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7560A - 배꼽을 통한 단일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 - Google Patents

배꼽을 통한 단일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7560A
KR20100057560A KR1020100041164A KR20100041164A KR20100057560A KR 20100057560 A KR20100057560 A KR 20100057560A KR 1020100041164 A KR1020100041164 A KR 1020100041164A KR 20100041164 A KR20100041164 A KR 20100041164A KR 20100057560 A KR20100057560 A KR 20100057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retractor
wound
air
passage
surg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삼
Original Assignee
이정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삼 filed Critical 이정삼
Priority to KR102010004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7560A/ko
Publication of KR20100057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560A/ko
Priority to KR1020100135709A priority patent/KR101037644B1/ko
Priority to US13/695,937 priority patent/US20130060094A1/en
Priority to PCT/KR2011/002316 priority patent/WO201113902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9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ring member to support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4Insufflating needles, e.g. Veress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5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61M2039/0673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comprising means actively pressing on the device passing through the seal, e.g. inflatable seals, diaphragms, c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장비로 배꼽을 통한 절개 창의 유지 및 공기의 주입과 수술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위한 장치 대한 것으로, 현재 단일통로 복강경 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는 배꼽에 장착시 장막(omentum)이 상처 견인기와 앞쪽 복벽 사이에 자주 끼이며, 상처 견인기의 제거시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수술장갑을 이용하여 지붕을 만들어 수술시 자꾸 수술장갑이 상처 견인기에서 벗겨지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상처 견인기들은 너무 많은 장비들이 장착되어 장착하고 분리하는 데 시간도 많이 걸리며, 만드는데에도 경비가 많이 들어 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 또한 대부분의 공기의 주입과 수술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위한 장치를 트로카(trocar)를 통해 장착하므로 인해 트로카의 부피가 커지고 수술시 자꾸 기구 간의 충돌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상처 견인기의 내부의 고정 링 역할을 하는 부분은 부드러운 링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형태 유지로 제한하며, 이 링의 보강을 위해 공기나 물의 채움과 비움이 가능한 튜브의 형태의 구조물을 이용하며, 외부의 링 자체의 두께를 너무 두껍지 않도록 하여 복부의 앞쪽 면과 상처 견인기 사이가 너무 느슨하지 않도록 유지시키고 1곳이나 2곳의 공기의 주입 통로 및 수술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위한 장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배꼽을 통한 단일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THE WOUND RETRACTOR USED IN SINGLE PORT LAPAROSCOPIC SURGERY THROUGH UMBILICUS}
복강경 수술장비로 배꼽을 통한 절개 창의 유지 및 공기의 주입과 수술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위한 장치
복부 절개 수술은 복강경 수술로 복강경 수술은 점차 진보하여 최소침습수술로 발전하고 있으며, 그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단일 통로 복강경 수술이다. 단일 통로로 가장 잘 이용되는 것이 배꼽이며, 이 배꼽을 통한 절개 창의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한 도구가 바로 상처 견인기이다.
현재 단일 통로 복강경 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는 배꼽에 장착시 장막(omentum)이 상처 견인기와 앞쪽 복벽 사이에 자주 끼이며, 상처 견인기의 제거시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수술장갑을 이용하여 지붕을 만들어 수술시 자꾸 수술장갑이 상처 견인기에서 벗겨지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상처 견인기들은 너무 많은 장비들이 장착되어 장착하고 분리하는 데 시간도 많이 걸리며, 만드는데에도 경비가 많이 들어 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 또한 대부분의 공기의 주입과 수술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위한 장치를 트로카(trocar)를 통해 장착하므로 인해 트로카의 부피가 커지고 수술시 자꾸 기구 간의 충돌이 발생한다.
상처 견인기의 내부의 고정 링 역할을 하는 부분은 부드러운 링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형태 유지에 국한되도록 하며,이 링의 보강을 위해 공기나 물의 채움과 비움이 가능한 튜브의 형태의 구조물을 이용하며, 외부의 링 자체의 두께를 너무 두껍지 않도록 하여 복부의 앞쪽 면과 상처 견인기 사이가 너무 느슨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1곳이나 2곳의 공기의 주입 통로 및 수술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위한 장치를 내부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다.
단일 통로 복강경 수술시 상처 견인기를 배꼽에 장착시 장막이 상처 견인기와 앞쪽 복벽 사이에 끼이는 일을 예방할 수 있고, 상처 견인기를 공기나 물을 주입하여 유지할 수 있으며, 공기나 물의 제거만으로도 상처 견인기를 쉽게 제거가 가능하며, 수술장갑이 수술시 상처 견인기로부터 벗겨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최소의 비용으로 상처 견인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공기의 주입 통로 및 수술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확보하고, 트로카의 부피를 줄여 수술중 복강경 기구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여 수술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일 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의 전체적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일 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의 기본 외골격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일 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의 외부쪽에 위치하는 링의 구조로 사면에서 본 모습, 위에서 본 모습, 절단하여 펼친 모습, 단면, 단면의 확대된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일 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를 수술을 위한 통로에 유지 및 제거를 가능하도록 공기나 물의 채움과 비움이 가능한 튜브의 형태의 구조물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일 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의 내부쪽에 위치하는 링의 구조로 사면에서 본 모습, 위에서 본 모습, 절단하여 펼친 모습, 단면, 단면의 확대된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일 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의 일부로 수술 중 공기의 주입 통로 및 수술 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확대한 모습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일 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의 구성부분 중 공기나 물의 주입이나 제거 및 연무의 제거에 이용되는 공기나 물의 흐름의 개폐를 조절하는 장치의 위에서 본모습의 개폐 및 옆에서 본 모습의 개폐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구조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일 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로 연무의 제거를 위한 장치를 생략한 변형된 모습의 상처 견인기의 전체적인 구조도 및 기본 외골격 구조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일 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견인기로 수술 중 공기의 주입통로 및 연무의 제거를 위한 장치를 생략한 또 다른 변형된 모습의 상처 견인기의 전체적인 구조도 및 기본 외골격 구조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일 통로 복강경수술시 수술 절개 창의 확보를 위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통로가 배꼽이며, 배꼽을 위아래로 1~2.5 cm 정도 위아래로 절개 후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처 견인기(도 1)의 내부 쪽에 위치하는 링(도 5, (12))을 배꼽을 통해 배 안쪽으로 밀어 넣어준다. 이때, 도 4에 해당하는 튜브의 구조물에서 공기가 제거된 상태로 밀어 넣어주며, 배 안쪽으로 링과 비어있는 튜브가 밀어 넣어진 후 튜브의 내부에 공기나 물을 주입하는 통로(11)를 통해 공기나 물의 흐름의 개폐를 조절하는 장치(도 7)의 밸브(29)를 돌려 50cc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공기나 물을 주입 후 밸브를 잠그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처 견인기가 복강에 고정되며, 이후 상처 견인기의 외부 쪽에 위치하는 링(도 3)을 상처 견인기의 기본 외골격 중 외부 쪽 링을 감싸고 있는 부위(1,2)를 포함하여 상처 견인기의 기본 외골격의 중간부위(3)로 돌돌 말아서 내려가면, 점차 복벽의 바깥피부와 링 및 링을 감싸고 있는 부위가 밀착하게 된다. 충분히 밀착된 상태에서 기존에 사용하는 수술용 장갑이나 특별히 고안된 기구를 밀착된 부위로 끼워주면 복강 내부와 복강 외부가 격리된 공간으로 만들어진다. 이후 CO2 공기 주입기를 공기의 주입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도 6)의 외부 통로(19,20)에 연결하고 밸브(29)를 돌려 통로(31)가 열리도록 하면 복강 내로 CO2 가스를 밀어넣어 복강 내를 양압으로 유지가 가능하여 수술시 필요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후 수술 중 생기는 연무의 제거를 위해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19,20)에 연무제거용 장치를 연결하거나 수술 중 밸브(29)를 열고 닫기를 반복하여 연무를 복강 밖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수술이 끝난 후 튜브의 형태의 구조물(도 4)의 튜브의 내부에 공기나 물을 주입하는 통로(11)의 밸브(29)를 열고 내부의 공기나 물을 제거하면 튜브의 내부가 비워지게 되어 복강 안쪽에서 상처 견인기를 잡고 있는 힘이 약해져 상처 견인기를 제거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튜브의 바깥이나(10,11) 공기주입통로나 연무제거 통로의 바깥 부위(17,18,19,20)를 잡고 당기면 좀더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1: 상처 견인기의 바깥쪽 링을 감싸고 있는 기본 외골격의 부분 중 바깥쪽
2: 상처 견인기의 바깥쪽 링을 감싸고 있는 기본 외골격의 부분 중 안쪽
3: 상처 견인기의 기본 외골격의 부분 중 중앙부분으로 일부는 말려지고 일부는 상처를 벌려주는 역할을 하는 부분
4: 상처 견인기의 안쪽 링과 튜브 형태의 구조물 중 튜브부분을 감싸고 있는 기본 외골격의 부분 중 바깥쪽
5: 상처 견인기의 안쪽 링과 튜브 형태의 구조물 중 튜브부분을 감싸고 있는 기본 외골격의 부분 중 안쪽
6: 상처 견인기의 바깥쪽 링
7: 상처 견인기의 튜브형태의 구조물 중 튜브부분의 바깥쪽
8: 상처 견인기의 튜브형태의 구조물 중 튜브부분의 안쪽
9: 상처 견인기의 튜브형태의 구조물 중 기본 외골격의 중앙부분에 부착되어 진 부분으로 벌려진 상처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공기 통로 역할하는 부분
10: 상처 견인기의 튜브형태의 구조물 중 공기 통로 역할하는 부분으로 기본 외골격에 접해 있으나 기본 외골격의 중앙부분에 부착되지는 않는 부분
11: 상처 견인기의 튜브형태의 구조물 중 공기나 물의 주입, 유지 및 제거를 위한 조절을 위한 장치
12: 상처 견인기의 안쪽 링
13 & 14: 상처 견인기의 부분 중 수술 중 공기의 주입 통로 및 수술 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의 부분으로 튜브 형태의 구조물과 안 쪽 링을 감싸고 있는 부분
15 & 16: 상처 견인기의 부분 중 수술 중 공기의 주입 통로 및 수술 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의 부분으로 기본 외골격의 중앙부분에 부착되어 벌려진 상처부위에 위치하는 부분
17 & 18: 상처 견인기의 부분 중 수술 중 공기의 주입 통로 및 수술 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의 부분으로 기본 외골격에 접해 있으나 기본 외골격의 중앙부분에 부착되지는 않는 부분
19 & 20: 상처 견인기의 부분 중 수술 중 공기의 주입 통로 및 수술 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의 부분으로 공기의 주입, 유지 및 연무의 제거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21 & 22: 상처 견인기의 부분 중 수술 중 공기의 주입 통로 및 수술 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의 부분으로 복강 안으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
23: 상처 견인기의 튜브 형태의 구조물 중 튜브부분과 공기나 물의 주입 및 제거를 위한 통로가 연결되는 부위를 감싸고 있어 형성된 기본 외골격의 구멍
24 & 26: 상처 견인기의 수술 중 공기의 주입 통로 및 수술 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의 부분 중 튜브 형태의 구조물 및 안 쪽 링을 감싸고 있는 부분과 기본 외골격의 중앙부분에 부착되어 벌려진 상처부위에 위치하는 부분 사이의 연결부위를 감싸고 있어 형성된 기본 외골격의 구멍
25 & 27: 상처 견인기의 수술 중 공기의 주입 통로 및 수술 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의 부분 중 튜브 형태의 구조물 및 안 쪽 링을 감싸고 있는 부분과 복강 안으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 사이의 연결부위를 감싸고 있어 형성된 기본 외골격의 구멍

Claims (4)

  1. 상처 견인기의 기본 골격에 공기나 물의 채움을 통해 수술을 위한 통로의 유지하고 공기나 물의 비움을 통해 상처 견인기가 상처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해 주는 튜브의 형태의 구조물을 결합시킨 것
  2. 수술 중 공기의 주입 통로 및 수술 중 생기는 연무를 제거하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를 상처 견인기의 기본 골격에 결합시킨 것
  3. 상처 견인기의 바깥을 감싸는 수술 장갑이나 다른 장비가 벗겨지지 않도록 해주기 위해 상처 견인기의 바깥쪽 링의 두께를 줄여 5~8mm정도로 작게 만든 것
  4. 상처 견인기의 내부의 고정 링 역할을 하는 부분을 기본적인 형태 유지에 국한하여 복강 내로 삽입 및 제거가 쉽도록 가느랗고 부드러운 링으로 만든 것.
KR1020100041164A 2010-05-02 2010-05-02 배꼽을 통한 단일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 KR20100057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164A KR20100057560A (ko) 2010-05-02 2010-05-02 배꼽을 통한 단일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
KR1020100135709A KR101037644B1 (ko) 2010-05-02 2010-12-27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 시스템
US13/695,937 US20130060094A1 (en) 2010-05-02 2011-04-05 Retractor system for laparoscopic surgery
PCT/KR2011/002316 WO2011139024A2 (ko) 2010-05-02 2011-04-05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164A KR20100057560A (ko) 2010-05-02 2010-05-02 배꼽을 통한 단일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560A true KR20100057560A (ko) 2010-05-31

Family

ID=422812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164A KR20100057560A (ko) 2010-05-02 2010-05-02 배꼽을 통한 단일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
KR1020100135709A KR101037644B1 (ko) 2010-05-02 2010-12-27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709A KR101037644B1 (ko) 2010-05-02 2010-12-27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060094A1 (ko)
KR (2) KR20100057560A (ko)
WO (1) WO201113902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44B1 (ko) * 2010-05-02 2011-05-30 이정삼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 시스템
EP3563783A1 (en) 2018-05-04 2019-11-06 AFSMEDICAL GmbH Medizinproduktehandel Retractor for endoscopic surg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762B1 (ko) * 2011-02-18 2011-11-10 이정삼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구 시스템
WO2012169666A1 (ko) * 2011-06-07 2012-12-13 (주)다림양행 복강경수술용 견인장치
US9017249B2 (en) * 2012-03-26 2015-04-28 Covidien Lp Surgical access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for
KR101625371B1 (ko) * 2014-05-09 2016-05-3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AU2015292526A1 (en) * 2014-07-23 2017-02-23 Dilantha B. ELLEGALA Modifications to access ports for minimally invasive neuro surgery
US10213194B2 (en) 2016-09-27 2019-02-26 Ethicon, Inc. Surgical retraction systems including sternal retractors and hemostatic inserts
KR101997982B1 (ko) * 2017-10-20 2019-07-08 김찬호 싱글 포트
CN108742922B (zh) * 2018-04-10 2023-04-28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一种口腔手术时使用的组织牵开装置
KR102109962B1 (ko) * 2018-05-09 2020-05-12 (주)지 메디 단일공 수술용 유니 글러브 포트
CN112617918A (zh) * 2021-01-27 2021-04-09 佛山市禅城区中心医院有限公司 一种用于免气腹的单孔腹腔镜固定装置
CN113876376B (zh) * 2021-11-29 2022-04-29 郑州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智能化腹腔手术机器人造口器械
KR20230094323A (ko) 2021-12-21 2023-06-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경 수술 공간의 기체 유출방지용 슬리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2284A (en) * 1996-05-22 1997-05-27 Graether; John M. Barrier eye drape and method of using same
JP3019150B2 (ja) * 1998-04-07 2000-03-13 株式会社八光メディカル 弁付トラカール外套管
KR100340335B1 (ko) 1999-09-03 2002-06-12 한호성 복강경 수술용 슬리브
US6723044B2 (en) * 2002-03-14 2004-04-20 Apple Medical Corporation Abdominal retractor
KR100514616B1 (ko) * 2003-01-09 2005-09-14 김응국 복강경용 투관침 슬리브 헤드구조
KR20100057560A (ko) * 2010-05-02 2010-05-31 이정삼 배꼽을 통한 단일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44B1 (ko) * 2010-05-02 2011-05-30 이정삼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 시스템
EP3563783A1 (en) 2018-05-04 2019-11-06 AFSMEDICAL GmbH Medizinproduktehandel Retractor for endoscopic surgery
US11147543B2 (en) 2018-05-04 2021-10-19 Afsmedical Gmbh Medizinproduktehandel Retractor for endoscopic surg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9024A2 (ko) 2011-11-10
WO2011139024A3 (ko) 2012-03-01
US20130060094A1 (en) 2013-03-07
KR101037644B1 (ko) 2011-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7560A (ko) 배꼽을 통한 단일통로 복강경수술시 이용되는 상처 견인기
US9017251B2 (en) Access assembly insertion device
US7785251B2 (en) Port extraction method for trans-organ surgery
US20120245429A1 (en) Wound protector including pocket for reusable distal ring
US20130184536A1 (en) Pneumoperitoneum device
JP2007508862A5 (ko)
US2013033843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visible puncture outfit for disposable laparoscope and puncture outfit using the method
US20050209619A1 (en) Surgical access port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12075487A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s
CN106659521A (zh) 交换器外科手术进入端口和使用方法
WO2009140203A4 (en) Cannulated device with atraumatic tip for delivering local depot to a joint spa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3394157B (zh) 一种具有通道扩张、保持功能的手术装置
US20170150951A1 (en) Protection device for preventing tumor dissemination and tumor metastasis in laparoscopic surgery
CN206687755U (zh) 一种智能操控式气腹针
WO2012048023A3 (en) Endoscopic por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ical acces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630926B1 (en) Two-part access port
CN203389204U (zh) 一种具有通道扩张、保持功能的手术装置
CN205626056U (zh) 可扩展密闭式穿刺器
CN204995559U (zh) 腹腔镜穿刺器
CN203195749U (zh) 一种一次性心包胸腔穿刺针
CN106725768B (zh) 一种囊肿扩裂器
CN207186742U (zh) 泪道环钻畅通置管系统
WO2008057566A3 (en) Attachable ultrasound imaging device
KR102377109B1 (ko)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링
CN209884223U (zh) 妇科肌瘤钻取保护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