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537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537A
KR20100068537A KR1020080126932A KR20080126932A KR20100068537A KR 20100068537 A KR20100068537 A KR 20100068537A KR 1020080126932 A KR1020080126932 A KR 1020080126932A KR 20080126932 A KR20080126932 A KR 20080126932A KR 20100068537 A KR20100068537 A KR 20100068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link
traffic capacity
information
network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기현
허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8537A/ko
Publication of KR2010006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분된 트래픽 용량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무선 링크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 링크 정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링크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단말의 망 환경에 빠르고 적응적으로 무선 링크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무선 링크, 트래픽 용량(Traffic volume), 셀 재선택,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결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ADIO 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트래픽 용량(Traffic volume)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시스템에서 CELL_FACH 상태의 단말은 상향링크로 전송할 데이터 양이 증가하여 트래픽 용량 보고(Traffic volume reporting) 조건을 만족할 경우,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의 전송을 통해 트래픽 용량을 서빙국으로 알린다.
이때, 단말은 타이머를 구동시켜 측정 보고의 양을 조절한다. 즉, 단말은 측정 보고를 전송한 후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이후, 단말은 상기 타이머가 소멸(expire)될 때까지 측정 보고를 전송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UTRAN(UMTS Terrestiral Radio Access Network)의 경우, 단말은 "pending time after trigger" 타이머를 이용하여 측정 보고의 양을 조절한다.
따라서, 단말은 셀을 재선택하거나, 상향링크로 전송할 데이터 양이 증가하여도 타이머가 소멸될 때까지 측정 보고를 전송하지 못한다. 이 경우, 서빙국은 단말의 트래픽 용량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단말의 트래픽 용량에 적응적으로 무선 링크를 할당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의 트래픽 용량에 따라 무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이 트래픽 용량을 단계적으로 전송하도록 트래픽 용량 구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트래픽 용량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트래픽 용량 구분 정보에 따라 트래픽 용량을 단계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트래픽 용량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분된 트래픽 용량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무선 링크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 링크 정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링크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무선 링크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은,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로부터 단계적으로 구분된 트래픽 용량 정보를 수신받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용량 정보에 따라 단말의 무선 링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트래픽 용량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기와, 트래픽 용량을 확인하는 트래픽 용량 확인부와,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분된 트래픽 용량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기를 통해 무선 링크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 링크 정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링크를 재구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분된 트래픽 용량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무선 링크를 할당하기 위한 장치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로부터 단계적으로 구분된 트래픽 용량 정보를 수신받는 수신기와, 상기 트래픽 용량 정보에 따라 단말의 무선 링크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이 단계적으로 전송한 트래픽 용량에 따라 무선 링크를 결정함으로써, 단말의 망 환경에 빠르고 적응적으로 무선 링크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단계적으로 전송한 트래픽 용량에 따라 무선 링크를 결정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무선통신시스템은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통신 망들이 혼재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다른 통신 망들이 혼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망, LTE(Long Term Evolution) 망 및 HSPA+ 망과 LTE 망이 중첩된 망이 혼재되어 구성된다.
만일, CELL_FACH 상태의 단말이 WCDMA 망에서 HSPA+ 망과 LTE 망이 중첩된 망으로 이동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트래픽 용량에 따른 무선 링크를 할당받기 위해 트래픽 용량을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에서 트래픽 용량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201단계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은 통신 망으로 다른 통신 망으로 이동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203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이 위치한 망에서 트래픽 용량을 단계별로 전송하기 위한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UTRAN(UMTS Terrestiral Radio Access Network)+ 망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SIB(System Information Block) 12를 통해 UTRAN+ 망의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은 모든 망들에 공통적일 수도 있고 망마다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확인한 후, 상기 단말은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에 따라 자신의 트래픽 용량 정보를 통신 망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에 따라 하기 <표 1>과 같이 트래픽 용량 정보를 전송한다.
트래픽 용량 정보 구분 기준
Traffic Volume Indicator 1 구분 기준 1 < Traffic Volume ≤ 구분 기준 2
Traffic Volume Indicator 2 구분 기준 2 < Traffic Volume ≤ 구분 기준 3
Traffic Volume Indicator 3 구분 기준 3 < Traffic Volume
상기 <표 1>에 따라 트래픽 용량이 구분 기준 1보다 크고 구분 기준 2 이하인 경우, 단말은 트래픽 용량 지시자 1을 전송한다. 트래픽 용량이 구분 기준 2보다 크고 구분 기준 3 이하인 경우, 단말은 트래픽 용량 지시자 2를 전송한다. 트래픽 용량이 구분 기준 3보다 큰 경우, 단말은 트래픽 용량 지시자 3을 전송한다.
성가 205단계에서 트래픽 용량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단말은 207단계로 진행하여 무선 링크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무선 링크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209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망으로부터 할당받은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링크를 재구성한다. 미 도시되었지만, 무선 링크 정보를 수신받은 후, 핸드오버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은 통신 망으로부터 할당받은 무선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트래픽 용량 정보를 단계적으로 전송하는 경우, 통신 망의 기지국은 하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트래픽 용량에 따라 무선링크를 할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무선 링크를 할당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은 301단계에서 통신 망의 트래픽 용량 구분 기준 정보를 서비스 영역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UTRAN(UMTS Terrestiral Radio Access Network)+ 망의 경우, 기지국은 SIB 12를 통해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303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로부터 트래픽 용량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트래픽 용량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305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단계적인 트래픽 용량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무선 링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UTRAN+ 망의 경우, 기지국은 트래픽 용량 지시자 1을 전송한 단말로 HSPA 망을 할당한다. 또한, 기지국은 트래픽 용량 지시자 2를 전송한 단말로 HSPA+ 망을 할당한다. 또한, 기지국은 트래픽 용량 지시자 3을 전송한 단말로 LTE 망을 할당한다.
상기 단계적인 트래픽 용량 정보에 따라 단말의 무선 링크를 결정한 후, 상기 기지국은 307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 할당한 무선 링크를 지원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UTRAN+ 망의 기지국은 HSPA 망, HSPA+ 망 및 UTRAN 망을 지원하지만, LTE 망을 지원하지 못한다.
만일, 상기 단말로 할당한 무선 링크를 지원할 수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5단계에서 결정한 무선 링크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단말로 할당한 무선 링크를 지원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5단계에서 결정한 무선 링크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 링크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313단계로 진행하여 핸드오버 요청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자신이 할당한 무선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망으로 상기 단말이 핸드오버하도록 핸드오버 요청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이하 설명은 통신 망으로부터 제공받은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에 따라 트래픽 용량을 단계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단말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듀플렉서(400), 수신기(410), 제어부(420), 트래픽 확인부(421) 및 송신기(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400)는 듀플렉싱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기(43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기(41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시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듀플렉서(400)는 송신 구간 동안 상기 송신기(43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한편, 상기 듀플렉서(400)는 수신 구간 동안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기(410)로 제공한다.
상기 수신기(410)는 상기 듀플렉서(400)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기(410)는 RF처리 모듈, 복조 모듈 및 메시지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RF처리 모듈은 상기 듀플렉서(400)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복조 모듈은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RF처리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 모듈은 상기 복조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4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단말의 통신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수신기(410)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메시지에서 확인한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에 따라 트래픽 용량을 단계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UTRAN+ 망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SIB 12를 통해 UTRAN+ 망의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구분 기준에 따라 상기 트래픽 용량 확인부(421)로부터 제공받은 트래픽 용량을 단계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수신기(410)로부터 제공받은 무선 링크 정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링크를 재구성한다. 만일, 무선 링크 정보를 수신받은 후, 핸드오버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20)는 통신 망으로부터 할당받은 무선 링크를 지원하는 다른 통신 망으로 핸드오버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트래픽 확인부(421)는 단말의 트래픽 용량을 확인한다.
상기 송신기(430)는 전송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기(430)는 메시지 생성 모듈, 변조 모듈 및 RF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시지 생성 모듈은 상기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 1>과 같은 트래픽 용량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변조 모듈은 기지국과의 통신 방식에 따라 전송 데이터 및 메시지 생성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메시지를 변조한다. 상기 RF처리 모듈은 상기 변조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트래픽 용량 확인부(42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이들 모두를 제어부(4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 상기 제어부(4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단말이 전송한 트래픽 용량에 따라 무선링크를 할당하기 위한 기지국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듀플렉서(500), 수신기(510), 제어부(520), 기준 설정부(521) 및 송신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500)는 듀플렉싱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기(53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기(51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시분할 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듀플렉서(500)는 송신 구간 동안 상기 송신기(530)로부터 제공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한편, 상기 듀플렉서(500)는 수신 구간 동안 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기(510)로 제공한다.
상기 수신기(510)는 상기 듀플렉서(500)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기(510)는 RF처리 모듈, 복조 모듈 및 메시지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RF처리 모듈은 상기 듀플렉서(500)로부터 제공받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복조 모듈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RF처리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 모듈은 상기 복조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5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하며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로 무선 링크를 할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기준 설정부(423)에서 설정한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들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수신기(510)로부터 단말의 트래픽 용량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 링크 결정부(521)를 이용하여 단말로 무선 링크를 할당한다. 만일,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무선 링크 결정부(521)에서 단말로 할당한 무선 링크를 지원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단말로 핸드오버를 지시한다.
상기 무선 링크 결정부(521)는 상기 수신기(510)로부터 제공받은 단말의 단계적인 트래픽 용량에 따라 상기 단말의 무선 링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UTRAN+ 망의 경우, 상기 무선 링크 결정부(521)는 트래픽 용량 지시자 1을 전송한 단말로 HSPA 망을 할당한다. 또한, 상기 무선 링크 결정부(521)는 트래픽 용량 지시자 2를 전송한 단말로 HSPA+ 망을 할당한다. 또한, 상기 무선 링크 결정부(521)는 트래픽 용량 지시자 3을 전송한 단말로 LTE 망을 할당한다.
상기 송신기(530)는 전송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기(530)는 메시지 생성 모듈, 변조 모듈 및 RF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시지 생성 모듈은 상기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생성 모듈은 상기 제어부(5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 링크 결정부(521)에서 각각의 단말로 할당한 무선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변조 모듈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방식에 따라 전송 데이터 및 메시지 생성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메시지를 변조한다. 상기 RF처리 모듈은 상기 변조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기준 설정부(52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이들 모두를 제어부(5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 상기 제어부(5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단말은 통신 망으로부터 제공받은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에 따라 선택한 트래픽 용량 정보를 단계별로 전송한다. 이 경우, 통신 망의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단계적인 트래픽 용량에 따라 상기 단말의 무선 링크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단말은 확인한 트래픽 용량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 망의 기지국에서 트래픽 용량에 따른 구분 기준으로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트래픽 용량을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상기 단말의 무선 링크를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에서 트래픽 용량을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무선 링크를 할당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20)

  1.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트래픽 용량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분된 트래픽 용량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무선 링크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 링크 정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링크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기준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위치한 서비스 영역을 관장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은 SIB(System Information Block) 12에서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용량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트래픽 용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구분 기준과 상기 확인한 트래픽 용량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단말이 위치한 서비스 영역을 관장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 정보를 수신받은 후, 핸드오버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 링크 정보를 통해 확인한 무선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의 무선 링크,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망의 무선 링크, HSPA+ 망의 무선 링크, UTRAN(UMTS Terrestiral Radio Access Network) 망의 무선 링크, UTRAN+ 망의 무선 링크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의 무선 링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무선 링크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로부터 단계적으로 구분된 트래픽 용량 정보를 수신받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용량 정보에 따라 단말의 무선 링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용량 정보를 수신받기 전에 서비스 영역으로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기준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SIB(System Information Block) 12를 이용하여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트래픽 용량 정보에 따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의 무선 링크,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망의 무선 링크, HSPA+ 망의 무선 링크, UTRAN(UMTS Terrestiral Radio Access Network) 망의 무선 링크, UTRAN+ 망의 무선 링크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의 무선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링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무선 링크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한 무선 링크를 지원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지원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를 지원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링크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망으로 핸드오버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무선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트래픽 용량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기와,
    트래픽 용량을 확인하는 트래픽 용량 확인부와,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분된 트래픽 용량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기를 통해 무선 링크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 링크 정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링크를 재구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분된 트래픽 용량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SIB(System Information Block) 12에서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래픽 용량 확인부에서 확인한 트래픽 용량과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의 비교 결과를 상기 단말이 위치한 서비스 영역을 관장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링크 정보를 수신받은 후, 핸드오버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무선 링크 정보를 통해 확인한 무선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무선 링크를 할당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로부터 단계적으로 구분된 트래픽 용량 정보를 수신받는 수신기와,
    상기 트래픽 용량 정보에 따라 단말의 무선 링크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서비스 영역으로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 12를 이용하여 트래픽 용량의 구분 기준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래픽 용량 정보에 따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의 무선 링크,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망의 무선 링크, HSPA+ 망의 무선 링크, UTRAN(UMTS Terrestiral Radio Access Network) 망의 무선 링크, UTRAN+ 망의 무선 링크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의 무선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링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한 단말의 무선 링크를 지원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정보와 핸드오버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장치.
KR1020080126932A 2008-12-15 2008-12-15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결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68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32A KR20100068537A (ko) 2008-12-15 2008-12-15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결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32A KR20100068537A (ko) 2008-12-15 2008-12-15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결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537A true KR20100068537A (ko) 2010-06-24

Family

ID=4236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932A KR20100068537A (ko) 2008-12-15 2008-12-15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85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8474B2 (en) Method for automatic neighbor cell relation repor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3979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terminal device capability
US7957721B2 (en) Coordinated subscriber access handling for shared network support
CN112996084B (zh) 用于lc-mtc通信ue的小区选择和重选方法及用户设备
US8112102B2 (en) Method for reading dynamic system information blocks
US8682333B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US8345594B2 (en) Method of executing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method of supporting the same
US11218945B2 (en) Access control method, terminal, and access network device
KR101424592B1 (ko) 휴대단말기의 논리적 연결 설정 방법
WO2002065807A1 (en) Coordinated subscriber access handling for shared network support
CN102549962A (zh) 用于在支持多载波时进行测量的方法和装置
KR20120031546A (ko) 휴대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장치
CN101374099A (zh) 高速数据传输方法、系统及装置
CN113545142A (zh) 一种车联网系统中的资源选取方法及其用户设备
US1195023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sidelink category,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8711778B2 (en) Wireless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76847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essages received by a device from a network
EP2991420B1 (en) Uplink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11479288B (zh) 一种小区切换方法及系统
EP3089501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KR20100068537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결정 장치 및 방법
US20180310346A1 (en) User apparatus and indication method
JP2004328394A (ja) 基地局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10115579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 메시지를 이용한 주파수간 메저먼트 보고/수신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핸드 오버 방법 및 시스템
KR101013440B1 (ko) 지에스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시 이중 전송 모드를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