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799A -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799A
KR20100060799A KR1020080119548A KR20080119548A KR20100060799A KR 20100060799 A KR20100060799 A KR 20100060799A KR 1020080119548 A KR1020080119548 A KR 1020080119548A KR 20080119548 A KR20080119548 A KR 20080119548A KR 20100060799 A KR20100060799 A KR 20100060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ta file
firmware update
firmware
mobile terminal
up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0799A/ko
Publication of KR2010006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58Incremental updates; Differential 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MMS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 메시지의 종류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일 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파일을 추출하는 과정과,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첨부파일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80119548
휴대단말, 펌웨어, FOTA, MMS, 델타파일

Description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FIRMWARE UPDATE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의 펌웨어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하고, 펌웨어 업데이트에 따른 안내정보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은 펌웨어(Firmware)를 통해 운용된다. 상기 펌웨어는 데이터나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핵심적인 소프트웨어를 롬(ROM, Read Only Memory) 등에 저장하여 하드웨어(Hardware)처럼 사용되는 프로그램(Program)을 의미한다. 이러한 펌웨어는 휴대단말의 안정된 성능과 버그(bug)를 수정하기 위해 제품의 출시 이후에도 새로운 버전(version)이 지속적으로 개발될 수 있다.
상기 펌웨어의 새로운 버전이 개발될 경우 휴대단말의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펌웨어를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유선 또는 무선 등의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무선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무선을 이용한 펌웨 어 업데이트 방식의 대표적인 예로 포타(FOTA, Firmware Over The Air)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상기 포타 서비스는 기존 버전의 펌웨어와 새로운 버전의 펌웨어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부분만을 추출한 델타파일(Delta file)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함으로서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즉, 휴대단말은 델타파일을 획득하고, 기존 펌웨어에서 변화된 부분 즉, 상기 델타파일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수정함으로서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단말은 업데이트 에이전트(Update Age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업데이트 에이전트는 델타파일 저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은 상기 델타파일을 휴대단말의 상기 델타파일 저장영역에 다운로드하고, 이를 확인한 상기 업데이트 에이전트가 업데이트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포타 서비스에 의한 펌웨어 업데이트 방식은, 휴대단말에 업데이트 정보가 표시될 시, 업데이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고 단순히 푸시 메시지(push message)만을 통해 업데이트 수행을 통지하고 있다. 이에, 포타 서비스에 대한 배경 지식이 없는 사용자는 업데이트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 못하므로, 상기 업데이트에 대한 메시지를 무시할 수 있다. 이는 추후 휴대단말에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서는 포타 서비스를 통해 델타파일을 다운로드 시, 포그라운드(Forground)로 사용자가 선택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과금의 부담을 인 지시키게 되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종래에서는 델타파일을 다운로드 시, 여러 환경의 요인으로 인하여 다운로드가 중간에 끊어지는 등의 다운로드 실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종래에서는 이어 받기 등과 같은 대안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의 펌웨어를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펌웨어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업데이트에 대한 상세 내용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업데이트의 중요성 및 업데이트 상세 내역을 알릴 수 있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에 따른 델타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파일로 제공하고,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되는 델타파일에 의해 다운로드 실패에 따른 에러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기치 못한 오류 발생 등으로 인하여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가 실패할 시,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된 델타파일에 의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 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 메시지의 종류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일 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파일을 추출하는 과정과;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첨부파일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포타서버가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델타파일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델타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파일로 첨부하고, 상기 델타파일을 첨부파일로 가지는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를 해당 휴대단말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들이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에 의한 델타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델타파일에 의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델타파일을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전달하는 포타서버와; 상기 포타서버로부터 상기 델타파일을 획득할 시 상기 델타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파일로 첨부하고, 상기 델타파일을 첨부파일로 가지는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를 해당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에 의한 델타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델타파일에 의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휴대단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의한 펌웨어 업데이트에 관련된 상세 내역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에 운용에 따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분석에 의하여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로 인지할 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된 델타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첨부파일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펌웨어 업데이트에 대한 실행 정보만을 제공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에 대한 상세 정보 및 필요성을 사용자에게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펌웨어 업데이트에 대한 상세 내용을 사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펌웨어 업데이트 중요성, 업데이트되는 펌웨어에 대한 상세 내역 등을 상세하게 알릴 수 있다. 또한, 펌웨어 업데이트에 따른 과금 정보를 상세히 전달 가능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펌웨어 업데이트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 이는 결국, 휴대단말에서 발생 가능한 치명적인 버그(bug)에 대해 사전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펌웨어 업데이트에 따른 델타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하여 제공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파일 다운로드 기능에 의 해 이어받기 등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업데이트 중간에 예기치 못한 에러 등으로 인해 업데이트가 중단될 수 첨부파일을 통해 업데이트를 이어서 재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해 대용량의 델타파일의 첨부가 가능하며, 이에 의해 펌웨어 업데이트에 따른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기치 못한 오류 발생 등으로 인하여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가 실패한 경우에도,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파일(델타파일)을 이용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데 필요한 델타파일을 빠르게 재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들의 휴대단말을 이용함에 있어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단말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단말의 프로그램 또는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Firmware Updat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델타파일(Delta File)을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은 수신하는 MMS에 첨부된 델타파일을 이용하여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MMS의 특성에 따 라 펌웨어 업데이트에 따른 세부 항목(업데이트 필요성, 업데이트 종류/내역, 과금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을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델타파일은 휴대단말의 기존 버전의 펌웨어(기존 펌웨어)와 새로운 버전의 펌웨어(신규 펌웨어)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부분만을 추출하여 생성하는 파일(File)로서, 펌웨어 데이터와 주소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웨어 데이터는 신규 펌웨어와 기존 펌웨어에서 차이가 나는 부분만을 추출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펌웨어 데이터가 설치될 메모리 주소 값을 나타낸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은 휴대단말(100)과, 기지국(200)과, 포타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단말(100)은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한 단말로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담당하는 업데이트 에이전트(Update Agent)와 휴대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담당하는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부트 프로그램(Boot Prog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데이트 에이전트는,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 예컨대, 델타파일(Delta File)을 이용하여 휴대단말(100)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포타서버(300)로부터 상기 델타파일을 수신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상기 델타파일을 포함하는 MMS를 수신하고, 상기 MMS에 첨부된 델타파일을 해당 저장영역(델타파일 저장영역, 사용자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에 대한 상세한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휴대단말(1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포타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델타파일을 상기 휴대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지국(200)은 이동통신 사업자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한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휴대단말(100)과 상기 포타서버(300) 사이에 통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포타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 즉, 델타파일을 MMS에 첨부하여 상기 휴대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델타파일을 상기 포타서버(300)와 무선 교신 또는 유선 교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교신 방식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포타서버(300)는 일반적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의 제조사에 의해 구축되며, 새로운 펌웨어가 개발된 경우 델타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200)을 통해 해당 휴대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포타서버(300)는 신규 펌웨어가 개발된 경우, 휴대단말(100)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펌웨어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나타낸다. 상기 포타서버(300)는 상 기 델타파일을 상기 휴대단말(100) 또는 기지국(200)과 유선 또는 무선 교신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타서버(300)는 상기 델타파일을 상기 기지국(200)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포타서버(300)는 상기 휴대단말(100)이 접속하여 업데이트 파일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현재 펌웨어 버전 정보를 전송받고, 이후 버전의 업데이트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포타서버(300)는 상기 이후 버전의 업데이트 파일이 존재할 경우 상기 이후 버전의 업데이트 파일 즉, 델타파일을 상기 휴대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포타서버(300)는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 또는 상기 휴대단말(100) 제조사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포타서버(300)가 상기 제조사 서버에 포함될 시, 상기 포타서버(300)는 이전 버전의 펌웨어와 신규 펌웨어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추출하고, 상기 차이점에 해당하는 델타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즉, 제조사 서버의 기능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통해 본 발명의 동작 예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포타(FOTA, Firmware Over The Air) 서비스는 무선으로 휴대단말(100)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펌웨어(이하, 펌웨어라 통칭함) 등을 업데이트하는 기술을 나타낸다. 즉, 휴대단말(100)에 탑재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펌웨어에 문제가 있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자 할 때, 기존에 가지고 있는 펌웨어와 새로운 펌웨어를 비교하여 차이점만을 추출하여 생성하는 델타파일을 이용하여, 차이점에 해당하는 부분만 교체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포타서버(300)에서는 상기 델타파일을 자체 또는 제조사 서버로부터 획득하면, 상기 델타파일을 사업자 즉, 기지국(200)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전달받은 델타파일을 검증하고, 이후 상기 델타파일이 필요한 해당 휴대단말(100)들로 업데이트 정보를 알려준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델타파일 및 업데이트 정보를 MMS를 통해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MMS를 이하에서는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라 칭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기지국(200)을 통해 수신하는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를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100)은 사용자의 펌웨어 업데이트 희망 여부에 따라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에 첨부된 델타파일을 이용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에 따른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고, 업데이트를 원하지 않을 경우, <업데이트>, <취소> 또는 <나중에 업데이트> 등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FOTA 서비스에 의해 새로운 버전의 펌웨어 업데이트가 발생할 시, MMS를 이용하여 펌웨어 업데이트의 필요성 및 중요성과, 과금 정보(무료 정보 등), 업데이트되는 펌웨어에 대한 상세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MMS 이용을 통해 적은 내용밖에 기술할 수 없는 단문 메시지 또는 푸시 메시지가 가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아울러, MMS를 통해 델타파일의 용량의 제한 없이 첨부파일로 제공할 수 있 다. 이러한 첨부파일의 형태를 통해 사용자의 펌웨어 업데이트 참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MMS의 첨부파일을 통해 이어받기 기능을 지원하여, 대용량의 델타파일의 경우에도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펌웨어 업데이트를 희망할 경우, 휴대단말(100)은 MMS에 첨부된 델타파일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내려 받아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또한 업데이트가 중단될 경우 추후 이어받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휴대단말(100)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시스템 및 그의 개략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상세 동작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 하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MMS를 수신할 수 있다(201단계). 이때,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MMS를 수신할 시, 상기 MMS 수신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사용자의 상기 MMS 확인 요청 시, 상기 MMS에 대한 분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203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MMS의 분석에 의해 상기 MMS가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인지 또는 일반 MMS인지 구분 한다(205단계).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는 그 헤더(Header)에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MMS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헤더의 상기 식별정보에 의하여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를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MMS가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가 아니면, 즉 일반 MMS이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MMS에 따른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207단계). 이때, 상기 MMS에 첨부파일이 포함된 경우,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첨부파일을 휴대단말(100)의 해당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절차를 더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MMS가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이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MMS에 따른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MMS에 첨부된 첨부파일 즉, 델타파일을 추출한다(209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추출하는 델타파일을 지정된 해당 저장영역(델타파일 저장영역 또는 사용자 저장영역)에 저장한다(211단계). 이때, 상기 델타파일 저장은 상기 MMS에 따른 메시지를 표시하는 시점에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MMS에 따른 메시지 표시 후,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델타파일은 일반적인 기술에 따라 델타파일 저장영역에 다운로드하여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 지정에 따른 별도의 사용자 저장영역에 다운로드하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저장영역은 휴대단말(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할당된 영역으로서, 예를 들면, 사진 또는 동영상 및 음악파 일(예컨대, MP3 파일) 등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저장영역은 상기 휴대단말(100)의 내장 메모리(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중 일정 영역이 될 수 있으며, 또는 휴대단말(100)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착되는 외장 메모리(예컨대, SD 카드, T-Flash 카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델타파일에 의한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213단계). 이때, 사용자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이 없을 시, 상기 휴대단말(100)은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217단계). 여기서, 상기 해당 동작은 상기 MMS에 따른 메시지 표시 기능을 종료하고,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등의 동작일 수 있다.
반면, 사용자로부터 업데이트 요청이 있을 시,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델타파일을 이용한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한다(215단계). 여기서,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지정된 해당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델타파일을 이용하여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는 해당 규격에서 정의하는 절차에 의하여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절차에 따라 재부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재부팅 시 최초 동작되는 부트 프로그램은 델타파일 저장영역에 업데이트 파일 즉, 델타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델타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부트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단말(100)의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을 구동하고, 업데이트 파일이 존재하면 상기 부트 프로그램은 업데이트 에이전트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 에이전트는 상기 휴대단 말(100)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업데이트 에이전트는 상기 델타파일 저장영역에 저장된 델타파일을 이용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고, 펌웨어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상기 델타파일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기 델타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업데이트 에이전트는 상기 휴대단말(100)을 재부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부팅 시 상기 델타파일 저장영역에 델타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휴대단말(100)은 운영시스템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100)은 펌웨어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단말(1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 등을 통해 델타파일을 수신하여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특히 다양한 메시지 서비스(MMS, 전자메일 등)를 통해 델타파일을 첨부파일로서 획득 가능한 단말기이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휴대단말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 이어,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를 하기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를 일예로 하여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100)은 무선통신부(310)와, 입력부(320)와, 오디오처리부(330)와, 표시부(340)와, 저장부(350) 및 제어부(360)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350)는 델타파일 저장영역(355) 등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31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310)는 지원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기지국)과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3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통신부(310)는 상기 포타서버(300)가 제공하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델타파일을 상기 기지국(200)을 통해 수신할 수 있 다. 특히, 상기 무선통신부(310)는 상기 델타파일을 MMS를 통해 수신한다. 이때, 상기 델타파일을 포함하는 MMS는 해당 MMS가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헤더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310)는 상기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기지국(200) 또는 포타서버(300)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해 필요한 상기 델타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320)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36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320)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위한 키패드(Keypad)와 터치패드(Touch pa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20)는 상기 표시부(34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320)는 수신하는 MMS를 확인하는 키 신호 및 MMS에 첨부되는 첨부파일(델타파일 등)을 다운로드 요청하는 키 신호 등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360)로 전달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마이크(MIC, Microphone) 및 스피커(SPK, Speaker)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36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36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부(36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 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330)는 휴대단말(10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성분(예컨대, MP3 파일 재생 등에 따른 오디오신호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4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 및 기능 설정 등에 따른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340)는 상기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MMS의 메시지 내용(업데이트 상세 정보), 업데이트 여부 선택 정보 및 첨부파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340)는 상기 제어부(36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340)는 펌웨어 업데이트에 따른 사용자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의 화면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340)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 중임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거나, MMS의 첨부파일에 따른 델타파일을 수신 중임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 중 및 수신 중임을 알리는 화면은 간단한 문구 또는 이미지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360)는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를 표시할 시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는 선택메뉴 또는 팝업창(Pop Up Window)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4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단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35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5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생성 및 활용되 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100)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기지국, 포타서버,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는 MMS에 포함되는 첨부파일 또는 MMS에 포함되는 델타파일을 포함하며,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10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상기 휴대단말(100)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50)는 상기 무선통신부(310)를 통한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50)는 상기 휴대단말(100)을 부팅시키기 위한 부트 프로그램(Boot Program),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에이전트(Update Agent), 휴대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시스템(OS, Operating System)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5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350)는 MMS, MMS의 첨부파일, 사진, 동영상 및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사용자 저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저장영역은 휴대단말(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할당된 저장영역이다. 상기 사용자 저장영역은 MMS로부터 획득하는 델타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350)는 상기 델타파일을 저장하는 델타파일 저장영역(355)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35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본 발명의 콘텐츠 관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 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저장부(350)의 어플리케이션 저장영역(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부트 프로그램, 업데이트 에이전트, 운영시스템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부트 프로그램은 휴대단말(100)을 부팅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부팅 시 상기 델타파일 저장영역(355)을 확인하여 델타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 에이전트를 구동하며, 상기 델타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 에이전트는 델타파일을 이용하여 휴대단말(100)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델타파일 저장영역(355)에 델타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부트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업데이트 에이전트는 델타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상기 델타파일 저장영역(35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50)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5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저장부(350)는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350)는 롬,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또는 두 개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휴대단말(1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100) 내의 상기 각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무선통신부(310)와, 상기 입력부(32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330)와, 상기 표시부(340) 및 상기 저장부(35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100)의 펌웨어 업데이트 동작과 관련된 일련의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60)는 수신하는 MMS의 헤더를 분석하여 상기 MMS가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인지 일반 MMS인지를 구분한다.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MMS 헤더의 식별정보에 의하여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수신하는 MMS가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인 경우, 상기 MMS에 첨부된 델타파일을 추출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델타파일을 상기 델타파일 저장영역(355) 또는 사용자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MMS에 첨부된 델타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의 펌웨어 업데이트에 관련된 일련의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델타파일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가 완료될 시, 상기 델타파일을 해당 저장영역에서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펌웨어 업데이트용 MMS를 수신할 시, 펌웨어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선택메뉴 또는 팝업창을 상기 표시부(3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는 사용자에게 델타파일에 의한 펌웨어 업데 이트 여부 또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델타파일의 다운로드 여부를 확인하는 선택메뉴 또는 팝업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사용자가 펌웨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델타파일에 의거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델타파일에 의한 업데이트 시작 및 업데이트 완료 시 상기 휴대단말(100)의 재부팅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36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의 전술한 기능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휴대단말(100)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전송될 신호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인터리빙(interleaving) 등을 통해 변환한 후 변조하여 RF 모듈로 제공할 수 있으며, RF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복조, 등화(Equalization), 채널 디코딩(Channel decoding) 및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이 상기 제어부(36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360) 및 상기 무선통신부(310)에 각각 구비될 수 있거나, 상기 제어부(360) 및 상기 무선통신부(31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100)의 개략적 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디지털방송수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카메라모듈 및 인터넷통신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단말(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본 발명이, 포타(FOTA, Firmware Over The Air)를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및 동작으로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휴대단말(100)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펌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100)은 델타파일을 컴퓨터(PC) 등에 다운로드한 후 유선 케이블(예컨대 범용 직렬 버스; USB)을 이용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거나, 외장용 메모리 카드(예컨대, SD card, T-flash card 등)에 델타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 상기 외장형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 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28)

  1.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종류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일 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파일을 추출하는 과정과,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첨부파일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부파일은,
    기존 펌웨어와 신규 펌웨어의 비교에 의해 서로 다른 부분의 펌웨어만을 추출하여 생성하는 델타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델타파일을 델타파일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델타파일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가 완료될 시, 상기 델타파일 저장영역의 상기 델타파일을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델타파일 및 상기 델타파일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에 관련된 상세 내역 정보를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업데이트가 중단될 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상기 첨부파일에 의해 업데이트를 재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후,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상기 첨부파일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첨부파일의 다운로드 중단 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의한 이어받기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는 그 헤더(header)에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10.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포타서버가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델타파일을 기지국으로 전송 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델타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파일로 첨부하고, 상기 델타파일을 첨부파일로 가지는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를 해당 휴대단말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들이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에 의한 델타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델타파일에 의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에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헤더에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들은,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의 델타파일을 추출하여 델타파일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들은,
    상기 델타파일 및 상기 델타파일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에 관련된 상세 내역 정보를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들은,
    상기 업데이트가 중단될 시,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의 상기 델타파일에 의해 업데이트를 재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15.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델타파일을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전달하는 포타서버와,
    상기 포타서버로부터 상기 델타파일을 획득할 시 상기 델타파일을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파일로 첨부하고, 상기 델타파일을 첨부파일로 가지는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를 해당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에 의한 델타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델타파일에 의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휴대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 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에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헤더에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의 델타파일을 추출하여 델타파일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델타파일 및 상기 델타파일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에 관련된 상세 내역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업데이트가 중단될 시,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의 상기 델타파일에 의해 업데이트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20. 휴대단말에 있어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의한 펌웨어 업데이트에 관련된 상세 내역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에 운용에 따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첨부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분석에 의하여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로 인지할 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첨부된 델타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첨부파일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첨부파일은,
    기존 펌웨어와 신규 펌웨어의 비교에 의해 서로 다른 부분의 펌웨어만을 추 출하여 생성하는 델타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델타파일을 상기 저장부의 델타파일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시, 상기 델타파일 및 상기 델타파일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에 관련된 상세 내역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데이트가 중단될 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상기 델타파일에 의해 업데이트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후,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상기 델타파일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델타파일의 다운로드 중단 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의한 이어받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델타파일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가 완료될 시, 상기 델타파일 저장영역의 상기 델타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 메시지는 그 헤더(header)에 펌웨어 업데이트용 메시지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080119548A 2008-11-28 2008-11-28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20100060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548A KR20100060799A (ko) 2008-11-28 2008-11-28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548A KR20100060799A (ko) 2008-11-28 2008-11-28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799A true KR20100060799A (ko) 2010-06-07

Family

ID=4236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548A KR20100060799A (ko) 2008-11-28 2008-11-28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07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130A (ko) * 2012-11-06 2014-05-14 주식회사 아이리버 Ota를 이용한 휴대용 기기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CN105138358A (zh) * 2015-08-13 2015-12-09 深圳市中兴物联科技有限公司 固件升级装置和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130A (ko) * 2012-11-06 2014-05-14 주식회사 아이리버 Ota를 이용한 휴대용 기기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CN105138358A (zh) * 2015-08-13 2015-12-09 深圳市中兴物联科技有限公司 固件升级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1720A (ko) 포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339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cesses of application program
US10044215B2 (en) Method, apparatus, and server for updating software
US20170237930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haring of video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CN107273160A (zh) 一种版本升级的方法及装置
CN109429102B (zh) 用于显示应用的电子装置及服务器
WO2016041312A1 (zh) 应用程序运行方法及装置
KR20120041384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JP2017505966A (ja) ファームウェアアップグレード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6531360A (ja) 記憶空間を節約するための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13110852A (zh) 固件升级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090090801A (ko) 휴대 단말기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CN105094931A (zh) 软件升级方法及装置
US8825991B2 (en) FOTA based data update method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02982052A (zh) 用于划分媒体文件的方法和设备
EP3657326B1 (en) Broadcast even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201752421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インストールパッケージの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6095456A (zh) 引导用户下载应用程序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128088B1 (ko)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1095108A1 (zh) 应用程序界面的动态显示方法及装置
CN105320616A (zh) 外部设备控制方法及装置
US10491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act information
CN105430448A (zh) 一种视频播放器的控制处理方法和视频播放器客户端
CN106095423B (zh) 提供浏览服务的方法、终端及服务器
KR20100060799A (ko) 휴대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