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131A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131A
KR20100066131A KR1020080124799A KR20080124799A KR20100066131A KR 20100066131 A KR20100066131 A KR 20100066131A KR 1020080124799 A KR1020080124799 A KR 1020080124799A KR 20080124799 A KR20080124799 A KR 20080124799A KR 20100066131 A KR20100066131 A KR 2010006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message
source
rout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9581B1 (ko
Inventor
차영환
Original Assignee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24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5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0Hop count for routing purposes, e.g. TT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장에서의 작전을 수행 중인 병력을 지원하거나 희귀 동물의 생태를 감시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있어서, 전송 정보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러한 관리 또는 대상(asset)들의 위치를 적이나 악의적 추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메시지(message) 전송 노드(node)인 소오스(source)의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무선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은, 최단거리 라우팅을 지향하는 탐욕적 송출 기법과 일정 홉 동안 무작위로 경로를 전개하는 랜덤 라우팅 기법을 각기 일정 확률로 수행하는 제1과정; 및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하는 도중 휴면 소오스들이 존재하는 곳에 근접하는 경우, 경계 지역을 우회하도록 하여 휴면 소오스의 위치를 추적자의 추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제2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활동 소오스와 도착지와의 최단 홉 수를 최소화하면서도 메시지 전송 소오스의 위치 보호 수준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소오스 위치 보호(기밀), 라우팅 프로토콜, 안전 기간, 전달 지연

Description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Routing for Enhancing Source-Location Priva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관리 또는 감시 대상(이하 "관리 대상" 또는 "보호 대상"으로 명명함)의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 대상으로부터 감지(또는, 특정)한 데이터를 기지국(base station)으로 전송하는 노드(이하, "활동 소오스:active source"라 명명함)의 위치 기밀과 기지국으로 정보를 전송 중이지 않더라고 추적자가 일정 거리 이내에 근접하면 그 위치가 탄로나는 관리 대상들에 인접한 노드들(이하, "휴면 소오스(dormant source)들"로 명명함)의 위치 기밀을 보존하기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과 센서 기술의 확대 보급으로 인해 다수의 장치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축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국방, 교통, 환경 분야에서의 데이터의 수집과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응용들이 활발 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네트워크 노드(node)로 불리는 센서 장치는 일반적으로 한정된 컴퓨팅 능력과 자원을 갖는다. 이러한 노드들은 설치 환경으로부터 감지한 이벤트나 가공한 데이터를 다중-홉(multi-hop) 형태의 경로를 이용하여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싱크(sink) 노드로 전달하는 소오스 역할을 수행한다. 역으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설치 환경의 관련 대상 또는 장치로의 명령어 전달이나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적기의 데이터 수집과 제어 가능한 효율적인 실시간 통신 기능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센서 네트워크의 성공적 운용을 위해서는 무선 통신 자체가 갖는 전송 신호의 노출 문제, 관련 장비의 표준화, 그리고 설치 공간이 옥외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보안 문제를 간과할 수 없다. 게다가, 암호화 기법에 의존하여 전송 정보의 내용을 보호하는 기술만으로는 성공적인 보안 체계를 유지할 수 없는 응용들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장에서 작전 중인 병력이나 탱크 등과 같은 이동체를 지원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전송 메시지가 암호화되어 있어 내용에 관한 기밀이 유지된다 하더라도, 정보 전송자인 소오스에 해당하는 노드의 위치가 적에게 노출되는 경우 병력의 생존이나 장비의 손실에 심각한 위협을 주게 된다. 또한, 희귀 동물의 활동을 감시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도 보호 동물의 위치 정보가 밀렵꾼에게 노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정보 생성 노드의 위치나 트래픽의 양, 종류, 송수신 분포 유형 등과 같은 문맥 정보(contextual information)를 보호하기 위한 연구들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기지국은 센서 네트워크의 중심이 되는 노드로서 각종 노드에서 전송되는 정 보들이 집중되며, 외부 서버나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장비로써 그 존재가 쉽게 노출되거나 탐지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의 위치가 알려진 상황에서 기지국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소오스 노드의 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라우팅이 연구되었다.
센서 네트워크에 있어서 라우팅 차원에서의 소오스 노드의 위치 보호에 관한 연구는 미국 Rutgers 대학 WINLAB의 W. Trappe 교수팀에 의해 PR(Phantom Routing)이 제시되면서부터 매우 활발해졌다. PR은 관리 또는 감시 대상이나 특정 이벤트를 감지한 소오스 노드가 수집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기지국 근처나 경로 상에 머물고 있는 추적자 즉, 지역 도청자가 도착하는 메시지의 신호를 따라 거슬러 올라가 소오스의 위치를 파악하려는 역방향 홉 단위 이동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라우팅 초반에는 일정 거리(예, 15홉) 이상을 무작위로 선정된 방향으로 이동한 뒤(random walk phase), 나머지 후반은 기지국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라우팅 과정(routing phase)을 수행한다. 라우팅 과정에서는 알고리즘에 의한 단일 경로 PR-SP(single path)를 이용하거나 브로드 캐스팅을 수행하는 PR-B(broadcast)를 이용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위치 보호 모델을 정의하고, 소오스 노드가 이동하는 경우와 일정 위치에서 추적자가 메시지를 기다리는 시간이 제한된 경우에서의 PR의 성능을 다루었다. 라우팅 차원에서의 소오스 위치 보호에 관한 문제를 도출하고 대안과 함께 평가 기준을 정립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다. 하지만, 임의의 이동 거리를 길게 할수록 안전 기간은 늘어나지만 이에 비례하여 메시지 전달이 과도하게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 시마다 새로운 경로를 설정해야 하는 부담과 전송 메시지들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목적지에서의 도착순서가 뒤바뀔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편, PR에서 임의의 방향으로의 이동 과정에서 선택되는 노드들의 방향이 서로 상쇄되지 않고 소오스로부터 멀리 전개되도록 하는 방안과 소오스와 싱크 양쪽으로부터 PR을 동시에 이용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등 후속연구 결과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설정 경로를 중간에 다른 경로와 겹치게 하여 추적에 혼선을 야기하도록 한 연구도 제시되었다. 하지만, 모두 활동 소오스 노드만을 고려하였고 안전 기간을 늘리기 위해 긴 경로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전달 지연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지 않았다.
안전 기간을 길게 하되 전달 지연을 단축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CEM(Cyclic Entrapment Method)가 있다. 메시지 전송 노드와 기지국 사이에 최단 거리 알고리즘에 의해 설정되는 경로 상의 노드에 특정 길이(예, 10홉) 이상의 루프 경로를 덧붙여서, 전송되는 메시지가 원래의 최단 경로뿐만이 아니라 루프를 선회하도록 하여 추적에 혼선을 주도록 한다.
전송 지연을 단축할 수 있지만 공격자가 GPS 또는 자신이 추적한 노드의 좌표값을 기억하는 경우 루프를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경로로 이용되는 노드는 극히 일부이나 모든 노드가 네트워크 초기화 시 일정 길이 이상의 루프를 미리 설정하여야 하기에 메시지들이 과중하게 발생한다. 최소 길이가 k 이상인 경로를 설정하는 k-최장 경로(k-longest path) 문제가 NP-complete임을 고려할 때 루프 구성 시간 역시 부담이 된다. 아울러, 추적자가 루프에 연결된 노드에 근접할 때 속 임수 메시지가 루프로부터 발생하여야 추적자를 루프 안으로 유인할 수 있다. 문제는 일반 소형 노드에 추적자의 접근을 판단하는 효과적인 메커니즘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다. 예를 들어, 추적자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를 물리적 크기와 처리 능력 및 기억 공간이 열약한 센서 노드에 설치하는 문제나 사전에 알려지지 않는 추적자를 어떻게 인식하여야 하는지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결국, CEM의 핵심인 루프 활용은 그 실효성에 문제가 있다.
한편, 메시지의 최종 도착지 노드나 기지국의 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 향하는 트래픽들이 만나는 집선기(aggregator) 노드의 주변에 머무는 공격자가 트래픽 수집과 분석을 통해 기지국의 위치를 파악하려는 공격에 대응하는 DEFP(Differential Enforced Fractal Protocol)가 있다. 이 방법은 경로 상의 노드로 하여금 일정 확률로 속임수용 메시지를 트리 형태로 분기 발생하고(fractal propagation phase), 임의의 이동을 일정 확률로 수행하여 이용 경로의 무작위화(randomization)를 유도한다. 또한, 트래픽 유형, 정보량, 발생 주기 등과 같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기법들을 종합적으로 연구하였는데, 속임수(fake) 메시지를 발생하는 기법이나 무작위 이동 등은 후속 연구들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LPR(Location Privacy Routing)은 DEEP의 확장된 한 형태로서 PR-SP과는 반대로, 소오스의 위치가 노출된 경우 도착지 노드의 위치 보호 수준을 높이기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확률적으로 무작위적인 임의 이동(random walk)를 시행하면서 속임수용 거짓 메시지를 병행하여 발생하는 기능을 고려하여 추적자를 도착지 노드와는 다른 곳으로 유인하도록 하고 있다. 도착지 노드의 위치 보호 기능이 뛰어난 LPR은 소오스 위치 보호를 위해 직접 적용할 수 없다. 가장 큰 이유는 속임수 메시지 발생 기능이 기지국으로부터 소오스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추격하는 공격자에게는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추적자가 위치하는 곳에서 정확히 속임수 메시지가 발생하여야 하는데 전송 메시지와 추적 방향이 일치하는 도착지 위치 보호에서와 달리 소오스 위치 보호에서는 각 노드가 추적자를 인지하는 기능이 있어야 이것이 바르게 동작할 수 있다. 즉, CEM에서처럼 추적자를 인식한 시점에서 속임수 메시지를 정확히 발생시켜야하는 속임수 동기화(faking synchronization)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속임수 메시지를 발생시켜야하는 부담이 있다. 속임수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는 PR-SP에 비하여 속임수 메시지 발생에 따른 메시지 발생 문제 역시 소오스 위치 보호 라우팅으로의 적용을 어렵게 한다. 또한, LPR에서 사용하는 경로의 길이 역시 길어짐으로 인한 메시지 전달 지연 문제도 개선되어야 한다.
그 밖에, 네트워크 내의 여러 곳에 추적자(감시자)를 배치하고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광역 도청자(global eavesdropper) 모델에서의 위치 보호에 관한 연구와 암호화 기법을 이용한 익명성 통신에 관한 연구도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다양한 보안 문제들 특히, 라우팅에 관련된 제반 이슈와 개괄적 접근 방안들은 Karlof-Wagner의 논문에 개시되어 있다. 요약하면 비록 정보 전송을 진행하지는 않지만 그 위치가 노출되면 안 되는 관리 또는 감시 대상들이 존재하는 환경 즉, 휴면 소오스 노드들이 존재하는 경우의 보다 일반화된 위치 보호 라우팅 방안이 필요 하다. 또한, 이러한 방안은 위치 보호 수준을 늘리면서도 메시지 전달 지연을 억제할 수 있어야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메시지의 최종 도착지 노드나 기지국의 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지국으로 정보를 전송 중이지 않더라고 추적자가 일정 거리 이내에 근접하면 그 위치가 탄로나는 보호 또는 관리 대상들에 인접한 노드들의 위치 기밀을 강화하여 보호 대상들의 위치 기밀을 보존하면서 메시지 전송자인 소오스의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송 메시지 수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와 정해진 경우, 소오스의 보다 강화된 위치 보호를 위해 어떠한 제약들이 요구되는지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최단 거리 라우팅을 지향하는 라우팅 기법과 일정 홉 동안 무작위로 경로를 전개하는 라우팅 기법을 각기 일정 확률로 수행하도록 하여 경로 길이가 과도하게 늘어나지 않도록 하고, 휴면 소오스들이 존재하는 곳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우회하도록 하여 소오스의 위치를 추적자의 추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최단 거리 라우팅을 지향하는 탐욕적 송출 기법과 일정 홉 동안 무작위로 경로를 전개하는 라우팅 기법을 각기 일정 확률로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을 수행하는 도중 휴면 소오스들이 존재하는 곳에 근접하는 경우, 우회하도록 하여 소오스의 위치를 추적자의 추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은,
전송 메시지 수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와 정해진 경우, 소오스의 완벽한 위치 보호를 위해 어떠한 제약들이 요구되는지를 사전에 인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으로 정보를 전송 중이지 않더라고 추적자가 일정 거리 이내에 근접하면 그 위치가 탄로나는 관리 대상들에 인접한 노드들의 위치 기밀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송 메시지 수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와 정해진 경우, 소오스의 완벽한 위치 보호를 위해 어떠한 제약들이 요구되는지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으므로,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단 거리 라우팅을 지향하는 라우팅 기법과 일정 홉 동안 무작위로 경로를 전개하는 라우팅 기법을 각기 일정 확률로 수행함으로써, 경로 길이가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휴면 소오스들이 존재하는 곳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우회하도록 함으로써, 소오스의 위치를 추적자의 추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소오스 위치 보호 라우팅 문제를 다루기 위해 가정된 네트워크 및 추적자에 관한 사항들을 간략히 설명한다.
- 네트워크 모델 -
네트워크 내에는 N(>0) 개의 센서 노드들이 존재하며, 각 노드의 신호 도달 거리는 r(>0)이다. 거리 r을 벗어나는 노드와는 다른 노드를 경유하는 다중 홉 라우팅을 이용한다. 모든 노드는 자신의 위치(즉, 좌표값)를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전송 중에는 어떠한 오류도 발생하지 않으며, 노드 간에 주고받는 모든 메시지는 암호화되어 있어 공격자가 해독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또한, 네트워크에는 하나의 기지국이 존재하며 공격자에게 기지국의 위치는 노출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기지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소오스 노드에서의 전송 메시지들의 발생 간격은 전송된 메시지가 기지국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더 긴 모델(학술적으로 "low-duty cycle" 모델이라 함)을 가정한다. 네트워크가 초기화되면 기지국은 자신의 좌표값과 함께 위치 보호에 관련된 각종 제어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 전역으로 브로드캐스트한다. 이를 수신한 모든 노드는 기지국의 좌표와 기지국으로의 최단 홉 수 등과 같은 필요한 제어 정보 등을 얻게 된다.
- 공격자(추적자) 모델 -
공격자는 지역 도청자이며, 완전한 수동 공격자로 노드 간의 통신을 방해하지 않는다. 일반 노드와 동등하게 전송 메시지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나 스펙트럼 분석기, 지향성 안테나, GPS 등과 같은 추가적인 장비 등을 갖추고 있어 신호 방향, 세기, 도착 시각 등을 측정하여 어느 이웃 노드에서 신호가 발생했는지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에, 주변에 도착하는 메시지를 따라 홉 단위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추적하게 되는데, 발생 신호보다 앞서서 다른 노드로 이동해 가지 않는다. 추격은 언제나 먼저 도착하는 신호를 따라 이동하고, 여러 신호가 동시 에 발생하는 경우에만 임의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즉, 추적 과정에서 경유하는 노드에서는 거의 무한정으로(시뮬레이션을 위해 한정된 충분한 시간 동안) 다음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기다리는 "patient 모델"이다.
소오스가 존재하는 곳으로부터 반지름이 α인 원 내로 공격자가 진입하게 되면 그 소오스의 위치는 발각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의 영역을 노출 영역(disclosure area) 그리고 α를 노출 또는 포획거리라고 한다. 즉, 소오스 s와 공격자 a의 현재 좌표를 각기 L(s)(=(xs, ys))와 L(a)(=(xa, ya))로 나타내면 |L(s)-L(a)| ≤ α이면 s의 위치는 a에게 노출된다. α는 공격자의 추적 능력이나 보호 또는 관리 대상이 어떤 것인가 등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면 사람의 시각 거리나 사용 장비의 신호 감지 거리 등이다.
- 소오스 위치 보호에 관한 정리 -
메시지 전송 소오스의 위치를 완전 보호하기 위한 이론적 조건을 제시한다. 편의상 네트워크 내에는 휴면 소오스가 존재하지 않고 활동 소오스 하나만 존재하는 가장 단순한 경우를 가정한다. 먼저, 소오스에서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는 대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이다. 그 다음으로는 사전에 조율된 T개의 한정된 메시지만을 보내는 경우이다.
정리 1: 어떤 노드 s가 기지국 b로 메시지가 발생하는 대로 전송한다고 한다. 그러면 상기에서와 같이 정의된 홉-단위 추격 능력을 갖는 공격자 a에 대해서 s가 자신의 위치를 완전히 보호하면서 보낼 수 있는 메시지의 최대 수는 ha-s -[α /r]를 넘지 않는다. 단, ha-s는 a와 s간의 최단 경로의 홉 수, α는 노출 거리, r은 전송 신호의 도달 거리이다. [x]는 x와 같거나 큰 정수 중 가장 작은 수를 나타낸다.
증명: 추적자 a는 추적 중 전송되는 메시지의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1-홉씩 이동할 수 있다. 현재 a가 있는 곳으로부터 s에 이르는 최단 경로의 홉 수는 ha -s이다. 따라서 어떠한 알고리즘에 의해 s와 b간에 경로가 설정되는지에 관계없이 a가 s로부터 최소 [α/r] 홉 이내로 다가가면 공격은 성공적이다. 따라서 소오스 s가 어떠한 경우에라도 그 위치를 보호받기 위해서는 ha -s - [α/r]개 이상의 메시지를 전송하면 안 된다.
정리 2: 어떤 노드 s가 기지국 b로 전송할 메시지 수가 T(>0)개라고 한다. 그러면 s가 추적자 a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완전히 보호하면서 T개의 메시지를 최소 전달 지연으로(즉, 최소 홉 수의 경로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문제는 NP-complete이다(학술적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어떤 문제가 NP-complete라고 한단면 이는 천문학적인 계산이 요구되어 이론적으로는 최적의 해를 구할 수 없는 난해한 문제를 의미한다).
증명: 편의상 네트워크 내의 노드 수 N이 충분히 커서 T < N이라고 가정한다. a가 머무는 노드 v로부터 s까지 최단 경로 R1의 홉 수가 ha -s라면, 정리 1에 의해 (ha -s-[α/r]) ≥ T인 관계가 성립해야 s의 위치가 드러나지 않고 T 개의 모든 메시지를 안전하게 보낼 수 있다. 그렇지만, (ha-s-[α/r]) < T라면 현재 a가 머물고 있는 노드 v에서부터 s의 최단 거리 경로 R1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로 R2를 통하여 T개의 메시지가 전송되어야 s의 위치가 보호될 수 있다. v에서부터 s로의 경로의 길이가 (ha -s-[α/r])+ △ha -s ≥ T를 만족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최소 k이거나 또는 그 이상인 어떤 경로를 찾는 “k번째 최장 경로(k-th longest path) 문제”는 NP-complete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경로의 길이가 (ha-s-[α/r])+ △ha -s≥ T인 경로 R2을 구하는 것 역시 NP-complete이다.
현실적으로는 소오스를 포함하여 모든 노드가 공격자의 현 위치를 알고 있다면 이를 피하여 좀 더 긴 경로나 여러 경로들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메시지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고려되는 네트워크가 수천 내지 수만의 노드들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라고 가정할 때 모든 노드에 공격자의 이동 위치를 파악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추적자의 위치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나 외부 장치를 두고 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로 인한 보안 위협이나 통신비용 또한 적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위의 정리에 의해 비록 공격자의 위치를 알고 있더라도 메시지 전송 소오스의 위치를 완전히 보장하면서 최소 전달 비용의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을 구하는 것도 정리 2에 의해 비현실적임이 명백하다. 따라서 라우팅 프로토콜의 소오스 위치 보호 능력을 100% 보장하기 위한 라우팅 기법보다는 다른 연구들처럼 위치가 폭로되기 전까지 더 많은 메시지를 짧은 지연 시간을 통해 전달 하는 라우팅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메시지 전달 지연을 가능한 줄이면서도 소오스 위치 보호 능력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안으로 GSLP-w(GPSR-based Location Privacy with crew size w)를 제안한다.
접근 방식을 간략히 살펴 보면, 보호 대상에 근접한 노드 즉, 휴면 소오스를 고려하고 확률에 의한 여러 가지 다음-홉 노드의 선정 방안을 혼용하는 것에 기반을 둔다.
소오스 위치 보호 라우팅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어떤 대상이나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로부터 발생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소오스 노드만 하나가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하지만,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응용분야에서는 감시하거나 보호 해야할 대상이 곳곳에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전장에 투입된 병력이나 탱크 등과 같은 대상들을 지원하는 응용에서는 기지국과의 통신과 관계없이 그 위치가 공격자나 추적자로부터 보호되어야된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군인 3명에 해당하는 soldier 1, soldier 2, soldier 3과 위치 추적자 adversary가 각기 노드 e, f, g 및 h의 무선 셀 내에 각기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하자. 맨 위 우측의 군인 soldier 1에 인접한 노드 e가 현재 기지국으로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위치가 노출된 기지국 근처에 머물던 adversary가 도착하는 메시지들의 신호를 따라 거슬러 올라가 3-홉을 이동한 상태이다(adversary가 기지국에서부터 추적을 시작한다는 가정 하에). 즉, 메시지당 1-홉 이동을 가정하므로 3개의 메시지가 노드 e로부터 전송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 편, 현재 이용되는 경로가 soldier 3을 자신의 무선 셀 내에 포함하는 노드 g를 경유하는데, 이는 공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곳의 노드와는 2-홉 거리에 있다. 만일, 이러한 사실을 모르는 노드 e가 한 개의 후속 메시지를 더 전송하게 되면 추적자는 노드 g의 무선 셀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soldier 3의 위치는 공격자에게 노출될 것이다(공격자의 감지 거리가 신호 전송거리 r까지 가능하다는 가정에서). 그리고 이어서 7개의 후속 메시지가 노드 e로부터 더 전송되는 경우에는 노드 e자신의 위치마저도 드러나 위험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 e의 위치는 물론 전송되는 메시지가 이용하는 경로의 보호가 필요한 그 박의 대상들(즉, soldier 2와 soldier 3)에 일정 거리 이내로 인접하지 않게 개시하는 라우팅 알고리즘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알고리즘은 앞 장의 정리를 음미할 때 공격자의 위치나 네트워크 전체의 토폴러지(topopogy)나 중앙 집중화된 경로 정보 등을 이용하지 않고 모든 노드가 한정된 정보(예, 자신의 좌표, 이웃 노드들의 좌표, 소오스와 도착지 노드의 좌표 등)만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논의의 편의성을 위해 감지된 이벤트나 가공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도 1의 노드 e와 같은 노드를 "활동(active) 소오스”라고 정의한다. 반면, 기지국과의 교신과 관계없이 어떤 보호 대상에 근접한 노드 즉, 도 1의 노드 f나 g를 "휴면(dormant) 소오스”라고 정의한다. 정의에 의해 활동 소오스는 휴면 소오스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내에는 임의의 시각에 오직 하나의 활동 소오스만 존재하며, 보호 대상마다 하나의 대응되는 센서 노드를 가정한다. 즉, 보호 대상과 대응되는 센서 노드는 일대일 관계이다. 보호 대상과 대응되는 노드의 좌표는 허용된 오차의 범위 내에서 충분히 가까워 "소오스의 위치 보호가 곧 보호 대상의 위치 보호와 일치한다."라고 가정한다. 다시 말해, 활동 소오스나 휴먼 소오스에 해당하는 노드의 위치가 노출된다는 것은 그 소오스 노드에 의해 설정된 무선 셀 내에 존재하는 보호 대상의 존재도 노출됨을 의미한다.
한편, 위치 보호 라우팅 과정에서 설정되는 경로가 휴면 소오스들이 존재하는 곳으로부터 노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지 않고 우회하도록 도 2와 같이 경계 지역(alert zone)을 설정한다. 어떤 보호 대상의 출현을 감지한 노드 즉, 휴면 소오스는 먼저 보호 대상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α인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반지름 β(>α)인 경계 지역(alert zone) 내의 노드들에게 위치 보호 대상이 근처에 존재함을 알려준다. 이 과정은 기존 geocasting이나 scoped flooding 등에 의해 수행됨을 가정하며, 사용 메시지 내용 역시 암호화 기법 등을 이용하여 공격자로부터 안전하다고 가정한다. 경계 지역은 일종의 노출 영역의 완충 지대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내의 노드 밀도가 낮은 경우 β의 값을 크게 하여 노출 영역 안으로의 메시지 유입을 막을 수 있다. 경계 지역이 커지면 그만큼 소오스의 위치도 안전하게 된다.
PR-SP의 전반부는 랜덤 모드(random walk)로 임의의 곳으로 경로를 전개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후반부에서는 목적지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의 2-단계로 엄격히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 기간을 높게 하기 위해 전반부의 랜덤 모드 부분을 길게 하여야 했다. 이는 곧 전달 지연의 부담을 낳았다. 제안된 GSLP-w에서는 도 3과 같이 세 개의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다음-홉 노드 즉, 메시지 전달 노드를 선 정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아래의 설명 중 AZ(z)는 어떤 휴먼 소오스 노드 z가 설정한 경계 지역 노드들의 집합을 표시한다.
먼저, 현재의 노드 u가 이웃 노드 t로부터 메시지 M을 수신하면(S101), 랜덤 모드의 지속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 TTLrw를 조사한다(S103).
이 조사결과 TTLrw> 0이라면 랜덤 모드로 진입을 하고, 다음-홉 노드 v를 선정한다(S105). 여기서 랜덤 모드는 현재의 노드와 비교하여 목적지로의 물리적인 거리(홉 수가 아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어떠한 다른 노드가 설정한 경계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노드의 메시지를 전송할 다음-홉 노드로 선정한다. 즉, |L(v)-L(b)|≤|L(u)-L(b)|인 노드를 선정한다(S105). 만일 선정된 v가 임의의 노드 z에 대해 v ∈ AZ(z)라면 TTLrw = 0으로 하여 퍼리미터 모드((perimeter mode)로 전환하고(S111), 그렇지 않을 경우 TTLrw = TTLrw - 1을 수행한 후(S109) 메시지 M을 v로 전송한다. 일단, 랜덤 모드가 시작되면 동일한 과정을 후속 노드들에 대해 최대 TTLrw 홉만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달되는 메시지 M 내에 이의 수행 여부를 나타내 주어야 한다(도 4a의 메시지 형식에서 TTLrw 필드 참조). 한편, 랜덤 모드 적용 과정에서 언제든지 경계 지역을 만나면 퍼리미터 모드로 전환된다(S111). 랜덤 모드의 도입 효과로는 다양한 노드들이 서로 다른 경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인데, 그리디 모드(greedy mode)에서 랜덤 모드로 전환할 확률 prw -s 가 클수록, 그리고 TTLrw가 클수록 다양한 노드들로 구성된 경로들이 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S103과 같이 도착한 메시지 M내의 TTLrw가 TTLrw>0이 아닐 경우(즉, TTLrw=0)에는, 확률 prw -s(0<prw -s<1)로 랜덤 모드로 진입한다. 반면 확률 (1-prw-s)로는 그리디 모드를 지속하게 되어 목적지에 가장 근접한 이웃 노드 v를 선정한다(S113 ~ S117). 이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디 모드에서는 사전에 주어진 prw -s에 대해 어떤 난수(random number) p(0<p<1)를 생성하여 p≤prw -s를 만족하면 일단 랜덤 모드로 전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GPSR의 탐욕적 송출(greedy forwarding)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목적지에 가장 근접한 이웃 노드 v를 다음 노드로 선정하여 최단거리 라우팅을 위한 다음 노드를 선정한다. 즉, 현재의 노드 u의 이웃한 어떠한 노드 q에 대해서도 |L(v)-L(b)| = min {|L(q)-L(b)|}인 노드 v를 구한다(S117)(단, min{x}는 x 값 중 가장 작은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만일, 선정된 v가 어떤 휴면 소오스 z에 대해 v ∈ AZ(z)이면 다음-홉 노드들 다시 선정하기 위해 퍼리미터 모드(perimeter mode)로 진입한다(S119). 그렇지 않다면 선정된 v로 메시지 M을 전달한다. 그리디 모드의 수행으로 경로를 구성하는 홉 수를 줄일 수 있어 메시지 전달 시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이처럼 그리디 모드나 랜덤 모드에서 선정된 v가 어떤 휴면 소오스 v가 설정한 경계 지역(AZ) 내에 존재하는 것이라면(S111, S119) 퍼리미터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퍼리미터 모드에서는 현재의 노드 u에서 도착지 b로의 직선을 기준으로 어떠한 경계 지역에도 속하지 않으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counter-clockwise) 가장 가깝게 존재하는 노드를 다음 노드로 선정하는 오른손(right-hand) 규칙이나 또는 어떠한 경계 지역에도 속하지 않으면서 시계 방향으로(clockwise) 가장 가깝게 존재하는 노드를 다음 노드로 선정하는 왼손(left-hand) 규칙을 적용하여 다음 노드가 선정된다. 다시 말해, 현재의 노드 u로부터 기지국 b로의 가상의 직선 선분을
Figure 112008084772886-PAT00001
로 나타내면 u에 이웃한 노드로서 어떠한 휴면 소오스 z에 대해 v
Figure 112008084772886-PAT00002
AZ(z)이면서
Figure 112008084772886-PAT00003
로부터 반 시계방향이나 시계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v를 다음 홉 노드들 선정하고 메시지 M을 전송한다(S119 ~ S123). 일반적으로 휴면 소오스 노드들의 수가 많을수록 우회하여야 할 경계 지역도 늘어나고 경로 길이도 증가한다.
정리하면 도착한 메시지 M의 TTLrw에 대해 TTLrw>0인 경우에는 랜덤 모드를 먼저 고려한 후 퍼리미터 모드를 고려할 수 있지만, TTLrw=0인 경우에는 그리디 모드를 우선적으로 고려한 후, 랜덤 모드 또는 이어서 퍼리미터 모드가 고려된다.
한편, 이러한 세 모드에서의 메시지 전달 노드의 선정이 불가능하면 앞서 메시지 M을 전송한 노드 t로 M을 되돌려 주는데 이를 리트리트 모드(retreat mode)라고 한다(S125). 리트리트 모드는 더 이상의 경로 전개가 불가능하여 현재 노드에서 이전의 노드로 다시 되돌아가는 과정이다. 일단 되돌아오면 앞서 방문하였던 이웃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이웃 노드들을 대상으로 도 3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다음-홉 노드를 새로이 선정한다.
도 3의 방법에서 그리디 모드로 선정될 확률 pg, 퍼리미터 모드로 선정될 확률 pp, 랜덤 모드로 선정될 확률 pp, 그리고 리트리트 모드가 수행될 확률 pr에 대해 pg+pp+prw -c+pr=1이다. 여기서, prw -c는 랜덤 모드로 진입할 확률 prw -s와 다르다. 이때, prw -s는 사전에 프로토콜에서 고정할 수 있는 값이지만 나머지 변수 prw -c, pg와 pp의 값은 네트워크 내의 휴면 노드의 수 Ns와 이들의 분포 형태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언제나 고정될 수 없다.
기존의 대표적 관련 연구들에서의 경로 설정과 본 발명에 의한 경로 설정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랜덤 모드를 확률적으로 메시지 전달 노드를 선정할 때마다 수행하는 점에서 LPR과 유사하다. 하지만, 일단 랜덤 모드가 지속되면 TTLrw 만큼 지속하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제안한 프로토콜에서는 랜덤 모드를 시행할 확률 prw-s가 LPR에서처럼 높지 않다(예를 들면 GSLP-w에서 기본적으로 prw -s = 0.05가 고려되었고, 최고치는 prw -s = 0.2였다). 또한, PR-SP에서는 임의의 길이만큼 이동하는 랜덤 모드와 탐욕적 송출을 수행하는 라우팅 과정으로 구분되어 전반부에서만 계속해서 랜덤 모드가 시행된다. 하지만, 제안된 GSLP-w에서는 이러한 엄격한 구분 없이 도 3의 방법을 이용하여 매번 메시지 전달 노드를 선정한다. 탐욕적 송출의 기 능은 목적지 노드를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기능으로 모든 기존 연구들에서 수용하고 있다. 제안된 GSLP-w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휴면 소오스들의 개념을 소오스 위치 보호 라우팅에 도입했다는 것이다. 또한, 활동 소오스가 목적지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 중 이러한 휴면 소오스들이 존재하는 영역을 우회하는 기능 즉, 퍼리미터 모드에 있다. 원래 위치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 GPSR에서 다음-홉 노드들 일정 기준에 의거 선정할 수 없을 때 이를 탈피하기 위해 고려된 것으로 휴면 소오스의 위치 보호를 위해 적용한다. 그리고 종래의 경로당 전송 메시지를 하나로 제한하던 연구들과 달리 임의의 w개로 제약을 풀어 위치 보호 수준은 늘리되 전달 지연은 감소하도록 시도한다.
본 발명인 GSLP-w에서 활동 소오스가 전송하는 메시지 형식은 도 4a와 같다. Destination_Coordinate은 도착지 노드의 좌표를 나타내며, Source_Coordinate은 활동 소오스 노드의 좌표를 나타낸다. TTLrw 필드는 랜덤 모드로 지속할 홉 수를 나타낸다. 설정된 값은 노드 선정 시마다 1씩 감소되어, 0이 되면 그리디 모드로 복귀한다. Detour_Rule은 퍼리미터 모드에서 다음 노드를 설정할 왼손 규칙(0) 또는 오른손 규칙(1)을 나타낸다. 규칙은 활동 소오스에 의해 교대로 지정되며 도착지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모두 동일하게 규칙이 적용된다. 이렇게 두 규칙이 골고루 적용되어 어느 한쪽으로 우회 경로가 치우치지 않고 설정되게 된다.
More 필드는 동일 경로로 전달될 메시지가 남아 있는지를 알려준다. 즉, 후속 메시지가 있을 때는 follow(1) 그리고 맨 마지막 메시지인 경우는 last(0)이다.
한편, 본 발명인 GSLP-w에서는 경로당 w개의 메시지가 연속해서 전달 되게 되는데 경로를 맨 처음에 설정하는 메시지의 경우에는 More 필드 값이 first(2)인데, 경로상의 모든 노드가 자신의 선행 노드와 후속 노드를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하여야 한다. 동일 경로를 이용하는 메시지들의 전달을 위해 경로 상의 노드에서 유지하는 라우팅 테이블은 도 4b와 같다. More 필드의 값이 first(2)일 때 다음 홉 노드를 선정하면서 테이블을 채우게 된다. 테이블 내에는 소오스 노드 및 도착지 노드를 각기 나타내는 source와 destination 항목이 있고, 현재 노드로 메시지를 전달해준 노드를 previous_hop_node로, 그리고 선정된 메시지 전달 노드는 next_hop_node에 저장된다. previous_hop_node는 리트리트 모드에서 퇴각(backtracking)에 의한 이전의 노드로 전달 메시지를 되돌릴 때 이용된다. 라우팅 테이블은 last(0)인 메시지를 전송한 후 삭제된다. 한편, 활동 소오스에서 전송하는 메시지들의 간격은 전송된 메시지가 목적지에 도착하는 시간보다 더 긴 low-duty 모델을 가정하므로 각 노드는 하나 이상의 경로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나머지 필드 중 Send_Sequence_Number는 전송 메시지의 순번을, Size_of_User_Data는 사용 정보 길이를, 그리고 User_Data는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를 나타낸다.
설명된 GSLP-w의 활동 노드에서의 수행 절차와 중간의 전달 노드에서의 수행 절차를 나타내면 도 5a 및 도 5b와 같다. 여기서 메시지 M 내의 특정 필드 f를 지칭하기 위해서는 M.f와 같은 형식을 취했다. 메시지의 전송자인 활동 소오스 s가 사용하는 지역 변수에는 User_Datas처럼 첨자로 s를 사용하였다. Detour_Rules은 퍼 리미터 모드에서 적용할 우회 규칙을 나타내는 데, 초기치는 left-hand(0)을 가정하고, 그 다음으로는 right-hand(1) 규칙 등의 순서로 번갈아가며 지정되는데, 이를 Detour_Rules로 나타내었다. 5a는 활동 소오스 s의 수행 절차로 경로당 전송 메시지 수 즉, crew size는 임의의 w를 가정하였다. 5b는 전달 메시지 M을 수신한 중간의 노드에서 수행하는 절차이다.
GSLP-w의 수행 절차에서 활동 소오스 s에 의해 TTLrw는 초기값으로 미리 정해진 정수 c(>0) 즉, M.TTLrw=c이다. 중간 노드에서 M.Mode==2 즉, 그리디 모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M.TTLrw의 값을 조사한다. 만일, TTLrw> 0이면 랜덤 모드로 다음-홉 노드 v를 선정하며, 선정 조건을 만족하는 노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M.TTLrw=0으로 설정하고 퍼리미터 모드로 전환되어 다시 메시지 전달 노드를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랜덤 모드는 일단 시작되면 최대 TTLrw 홉만큼 연속해서 지속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내에 휴면 소오스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경계 지역이 늘어나므로 비록 TTLrw나 prw-s의 값을 크게 하더라도 퍼리미터 모드로의 전환이 빈번하게 되어 그 영향은 줄어든다.
도 6은 도 3과 도 5a/5b에서 제안된 GSLP-w의 메시지 전달 노드의 선정 과정과 메시지 전달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예이다(편의상 w=1을 가정하였다). 보호 관리 대상으로 군인을 가정하였다. 보호 대상마다 하나씩 휴면 소오스가 대응되었고, 각각의 경계 지역이 설정되었다. 활동 소오스 s에서부터 u3까지 그리디 모드로 도착 지인 기지국 b와 가까운 이웃 노드들을 다음-홉 노드로 선정하였다. u3에서부터는 목적지에 가까운 노드들이 경계 지역에 속하는 것들이므로, 퍼리미터 라우팅이 시작되었다. 편의상, right-hand 규칙에 의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가장 가깝게 위치한 이웃 노드u4 와 u5가 차례대로 정해졌다. u5에서부터 u8까지 그리디 모드로 진행되었다. u8에서 TTLrw=3으로 시작된 랜덤 모드는 u11에서 TTLrw=0이 됨에 따라 그리디 모드로 환원되어, 이후 도착지 b에 이르렀다. 메시지 전달 노드를 선정하는 3가지 모드의 상대적인 적용 빈도와 prw-s와 TTLrw등의 파라미터들의 값에 따라 두 노드 사이의 경로라도 그 길이와 모양이 매우 다양해진다.
GSLP-w에 의해 소오스 s를 출발한 메시지가 목적지 b에 도착하기까지 경유하는 경로의 길이 즉, 홉 수를 구한다. 편의상, 노드 밀도가 충분히 높아서 어떠한 경우에라도 경로 구성이 불가능하지 않다고 가정한다. 분석은 직관적인 방법에 의해 하나의 메시지가 활동 소오스로부터 발생하여 기지국에 도착하기까지 경유하는 경로의 홉 수를 구하는 것이다.
GSLP-w에 의해 활동 소오스 s에서 전송된 메시지가 목적지 b에 도착하기까지 경유하는 경로의 길이(즉, 홉 수)를 계산하도록 한다. 길이는 s와 b사이의 최단 경로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몇 배가 되는 지로 표현된다.
편의상 도3에서와 같이 다음 홉 노드를 선정하는 데 있어 그리디 모드가 수행될 확률을 pg, 랜덤 모드가 수행될 확률을 prw-c, 퍼리미터 모드가 수행될 확률을 pp, 마지막으로 리트리트 모드가 수행될 확률을 pr이라고 하자. 단, pg+prw-c+pp+pr=1이며, prw -c는 도3에서 그리디 모드에서 랜덤 모드로 전환할 확률 prw에 대해 prw -c≤prw이다. 왜냐하면 랜덤 모드로 전환된다고 해서 모두 랜덤 모드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경계 지역 내의 노드가 선정되면 퍼리미터 모드로 다시 전환되기 때문이다.
활동 소오스 s에서 도착지 b까지의 최단 경로의 길이는 d-홉이라고 하고, E(k)를 s로부터 k-홉 이동 한 후 그곳에서 b로의 최단 경로의 홉 수를 나타낸다(k>0). 그러면 맨 처음에는 s에서 아직 움직이지 않았으므로 E(0)=d이다. 이후, 1-홉 이동한 후에는 E(1) = E(0)-pg+(1-pg) = E(0)+(1-2pg)가 성립할 것이다. 왜냐하면 확률 pg만큼 b에 최단 거리가 되면서, 확률 (1-pg)만큼은 비최단(non-shortest) 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즉, E(0)=d, E(1)=E(0)+(1-2pg), E(2)=E(1)+(1-2pg), ..., E(k)=E(k-1)+(1-2pg)d인 관계식들이 성립한다. 고로, 정리하면 E(k)=d+k(1-2pg)를 얻는다. 그런데 k-홉 이동 후 도착지 b에 다 달았다면 E(k)=0이므로, 곧 d=k(2pf-1)가 성립된다. 이어서, 우리가 구하는 이동 홉 수 즉, 경로의 길이 k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84772886-PAT00004
다시 말해, 최단 경로의 길이 d보다 GSLP-w는
Figure 112008084772886-PAT00005
배의 더 큰 경로를 이용한다. 여기서 2pg-1>0 즉, 1/2<pg≤1인 조건을 언제나 만족하여야 전송 메시지가 도착지 b에 도착(수렴)한다. 그렇지 않다면 전송 메시지는 계속해서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로 발산하여 다음-홉을 선정하는 절차가 반복될 것이다.
예를 들어 pg=0.7이면 1/(2·0.7-1) = 1/0.4 = 2.5이므로 최단 경로보다 2.5배 긴 경로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앞의 연구들과 같이 단순히 안전 기간만을 늘리기 위해 긴 경로만을 구성하길 원한다면 가능한 pg값을 1/2에 가깝게 설정하면 된다. 또는, 최단 거리에 비해 몇 배 더 긴 경로를 원하는 지를 결정하고 이를 위한 pg값을 선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경로 길이가 길어짐으로 인한 과도한 지연 문제를 완화시키고, 또한 메시지 전달 과정 중에 만나게 되는 보호 대상들을 우회하면서 자연적으로 경로 길이가 증가됨을 고려할 때 지나치게 pg값을 너무 작게 하는 것은 좋은 방법은 아니다. 그리고 이러한 값은 보호 대상이 하나일 때는 설정된 대로 적용이 가능하지만, 보호 대상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경계 지역들이 다수 존재하여 이들에 따른 퍼리미터 라우팅이 빈번히 수행되어 설정된 값의 영향이 줄어들게 된다.
분명한 것은 그리디 모드에서 선정된 노드는 언제나 목적지로의 홉 수를 단축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prw -s나 TTLrw는 설정 가능한 값이지만 prw -c와 pp는 네트워크 내의 휴면 소오스들의 수 Ns와 이들의 분포 패턴 그리고 경계 지역 변수 β의 크기 등에 따라 다르게 되는 값이다.
GSLP-w의 소오스 위치 보호 수준과 성능 평가를 위한 수행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개시한다. 먼저, 시뮬레이션을 위해 가정된 사항과 주요 파라미터들을 설명한다.
소오스 위치 보호 라우팅과 관련된 보안 수준 및 성능 평가를 위해 아직까지 널리 사용되는 공개된 시뮬레이션 도구는 없다. 본 발명을 위해 다른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시뮬레이션 도구를 자체 제작하였는데, Java로 작성한 시뮬레이션 S/W는 약 5,400라인으로 수행 파일크기는 541Kbyte정도이다. 기능은 물리 층이나 MAC(Medium-Access Control) 층을 포함하지 않고 소오스 위치 보호 라우팅 알고리즘 PR-SP와 GSLP-w의 구현에 국한하였다. 네트워크 내의 생성 트래픽은 유사 연구들처럼 low-duty cycle 모델을 가정하여 s로부터 전송된 메시지가 기지국 b에 도착한 후에 다음 메시지가 발생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동안 활동 소오스는 오직 하나만 존재하며 보호 대상들은 이동하지 않아 소오스 노드들의 바뀌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측정 항목은 활동 소오스의 NSP와 NDL이며, 다른 연구들과 같이 매 측정시마다 추적자의 시작 위치는 기지국으로 하였다.
네트워크는 평균 차수가 8인 노드 50,000개가 균등하게 분포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휴면 소오스들은 무작위로 네트워크 내에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하되, 편의상 활동 소오스와 기지국으로부터 6r 이내에는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험하였다(r은 신호 도달 거리). 시뮬레이션 결과는 토폴러지 100개를 생성하여 시뮬레이션을 한 후, 얻어진 값들 중 최고치 10개와 최소치 10개를 제외한 나머지 80개에 대한 평균이다. 사용된 주요 파라미터들과 설정 값은 도 7과 같다. 다만, 휴면 소오스들의 수 Ns가 N의 1% 이상인 경우에는 경계 지역을 우회하는 기능이 없는 PR-SP은 경로 설정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또한, 일반성을 잃지 않고 Ns≪ N임을 가정하여 Ns가 1% 이하인 경우를 먼저 고려하였다. 이후, 경계 지역을 우회하는 기능이 있는 GSLP-w에 한해 휴면 소오스들이 더 많이 존재하는 경우에서의 평가를 위해 1.0% ≤ Ns ≤ 2.5%인 범위까지 확대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도입된 안전 기간(safety period)과 전달 지연(delivery latency)을 이용하여 소오스 위치 보호 라우팅 방안을 평가하였다. 안전 기간은 기지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소오스 노드(즉, 활동 소오스)가 공격자에게 자신의 위치가 노출되기 전까지 전송한 메시지 수이다. 즉, 안전 기간은 라우팅 방안들 간의 상대적인 보안 수준을 비교하는 요소이다. 성능관련 평가 항목인 전달 지연은 안전 기간에 해당하는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경로의 평균 홉 수로 정의된다. 이상적인 라우팅 방안은 긴 안전 기간과 낮은 전달 지연을 제공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GSLP-w와 비교되는 PR에서는 모두 속임수 메시지나 다중경로(multipath) 등을 이용하지 않고 단일 경로를 사용하므로 경로별 평균 전달 지연은 곧 경로당 발생 메시지의 평균수와 동일하므로 발생 메시지를 별도로 평가하지 않는다. 아울러, 메시지를 전송 중인 활동 소오스뿐만 아니라 비록 메시지를 전송 중이지는 않지만 위치 보호가 필요한 대상에 이웃한 노드들을 고려하므로 다음과 같이 수정된 의미로 안전 기간을 재 정의한다.
수정된 안전 기간: 위치 보호가 필요한 보호 대상에 근접한 어떠한 노드(즉, 휴면 소오스)의 위치도 발각되지 않은 상태에서 활동 소오스가 공격자에게 노출되기 전까지 기지국으로 전송한 메시지의 총 수.
기존 연구에 의하면 활동 소오스와 기지국 간의 거리가 길면 높은 안전 기간과 긴 전달 지연을, 반대로 가까우면 낮은 안전 기간과 짧은 전달 지연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안전 기간과 전달 지연 평가 시, 추적자의 초기 추적 위치로는 기지국을 가정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활동 소오스와 기지국 간의 최단 홉 수에 대한 상대적인 안전 기간과 전달 지연 즉, 활동 소오스와 기지국 간의 최단 홉 수로 각기 안전 기간과 전달 지연을 나누어 얻어진 정규 안전 기간(NSP: normalized safety period)과 정규 전달 지연(NDL: normalized delivery latency)을 사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최단 거리 라우팅에 비해 몇 배의 안전 기간과 몇 배의 전달 지연을 갖는지 상대적인 정량화가 가능하다.
도 8에 휴면 소오스 노드 수 Ns가 전체 노드 수 N의 0.4%인 경우, GSLP-w에 의해 설정된 경로들의 궤적들을 나타냈다. 휴면 소오스들은 네트워크상에 균등하게 분포되며, 경로당 하나의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 w=1인 경우를 가정했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일반 노드들은 나타내지 않고, 휴면 소오스들과 기지국 그리고 활동 소오스 노드만 점으로 나타내었다. 각각의 휴면 소오스는 두 개의 원들로 둘러싸여 있는데 내부의 원은 α=r인 노출 영역을, 외부 원은 β=2r인 경계 지역이다. 공격자의 위치 추적은 좌측 하단의 기지국에서 시작되었고, 그 추적 경로는 반지름이 r인 굵은 원들로 이동 홉마다 나타내었다. 활동 소오스(우측 상단의 큰 원안에 존재하는)로부터 전달된 메시지가 이용한 경로는 가는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는 활동 소오스의 위치는 탄로가 나 수행이 종료되었지만 모든 휴면 소오스들은 경계 지역을 우회하는 기능에 의해 그 위치들이 보호되었다.
기지국과 활동 소오스 간의 최단 거리 홉 수 hs -b는 50이었고, 랜덤 모드를 시행할 확률은 prw -s = 0.05였다. 따라서 hs -b??prw -s = 50??0.05 = 2.5개의 노드에서 랜덤 모드로 진입하였고, 진입 후에는 hs-b의 5%~10% 즉, TTLrw ∈ [3, 5]의 범위에 속하는 홉만큼 최대로 랜덤 모드가 지속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정규 안전 기간 NSP = 4.38이었는데, 이는 활동 소오스 s가 공격자에게 위치가 발각되기 전까지 기지국 b로 (평균적으로) hs -b??NSP = 50??4.38 = 219개의 메시지를 전송하였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과의 최단 홉 수의 4.38배의 메시지를 보냈으며, 사용된 경로의 수는 w = 1이므로 총 219개이다. 정규 전달 지연 NDL = 1.50이므로 사용된 경로 의 평균 홉 수는 기지국과의 최단 홉 수의 1.5배 즉, hs -b ·NDL = 50·1.50 = 75.0이다.
활동 소오스와 기지국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경로들이 좌우로 거의 고르게 설정된 편이다. 이는 활동 소오스에 의해 지정되는 퍼리미터 라우팅의 규칙 즉, left-hand 규칙과 right-hand 규칙이 번갈아가며 지정되었기 때문이다. 만약, 추적자를 어느 한쪽으로 유인해 놓은 경우, 다른 한쪽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들은 안전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안전한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 수가 늘어나면 안전 기간도 증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어떠한 경우에라도 이용 가능한 경로들이 풍부하여야 이러한 점들이 보다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설 하에서 제안된 전송 메시지 수 w를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고려하였다. 단, hs -b는 활동 소오스 s와 기지국 b 간의 최단 홉 수로 hs -b = |L(s)-L(b)|/r로 설정하였다.
w=1: 기존 다른 연구들에서와 같이 하나의 메시지를 전송
w∈1Q: 경로당 전송 메시지들의 수가 비교적 적은 경우를 고찰하기 위해 hs -b의 첫 번째 1/4에 해당하는 [1, hs-b/4] 범위에서 무작위로 선정
w∈2Q: [(hs -b/4)+1, hs-b/2] 범위에서 무작위로 선정
w∈3Q: [(hs -b/2)+1,(3hs -b)/4] 범위에서 무작위로 선정
w∈4Q: 경로당 메시지 전송 수가 비교적 큰 경우를 고려하기 위해 [((3hs - b)/4)+1, hs-b] 범위에서 임의로 선정
w∈2/3Q: hs -b의 중간을 기준으로 선정되는 경우를 고려하기 위해 [(hs -b/4)+1,(3hs-b)/4]의 범위에서 무작위로 선정
먼저, 경로당 전송 메시지 수 w와 휴면 소오스들의 수 Ns의 증가에 따른 위치 보호 수준과 전달 지연 특성을 알아보았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소오스 위치 보호 라우팅의 가장 대표적인 방안인 PR-SP와 비교하였다. 여기서, PR-SP는 PR의 라우팅 단계인 최종 목적지인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최단 경로 알고리즘에 의한 단일 경로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도 9a 내지 도 9c에 측정된 NSP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PR-SP는 휴면 소오스가 존재하는 영역(노출 영역)을 우회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Ns의 증가에 따라 메시지 전달 과정에서 휴면 소오스의 위치가 노출됨으로 인해 전송 메시지 수(즉, NSP)가 급속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여기서, 휴면 소오스가 존재하는 경우의 안전 기간은 상기에서 정의한 것처럼 "어떠한 휴면 소오스의 위치도 발각되지 않은 상태에서 활동 소오스가 공격자에게 노출되기 전까지 기지국으로 전송한 메시지의 총수"이다. PR-SP의 경우 hs -b가 길어짐에 따라 더 많은 수의 경계 지역을 경유하여야 하므로 hs -b가 증가에 따라 NSP의 감소가 더 빨리 진행되었다. 예를 들면, 도 9a, 9b 및 9c에서 Ns가 0.0%에서 0.4%로 증가함에 따른 NSP의 하락 폭은 약 1.3, 2.2 및 3.8로 늘어났다. 이와 달리, 제안된 GSLP-w의 경우에는 퍼리미터 라우팅 기 능에 의해 노출 영역을 포함한 경계 지역을 우회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Ns가 증가하더라도 커다란 변화 없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일부는 Ns의 증가에 따라 국소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는 휴면 소오스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노출 영역을 우회하는 빈도도 높아지고 따라서 메시지 전달 경로의 길이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주의할 점은 비교적 활동 소오스와 기지국 간의 거리가 짧은 경우(도 9a)에서는 전체적으로 PR-SP의 NSP가 제안된 GSLP-w보다 더 높았다. 이는 도 7에 주어진 랜덤 모드에서 이용되는 파라미터 prw -s = 0.05로 낮게 설정된 것도 하나의 이유이다. 또한, 파라미터 TTLrw도 2(최소치)에서부터 hs -b의 5%~10% 범위에서 선정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즉, hs -b=30의 경우 TTLrw∈[2, 3]에 불과하여 다양한 경로들이 설정되지 못하는 것도 이유이다. 따라서 prw -s나 TTLrw를 증가시킴으로써 더욱 높은 NSP를 얻을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한다.
GSLP-w는 hs -b와의 거리에 비례하여 hs -b가 길수록 그리고 Ns의 밀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NSP를 나타내었다(도 9b 및 도 9c). 특히, Ns> 0.4%과 hs -b≥50인 경우, GSLP-w는 PR-SP보다 모두 높은 NSP를 나타내었다. hs -b=70인 경우(도 9c) PR-SP는 Ns가 0.6%을 지나면서부터 NSP가 1.0 이하가 되었다. 이는 활동 소오스에서 전송한 메시지 수가 활동 소오스와 기지국 사이의 최단 홉 수 hs-b보다도 더 적은 수의 메시지들을 보내는 동안에 추적 과정에서 어떤 휴면 소오스의 위치가 발각되어 조기 에 위치 추적이 종료되었기 때문이다.
GSLP-w의 여러 가지 w 값 중에서는 hs -b의 첫 번째 1/4에 해당되는 범위 1Q 즉, [1, hs -b/4]에서 선정되는 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메시지들을 보내는 경우가 가장 높은 NSP를 제공하였다. 선정 범위가 1Q, 2Q, 3Q, 4Q등으로 증가할수록 동일한 Ns에 대해 NSP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2/3Q의 경우는 대체로 2Q와 3Q의 범위 내에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w가 1Q와 2Q의 범위인 경우가 상위 그룹에 속하였고, 2/3Q는 중간을, 그리고 3Q와 4Q인 경우가 하위 그룹에 해당 되었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들처럼 경로당 하나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중간이거나 중간을 약간 상회 하였다. 특히, Ns가 증가할수록 w∈1Q인 경우와 w∈4Q인 경우의 차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Ns가 증가할수록 설정 경로의 길이는 증가하지만 이용되는 경로들의 수는 줄어들고 경로들 간에 중복되는 노드들의 수가 증가하여 w∈4Q인 경우가 가장 낮았다고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휴면 소오스가 존재하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비교적 적은 수의 메시지들을 경로당 보내는 것이 단일 메시지나 많은 수의 메시지를 보내는 것보다 더 높은 안전 기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9a ~ 도 9c의 NSP를 제공한 경로들의 측정된 평균 경로 길이 즉, 정규 전달 지연 NDL을 나타내면 도 10a ~ 도 10c와 같다. PR-SP는 노출 영역이나 경계 지역에 관계없이 즉, 우회 없이 경로를 설정하므로 Ns의 증가와 무관하게 거의 일정한 정규 전달 지연 NDL을 나타냈다. 반면, 제안된 GSLP-w는 Ns의 증가에 따라 경로의 길이가 증가하면서 NSP가 증가하였고 따라서 NDL도 늘어났다. 하지만, 서로 다른 w 값에 대한 상호 간의 차이는 Ns의 증가하더라도 약 0.2 이내에 머물러 도 9a ~ 도 9c의 NSP간의 차이처럼 크지 않았다. GSLP-w의 NDL이 가장 큰 경우(도 10c)에도 PR-SP와 비교할 때도 최대 0.5를 넘지 않았다. NDL의 최대치는 도 10c처럼 hs-b와 Ns가 최대인 경우에 발생하였다. 최대 지연은 1.85였으며 평균치 1.53을 나타내었다.
도 10b와 도 10c에서는 Ns의 증가에 따른 경계 지역이 늘어나 퍼리미터 모드가 빈번히 수행되게 되고 일부 리트리트 모드가 발생하여 경로 길이가 늘어나 NDL이 증가하였다. 한편, 흥미롭게도 GSLP-w가 PR-SP에 비해 더 높은 NSP를 나타내어도 NDL은 오히려 더 낮아지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도 9b와 도 10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hs -b=50일 때 Ns=0.4인 근처가 이에 해당된다. 또한, hs -b=70일 때는 Ns가 약 0.05%<Ns<0.4%인 범위에서 더 낮은 전달 지연으로 더 높은 안전 기간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높은 안전 기간을 위해 긴 경로를 일방적으로 선호하거나 경로당 단일 메시지의 전송을 고수하는 관점을 탈피하여 더욱 많은 메시지를 더 짧은 길이의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라우팅 전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요약하면, 휴면 소오스들이 존재하는 경계 지역들을 우회하는 기능이 있는 GSLP-w가 Ns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hs -b가 길수록 PR-SP보다 높은 정규 안전 기간 NSP 를 제공하였다. GSLP-w에서는 w∈1Q인 경우 전달 지연 증가대비 증가된 안전 기간을 고려할 때 가장 우수하였다.
제안된 GSLP-w의 안전 기간과 전달 지연을 휴면 소오스들의 수 Ns가 높은 경우에 대해 시뮬레이션 한 결과는 도 11a 및 도 11b와 같다. 여기서는 1.0%≤Ns≤2.5%에서 가장 높은 NSP를 제공한 w1Q인 GSLP-1Q와 비교를 위해 w=1인 GSLP-1만을 나타내었다. Ns가 2.5%를 넘는 경우에는 설정 가능한 경로들이 거의 존재하지 않거나 그 수가 매우 작아 더 이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지 않았다. 참고로 도 10a 내지 도 10c에서 나타내었던 다른 w 값에 대한 결과는 GSLP-1Q보다 낮은 NSP를 보였는데, 그림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였다. 데이터 라벨의 괄호 안에는 활동 소오스와 기지국 간의 홉 수 hs-b의 값을 넣어 홉 수를 나타낸다.
먼저, 도 11a를 보면 GSLP-1Q는 GSLP-1보다 같은 조건에서 높은 NSP를 제공하였다. 그 차는 hs -b가 증가함에 따라 더 컸다. 그리고 Ns=0,0%, 0.4%, 0.8%인 경우의 NSP를 나타낸 도 9와 비교하여 보면 hs -b=30와 hs -b=50일 때는 Ns=1.5%일 때가 최대였고, hs -b=70인 경우는 Ns=1.0%일 때가 가장 높았다. 이후 Ns의 증가와 함께 도 11a에서 보듯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는 Ns의 증가가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설정 가능한 경로의 수가 급감하면서 안전 기간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도 11b에는 전달 지연을 나타내었는데 NSP가 낮은 GSLP-1이 더 길었다. hs -b≥50이고 Ns≥2.0%부터는 전달 지연이 활동 소오스와 기지국 간의 최다 홉 수의 약 3.0배를 넘었고, 최고 4.0배까지 증가 되었다. 이는 퍼리미터 모드가 빈번해져 경로의 길이가 매우 커졌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Ns가 매우 높은 경우에서도 GSLP-1Q가 GSLP-1에 비해 더욱 낮은 전달 지연 NDL로 더욱 높은 안전 기간 NSP를 제공하였다.
GSLP-w의 랜덤 모드에서는 다양한 노드들이 서로 다른 경로들을 구성하도록 두 가지 파라미터가 주어진다. 하나는 prw -s로 랜덤 모드를 시행할 확률이고, 다른 하나는 랜덤 모드를 지속 적용할 홉 수 TTLrw이다. 도 7에 나타나듯이 prw -s=0.05로 비교적 낮게 잡았으며, TTLrw역시 hs -b의 5~10%의 범위에서 선정되어 hs -b=30일 때는 불과 2 또는 3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GSLP-w가 원래 수천 내지 수 만개 이상의 많은 노드로 구성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있어서 휴면 소오스를 고려한 소오스 위치 보호 라우팅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hs-b가 상대적으로 길면서 휴면 소오스들로 인해 퍼리미터 라우팅을 수행하면 설정 경로의 길이가 늘어나 간접적으로 랜덤 모드와 유사한 효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도 9c참조). 그럼에도, hs-b가 상대적으로 짧거나 휴면 소오스 노드들의 밀도가 낮은 환경에서 prw -s와 TTLrw을 증가시켜 GSLP-w의 소오스 위치 보호 수준과 성능이 어떻게 향상되는지 시뮬레이션해보았다. 논의는 GSLP-w 중 NSP에 관하여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던 GSLP-1Q와 비교 대상 PR-SP만을 고려한다.
도 9a 내지 도 9c에서 GSLP-w가 가장 낮은 NSP를 보였던 hs -b=30인 경우를 고려하였다. 결론은 prw -s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TTLrw를 증가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도 7의 초기 TTLrw를 1배(=ㅧ1), 2배(=ㅧ2), 3배(=ㅧ3) 및 4배(=ㅧ4)로 증가시켜보았다. 즉, TTLrw이 각기 [2, 3], [4, 6], [6, 9], [8, 12]의 범위에서 무작위로 선정되어 사용되었는데, GSLP-w의 NSP는 도 12a 및 도 12b와 같다. 전체적으로 TTLrw의 증가에 비례하여 NSP도 늘어나다가 Ns=0.4%를 넘어가면서부터는 대부분 감소하였다. TTLrw의 증가에 의한 효과는 Ns=0.4%에서 대체로 가장 높았다. Ns의 증가에 따라 TTLrw의 증가에 의한 효과가 일정 수준에서 감소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 즉, Ns가 증가함에 따라 경계 지역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메시지 전달 노드 선정 과정에서 perimeter 모드로의 전환이 빈번해져 TTLrw의 증가 효과가 더 이상 지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Ns의 증가함에 따라 PR-SP의 NSP는 급속히 감소되어 Ns≥0.4%인 경우, GSLP-1Q는 단지 TTLrw를 2배 증가시켜도 더 높은 안전 기간을 나타내었다.
한편, 도 12처럼 hs -b=30인 경우 TTLrw 대신 prw -s=0.05를 1배(=0.05), 2배(=0.1), 3배(=0.15) 및 4배(=0.2)로 증가시킨 경우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본 설명에서 그림은 제공되지 않았다).
Ns=0.0%인 경우 prw-s의 증가에 비례하여 GSLP-1Q의 NSP가 모두 증가하였지만 PR-SP를 능가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Ns가 증가하면서부터 PR-SP의 NSP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PR-SP보다 높은 NSP를 보였다. 전체적으로는 3.5를 넘지 않아 TTLrw를 증가시킨 경우의 최고치 5.21(도 12a)에 비해 다소 낮았다.
중규모 및 대규모 네트워크를 고려하여 hs -b=50과 70일 경우에서 GSLP-1Q에 대해 TTLrw를 증가시킨 경우의 NSP와 NDL에 대해서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본 설명에서 그림은 제공되지 않았다).
hs -b=50에서 GSLP-1Q의 TTLrw을 2배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모두 PR-SP보다 높은 NSP를 제공하였다. hs -b=70인 경우에서는 Ns가 약 0.2% 이하에서 TTLrw가 증가하지 않은 경우 즉, x1인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경우에서 PR-SP보다 높은 NSP를 보여 주었다. TTLrw를 4배 증가하면 PR-SP의 NSP의 약 2배가 되었다. Ns가 높아짐에 따라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퇴각이 발생하여 경로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었고, hs-b의 두 배를 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hs-b=70인 경우 GSLP-1Q의 TTLrw를 4배로 증가한 경우의 NDL은 평균 2.03 이였고, 최소는 Ns=0.0%에서 1.76, 최대는 Ns=0.8%에서 2.29였다.
결국, 랜덤 모드를 시행할 확률 prw -s을 높이기보다는 랜덤 모드의 적용 홉 수 TTLrw를 늘리는 것이 안전 기간을 높이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이는 TTLrw의 증가가 경로 길이의 신장과 다양한 노드들에 의한 경로 구축 효과가 더 컸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휴면 소오스들이 존재하는 대규모 센서 네트워크에 있어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면서 메시지 전달 지연을 줄일 수 있는 라우팅 방안으로 GSLP-w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라우팅에서는 메시지를 전송 중인 활동 소오스만이 아니라 위치 보호가 요구되는 대상들에 근접한 휴면 소오스 노드들의 위치도 보호하는 보다 일반적인 경우를 고려하였다. 메시지 전달 노드의 선정은 일정 확률로 그리디 모드와 랜덤 모드에 의해 결정하며, 위치 보호가 필요한 경계 지역 내의 노드가 선정되는 경우에는 퍼리미터 라우팅에 의해 대체 노드로 우회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경로당 전송 메시지 수는 하나로 제한하지 않고 w개 확장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안전 기간을 늘리면서도 경로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었다. w가 메시지 송신자와 목적지 사이의 최단 홉 수의 첫 번째 1/4에 해당하는 범위에서 무작위로 선정될 때 가장 높은 소오스 위치 기밀을 제공하였다. 또한, 메시지 전달 모드에서 랜덤 모드의 적용 확률과 적용 홉 수를 증가시키면 보다 향상된 안전 기간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였다. 그리고 메시지 전달 지연은 소오스와 목적지 노드 간의 최단 홉 수의 2배 이내에 대부분 머물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 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휴면 소오스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 예시도.
도 2는 소오스 노드에 의한 경계 지역 및 노출 영역 설정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a는 전송 메시지의 포맷이고, 도 4b는 라우팅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활동 소오스의 수행 절차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중간 노드의 수행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GSLP_w의 경로 설정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요 파라미터의 설정 값을 나타낸 테이블.
도 8은 GSLP_w에 의한 설정된 경로들의 예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휴먼 소오스들의 증가에 따른 정규 안전 기간(NSP)의 변화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휴먼 소오스들의 증가에 따른 정규 전달 지연(NDL)의 변화도.
도 11a 및 도 11b는 휴먼 소오스들의 수가 큰 경우의 GSLP-1Q에 따른 NSP 및 NDL의 변화도.
도 12a 및 도 12b는 TTLrw의 증가에 따른 NSP와 NDL의 변화도.

Claims (10)

  1.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기 위한 라우팅 방법에 있어서,
    최단 거리 라우팅을 지향하는 탐욕적 송출 기법과 일정 홉 동안 무작위로 경로를 전개하는 랜덤 라우팅 기법을 각기 일정 확률로 수행하는 제1과정; 및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하는 도중 휴면 소오스들이 존재하는 곳에 근접하는 경우, 경계 지역을 우회하도록 하여 휴면 소오스의 위치를 추적자의 추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현재 노드에서 이웃 노드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송 메시지 형식에서 일정 홉 동안 무작위로 경로를 전개하는 랜덤 모드의 지속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TTLrw)를 검색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색결과 랜덤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홉이 존재할 경우, 그 홉만큼 지속적으로 랜덤 모드를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검색결과 랜덤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홉이 비 존재할 경우, 주어진 확률(Prw-s)에 대해 랜덤 모드로 진입할 변수를 생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생성한 변수가 상기 주어진 확률(Prw-s)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랜덤 모드로 재진입하고, 상기 생성한 변수가 상기 주어진 확률(Prw-s)보다 클 경우 그리디 포워딩을 수행하는 그리디 모드로 진입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그리디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는 목적지에 가장 근접한 이웃 노드를 다음 노드로 선정하여 최단거리 라우팅을 수행하는 단계와 랜덤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는 도착로의 거리를 증가시키지 않는 임의의 이웃 노드를 선정하여 임의성을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휴면 소오스의 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경계 지역을 설정하고, 라우팅 도중에 상기 경계 지역 내에 설정된 휴면 소오스에 근접하면 퍼리미터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경계 지역을 우회하되, 현재의 노드에서 도착지로의 직선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가장 가깝게 존재하는 노드를 다음 노드로 선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 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 후 경로 전개가 불가능할 경우 리트리트 모드로 진입하여 현재 노드에서 이전의 노드로 메시지를 되돌려주는 제3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메시지를 되돌려받게 되면 이전의 노드는 그리드 모드로 진입하여 앞서 방문한 이웃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이웃 노드들을 대상으로 다음 홉 노드를 새로이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메시지 형식은,
    도착지 노드의 좌표를 나타내는 Destination_Coordinate 필드; 활동 소오스 노드의 좌표를 나타내는 Source_Coordinate 필드; 메시지 전달 노드를 선정하는 방법이 기재된 Mode 필드; 랜덤 모드로 지속할 홉 수를 나타내는 TTLrw 필드; 퍼리미 터 모드에서 다음 노드를 설정할 left-hand 규칙(0) 또는 right-hand 규칙(1)을 나타내는 Detour_Rule 필드; 동일 경로로 전달될 메시지가 남아 있는지를 알려주는 More 필드; 전송 메시지의 순번을 나타내는 Send_Sequence_Number 필드; 사용 정보 길이를 나타내는 Size_of_User_Data 필드;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User_Data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경계 지역은 네트워크 내의 노드 밀도를 고려하되, 노드 밀도가 낮은 경우 보호 대상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지름을 갖는 노출 영역을 포함한 반지름을 크게 하여 노출 영역 안으로의 메시지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거리 라우팅을 적용하여 활동 소오스를 출발한 메시지가 목적지에 도착하기까지 경유하는 홉 수 d보다 아래와 같은 수식에 의해 k배 더 길어지는 홉 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수식>
    Figure 112008084772886-PAT00006
    (단, 0<Pg<1/2)
    여기서, Pg는 그리디 모드가 수행될 확률을 나타낸다.
  10. 제1항에 있어서, 경로당 w개의 메시지 전송 시, 경로당 단일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포함하여 w를 메시지 전송자인 활동 소오스와 기지국 사이의 홉 수
    Figure 112008084772886-PAT00007
    의 첫 번째 1/4에 해당하는
    Figure 112008084772886-PAT00008
    범위에서 무작위로 선정하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보안 수준을 가장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KR1020080124799A 2008-12-09 2008-12-09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KR101039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799A KR101039581B1 (ko) 2008-12-09 2008-12-09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799A KR101039581B1 (ko) 2008-12-09 2008-12-09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131A true KR20100066131A (ko) 2010-06-17
KR101039581B1 KR101039581B1 (ko) 2011-06-09

Family

ID=4236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799A KR101039581B1 (ko) 2008-12-09 2008-12-09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5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801B1 (ko) * 2012-11-22 2014-08-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7566984A (zh) * 2017-10-11 2018-01-09 大连理工大学 WSNs中基于一种扇形区域的源位置隐私保护方法
KR101958256B1 (ko) 2017-12-27 2019-03-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가명 프레임 워크 시스템 및 방법
CN109819437A (zh) * 2018-12-29 2019-05-28 杭州电子科技大学 WSN中基于Sink和网格的源节点位置隐私保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764B1 (ko) * 2002-07-06 2009-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익명성보장을 위한 무선 랜 시스템 및 사용자의익명성 보장방법
KR20070067590A (ko) * 2005-12-24 2007-06-2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싱크를 가진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안전한 라우팅기법
KR100827166B1 (ko) 2006-12-20 2008-05-02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스 센서의 익명성 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801B1 (ko) * 2012-11-22 2014-08-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7566984A (zh) * 2017-10-11 2018-01-09 大连理工大学 WSNs中基于一种扇形区域的源位置隐私保护方法
CN107566984B (zh) * 2017-10-11 2020-02-18 大连理工大学 WSNs中基于一种扇形区域的源位置隐私保护方法
KR101958256B1 (ko) 2017-12-27 2019-03-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연 허용 네트워크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가명 프레임 워크 시스템 및 방법
CN109819437A (zh) * 2018-12-29 2019-05-28 杭州电子科技大学 WSN中基于Sink和网格的源节点位置隐私保护方法
CN109819437B (zh) * 2018-12-29 2022-01-11 杭州电子科技大学 WSN中基于Sink和网格的源节点位置隐私保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581B1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jin et al. Trusted secure geographic routing protocol: outsider attack detection in mobile ad hoc networks by adopting trusted secure geographic routing protocol
Mershad et al. ROAMER: Roadside Units as message routers in VANETs
CN107835510B (zh) 一种基于幻影路由的无线传感器网络源节点位置隐私保护方法
CN110855375B (zh) 水声传感器网络中基于位置推送的源节点隐私保护方法
CN108848461B (zh) 一种基于动态环路由的WSNs源节点位置隐私保护方法
Christopher et al. Jellyfish dynamic routing protocol with mobile sink for location privacy and congestion avoidanc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Mutalemwa et al. Routing Schemes for Source Location Priva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A Survey: A Survey
Shi et al. An efficient distributed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mobile sinks
KR101039581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소오스 위치 기밀을 강화하는 라우팅 방법
CN107566984B (zh) WSNs中基于一种扇形区域的源位置隐私保护方法
CN113206784B (zh) 一种基于多路径随机路由的源位置隐私保护方法
Li et al. Enhanced location privacy protection of base st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Mutalemwa et al. Novel Approaches to realize the Reliability of location privacy protocols in monitoring wireless networks
Ghalib et al. Analytical study of wireless ad-hoc networks: types,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pplications, protocols
CN111542059A (zh) 一种基于动态树路由的WSNs源节点位置隐私保护方法
Lee et al. Radio-disjoint geographic multipath routing for reliable data transfer in lossy WSNs
Gupta et al. Anchor-based void detouring routing protocol in three dimensional IoT networks
Jaiswal et al. Stable geographic forwarding with link lifetime prediction in mobile adhoc networks for battlefield environment
Singh et al. A Brief Review on Position-based Routing Protocols in Flying Ad-hoc Networks
Jebaseelan et al. ArcRectZone: A Lightweight Curved Rectangle Vector Based Secure Routing for Mobile Ad-Hoc Sensor Network.
Nykorak et al. A wireless navigation system with no external positions
Tscha Routing for enhancing source-location priva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of multiple assets
Malwe et al. Location aware sector-based routing in wireless ad hoc networks
Dhurandher et al. Environment friendly green data broadcasting in delay-tolerant opportunistic networks
Sreejith et al. An energy efficient routing protocol for small world WSN using directional antenn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