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843A -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843A
KR20100069843A KR1020080128384A KR20080128384A KR20100069843A KR 20100069843 A KR20100069843 A KR 20100069843A KR 1020080128384 A KR1020080128384 A KR 1020080128384A KR 20080128384 A KR20080128384 A KR 20080128384A KR 20100069843 A KR20100069843 A KR 20100069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jsr
software module
portable terminal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9843A/ko
Publication of KR20100069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소프트웨어 소스를 수정하여 새로 컴파일하지 않고도 특정 기능(예컨대 블루투스 기능, 3차원 그래픽 등)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휴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프트웨어, 자바, 휴대 단말기, 컴파일, JAVA, JSR

Description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OF SOFTWARE FOR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술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폰 북 관리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카메라 기능, 화상 통화 기능, 녹음 기능, 음악 파일 재생 기능, 블루투스(Bluetooth) 기능 등 다양한 옵션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는 상술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급속도로 용량이 커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 제조업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유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 제조업자는 최신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이하 베이스 단말기)에서 일부 기능을 제거한 파생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기 개발자는 개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파생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 개발자는 상기 파생 단말기의 성능 및 특정 기능의 지원 여부에 따라 상기 베이스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소스를 수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개발자는 상기 파생 단말기가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부분을 상기 베이스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소스 상에서 삭제하고 컴파일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생성해야 한다. 즉,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휴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매번 휴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소스를 수정하고 재 컴파일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에러 처리를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에러 발생 시 종래 휴대 단말기는 무한 루프에 빠지거나 락업(Lock-up)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프트웨어의 소스 수정없이 휴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만을 선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설정 기능을 활성화 하는 과정;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 설정 기능 활성화 시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의 리스트에서 활성화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소프트웨어 모듈만 활성화 되도록 설정하는 설정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만을 선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설정 기능 활성화 시 휴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모듈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소프트웨어 모듈만 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는 베이스 단말기에서 특정 기능을 제거하거나 성능을 하향 조절하여 출시하는 파생 단말기들의 사양에 따라 특정 소프트웨어 모듈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해 소프트웨어 소스를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은 휴대 단말기에서 각각의 하드웨어 모듈이 구동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카메라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카메라 구동 소프트웨어, 적외선 통신을 구동시키기 위한 적외선 통신 구동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으며, 그 밖에 통화, SMS, 블루투스(Bluetooth), 지하철 노선표, 메일, 메모 및 스케쥴러 기능 등 특정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모듈은 자바(JAVA)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JSR(Java Specification Request)"은 자바 플랫폼(Platform)에 대한 규격을 기술한 것으로, 자바 플랫폼의 표준화 절차인 JCP(Java Community Process)를 통해 결정되어진 JAVA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 대한 규격(specification)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상기 JSR은 자바 응용프로그램이 동작하는 환경을 정의한 규격이다. 이러한 JSR은 각 기능에 따라 부여된 번호를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JSR 82는 블루투스 기능, JSR 184는 3차원 그래픽 기능 을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을 의미한다. 여기서, JSR의 구조는 각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API가 모여 하나의 클래스를 형성하고, 다수의 클래스가 모여 하나의 패키지를 형성하며, 다수의 패키지가 모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JSR이 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상기 J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JSR 설정 메뉴의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입력부(140), 표시부(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하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은 소프트키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40)는 JSR 설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키스트림(Key Stream) 신호를 제어부(110)에 입력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40)는 상기 JSR 설정 기능 활성화 시 특정 JSR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선택하는 키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키스트림을 통하여 상기 JSR 설정 기능을 활성화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JSR 설정 기능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JSR 설 정 기능은 특정키를 누른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부팅하는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JSR 설정 기능의 활성화 방법은 일반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게 비공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 수단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시부(130)는 JSR 설정 기능 활성화 시 JSR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JSR들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고, 일 측에 각 JSR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체크박스(2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필수 JSR로 기 설정된 경우 개발자가 상기 필수 JSR을 비활성화 시킬 수 없도록 상기 체크박스(210)를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 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JSR 설정 메뉴 화면은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JSR 설정 메뉴 화면은 각 JSR에 포함된 패키지, 클래스, API 등을 표시하고 활성화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각 소프트웨어 모듈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2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특정 JSR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하는 JSR 설정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JSR DB(21)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JSR DB(21)는 상기 베이스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모든 JSR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JSR DB(21)는 각 JSR과 상기 각 J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설정값을 매핑하여 아래 <표 1>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명칭 설정값
JSR 82 0
JSR 184 1
.
.
.
.
.
.
.
.
JSR 177 0
상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JSR DB(21)를 나타낸 표이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JSR DB(21)는 지원 가능한 JSR 및 설정값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값은 각 JSR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값으로 "1"인 경우 활성화 상태를 의미하고, "0"인 경우 비활성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표 1>과 같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에서는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JSR 82 가 비활성화 상태이므로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는 자바 응용프로그램(이하 미들렛)을 실행할 수 없다.
한편, 상술한 설정값이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설정값이 "0"인 경우 활성화 상태를 의미하고, "1"인 경우 비활성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에서는 상기 JSR DB(21)를 각 JSR 단위로 설정값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JSR DB(21)는 특정 기능에 필요한 패키지, 클래스, API 단위로 설정값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소스의 수정없이 상기 J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선택하는 JSR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10)는 API 확인부(11), 에러처리부(12), JSR 설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JSR 설정부(13)는 상기 JSR DB(21)의 설정값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JSR 설정부(13)는 JSR 설정 기능 활성화 시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JSR들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40)를 통해 해당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지원 가능한 JSR들만 활성화 시키고, 휴대 단말기를 재부팅하면 상기 JSR 설정부(13)는 상기 JSR DB(21)의 설정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로서, 개발자는 소프트웨어 소스를 수정하고, 컴파일하여 파생 단말기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따로 개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생 단말기의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API 확인부(11)는 자바를 이용하는 자바 응용프로그램 즉, 미들렛(Midlet)이 실행될 경우 상기 미들렛이 요청하는 자바 API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API 확인부(11)는 미들렛이 특정 자바 API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요청된 자바 API가 포함된 JSR을 확인하고, 상기 JSR DB(21)에서 JSR의 설정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값이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API 확인부(11)는 상기 미들렛이 실행 불가능한 것을 판단하고, 이를 에러 처리부(12)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요청된 자바 API를 포함하는 JSR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여 미들렛의 실행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API 확인부(11)는 요청된 자바 API를 포함하는 패키지, 클래스를 확인하여 상기 미들렛의 실행 가능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에러 처리부(12)는 특정 미들렛이 요청하는 자바 API를 포함하는 JSR이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상기 미들렛이 실행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 후 상기 에러 처리부(12)는 상기 미들렛을 종료시키고, 이전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상기 에러 처리부(12)는 미들렛을 종료하고,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소프트웨어 소스를 수정하여 컴파일하지 않고도 상기 파생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JSR 기능만을 활성화 시킬 수 있어 단말기의 개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미들렛이 요청하는 자바 API를 포함하는 JSR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여 에러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예컨대 락업)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수신모듈,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신호 출력장치,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성 신호 입력 장치,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중 JSR 설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부팅이 완료된 후 S301 단계에서 대기 상태(Idle State)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S303 단계에서 키스트림(Key Stream)이 입력을 감지하면, S305 단계에서 JSR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스트림은 JSR 설정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명령어이다. 한편, JSR 설정 기능은 기 설정된 키스트림 입력 시 활성화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JSR 설정 기능은 다양한 방법으로 활성화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JSR 설정 기능은 특정키를 누른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부팅하는 경우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JSR 설정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방법은 일반 사용자에게 비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JSR 설정 기능 활성화 시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JSR들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고, 일 측에 활성화여부를 선택하는 체크박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S307 단계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JSR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신호를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S309 단계에서 설정 완료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309 단계에서 설정 완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상기 S309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S309 단계에서 설정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S31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를 재부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S307 단계에서 선택된 JSR만을 활성화하도록 상기 JSR DB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JSR 설정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부팅이 완료된 후 S401 단계에서 대기 상태(Idle State)가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S403 단계에서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자바를 이용하는 미들렛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S405 단계에서 상기 미들렛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자바 API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S407 단계에서 상기 미들렛 구동에 필요한 자바 API를 포함하는 JSR이 활성화 되었는지 상기 JSR DB의 설정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407 단계에서 상기 자바 API를 포함하는 JSR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S411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미들렛을 실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S407 단계에서 상기 자바 API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S409 단계로 진행하여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는 에러 메시지 출력 후 상기 미들렛을 종료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어부는 미들렛을 종료한 후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은 소프트웨어 소스를 수정하여 컴파일하지 않고도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JSR 기능만을 활성화 시킬 수 있어 단말기의 개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은 미들렛에 의해 요청된 자바 API를 포함하는 JSR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고, 비활성화된 경우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미들렛에 의해 요청된 자바 API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에 존재하지 않아 무한 루프에 빠지거나 단말기가 락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은 아무런 에러 메시지 없이 상기 미들렛이 실행되지 않아 사용자가 같은 시도를 반복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실행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Claims (11)

  1.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만을 선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설정 기능을 활성화 하는 과정;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 설정 기능 활성화 시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의 리스트에서 활성화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소프트웨어 모듈만 활성화 되도록 설정하는 설정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 설정 기능은
    기 설정된 키스트림 입력 시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 설정 기능은
    기 설정된 특정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를 부팅하는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 이 후
    비활성화 설정된 JSR을 이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에러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JSR(Java Specification Reque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6.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만을 선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설정 기능 활성화 시 휴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모듈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소프트웨어 모듈만 활성화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JSR(Java Specification Reque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키스트림 입력 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 설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특정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를 부팅하는 경우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 설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소프트웨어 모듈만 활성화되도록 설정한 이후 비활성화 되도록 설정된 JSR을 이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에러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6항에 있어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 소프트웨어 모듈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 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128384A 2008-12-17 2008-12-17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069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384A KR20100069843A (ko) 2008-12-17 2008-12-17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384A KR20100069843A (ko) 2008-12-17 2008-12-17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843A true KR20100069843A (ko) 2010-06-25

Family

ID=4236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384A KR20100069843A (ko) 2008-12-17 2008-12-17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98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451B1 (ko) 펌웨어 복원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633366B1 (ko)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U2010327452B2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86244B2 (en) Sound effec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plug-in unit manager and sound effect plug-in unit
US20090228868A1 (en) Batch configuration of multiple target devices
US20090228862A1 (en) Modularized integrated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s
US20140179377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program notification function and program notification method thereof
US98702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running application program
US98751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ser adaptive application in mobile terminal
CN106681749B (zh) 基于安卓平台的局部代码补丁更新方法及装置
KR100650954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의 화면을 동시에 출력하는 방법 및장치
KR20140004495A (ko) 응용프로그램의 자동 테스트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5997848B2 (ja) 移動端末リソースの処理方法、装置、クライアント側のコンピュータ、サーバ、移動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7463372B (zh) 一种数据驱动的页面更新方法和装置
JP2016502196A (ja) アプリインストール方法、アプリインストール装置、設備、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20117024A1 (en) Method for updating media database in portable terminal
KR10097466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KR20130038619A (ko) 휴대용단말기에서 응용프로그램의 제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3050936B (zh) 基于集成开发环境的前端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8209685B1 (en) Virtual machine device access
CN110874143B (zh) 传感器数据获取方法、智能终端、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1202524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output data in portable terminal
KR20100069843A (ko) 소프트웨어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20150085321A (ko) 사용자 기기의 도움말 제공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JP2018518760A (ja) アプリケーション加速方法および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