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267A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5267A KR20100055267A KR1020080114257A KR20080114257A KR20100055267A KR 20100055267 A KR20100055267 A KR 20100055267A KR 1020080114257 A KR1020080114257 A KR 1020080114257A KR 20080114257 A KR20080114257 A KR 20080114257A KR 20100055267 A KR20100055267 A KR 201000552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zigbee
- lighting
- radio signal
- user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58—Monitor senso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주거시설, 사무시설 등에는 복수개의 조명장치가 설치되고, 각 조명들을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일정 장소에 설치된다. 넓은 영역에 복수개의 조명장치가 설치된 경우 전원절약을 위해 조명이 필요한 영역의 조명장치만 선택적으로 점등할 필요가 있다.In general,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re installed in a residential facility, an office facility,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on / off of each of the lights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lace.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re installed in a large area, only the lighting device of the area requiring lighting for power saving needs to be selectively turned on.
그런데, 필요한 영역의 조명장치만 선택적으로 점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조명 스위치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직접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스위치의 개수도 증가함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스위치를 조작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관리하는 것 또한 용이하지 아니하다.However, in order to selectively light only the lighting device of the required area,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moves to the place where the lighting switch is installed and directly operates the switch.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lighting devices increases, the number of switches also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for a user to operate a switch, which is not easy to manage.
이에, 사무시설의 경우 복수개의 조명장치를 중앙에서 일괄 제어하는 중앙제어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중앙제어 방식의 경우 소정 구역의 조명을 일괄적으로 온/오프 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 특정 영역에 한해 조명장치를 점등하는 개별적인 제어가 불가능하다.Therefore, in case of an office facility, a central control system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may be used. In the case of the central control method, by using a method of collectively turning on / off the lighting of a predetermined area, it is not possible to individually control to turn on the lighting device in a specific area.
한편, 전원절약을 위한 조명 방식으로는,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들 수 있다.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현관이나 인적이 드문 복도 등에 설치되어,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 한해 조명장치를 점등한다. 이러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사용자의 왕래가 적은 구역에서는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사무실이나 독서실 등과 같이 사용자가 움직임 없이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있음에도 조명장치가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적용 가능한 영역이 한정적이다. On the other hand, as a lighting method for power saving, there is a lighting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The lighting device using the motion sensor is installed in a hallway or a rare corridor and turns on the lighting device only when motion is detected. The lighting apparatus using such a motion sensor may be usefully used in an area where a user's traffic is small. However, when the user performs the work without movement, such as an office or a reading room, the lighting device is not operated even if the user is present, so the applicable area is limit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최적의 조명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조명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ptimal ligh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and provides a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제어 시스템은 지그비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지그비 사용자 장치와; 조명광을 공급하는 조명장치와; 상기 지그비 사용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그비 무선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지그비장치를 포함한다.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ZigBee user device for transmitting a ZigBee wireless signal; An illumination device for supplying illumination light; And a Zigbee device for controlling a driving state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Zigbe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Zigbee user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지그비 무선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지그비 무선신호의 수신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수신유지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지그비 무선신호의 수신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수신유지 시간보다 큰 경우, 조명장치를 턴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Zigbee radio signal is received from a user; Determining whether a reception holding time of the received Zigbee radio signal is greater than a preset reception holding time; And turning on the lighting device when the reception holding time of the Zigbee radio signal is greater than a preset reception holding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최적의 조명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조명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ligh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and to efficiently manage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 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은, 각 설치 영역에 조명 광을 공급하는 조명장치(20a 20b)와, 지그비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지그비 사용자장치(30)와, 지그비 사용자장치(30)에서 송신되는 지그비 무선신호에 따라 각 조명장치(20a, 20b)의 구동을 제어하는 지그비장치(10a, 10b)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지그비 사용자장치(30)는 소정 신호세기의 지그비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태그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지그비 사용자장치(30)가 송신하는 무선신호의 세기가 사용자 위치파악을 위한 기준이 되는 경우, 지그비 사용자장치(30)는 일정한 신호세기의 지그비 무선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 이러한, 지그비 사용자장치(30)는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는 카드나 칩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지그비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지그비 사용자장치(30)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Zigbee
제1조명장치(20a) 및 제2조명장치(20b)는 조명광이 필요한 영역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조명장치(20a, 20b)는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 램프, LED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지그비장치(10a, 10b)는 각 조명영역(a, b)으로 진입한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무선신호의 수신상태에 따라 각 조명장치(20a, 20b)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1지그비장치(10a)는 제1조명영역(a)에 진입한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제2지그비장치(10b)는 제2조명영역(b)에 진입한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지그비 사용자장치(30)가 양 측 조명영역(a, b)가 중첩되는 영역(c)에 위치하는 경우, 제1지그비장치(10a) 및 제2지그비장치(10b) 모두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ZigBee devices 10a and 10b receive a radio signal of the ZigBee
지그비장치(10a, 10b)는 조명영역(a, b)에 진입한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신호의 수신시간 및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에 따라 해당 조명장치(20a, 20b)의 구동을 제어한다. 지그비장치(10a, 10b)는 지그비 사용자장치(30)로부터의 무선신호 수신시간이 소정 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조명영역(a, b)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조명장치(20a, 20b)가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그비장치(10a, 10b)는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 세기에 따라 조명장치(20a, 20b)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ZigBee devices 10a and 10b receive the radio signals of the ZigBe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설명에서는 조명장치(20)가 복수개의 LED(23)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기로 한다.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제어 시스템의 지그비장치(10)는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 수신을 위한 수신부(12)와, 수신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신호세기 감지부(14)와, 수신신호의 상태에 따른 조명제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18)와, 수신부(12)를 통해 수신된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 상태에 따라 조명장치(20)를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ZigBee
메모리(18)에 저장된 조명제어 데이터는, 조명장치(20) 온/오프 결정을 위한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 수신유지 시간정보와,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에 따른 조명장치(20)의 조도정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The lighting control data stored in the
제어부(16)는 수신부(12)로 수신되는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의 수신유지 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신호세기 감지부(14)로부터 사용자장치의 무선신호의 신호세기 값을 전달받는다. 제어부(16)는 메모리(18)에 저장된 조명제어 데이터에 따라, 조명장치(20)의 온/오프 동작과 조명장치(20)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한편, 조명장치(20)는 복수개의 LED(23)와, 지그비 모듈의 제어에 따라 각 LED(23)를 점멸동작 및 LED(23)의 조도를 제어하는 조명 구동장치(22)를 포함한다. 조명 구동장치(22)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LED(23)는 선택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다. 또한, 조명 구동장치(22)는 LED(23)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각 LED(23)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제어흐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control flow of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shown in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3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그비장치(10)에는 지그비 무선신호 세기에 따른 조명 밝기, 즉, 조도가 설정되어, 메모리(18)에 조명제어 데이터로 저장된다(S10). 지그비 무선신호의 세기는 사용자가 지그비장치(10) 및 조명장치(20)와 어느 정도 근접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예컨대, 지그비 무선신호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지그비 사용자장치(30)를 소지한 사용자는 조명장치(2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무선신호의 세기가 작을수록 조명장치(20)의 조도는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지그비 무선신호의 세기에 따른 조도는 시스템 설계자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Zigbee
또한, 지그비장치(10)에는 무선신호 검출 지속시간(T) 설정되어, 메모리(18)에 조명제어 데이터로 저장된다(S20). 무선신호 검출 지속시간(T)는 사용자가 해당 영역 내에 머물고 있는지, 아니면 다른 영역으로 이동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즉, 지그비 사용자장치(30)로부터의 무선신호 검출 시간이 기준시간인 T보다 오래 지속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지그비 사용자장치(30)로부터의 무선신호 검출 시간이 기준시간인 T보다 짧은 경우, 이미 사용자가 조명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신호 검출 지속시간(T) 또한, 시스템 설계자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dio signal detection duration T is set in the Zigbee
각 조건의 설정이 완료되면, 지그비장치(10)는 지그비 무선신호의 검출을 시도한다(S30).When setting of each condition is completed, the Zigbee
이에, 지그비 무선신호가 수신된 경우, 지그비장치(10)는 지그비 무선신호의 검출 시간이 기준시간인 T보다 오래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Accordingly, when the Zigbee radio signal is received, the
판단결과, 지그비 사용자장치(30)로부터의 무선신호 검출 시간이 기준시간인 T보다 짧은 경우, 지그비장치(10)는 조명장치(20)의 오프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S50).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the radio signal detection time from the ZigBee
그리고, 지그비 사용자장치(30)로부터의 무선신호 검출 시간이 기준시간인 T보다 오래 지속되는 경우, 지그비장치(10)는 해당 무선신호의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설정된 밝기로 조명장치(20)가 턴온되도록 제어한다(S60).In addition, when the detection time of the radio signal from the Zigbe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지그비 사용자장치(30)를 소지하는 것만으로도, 필요한 영역의 조명이 온/오프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조명장치(20)와 사용자 간의 거리에 따라 조명의 조도가 자동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able the user to turn on / off the required area only by holding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점등 상태도로서, 조명장치(20a 20b)는 복수개의 LED(23)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제1조명영역(a)에 머물고 있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백색으로 표시된 LED는 턴온상태, 검은색으로 표시된 LED는 오프상태를 나타낸다.4 is a lighting state diagram of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제1지그비장치(10a)는 제1조명영역(a)에 진입한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제1조명장치(20a)의 LED를 턴온한다. 반면, 제2지그비장치(10b)는 제1조명영역(a)에 진입한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없음으로, 제2조명장치(20b)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first Zigbee device 10a receives the radio signal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점등 상태도로서, 조명장치(20a 20b)는 복수개의 LED(23)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양측 조명영역(a, b)이 중첩되는 영역(c)에 머물고 있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백색으로 표시된 LED는 턴온상태, 검은색으로 표시된 LED는 오프상태, 빗금으로 표시된 LED는 조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5 is a lighting state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사용자가 양측 조명영역(a, b)이 중첩되는 영역(c)에 위치하는 경우, 제1지그비장치(10a) 및 제2지그비장치(10b) 모두, 지그비 사용자장치(30)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각 조명영역(a, b)의 중심에 있을 때보다는 상대적으로 무선신호의 수신세기가 작은 것으로 감지된다. 이에, 지그비장치(10a, 10b)는 조명장치(20a, 20b)의 LED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하고, 턴온 된 LED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조명영역(c)에 자연스러운 조명광이 제공된다.When the user is located in an area c in which both side lighting areas a and b overlap, both the first ZigBee device 10a and the second ZigBee device 10b receive a radio signal from the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emplify the abov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is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any vari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differences relating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ll hav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제어블록도.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제어흐름도.3 is a control flow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점등 상태도.4 is a lighting state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의 점등 상태도.5 is a lighting state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4257A KR101637564B1 (en) | 2008-11-17 | 2008-11-17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4257A KR101637564B1 (en) | 2008-11-17 | 2008-11-17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1956A Division KR101673801B1 (en) | 2015-08-28 | 2015-08-28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5267A true KR20100055267A (en) | 2010-05-26 |
KR101637564B1 KR101637564B1 (en) | 2016-07-21 |
Family
ID=4227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4257A KR101637564B1 (en) | 2008-11-17 | 2008-11-17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756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27730A1 (en) * | 2012-08-16 | 2014-02-20 | 주식회사 한국안테나 | Wireless control apparatus for led lamps |
KR101450403B1 (en) * | 2012-12-11 | 2014-10-15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System for controlling wireless lighting device using ubiquitio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21437A (en) * | 2005-08-18 | 2007-02-2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System for controlling and collecting to load information based on local sensor network |
JP2007179411A (en) * | 2005-12-28 | 2007-07-12 |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
KR20070089284A (en) * | 2006-02-28 | 2007-08-3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KR20080034319A (en) * | 2006-10-16 | 2008-04-21 | 고율삼 | Sensor-control light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08
- 2008-11-17 KR KR1020080114257A patent/KR10163756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21437A (en) * | 2005-08-18 | 2007-02-2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System for controlling and collecting to load information based on local sensor network |
JP2007179411A (en) * | 2005-12-28 | 2007-07-12 |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
KR20070089284A (en) * | 2006-02-28 | 2007-08-3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KR20080034319A (en) * | 2006-10-16 | 2008-04-21 | 고율삼 | Sensor-control light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27730A1 (en) * | 2012-08-16 | 2014-02-20 | 주식회사 한국안테나 | Wireless control apparatus for led lamps |
KR101450403B1 (en) * | 2012-12-11 | 2014-10-15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System for controlling wireless lighting device using ubiquitio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7564B1 (en) | 2016-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655279B (en) | Method for commissioning a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 |
CN102804924A (en) |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With Improved Snr | |
KR101236186B1 (en) | System for controlling streetlight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 |
KR101204374B1 (en) | Parking place management system using PLC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 |
EP2845449B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mmissioning of nodes of a network | |
KR101214235B1 (en) | Wireless sensing module, wireless lighting controller and wireless lighting system | |
JP2016201218A (en) | Ligh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 |
KR2015009522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by Group based on Wireless network | |
US10487998B2 (en) | Motion sensor based lighting fixture operation | |
KR2015006805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by Group based on Wireless network | |
KR101637564B1 (en)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673801B1 (en)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110173B1 (en) | Method for successive light control using group and individual control | |
KR101765033B1 (en) | LED lighting of Parking lot | |
KR10130242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of led light | |
KR20120000146A (en) |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 |
KR101470054B1 (en) | Lighting System and ligh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2010086686A (en) | Lighting control system | |
JP2007226981A (en) | Lighting system | |
KR101698346B1 (en) | An ac wall switch performing led lights controls without supplemental power wires | |
KR101923620B1 (en) | APPARATUS OF WIRELESS CONTROl FOR INTERNET OF THINGS SMART LIGHT EMITTING DIODE STREETLAM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KR20170051664A (en) | Apparatus for driving ligh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50031077A (en)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 |
KR20140013279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 |
JP7246011B2 (en) | Human detection device and human detec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