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603A -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6603A KR20100056603A KR1020080115478A KR20080115478A KR20100056603A KR 20100056603 A KR20100056603 A KR 20100056603A KR 1020080115478 A KR1020080115478 A KR 1020080115478A KR 20080115478 A KR20080115478 A KR 20080115478A KR 20100056603 A KR20100056603 A KR 201000566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sound source
- vibration
- sound
- sensory org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09B17/003—Teaching reading electrically operated apparatus or devices
- G09B17/006—Teaching reading electrically operated apparatus or devi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2—Amplifying systems for the dea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에 따른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는 음원 신호에 대한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 상기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신호 생성부, 상기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진동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학교 교구재용 출력장치를 사용해 출력함으로써, 청각 장애로 인해 음악을 청취할 수 없는 장애 학생들에게도 음악을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해 받아들이게 하여 음악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원발명은 음향을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으로, 소리를 들을 수 없어 음악을 이해하기 어려운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소리를 대체하는 신호를 통해 음악을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청각장애인에게 음악이란 존재는 접하기 힘든 영역으로 인식된다. 정확한 소리를 듣지 못함으로 인해 음악을 이해하거나 공감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인류 문명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문화의 절반을 차지하는 음악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없다는 것은 청각장애 이상의 아픔을 주는 제2의 장애에 해당한다. 또한, 학교 교육에서 음악 수업의 진행시에 청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음악을 체험할 수 없기 때문에 음악 교육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청각 장애로 인해 음악을 청취할 수 없는 장애인들에게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해 음악을 간접적으로 인식 및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음향 청취 제공을 위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는 음원 신호에 대한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 상기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신호 생성부, 상기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진동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학교 교구재용 출력장치를 사용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음악을 청취할 수 없는 청각 장애인들에게도 음악을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해 받아들이게 하여 음악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청각 장애인에게도 음악을 간접적으로 이해할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육 기회를 동일하게 보장하고, 음악과의 괴리감을 극복할 수 있고, IT 기술을 이용해 보다 적극적으로 장애인들에게 음악을 배우고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 및 교육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음원 기기(1000)는 피아노, 디지털 피아노 등의 건반 악기나 바이올린, 첼로 등의 현악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소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악기를 포함한다.
음원 기기(1000) 내에는 음원 신호 수집부(1002), 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 진동 신호 생성부(1006), 비디오 신호 생성부(1008) 및 신호 전송부(1010)를 구비한다.
음원 신호 수집부(1002)는 음원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음원 신호를 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 진동 신호 생성부(1006), 비디오 신호 생성부(1008)로 각각 출력한다. 음원 신호 수집부(1002)는 음원 신호로서 디지털 음원 신호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음원 신호 수집부(1002)는 디지털 피아노 등의 음원 기기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음원 신호를 직접 수집할 수 있고, 또한 외부로부터 디지털 음원 신호를 연결 잭 등의 연결 수단을 통해 수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 음원 신호는 음원 수집에 따른 음질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음원의 활용에 유용하다.
한편, 음원 신호 수집부(1002)는 음원 신호로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음원 기기(1000)가 디지털 기기가 아닌 아날로그 악기인 경우에 이 아날로그 악기에서 생성되는 음원 신호를 수집한다. 이를 위해, 음원 신호 수집부(1002)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의 수집을 위해 음원 수집용 마이크를 구비한다. 아날로그 음원 신호의 수집을 위해 고성능의 음원 수집용 마이크를 사용함으로써, 음원 수집시에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음원 신호 수집부(1002)로부터 음원 신호를 제공받으면, 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는 음원 신호에 대한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신호 전송부(1010)로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는 음원 신호의 재생을 위해 음원을 가공하고, 가공된 음원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는 피아노 소리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도 있고, 특정의 박자 등을 피아노 소리에 추가할 수도 있고, 별도의 음향 신호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음원 신호 수집부(1002)로부터 음원 신호를 제공받으면, 진동 신호 생성부(1006)는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진동 신호를 신호 전송부(1010)로 출력한다. 진동 신호 생성부(1006)는 음원 신호의 음 높이, 속도 및 세기에 따라 각각 다른 진동 신호를 생성한다. 진동 신호 생성부(1006)는 음원 신호를 분석하여 음원 신호의 음 높이, 속도 및 세기에 따라 약속된 진동 패턴에 해당하는 진동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피아노 반주의 경우에 진동 신호 생성부(1006)는 각 피아노 건반에 해당하는 음에 대응하여 약속된 진동 패턴을 생성한다.
음원 신호 수집부(1002)로부터 음원 신호를 제공받으면, 비디오 신호 생성부(1008)는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디오 신호를 신호 전송부(1010)로 출력한다. 비디오 신호 생성부(1008)는 음원 신호의 음 높이 변화 그래프를 비디오 신호로서 생성한다. 음 높이 변화 그래프는 음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그래프일 수도 있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이퀄라이저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
신호 전송부(1010)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 진동 신호 생성부(1006), 비디오 신호 생성부(1008)로부터 각각 수신된 오디오 신호, 진동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 출력부(1100), 진동 신호 출력부(1200) 및 비디오 신호 출력부(1300)로 각각 전송한다. 이를 위해, 신호 전송부(1010)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신호를 전송한다. 신호 전송부(1010)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한다.
신호 전송부(101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면, 오디오 신호 출력부(110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용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출력용 스피커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기기와 별개의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고, 영상 기기에 내장되어 있는 스피커일 수도 있다. 오디오 신호 자체는 청각 장애인이 감지할 수 있는 신호는 아니지만, 미약하게라도 음향을 감지할 수 있는 자에게는 유효한 오디오 정보에 해당할 것이다.
신호 전송부(1010)로부터 전송된 진동 신호를 수신하면, 진동 신호 출력부(1200)는 진동 신호를 청각 장애인이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이를 위해, 진동 신호 출력부는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진동 매체를 구비한다. 진동 매체는 밴드 타입, 의류 부착 타입, 악세서리 타입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밴드 타입의 진동 매체는 사용자의 머리, 목, 손목, 허벅지, 배, 가슴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형의 형태를 갖는 진동 전달수단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의류 부착 타입의 진동 매체는 의류 외피 또는 내피에 진동 매체를 부착하여, 청각 장애인이 의류를 통해 전해지는 진동 신호에 의해 음원 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람의 목이나 손목 등 기타 신체 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악세서리 형태의 진동 매체로 구현할 수도 있다.
신호 전송부(1010)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면, 비디오 신호 출력부(1300)는 비디오 신호를 청각 장애인이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출력한다. 비디오 신호 출력부(1300)는 일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는 영상 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 기기는 전술한 오디오 신호 출력부를 함께 구비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 출력부(1300)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는 음원 신호의 음 높이 변화 그래프,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이퀄라이저의 상태 등이 해당된다.
전술한 오디오 신호 출력부(1100), 진동 신호 출력부(1200) 및 비디오 신호 출력부(1300)는 학교의 교구재용 출력 장치에 해당한다. 학교 내에 구비된 오디오 신호 출력부(1100), 진동 신호 출력부(1200) 및 비디오 신호 출력부(1300)를 사용해 음원 신호를 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청각 장애를 갖는 학생들도 효과적으로 음악 수업을 받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음원 신호를 청각 장애인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것의 보완책으로 음원 신호에 대한 원래의 오디오 신호 이외에, 진동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특정 음원 신호를 받아 몇 가지 패턴으로 분류하여 각 진동신호와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그것을 해당 매체로 신호를 송신하고, 해당 매체는 수신된 신호음에 따라 영상 기기를 통해 비주얼하게 표시함으로 음원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진동매체는 수신된 신호음에 따라 음향의 변화를 직접 진동을 통해 전달함으로 감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음원 신호 수집부(1002), 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0, 진동 신호 생성부(1006), 비디오 신호 생성부(1008) 및 신호 전송부(1010)를 음원 기기(1000) 내에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음원 기기(1000) 내에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구비함으로써, 음원 신호를 즉시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음원 신호로부터 각각의 오디오 신호, 진동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신호 전송부(1010)를 통해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수집한 음원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 진동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기기를 통해 연주되는 음원 신호, 외부의 스피커, 마이크 또는 음원 저장 기기(예를 들어, MP3) 등을 통해 제공되는 음원 신호가 음원 신호 수집부에서 수집되면, 수집된 음원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 생성부, 진동 신호 생성부, 비디오 신호가 각각 생성되며, 이렇게 생성된 오디오 신호, 진동 신호, 비디오 신호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오디오 신호 출력부, 진동 신호 출력부, 비디오 신호 출력부로 전송된다. 전송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기기를 통해 출력되며, 진동 신호는 진동 신호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 특히, 진동 신호는 진동 매체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청각 장애인이 다양한 감각 기관(예를 들어, 청각, 시각 및 촉각)을 사용해 음원 신호를 받아들임으로써, 음향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한편, 도 1은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가 음원 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가 반드시 음원 기기 내에 구비될 필요는 없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가 휴대용 통신 기기(2000)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휴대용 통신 기기(2000)는 범용으로 사용하는 핸드폰, PDA, 등 모든 종류의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음원 신호 수집부(2002)는 음원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음원 신호를 오디오 신호 생성부(2004), 진동 신호 생성부(2006) 및 비디오 신호 생성부(2008)로 각각 출력한다. 도 3에서의 음원 신호 수집부(2002)는 도 1의 음원 신호 수집부(1002)와 그 기능이 유사하다. 다만, 여기서의 음원 신호 수집부(2002)는 도 1의 음원 신호 수집부(1002)와 달리 음원 기기(1000)로부터 출력되는 음원 신호를 직접 수집할 수는 없으며, 외부로부터 음원 신호를 수신한다.
음원 신호 수집부(2002)는 음원 신호로서 디지털 음원 신호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음원 신호 수집부(2002)는 외부(예를 들어, MP3 등)로부터 디지털 음원 신호를 연결 잭 등의 연결 수단을 통해 수집한다. 또한, 음원 신호 수집부(2002)는 음원 신호로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수집할 수도 있다. 휴대용 통신 기기(2000)에 구비된 음원 수집용 마이크를 사용하여 음원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음원 신호 수집부(2002)로부터 음원 신호를 제공받으면, 오디오 신호 생성부(2004)는 음원 신호에 대한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휴대용 통신 기기(2000) 내에 구비된 오디오 신호 출력부(2010)로 출력한다. 한편, 오디오 신호 생성부(2004)는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신호 전송부(2016)로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생성부(2004)는 음원 신호의 재생을 위해 음원을 가공하고, 가공된 음원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기기(2000)가 핸드폰인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2004)는 핸드폰에 내장된 음향 및 벨소리 생성기능을 수행하는 로직과 연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음원 신호 수집부(2002)로부터 음원 신호를 제공받으면, 진동 신호 생성부(2006)는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진동 신호를 휴대용 통신 기기(2000) 내에 구비된 진동 신호 출력부(2012)로 출력한다. 한편, 진동 신호 생성부(2006)는 생성된 진동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신호 전송부(2016)로 출력한다. 진동 신호 생성부(2006)는 음원 신호의 음 높이, 속도 및 세기에 따라 각각 다른 진동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기기(2000)가 핸드폰 인 경우, 진동 신호 생성부(2006)는 핸드폰에 내장된 진동 생성기능을 수행하는 로직과 연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음원 신호 수집부(2002)로부터 음원 신호를 제공받으면, 비디오 신호 생성부(2008)는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디오 신호를 휴대용 통신 기기(2000) 내에 구비된 비디오 신호 출력부(2014)로 출력한다. 한편, 비디오 신호 생성부(2008)는 생성된 비디오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신호 전송부(2016)로 출력한다. 비디오 신호 생성부(2008)는 음원 신호의 음 높이 변화 그래프를 비디오 신호로서 생성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기기(2000)가 핸드폰인 경우, 비디오 신호 생성부(2008)는 핸드폰의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각종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로직과 연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휴대용 통신 기기(2000) 내에 구비된 오디오 신호 출력부(2010), 진동 신호 출력부(2012) 및 비디오 신호 출력부(2014)의 기능은 전술한 도 1의 오디오 신호 출력부(1100), 진동 신호 출력부(1200) 및 비디오 신호 출력부(130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전송부(2016)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2004), 진동 신호 생성부(2006), 비디오 신호 생성부(2008)로부터 각각 수신된 오디오 신호, 진동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각각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는 다른 휴대용 통신 기기가 그 대상이 될 수도 있고, 외부에 구비된 영상 기기 또는 진동 매체 등이 될 수도 있다. 신호 전송을 위해, 신호 전송부(2016)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기 기(2000)가 핸드폰인 경우, 신호 전송부(2016)는 핸드폰의 음향 생성 로직, 진동 생성 로직 및 영상 디스플레이 로직을 사용함으로써, 핸드폰 자체를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음향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수집한 음원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 진동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Claims (13)
- 음원 신호에 대한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상기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신호 생성부;상기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신호 생성부; 및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진동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학교 교구재용 출력장치를 사용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신호 생성부는상기 음원 신호의 음 높이, 속도 및 세기에 따라 각각 다른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 생성부는상기 음원 신호의 음 높이 변화 그래프를 상기 비디오 신호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음원 신호를 수집하는 음원 신호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 수집부는상기 음원 신호로서 디지털 음원 신호 및 아날로그 음원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 수집부는상기 아날로그 음원 신호의 수집을 위해 음원 수집용 마이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교 교구재용 출력장치는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신호 출력부; 및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신호 출력부는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진동 매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매체는밴드 타입, 의류 부착 타입, 악세서리 타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 제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오디오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상기 진동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신호 출력부; 및상기 비디오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진동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는상기 음원 신호를 제공하는 음원 기기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는휴대용 통신 기기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5478A KR20100056603A (ko) | 2008-11-20 | 2008-11-20 |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5478A KR20100056603A (ko) | 2008-11-20 | 2008-11-20 |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6603A true KR20100056603A (ko) | 2010-05-28 |
Family
ID=4228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5478A KR20100056603A (ko) | 2008-11-20 | 2008-11-20 |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56603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4928A (ko) * | 2019-01-31 | 2020-08-10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농아인을 위한 공감각 피아노 |
KR102297513B1 (ko) * | 2020-12-11 | 2021-09-02 | 강태진 | 청각장애인을 위한 입체 음향 스피커 볼 |
KR102448000B1 (ko) * | 2021-09-08 | 2022-09-28 | 이은교육 주식회사 | 진동 및 시각 데이터를 활용한 청각 장애인 음악 교육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
2008
- 2008-11-20 KR KR1020080115478A patent/KR201000566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4928A (ko) * | 2019-01-31 | 2020-08-10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농아인을 위한 공감각 피아노 |
KR102297513B1 (ko) * | 2020-12-11 | 2021-09-02 | 강태진 | 청각장애인을 위한 입체 음향 스피커 볼 |
KR102448000B1 (ko) * | 2021-09-08 | 2022-09-28 | 이은교육 주식회사 | 진동 및 시각 데이터를 활용한 청각 장애인 음악 교육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KR102481261B1 (ko) * | 2021-09-08 | 2022-12-27 | 이은교육 주식회사 | 추천곡 학습 기능을 지원하는 청각 장애인 음악 교육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KR102481267B1 (ko) * | 2021-09-08 | 2022-12-27 | 이은교육 주식회사 | 선택곡 보정 기능을 지원하는 청각 장애인 음악 교육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39740B2 (ja) | 音声変換装置及び方法 | |
CN105659628B (zh) | 测量装置和测量系统 | |
US9596535B2 (en) | Vibration pickup device, vibration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 |
WO2013172039A1 (ja) | 測定装置、測定システム及び測定方法 | |
US1111575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hearing | |
Petry et al. | MuSS-bits: sensor-display blocks for deaf people to explore musical sounds | |
Oliveira et al. | Mobile digital recording: adequacy of the iRig and iOS device for acoustic and perceptual analysis of normal voice | |
Halkosaari et al. | Directivity of artificial and human speech | |
KR20100056603A (ko) |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 | |
Shimokura et al. | Simulating cartilage conduction sound to estimate the sound pressure level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 |
KR20120131695A (ko) | 청각장애인용 음향 청취는 장치 | |
CN208891013U (zh) | 耳机设备 | |
KR101507468B1 (ko) | 사용자 음성 중심의 음원 데이터의 생성 시스템 및 방법 | |
US20210319715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CN102568450A (zh) | 无干扰练习铜管乐器 | |
CN102625210A (zh) | 一种能听到自己声音的耳机 | |
KR20120069887A (ko) |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 수 있는 장치 | |
CN206021703U (zh) | 声学综合演示仪 | |
JP2015126408A (ja) | 測定システム及び測定方法 | |
RU187362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нятий вокалом | |
KR20210007748A (ko) | 디지털 기반 악기 복합연주 시스템 | |
JP3216150U (ja) | 音響装置 | |
JP3227725U (ja) | 文字表示機能付き補聴システム | |
WO2024058147A1 (ja) | 処理装置、出力装置及び処理システム | |
US2022024616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functional hea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