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182A - 따뜻한바람이나오는선풍기 - Google Patents

따뜻한바람이나오는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182A
KR20100067182A KR1020080125639A KR20080125639A KR20100067182A KR 20100067182 A KR20100067182 A KR 20100067182A KR 1020080125639 A KR1020080125639 A KR 1020080125639A KR 20080125639 A KR20080125639 A KR 20080125639A KR 20100067182 A KR20100067182 A KR 20100067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fan
front cover
connec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혜진
Original Assignee
송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혜진 filed Critical 송혜진
Priority to KR102008012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7182A/ko
Publication of KR20100067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6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influencing fluid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H3/041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portable or mob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름에는 선풍기로 사용하고 겨울에는 복사형 전기히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히터 겸용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선풍기날개와 히터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선풍기와 복사열을 이용하는 히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겸용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선풍기, 히터

Description

따뜻한바람이나오는선풍기{warmofpropela}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선풍기는 하부에 조작키를 포함한 몸체와 그 상부로 모터와 모터축에 결합된 팬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조작키는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해 바람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또한 다수의 사람이 바람을 쐴 수 있도록 모터축에 체결된 모터 팬이 좌우로 회전하며 바람을 내 보낼 수 있도록 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시간을 설정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어 선풍기의 구동이 멈춰 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겨울철에 사용하는 히터는 몸체의 어느 일면에 화력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를 형성하고 몸체의 전면부에 함몰된 개구부를 형성하며, 이 개구부에 발열체를 설치하여 히터를 구성하였다.
또한 종래 전열선을 이용한 히터에서는 히터 본체의 전열선과 반사판만을 설치하고 있음으로서, 히터 주위에만 온기를 느낄 수 있었으며, 히터의 열을 실내 전체에 확산시킬 수 없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선풍기와 히터의 전기제품은 사용하는 계절이 지나게 되면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포장하여 창고나 베란다 등에 보관하게 된다. 이는 사계절이 뚜렷이 나눠진 나라의 경우 3∼4개월의 기간동안을 사용하기 위하
여 고가의 전기제품을 각각 구입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소비자는 가격의 부담을 느끼게 된다. 또한 보관 시에도 여름철과 겨울철이외에는 히터나 선풍기 모두 창고 등에 놓이게 되어 특히 한정된 주거 공간에서 사는 도시에서는 이로 인하여 많은 공간을 할애 해야하는 애로 사항이 발생됨은 물론 히터의 경우 열을 발산하는 공간이 협소하게 한정적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히터와 선풍기 기능을 구비한 가전제품이 제안되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 다음의 2가지를 들 수 있다.
[선풍기 겸용 전기히터: 특허출원 제10-1999-18402호]와 [히터 겸용 선풍기 : 실용신안출원 제20-2000-4706호]가 있다.
상기 선풍기 겸용 전기 히터의 구성은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케이스(1)의 전면 중앙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보스(2)가 형성되어 후면안전망(3)을 너트(4)로 분해 결합할 수 있
도록 하고, 상기 보스(2)의 중앙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모터축(5)에는 선풍기날개(6)를 너트(7)로 분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후면안전망(3)과 결합되어 상기 선풍기날개(6)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전면안전망(8)을 구비한 통상의 선풍기에 있어서, 반구면체의 반사판(9)과 외면에 전열선(11)을 권취한 발열통체(10)를 구비하여, 상기 반사판은 상기 후면안전망(3) 대신 상기 모터케이스(1)의 전면에 너트(4)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열선(11)은 선풍기에 보유하고 있는 전 기회로를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선풍기날개(6) 대신 상기 발열통체(10)를 상기 반사판(9)의 자리면에 안착시켜 상기 모터케이스(1)의 전면에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선풍기 겸용 전기 히터는 선풍기의 기능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모터축(5)에 선풍기날개(6)를 장착한 상태에서 풍속조절스위치(12)와 타이머스위치(13) 및 회전스위치(14)를 조작하여 통상적인 선풍기로 사용하게 된다.
히터의 기능으로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전면안전망(8), 선풍기날개(6) 및 후면안전망(3)을 차례로 분리시킨 다음 반사판(9) 및 발열통체(10)를 모터축(5)에 장착하고 전면안전망(8)을 장착하며 히터강약조절스위치(15)를 조절하여 발열통체(10)에 전원을 인가하여 히터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재차 선풍기로 사용하고 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전면안전망(8)과 발열통체(10) 및 반사판(9)을 분리시키고 후면안전망(3), 선풍기날개(6) 및 전면안전망(8)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사용목적을 바꿀 때마다 선풍기를
분해 조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기계에 대해 기초지식이 없는 사람의 경우에는 분해조립이 어려워 사용하기 어려웠고 설령 분해 조립하였다 할지라도 분리되어진 부품 즉, 선풍기날개(6)나 반사판(9) 및 발열통체(10)를 별도로 보관하여야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히터 겸용 선풍기(출원번호 제20-2000-4607호)가 제안되었으며 그 구성은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의 동일 축 상의 선단에 선풍기날개(6)를 부착하고 선풍기날개(6)의 후방으로 발열코일(10a)을 부설하며, 발열코일(10a)의 뒷면은 발열코일(10a)에서 발열된 열을 앞으로 복사할 수 있는 반사판(3a)을 설치하고, 하부 선풍기몸체(16)에는 히터나 선풍기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변환 스위치와, 히터와 선풍기 바람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히터강약조절스위치(12)로 구성하며, 모터축(5)에 결합되는 선풍기날개(6)는 발열코일(10a)의 열을 견딜 수 있으면서 고속회전에도 지장이 없는 경금속을 사용하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히터 겸용 선풍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되어진다.
여름철에 선풍기로서 사용할 때에는 변환 스위치를 선풍기 위치에 놓고 선풍기의 풍속을 조절하는 풍속조절스위치(12)를 사용자 취향에 맞는 세기로 맞추어 바람을 일으키도록 하고 다수의 인원이 있을 경우에는 선풍기를 선회시키는선회작동스위치(14)를 눌러 사용한다.
또한, 겨울철에 히터로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변환 스위치를 히터 또는 동시 사용에 맞추어 사용하며 풍속조절스위치(12)는 발열코일(10a)의 강약 및 선풍기날개(6)의 회전 속도를 동시에 조절하는데 사용되고, 변환 스위치를 히터
위치에 맞추었을 경우에는 선풍기날개(6)는 회전하지 않으며, 발열코일(10a)만이 발열을 하게 되어 발열코일(10a)후방의 반사판(3a)이 발열코일(10a)에서 발생한 열을 전방으로 복사하여 발산하게 된다. 그리고 변환 스위치를 동시 사용에 맞추었을 경우에는 발열코일(10a)의 발열과 선풍기날개(6)의 회전이 동시에 작동하게 되어 발열코일(10a)에서 발생한 열이 반사판(3a)을 통해 전방으로 복사됨은 물론 선풍기날개(6)의 작동에 의해따뜻해진 공기를 강제로 송풍하게 되고, 반사판(3a)에 형성된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함과 아울러 발열코일(3a)에서 계속적으로 공기를 데우며 전방으로 보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히터 겸용 선풍기는 종래의 분해 조립해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선풍기날개(6)를 모터축(5)에 장착함에 있어서 모터축(5)을 발열코일(10a)의 크기만큼 길게 형성하여야 하고, 모터축(5)이 길어짐으로써 모터축(5)이 회전할 때에 모터축끝단이 떨리게 되어 선풍기날개(6)가 회전할 때에 소음이 발생하였다.
또한, 반사판(3a)에는 흡입구(3b)가 뚫려져 형성된 것으로 반사되는 면적이 그만큼 적어져 충분히 반사시키지 못하고 복사열이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어 지는 폐단이 지적되었고, 발열코일(10a)이 모터의 직전에 장착되어 지는것으로 발열코일(10a)에서 발생되는 열이 모터에 전도되어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여름에는 선풍기로 사용하고 겨울에는 복사형 전기히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히터 겸용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선풍기날개와 히터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선풍기와 복사열을 이용하는 히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 겸용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국내의 거의 모든 가정에 한 개 내지 두개이상 보유하고 있는 일반적인 선풍기는 여름에만 사용하고 봄과 가을과 겨울철에는 창고에 보관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름철에는 선풍기로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방치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여 통상적인 선풍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겨울철에는 전기히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선풍기 전면커버의 내측에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
면커버와 후면커버의 테두리에 전원접속수단을 구비하여 히터의 장탈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히터 겸용 선풍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선풍기에 있어서, 모터케이스의 전방에 후면안전망을 장착하고 모터축에 반사판 겸용 선풍기날
개를 장착하며 전면안전망의 내측에는 발열통체를 장착하여서 선풍기와 히터의 기능을 동시에 갖추도록 한 히터 겸
용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풍기날개는 모터축의 원심력에 의해 선풍기날개조립체에 장착된 각각의 날개가 스스로 회
전하여 프로펠러형태로 변형되도록 하고 모터축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에는 접시안테나 형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히
터 겸용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열통체에서 발열되어진 열기를 전방으로 불어 낼 수 있도록 하여 온풍기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 겸용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절 및 사용목적에 상관없이 선풍기를 임의로 분해하거나 조립하지 않도록 하는 히터 겸
용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축의 길이는 종래의 선풍기에 장착되어진 모터축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하여 종래에 제
조되어지는 선풍기를 설계변경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 겸용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은,
모터케이스의 전방에 전·후면안전망이 장착되어지고 모터케이스에 장착되어진 모터의 모터축에 선풍기날개를 장착
하며 모터케이스는 선풍기몸체에 의해 지지되고 선풍기몸체의 베이스에는 풍속조절스위치, 선회작동스위치 및 히터
의 강약조절스위치를 구비한 선풍기에 있어서,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전원 결속작업 없이 원터치에 의하여 전원의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계절에 따라 온풍기와 선
풍기로의 선택사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면커버의 결속이 원터치에 의하여 결속된 전원접속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 므로 전면커버의 교체를 용이하고 신
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에 계절에 따라 히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히터차단부를 구비하므로서 하절기의 히터 작동 또는 히터
의 탈착시 히터탈착부로 인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면커버에 히터를 구비하여 계절에 따라 용이하게 열풍기와 선풍기로 선택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선
풍기 전면커버(51)의 내측에 히터(11)를 구비하고, 전면커버(51)와 후면커버(52)의 테두리에 상기 히터(11)로의 전
원 공급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전원접속수단을 구비하며, 하부 좌대(55)에 모터와 히터(11)의 동작 제어를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원접속수단은 접속돌기(21)와 접속구(22)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접속돌기(21)의
단부에는 접속단(21a)을 돌출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접속구(22)에는 접속홈(22a)을 형성함과 더불어 그 저면에는
탄성몰입되는 접속편(22b)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히터(11)는 착탈수단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착탈수단은 전면커
버(51)의 전방에서 히터(11)의 몸체와 나사 결속되는 고정볼트(12)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면커버(51)와 후면커버(52)의 결선은 보호망을 겸하며 관체로 이루어진 전선배관(51a,52a)을 통하여
결선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송풍스위치(41)와 머리부(53)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스위치(42)
와 히터(11)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히터스위치(43)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5) 및 상기 온도센서(4
5)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하절기 온도일 경우 히터(11)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히터차단부(44)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전면커버(51)가 전원접속수단의 접속과 함께 결속될 수 있게 상기 전면커버(5
1)의 상단에는 후면커버(52)의 상단에 걸려구속되는 걸림고리(52b)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접속수단의 접속돌기(21)
와 접속구(22) 중 일측 부재에는 측면으로 탄성 돌출되는 걸림돌기(31)를 형성하고, 다른 부재에는 상기 걸림돌기(3
1)를 구속할 수 있게 걸림턱(32)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접속돌기(21)에 걸림돌기(31)를
형성하고, 접속구(22)에 걸림턱(32)을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32)에 구속된 걸림돌
기(31)의 구속상태 해재를 위하여 상기 걸림턱(32)이 형성된 부재에 결속해제버튼(33)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
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전면커버(51)에 결속되는 히터(11)의 후방에 상기 히터(11)에서 후방으로 발산되는 복
사열을 전면으로 반사시킬 수 있게한 반사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반사수단의 일 실시예로는 히
터(11)의 후면에 고정설치되어 후방으로 발산되는 복사열을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체(13)로 구성하여 실시하거나,
날개의 전면에 반사층을 형성한 송풍팬(54)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반사수단을 반사체(13)로 실시함에 있어서 송풍팬(54)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가 히터(11)에 작용될 수 있게 상기 반사체(13)에 다수의 송풍공(
13a)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커버(51)의 내측에 히터(11)를 구비하고, 상기 히터(11)로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접속수단을
전면커버(51)와 후면커버(52)의 접촉부 사이에 구비한 본 고안은 제어부의 히터스위치(43)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송
풍스위치(41)로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므로 송풍된 공기가 히터(11)에 의하여 송풍되므로 사용자가 온풍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온풍기로 사용하는 과정에 있어 계절이 바뀌어 주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온도센서(45)에
의하여 동작되는 히터차단부(44)를 동작하여 히터(11)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므로서 온도가 상승된 하절기에는 히터
스위치(43)를 동작시켜도 히터(11)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열풍이 아니 냉풍이 송풍되는 선풍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절기에 히터(11)가 구비된 전면커버(51)를 히터가 구비되지 않은 전면커버(51)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
호 결속되어 있는 전원결속수단의 접속구(22)에 구비된 결속해제버튼(33)을 눌러 걸림턱(32)에 걸려있는 걸림돌기(
31)를 탄성 몰입시킨다. 이상과 같이 결속해제버튼(33)에 의하여 탄성몰입된 걸림돌기(31)의 결속상태가 해제되므로
서 전원의 접속상태가 해제되고 전면커버(51)의 결속상태도 해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커버(51)의 결속상태와 전원의 접속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전면커버(51)를 들어 후면커버(5
2)의 상단에 걸려진 걸림고리(51b)를 들어 주므로서 히터가 구비된 전면커버(51)를 탈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히터(11)가 구비된 전면커버(51)를 착탈한 상태에서 히터(11)가 구비되지 않은 전면커버(51)의 상단에 구비된
걸림고리(51b)가 후면커버(52)의 상단에 걸려지게 한 상태에서 하단의 접속돌기(21)를 접속구(22)에 끼워 결합하면
상기 접속돌기(21)에 구비된 걸림돌기(31)가 접속구(22)의 걸림턱(32)에 걸려지므로 전면커버(51)가 후면커버(52)
에 견고하게 결속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면커버(51)에 구비된 히터(11)가 착탈수단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전면에서 나사 결합
되어 히터(11)를 전면커버(51)에 결속시키는 고정볼트(12)를 나해하여 주므로서 별도의 전면커버(51)를 구비하지
않고 히터(11) 만을 탈착한 후 전면커버(51)를 재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면커버의 전개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주요구성 평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접속수단의 상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접속수단의 상세 평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히터 12 : 고정볼트
13 : 반사체 13a: 송풍공
21 : 접속돌기 21a: 접속단
22 : 접속구 22a : 접속홈 22b: 접속편
31 : 걸림돌기 32 : 걸림턱 33 : 결속해제버튼
41 : 송풍스위치 42 : 풍향스위치 43 : 히터스위치
44 : 히터차단부 45 : 온도센서
51 : 전면커버 51b: 걸림고리
52 : 후면커버 51a,52a : 전선관로
53 : 머리부 54 : 송풍팬 55 : 좌대

Claims (5)

  1. 선풍기 전면커버(51)의 내측에 히터(11)를 구비하고, 전면커버(51)와 후면커버(52)의 테두리에 상기 히터(11)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전원접속수단을 구비하며, 하부 좌대(55)에 모터와 히터(11)의 동작 제어를 위한 다수
    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전원접속수단은 접속돌기(21)와 접속구(2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겸용 선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11)는 착탈수단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전면커버(51)와 후면커버(52)의 결선은 보호망을 겸하며 관체로 이루어진 전선배관(51a,52a)을 통하여 결선되
    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겸용 선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송풍스위치(41)와 머리부(53)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스위치(42)와 히터
    (11)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히터스위치(43)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5) 및 상기 온도센서(45)로부
    터 감지된 온도가 하절기 온도일 경우 히터(11)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히터차단부(4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히터 겸용 선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51)가 전원접속수단의 접속과 함께 결속될 수 있게 상기 전면커버(51)의 상단에는 후면커버(52)의 상
    단에 걸려구속되는 걸림고리(52b)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접속수단의 접속돌기(21)와 접속구(22) 중 일측 부재에는
    측면으로 탄성돌출되는 걸림돌기(31)를 형성하고, 다른 부재에는 상기 걸림돌기(31)를 구속할 수 있게 걸림턱(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겸용 선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11)에서 후방으로 발산되는 복사열을 전면으로 반사시킬 수 있게 한 반 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겸용 선풍기.
KR1020080125639A 2008-12-11 2008-12-11 따뜻한바람이나오는선풍기 KR20100067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639A KR20100067182A (ko) 2008-12-11 2008-12-11 따뜻한바람이나오는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639A KR20100067182A (ko) 2008-12-11 2008-12-11 따뜻한바람이나오는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182A true KR20100067182A (ko) 2010-06-21

Family

ID=4236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639A KR20100067182A (ko) 2008-12-11 2008-12-11 따뜻한바람이나오는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71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20097S1 (en) Small tower fan and pedestal stand
JP6053906B1 (ja) ヘアドライヤー
KR20090069420A (ko) 따뜻한바람이나오는선풍기
WO2007134535A1 (fr) Sèche-cheveux à soufflement double, sélectif
KR20110001716U (ko) 구조개선된 이동형 소형 히터
KR20100067182A (ko) 따뜻한바람이나오는선풍기
KR20100068117A (ko) 따뜻한바람이나오는선풍기
CN205493586U (zh) 烹饪锅具
KR200248890Y1 (ko) 히터 겸용 선풍기
KR200442152Y1 (ko) 온풍 겸용 선풍기
CN201003853Y (zh) 一种改进的暖风机
US6324340B1 (en) Combined electric fan and radiation heater
KR200382263Y1 (ko) 벽걸이용 헤어 드라이기
KR100382700B1 (ko) 히터 겸용 선풍기
WO2003078846A1 (fr) Ventilateur pouvant également servir de chauffage
CN110262843A (zh) 电力工具激活控制系统和方法
CN206651750U (zh) 空气炸锅
KR200449052Y1 (ko) 축사용 천장형 히터
CN108800279A (zh) 一种暖风机
US9599367B1 (en) Portable battery operated heater
CN114352560A (zh) 塔扇
KR200194145Y1 (ko) 히터 겸용 선풍기
KR101175012B1 (ko) 실외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육추기
CN106016427A (zh) 温室型暖风机
GB2450308A (en) Fan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