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101A - 동작 인식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동작 인식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101A
KR20100062101A KR1020080120537A KR20080120537A KR20100062101A KR 20100062101 A KR20100062101 A KR 20100062101A KR 1020080120537 A KR1020080120537 A KR 1020080120537A KR 20080120537 A KR20080120537 A KR 20080120537A KR 20100062101 A KR20100062101 A KR 20100062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system
remote controller
motion
user
infrared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768B1 (ko
Inventor
채헌주
Original Assignee
(주)에프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앤아이 filed Critical (주)에프앤아이
Priority to KR1020080120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7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Abstract

동작 인식을 이용하여 전자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개시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동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기 전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시스템의 다수의 기능들 중에서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동작 인식, 리모트 컨트롤러, 적외선

Description

동작 인식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USING MOTION RECOGNITION}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동작을 적외선 광선을 이용하여 인식하여 전자 시스템이 사용자의 동작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전자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동안 긴급하게 전자 시스템에 대한 조작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된다. 예를 들면, TV를 시청하는 도중에 긴급하게 화면을 멈추어야 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라 할 것이다. 이때, TV와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찾아서 멈춤 버튼이나 종료 버튼을 눌러야 한다.
또한, TV 사용자는 채널 검색을 위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의 채널 증감 버튼을 찾아야 누르거나 검색하고자 하는 채널의 번호를 눌러야 하며, 음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음량 증감 버턴을 찾아서 눌러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파지한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을 보지 않고 특정 동작을 함으로써 TV와 같은 전자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으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특정 동작을 함으로써 버튼 조작 없이 상응하는 전자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적외선 수신 모듈, 프로세서, 및 적외선 송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수신 모듈은 상기 전자 시스템으로부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을 수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되는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시스템의 다수의 기능들 중에서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 모듈은 상기 발생된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전자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선택 수단, 적외선 수신 모듈, 프로세서, 및 적외선 송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수단은 다수의 전자 시스템들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 시스템을 선택하며, 상기 적외선 수신 모듈은 상기 선택된 전자 시스템으로부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을 수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되는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시스템의 다수의 기능들 중에서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 모듈은 상기 발생된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전자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다수의 적외선 송수신 모듈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적외선 송수신 모듈들 각각은 각각이 상기 다수의 전자 시스템들 중에서 상응하는 전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광선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적외선 광선들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상응하는 전자 시스템으로 송신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수의 적외선 수신 모듈들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시스템의 다수의 기능들 중에서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상기 전자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시스템이 상기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인식 모듈은 삼각 측정법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동작 인식 모듈은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으며, XY평면, YZ평 면, 및 ZX평면 각각을 다수의 평면으로 나누고,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의 경로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는 그 사용자가 버튼 조작 없이 리모트 컨트롤러를 파지한 상태에서 간단한 동작을 통하여 전자 시스템을 조작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0) 및 전자 시스템(10)의 블락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시스템(10)은 인터페이스(20), 제어 모듈(30), 적외선 송신 모듈(40), 및 적외선 수신 모듈(50)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시스템(10)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용 셋톱 박스(set-top box)일 수 있으며, 리모트 컨트롤러(100)에 의한 제어 기능의 설명만을 위하여 간략하게 도시되었다. 이하, IPTV를 예로 들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와 전자 시스템(10)의 동작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터페이스(20)는 상기 셋톱 박스가 IPTV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연결부이다. 상기 인터페이스(20)는 케이블 등의 유선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RF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전자 시스템(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적외선 송신 모듈(40)은 상기 제어 모듈(3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로 송신한다. 상기 적외선 송신 모듈(40)은 각각이 적외선 광선을 발생하는 적외선 발생 소자들(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발생 소자(42)는 적외선 LED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상기 적외선 송신 모듈(40)은 8 개의 적외선 발생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외선 발생 소자의 개수는 상기 전자 시스템(10)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동작 환경, 동작의 정확도,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정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외선 수신 모듈(50)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모듈(3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 신호에는 IPTV의 채널 제어 신호, 음량 제어 신호, 화면 제어 신호 등 IPTV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제어 신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적외선 수신 모듈(105), 버튼 블락(110), 자이로 센서(118),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적외선 송신 모듈, 스피커(150), 디스플레이 모듈(160), 및 진동기(170)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수신 모듈(105)은 상기 전자 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광선들을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120)로 출력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 모듈(140)은 상기 프로세서(1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시스템(10)으로 송신한다. 상기 적외선 수신 모듈(105) 및 상기 적외선 송신 모듈(140)은 하나의 송수신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버튼 블락(100)은 상기 전자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전원 버튼(112), 동작 인식 버튼(114), 및 각종 기능 수행 버튼(116)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버튼(112)은 상기 전자 시스템(10)의 전원을 on/off하기 위한 버튼이며, 상기 동작 인식 버튼(114)은 동작 인식 작업의 시작 시점과 상기 동작 인식 작업의 종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동작 인식 버튼(114)를 누른 시점이 동작 인식 작업의 시작 시점이고 상기 동작 인식 버튼(114)에서 손을 뗀 시점이 동작 인식 작업 의 종료 시점일 수 있다. 상기 기능 수행 버튼(116)은 상기 전자 시스템(10)의 각종 기능, 예컨대, 채널 증감 버튼, 음량 증감 버튼, 숫자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자 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시스템(10)의 다수의 기능들 중에서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동작에 요구되는 각종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동작 인식 모듈(122) 및 제어 모듈(124)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은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이용한 상기 전자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한다. 상기 제어 모듈(124)은 사용자의 버튼 조작 및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사용자의 버튼 조작 및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시스템이 상기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 신호들을 발생한다.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은 삼각 측정법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 인식 과정은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 또는 상기 제어 모듈(124)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은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은 XY평면, YZ평면, 및 ZX평면 각각을 다수의 평면으로 나누고,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의 경로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도 있다.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의 동작은 차후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메모리 블락(130)은 상기 프로세서(120)의 연산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동작에 상응하는 상기 전자 시스템(10)의 다수의 기능들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메모리 블락(130)은 상기 프로세서(120)와 분리되어 있으나 상기 메모리 블락(130)은 상기 프로세서(120)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118)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의 방향과 가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 모듈(124)은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 및 상기 사용자의 동작의 방향 및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TV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100)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오른쪽으로 미리 정해진 가속도 이상으로 움직일 경우 음량이 최대로 제어되고 오른쪽으로 미리 정해진 가속도 이상으로 움직일 경우 음량이 최소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50)는 상기 제어 모듈(12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전자 시스템(10)의 기능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음향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TV의 음량이 5 증가된 경우에 상기 스피커(150)는 '음량이 5 증가되었습니다.'라는 음향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상기 제어 모듈(12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전자 시스템(10)의 기능 제어 상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볼륨이 35로 증가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진동기(170)는 상기 제어 모듈(12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정상적 작동 여부, 상기 전자 시스템(10)의 제어 정도, 상기 전자 시스템(10)의 특정 기능 수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기(17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사용자의 동작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가 인식할 수 없으면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기(17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전자 시스템(10)의 제어 정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진동을 발생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하나의 전자 시스템에 매칭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다수의 전자 시스템들 중에서 상응하는 전자 시스템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함으로써 다수의 전자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다수의 전자 시스템들 각각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와 통신하기 위한 신호들도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그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본다.
사용자가 동작 인식 버튼(114)를 누르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동작 인식 기능 수행이 개시된다(S30). 그러면 상기 적외선 수신 모듈(105)운 사용자가 동작 인식 버튼(114)를 누른 시점과 상기 동작 인식 버튼(114)에서 손을 뗀 시점 사이를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전자 시스템(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광선들을 수신하며,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은 상기 적외선 수신 모듈(120)을 통하여 수신되는 적외선 광선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00)을 이용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한다(S40).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의 사용자 동작 인식 방법을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동작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a는 전자 시스템(10)의 적외선 송신부(50)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광선들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동작 방향을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동작은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하여 음양(+ 또는 -)의 방향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b는 사용자의 동작이 X축으로 양의 방향으로 인식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명료한 설명을 위하여 Z축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발생하지 않은 것을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동작은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X축 양의 방향으로 X1만큼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동작 인식 모듈(122)은 X축에 대한 위치 변화 X1과 Y축에 대한 위치 변화를 비교한다. 도 4b에서는 Y축에 대한 위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X축에 대한 위치 변화 X1에 대한 Y축에 대한 위치 변화가 미리 정해진 허용치 Y1 및 Y2 범위 내이면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은 Y축에 대한 위치 변화는 무시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는 사용자의 동작이 X축 양의 방향으로 X1만큼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모듈(124)은 X축 방향에 상응하는 음량을 양의 방향 X1에 상응하는 양만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도 4c는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이 XY평면 상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도 4c에서는 YZ평면 및 ZX평면에 대한 위치 변화는 고려하지 않는다.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은 사용자가 동작 인식 버튼(114)를 누른 시점의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작 인식 버튼(114)에서 손을 뗀 시점에서의 위치의 원점에 대한 각도 및 거리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가 TV용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는 제1 내지 제8 평면으로 구분된 XY평면에서 사용자의 동작이 원점에서 제1 및 제5 평면 내로 이루어 지면 이는 음량을 증감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 있으며, 제3 및 제7 평면 내로 이루어 지면 채널을 증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은 XY 평면 내에서의 사용자의 동작 경로에 기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가 TV용이라고 가정하면 사용자의 동작 경로가 시계 방향으로 그리는 경로이면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은 음소거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반시계 방향이면 화면 캡처(capture)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도 4d는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이 Z축에 대한 위치 변화를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의 동작은 도 4a에서 X축을 기준으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동작 인식 모듈(122)에 의한 사용자 동작 인식이 완료되면, 제어 모듈(124)은 인식된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전자 시스템(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S50),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적외선 송신 모듈(140)을 통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시스템(10)으로 송신한다(S60). 그러면 상기 전자 시스템(10)은 상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적외선 송수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서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서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양자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100)와 달리 다수의 적외선 송수신 모듈들(105a, 140a 내지 105c, 140c)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는 3 개의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적외선 송수신 모듈들(105a, 140a 내지 105c, 140c)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수의 적외선 송수신 모듈들(105a, 140a 내지 105c, 140c) 각각은 서로 구별되는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여 다수의 전자 시스템들 중에서 상응하는 전자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0 또는 100')를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는 IPTV의 화면이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 또는 100')를 마우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 또는 100')의 특정 버튼(미도시)을 눌려 IPTV의 화면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 또는 100')가 가리키는 위치에 마우스 포인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채널에 상기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켜 상기 채널을 실행시킬 수 있다.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에 상응하는 전자 시스템의 블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는 IPTV의 화면이다.

Claims (21)

  1. 전자 시스템으로부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 모듈;
    상기 수신되는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시스템의 다수의 기능들 중에서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발생된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2. 다수의 전자 시스템들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다수의 전자 시스템들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 시스템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
    상기 선택된 전자 시스템으로부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 모듈;
    상기 수신되는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 시스템의 다수의 기능들 중에서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발생된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상기 전자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시스템이 상기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모듈은
    삼각 측정법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모듈은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리모트 컨트로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모듈은
    XY평면, YZ평면, 및 ZX평면 각각을 다수의 평면으로 나누고,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의 경로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동작 인식 모듈의 동작 인식 작업의 시작 시점과 상기 동작 인식 작업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 인식 버튼을 더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상응하는 상기 전자 시스템의 다수의 기능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의 방향과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 및 상기 사용자의 동작의 방향 및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전자 시스템의 기능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정상적 작동 여부, 상기 전자 시스템의 제어 정도, 상기 전자 시스템의 특정 기능 수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진동기를 더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2. 다수의 전자 시스템들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다수의 전자 시스템들 중에서 상응하는 전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광선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적외선 광선들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상응하는 전자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다수의 적외선 송수신 모듈들; 및
    상기 다수의 적외선 수신 모듈들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시스템의 다수의 기능들 중에서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는 동작 인식 모듈; 및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며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시스템이 상기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모듈은
    삼각 측정법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 각각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모듈은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리모트 컨트로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모듈은
    XY평면, YZ평면, 및 ZX평면 각각을 다수의 평면으로 나누고,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의 경로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동작 인식 모듈의 동작 인식 작업의 시작 시점과 상기 동작 인식 작업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 인식 버튼을 더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상응하는 상기 전자 시스템의 다수의 기능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의 방향과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다수의 적외선 광선들의 위치 변화 및 상기 사용자의 동작의 방향 및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전자 시스템의 기능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정상적 작동 여부, 상기 전자 시스템의 제어 정도, 상기 전자 시스템의 특정 기능 수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진동기를 더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KR1020080120537A 2008-12-01 2008-12-01 동작 인식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KR101004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537A KR101004768B1 (ko) 2008-12-01 2008-12-01 동작 인식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537A KR101004768B1 (ko) 2008-12-01 2008-12-01 동작 인식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101A true KR20100062101A (ko) 2010-06-10
KR101004768B1 KR101004768B1 (ko) 2011-01-04

Family

ID=4236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537A KR101004768B1 (ko) 2008-12-01 2008-12-01 동작 인식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7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602A (ko) 2017-01-31 2018-08-09 전자부품연구원 복수의 컨트롤러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장치
KR20190055897A (ko) 2017-11-16 2019-05-24 전자부품연구원 진동 피드백을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655B1 (ko) * 2012-04-27 2013-12-09 엔그램테크놀로지(주) 모션센서를 활용한 사용자 경험 기반의 스마트tv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225B1 (ko) * 2001-12-05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
KR101170081B1 (ko) * 2005-09-07 201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에 대응되는 리모콘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컨트롤러
KR20080027661A (ko) * 2006-09-25 2008-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602A (ko) 2017-01-31 2018-08-09 전자부품연구원 복수의 컨트롤러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장치
KR20190055897A (ko) 2017-11-16 2019-05-24 전자부품연구원 진동 피드백을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768B1 (ko) 201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1168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gesture recognition and control based on ultrasonic positioning
US201201694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Device for Remote Control Based on Determined Navigational State of a Remote Control Device
US8441388B2 (en) Remote control devices and methods
EP1337965B1 (en) A device network having selectable targets
KR100580648B1 (ko) 3차원 포인팅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513379B1 (ko)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4260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상장치를 원격제어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
US20070115252A1 (en) 3-D cursor control system
US1172149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orientation compensation in pointing devices
US20160187469A1 (en) Distance detection apparatus for acquiring distance information having variable spatial resolutio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40176430A1 (en) Intelligent switching system, electronic device thereof, and method thereof
KR101004768B1 (ko) 동작 인식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KR20210104878A (ko) 위치 감지 시스템 및 디지털 스타일러스
US20150035751A1 (en) Interface apparatus using motion recogn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020190B1 (ko) 기기 식별 장치 및 리모컨 시스템
US20180120830A1 (en) Method to operate a portable input device that controls a motor vehicle
KR20130121379A (ko) 모션센서를 활용한 사용자 경험 기반의 스마트tv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US8432360B2 (en) Inpu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20200069060A (ko)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US9582120B2 (en) Display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699670B1 (ko) 원격 입력장치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790818B1 (ko) 손 동작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JP5853006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20140050464A (ko) 스마트 tv,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71633B1 (ko) 리모컨의 위치 탐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