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232A -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232A
KR20100056232A KR1020080115305A KR20080115305A KR20100056232A KR 20100056232 A KR20100056232 A KR 20100056232A KR 1020080115305 A KR1020080115305 A KR 1020080115305A KR 20080115305 A KR20080115305 A KR 20080115305A KR 20100056232 A KR20100056232 A KR 20100056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steam
heater rod
temperatur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스코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스코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스코전자
Priority to KR102008011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6232A/ko
Publication of KR2010005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증기가 출력되는 영역에 히터봉을 설치하여 수증기와 접촉되면서 가열되고 동시에 살균된 고열의 스팀을 제공하고, 아울러 적절한 온도조절에 의해서 얼굴 맛사지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물공급통과; 초음파 진동자와; 스팀 파이프와; 상기 스팀 파이프의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자체 발열되어 수증기가 접촉되면서 고열의 스팀으로 가열되도록 하는 히터봉과; 상기 스팀 파이프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호용 케이스로서 스팀 파이프를 통해 전달되는 열이 가습기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팀 파이프용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며;
봉히터를 스크류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서 분무된 스팀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고 접촉시간을 지연시킴으로서 살균효율이 증가하며, 기존 파이프 히터의 사용전력 약 120W 보다 낮은 80W의 전력으로도 스팀의 살균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어 에너지 저감 및 단열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P1020080115305
히터봉, 가습기, 습기, 가열장치, 가열방법

Description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및 방법{A Miosture Heating Unit of Humidifier Having Heat Pip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히터봉을 수증기가 출력되는 영역에 설치하여 수증기와 접촉되면서 가열되도록 하여 살균된 고열의 스팀을 제공하고, 아울러 적절한 온도조절에 의해서 얼굴 맛사지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복합식 가습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물탱크(50)에 저장되는 물은 공급관(51)을 통하여 초음파 진동자(53)에 공급되고, 상기 초음파 진동자(53)의 작동에 의해 물이 초미립자로 분쇄되어 배출관(55)에 부설된 블로워(54)에 의해 실내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급관(51)을 통과하는 물은 일정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공급관(51)의 일정부위에는 코일(52)을 권취한 것이다. 이 코일(52)에 전원을 공급하므로서 공급관(51)을 경유하게 되는 물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초음파 진동자(53)에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복합식 가습기는 하기와 같은 치명적인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즉, 히터(52)에 의해 가열된 물이 초음파 진동자(53)와 배출관(55)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므로서 실내로 배출되는 습기의 온도는 대략 20 - 25도(℃)로 저하되어 실내 온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가습기(60)를 가동하지 않는 경우에 초음파 진동자(53)의 주위에 잔류하는 물은 각종 세균이 번식하기에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므로 단시간에 다량의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번식된 세균은 살균되지 않고 실내로 모두 배출되므로서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 10-0685219호에서는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서 생성되는 습기를 이용하여 가열부재 내부를 통과시키도록 함으로서 습기에 기생하는 각종 유해균을 살균하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동자에서 생성되는 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재(20)와, 상기 가열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25)와, 상기 가열부재(20)를 통과시며 습기를 외부로 유도하는 캡(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재(20)는 동재질로 성형된 원통형 관체(11)의 외측면에 절연지(10)를 피복하고, 이 절연지(10)의 외측에 코일(15)을 권취한 것으로서, 외측면에 합성수지로 형성된 보호관(18)을 피복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열부재(20)의 상부에는 캡(30)을 일체로 결합하여 가열부재(20)를 통과한 습기를 실내로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원통형 관체(11) 외측에 가열수단인 코일(15)을 권선하기 때문에 본체 외부의 차열(단열)이 쉽지 않고 이로 인하여 본체 외측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 사용자의 불안감을 야기시키고, 차열구조를 추가하는 별도의 기구물이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코일(15)의 영향으로 분무가이드 외측(본체)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서 인접한 물탱크에 온도가 전달되어 물통 외측으로 결로 현상이 발생하고 열에 의해 물통 내부의 압력이 발생하여 물통 가수량이 과다하게 발생함으로서 본체 외부로 물이 흘러내리는 치명적 문제가 있다.
셋째, 원통형 관체(11) 내측 관로로 분무된 증기가 짧은 시간에 통과함으로서 살균의 효율이 낮고 완전 살균을 위해서 많은 열량을 가해야 함으로서 소비전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기 낭비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가습기의 살균효과를 높이고 아울러 가습기 외부로 발생되는 열을 최소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3단계로 스팀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얼굴이나 피부에 스팀 맛사지가 가능한 가습 맛사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가습기에 있어서, 스팀으로 분사할 물을 임시저장하는 통으로서 원통형이나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물공급통과; 상기 물공급통의 하부 일단에 설치되며 전기를 공급받아 진동하면서 물공급통에 존재하는 물을 수증기로 가열시키는 초음파 진동자와; 상기 물공급통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증기가 통과되는 관체로서 원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조립되는 스팀 파이프와; 상기 스팀 파이프의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자체 발열되어 수증기가 접촉되면서 고열의 스팀으로 가열되도록 하는 히터봉과; 상기 스팀 파이프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의 보호용 케이스로서 스팀 파이프를 통해 전달되는 열이 가습기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팀 파이프용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히터봉에는 수증기와의 접촉량 증가를 위해 스크류면을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스팀 파이프의 내주연에는 수증기와의 접촉량 증가를 위해 스크류면을 더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습기에는 수증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가습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가습기 버튼과, 얼굴 맛사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얼굴 맛사지 버튼과, 얼굴 맛사지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시간선택 버튼과, 타이머를 자체 내장하며, 온도감지 센서와, 가습기 버튼과, 얼굴 맛사지 버튼과, 시간설정 버튼과,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가습기 버튼을 눌르면 가습기 모드를 진행하고 이때 미리 설정한 온도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스팀에 제공되도록 온도감지 센서의 결과값을 참조하면서 히터봉 전기공급장치를 제어하고, 얼굴 맛사지 버튼 및 시간설정 버튼을 누르면 정해진 시간동안 얼굴 맛사지 모드를 진행하고 이때 미리 설정한 온도범위 이내에서 스팀이 제공되도록 온도감지 세서의 결과값을 참조하면서 히터봉 전기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사용자가 가습기 버튼을 누르면 히터봉을 통과하는 수증기가 60도로 가열되어 출력되도록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0)와; 온도감지센서의 센싱결과값을 참조하여 수증기의 온도가 60도를 초과하면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59도 이하이면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의 전원을 다시 공급하는 단계(S20)와; 사용자가 얼굴 맛사지 버튼을 누르고 시간설정 버튼을 누르면, 온도감지센서의 센싱결과값을 참조로 초기 수증기의 온도가 60도로 제공되도록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고, 일정시간후 수증기의 온도가 80도로 제공되도록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며, 일정시간후 수증기의 온도가 40도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얼굴 맛사지 온도 제어단계(S30)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얼굴 맛사지 온도 제어단계(S30)는, 스팀을 제공하되 시간비율은 4: 4: 2로 하여 최초 총시간대비 40% 동안에는 중간열 스팀을 제공하고, 이후 총시간대비 40% 동안에는 고온열 스팀을 제공하며, 이후 총시간대비 20% 동안에는 저온열 스팀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분무된 스팀 살균의 효율증가.
본 발명은 봉히터 외측을 스크류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서 분무된 스팀과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지연시킴으로서 살균효율이 증가하며, 부가적으로 기존 파이프 히터의 사용전력 약 120W 보다 낮은 80W의 전력으로도 스팀의 살균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어 에너지 저감 및 단열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단열의 용이성.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파이프 히터 방식은 금속성 파이프 외측에 발열체를 권선하는 구조이므로 높은열(약 350도(℃))이 외부 케이스로 쉽게 전달되는 구조이나 봉히터 구조의 방식을 적용함으로서 분무가이드와 봉히터 사이로 분무된 스팀이 지나가며 살균되는 구조이므로 분무가이드 케이스 외측온도를 현격히 내리는 장점이 있고 온도가 낮아(약 70도(℃)) 가이드 케이스의 재질 선정에도 장점이 있다. 따라서, 히터로부터 제품 본체 케이스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 및 물통의 열전달에 의한 결로, 압력발생으로 인한 가수량이 많아져 발생되는 누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셋째, 맛사지 기능.
기존 가습기의경우 살균히터 구조의 문제점으로 세균발생과 스팀온도가 현저히 낮게(약 35도(℃)) 배출됨으로서 피부 맛사지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은 살균 히터구조를 적용함으로서 배출되는 스팀온도를 60도(℃)까지 상승 제어할 수 있어 피부 맛사지 기능에 효과가 높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습기 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습기 장치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이 가습기 장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습기 장치 제어방법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크게 물공급통(100)과, 초음파 진동자(200)와, 스팀 파이프(300)와, 히터봉(400)과, 스팀 파이프용 외부 케이스(500)와, 온도감지센서(600)와, 제어부(70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통(100)은 수증기로 분사할 물을 임시저장하는 통으로서 원통형이나 다각형통 형태이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200)는 물공급통의 하부 일단에 설치되며 전기를 공급받아 진동하면서 물공급통에 존재하는 물을 수증기로 가열시킨다.
상기 스팀 파이프(300)는 물공급통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증기가 통과되는 관체로서 원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조립된다.
상기 히터봉(400)은 스팀 파이프의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자체 발열되어 수증기가 접촉되면서 고열의 스팀으로 가열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히터봉(400)의 외주연에 스크류면(410)을 구성하여 분무된 수증기와 접촉량을 맞게 하고 히터봉의 스크류면에 터치되어 분무되는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서 살균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상 히터봉을 통과하기전을 기체를 수증기로 표현하고 히터봉을 통과한후의 기체를 스팀으로 표현하기로 하며, 실제로는 물이 기화된 동일한 것이나 저온의 수증기가 히터봉을 통과하면서 고온의 수증기로 가열되는바, 이에 따라 히터봉을 통과하기전과 통과한후를 구분하기 위해서 저온 및 저열의 기체를 수증기로 표현하고 고온 및 고열의 기체를 스팀으로 표현토록 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히터봉(400)의 외주연에 스크류면(410)을 형성하여 수증기가 스크류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스팀 파이프(300)의 내주연에 스크류면(310)을 형성하여 수증기가 스크류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효과는 동일하다.
상기 스팀 파이프용 외부 케이스(500)는 스팀 파이프(3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호용 케이스로서 스팀 파이프(300)를 통해 전달되는 열이 가습기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타이머를 자체 내장하며, 온도감지 센서(600)와, 가습기 버튼(710)과, 얼굴 맛사지 버튼(720)과, 시간설정 버튼(730)과, 히터봉 전기공급장치(740)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가습기 버튼(710)을 눌르면 가습기 작동 모드를 진행하는바 이때 미리 설정한 온도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스팀에 제공되도록 온도감지 센서(600)의 결과값을 참조하면서 히터봉 전기공급장치(740)를 제어하고, 얼굴 맛사지 버튼(720) 및 시간설정 버튼(730)을 누르면 정해진 시간동안 얼굴 맛사지 모드를 진행하고 이때 미리 설정한 온도범위 이내에서 스팀이 제공되도록 온도감지 센서(600)의 결과값을 참조하면서 히터봉 전기공급장치(74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가장 큰 차이점은 히터봉(400)을 스팀 파이프(300)에 내장시키는 것인바, 종래 구조에서는 파이프 외측에 열선을 감아서 권선된 파이프 히터 구조를 제안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배제시키고, 스팀 파이프(300) 내측에 다이케스팅으로 주조하거나 금속류로 구성 또는 소결한 봉히터(400)를 설치하 였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히터봉(400)의 구성에서 분무된 스팀의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히터봉(400)의 외측을 스크류 형상으로 구성하여 분무된 수증기와 히터의 접촉량을 많게 하고, 히터봉(400)의 스크류면(410)에 터치되어 분무되는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서 낮은 열량으로 살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습기의 배출구에 화장 전 후 얼굴을 스팀으로 맞사지 하기 용이토록 설계할 수 있는바, 착탈이 가능한 구조의 맛사지용 분무 가이드를 구비토록 하고, 또한 맛사지 기능의 사용을 높이기 위해 분무량을 3단계로 조절 가능하며 분무 온도를 80 - 40도(℃) 범위에서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이 과열되지 않토록 스팀 출력단에 온도감지센서(600)를 장착하고 아울러 히터봉(400)에 제공되는 전기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제어부(700)를 갖으며, 또한 얼굴 맛사지 모드를 선택하면 80도와 40도 온도범위내에서 적절한 스팀열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습기 본체에 가습기 버튼(710)과 얼굴 맛사지 버튼(720) 및 시간설정 버튼(730)을 구비하며, 가습기 버튼(710)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700)는 가습 모드를 진행하고, 얼굴 맛사지 버튼(720)을 누른후 시간설정 버튼(730)을 누르면 제어부(700)는 얼굴 맛사지 모드를 진행한다.
상기 가습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700)는 60도 온도범위로 스팀열이 출력되도록 히터봉 전원공급장치(740)를 제어하고, 상기 얼굴 맛사지 모드를 선택하 게 되면 설정한 시간동안 스팀을 제공하되 시간비율은 4: 4: 2로 하여 최초에는 뜨거운 스팀열을 제공하고, 일정시간후 중간 스팀열을 제공하며, 마지막에는 비교적 약열 스팀열을 제공토록 한다.
상기에서 얼굴맛사지 시간 비율을 4: 4: 2로 선택하는 이유는 최초에는 중간열을 가하여 피부의 적응시간을 갖도록 하고, 이후 비교적 뜨거운 열을 가하여 피부의 모공을 확대토록 하며, 마지막으로 비교적 저온은 40도의 스팀열을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확장된 모공을 축소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얼굴 맛사지 시간을 총 10분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최초 4분간은 중간열로 스팀을 제공하도록 히터봉 전기공급장치(740)를 제어하고 그다음 4분간은 고온열 스팀을 제공하도록 히터봉 전기공급장치(740)를 제어하며, 마지막으로 2분간 저온열로 스팀을 제공하도록 히터봉 전기공급장치(74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어단계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가습기 버튼을 누르면 히터봉을 통과하는 수증기가 60도로 가열되어 출력되도록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0)와;
온도감지센서의 센싱결과값을 참조하여 수증기의 온도가 60도를 초과하면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59도 이하이면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의 전원을 다시 공급하는 단계(S20)와;
사용자가 얼굴 맛사지 버튼을 누르고 시간설정 버튼을 누르면, 온도감지센서의 센싱결과값을 참조로 초기 수증기의 온도가 60도로 제공되도록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고, 일정시간후 수증기의 온도가 80도로 제공되도록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며, 일정시간후 수증기의 온도가 40도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비록 본 발명이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지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도 1은 종래의 가습기장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가습기 장치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습기 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습기 장치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습기 장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습기 장치 제어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물공급통
200: 초음파 진동자
300: 스팀 파이프
400: 히터봉
410: 스크류면
500: 스팀 파이프용 외부 케이스
600: 온도감지센서
700: 제어부
710: 가습기 버튼
720; 얼굴 맛사지 버튼
730: 시간설정버튼
740: 히터봉 전원공급장치

Claims (6)

  1. 가습기에 있어서,
    스팀으로 분사할 물을 임시저장하는 통으로서 원통형이나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물공급통(100)과;
    상기 물공급통의 하부 일단에 설치되며 전기를 공급받아 진동하면서 물공급통에 존재하는 물을 수증기로 가열시키는 초음파 진동자(200)와;
    상기 물공급통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증기가 통과되는 관체로서 원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조립되는 스팀 파이프(300)와;
    상기 스팀 파이프의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자체 발열되어 수증기가 접촉되면서 고열의 스팀으로 가열되도록 하는 히터봉(400)과;
    상기 스팀 파이프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의 보호용 케이스로서 스팀 파이프를 통해 전달되는 열이 가습기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팀 파이프용 외부 케이스(5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봉(400)에는 수증기와의 접촉량 증가를 위해 스크류면(4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파이프(300)의 내주연에는 수증기와의 접촉량 증가를 위해 스크류면(310)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에는, 수증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600)와,
    가습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가습기 버튼(710)과,
    얼굴 맛사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얼굴 맛사지 버튼(720)과,
    얼굴 맛사지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시간선택 버튼(730)과,
    타이머를 자체 내장하며, 온도감지 센서와, 가습기 버튼과, 얼굴 맛사지 버튼과, 시간설정 버튼과,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가습기 버튼을 눌르면 가습기 모드를 진행하고 이때 미리 설정한 온도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스팀에 제공되도록 온도감지 센서의 결과값을 참조하면서 히터봉 전기공급장치를 제어하고, 얼굴 맛사지 버튼 및 시간설정 버튼을 누르면 정해진 시간동안 얼굴 맛사지 모드를 진행하고 이때 미리 설정한 온도범위 이내에서 스팀이 제공되도록 온도감지 세서의 결과값을 참조하면서 히터봉 전기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5. 사용자가 가습기 버튼을 누르면 히터봉을 통과하는 수증기가 60도로 가열되어 출력되도록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0)와;
    온도감지센서의 센싱결과값을 참조하여 수증기의 온도가 60도를 초과하면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의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59도 이하이면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의 전원을 다시 공급하는 단계(S20)와;
    사용자가 얼굴 맛사지 버튼을 누르고 시간설정 버튼을 누르면, 온도감지센서의 센싱결과값을 참조로 초기 수증기의 온도가 60도로 제공되도록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고, 일정시간후 수증기의 온도가 80도로 제공되도록 히터봉 전기공급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며, 일정시간후 수증기의 온도가 40도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얼굴 맛사지 온도 제어단계(S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맛사지 온도 제어단계(S30)는,
    스팀을 제공하되 시간비율은 4: 4: 2로 하여 최초 총시간대비 40% 동안에는 중간열 스팀을 제공하고, 이후 총시간대비 40% 동안에는 고온열 스팀을 제공하며, 이후 총시간대비 20% 동안에는 저온열 스팀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방법.
KR1020080115305A 2008-11-19 2008-11-19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및 방법 KR20100056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05A KR20100056232A (ko) 2008-11-19 2008-11-19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05A KR20100056232A (ko) 2008-11-19 2008-11-19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232A true KR20100056232A (ko) 2010-05-27

Family

ID=4228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305A KR20100056232A (ko) 2008-11-19 2008-11-19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62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8976A (zh) * 2011-12-16 2012-04-18 佛山市金星徽电器有限公司 一种加湿器
CN108591987A (zh) * 2018-03-23 2018-09-28 无锡海德曼医疗设备有限公司 存储式高效蒸汽发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8976A (zh) * 2011-12-16 2012-04-18 佛山市金星徽电器有限公司 一种加湿器
CN108591987A (zh) * 2018-03-23 2018-09-28 无锡海德曼医疗设备有限公司 存储式高效蒸汽发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198136T1 (de) Beheizte wundabdeckung mit leicht hyperthermischer eigenschaft
JP2004538114A5 (ko)
US20080228247A1 (en) Health Care and Physical Therapy Device For Gathering Energy
KR20070012216A (ko) 온욕 장치
KR101171689B1 (ko) 전자동 스팀기
US20190350335A1 (en) Ultrasonic mist conditioning hair styling apparatus
KR20140083404A (ko) 전자 뜸기
KR20100056232A (ko) 히터봉을 갖는 가습기의 습기 가열장치 및 방법
CN105343942A (zh) 一种电加热与压力可调的砭石罐疗装置
KR101163326B1 (ko) 안면미용, 좌욕, 가습기능을 겸용으로 사용가능한 다기능 훈증기
KR100648434B1 (ko) 안면피부 미용기
CN213099291U (zh) 一种足部和脸部一体熏蒸仪
KR100461469B1 (ko) 발열수단이 구비된 온열 부항기
KR200427891Y1 (ko) 훈증 기능을 갖는 비데
CN106038234A (zh) 一种头部皮肤病熏蒸治疗器
KR100448682B1 (ko) 훈열기를 구비한 헬스침대
KR101167603B1 (ko) 마사지장치
CN204274979U (zh) 泌尿科患者术后用熏蒸器
KR101287864B1 (ko) 가열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에어 건
KR200394323Y1 (ko) 온열지압봉
CN2535068Y (zh) 家用中药雾化汽疗装置
CN104306157A (zh) 一种中药封包热敷温控蒸煮装置及其自动蒸煮方法
CN204319248U (zh) 一种多功能治疗椅
KR20020063047A (ko) 가습기
KR102501689B1 (ko) 에어워셔용 플라즈마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