 대한 요청 키 또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메뉴 이력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메뉴 순서로 설정한 퀵 메뉴를 출력함으로써,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nputs a request key or command for a quick menu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server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and receives a wireless internet service, the menu history server By outputting a quick menu set in a menu order frequently used by a user using menu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menu screen suitable for a mobile environment.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화면 내에 별도의 공간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가 특정 단축 키가 입력되는 경우 퀵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screen suitable for a mobile environment can be configured by providing a quick menu when a specific shortcut key is input after a separate space is not allocated within a screen receiv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 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another configuration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quick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이동통신망(120),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 및 메뉴 이력 서버(140)를 포함한다.The system for providing a quick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and a menu history server 14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20)과 연동하여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fers to a terminal that performs normal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CDMA-2000폰, WCDMA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PlayStation Portable)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includ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cellular 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phone, a hand-held PC, a CDMA-2000 phone, a WCDMA phon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PlayStation Portable (PSP) and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s.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퀵 메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수신된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순서를 설정한 퀵 메뉴를 구성하며, 퀵 메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from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an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a quick menu, configures a quick menu using the received menu history information. , To print a quick menu.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설정된 특정 단축 키가 입력받는 경우 퀵 메뉴를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정 단축 키가 재입력되는 경우 퀵 메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o output a quick menu when a specific shortcut key is input,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quick menu to disappear when a specific shortcut key is input again.

여기서, 퀵 메뉴는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되되,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서비스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서, 퀵 메뉴에 포함된 카테고리는 사용자가 자주 선택하는 메뉴 정보들의 최상위 카테고리가 될 수 있다.Here, the quick menu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tegorie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o move to a service p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ategory. For example, the category included in the quick menu may be a top category of menu information frequently selected by the user.

또한, 퀵 메뉴는 검색창 영역을 제공하되,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검색창 영역에 특정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하는 서비스 페이지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quick menu provides a search box area, b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ntrols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arch word when a specific search word is input in the search box area, and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arch word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service page is provided. Performs a function to control movement.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한 메뉴부터 순차적으로 퀵 메뉴 상에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o be sequentially placed on the quick menu starting from the menu most used by the user using menu history information.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스크립트(Script)가 지원되는 경우, 스크립트로 구현된 퀵 메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script is suppor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quick menu implemented by the script.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스크립트가 지원되지 않는 경우 별도의 퀵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separate quick menu page when the script is not supported.

이동통신망(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통신 서비스, 무선 데이터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영상 통화 또는 메시지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voice communication service, wireless data service, wireless internet service, video call or message service.

또한, 이동통신망(120)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 메뉴 이력 서버(140) 및 이동통신 단말기(11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relay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the menu history server 14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 및 메뉴 이력 서버(14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and the menu history server 14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web server in hardware. However, the software includes a program module implemented in any language such as C, C ++, Java, Visual Basic, Visual C and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 및 메뉴 이력 서버(140)는 웹서버(Web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and the menu history server 1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b server, which is typically an unspecified number of clients and / or other clients via an open computer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It refers to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server, which receives a request to perform a task of a client or another web server, derives and provides a work result thereof, and computer software (web server program) installed therefor.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상기 웹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 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Howev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web server program,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broad concept including a series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 operating on the web server and, in some cases, various databases built therein.

이러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 및 메뉴 이력 서버(14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and the menu history server 140 may be based on operating systems such as DOS, Windows, Linux, UNIX, Macintosh, and the like for general server hardware. It can be implemented by using various web server programs, and typical examples include websites used in the Windows environment, Website, Internet Information Server (IIS), and CERN, NCSA, and APPACH used in the Unix environment. Can be.

또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 및 메뉴 이력 서버(140)는 회원 가입 정보와, 사용자가 자주 선택하는 메뉴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시키고 관리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 및 메뉴 이력 서버(1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and the menu history server 140 classifies membership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menus frequently selected by the user, and stores and manages them in a database.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and the menu history server 140 may be implemented inside or outside.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 Such a database refers to a general data structure implemented in a storage system (hard disk or memory) of a computer system using a database management program (DBMS), and can freely search (extract) data, delete data, edit data, and add data. It is a data storage type that can be used, such a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s (RDBMS) such as Oracle, Infomix, Sybase, DB2, Gemston, Orion, Object-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OODBMS) such as O2 and XML Native Database such as Excelon, Tamino, Sekaiju, etc. can be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appropriate fields or elements to achieve its function.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메뉴 이력 서버(140)는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사용자가 자주 선택한 메뉴에 대한 메뉴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enu history server 14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menu history information on a menu frequently selected by a us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퀵 메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수신된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순서를 설정한 퀵 메뉴를 구성하며, 퀵 메뉴를 출력하는 것으로만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메뉴 이력 서버(140)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퀵 메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순서를 설정한 퀵 메뉴를 구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provided with a wireless Internet service, when there is a request for a quick menu, by using the received menu history information to configure a quick menu to set the menu, the quick menu It is described as only to output,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to the history of the menu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is embodiment When the server 140 requests a quick menu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server 140 configures a quick menu that sets a menu order using menu history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server 140 to be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licable.

또한, 메뉴 이력 서버(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기 설정된 특정 단축 키에 대한 키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퀵 메뉴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재수신하는 경우 퀵 메뉴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menu history server 140 controls the quick menu to be out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when a key input signal for a predetermined shortcut key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the case of receiving the key input signal again from), the quick menu may be controlled to disappear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또한, 메뉴 이력 서버(140)는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한 메뉴부터 순차적으로 퀵 메뉴 상에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menu history server 140 may control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to be sequentially placed on the quick menu starting from the menu most used by the user.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quick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메모리부(210), 표시부(220), 키 입력부(230), 단말기 제어부(240), 마이크로폰(250), 스피커(260) 및 무선통신 처리부(270) 등을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unit 210, a display unit 220, a key input unit 230, a terminal control unit 240, a microphone 250, a speaker 26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70 and the like.

메모리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구동하고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본 소프트웨어, 카메라 기능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수신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이다. 이를 위해 메모리부(210)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바이트(Byte)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블록(Block)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omory) 및 에스디램(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The memory unit 210 driv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processes a plurality of software for perform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basic software for perform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 camera function, and a messag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Storage means for storing protocol software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memory unit 210 is a non-volatile memory, and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that can modify the contents in byte units or Flash memory that can modify the contents in blocks. ) And 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dom Access Memory).

메모리부(210)는 프로그램 메모리(212), 브라우저(214) 및 퀵 메뉴 모듈(216)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210 may include a program memory 212, a browser 214, and a quick menu module 216.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212)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브라우저(214)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퀵 메뉴 모듈(216)은 퀵 메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program memory 212 i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browser 214 performs a function of accessing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the quick menu module 216 ) Serves as a quick menu.

표시부(220)는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 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며, 문자, 숫자, 이미지 등의 형태로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이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표시 수단이다. The display unit 220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cluding a power supply state, a radio wave reception intensity, a date and time, and wh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letters, numbers, and images. Screen display means for outputting this information.

키 입력부(230)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버튼과 메뉴 선택 버튼 등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 수단이다. The key input unit 230 includes a numeric button for inputting a number such as a phone number, a character button for inputting a character, a menu selection button, etc. to receive a key or a command from a user who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put means.

단말기 제어부(2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키 입력부(230) 또는 무선통신 처리부(2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기능뿐만 아니라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240)는 즉시 실행되지 않는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 데이터를 메모리부(210)로 송신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The terminal control unit 240 i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basic function for perform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3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70 In addition, various softw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210 is executed to perform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when data that is not executed immediately is input, the terminal controller 240 transmits the data to the memory 210 and stores the data.

단말기 제어부(2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240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부(240)는 메모리부(210)를 제어함으로써 브라우저(214) 및 퀵 메뉴 모듈(216)을 구동하며, 퀵 메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메뉴 이력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순서를 설정한 퀵 메뉴를 구성하며, 퀵 메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rives the browser 214 and the quick menu module 216 by controlling the memory 210, and receives a request from the menu history server 140 when there is a request for a quick menu. Configures a quick menu that sets the menu order by using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and controls to output the quick menu.

단말기 제어부(240)는 기 설정된 특정 단축 키가 입력받는 경우 퀵 메뉴를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정 단축 키가 재입력되는 경우 퀵 메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24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a quick menu to be output when a preset specific shortcut key is input,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quick menu to disappear when a specific shortcut key is input again.

여기서, 퀵 메뉴는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되되, 단말기 제어부(24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서비스 페이지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quick menu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tegories, and the terminal controller 240 controls to move to a service p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ategory.

또한, 퀵 메뉴는 검색창 영역을 제공하되, 단말기 제어부(240)는 검색창 영역에 특정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하는 서비스 페이지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quick menu provides a search box area, but the terminal controller 240 controls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arch word when a specific search word is input in the search window area, and moves to a corresponding service page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arch word is selected. Function to control as possible.

단말기 제어부(240)는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한 메뉴부터 순차적으로 퀵 메뉴 상에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240 controls to be arranged on the quick menu sequentially from the menu most used by the user using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단말기 제어부(240)는 스크립트(Script)가 지원되는 경우, 스크립트로 구현된 퀵 메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f a script is supported, the terminal controller 240 controls the output of the quick menu implemented by the script.

한편, 단말기 제어부(240)는 스크립트가 지원되지 않는 경우 별도의 퀵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terminal controller 24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separate quick menu page when the script is not supported.

마이크로폰(250)은 이동통신 가입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음성 입력 수단이다. 스피커(260)는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이다.The microphone 250 is a voice input means for converting a voice input of a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The speaker 260 is a voice output means for converting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sound and outputting the audible sound.

무선통신 처리부(270)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저 기능을 수행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기능,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변환 기능,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여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고, IF 신호를 RF 신호로 변화하며,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는 RF 신호 처리 기능, 공기 중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기능 등을 수행하여 무선통신을 처리하는 무선통신 처리 수단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or 270 encodes or decodes a voice signal, performs an equalizer function to remove multipath noise, and perform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function for performing an acoustic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conver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to a baseband signal. Baseband conversion function that performs digital-to-analog conversion and analog-to-digital conversion processing, receives RF (Radio Frequency) signal and converts it into IF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converts IF signal into RF signal, RF signal processing function for demodulating and amplifying a signal, an antenna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in the air, and the like,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means.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ntire 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탑재된 브라우저(214)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접속한다(S31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esses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using the loaded browser 214 (S31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스를 제공받는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from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메뉴 이력 서버(140)로 사용자 자주 선택한 메뉴에 대한 메뉴 이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320).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a menu history for a menu frequently selected by the user to the menu history server 140 (S320).

메뉴 이력 서버(140)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 사용자가 자주 선택한 메뉴에 대한 메뉴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330).After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from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the menu history server 140 generates menu history information on a menu frequently selecte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menu history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33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여 메뉴 이력 서버(140)로부터 메뉴 이력 정보를 수신하며, 탑재된 퀵 메뉴 모듈(216)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뉴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메뉴 순서를 설정한 퀵 메뉴를 구성한다(S34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menu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menu history server 140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menu order based on the received menu history information using the on-board quick menu module 216. Configure the quick menu set (S34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브라우저(214)가 구동된 상태에서 퀵 메뉴를 구동한다(S35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drives the quick menu while the browser 214 is driven (S350).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탑재된 브라우저(214)를 구동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41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by driving a browser 214 mounted therein to receive wireless Internet service (S41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조작에 의해 퀵 메뉴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퀵 메뉴 모듈(216)을 구동한다(S420).When a request for a quick menu is input by a user's command or manipul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drives the quick menu module 216 (S42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여 메뉴 이력 서버(140)에 접속한다(S43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esses the menu history server 140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S43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20)을 경유하여 메뉴 이력 서버(140)로부터 사용자가 자주 선택한 메뉴에 대한 메뉴 이력 정보를 수신한다(S44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menu history information on a menu frequently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menu history server 140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S44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스크립트를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5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hecks whether the script supports the script (S450).

단계 S450의 확인 결과,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탑재한 퀵 메뉴 모듈(216)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뉴 이력 정보에 근거한 메뉴 순서를 설정한 퀵 메뉴 페이지로 구성한다(S452)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450, if the script is not suppor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nfigures a quick menu page in which a menu order is set based on the received menu history information using the mounted quick menu module 216 ( S452)

한편, 단계 S450의 확인 결과, 스크립트를 지원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퀵 메뉴를 스크립트로 퀵 메뉴를 구현한다(S460).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in step S450 that the script is suppor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mplements the quick menu using the quick menu as a script (S46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탑재한 퀵 메뉴 모듈(216)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뉴 이력 정보에 근거한 메뉴 순서를 설정한 퀵 메뉴를 구성한다(S47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nfigures a quick menu in which a menu order is set based on the received menu history information using the mounted quick menu module 216 (S47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브라우저(214) 상에 퀵 메뉴를 출력한다(S480).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outputs a quick menu on the browser 214 (S48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퀵 메뉴가 종료되는 경우, 브라우저(214) 상에서 퀵 메뉴가 사라지도록 제어한다(S490).When the quick menu en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ntrols the quick menu to disappear on the browser 214 (S49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퀵 메뉴가 출력되기 전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S492).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ntinuously provides a wireless Internet service before the quick menu is output (S492).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탑재된 브라우저(214)를 구동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접속한 후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아 출력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퀵 메뉴는 화면 내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5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drives a mounted browser 214 to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and then receives and outputs a wireless Internet service. As shown in FIG. 5A, the quick menu does not occupy a separate space in the screen.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조작에 의해 퀵 메뉴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퀵 메뉴 모듈(216)을 구동하여, 도 5의 (B)와 같은 퀵 메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request for the quick menu is input by a user's command or oper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drive the quick menu module 216 to output a quick menu as shown in FIG. .

여기서, 퀵 메뉴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퀵 메뉴 영역의 일측에는 특정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 영역' 및 웹 사이트 정보를 사용자가 보다 쉽게 검색하기 위한 시각적 컨텐츠 모형을 제공하는 '사이트 맵'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quick menu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tegories as shown in (B) of FIG. 5, and on one side of the quick menu area, a user may search a 'search box area' and web site information for searching for a specific keyword. You can provide a 'site map' area that provides a visual content model for easier retrieval.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 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ll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independent hardware, each part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a modul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and the lik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stea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 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퀵 메뉴에 대한 요청 키 또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메뉴 이력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메뉴 순서로 설정한 퀵 메뉴를 출력함으로써,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분야에 적용되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화면 내에 별도의 공간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가 특정 단축 키가 입력되는 경우 퀵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nputs a request key or command for a quick menu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server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and receives a wireless Internet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from a menu history server. 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that can provide a menu screen suitable for a mobile environment by outputting the quick menu set in the order of the menu frequently used by the user using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and system,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therefor Applied to the field of recording media that can be read by, the screen suitable for the mobile environment can be configured by providing a quick menu when a specific shortcut key is input after a separate space is not allocated within the screen receiving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produces an effect.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 quick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quick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ntire 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0: 이동통신 단말기 120: 이동통신망1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130: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140: 메뉴 이력 서버140: menu history server

Claims (17)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는 브라우저 및 퀵 메뉴를 제공하는 퀵 메뉴 모듈을 포함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including a browser for access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a quick menu module for providing a quick menu;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브라우저 및 상기 퀵 메뉴 모듈을 구동하며, 상기 퀵 메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수신된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순서를 설정한 상기 퀵 메뉴를 구성하며, 상기 퀵 메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 및Controlling the memory unit to drive the browser and the quick menu module, and to configure the quick menu in which the menu order is set using the received menu history information when a request for the quick menu is requested, and the quick menu is output. A terminal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to be controlled; And 무선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처리하는 무선통신 처리부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quick menu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뉴 이력 정보는,The menu history information, 무선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정보가 누적되어 메뉴 이력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이고,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퀵 메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뉴 이력 서버로 메뉴 이력을 요청하여 상기 메뉴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enu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of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is accumulated and stored in a menu history server, and the terminal controller requests a menu history from the menu history server to receive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when a request for the quick menu is ma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quick menu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Key input unit for receiving key or command 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특정 단축 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퀵 메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quick menu,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output the quick menu when a predetermined shortcut key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The terminal control unit,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상기 특정 단축 키가 재입력되는 경우 상기 퀵 메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controlling the quick menu to disappear when the specific shortcut key is re-entered from the key input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퀵 메뉴는,The quick menu, 복수 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되되,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서비스 페이지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Comprising a plurality of categories, the terminal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quick menu,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move to the service p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ategor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퀵 메뉴는,The quick menu, 검색창 영역을 제공하되,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창 영역에 특정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검색어와 관 련된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하는 서비스 페이지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Providing a search box area, the terminal controller controls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a search word when a specific search word is input in the search window area, and to move to a corresponding service page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arch word is sel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quick menu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The terminal control unit, 상기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한 메뉴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퀵 메뉴 상에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quick menu,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sing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to be arranged on the quick menu sequentially from the most used menu by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The terminal control unit, 스크립트(Script)가 지원되는 경우, 스크립트로 구현된 상기 퀵 메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If a script is supported, the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a quick menu,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quick menu implemented by the scrip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The terminal control unit, 스크립트가 지원되지 않는 경우 별도의 퀵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a quick menu,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separate quick menu page if the script is not supported.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 및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선택한 메뉴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저장한 메뉴 이력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메뉴 이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뉴 이력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뉴 이력 서버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menu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and accumulates and stores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receives a signal requesting a menu histor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nu history server for transmitting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 quick menu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메뉴 이력 서버는,The menu history serv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퀵 메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뉴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메뉴 순서를 설정한 퀵 메뉴를 구성하며, 상기 퀵 메뉴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When the request for the quick menu from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quick menu to set the menu order based on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quick menu is controlled to be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System for providing a menu.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메뉴 이력 서버는,The menu history serv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기 설정된 특정 단축 키에 대한 키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퀵 메뉴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재수신하는 경우 상기 퀵 메뉴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When a key input signal for a predetermined shortcut key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quick menu is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key inpu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quick menu is controlled. The system for providing a quick menu,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disappear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메뉴 이력 서버는,The menu history server, 상기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한 메뉴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퀵 메뉴 상에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A system for providing a quick menu using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to control the user to be arranged on the quick menu sequentially from the most used menu.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단계;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tep of access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receiv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퀵 메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대한 메뉴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메뉴 이력 정보 수신 단계; 및A menu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menu history information on a menu selected by a user when a request for a quick menu is made; And 상기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순서를 설정한 상기 퀵 메뉴를 구성하며, 상기 퀵 메뉴를 출력하는 퀵 메뉴 출력 단계A quick menu output step of configuring the quick menu using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and setting a menu order and outputting the quick menu;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comprising a.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퀵 메뉴 출력 단계는,The quick menu output step, 상기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순서를 설정한 상기 퀵 메뉴를 구성하며, 기 설정된 특정 단축 키에 대한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퀵 메뉴를 출력하 도록 제어하는 키 입력에 따른 퀵 메뉴 출력 단계; 및A quick menu output step of configuring a quick menu by setting menu order using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o output the quick menu when an input for a predetermined specific shortcut key occurs; And 상기 특정 단축 키에 대한 재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퀵 메뉴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키 입력에 따른 퀵 메뉴 삭제 단계Deleting a quick menu according to a key input for controlling the quick menu to disappear when re-input of the specific shortcut key occur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comprising a.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퀵 메뉴 출력 단계는,The quick menu output step, 상기 메뉴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한 메뉴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기 퀵 메뉴를 구성하며, 상기 퀵 메뉴를 출력하는 퀵 메뉴 배치 및 출력 단계A quick menu layout and output step of configuring the quick menu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menu most used by the user using the menu history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quick menu.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quick menu comprising a.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KR1020080122681A 2008-12-04 2008-12-04 Method for Providing Quick Menu and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KR1013042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681A KR101304205B1 (en) 2008-12-04 2008-12-04 Method for Providing Quick Menu and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681A KR101304205B1 (en) 2008-12-04 2008-12-04 Method for Providing Quick Menu and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110A true KR20100072110A (en) 2010-06-30
KR101304205B1 KR101304205B1 (en) 2013-09-10

Family

ID=4236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681A KR101304205B1 (en) 2008-12-04 2008-12-04 Method for Providing Quick Menu and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20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3540A1 (en) * 2010-12-23 2012-06-2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ken-based classification of device information
KR101419117B1 (en) * 2012-06-29 2014-07-16 고경선 Service link system and service link method based on platform for recognizing keyword combined with categor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8346A (en) * 2006-11-02 2008-05-22 Softbank Mobile Cor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nagement server
KR100813237B1 (en) 2007-04-26 2008-03-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contents inform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3540A1 (en) * 2010-12-23 2012-06-2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ken-based classification of device information
KR101419117B1 (en) * 2012-06-29 2014-07-16 고경선 Service link system and service link method based on platform for recognizing keyword combined with categ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205B1 (en)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9203C2 (en) Flexible circuit for adjusting language model
CN103634294A (en) Information verifying method and device
CN105824958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nquiring log
CN105100141A (en) Multimedia content network sharing method, multimedia content network sharing device and multimedia content network sharing system
WO2015032249A1 (en) Method, system, device and terminal for network initialization of multimedia playing device
CN103929796A (en) Access point sharing method and device
CN103338255A (en) Cross-terminal input method, device and system
JP2012009037A (en)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personalized content
KR20100010756A (en) Method of remote control for portable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4301315A (en) Method and device for limiting information access
CN105681161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dding friend account
CN104717125A (en) Graphic code storage method and device
KR20080028265A (en) Remote hanset diagnostics
CN104618223A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6034114A (en) Multimedia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device
CN104182401A (en)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in mobile terminal browser
CN103763112A (en) User identity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8228620A (en) A kind of Word library updating method and device
CN105530222A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 among terminals, and device and system
US20120084564A1 (en) Security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point
CN103455751A (en) Password hint generation metho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CN104660769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dding contact person information
CN103383701A (en) Information retriev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CN103227832B (en) Share method for processing resource and device
US2012010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sns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