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113A -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65113A KR20100065113A KR1020090119285A KR20090119285A KR20100065113A KR 20100065113 A KR20100065113 A KR 20100065113A KR 1020090119285 A KR1020090119285 A KR 1020090119285A KR 20090119285 A KR20090119285 A KR 20090119285A KR 20100065113 A KR20100065113 A KR 201000651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main body
- flow path
- electrolytic
- supply 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5—Ti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해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종래, 물을 저류(貯留)하는 저수부와, 이 저수부로부터 공급된 물로부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조와, 이 전해조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구를 구비하는 전해수 생성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DESCRIPTION OF RELATED ART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which has conventionally been known is provided with the water storage part which stores water, the electrolyzer which produces | generates electrolyzed water from the water supplied from this water reservoir, and the discharge port which discharges electrolyzed water produced | generated in this electrolyzer to the outsid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4-216349호 공보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16349
종래의 전해수 생성장치로는 전해조에 한번밖에 물을 통과시킬 수 없으므로, 규정 pH 값의 전해수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전해조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해조를 대형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since only one water can pass through the electrolytic ce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olytic cell must be enlarged in order to reliably obtain electrolytic water having a specified pH valu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전해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해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miniaturizing an electrolytic cell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장치는, 물을 저류하는 저수부와, 물로부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조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저수부와 상기 전해조를 경유하는 순환 유로와, 상기 순환 유로 내의 물을 유통시키는 유통 장치와, 상기 전해조 및 상기 유통 장치를 제어하여, 저수부와 전해조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면서 전해수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해수를 상기 저수부에 저류하는 전해수 생성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reservoir for storing water, an electrolytic cell for generating electrolyzed water from water,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the reservoir and the electrolytic cell, and water i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distributor, generating electrolyzed water while circulating water between the reservoir and the electrolytic cell, and performing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processing for storing the generated electrolyzed water in the reservoi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연결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torage portion is freely connect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는 물을 상기 본체부에 위치하는 상기 순환 유로에 공급하는 공급구와, 상기 본체부에 위치하는 상기 순환 유로로부터 물이 되돌려지는 귀환구를 갖고, 상기 급수구와 상기 귀환구에는 워터 스톱 밸브가 마련되 며, 상기 워터 스톱 밸브는 상기 저수부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공급구 및 상기 귀환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저수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는 상기 공급구 및 상기 귀환구를 폐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torage portion has a supply port for supplying water to the circulation flow path locat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a return port for returning water from the circulation flow path located in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water supply port and the return port The water stop valve is provided, wherein the water stop valve opens the supply port and the return valve when the reservoir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supply port and the reservoir when the reservoi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he return port is abolish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저수부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저수부가 본체부로부터 장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워터 스톱 밸브가 개변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저수부 사이를 항상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water storage portion, wherein the sealing member is the main body portion when the water stop valve is in a modified state in the process of mounting and detaching the water storage portion from the body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lways sealed between and the reservoi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는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규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유통 장치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해조로의 전압인가를 정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cell generates electrolyzed water by applying a voltage, and when the specified time elapses, the control unit stops the distribution device and executes a process of stopping application of voltage to the electrolytic cel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에서 배출되는 배수를 저류하는 배수부를 구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mounting and detachment are free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drain for storing the drainage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저수부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는 제 1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검지부가 상기 본체부에 상기 저수부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해수 생성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connection state of the water storage unit to the main body unit, and the first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water storage unit is not connected to the main body unit.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process is not execu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배수부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는 제 2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검지부가 상기 본체부에 상기 배수부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해수 생성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detecting portion detects that the drainage portion is not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second detecting portion that detect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drainage portion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process is not per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배출되는 배수를 저류하는 배수부와, 상기 배수부의 수량을 검지하는 제 3 검지부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검지부가 상기 배수부의 수량이 규정 수량에 도달한 것을 검지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해수 생성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rain portion for storing the drainage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a third detection portion for detecting the quantity of the drainage portion, wherein the third detection portion has reached the prescribed quantity When it detects, the said control part does not perform the said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process.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부에서 분리된 상태의 저수부에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부착되고, 상기 공급구 및 상기 귀환구를 막는 수용 용기를 구비한다.In this invention, it is equipped with the accommodating container which is attached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ter storage part separated from the main-body part, and blocks the said supply port and the said return por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 유로에 연통해서 상기 순환 유로 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유로와, 상기 순환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 전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 전환기는 상기 순환 유로를 열었을 때에는 해당 유로 전환기의 상류측의 상기 순환 유로와 상기 배수 유로의 연통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순환 유로를 닫았을 때에는 해당 유로 전환기의 상류측의 상기 순환 유로와 상기 배수 유로를 연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ain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irculation flow passage and draining the water in the circulation flow passage, and a flow passage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irculation flow passag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irculation flow path on the side and the drain flow path is interrupted, and when the circulation flow path is closed, the circulation flow path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low path switching unit communicates with the drain flow path.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순환 유로의 상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저수부에서의 물을 받아들이는 급수구와,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순환 유로의 하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저수부에 물을 되돌려주는 토수구와, 상기 급수구 및 상기 토수구에 마련되고, 물을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한다.In this invention, it is provided in the upstream part of the said circulation flow path in the said main body part, i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ort which receives water in the said water storage part, and is provided in the downstream part of the said circulation flow path in the said main body part, It is provided with the water discharge port which returns water to a water part, the said water supply port and the said water discharge port, and the filter which filters wat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순환 유로의 상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저수부로부터의 물을 받아들이는 급수구와,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순환 유로의 하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저수부에 물을 되돌려주는 토수구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저수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구와 상기 토수구를 덮는 커버를 구비한다.In this invention, it is provided in the upstream part of the said circulation flow path in the said main-body part, i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ort which receives water from the said water storage part, and is provided in the downstream part of the said circulation flow path in the said main body part, And a cover for covering the water supply port and the water discharge port in a state where the water storage pa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art and the water discharge port returns water to the water part.
본 발명에 있어서, 물을 여과하는 정수 카트리지가 마련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for filtering water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저수부와 전해조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면서 전해수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해수를 저수부에 저류 하는 것에 의해, 저수부의 물을 복수 회 전해조에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전해조에 한번밖에 물을 통과시킬 수 없는 구조에 비하여, 전해조를 소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lyzed water is generated while water is circulated between the reservoir and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generated electrolytic water is stored in the reservoir, thereby allowing the water of the reservoir to pass through the electrolytic cell a plurality of time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hich cannot pass water, an electrolytic cell can be miniaturized.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도 1∼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해수 생성장치(1)는 물로부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조(2)를 갖는 본체부(3)와, 이 본체부(3)의 상면에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연결되어 물을 저류하는 저수부(4)와, 본체부(3)의 하부에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연결되어 본체부(3)로부터 배출되는 배수를 저수하는 배수부(5)와, 해당 장치(1)의 각 부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6)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3)에 저수부(4)가 연결한 상태에서는, 저수부(4)에 마련된 공급구(10)와 본체부(3)에 마련된 급수구(11)가 연통하는 동시에, 저수부(4)에 마련된 귀환구(12)와 본체부(3)에 마련된 토수구(吐水口, 13)가 연통하여, 저수부(4)와 전해조(2)를 경유하는 순환 유로(14)가 형성된다. 이 순환 유로(14) 내의 물은 본체부(3)에 마련된 유통 장치로서의 펌프(15)에 의해 유통되도록 되어 있다. 전해수 생성장치(1)는 제어부(6)에 의해 각 부를 제어하고, 저수부(4)와 전해조(2)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면서 전해수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해수를 저수부(4)에 저류함과 동시에, 본체부(3)에서 발생한 배수를 배수부(5)로 배수한다. 여기에서, 물은 예를 들면 수돗물이나 우물물, 하천물 등이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electrolyzed
이하, 전해수 생성장치(1)의 각 부를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part of the
저수부(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된 포트 케이스(16)를 갖고 있다. 이 포트 케이스(16)의 통 내에는, 바닥이 있는 대략 통형상의 격벽체(17)가 수용되어 있고, 이 격벽체(17)에 의해, 포트 케이스(16)의 통 내부가 상측의 대략 절반을 이루는 원수실(原水室, 18)과 하측의 대략 절반을 이루는 정수실(19)로 구획되어 있다. 원수실(18)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고, 원수실(18)에 공급된 물은 정수 카트리지(20)를 지나 정수실(19)로 공급되어 공급구(10)로 흐른다. 포트 케이스(16) 및 격벽체(17)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 그들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목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격벽체(17)의 저벽(17a)에는, 아래쪽을 향해서 오목하게 마련된 대략 원통형의 오목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7b)에 정수 카트리지(20)가 위쪽으로부터 안쪽까지 꼽혀 장착된다. 오목부(17b)의 저벽에는 개구(17c)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정수 카트리지(20)는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20a)를 갖고 있으며, 이 케이스(20a)의 상부에는 도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한편, 하부에는 유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정수 카트리지(20)는 케이스(20a)의 내부에, 예를 들면, 입상 혹은 분 상의 활성탄 등의 흡착제와, 예를 들면, 중공사막 등의 여과재가 수용되어 있다. 정수 카트리지(20)가 오목부(17b)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정수 카트리지(20)의 상부가 원수실(18) 내에 노출되어 이 상부에 형성된 도수구(導水口)가 원수실(18)에 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정수 카트리지(20)의 하단부가 개구(17c)로부터 정수실(19) 내에 노출되어 이 하단부에 형성된 유출구가 정수실(19)에 면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원수실(18) 내의 원수는 정수 카트리지(20)의 도수구로부터 정수 카트리지(20) 내에 도입되고, 정수 카트리지(20)는 도입된 원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흡착제로 흡착한 후, 여과재에 의해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하여 물을 정화하고, 정화 후의 물(정수)을 유출구로부터 정수실(19) 내로 방출한다. 이러한 물의 유통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원수실(18)의 위쪽에는, 급수구(22a)가 형성된 천장벽(22)이 배치되어 있다. 급수구(22a)는 천장벽(2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상 개방식의 덮개(2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혀 있다. 원수는 덮개(23)를 위쪽으로 연 상태에서 급수구(22a)를 거쳐서 원수실(18) 내로 공급된다.Above the
격벽체(17)의 측벽과 포트 케이스(16) 사이에는, 정수실(19)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연장하는 유로(24)가 형성되어 있고, 포트 케이스(16) 또는 천장벽(22)에는 유로(24)의 상단부가 되는 위치에, 주수구(24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3)로부터 분리한 포트 케이스(16)를 주수구(24a)가 아래쪽이 되도록 경도시키는 것으로, 정수실(19) 내에 저류된 정수를, 유로(24)를 거쳐서 주수구(24a)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주수구(24a)는 포트 케이스(16) 혹은 천장벽(2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 개방식의 덮개(25)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혀 있다. 이 경우, 포트 케이스(16)를 기울였을 때에, 덮개(25)를 자중이나 물의 동압 등에 의해 회동시켜, 주수구(24a)를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Between the side wall of the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 케이스(16)의 정수실(19) 저벽에는 저수부 4 (정수실 19) 내의 물을 본체부(3)에 위치하는 순환 유로(14)에 공급하는 공급구(10)와, 본체부(3)에 위치하는 순환 유로(14)로부터 물이 되돌려지는 귀환구(12)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 4 and FIG. 5,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part 4 (water treatment chamber 19) is supplied to the
공급구(10)는 본체부(3)의 급수구(11)에 연통하는 한편, 귀환구(12)는 본체부(3)의 토수구(13)에 연통한다. 급수구(11)는 본체부(3)에 있어서의 순환 유로(14)의 상류부에 마련되어, 저수부(4)로부터의 물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또한, 토수구(13)는 본체부(3)에 있어서의 순환 유로(14)의 하류부에 마련되어, 저수부(4)로 물을 되돌리는 것이다. 공급구(10)와 급수구(11) 사이 및 귀환구(12)와 토수구(13) 사이는, 밀봉 부재로서의 O링(26)에 의해 밀봉되어 수밀성이 확보된다. 또한, 공급구(10) 및 귀환구(12)에는 워터 스톱 밸브(27)가 마련되어 있다.The
공급구(10) 및 귀환구(12)는 동일 구조이며, 그들에 마련된 워터 스톱 밸브(27)끼리도 같은 구조이고, 또한, 급수구(11)와 토수구(13)도 같은 구조이므로, 그들의 설명으로서, 공급구(10)와, 공급구(10)에 마련된 워터 스톱 밸브(27)와, 급수구(11)를 예로 설명한다. 도 5∼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터 스톱 밸브(27)는 공급구(10)에 형성된 밸브 시이트부(27a)와, 이 밸브 시이트부(27a)에 대하여 이착좌(離着坐) 가능한, 예를 들면 고무제의 밸브 본체(27b)와, 이 밸브 본체(27b) 에 고정된 봉체(27c)와, 밸브 본체(27b)를 밸브 시이트부(27a)에 착좌시키는 탄성부재(27d)를 갖는다. 봉체(27c)는 공급구(10)의 개구를 직경방향으로 횡단하도록 공급구(10) 내에 배치된 지지 부재(27e)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지지 부재(27e)의 단면이 표시되고 있기 때문에, 공급구(10)가 지지 부재(27e)에 의해 폐지(閉止)된 도면으로 되어 있지만, 공급구(10)에 있어서 지지 부재(27e)가 배치된 부분 이외의 부분은 개방되어 있다. 탄성부재(27d)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이며, 봉체(27c)를 거쳐서 밸브 본체(27b)를 밸브 시이트부(27a)를 향해서 부세하는 것으로 밸브 본체(27b)를 밸브 시이트부(27a)에 착좌시킨다. 워터 스톱 밸브(27)는, 밸브 본체(27b)가 밸브 시이트부(27a)에 착좌한 상태(워터 스톱 밸브(27)의 폐변 상태)에서, 공급구(10)를 폐색한다. 본체부(3)의 급수구(11) 및 토수구(13)의 각각에는 워터 스톱 밸브(27)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 부재인 핀 부재(29)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부(4)가 본체부(3)에 부착될 때에, 탄성부재(27d)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핀 부재(29)가 봉체(27c)를 거쳐서 밸브 본체(27b)를 밀어 올려서 밸브 본체(27b)를 밸브 시이트부(27a)로부터 이좌(離坐)시켜, 워터 스톱 밸브(27)를 개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개변 상태에서는, 공급구(10)와 급수구(11)가 연통하며, 귀환구(12)에 관해서는, 귀환구(12)와 토수구(13)가 연통한다. 여기에서, O링(26)은 저수부(4)가 본체부(3)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워터 스톱 밸브(27)가 개변 상태에 있을 때는, 공급구(10)와 급수구(11) 사이, 귀환구(12)와 토수구(13) 사이를 항상 밀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Since the
또한, 급수구(11)와 귀환구(12)에는 필터(30)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필터(30) 는, 예를 들면 금속메쉬이다.In addition, the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 케이스(16)의 정수실(19) 저벽의 상면(저면)에는, 격벽(31)이 세워 마련되어 있다. 이 격벽(31)은 공급구(10)를 둘러싸고 있고, 저수부(4) 내의 수량이 규정 수량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 공급구(10)로의 물의 유입을 저지한다. 격벽(31)의 높이는 전해수 생성처리에 의해 규정 pH의 전해수를 얻는데 필요한, 전해수 생성처리 전에 저수부 (4)의 정수실 (19)에 저류되는 물의 수위보다 아래쪽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제 1 수위 기준 표시부 (32)가 나타내는 수위보다 아래 쪽으로 되어 있다.3, the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트 케이스(16)의 주위면에는, 저수부 (4)의 정수실 (19)에 저류하는 물의 수위의 기준을 나타내는 수위기준표시부로서의 제 1 수위 기준 표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수위 기준 표시부(32)는, 예를 들면 잉크 등에 의해 그려진 선이다. 또한, 격벽(31)의 상부에는, 원수실(18)에서의 수위의 기준을 나타내는 수위 기준 표시부로서의 제 2수위 기준 표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수위 기준 표시부(33)는 격벽체 (17)에 형성된 단차부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3)는 하우징체(41)를 가지며 이 하우징체(41)에, 펌프(15), 전해조(2), 급수구(11), 토수구(13), 제어부(6), 조작부(42) 등이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The
전해조(2)는 전해수로서 알칼리 이온수(음극수)와 산성수(양극수)를 생성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해조(2)는 음극실(2a) 및 양극실(2b)을 구비하고, 이들 음극실(2a)과 양극실(2b)은 격막(2c)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음극실(2a) 내에는, 전극인 음극판(2d)이 배치, 마련되는 한편, 양극실(2b) 내에는 전극인 양극판(2e)이 배치, 마련되어 있다. 음극판(2d) 및 양극판(2e)에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상의 전극이 이용된다. 이 전극은, 예를 들면 Ti에 Pt나 Ir를 도금 또는 소성해서 형성된다.The
격막(2c)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격막(2c)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등의 다공막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에 의해 구성되는 부직포가 복합화된 것이 이용된다.The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극실(2a) 및 양극실(2b)의 각 입구(2f, 2g)는 급수구(11)에 연통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파이프부(45a), 펌프(15), 제 2 파이프부(45b), 유로 전환기로서의 제 1 유로 전환기(46) 및 제 3 파이프부(45c)를 거쳐서 급수구(11)에 연통한다. 음극실(2a)의 출구(2h)는 유로 전환기로서의 제 2 유로 전환기(47) 및 제4 파이프부(45d)를 거쳐서 토수구(13)에 연통한다. 양극실(2b)의 출구(2i)는 제 5 파이프부(45e)를 거쳐서 배수부(5)에 연통한다.As shown in FIG. 1, the
이 전해조(2)에서는, 음극실(2a) 및 양극실(2b)에 제 1 파이프부(45a), 펌프(15), 제 2 파이프부(45b), 제 1 유로 전환기(46) 및 제 3 파이프부(45c)를 거쳐서 급수구(11)로부터 물이 도입된다. 그리고 음극판(2d)과 양극판(2e)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음극실(2a) 및 양극실(2b) 내의 물이 전기분해 된다. 음극실(2a)에 있어서는 음극판(2d)과 물의 계면에서 알칼리 이온수가 생성되고, 양극실(2b)에 있어서는 양극판(2e)과 물의 계면에서 산성수가 생성된다. 음극실(2a)에서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는 출구(2h)로부터 유출되어, 제 2 유로 전환기(47) 및 제 4 파이프부(45d)를 거쳐서 토수구(13)에 이른다. 양극실(2b)에서 생성된 산성수는 출구(2i)로부터 유출되어, 제 5 파이프부(45e)를 거쳐서 배수부(5)로 배출된다.In this
이와 같이, 본체부(3)에는 급수구(11)로부터 제 1 파이프부(45a), 펌프(15), 제 2 파이프부(45b), 제 1 유로 전환기 (46), 제 3 파이프부(45c), 전해조(2), 제 2 유로 전환기(47) 및 제 4 파이프부(45d)를 경유해서 토수구(13)에 이르는 전해 유로(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해 유로(48)는 저수부(4)와 함께 순환 유로(14)를 형성한다.In this way, the
또한, 본체부(3)에는 전해 유로(48)에 있어서의 전해조(2)의 상류측에서 전해 유로(48)로부터 분기되어 배수부(5)에 이르는 배수 유로로서의 제 6 파이프부(45f)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6 파이프부(45f)는 제 1 유로 전환기(46)에 연결되어 있고, 제 1 유로 전환기(46)를 거쳐서 제 2 파이프부(45b)에 연통한다. 제 1 유로 전환기(46)는 예를 들면 전자밸브이며, 순환 유로(14)를 개폐한다. 제 1 유로 전환기(46)는, 도 8에 있어서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전되는(온 상태) 것으로 순환 유로(14)를 열어 제 2 파이프부(45b)와 제 3 파이프부(45c)를 연통함과 동시에, 해당 유로 전환기(46)의 상류측의 순환 유로(제 2 파이프부, 45b)와 배수 유로인 제 6 파이프부(45f)의 연통을 차단한다. 한편, 제 1 유로 전환기(46)는, 도 8에 있어서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상태(오프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순환 유로(14)를 닫아 해당 유로 전환기(46)의 하류측의 순환 유로(제 3 파이프부, 45c)와 제 6 파이프 부(45f)를 연통함과 동시에, 제 2 파이프부(45b)와 제 3 파이프부(45c)의 연통을 차단한다.The
또한, 본체부(3)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해 유로(48)에 있어서의 전해조(2)의 음극실(2a)의 하류측에서 전해 유로(48)로부터 분기되어 제 5 파이프부(45e)에 연통하는 배수 유로로서의 제 7 파이프부(45g)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7 파이프부(45g)는 제 2 유로 전환기(47)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유로 전환기(47)를 거쳐서 음극실(2a)의 출구에 연통한다. 제 2 유로 전환기(47)는, 예를 들면 전자밸브이며, 순환 유로(14)를 개폐한다. 이 제 2 유로 전환기(47)는 도 8에 있어서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전되는(ON) 것으로 순환 유로(14)를 열어 음극실(2a)의 출구(2h)와 제 4 파이프부(45d)를 연통함과 동시에, 해당 유로 전환기(47)의 상류측의 순환 유로(음극실(2a)의 출구(2h))와 배수 유로인 제 7 파이프부(45g)의 연통을 차단한다. 한편, 제 2 유로 전환기(47)는 도 8에 있어서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전되지 않는(OFF)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순환 유로(14)를 닫아 해당 유로 전환기(47)의 상류측의 순환 유로(음극실(2a)의 출구(2h))와 제 7 파이프부(45g)를 연통함과 동시에, 음극실(2a)의 출구(2h)와 제 4 파이프부(45d)의 연통을 차단한다.Moreover, as shown in FIG. 1, the main-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3)의 하우징체(41)의 상부에는 저수부(4)가 탑재되는 탑재부(49)가 마련되어 있고, 이 탑재부(49)에 급수구(11)와 토수구(13)가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ounting
또한, 이 본체부(3)에는, 도 3, 도 9 및 도 10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 구(11)와 토수구(13)를 덮는 커버(50)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50)는 하우징체(41)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저수부(4)가 분리된 상태에서, 급수구(11)와 토수구(13)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다.Moreover, the
또한, 본체부(3)의 하우징체(41)의 하부에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부(5)를 수납하는 수납실(51)이 마련되어 있다. 수납실(51)의 측부에는 출입구(5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출입구(51a)로부터 배수부(5)의 인출 및 압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Moreover, the
배수부(5)는 상면개구의 케이스(52)와, 이 케이스(52)의 상면을 폐색하는 천장판(53)을 갖는다.The
천장판(53)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5 파이프부(45e) 및 제 6 파이프(45f) 의 출구에 연통하는 입구(53a)가 형성되고 있어, 제 5 파이프부(45e) 및 제 6 파이프(45f) 로부터 배출되는 배수를, 이 입구(53a)로부터 케이스(52) 내에 도입한다. 또한, 천장판(53)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있고, 이 배수구는 천장판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상 개방식의 덮개(54)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3)로부터 분리한 배수부(5)를 배수구가 아래쪽이 되도록 경도시키는 것으로, 케이스(52) 내에 저류된 배수를 배수구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다.In the
또한, 전해수 생성장치(1)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3)에 대한 저수부(4)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는 제 1 검지부로서의 저수부용 검지부(61)가 마련되어 있다. 저수부용 검지부(61)는 저수부(4)에 마련된 제 1 영구자석(61a) 과, 본체부(3)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 1 영구자석(61a)을 검지하는 제 1 자력 검지회로(61b)를 갖는다. 이 저수부용 검지부(61)는 저수부(4)가 본체부(3)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자력 검지회로(61b)가 제 1 영구자석(61a)의 자력을 검지해서 저수부(4)가 본체부(3)에 부착되고 있는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하는 한편, 저수부(4)가 본체부(3)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 1 영구자석(61a)의 자력을 제 1 자력 검지회로(61b)가 검지하지 않기 때문에 , 제 1 자력 검지회로(61b)는 저수부(4)가 본체부(3)로부터 분리되어 있다는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electrolytic
또한, 전해수 생성장치(1)에는, 도 4,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부용 검지부(6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배수부용 검지부(62)는 본체부(3)에 대한 배수부(5)의 연결 상태를 검지하는 제 2 검지부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배수부(5)의 수량을 검지하는 제 3 검지부로서도 기능한다. 배수부용 검지부(62)는 배수부(5)에 마련된, 예를 들면 수지제의 플로트(62a)와, 이 플로트(62a)의 상부에 고정된 제 2 영구자석(62b)과, 본체부(3)에 마련되어 제 2 영구자석(62b)을 검지하는 제 2 자력 검지 회로(62c)를 갖는다. 플로트(62a)는 하면 개구에 형성되고 공기를 수용한 복수의 공기실(62d)을 갖는다. 이들 공기실(62d)끼리는 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플로트(62a)는 배수부(5)의 케이스(52)의 저면에 세워 마련된 벽(52a)에 의해 구축된 검지실(52b)에 수납되어 있고, 벽(52a)에 대하여 지축(62e)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구조의 배수부용 검지부(62)에서는, 배수부(5)가 본체부(3)에 부착된 상태에서 배수부(5)의 수량이 규정량 이하의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62a)가 초기위치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는, 제 2 자력 검지 회로(62c)가 제 2 영구자석(62b)의 자력을 검지하여, 배수부(5)가 본체부(3)에 부착되고 있고, 또한 배수부(5)의 수량이 규정값 이하인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한다. 한편, 배수부(5)에 배수가 유입되어 배수의 수위가 상승하면, 검지실(52b) 내에 배수가 유입되어 검지실(52b)의 수위 상승과 함께 플로트(62a)가 부력에 의해 초기위치로부터 회동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배수부(5) 전체의 수량이 규정값을 넘으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자력 검지 회로(62c)의 검지 영역 밖에 제 2 영구자석(62b)이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자력 검지 회로(62c)가 검지없슴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한다. 또한, 배수부(5)가 본체부(3)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제 2 자력 검지 회로(62c)의 검지 영역 밖에 제 2 영구자석(62b)이 위치하므로, 제 2 자력 검지 회로(62c)는 검지없슴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6)에 출력한다.In the
또한, 전해수 생성장치(1)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용기(6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용 용기(64)는 본체부(3)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저수부(4)의 하부에 부착되어 공급구(10) 및 귀환구(12)를 막는다. 수용 용기(64)는 저수부(4)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 수용 용기(64)는 접시 본체(64a)와, 이 접시 본체(64a)에 부착된 한 쌍의 밀봉 부재(64b)를 갖는다. 한쪽의 밀봉 부재(64b)는 공급구(10)의 아래쪽으로부터 공급구(10)에 밖에서 끼움해서 공급구(10)를 막고, 다른 쪽의 밀봉 부재(64b)는 귀환구(12)의 아래쪽으로부터 귀환 구(12)에 밖에서 끼움해서 귀환구(12)를 막는다.In addition, the electrolytic
또한, 전해수 생성장치(1)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42)가 마련된다. 이 조작부(42)에는 알칼리 버튼, 세정 버튼 등의 각종의 버튼과, 경고 표시부(42a)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lytic
제어부(6)는, 예를 들면 CPU, RAM, ROM, 타이머를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부(6)에는 장치(1)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가 마련되어 있어 각부의 전원을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어부(6)에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15), 전해조(2), 제 1 유로 전환기(46), 제 2 유로 전환기(47), 조작부(42), 저수부용 검지부(61) 및 배수부용 검지부(6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부(6)에는 펌프(15)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제 1 전류계(71) 및 전해조(2)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제 2 전류계(72)가 접속되어 있다.The
다음에, 제어부(6)가 실행하는 전해수 생성처리를 도 1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어부(6)는 알칼리 버튼이 눌려지지 않을 경우(스텝 S1의 NO)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제어부(6)는 알칼리 버튼이 눌려진 취지의 신호가 조작부(42)로부터 입력되는 것에 의해, 알칼리 버튼이 눌려졌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1의 YES), 전해수 생성처리를 시작한다(스텝 S2).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는 제 1 유로 전환기(46) 및 제 2 유로 전환기(47)에 통전해서 그들을 ON상태로 함과 동시에, 전해조(2)의 음극판(2d)과 양극판(2e) 사이에 전압(정전압)을 인가하고, 또한 펌프(15)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저수부(4)와 본체부(3)의 전해조(2) 사이에서 물이 순환 한다. 이 순환의 과정에서, 전해조(2)가 물에서 전해수로서 알칼리 이온수와 산성수를 생성한다. 알칼리 이온수는 순환 유로(14)에 의해 전해조(2)로부터 저수부(4)의 정수실(19) 로되돌려져, 다시 전해조(2)에 공급된다. 한편,산성수는 제 5 파이프부(45e)로부터 배수부(5)로 배수되어 배수부(5)에 저류된다.Next,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processing performed by the
제어부(6)는 이러한 전해수 생성처리를 규정 시간 실행하여(스텝 S3의 NO), 규정 pH의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한다. 규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스텝 S3의 YES), 제어부(6)는 전해수 생성처리의 종료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4). 구체적으로는, 펌프(15)의 구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전해조(2)로의 전압인가를 정지하여, 제 1 유로 전환기(46) 및 제 2 유로 전환기(47)로의 통전을 정지해 그들을 OFF상태로 한다. 이 전해수 생성처리에 의해, 저수부(4)의 정수실(19)에는 규정 pH의 알칼리 이온수가 저류된다.The
여기서, 제어부(6)는 이 전해수 생성처리 전에, 사전 배수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사전 배수처리에서는, 제어부(6)는 제 1 유로 전환기(46)를 ON상태로 하는 한편, 제 2 유로 전환기(47)를 OFF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펌프(15)를 규정 시간 구동한다. 이에 의해, 순환 유로(14) 내의 잔류수가 제 5 파이프부(45e), 제 7 파이프부(45g)로부터 배수부(5)로 배출된다.Here, the
또한, 제어부(6)는 세정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세정 처리를 규정 시간 실행한다. 세정 처리에서는, 제어부(6)는 제 1 유로 전환기(46) 및 제 2 유로 전환기(47)에 통전해서 그들을 ON상태로 함과 동시에, 음극판(2d)과 양극판(2e)의 극성을 반전하고, 이들 전극 간에 규정 시간 전압(역전압)을 인가하여 펌프(15)를 구동 한다. 규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해조(2)로의 전압인가를 정지함과 동시에, 펌프(15)의 구동을 정지하여, 제 1 유로 전환기(46) 및 제 2유로 전환기(47)로의 통전을 정지해 그들을 OFF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전해조(2) 및 전해조(2)에 연통하는 순환 유로(14)내의 물이 제 5 파이프부(45e) 및 제 6 파이프부(45f)로부터 배수부(5)로 배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washing button is pressed, the
또한, 제어부(6)는 저수부용 검지부(61)가 본체부(3)에 저수부(4)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경우나 배수부용 검지부(62)가 본체부(3)에 배수부(5)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경우 및 배수부용 검지부(62)가 배수부(5)의 수량이 규정 수량에 도달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전해수 생성처리 및 세정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금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대기상태에서, 알칼리 이온 버튼이나 세정 버튼이 눌려져도, 본체부(3)에 저수부(4)이나 배수부(5)가 부착되어 있지 않을 경우나 배수부(5)의 수량이 규정 수량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해수 생성처리나 세정처리를 시작하지 않는다. 또한, 전해수 생성처리나 세정처리 중에 저수부(4)나 배수부(5)가 본체부(3)로부터 분리되었을 경우나, 전해수 생성처리나 세정처리 중에 배수부(5)의 수량이 규정 수량에 도달했을 경우에는 전해수 생성처리나 세정처리를 정지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제어부(6)는 전해조(2) 및 펌프(15) 중 어느 쪽으로 흐르는 전류값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는 전해수 생성처리를 정지한다.In addition, when the current value flowing to either of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수부(4)와 전해조(2)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면서 전해수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해수를 저수부(4)에 저류하는 것 에 의해, 저수부(4)의 물을 복수 회 전해조(2)에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전해조(2)에 한번 밖에 물을 통과시킬 수 없는 구조에 비하여 전해조(2)를 소형화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electrolytic water is generated while circulating water between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해수 생성처리의 실행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전해수의 pH를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pH of electrolyzed wate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execution time of an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process.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수부(4)가 본체부(3)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연결되므로, 본체부(3)와 저수부(4)를 따로따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그들의 보관 장소의 자유도가 증대한다. 예를 들면, 알칼리 이온수를 저류한 저수부(4) 만을 냉장고 내 등의 좁은 보관 장소에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워터 스톱 밸브(27)가, 저수부(4)가 본체부(3)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는 공급구(10) 및 귀환구(12)를 폐지하므로, 저수부(4)가 본체부(3)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저수부(4) 내의 물이 공급구(10) 및 귀환구(12)로부터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수부(4)가 본체부(3)로부터 장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워터 스톱 밸브(27)가 개변 상태에 있을 때는 밀봉 부재인 O링(26)이 본체부(3)와 저수부(4) 사이를 항상 밀봉하는 것에 의해, 저수부(4)가 본체부(3)에 장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저수부(4) 내의 물이 공급구(10) 및 귀환구(12)로부터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6)는 규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유통 장치인 펌프(15)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전해조(2)로의 전압인가를 정지하는 처리를 실 행하므로, 규정 pH의 전해수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수부(5)가 본체부(3)에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연결되므로, 본체부(3)로부터 배수부(5)를 분리하고, 본체부(3)가 마련되어 있는 장소와는 다른 장소에 배수해 버릴 수 있으므로, 본체부(3)의 설치 장소의 자유도가 증대한다. 또한, 사용자는 배수부(5)의 배수(산성수)를 필요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검지부인 저수부용 검지부(61)가 본체부(3)에 저수부(4)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경우, 제어부(6)는 전해수 생성처리를 실행하지 않음으로써, 장치(1)의 공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water storag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검지부인 배수부용 검지부(62)가 본체부(3)에 배수부(5)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경우, 제어부(6)는 전해수 생성처리를 실행하지 않음으로써, 장치(1)의 공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drain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검지부인 배수부용 검지부(62)가 배수부(5)의 수량이 규정 수량에 도달한 것을 검지했을 경우, 제어부(6)는 전해수 생성처리를 실행하지 않음으로써, 배수부(5)에 저류되는 배수가 배수부(5)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drain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3)로부터 분리된 저수부(4)의 공급구(10) 및 귀환구(12)를 워터 스톱 밸브(27)와 수용 용기(64)에 의해 막을 수 있으므로, 공급구(10) 및 귀환구(12)로부터 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유로 전환기(46) 및 제 2유로 전환기(47)에 의해, 순환 유로(14)와 배수 유로(제6 파이프부(45f), 제 7 파이프부(45g))의 연통 상태를 가변 설정할 수 있으므로, 순환 유로(14)의 물이 배수 유로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거나, 순환 유로(14)의 물을 배수 유로에 흘릴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1st flow path switch 46 and the 2nd flow path switch 47 are used for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0)가 급수구(11) 및 토수구(13)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저수부(4) 내의 물에 이물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 그 이물이 본체부(3)로 유입하는 것을 필터(3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수부(4)가 분리된 상태의 본체부(3)에 급수구(11) 및 토수구(13)로부터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필터(3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3)로부터 저수부(4)가 분리된 상태에서 커버(50)에 의해 급수구(11)와 토수구(13)를 덮음으로써, 저수부(4)가 분리된 상태의 본체부(3)에 급수구(11) 및 토수구(13)로부터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커버(50)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수부(4)에 정수 카트리지(20)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정화된 물로부터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purified
여기서, 저수부(4)에 저류된 물에 대하여 2회의 전해수 생성처리를 실행했을 경우에는, 규정 pH (예를 들면, pH10)를 넘는 pH의 알칼리 이온수가 생성되어버리는 일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사용 형태가 되었을 경우에도, 규정 pH (예를 들면, pH10)를 넘는 pH의 알칼리 이온을 생성해버리는 것을 격벽(31)에 의해 방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해수 생성처리에서는 산성수가 배 수되기 때문에, 처리가 진행함에 따라 저수부(4) 내의 수량이 감소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격벽(31)의 높이를, 2회째의 전해수 생성처리에서 규정 pH (예를 들면, pH10)를 넘는 pH의 알칼리 이온이 생성되기 전에, 공급구(10)로의 물의 유입을 저지하는 높이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규정 pH (예를 들면 pH10)를 넘는 pH의 알칼리 이온이 생성되기 전에, 본체부(3)(전해수)로의 물의 공급이 정지한다.Here, whe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process is performed twice with respect to the water stored in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격벽(31)의 높이는 전해수 생성처리에 의해 규정 pH (예를 들면 pH7∼10)의 전해수를 얻는데 필요한, 전해수 생성처리 전에 저수부(4)에 저류되는 물의 수위보다 아래쪽이므로, 전해수 생성처리 중에 전해조(2)로의 물의 공급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eight of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수부(4)에 저류하는 물 수위의 기준을 나타내는 수위 기준 표시부로서의 제 1 수위 기준 표시부(32)가 저수부(4)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에 저수부(4)로의 적절한 수량의 주수를 촉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정한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1st water level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위 지시 표시인 제 2 수위 지시 표시부(33)은, 원수실(18)에서의 수위의 기준을 나타내므로, 사용자에 저수부(4)에의 적절한 수량의 물의 주수를 촉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정한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2nd water level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6)는 전해조(2) 및 펌프(15) 중 어느 쪽에 흐르는 전류값이 정상이지 않을 경우에는 전해수 생성처리를 정지하므로, pH값이 적정하지 않은 전해수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 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실시 형태를 각종으로 채용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위 지시 표시인 제 2 수위지시 표시는 덮개(23)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마련된 봉 형상 부재 등이어도 좋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Various other embodiment can be employ | adopt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the second water level indication display, which is the water level indication display, may be a rod-shaped member or the like provid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장치의 외관도이다.2 is an external view of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장치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장치의 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공급구와 급수구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supply port and a water supply port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공급구와 급수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between a supply port and a water supply port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공급구와 급수구의 접속 도중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p during connection of a supply port and a water supply port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유로 전환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8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low path switcher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커버가 열린 상태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body part in a state where a cover is opened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body part in a state where a cover is closed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본체부와 배 수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of a main body portion and a drainage portion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배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age part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배수부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ase of a drain part i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배수부용 검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detection part for drainage parts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배수부용 검지부의 플로트가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float of the float for the drain part detection part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저수부와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water storage part and a storage container i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저수부에 수용 용기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ccommodating container is attached to a reservoir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전기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 system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제어부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the process which a control part performs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전해수 생성장치1: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2: 전해조2: electrolyzer
3: 본체부3: main body
4: 저수부4: water reservoir
5: 배수부5: drainage
6: 제어부6: control unit
10: 공급구10: supply port
11: 급수구11: water inlet
12: 귀환구12: return port
13: 토수구13: water jet
14: 순환 유로14: circulation flow path
15: 펌프(유통 장치)15: pump (distributor)
20: 정수 카트리지20: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26: O링(밀봉 부재)26: O-ring (sealing member)
27: 워터 스톱 밸브27: water stop valve
30: 필터30: filter
31: 격벽31: bulkhead
45e: 제 5 파이프부 (배수 유로)45e: fifth pipe portion (drainage flow path)
45f: 제 6 파이프부 (배수 유로)45f: sixth pipe part (drainage flow path)
46: 제 1 유로 전환기(유로 전환기)46: 1st flow diverter (euro diverter)
47: 제 2 유로 전환기 (유로 전환기) 47: 2nd Euro diverter (Euro diverter)
50: 커버50: cover
61: 저수부용 검지부 (제 1 검지부) 61: water detector (first detector)
62: 배수부용 검지부(제 2 검지부, 제 3 검지부) 62: detection part for drainage part (2nd detection part, 3rd detection part)
64: 수용 용기 64: container
Claims (1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8311016A JP4697294B2 (en) | 2008-12-05 | 2008-12-05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JPJP-P-2008-311016 | 2008-12-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5113A true KR20100065113A (en) | 2010-06-15 |
KR101148263B1 KR101148263B1 (en) | 2012-05-21 |
Family
ID=4234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9285A KR101148263B1 (en) | 2008-12-05 | 2009-12-03 |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4697294B2 (en) |
KR (1) | KR101148263B1 (en) |
CN (1) | CN101746852B (en) |
HK (1) | HK1145313A1 (en) |
TW (1) | TW201022158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52705A (en) * | 2010-10-28 | 2012-05-16 | 深圳安吉尔饮水产业集团有限公司 | Electrolysis water dispenser capable of recycling acidulous water |
KR101662874B1 (en) * | 2011-04-27 | 2016-10-05 |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CN106145274A (en) * | 2015-04-02 | 2016-11-23 | 上海净宝环保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
JP6646826B2 (en) * | 2017-05-09 | 2020-02-1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56363A (en) * | 1996-11-27 | 1998-06-16 | Rikizo Kobayashi | Circulation type acidic ionized water and alkaline ionized water producing device |
JP3506871B2 (en) * | 1997-02-28 | 2004-03-15 | アマノ株式会社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JPH10328665A (en) * | 1997-06-02 | 1998-12-15 | Toto Ltd | Electrolytic water supply device |
JP3142514B2 (en) * | 1997-12-24 | 2001-03-07 | 株式会社ケミコート | Super electrolytic ionic water production equipment |
JP2001070941A (en) * | 1999-09-07 | 2001-03-21 | Hoshizaki Electric Co Ltd | Method for controlling batch type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olytic water |
JP3574968B2 (en) * | 2000-09-19 | 2004-10-06 |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 Continuous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JP4259850B2 (en) * | 2002-10-31 | 2009-04-30 | 三洋電機株式会社 | Water treatment equipment |
JP3891120B2 (en) * | 2003-01-17 | 2007-03-14 | 松下電工株式会社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JP3891119B2 (en) | 2003-01-17 | 2007-03-14 | 松下電工株式会社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JP2005007102A (en) * | 2003-06-16 | 2005-01-13 | Mututry:Kk | Hand washer with small electrolytic water |
JP2005081169A (en) * | 2003-09-04 | 2005-03-31 | Sanyo Electric Co Ltd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2008
- 2008-12-05 JP JP2008311016A patent/JP469729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12-01 TW TW098141011A patent/TW201022158A/en unknown
- 2009-12-03 KR KR1020090119285A patent/KR10114826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12-04 CN CN2009102531451A patent/CN101746852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12-16 HK HK10111758.7A patent/HK1145313A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746852A (en) | 2010-06-23 |
HK1145313A1 (en) | 2011-04-15 |
JP2010131547A (en) | 2010-06-17 |
KR101148263B1 (en) | 2012-05-21 |
CN101746852B (en) | 2013-01-23 |
TW201022158A (en) | 2010-06-16 |
JP4697294B2 (en) | 2011-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6569B1 (en) |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apparatus | |
KR101427989B1 (en) | Hydrogen Water Maker having Water Electrolysis Apparatus | |
KR101148263B1 (en) |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apparatus | |
JP2008168237A (en) | Ionized alkaline water producing machine | |
KR101151498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CN110550766B (en) | Filter element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for purifying-softening water processor and filter element performance recovery method | |
JP3849644B2 (en)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
JP3891120B2 (en)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
JP3891119B2 (en)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
JP2004216349A (en) |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 |
JP3373285B2 (en) | Electrolytic ionic water generator | |
JP4543884B2 (en) | Alkaline ion water conditioner | |
JP3484762B2 (en)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
JP2001115285A (en) |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 |
WO2014034009A1 (en) | Electrolysed water-generating apparatus | |
JP3584765B2 (en) | Sterilizer and bath tub water circulation purifier equipped with sterilizer | |
JP2006035108A (en) |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 |
JPH07265858A (en) | Electrolytic ionized water generator | |
JPH07256254A (en) | Apparatus for forming electrolytic ionic water | |
JP3319938B2 (en) | Alkaline ion water generator | |
JP3440561B2 (en)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
JP2003251349A (en) | Ionized water generating device | |
JPH07308354A (en) | Bath unit | |
JP2002224673A (en) |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 |
JPS60114392A (en) | Continuous forming device for electrolytic w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