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609A -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66609A KR20100066609A KR1020080124974A KR20080124974A KR20100066609A KR 20100066609 A KR20100066609 A KR 20100066609A KR 1020080124974 A KR1020080124974 A KR 1020080124974A KR 20080124974 A KR20080124974 A KR 20080124974A KR 20100066609 A KR20100066609 A KR 201000666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oth
- seawater
- mixed
- water
- se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40000002834 Paulownia tomentos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0678 Paulownia tomentos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71 till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WDYCNIAQWPBHD-UHFFFAOYSA-N 1-(2-methylphenyl)glycerol Chemical compound CC1=CC=CC=C1OCC(O)CO JWDYCNIAQWPBH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7 Arthrocnemum glau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522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1895 Salicor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47339 Salicornia brachystachy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042 Salicornia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43 digestive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549 dyspe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685 gastrointestinal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83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169 kidne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5 sal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26 seed g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퉁퉁마디 종자를 발아시켜 파종함으로써 발아율을 높이고 파종 후 재배지의 수분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발아 및 생장기간을 단축시켜 경작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은, 퉁퉁마디 종자를 해수와 육수를 혼합한 혼합수에 침지시켜 발아시키는 침지발아단계와, 발아된 종자를 해수물 투입 후 배수시킨 재배지에 파종하는 파종단계와, 파종 후 재배지에 육수 또는 해수를 급수하거나 육수와 해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급수시킨 후 배수시키는 급수관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퉁퉁마디, 재배
Description
본 발명은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퉁퉁마디 종자를 발아시켜 파종함으로써 발아율을 높이고 파종 후 재배지의 수분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발아 및 생장기간을 단축시켜 경작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퉁퉁마디(一名: 함초, 學名 : Salicornia herbacea, 英名 : glasswort)는 우리나라 서해안 개펄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염생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바닷물과 가까운 개펄이나 염전 주위에 무리 지어 분포되어 있다. 퉁퉁마디는 염생식물로서 염분이 많은 재배지에서 자생하며, 4-5월경에 싹이 나서 성장하여 7-8월경에 진한 녹색으로 변하면서 다 자란 후, 9월경에 꽃이 피기 시작하여 꽃이 진 후 다육성 줄기 안쪽에 씨앗이 맺히는 1년생 식물이다.
퉁퉁마디는 맛이 몹시 짜며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염분을 흡수하면서 자라는 식물로서, 나트륨을 비롯하여,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 인 등 갖가지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유럽에서는 퉁퉁마디의 어린줄기로 샐러드를 만들어 먹기도 하고, 일본에서는 퉁퉁마디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 로 그 가치가 확인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퉁퉁마디를 약초나 식품으로 쓴 기록은 없지만,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이 드물게 나물로 무쳐 먹기도 하였고, 또한 민간에서 봄철에 몸이 나른하고 밥맛이 없을 때 퉁퉁마디 나물을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밥맛이 좋아진다는 얘기가 전해지며, 또 황해도 지방에서는 퉁퉁마디를 소화불량, 위장병, 간염, 신장병 등에 약으로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퉁퉁마디의 효용가치가 알려지면서 그 수요가 커지므로, 더 이상 자연채취방법으로는 이를 충당할 수 없어 퉁퉁마디를 작물화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재배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15933호에는 최적화된 재배지에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하여 파종 후 종자 수확 전까지 급수, 배수관리, 잡초제거 등 퉁퉁마디 성장을 관리하여 수확하는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재배지에 퉁퉁마디 종자를 직접 파종하여 재배하는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은 파종 후 재배지의 수분이 마르지 않도록 촉촉하게 유지되도록 관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종자 발아에 큰 장애를 받아 퉁퉁마디 발아가 저조하기 때문에 파종 후 재배지의 수분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단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발아가 재배지에 파종된 후에 이루어짐으로써 발아 및 생장에 장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자를 발아 시켜 파종함으로써 종자의 발아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종 후 종자의 발아를 위해 수분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고, 발아 및 생장기간을 단축시켜 경작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은, 퉁퉁마디 종자를 해수와 육수를 혼합한 혼합수에 침지시켜 발아시키는 침지발아단계와, 발아된 종자를 해수물 투입 후 배수시킨 재배지에 파종하는 파종단계와, 파종 후 재배지에 육수 또는 해수를 급수하거나 육수와 해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급수시킨 후 배수시키는 급수관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은, 침지발다단계에 사용되는 혼 합수는 육수와 해수가 8:2 내지 5:5 중량비(육수:해수)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은, 상기 침지발아단계는 37℃ 내지 42℃의 혼합수에 퉁퉁마디 종자를 72시간 내지 96시간 침지시켜 발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은, 상기 급수관리단계는 육수 또는 육수와 해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급수하여 배수시키는 육수투입과정과, 육수투입과정을 거친후 해수를 급수하여 배수시키는 해수투입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은, 상기 급수관리단계의 육수투입과정 및 해수투입과정은 육수나 혼합수 또는 해수를 급수하여 재배지를 3일간 침수시킨 다음 배수하는 것을 복수회 반복하되, 배수 후 다음 급수는 18일 경과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은, 퉁퉁마디 종자를 발아 시켜 파종함으로써 종자의 발아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종 후 종자의 발아를 위해 수분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고, 발아 및 생장기간을 단축시켜 경작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퉁퉁마디의 재배 방 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퉁퉁마디 재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은 침지발아단계(S10), 파종단계(S20), 급수관리단계(S30) 및 수확단계(S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침지발아단계(S10)
① 혼합수의 제조 : 해수와 육수를 3:7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수를 제조한다. 상기 해수로는 천일염을 육수에 적정한 농도(해수의 염분 농도)가 되게 용해시켜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② 침지 및 발아 : 상기 혼합수에 퉁퉁마디 종자를 72시간 내지 96시간 침지시켜 퉁퉁마디 종자를 발아시킨다. 이때 상기 혼합수의 온도는 37℃ 내지 42℃의 온도로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퉁퉁마디 종자가 침지되어 발아되는 과정 중 상기 혼합수의 내부로는 공기(산소)를 산기시켜 산소를 공급한다.
③ 건조 : 발아가 된 퉁퉁마디 종자를 혼합수로부터 건져내 24시간 정도 음지에서 건조시킨다.
2. 파종단계(S20,S21)
① 재배지의 조성 : 파종을 위한 재배지에 해수를 급수하여 3일간 침수시킨 후 배수시킨다. 배수 후 3일 내지 7일간 재배지를 건조시킨다. 건조된 재배지는 경작을 위해 로터리 작업을 하고 배수가 잘 되도록 고랑을 형성한다.
② 파종 : 조성된 재배지에 발아된 퉁퉁마디 종자를 파종한다.
3. 급수관리단계(S30,S31,S32)
파종 후 재배지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도록 파종 후 곧바로 재배지에 육수 또는 해수를 급수하거나 육수와 해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급수시킨 후 배수시키는 것을 반복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급수관리단계(S30)가 육수투입과정(S31)과 해수투입과정(S32)를 포함하여 구성된 실시예이다.
① 육수투입과정 : 파종 후 곧바로 육수를 재배지에 급수하여 배수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즉, 육수를 재배지에 급수하여 재배지를 3일간 침수시킨 다음 배수하고, 18일 경과 후 다시 육수를 급수한다. 상기와 같은 육수의 급수 및 배수는 3회정도가 적당하다. 본 발명은 침지발아 후 파종을 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은 육수투입과정을 통해 퉁퉁마디는 성장속도가 빨라져 경작횟수(전라남도 신안지역에서 실험결과 3모작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음)를 증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육수투입과정을 거치면서 성장된 퉁퉁마디가 부드러운 섬유질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해수를 투입하여 재배된 퉁퉁마디에 비하여 저염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육수투입과정은 순수한 육수만을 급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염도를 확보되도록 육수와 해수가 7:3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수를 급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② 해수투입과정 : 육수투입과정을 거친후 해수를 급수하여 배수시키는 과정 이다. 즉, 육수투입과정을 거친후 해수를 재배지에 급수하여 재배지를 3일간 침수시킨 다음 배수하고, 18일 경과 후 다시 해수를 급수한다. 상기와 같은 육수의 급수 및 배수는 2회정도가 적당하다. 상기와 같은 해수투입과정을 거침으로써 병해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수에 함유된 미네랄 성분을 퉁퉁마디가 성장하면서 흡수하게 된다.
4. 수확단계(S40)
상기와 같은 급수관리단계를 거쳐 재배된 퉁퉁마디를 수확하는 단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퉁퉁마디 재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5)
- 퉁퉁마디 종자를 해수와 육수를 혼합한 혼합수에 침지시켜 발아시키는 침지발아단계와,발아된 종자를 해수물 투입 후 배수시킨 재배지에 파종하는 파종단계와,파종 후 재배지에 육수 또는 해수를 급수하거나 육수와 해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급수시킨 후 배수시키는 급수관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침지발다단계에 사용되는 혼합수는 육수와 해수가 8:2 내지 5:5 중량비(육수:해수)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침지발아단계는 37℃ 내지 42℃의 혼합수에 퉁퉁마디 종자를 72시간 내지 96시간 침지시켜 발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급수관리단계는 육수 또는 육수와 해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급수하여 배수시키는 육수투입과정과, 육수투입과정을 거친후 해수를 급수하여 배수시키는 해 수투입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급수관리단계의 육수투입과정 및 해수투입과정은 육수나 혼합수 또는 해수를 급수하여 재배지를 3일간 침수시킨 다음 배수하는 것을 복수회 반복하되,배수 후 다음 급수는 18일 경과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974A KR20100066609A (ko) | 2008-12-10 | 2008-12-10 |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974A KR20100066609A (ko) | 2008-12-10 | 2008-12-10 |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6609A true KR20100066609A (ko) | 2010-06-18 |
Family
ID=4236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4974A KR20100066609A (ko) | 2008-12-10 | 2008-12-10 |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66609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6423B1 (ko) * | 2010-12-02 | 2011-05-23 | 김현철 | 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
CN103265345A (zh) * | 2013-05-15 | 2013-08-28 | 天津师范大学 | 一种采用污泥稀土混合浸种液调控高羊茅抗旱性的方法 |
CN103265358A (zh) * | 2013-05-15 | 2013-08-28 | 天津师范大学 | 污泥稀土混合浸种液提高盐胁迫高羊茅保护酶活性的方法 |
CN103270868A (zh) * | 2013-05-15 | 2013-09-04 | 天津师范大学 | 一种采用污泥稀土混合浸种液提高高羊茅耐盐性的方法 |
CN103843649A (zh) * | 2012-11-30 | 2014-06-11 | 赵百华 | 松柳苗栽培技术 |
CN104335805A (zh) * | 2013-05-15 | 2015-02-11 | 天津师范大学 | 一种污泥混合浸种液调节暑热环境高羊茅生长的方法 |
KR20170021669A (ko) * | 2015-08-18 | 2017-02-28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퉁퉁마디 종자의 발아율 향상을 위한 종자처리방법 |
WO2018110798A1 (ko) * | 2016-12-14 | 2018-06-21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백산 | 염생식물의 대량 생산방법 |
-
2008
- 2008-12-10 KR KR1020080124974A patent/KR20100066609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6423B1 (ko) * | 2010-12-02 | 2011-05-23 | 김현철 | 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
CN103843649A (zh) * | 2012-11-30 | 2014-06-11 | 赵百华 | 松柳苗栽培技术 |
CN103265345A (zh) * | 2013-05-15 | 2013-08-28 | 天津师范大学 | 一种采用污泥稀土混合浸种液调控高羊茅抗旱性的方法 |
CN103265358A (zh) * | 2013-05-15 | 2013-08-28 | 天津师范大学 | 污泥稀土混合浸种液提高盐胁迫高羊茅保护酶活性的方法 |
CN103270868A (zh) * | 2013-05-15 | 2013-09-04 | 天津师范大学 | 一种采用污泥稀土混合浸种液提高高羊茅耐盐性的方法 |
CN104335805A (zh) * | 2013-05-15 | 2015-02-11 | 天津师范大学 | 一种污泥混合浸种液调节暑热环境高羊茅生长的方法 |
KR20170021669A (ko) * | 2015-08-18 | 2017-02-28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퉁퉁마디 종자의 발아율 향상을 위한 종자처리방법 |
WO2018110798A1 (ko) * | 2016-12-14 | 2018-06-21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백산 | 염생식물의 대량 생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66609A (ko) | 퉁퉁마디의 재배 방법 | |
CN105494005A (zh) | 一种茶油树植苗造林的丰产栽培方法 | |
JP2011234704A (ja) | 杜仲木の種子の発芽と苗木の各種定植と杜仲葉の活用 | |
CN103392475A (zh) | 甜玉米抗倒伏育苗及栽培方法 | |
CN106888900A (zh) | 一种油茶成林丰产的栽培方法 | |
CN104041315A (zh) | 一种慈姑的栽植方法 | |
CN103703983A (zh) | 一种黄皮果树的培育方法 | |
CN107896863A (zh) | 一种辣椒的培育方法 | |
CN105766327A (zh) | 一种油茶栽培方法 | |
CN104770110B (zh) | 无需假植的育越冬辣椒苗法 | |
CN104472134A (zh) | 魔芋杂交种子标准化种植方法 | |
CN104255265A (zh) | 一种大棚辣椒高产的种植方法 | |
CN103947412A (zh) | 盆栽豌豆的栽种方法 | |
CN106993449A (zh) | 一种玉米套种荷兰豆的方法 | |
CN106962107A (zh) | 一种油茶的种植方法 | |
CN105766393A (zh) | 桂花树苗的培育方法 | |
CN111903443A (zh) | 一种蒲公英的栽培方法 | |
CN105494017A (zh) | 一种利用苗木侧枝提高扦插繁殖系数的方法 | |
KR100415933B1 (ko) | 퉁퉁마디의 재배방법 | |
CN109328846A (zh) | 一种桃子种植方法 | |
CN107889698A (zh) | 一种辣椒与小白菜间作的种植方式 | |
CN107750841A (zh) | 一种黄秋葵南方露地种植方法 | |
CN107926465A (zh) | 一种人工栽培五味子的方法 | |
CN107347398A (zh) | 一种盆栽辣椒的种植方法 | |
CN106688689A (zh) | 一种木耳菜幼苗种植培育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31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