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367A -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367A
KR20100062367A KR1020080120976A KR20080120976A KR20100062367A KR 20100062367 A KR20100062367 A KR 20100062367A KR 1020080120976 A KR1020080120976 A KR 1020080120976A KR 20080120976 A KR20080120976 A KR 20080120976A KR 20100062367 A KR20100062367 A KR 20100062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r
mobile terminal
support node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960B1 (ko
Inventor
양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20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96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로밍(roaming)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는, 이동 단말의 홈 셀룰러 시스템(Home Cellular System)으로부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GLR, Gateway Location Register)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 및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화된 GLR을 포함하는 로밍 서비스 구성에서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로밍, 측위, 위치 측정, Roaming, Location Determination

Description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Gateway Location Register}
본 발명은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가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대부분의 사람이 휴대 전화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교통 수단의 발달로 국경을 넘나들면서 휴대 전화를 계속해서 사용하기 위하여 로밍(Roaming) 서비스를 받는 경우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외국으로 휴대 전화를 가지고 나가는 아웃바운드 로밍(Outbound Roaming)뿐 아니라 외국에서 한국으로 휴대폰을 가지고 들어오는 인바운드 로밍(Inbound Roaming)도 이용이 크게 늘고 있다.
또한, 로밍 서비스를 받는 중에 측위(測位, Location Determination) 서비스도 계속해서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최근 로밍 가입자의 증가로 인하여 GLR(Gateway Location Register, 게이트웨이 로케이션 레지스터)의 중요도가 높아짐으로써 GLR을 다중화로 구성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로밍 가입자의 측위를 위해서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 위치 레지스터)에 등록된 정보만을 이용해서 측위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중화된 GLR을 포함하는 로밍 서비스 구성에서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위치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로밍(Roaming)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의 홈 셀룰러 시스템(Home Cellular System)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GLR, Gateway Location Register)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 하는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로밍(Roaming)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홈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GLR 식별자 요청 발신부,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를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하는 GLR 식별자 수신부,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의 홈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상 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홈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를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화된 GLR을 포함하는 로밍 서비스 구성에서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 통신망(100) 및 제2 통신망(1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편의상 제1 통신망(100)을 한국의 통신망이라고 가정하고, 제2 통신망(101)을 일본의 통신망이라고 가정하고, 제1 통신망(10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인바운드 로밍(Inbound Roaming)된 단말은 원래 일본의 제2 통신망(101)에 속하는 단말로, 로밍 절차를 거쳐 한국의 제1 통신망(100)을 이용한 서비스를 받는 단말을 말한다.
아웃바운드 로밍(Outbound Roaming)된 단말은 원래 한국의 제1 통신망(100) 에 속하는 단말로, 로밍 절차를 거쳐 일본의 제2 통신망(101)을 이용한 서비스를 받는 단말을 말한다.
제1 통신망(100)은 GMLC(110, 게이트웨이 이동 위치 센터,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HLR(120, 홈 위치 레지스터, Home Location Register), GLR(130,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Gateway Location Register), MSC(이동 교환국, Mobile switching center)/SGSN(패킷 교환 지원 노드, Serving GPRS Support Node)(140) 및 PG(150, 위치 게이트웨이, Positioning Gateway)을 포함할 수 있다.
GMLC(110)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받아 HLR(120) 및 GLR(130)을 조회하여 MSC/SGSN(140)의 식별자 얻어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GMLC(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HLR(120)은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받아 이동 단말이 위치한 MSC/SGSN(140)의 식별자 또는 GLR(130)의 식별자를 반환한다. HLR(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GLR(130)은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받아 이동 단말이 위치한 MSC/SGSN(140)의 식별자를 반환한다. GLR(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MSC/SGSN(140)은 이동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통신망(100)에 MSC가 포함될 수도 있고, SGSN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MSC와 SGSN 모두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MSC/SGSN 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경우 실제 구현되는 시스템에서는 MSC 만을 포함하거나, SGSN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MSC 및 SGSN을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MSC는 고정망과 연동하여 이동 통신 가입자에게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를 말한다. 이동 통신망과 일반 전화망, 동일 또는 다른 이동 통신망에 있는 다른 이동 전화 교환국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하는 자동 시스템이다. 부가적 기능으로는 이동 전화 가입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항상 이동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장소가 바뀌더라도 통신 서비스를 지속시켜 주는 통화 채널 전환(hand-off) 기능을 가지고 있다.
SGSN은 서비스 지역 내에서 이동국(휴대 전화, PDA 등)과의 데이터 패킷 전달을 담당하는 노드이다. 패킷 라우팅 및 전송, 이동성 관리, 논리적 링크 관리, 인증 및 요금 부과 등의 기능을 가지며,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의 위치 레지스터는 SGSN에 등록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사용자의 위치 정보(셀,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등), 사용자 프로파일(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IMSI) 등을 저장한다.
PG(150)는 제2 통신망(101)과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또는 위치 정보를 주고받는 통로 역할을 한다.
제2 통신망(101)은 GMLC(160), HLR(170), MSC/SGSN(180) 및 PG(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망(101)은 제1 통신망(100)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통신망(101)의 각 구성요소는 제1 통신망(100)의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역 할을 할 수 있다. 다만,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내용에 반하지 않는다면 제2 통신망(101)은 제1 통신망(100)과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제2 통신망(101)도 GLR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편의상 GLR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2 통신망(101)의 PG(190)는 제1 통신망(100)의 PG(150)와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또는 위치 정보를 주고받는다. 제2 통신망(101)의 PG(190)와 제1 통신망(100)의 PG(150) 사이의 통신은 3GPP 규약의 RLP(로밍 위치 등록 프로토콜, Roaming Location register protocol) 또는 기타 약속된 프로토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 통신망(101)의 PG(190)와 제1 통신망(100)의 PG(150)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사항을 만족하는 프로토콜이어야 한다.
이하에서 편의상 제1 통신망(100)의 GMLC(110)와 제2 통신망(101)의 GMLC(160)사이의 PG(150,19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두 GMLC(110, 160)가 직접 통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제2 통신망(101)으로부터 제1 통신망(100)으로 인바운드 로밍된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의 호 처리도이다.
단계 S210에서 이동 단말(200)로부터 제2 통신망(101)의 GMLC(160)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된다. 이동 단말(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래 제2 통신 망(101)에 속하는 것이고, 제1 통신망(100)으로 인바운드 로밍된 단말이다.
단계 S210에서 이동 단말(200)로부터 제2 통신망(101)으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200)의 사용자가 위치 정보 제공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되었지만,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서 위치 확인을 하려는 경우 웹 사이트나 기타 관리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편의상 이동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200)로부터 제2 통신망(101)으로 직접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제1 통신망(100)과 제2 통신망(101) 간의 매개 장치를 통해서 통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PG(150, 190)를 통해서 전달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도 있고, 유사한 역할을 하는 다른 장치를 통해서 전달될 수도 있다.
단계 S220에서 제2 통신망(101)이 제1 통신망(100)의 GMLC(110)에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단계 S210 및 단계 S220에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제2 통신망(101)을 통해 제1 통신망(100)의 GMLC(110)에 전달된다. 이러한 전달을 위해 제2 통신망(101)의 GMLC(160)나 PG(19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MSID, IMSI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이 위치하는 MSC/SGSN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 식별자를 포함한다.
GLR 식별자는 이동 단말(200)의 로밍 등록 시에, 또는 그 뒤에 변경이 있다면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제1 통신망(100)으로부터 제2 통신망(101)으로 전달되며, 제2 통신망(101)은 이동 단말(200)에 대응하는 GLR 식별자를 보관하고 있다가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발송할 때 이를 포함해서 전송한다.
제1 통신 시스템(100)에 GLR(130)은 복수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GLR 식별자를 GLR(130)을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GLR(130)이 단수인 경우 GLR 식별자는 이동 단말(200)이 위치하는 MSC/SGSN 식별자를 GLR(130)이 관리한다는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GMLC(110)가 수신한 GLR 식별자에 상응하는 GLR(130)에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240에서 GLR(130)은 위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MSC/SGSN 식별자를 추출하여 GMLC(110)에 전송한다.
이동 단말(200)의 이동으로 이동 단말(200)이 위치하는 MSC/SGSN이 변경되는 경우 그 정보는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GLR(13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GLR(130)은 현재 이동 단말(200)이 위치하는 MSC/SGSN(140)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이를 GMLC(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50 내지 단계 S270에서 MSC/SGSN(140) 식별자를 전달받은 GMLC(110)는 이 MSC/SGSN(140) 식별자를 이용해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GMLC(110)는 전달받은 MSC/SGSN(140) 식별자에 상응하는 MSC/SGSN(140)에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260에서 MSC/SGSN(140)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추출 방법은 네트워크 방식과 단말기 방식, 그리고 이들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 등 여러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망의 채널을 이용한 네트워크 방식은 단말기로부터 오는 신호의 방향이나 시간 등을 이용하여 망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이나 정확도가 좀 떨어진다. GPS를 사용하는 단말기 방식은 단말기에 GPS 모듈을 내장하여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방식에 비해 정확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지만, 부품 비용이 비싸고, 빌딩 내부 및 지하에서는 GPS 수신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이브리드 방식은 각각의 단점을 어느 정도 개선한다. 네트워크 방식으로는 이용자가 속한 기지국의 서비스 셀 ID를 통해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Cell ID, Cell ID 방식에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거리 정보를 추가하여 정확도를 개선한 Enhanced Cell ID,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한 3개의 기지국에서 신호 수신 각도의 차이를 이용하는 AOA (Angle Of Arrival), 한 개의 기지국과 2개의 주변 기지국들 사이의 신호 도달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는 TOA (Time Of Arrival), 기지국 신호를 기준으로 인접 기지국들의 신호지연을 측정하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등이 있다. 단말기 방식으로는 인공위성에서 보내는 위치 정보를 단말기가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A- GPS (Assisted-GPS), 지상의 기준 수신기로부터 보정신호를 받아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신호의 오차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등이 있다. 하이브리드 방식으로는 2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파를 보내 다시 이 전파가 되돌아오는 시간의 차이를 측정하는 E-OTD (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가 있다.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될 때마다 측위를 수행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측위를 수행하고,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이미 측위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S270에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GMLC(110)로 전달된다.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정보 또는 주소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단계 S280에서 GMLC(110)는 전달받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제2 통신망(101)에 전달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를 요청한 다른 장치나 이동 단말(200)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도 2의 실시 예에서 단계 S250 내지 단계 S270의 과정이 수행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40)의 위치 정보 자체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MSC/SGSN(140)의 위치 정보는 GMLC(110)가 직접 저장하고 있거나 다른 서버에 저장해 두고 조회해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 단말(110)의 위치 정보는 오차가 이동 교환국의 범위에 해당하는 대략적인 정보가 되지만 측위 절차는 크게 간결해 진다.
단계 S290에서 제2 통신망(101)은 전달받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를 요청한 이동 단말(20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사용자는 현재 이동 단말(200)의 위치를 주소 또는 지도 화면 등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망(101)은 단계 S280에서 획득한 위치 정보를 웹 또는 다른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3의 과정은 홈 셀룰러 시스템(Home Cellular System)으로부터 방문 셀룰러 시스템(Visited Cellular System)으로 인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과정이다.
홈 셀룰러 시스템은 이동 단말(200)이 원래 속하는 통신망으로, 도 2의 제2 통신망(101)이 여기에 해당하며, 방문 셀룰러 시스템은 현재 이동 단말이 속하는 통신망으로 도 2의 제1 통신망(100)이 여기에 해당한다.
도 3의 과정은 위치 정보 제공 장치, 예를 들어 GMLC(1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도 3의 과정이 GMLC(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310에서 GMLC(110)는 홈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
홈 셀룰러 시스템은 이동 단말(200)이나 웹 서비스, 또는 기타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받고 이에 따라 GMLC(100)에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 및 이동 단말(200)이 위치한 MSC/SGSN(140) 식별자를 저장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GLR(130)의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HLR(120)을 참조하여 MSC/SGSN(140)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MSC/SGSN(140) 식별자를 가지고 있다면 단계 S320 내지 단계 S330은 생략된다.
상기 GLR(130)의 식별자는 이동 단말(200)의 로밍 등록 시, 또는 변동사항이 있는 경우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2 통신망(101)에 전달되고 그 정보를 반영하여 제2 통신망(101)은 이동 단말(200)이 위치한 MSC/SGSN(140) 식별자를 저장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유지한다.
단계 S320에서 상기 GLR(13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GLR(130)에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330에서 상기 GLR(130)로부터 이동 단말(200)이 위치한 MSC/SGSN(140) 식별자를 수신한다.
단계 S340에서 상기 MSC/SGSN(14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MSC/SGSN(140)에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350에서 MSC/SGSN(140)으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MSC/SGSN(14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는 네트워크 방식, 단말기 방 식, 하이브리드 방식 등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MSC/SGSN(140)이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40)의 위치 정보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MSC/SGSN(140)의 관리 범위에 해당하는 큰 오차범위를 가지지만, 측위 과정은 매우 간결해진다.
단계 S360에서 홈 셀룰러 시스템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홈 셀룰러 시스템은 이동 단말(200) 또는 기타 장치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지도 형식, 좌표 형식 또는 주소 형식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GMLC(110)는 직접 이동 단말(200)이나 기타 장치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4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의 장치는 홈 셀룰러 시스템(Home Cellular System)으로부터 방문 셀룰러 시스템(Visited Cellular System)으로 인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정보 제공 장치(400)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410),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420),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430), 위치 정보 추출부(440) 및 위치 정보 발신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410)는 홈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 및 이동 단말(200)이 위치한 MSC/SGSN(140) 식별자를 저장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420)는 상기 GLR(130)에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430)는 GLR(130)로부터 이동 단말(200)이 위치한 MSC/SGSN(140)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위치 정보 추출부(440)는 상기 MSC/SGSN(14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도 4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추출부(440)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발신부(440) 및 위치 정보 수신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발신부(440)는 상기 MSC/SGSN(140)에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MSC/SGSN(140)는 네트워크 방식, 단말기 방식 또는 하이브리드 방식 등을 이용해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 다.
위치 정보 수신부(460)는 MSC/SGSN(140)로부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도 4의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40)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40)의 위치 정보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MSC/SGSN(140)의 관리 범위에 해당하는 큰 오차범위를 가지지만 측위 과정은 간결해진다.
위치 정보 발신부(470)는 추출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홈 셀룰러 시스템이나 이동 단말(200) 또는 기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제1 통신망(100)으로부터 제2 통신망(101)으로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의 호 처리도이다.
단계 S510에서 이동 단말(500)로부터 제1 통신망(100)의 GMLC(110)에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된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웹 사이트 또는 기타 장치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요금부과, 인증, 측위 명령을 담당하는 서버가 이동 단말(500)과 GMLC(110)사이의 통신을 매개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GMLC(110)는 HLR(120)에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HLR(120)은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다.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500)이 로밍 등록될 때 결정되어 HLR(120)에 저장된다.
여기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은 제2 통신망(101)에 포함되는 것으로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MSC/SGSN(180)를 말한다.
단계 S525에서 HLR(120)으로부터 GMLC(110)에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가 전달된다.
단계 S530에서 GMLC(110)로부터 상기 GLR(13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GLR(130)에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535에서 GLR(130)은 GMLC(110)에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의 식별자를 전달한다.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500)이 로밍 등록될 때, 그리고 이동에 의하여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2 통신망(101)으로부터 제1 통신망(100)의 GLR(130)에 전달된다. GLR(130)은 이 정보를 저장하고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 식별자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S540에서 제1 통신망(100)의 GMLC(110)는 제2 통신망(101)의 GMLC(160)에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와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두 GMLC(110, 160) 간의 통신은 PG(150, 190)를 통해서 RLP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 S550에서 제2 통신망(101)의 GMLC(160)는 수신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MSC/SGSN(180)에 제5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5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560에서 MSC/SGSN(180)은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 추출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단계 S26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방식, 단말기 방식 또는 하이브리드 방식 등의 방식으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받을 때마다 측위가 수행될 수도 있고, 측위는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받을 경우 이전에 측위된 정보에 따라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80) 또는 GMLC(110)는 MSC/SGSN(180)의 위치 정보를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의 오차 범위는 넓어지지만 측위 과정은 간단해진다.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는 좌표 정보, 주소 등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570에서 MSC/SGSN(180)은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제2 통신망(101)의 GMLC(160)에 전달한다.
단계 S580에서 제2 통신망(101)의 GMLC(160)는 제1 통신망(100)의 GMLC(110)에 이동 단말(500)의 MSC/SGSN(180)로부터 전달받은 위치 정보를 전달한다.
단계 S590에서 GMLC(110)는 이동 단말(500)에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도 형식, 좌표 방식 또는 주소의 형태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GMLC(110)는 웹 사이트 또는 다른 장치에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와 같이 제1 통신망(100)으로부터 제2 통신망(101)으로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과정은 예를 들어 GMLC(1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6의 과정이 GMLC(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610에서 GMLC(110)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 웹사이트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620에서 GMLC(120)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HLR(120)에 전달한다.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HLR(120)은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다.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500)이 로밍 등록될 때 결정되어 HLR(120)에 저장된다.
여기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은 제2 통신망(101)에 포함되는 것으로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MSC/SGSN(180)를 말한다.
단계 S630에서 GMLC(110)는 HLR(120)으로부터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단계 S640에서 GMLC(110)는 상기 GLR(13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GLR(130)에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650에서 GMLC(110)는 GLR(130)로부터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500)이 로밍 등록될 때, 그리고 이동에 의하여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2 통신망(101)으로부터 제1 통신망(100)의 GLR(130)에 전달된다. GLR(130)은 이 정보를 저장하고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 식별자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S660에서 GMLC(110)는 제2 통신망(101)에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GMLC(110)는 제2 통신망(101)의 GMLC(160)에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와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두 GMLC(110, 160) 간의 통신은 PG(150, 190)를 통해서 RLP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제2 통신망(101)은 도 5의 S550 내지 S570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는 좌표 형식 또는 주소 형식 등이 될 수 있다.
단계 S670에서 GMLC(110)는 제2 통신망(101)으로부터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도 6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 S660내지 S670에서 MSC/SGSN(180)이 위치 정 보를 추출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80)의 위치 정보가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는 오차가 큰 정보가 되지만 측위 과정은 간결하다.
단계 S680에서 GMLC(110)는 이동 단말(500), 웹사이트 또는 기타 장치에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지도 형식, 좌표 방식 또는 주소의 형태로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장치(7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제1 통신망(100)으로부터 제2 통신망(101)으로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700)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710), GLR 식별자 요청 발신부(720), GLR 식별자 수신부(730),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740),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750), 위치 정보 추출부(760) 및 위치 정보 발신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710)는 이동 단말(500), 웹 사이트 또는 기타 장치로부터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GLR 식별자 요청 발신부(720)는 HLR(120)에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 한다.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HLR(120)은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다.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500)이 로밍 등록될 때 결정되어 HLR(120)에 저장된다.
여기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은 제2 통신망(101)에 포함되는 것으로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MSC/SGSN(180)를 말한다.
GLR 식별자 수신부(730)는 HLR(120)로부터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740)는 GLR(13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GLR(130)에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750)는 GLR(130)로부터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500)이 로밍 등록될 때, 그리고 이동에 의하여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2 통신망(101)으로부터 제1 통신망(100)의 GLR(130)에 전달된다. GLR(130)은 이 정보를 저장하고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 는 MSC/SGSN(180) 식별자 정보를 제공한다.
위치 정보 추출부(760)는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도 7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추출부(760)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발신부(770) 및 위치 정보 수신부(78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발신부(770)는 제2 통신망(101)에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GMLC(110)는 제2 통신망(101)의 GMLC(160)에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와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두 GMLC(110, 160) 간의 통신은 PG(150, 190)를 통해서 RLP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제2 통신망(101)은 도 5의 S550 내지 S570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는 좌표 형식 또는 주소 형식 등이 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780)는 제2 통신망(101)으로부터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도 7의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80)이 위치 정보를 추출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추출부(760)는 MSC/SGSN(180)의 위치 정보를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는 오차가 큰 정보가 되지만 측위 과정은 간결하다.
위치 정보 발신부(790)는 이동 단말(500), 웹사이트 또는 기타 장치에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지도 형식, 좌표 방식 또는 주소의 형태로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 4 또는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하드웨어 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일부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은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서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의 호 처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4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의 호 처리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장치(7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통신망
101: 제2 통신망
110: 제1 통신망(100)의 GMLC(게이트웨이 이동 위치 센터,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120: 제1 통신망(100)의 HLR(홈 위치 레지스터, Home Location Register)
130: 제1 통신망(100)의 GLR(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Gateway Location Register)
140: 제1 통신망(100)의 MSC(이동 교환국, Mobile switching center)//SGSN(패킷 교환 지원 노드, Serving GPRS Support Node)
150: 제1 통신망(100)의 PG(위치 게이트웨이, Positioning Gateway)
160: 제2 통신망(101)의 GMLC
170: 제2 통신망(101)의 HLR
180: 제2 통신망(101)의 MSC/SGSN
190: 제2 통신망(101)의 PG

Claims (12)

  1. 로밍(Roaming)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홈 셀룰러 시스템(Home Cellular System)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GLR, Gateway Location Register)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는,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위치 정 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발신부; 및
    상기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는,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
  4. 위치 정보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홈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단 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7. 로밍(Roaming)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홈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GLR 식별자 요청 발신부;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를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하는 GLR 식별자 수신부;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는,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방문 셀룰러 시스템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발신부; 및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방문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는,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
  10.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홈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를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방문 셀룰러 시스템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방문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1020080120976A 2008-12-02 2008-12-02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6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976A KR100968960B1 (ko) 2008-12-02 2008-12-02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976A KR100968960B1 (ko) 2008-12-02 2008-12-02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367A true KR20100062367A (ko) 2010-06-10
KR100968960B1 KR100968960B1 (ko) 2010-07-14

Family

ID=4236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976A KR100968960B1 (ko) 2008-12-02 2008-12-02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9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430B1 (ko) * 2004-01-31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위치결정 방법
KR20060036164A (ko) * 2004-10-25 2006-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해외 로밍중인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친구찾기서비스제공방법
KR100766605B1 (ko) 2006-05-24 2007-10-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로밍된 서비스 플랫폼 간의 연동 시스템을 통한 위치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75536B1 (ko) 2006-06-09 2007-11-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로밍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960B1 (ko)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6150C (zh) 提供位置信息的通信系统和方法
CA2620249C (en) Two stage mobile device geographic location determination
CN100571455C (zh) 一种在电信网络上调用隐私的方法
US7260406B2 (en) Method for tracking location of subscribers in dual stack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1232700B (zh) 一种提供位置业务的方法、装置及系统
US8744409B2 (en) Lo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cure user plane location enabled terminal
JP2007518327A (ja) 訪問されているネットワーク内における位置情報の提供
KR20010090880A (ko)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아키텍처에서 기존 서비스와병행하여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1212774A (zh) 用个人手持电话系统获得公共运输工具位置的系统和方法
KR20100024501A (ko) 로밍 이동국을 위한 위치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617603B1 (en) Location based services in communications networks
KR101549848B1 (ko) 지리적 영역에 관련된 이동국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2734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Positioning Operations
WO2010127589A1 (zh) 信息发送方法、装置及系统
KR100766605B1 (ko) 로밍된 서비스 플랫폼 간의 연동 시스템을 통한 위치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197764B2 (ja) PHS網でのロケーティング(locating)およびアシスタント・ロケーティング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968960B1 (ko)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1651705A (zh) 一种协商定位能力的方法及装置
KR200600285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에 따른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93432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로밍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662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영지역의 위치 정보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54457B1 (ko) 아이콘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및 시스템
EP1141742A1 (en) Locating system for mobile stations
KR1011403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전송 조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802081B1 (ko) 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