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457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457A
KR20100060457A KR1020080119052A KR20080119052A KR20100060457A KR 20100060457 A KR20100060457 A KR 20100060457A KR 1020080119052 A KR1020080119052 A KR 1020080119052A KR 20080119052 A KR20080119052 A KR 20080119052A KR 20100060457 A KR20100060457 A KR 20100060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on mode
speak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화
오정엽
이명로
신승우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0457A/ko
Priority to US12/625,966 priority patent/US20100131749A1/en
Publication of KR2010006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control of the receiver volume to provide a dual operational mode at close or far distance from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H03G3/302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the gain being discontinuously variable, e.g. controlled by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접촉상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하우징 방향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구성을 개시하여 공감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센서, 모션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근접상태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을 감지하여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사용자들이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 효율성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를 출시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자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이를 위해 새로운 입력수단 또는 기존의 입력수단과 새로운 입력수단을 조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웨어적 키패드를 통해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입력수단으로 채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유연하고 빠르게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정 키버튼을 정확하게 누르거나 터치스크린에 출력된 영역을 정확하게 터치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직접 해당 키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정확하게 입력동작을 수행해야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정확한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진행 중인 동작 또는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시각적으로 입력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진행 중인 동작 또는 작업의 단절을 야기하고 시각적 확인을 위한 과정으로 인해 사용자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을 변경하여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근접상태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션에 대응하여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접촉여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작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접촉여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동작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접촉상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접촉여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동작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접촉상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하우징 방향을 제어하는 동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모드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 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센서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통화 기능에 필요한 음성 신호 및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외부 통신기기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채널을 형성하고, 해당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음성 또는 화상 신호를 송수신 하거나 외부 통신기기와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 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20)는 센서부(130)에서 생성하는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스피커(SPK)의 패스(path)나 이득(gain)을 조절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스피커(SPK) 뿐만 아니라 마이크(MIC)의 이득(gain)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이득이 다른 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센서부(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스피커 간 패스를 조절하여 음향출력을 제어하고 이득이 가변 가능한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센서부(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스피커의 이득을 조절하여 음향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센서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을 바탕으로 동작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사용자 간의 접촉여부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하우징의 방향 등에 따라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사용자 간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부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하우징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제 2 센서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센서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조도센서(Light sensor), 터치센서(Touch sensor), 압력센서(Pressure sensor), 온도센서(Thermal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c sensor),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별도로 포함하거나 제 2 센서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센서부와 제 2 센서부에 언급된 센서들을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구현에 따라 접촉여부를 감지하거나 방향 및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일면에 배치되어, 기능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터치센서를 배치하여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는 화면을 출력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문자 또는 숫자, 각종 터치 및 스위핑(sweeping) 동작을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센서부(130)에서 수집되는 감지신호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링 기능을 담당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사용자 간의 접촉여부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움직임 또는 하우징의 방향 등에 대응하여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센서부(130)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센서부(130)에 포함된 각 센서를 운용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동영상과, 폰 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사용자 간의 접촉여부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움직임 또는 하우징 방향 등에 대응하는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 디스플레이부의 제어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 디스플레이부의 제어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상태와 대응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센서부(130)와 사용자 간의 접촉여부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움직임 또는 하우징 방향 등에 따라 스피커(SPK)의 패스를 제어하거나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의 이득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인식부(163) 및 동 작 조정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인식부(163)는 상기 센서부(130)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와 접촉상태인지 인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하우징 방향을 인식한다. 즉, 상기 센서 인식부(163)는 상기 센서부(130)의 제 1센서부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와 접촉상태인지 확인하고, 사용자와 접촉상태가 아닌 경우 제 2센서부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제 2센서부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을 인식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방향은 지면을 기준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일면이 갖는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 인식부(163)는 상기 센서부(13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여부도 인식한다. 상기 센서 인식부(163)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해진 물리력에 따라 일정 방향 및 일정 각도, 일정 주기를 가지고 움직이도록 하는 흔들기(shaking) 동작도 인식한다.
상기 동작 조정부(165)는 상기 저장부(15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 디스플레이부의 제어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센서 인식부(163)의 인식결과에 따라 상기 스피커(SPK)의 패스를 제어하거나 상기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의 이득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방법을 설 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해당 이벤트가 진행 중인 경우, 센서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감지한다(S101). 이때,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귀나 손과 같은 신체 일부분이 접촉되기 용이한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통화 시 귀나 얼굴의 일부분이 접촉되는 스피커 주변이나 디스플레이부 영역에 근접센서나 적외선 센서, 조도센서, 터치센서, 압력센서, 온도센서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 연결 상태이거나 호 수발신이 시작하는 시점,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Music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이 활성화되고 있거나 활성화되는 시점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이벤트가 진행 중인 시점의 구분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가 비동작 상태인지 동작상태인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각 이벤트에 대한 실시예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103), 상기 센서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을 감지한다(S105).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가 다른 센서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접촉되지 않은 상태인 것이 확인된 시점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이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이미지 센서 등이 항시 감지상태를 유지하 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모가 높아지고 기설정된 다른 움직임에 대응하여 오동작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센서의 구동시점을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추가적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결과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지면을 기준으로 마주보고 있는지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 판단한다(S107).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일면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전면의 반대면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이라고 정의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은 지면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방향을 향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의 패스를 변경하거나 스피커의 이득을 조절하여 동작모드를 제어함으로써(S109),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정거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벤트 상태에 따라 스피커 뿐만 아니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통화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귀에서 떨어뜨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방향을 향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 통화상대의 음성이 크게 출력될 수 있도록 스피커를 제어하며, 사용자의 음성이 원활하게 입력될 수 있도록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하여 스피커 폰(speaker phone, conference call, 국내 에서 한뼘 통화 기능으로 언급되기도 함)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조건으로 추가할 수도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소정 임계값 이하로 감지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방향을 향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은 '0'이 바람직하나 해당 움직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계치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일반 통화모드에서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일반 통화모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영역에 귀를 접촉한 상태로 통화를 진행하는 경우로 정의하고, 스피커 폰 모드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크게하고 마이크의 이득을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도 통화를 진행할 수 있는 경우로 정의한다.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가 일반 통화모드로 진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접촉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감지동작을 시작한다(S201). 이때, 상기 근접센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접촉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근접센서는 통화 시 귀나 얼굴의 일부분이 접촉되는 스피커 주변이나 디스플레이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가 사용자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촉이 해지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S203),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구동하 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205). 이때, 상기 가속도 센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개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속도 센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방향을 향하는지 판단한다(S207).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방향을 판단하는 시점을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0'인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의 방향을 판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은 '0'이 바람직하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움직임을 '0'으로 판단하는 임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0'이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방향이 아닌 경우, 현재 음향을 출력하고 있는 제 1 스피커와 다른 이득을 갖는 제 2 스피커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09). 이때, 제 2 스피커는 제 1 스피커보다 큰 이득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제 1 스피커보다 높은 이득을 갖는 제 2 스피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제 1 스피커의 이득을 높이고 마이크의 이득을 높여 일반 통화모드를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한다(S211). 그리고, 제 1 스피커보다 높은 이득을 갖는 제 2 스피커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 2 스피커로 출력패스를 변경하고 마이크의 이득을 높여 일반 통화모드를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한다(S213).
상기 스피커 폰 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정 방향 및 일정 각도, 일정 주기로 흔들기(shaking)하는 경우, 해당 스피커 폰 모드를 종료하고 일반 통화모드 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 폰 모드에 진입한 후 상기 흔들기와 같이 현재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정의한 동작 이외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무시한다. 즉, 스피커 폰 모드로 진입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뒤집히면 해당 움직임으로 발생하는 감지신호는 무시하고 스피커 폰 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드에서 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설정 조건에 따라 일반 통화모드 또는 스피커 폰 모드로 통화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일반 통화모드와 스피커 폰 모드는 도 4의 실시예에서 개시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 연결되지 않은 대기모드 상태에서(S301) 기지국으로부터 호를 수신하면, 사용자는 수신 호에 대한 연결을 수락한다(S303). 상기 과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상적인 통화연결 표준 및 절차에 따라 진행된다.
사용자가 통화연결을 수락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접촉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감지동작을 시작한다(S305). 이때, 상기 근접센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접촉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근접센서는 통화 시 귀나 얼굴의 일부분이 접촉되는 스피커 주변이나 디스플레이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한 결과, 사용자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촉상태가 아닌 경우(S307),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구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309). 이때, 상기 가속도 센서는 일 실 시예에 불과하며 개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속도 센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방향을 향하는지 판단한다(S311).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방향을 판단하는 시점을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0'인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의 방향을 판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은 '0'이 바람직하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움직임을 '0'으로 판단하는 임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0'이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방향이 아닌 경우, 다른 이득을 갖는 둘 이상의 스피커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13). 일반적으로, 둘 이상의 스피커는 일반 통화모드 시 사용되는 제 1 스피커와, 제 1 스피커보다 큰 이득을 갖는 제 2 스피커로 정의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이득을 갖는 둘 이상의 스피커가 존재하지 않고 하나의 스피커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는 해당 스피커의 이득을 높이고 마이크의 이득을 높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스피커 폰 모드로 설정한다(S315). 그리고, 제 1 스피커보다 높은 이득을 갖는 제 2 스피커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 2 스피커로 출력패스를 설정하고 마이크의 이득을 높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스피커 폰 모드로 설정한다(S317).
사용자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촉상태인 경우나 사용자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비접촉상태이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방향인 경우,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개수와 상관없이 일반 통화모드에 동작하는 스피커와 마이크가 일반 통화모드에 적합한 이득을 갖도록 제어한다(S319). 이때, 상기 일반 통화모드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도 4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서 스피커 폰 모드는 스피커와 마이크의 이득을 모두 높이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나, 이는 변경 가능한 설정에 불과하며 스피커와 마이크 간의 하울링(hawl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는 기존 이득을 유지하고 스피커의 이득만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 폰 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정 방향 및 일정 각도, 일정 주기로 흔들기(shaking)하는 경우, 해당 스피커 폰 모드를 종료하고 일반 통화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 폰 모드에 진입한 후 상기 흔들기와 같이 현재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정의한 동작 이외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무시한다. 즉, 스피커 폰 모드로 진입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뒤집으면 해당 움직임으로 발생하는 감지신호는 무시하고 스피커 폰 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미도시)로, 사용자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접촉여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을 감지하여 스피커와 마이크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통화모드 시에는 디스플레이부를 오프하고 스피커 폰 모드에는 디스플레이부를 온하여 사 용자 편의에 따라 메모 입력이나 문자 메시지 작성 등의 멀티테스킹 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DMB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에서 스피커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DMB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경우, 기본적으로 높은 이득을 갖는 스피커로 음향이 출력되고 디스플레이부는 활성화 된다고 가정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DMB가 실행되면(S401),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접촉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가 감지동작을 시작한다(S403). 이때, 상기 근접센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접촉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근접센서는 통화 시 귀나 얼굴의 일부분이 접촉되는 스피커 주변이나 디스플레이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한 결과, 사용자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촉상태인 경우(S405),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구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407). 이때, 상기 가속도 센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개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속도 센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방향을 향하는지 판단한다(S409).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 방향을 판단하는 시점을 명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지속적으 로 감지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0'인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의 방향을 판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은 '0'이 바람직하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움직임을 '0'으로 판단하는 임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이 '0'이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방향이 아닌 경우, 다른 이득을 갖는 둘 이상의 스피커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411). 일반적으로, 둘 이상의 스피커는 일반 통화모드 시 사용되는 제 1 스피커와, 제 1 스피커보다 큰 이득을 갖는 제 2 스피커로 정의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나 DMB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은 제 2 스피커가 동작하고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마이크는 오프하거나 마이크 온 상태에서 입력되는 음향을 무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이득을 갖는 둘 이상의 스피커가 존재하지 않고 하나의 스피커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는 스피커의 이득이 해당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대응하는 기본 스피커 이득보다 낮아지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오프하여 비활성화 한다(S413). 그리고, 제 2 스피커보다 낮은 이득을 갖는 제 1 스피커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 1 스피커로 출력패스를 설정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오프하여 비활성화 한다(S415). 즉,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에 접촉하여 움직임이 없고 전면이 지면을 향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와 접촉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스피커 출력은 제공하되 디스플레이부는 오프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방지한 다.
사용자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비접촉상태인 경우나 사용자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촉상태이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이 지면방향인 경우,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개수와 상관없이 해당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대응하여 스피커 출력을 높이고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한다(S417).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모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반 통화모드에서 동작모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기모드에서 동작모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모드에서 동작모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13)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접촉여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접촉여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동작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방향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일면이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 1센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을 감지하는 제 2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추가적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와 접촉상태인지 인식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하우징 방향을 인식하는 센서 인식부와;
    상기 센서 인식부의 인식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동작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와 마이크,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스피커의 이득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 스피커의 패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장치.
  8.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의 접촉상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 간의 접촉여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방향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동작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방향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일면이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와 접촉상태인지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하우징 방향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와 마이크,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하나의 스피커를 갖는 경우 해당 스피커의 이득을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 스피커의 패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제어방법.
KR1020080119052A 2008-11-27 2008-11-27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00060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052A KR20100060457A (ko) 2008-11-27 2008-11-27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US12/625,966 US20100131749A1 (en) 2008-11-27 2009-11-2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052A KR20100060457A (ko) 2008-11-27 2008-11-27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457A true KR20100060457A (ko) 2010-06-07

Family

ID=4219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052A KR20100060457A (ko) 2008-11-27 2008-11-27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31749A1 (ko)
KR (1) KR201000604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830B1 (ko) * 2007-08-28 201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제어 장치
US20110161809A1 (en) * 2009-12-30 2011-06-30 Gilmour Daniel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320974B2 (en) * 2010-09-02 2012-11-27 Apple Inc. Decisions on ambient noise suppre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handset device
JP5183790B2 (ja) * 2010-09-27 2013-04-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8320970B2 (en) * 2011-02-16 2012-11-27 Google Inc. Mobile device display management
US9264553B2 (en) 2011-06-11 2016-02-16 Clearone Communica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cho cancelation with beamforming microphone arrays
US8750528B2 (en) * 2011-08-16 2014-06-10 Fortemedia, Inc. Audio apparatus and audio controller thereof
US8831686B2 (en) 2012-01-30 2014-09-09 Blackberry Limited Adjusted noise suppression and voice activity detection
US8996767B2 (en) * 2012-05-02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control based on surface material detection
US8862104B2 (en) * 2012-06-29 2014-10-14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based management
US9711090B2 (en) * 2012-08-09 2017-07-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nging display brightness based on acceleration and distance
US20140191980A1 (en) * 2013-01-04 2014-07-1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ystem for reuse of touch panel and controller by a secondary display
US8971968B2 (en) * 2013-01-18 2015-03-03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aware usability management of human machine interfaces
US9134952B2 (en) * 2013-04-03 2015-09-15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71869B2 (en) * 2013-05-23 2015-03-03 Elwha Llc Mobile device that activates upon removal from storage
US8971868B2 (en) 2013-05-23 2015-03-03 Elwha Llc Mobile device that activates upon removal from storage
WO2015005595A1 (en) 2013-07-08 2015-01-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43875B2 (en) * 2013-09-09 2015-09-22 Nokia Technologies Oy Determination of ambient sound processed audio information
US9634728B2 (en) * 2014-05-28 2017-04-2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tactless connector
EP3198577B1 (en) * 2014-09-25 2018-07-11 Philips Lighting Holding B.V. A system for managing services
CN104540094B (zh) * 2014-11-24 2019-02-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系统及其呼叫控制方法
US9565493B2 (en) 2015-04-30 2017-02-07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rray microphon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9554207B2 (en) 2015-04-30 2017-01-24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Offset cartridge microphones
US11223496B2 (en) 2015-05-01 2022-01-11 Bosch Security Systems, Inc. Self-identifying, multi-function sensor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including same
US10367948B2 (en) 2017-01-13 2019-07-3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Post-mixing acoustic echo cancell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531180B2 (en) * 2018-04-06 2020-01-07 Motorola Mobility Llc Feed-forward, filter-based, acoustic control system
EP3804356A1 (en) 2018-06-01 2021-04-14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Pattern-forming microphone array
US11297423B2 (en) 2018-06-15 2022-04-05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Endfire linear array microphone
WO2020061353A1 (en) 2018-09-20 2020-03-26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djustable lobe shape for array microphones
EP3942842A1 (en) 2019-03-21 2022-01-26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Housings and associated design features for ceiling array microphones
US11558693B2 (en) 2019-03-21 2023-01-17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uto focus, auto focus within regions, and auto placement of beamformed microphone lobes with inhibition and voice activity detection functionality
CN113841421A (zh) 2019-03-21 2021-12-24 舒尔获得控股公司 具有抑制功能的波束形成麦克风瓣的自动对焦、区域内自动对焦、及自动配置
EP3973716A1 (en) 2019-05-23 2022-03-3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Steerable speaker array,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JP2022535229A (ja) 2019-05-31 2022-08-05 シュアー アクイジッション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音声およびノイズアクティビティ検出と統合された低レイテンシオートミキサー
EP4018680A1 (en) 2019-08-23 2022-06-29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Two-dimensional microphone array with improved directivity
US11552611B2 (en) 2020-02-07 2023-01-1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djustment of reference gain
USD944776S1 (en) 2020-05-05 2022-03-01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udio device
CN111580780A (zh) * 2020-05-20 2020-08-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播放的声音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706562B2 (en) 2020-05-29 2023-07-18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Transducer steering and configu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local positioning system
US11785380B2 (en) 2021-01-28 2023-10-1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Hybrid audio beamform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4407B1 (en) * 1999-12-03 2002-08-13 Denso Corporation, Ltd. Speakerphone feature for a wireless handset
US7016705B2 (en) * 2002-04-17 2006-03-21 Microsoft Corporatio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networked battery-operated device using sensors
US20050035955A1 (en) * 2002-06-06 2005-02-17 Carter Dale J. Method of determining orientation and manner of holding a mobile telephone
US7702282B2 (en) * 2006-07-13 2010-04-20 Sony Ericso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veying commands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body actions
US8208624B2 (en) * 2006-12-05 2012-06-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earing aid compatible mobile phone
US8676224B2 (en) * 2008-02-19 2014-03-18 Apple Inc. Speakerphone control for mobile device
US20090215439A1 (en) * 2008-02-27 2009-08-27 Palm, Inc. Techniques to manage audio settings
US20090262078A1 (en) * 2008-04-21 2009-10-22 David Pizzi Cellular phone with special sensor functions
KR20100059345A (ko) * 2008-11-26 201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셋과 휴대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제어 시스템과 휴대 단말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31749A1 (en)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045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77613B1 (ko) 멀티미디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5567914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545876B1 (ko)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20080146289A1 (en) Automatic audio transducer adjustments based upon orien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00034229A (ko) 이어폰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1967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100130132A1 (en)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US8346236B2 (en) Method for switching call mode of a mobile device and related mobile device capable of switching call mode automatically
CN106055144B (zh) 控制触控屏状态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20110125358A (ko)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80167006A1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90100194A (ko)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20230379615A1 (en) Portable audio device
KR101521938B1 (ko) 헤드셋
JP2012169912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10117907A (ko) 휴대 단말기의 근접 센싱 방법 및 장치
KR20100128885A (ko)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CN213880252U (zh) 音频功放器、发声组件、电子设备
KR10161494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센서의 오작동 방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731840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폰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152992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09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0024158A1 (ja) 携帯型通信端末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100806939B1 (ko) 홀드 및 뮤트 모드를 구비한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