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229A -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229A
KR20100069229A KR1020080127867A KR20080127867A KR20100069229A KR 20100069229 A KR20100069229 A KR 20100069229A KR 1020080127867 A KR1020080127867 A KR 1020080127867A KR 20080127867 A KR20080127867 A KR 20080127867A KR 20100069229 A KR20100069229 A KR 20100069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cut
content
screen
space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균
양장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8012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9229A/ko
Publication of KR2010006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웹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하는 쇼트커트 관리부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0127867
컨텐츠 바로가기, 바로가기 화면, OEM 화면, 바로가기 아이콘, 쇼트커트(shortcut), 위피(WIPI) 컨텐츠

Description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HORTCUT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급증하면서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서, 단말기 사용자들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자신이 좋아하거나 필요로 하는 다양한 컨텐츠, 예컨대 VOD 서비스, 게임, 전자책(e-book) 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의 확대에 따라 단말기에서도 플랫폼이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급속히 발전했으나, 각 사업자의 별도 플랫폼에 따른 개발의 중복성, 사용자 선택권 제한 등을 해결하고자 플랫폼의 표준화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활성화 등을 위 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 인터넷 표준 플랫폼인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플랫폼을 탑재하게 되었다.
위피(WIPI)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응용 프로그램에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표준 규격을 말한다. 이러한 위피 플랫폼은 무선 인터넷 서버에서 필요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단말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해당되는 컨텐츠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에 WIPI 플랫폼이 탑재되면서 단말기 사용자들은 보다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위피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경우, 별도의 위피 다운로드 보관함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피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후에, 별도의 위피 다운로드 보관함으로 이동한 후에야 다운로드 받은 위피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위피 컨텐츠를 다운로드 시, 위피 컨텐츠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바로가기 화면(특정 제조사의 어플리케이션이 점유한 화면, OEM 화면)에 생성함으로써, 해당 위피 컨텐츠를 별도의 위피 다운로드 보관함에서 실행할 필요 없이, 바로가기 화면에서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웹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하는 쇼트커트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쇼트커트 관리부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 상기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서 기생성된 제2 바로가기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쇼트커트 관리부는, 상기 제2 바로가기 아이콘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하거나, 또는 상기 카운트 된 개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쇼트커트 관리부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체크 결과, 상기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쇼트커트 관리부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서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제1 바로가기 아이콘에 매칭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데이터 관리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컨텐츠 정보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웹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상기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서 기생성된 제2 바로가기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공간이 존재하 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바로가기 아이콘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된 개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상기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서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제1 바로가기 아이콘에 매칭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데이터 관리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 정보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피 컨텐츠를 다운로드 시, 위피 컨텐츠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바로가기 화면(특정 제조사의 어플리케이션이 점유한 화면, OEM 화면)에 생성함으로써, 해당 위피 컨텐츠를 별도의 위피 다운로드 보관함에서 실행할 필요 없이, 바로가기 화면에서 편리하게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이용하여 해당 위피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이 OEM 메뉴(바로가기 화면 내의 특정 제조사의 어플리케이션 메뉴)와 동일한 룩 앤 필(look and feel)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UI(User Interface) 측면에서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과 OEM 메뉴 간에 동기화를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 관리부(110) 및 쇼트커트 관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데이터 관리부(110) 및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휴대 단말의 OEM 계층(16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110)는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130)를 통해 웹 사이트(140)로부터 위피(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컨텐츠 정보(150)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때, 데이터 관리부(110)는 휴대 단말의 바로가기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위피 컨텐츠 정보(150)를 바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로가기 화면은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화면이라고도 하며, 특정 제조사(OEM)의 어플리케이션이 점유한 화면, 예를 들어 'A 제조사 휴대 단말의 나의 메뉴(my menu), 쇼트커트(shortcut) 화면 등'을 가리킨다.
하지만, 휴대 단말의 바로가기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관리부(110)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서 기생성된 다른 바로가기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가 삭제(바로가기 화면 편집)된 후에야 비로소, 위피 컨텐츠 정보(150)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110)는 웹 사이트(140)로부터 직접 또는 바로가기 화면 편집 후 다운로드 받은 위피 컨텐츠 정보(150)를 기록하여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위피 컨텐츠 정보(150)는 컨텐츠, 컨텐츠명, 어플리케이션 아이디(application ID), 사이즈, 제작사, 타입(type), 실행파일 위치, 아이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쇼트커트(shortcut) 관리부(120)는 데이터 관리부(110)에 의해 기록된 위피 컨텐츠 정보(150)를 이용하여, 바로가기 아이콘(shortcut icon)을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할 수 있다. 즉,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데이터 관리부(110)와 연동 하여 위피 컨텐츠 정보(150)를 리드(read) 하고, 상기 리드 된 위피 컨텐츠 정보(150)를 이용하여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기생성된 다른 바로가기 아이콘의 개수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참고로,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예를 들어 'public boolean existShortcut(String sAppID)와 같은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기생성된 다른 바로가기 아이콘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된 개수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개수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될 수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의 최대 개수를 가리킬 수 있다. 상기 기준 개수는 휴대 단말의 제조 시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또 달리 휴대 단말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카운트 된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 미만인 경우,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관리부(110)는 위피 컨텐츠 정보(150)를 다운로드 받아 기록하여 유지할 수 있다.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데이터 관리부(110)에 의해 기록된 위피 컨텐츠 정보(150)를 이용하여 바로가기 아이콘을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카운트 된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을 편집할 수 있다. 즉,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기생성된 다른 바로가기 아이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여,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을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마련/확보 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110)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확보 됨에 따라, 위피 컨텐츠 정보(150)를 다운로드 받아 기록하여 유지할 수 있다.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데이터 관리부(110)에 의해 기록된 위피 컨텐츠 정보(150)를 이용하여 바로가기 아이콘을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할 수 있다.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기)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피 컨텐츠 정보(150)를 데이터 관리부(110)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피 컨텐츠 정 보(150)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상기 추출된 위피 컨텐츠 정보(150)의 구동을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위피 컨텐츠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application ID) 등을 변수로 가지는 위피 컨텐츠 실행 함수, 즉 'public Boolean executeWipicontents(String sAppID, String args[])'를 이용하여 위피 컨텐츠 정보(150)의 구동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등록/해제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위피 컨텐츠를 별도의 위피 다운로드 보관함에서 실행할 필요 없이, 상기 바로가기 화면(OEM 쇼트커트 화면)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쇼트커트 관리부(120)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이 OEM 메뉴(바로가기 화면 내의 특정 제조사의 어플리케이션 메뉴)와 동일한 룩 앤 필(look and feel)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UI(User Interface) 측면에서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과 상기 OEM 메뉴 간에 동기화를 이룰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피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바로가기 아이콘을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210)은 왑 브라우저(WAP browser)를 구동하여 위피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웹 사이트(220)에 접속한다. 휴대 단말(210)은 사용자가 상기 접속된 웹 사이트(220)에서 위피 컨텐 츠(230)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위피 컨텐츠에 관한 정보, 즉 위피 컨텐츠 정보를 웹 사이트(220)에 다운로드 요청한다.
이때, 휴대 단말(210)은 바로가기 화면(310)에 기생성된 다른 바로가기 아이콘들이 꽉 차 있는 경우, 즉 바로가기 화면(310)에 상기 위피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생성된 다른 바로가기 아이콘들 중 하나의 바로가기 아이콘(320)을 삭제하여,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330)을 마련/확보 한다.
휴대 단말(210)은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330)이 마련됨에 따라, 웹 사이트(220)로부터 상기 다운로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위피 컨텐츠(230)에 관한 정보(위피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기록, 유지한다.
휴대 단말(210)은 상기 다운로드 받은 위피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바로가기 화면(310) 내의 공간(330)에 위피 컨텐츠(230)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41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210)은 바로가기 화면(310) 내의 바로가기 아이콘들의 위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재배열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이용하여 위피 컨텐츠를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바로가기 화면(310)에서 바로가기 아이콘(410)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은 상기 선택된 바로가기 아이콘(410)에 해당하는 위피 컨텐츠 정보를 리드(read)하고, 상기 리드된 위피 컨텐츠 정보, 예컨대 컨텐츠, 컨텐츠명, 어플리케이션 아이디(application ID), 사이즈, 제작사, 타입(type), 실행파일 위치, 아이콘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당 위피 컨텐츠(510)를 실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의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610)에서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왑 브라우저(WAP browser)를 구동하여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 위피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620)에서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로가기 화면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화면이라고도 하며, 특정 제조사(OEM)의 어플리케이션이 점유한 화면, 예를 들어 'A 제조사 휴대 단말의 나의 메뉴(my menu), 쇼트커트(shortcut) 화면 등'을 가리킨다.
이를 위해,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기생성된 다른 바로가기 아이콘들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된 개수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개수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될 수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의 최대 개수를 가리킬 수 있다. 상기 기준 개수는 휴대 단말의 제조 시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또 달리 휴대 단말의 사용 자 조작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카운트 된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 미만인 경우,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카운트 된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체크할 수 있다.
참고로,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예를 들어 'public boolean existShortcut(String sAppID)와 같은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서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S620의 "예" 방향), 단계(S640)에서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왑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웹 사이트로부터 위피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피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컨텐츠명, 어플리케이션 아이디(application ID), 사이즈, 제작사, 타입(type), 실행파일 위치, 아이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620의 "아니오" 방향), 단계(S630)에서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바로가기 화면을 편집한 후, 단계(S640)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기생성된 다른 바로가기 아이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여,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을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마련/확보 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왑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웹 사이트로부터 위피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650)에서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저장된 위피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660)에서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기)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서 (기)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670)에서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바로가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위피 컨텐츠 정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위피 컨텐츠 정보의 구동을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위피 컨텐츠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application ID) 등을 변수로 가지는 위피 컨텐츠 실행 함수, 즉 'public Boolean executeWipicontents(String sAppID, String args[])'를 이용하여 위피 컨텐츠 정보의 구동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등록/해제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위피 컨텐츠를 별도의 위피 다운로드 보관함에서 실행할 필요 없이, 상기 바로가기 화면(OEM 쇼트커트 화면)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이 OEM 메뉴(바로가기 화면 내의 특정 제조사의 어플리케이션 메뉴)와 동일한 룩 앤 필(look and feel)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UI(User Interface) 측면에서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과 상기 OEM 메뉴 간에 동기화를 이룰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피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바로가기 아이콘을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이용하여 위피 컨텐츠를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데이터 관리부
120: 쇼트커트(shortcut) 관리부
130: 왑 브라우저(WAP browser)
140: 웹 사이트
150: 위피 컨텐츠 정보
160: OEM 계층

Claims (11)

  1. 웹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하는 쇼트커트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커트 관리부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 상기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서 기생성된 제2 바로가기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커트 관리부는,
    상기 제2 바로가기 아이콘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공간이 존 재하는 것으로 체크하거나, 또는
    상기 카운트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커트 관리부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체크 결과, 상기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커트 관리부는,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서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제1 바로가기 아이콘에 매칭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데이터 관리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컨텐츠 정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웹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정보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바로가기 화면에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상기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서 기생성된 제2 바로가기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바로가기 아이콘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카운트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된 개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공간 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체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상기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가기 화면에서 상기 제1 바로가기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제1 바로가기 아이콘에 매칭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데이터 관리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컨텐츠 정보를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080127867A 2008-12-16 2008-12-16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69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867A KR20100069229A (ko) 2008-12-16 2008-12-16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867A KR20100069229A (ko) 2008-12-16 2008-12-16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229A true KR20100069229A (ko) 2010-06-24

Family

ID=4236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867A KR20100069229A (ko) 2008-12-16 2008-12-16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92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3233A (ko) * 2012-02-14 2013-08-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바탕화면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KR101487444B1 (ko) * 2012-01-26 2015-01-30 유영민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44B1 (ko) * 2012-01-26 2015-01-30 유영민 콘텐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93233A (ko) * 2012-02-14 2013-08-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바탕화면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06846B (zh) 显示界面的创建方法及装置
CN107256256B (zh) 连接到联网存储系统的本地存储器
TWI450107B (zh) 用於網路資料使用平臺之方法及電腦可讀儲存媒體
KR100864578B1 (ko)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US10915708B2 (en) Verifying the terms of use for access to a service
JP557507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101310A1 (en) Seamless access, editing, and creation of files in a web interface or mobile interface to a collaborative cloud platform
US8838728B2 (en) Method, system, apparatus, network entity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user with an editable webpage
US20120101988A1 (en)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 Information Implemented by a Mobile Phone and Application Manager
JP2014512601A (ja) テナント移行にわたるテナント・データのリカバリ
JP2011099739A (ja) 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TW200541286A (en) Execution of unverified programs in a wireless device operating environment
WO2011060735A1 (zh) 微件Widget调用的方法、装置和系统
JP201405631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制御方法
JP5124733B2 (ja) サーバ装置および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23005163A1 (zh) 应用页面的加载方法、存储介质、及其相关设备
CN101158898A (zh) 基于Java的终端系统
KR100840844B1 (ko)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검색하는 시스템및 그 개인 정보 검색 방법
KR20140121052A (ko) 어플리케이션 연관 파일 처리 단말 및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연관 파일 처리 방법
KR20100069229A (ko) 컨텐츠 바로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437322B2 (ja) データ言語中の複数の言語の管理
KR100965299B1 (ko) 모바일 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23513A (ko) 페이지 연동 기능을 구비한 웹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방법
KR20040102996A (ko) 무선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시스템 및 방법
WO2024093755A1 (zh) 文件管理方法、终端设备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527

Effective date: 201203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