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1852A -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1852A
KR20100071852A KR1020080130703A KR20080130703A KR20100071852A KR 20100071852 A KR20100071852 A KR 20100071852A KR 1020080130703 A KR1020080130703 A KR 1020080130703A KR 20080130703 A KR20080130703 A KR 20080130703A KR 20100071852 A KR20100071852 A KR 2010007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ey
broadcast program
encryption key
encry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식
추현곤
이주영
안상우
신상권
오문균
남제호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1852A/ko
Priority to US12/555,637 priority patent/US20100158255A1/en
Publication of KR2010007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e.g. re-encrypting a decrypted video stream for redistribution in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04N21/835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using a structured language for describing usage rules of the content, e.g. 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에 있어서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암호화 키 정보 및 패키지 키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암호화 되어 저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재생 권한을 가진 사용자 또는 단말이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 키 정보와 패키지 키 정보를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또는 방송 프로그램과 별도로 저장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암호화를 위한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암호화 키가 제2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된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송 프로그램, 보호, 암호화 키, 키 정보

Description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BROADCASTING PROGRAM}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보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에 있어서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암호화 키 정보 및 패키지 키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03-02, 과제명: 지상파 DTV 방송 프로그램 보호기술개발].
최근 방송 프로그램이 불법으로 배포되고 있다. 방송 프로그램의 불법 배포는 보통 웹하드나 P2P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방송 프로그램의 불법 배포의 원인은 권한이 없는 사용자 또는 단말도 당해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가 없으면 불법 배포는 근절되지 아니할 것 이다.
불법 배포를 막기 위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 적용되고 있다. DRM은 재생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또는 단말만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 기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이 단말로 수신되어 저장되는 경우에, 당해 저장되는 방송 프로그램은 사적이용복제범위 내에서는 자유로운 녹화, 복사, 재시청 등의 이용 권한이 보장 되어야 하는 반면, 당해 방송 프로그램의 불법 배포는 제한되어야 한다.
불법 배포의 제한을 위해, 방송 프로그램을 암호화하여 저장 한 뒤,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나 단말은 암호화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복호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이용 권한이 없는 사용자나 단말은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복호화 하지 못하도록 한다.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의 표준은, 방송 프로그램의 불법 배포를 방지하기 위해서, 방송 프로그램 내에 재배포 방지를 위한 정보의 삽입 및 전송을 정의하는 재배포 제어 기술자(Redistribution Control Descriptor, RC Descriptor)를 포함한다. RC Descriptor의 구조는 아래의 [표1]과 같다.
Figure 112008087614884-PAT00001
그러나, 상기 ATSC 표준은 방송 프로그램의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정보에 해당하는 rc_information()에 대해서는 정의하고 있지 않다.
종래기술로서, RC Descriptor 내의 rc_information()에 방송 프로그램의 재배포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 및 저작권과 관련된 정보를 담기 위한 프로그램 보호 정보(Program Protection Information, PPI)를 정의하기 위한 시도가 있다. PPI는 재배포 제어 정보는 "재배포 불가," "제한적 재배포 가능," "재배포 가능" 등 재배포 허용 범위에 관한 정보와 "제한적 재배포"의 경우에 제한 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재배포 불가," 및 "제한적 재배포 가능"으로 설정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적 보호 스킴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술적인 보호 스킴은 일반적으로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암호화를 포함한다.
상기 ATSC 표준이나 PPI에 대한 표준은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 및 당해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복호화에 필요한 정보들에 대한 저장 방법에 대하여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을 정의하는 표준으로서 ISO Base Media File Format(ISO/IEC 14496-12; ISO base media file format)이 있다. 상기 표준 ISO Base Media File Format은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을 암호화된 MPEG-2 TS로 저장하는 기술을 정의하고 있다. 상기 표준 ISO Base Media File Format에 따르면, 저장된 MPEG-2 TS의 암호화 여부, 당해 방송 프로그램의 암호화 이전 포맷, MPEG IPMP(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에 기초한 방송 프로그램의 보호에 있어 필요한 정보, 방송 프로그램 보호에 이용된 스킴 타입(scheme type) 및 방송 프로그램 보호에 이용된 스킴 정보(scheme information)가 정의된다.
그러나, 상기 표준 ISO Base Media File Format은 상기 스킴 타입(scheme type)이나 스킴 정보(scheme information)를 저장하기 위한 컨테이너 박스(container box)만 정의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스킴 타입(scheme type)에 따른 스킴 정보(scheme information)의 저장 방법은 정의하고 있지 않다.
결국, 방송 프로그램의 보호를 위한 기술로서,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 및 당해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복호화에 필요한 정보들에 대한 저장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암호화 되어 저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재생 권한을 가진 사용자 또는 단말이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 키 정보와 패키지 키 정보를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또는 방송 프로그램과 별도로 저장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암호화를 위한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암호화 키가 제2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된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패키지 키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암호화를 위한 제1암호화 키를 생성하는 제1암호화 키 생성부;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부; 상기 제1암호화 키가 제2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된 패키지 키 및 상기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패키지 키 생성부; 및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상기 패키지 키 및 상기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의 보호를 위한 기술로서,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 및 당해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복호화에 필요한 정보들에 대한 저장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제2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제1암호화 키(패키지 키), 상기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가 단말에 저장됨으로써, 상기 정보들에 의해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복호화 및 재생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단말에서의 호환성 확보가 가능하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의 보호는 방송 프로그램의 암호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에 이용된 제1암호화 키는 제2암호화 키에 의해 다시 암호화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에 이용되며 제2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는 제1암호화 키는 패키지 키로 정의된다.
재생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또는 단말이 제1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당해 방송 프로그램의 암호화에 이용된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제2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제1암호화 키(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즉,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가 이용됨으로써 암호화된 제1암호화 키가 복호화된 뒤,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호화된 제1암호화 키가 이용되어 방송 프로그램이 복호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의 보호는 제1암호화 키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 암호화,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상기 제2암호화 키를 이용한 상기 제1암호화 키의 암호화(패키지 키의 생성), 상기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정보들에 의해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복호화 및 재생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단말에서의 호환성 확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지상파 DTV 방송 프로그램을 일실시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지상파 DTV 방송 프로그램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 블방송, 위성방송, 휴대이동방송, IPTV 등의 다양한 형태의 방송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201), 암호화 판정부(203), 저장부(205), 제1암호화 키 생성부(207),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부(209) 및 패키지 키 생성부(211)를 포함한다. 도1은 도2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암호화를 통하여 보호되는 방송 프로그램 저장 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201)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S101)로부터 시작된다. 다음으로, 암호화 판정부(203)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이 암호화를 통하여 보호되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암호화 없이 자유 배포가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03). 여기서, 암호화의 필요성은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의 정책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의 정책에 따라 모든 방송 프로그램이 암호화될 수도 있고, 방송 프로그램에 암호화 여부에 관한 정보가 삽입될 수도 있다. 지상파 DTV 방송의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에 PPI가 삽입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화 판정부(203)는 방송 프로그램에 삽입되어 있는 PPI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된 방송 프로 그램에 대한 암호화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암호화 판정부(203)의 판정(S103) 결과,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이 암호화 없이 자유 배포가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면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은 저장부(205)로 저장된다(S105).
한편, 암호화 판정부(203)의 판정(S103) 결과,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이 암호화를 통하여 보호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1암호화 키 생성부(207)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을 암호화하기 위한 제1암호화 키를 생성한다(S107). 제1암호화 키는 방송 프로그램에 따라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보통이며, 공지의 기술로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부(209)는 제1암호화 키 생성부(207)에 의해 생성된 제1암호화 키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 수신부(201)에 의해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을 암호화하고, 당해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부(205)에 저장한다(S109).
또한,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부(209)는 당해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이 어떻게 암호화 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인 제1암호화 키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205)에 저장한다(S111).
상기 제1암호화 키 정보는 당해 암호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정보이다. 상기 제1암호화 키 정보는 일실시예로서 다음의 [표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필드
encryption_type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에 이용된 암호화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정보.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3DES(3Data Encryption Standard), DVB-CSA(Digital Video Broadcasting-Common Scrambling Algorithm) 등 공지의 여러 암호화 알고리즘 중 어떤 것을 이용 했는지를 나타낸다.
key_length 제1암호화 키의 길이
mode 암호화 동작 모드.
CBC(Cipher Block Chaining), RCBC(Reverse Chipher Block Chaining), ECB(Electronic Code Book) 등 공지의 여러 암호화 동작 모드 중 어떤 것을 이용했는지를 나타낸다.
다시 도1 및 도2로 돌아와, 패키지 키 생성부(211)는 상기 제1암호화 키를 제2암호화 키로 암호화하여 패키지 키를 생성하여 저장부(205)에 저장한다(S113).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암호화 키의 암호화는 사적이용복제 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나 단말들이 공유하고 있는 키 즉 도메인 키를 이용하거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을 인증 받은 단말의 단말 인증 키가 이용된다. 여기서, 사적이용복제 범위는 합법적인 복사, 배포, 및/또는 이용이 가능한 범위를 의미한다. 사적이용복제 범위에 대응하는 기술적인 용어로는 도메인(Domain)이다. 도메인은 방송 프로그램의 저장, 배포 및/또는 재생이 가능한 사용자 및/또는 단말 집합을 의미한다. 즉, 도메인은 사용자 및 단말의 등록 및 인증 등의 기술적 절차를 통해 생성되며, 기술적으로 제어 가능한 사적이용복제 범위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메인 키는 상기 사적이용복제 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나 단말들이 공유하고 있는 키로 정의된다. 도메인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나 단말은 가입 및 탈퇴를 통하여 항상 가변되며, 도메인 키 또한 가변된다.
도메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암호화 키를 암호화하면 도메인 내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이용이 보장되며, 반면, 도메인 외부의 단말에 의한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 권한을 인증 받은 단말의 단말 인증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암호화 키를 암호화하면, 이용 권한이 인증된 단말에 의한 방송 프로그램 이용이 보장되며, 반면, 다른 단말에 의한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도메인 키나 단말 인증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암호화 키를 암호화하면 사적이용복제 범위 내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이용이 보장될 수 있으며 불법 배포가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키 생성부(211)는 제2암호화 키로서 도메인 키나 단말 인증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암호화 키를 암호화하여 패키지 키를 생성하여 저장부(205)에 저장한다.
한편, 단계 S113에서, 패키지 키 생성부(211)는 상기 제1암호화 키가 어떻게 암호화 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인 패키지 키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205)에 저장한다.
상기 패키지 키 정보는 당해 암호화된 제1암호화 키 즉 패키지 키를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정보이다. 상기 패키지 키 정보는 일실시예로서 다음의 [표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필드
principle_ID 도메인 ID 또는 단말 ID.
패키지 키 생성에 이용된 제2암호화 키가 도메인 키인 경우에는 도메인 ID, 단말 인증 키인 경우에는 단말 ID가 될 수 있다.
key_type 제2암호화 키가 어떤 키 인지, 즉 도메인 키 인지 단말 인증 키 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encryption_type 패키지 키 생성에 이용된 암호화 알고리즘.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3DES(3Data Encryption Standard), RSA(Rivest, Shamir, Adleman) 등 공지의 여러 암호화 알고리즘 중 어떤 것을 이용 했는지를 나타낸다.
key_length 제2암호화 키의 길이.
padding_type 패키지 키 생성에 이용된 패딩 방법.
no padding, zero padding, PKCS(Public-Key Cryptography System) padding, CTS(Cipher Text Stealing) padding 등의 여러 가지 패딩 방법 중 어떤 것을 이용했는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과 패키지 키, 패키지 키 정보, 암호화 키 정보는 하나의 파일 형태로 저장 될 수 도 있고, 각각이 별개의 독립된 파일 형태로 저장 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패키지 키 정보 및 암호화 키 정보는 바아너리(binary) 형식, 텍스트(text) 형식 또는 XML 형식으로 저장 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 저장에 관한 표준의 포맷으로는 ISO Base Media File Format, DVB-FF (Digital Video Broadcasting File Format)이 있다. ISO Base Media File Format 및 DVB-FF은 Open standard로 해당 분야에 있는 자들에게 이미 알려져 있는 내용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표준 포맷에 따르면, 당해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가 메타데이터와 별도로 저장되며, 메타데이터는 박스(Box) 단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이 ISO Base Media File Format 및 DVB-FF에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방송 프로그램은 MPEG-2 TS Reception Hint Track에, 패키지 키는 Key Message Track에, 패키지 키 정보 및 제1암호화 키 정보는 Key Message Track의 Sample Entry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키가 여러 개인 경우, 즉 제1암호화 키가 도메인 키(제2암호화 키)로 암호화되어 생성된 패키지 키 및 제1암호화 키가 단말 인증 키(제2암호화 키)로 암호화되어 생성된 패키지 키 등이 한꺼번에 저장되어 도메인 내에 존재하는 단말 및 사용자와 단말 인증 받은 단말이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키지 키가 하나인 경우에는 패키지 키 정보 및 제1암호화 키 정보가 MPEG-2 TS Reception Hint Track의 Sample Entry에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MPEG-2 TS Reception Hint Track, Key Message Track 및 Sample Entry는 ISO Base Media File Format 및 DVB-FF에서 정의된 용어로서, 해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이미 알고 있는 용어들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ISO Base Media File Format 및 DVB-FF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패키지 키 정보 및 제1암호화 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박스가 정의되어야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패키지 키 정보 저장을 위한 박스 구조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도3에 나타난 필드의 의미는 상기 [표3]에 정의된 바와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암호화 키 정보 저장을 위한 박스 구조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도4에 나타난 필드의 의미는 상기 [표2]에 정의된 바와 같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패키지 키 정보 및 암호화 키 정보가 Key Message Track의 Sample Entry에 저장되는 경우에 Sample Entry의 박스 구조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도5는 DVB-FF에서 정의된 Sample Entry 박스 구조가 변형된 코드를 나타낸다. 도5에 나타난 패키지 키 정보 및 암호화 키 정보는 일실시예로서 다음의 [표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필드
key_sample_type DVB-FF에서 정의된 필드로서, 암호화 키의 종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0xFF임.
key_sample_version DVB-FF에서 정의한 필드로서, 제1암호화 키의 버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0x01임.
uuid 제2암호화 키의 종류에 따른 ID로서, 도메인 ID 또는 단말 ID.
패키지 키 생성에 이용된 제2암호화 키가 도메인 키인 경우에는 도메인 ID, 단말 인증 키인 경우에는 단말 ID가 될 수 있다.
package_key_info 패키지 키 정보.
예를 들어 도3에서 정의된 패키지 키 정보.
control_word_info 제1암호화 키 정보.
예를 들어 도4에서 정의된 암호화 키 정보
도3 및 도4에 도시된 패키지 키 정보 및 암호화 키 정보 저장을 위한 박스 구조는 도5에 도시된 Key Message Track의 Sample Entry에서만 이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MPEG-2 TS Reception Hint Track의 Sample Entry 외의 다양한 위치에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의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패키지 키 정보 저장을 위한 박스 구조를 나타내는 코드,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암호화 키 정보 저장을 위한 박스 구조를 나타내는 코드,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패키지 키 정보 및 암호화 키 정보가 Key Message Track의 Sample Entry에 저장되는 경우에 Sample Entry의 박스 구조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Claims (20)

  1.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암호화를 위한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암호화 키가 제2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된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패키지 키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에 이용된 암호화 알고리즘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에 이용된 암호화 동작 모드 정보; 및
    상기 제1암호화 키의 길이 정보
    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암호화 키의 종류 정보;
    상기 제2암호화 키의 길이 정보;
    상기 패키지 키의 생성에 이용된 암호화 알고리즘 정보; 및
    패키지 키 생성에 이용된 패딩 정보
    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저장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XML 형태로 저장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ISO Base Media File Format에 따른 파일 포맷인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메타데이터로서 서로 별개의 박스 단위로 정의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메타데이터로서 하나의 박스 단위로 정의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11.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암호화를 위한 제1암호화 키를 생성하는 제1암호화 키 생성부;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부;
    상기 제1암호화 키가 제2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된 패키지 키 및 상기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패키지 키 생성부; 및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상기 패키지 키 및 상기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부는
    상기 제1암호화 키에 의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암호화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1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에 이용된 암호화 알고리즘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 암호화에 이용된 암호화 동작 모드 정보; 및
    상기 제1암호화 키의 길이 정보
    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암호화 키의 종류 정보;
    상기 제2암호화 키의 길이 정보;
    상기 패키지 키의 생성에 이용된 암호화 알고리즘 정보; 및
    패키지 키 생성에 이용된 패딩 정보
    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
  16.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저장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
  17.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XML 형태로 저장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
  18.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ISO Base Media File Format에 따른 파일 포맷인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메타데이터로서 서로 별개의 박스 단위로 정의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호화 키에 대한 정보 및 패키지 키에 대한 정보는
    메타데이터로서 하나의 박스 단위로 정의되는
    방송 프로그램 보호 시스템.
KR1020080130703A 2008-12-19 2008-12-19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71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703A KR20100071852A (ko) 2008-12-19 2008-12-19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및 시스템
US12/555,637 US20100158255A1 (en) 2008-12-19 2009-09-08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broadcasting pr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703A KR20100071852A (ko) 2008-12-19 2008-12-19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852A true KR20100071852A (ko) 2010-06-29

Family

ID=4226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703A KR20100071852A (ko) 2008-12-19 2008-12-19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58255A1 (ko)
KR (1) KR201000718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5647B2 (en) 2015-11-20 2021-02-09 Genetec Inc. Media streaming
JP7031510B2 (ja) * 2018-06-21 2022-03-08 船井電機株式会社 録画装置及び録画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2900A (en) * 1996-08-30 1999-04-06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US6704871B1 (en) * 1997-09-16 2004-03-09 Safenet, Inc. Cryptographic co-processor
US7007170B2 (en) * 2003-03-18 2006-02-28 Widevine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providing content viewable on a secure device
US7979886B2 (en) * 2003-10-17 2011-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ainer format for multimedia presentations
KR20070046113A (ko) * 2004-08-16 2007-05-0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58255A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0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al access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
US200901992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al access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
JP5237375B2 (ja) 著作権オブジェクトのバックアップ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0802921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and transmitting conten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rypting encrypted contents
US20070294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al access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
US20060149683A1 (en) User terminal for receiving license
US200601229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content in media systems
US8422684B2 (en) Security classes in a media key block
US200601615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nd convenient handling of cryptographic binding state information
US20060126831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adding an additional level of indirection to title key encryption
WO2009124715A1 (en) Method for preventing laundering and repackaging of multimedia content in content distribution systems
KR101394149B1 (ko) 컨텐츠 소비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US8321660B2 (en) Method and devices for reproducing encrypted content and approving reproduction
US200602186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gital rights
KR100999829B1 (ko) 디바이스들 사이의 클래스-기반 콘텐트 전달
JP5111862B2 (ja) コンテンツを再インポート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00071852A (ko) 방송 프로그램 보호 방법 및 시스템
KR100456076B1 (ko)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장치 및 보호 방법
Traw Protecting digital content within the home
WO2006006233A1 (ja) コンテンツ記録装置及び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2006201903A (ja) コンテンツ移動装置
US9740834B2 (en) Usage rights information for protected content having two parts
JP2008205586A (ja) 配信サーバ、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110071496A (ko) 사용권한 기반 녹화된 방송콘텐츠 유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