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372A -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복제서버 - Google Patents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복제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372A
KR20100053372A KR1020080112446A KR20080112446A KR20100053372A KR 20100053372 A KR20100053372 A KR 20100053372A KR 1020080112446 A KR1020080112446 A KR 1020080112446A KR 20080112446 A KR20080112446 A KR 20080112446A KR 20100053372 A KR20100053372 A KR 20100053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page
client
content
re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식
심선호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2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3372A/ko
Publication of KR20100053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복제서버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 제공자 측의 컨텐츠서버로부터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수신하여 저장한 복제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페이지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페이지를 컨텐츠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며, 이후,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요청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면 저장된 객체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페이지를 컨텐츠 제공자 측의 컨텐츠서버에서 직접 관리할 수 있고 컨텐츠 제공자는 페이지에 대한 요청횟수를 알 수 있으며, 컨텐츠서버로부터 CDN 사업자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제서버로 페이지를 가져온 후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컨텐츠서버에서 직접 페이지를 수신하는 것보다 빠른 속도로 페이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CDN, 라우팅, 리다이렉션, CNAME, replication server

Description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복제서버{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based on Content Delivery Network provider, and replication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복제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저장한 복제서버를 통하여 컨텐츠서버가 제공하는 페이지 및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클라이언트가 제공받을 수 있는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복제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 Provider)의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컨텐츠(예컨대,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의 수는 매우 많다. 웹 서버가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수의 클라이언트들 각각에게 일대일로 제공하기에는 많은 부하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웹 서버는 단일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연결되어 있는데 반하여 컨텐츠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는 다수의 ISP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ISP들 간의 트래픽은 컨텐츠 제공자와 클라이언트가 늘어남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트래픽 혼잡으로 인한 전송지연 및/또는 전송실패 율이 높아진다. 최악의 경우에는 웹 서버의 기능장애(fail-over)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다. CDN이란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컨텐츠 제공자의 웹 서버에 집중되어 있는 컨텐츠, 예를 들어 그림, 배너, 비디오 또는 오디오와 같이 용량이 크거나 클라이언트들의 요구가 빈번한 컨텐츠를 다수의 ISP 상호 접속점(PoP: Point of Presence)에 광역적으로 분산 배치된 호스트 서버에 미리 저장해 놓고, 클라이언트의 요구가 있을 경우 해당 이용자와 가장 근접한 호스트 서버의 경로를 반환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그 반환된 경로를 통해 호스트 서버에 접속한 후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서비스이다. 여기서 호스트 서버는 캐시서버, 복제서버 또는 고스트서버로 다양하게 일컬어진다.
종래의 경우 CDN 사업자가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만을 복제서버에 저장해 놓고 페이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해 왔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페이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객체를 신속하게 클라이언트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가 원격지에 위치한 컨텐츠서버로부터 페이지를 수신하는 경우 RTT(Round Trip Time)가 길어 응답속도가 늦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요청을 CDN 사업자 측으로 라우팅(routing)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복제서버에서 CDN 사업자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서버로부터 페이지를 수신하여, 컨텐츠서버로부터 수신한 페이지와 복제서버에 기 저장된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복제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방법은, CDN 사업자의 복제서버가 페이지와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저장한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객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복제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페이지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페이지 전송단계, 및 상기 복제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한 상기 객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객체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제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상기 페이지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전송단계에서, 상기 복제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요청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서버로 상기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하고,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객체가 상기 복제서버에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포함한 HTTP 302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제서버로 요청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전송단계에서, 상기 복제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요청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로컬 네임서버로 상기 컨텐츠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요청하고, 상기 로컬 네임서버가 상기 컨텐츠서버 측의 네임서버로부터 상기 복제서버에 대응되는 도메인네임 정보를 CNAME 방식으로 수신하며, 상기 로컬 네임서버가 상기 도메인네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제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제서버로 요청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CDN 사업자의 복제서버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객체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페이지 를 수신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페이지를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상기 객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CDN 사업자의 복제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상기 페이지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은, 페이지와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제공하는 컨텐츠서버, 및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객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페이지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며, 상기 페이지를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한 상기 객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CDN 사업자의 복제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제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상기 페이지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제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요청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서버로 상기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하고,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객체가 상기 복제서버에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포함한 HTTP 302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제서버로 요청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제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요청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로컬 네임서버로 상기 컨텐츠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요청하고, 상기 로컬 네임서버가 상기 컨텐츠서버 측의 네임서버로부터 상기 복제서버에 대응되는 도메인네임 정보를 CNAME 방식으로 수신하며, 상기 로컬 네임서버가 상기 도메인네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제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제서버로 요청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페이지 요청을 CDN 사업자 측으로 라우팅하고 클라이언트는 복제서버로 페이지를 요청하며, 복제서버는 컨텐츠서버가 제공하는 페이지를 다수의 ISP 네트워크보다 빠른 전송속도를 갖는 CDN 사업자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컨텐츠서버가 직접 원격지에 위치한 클라이언트로 페이지를 전송할 때보다 전송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서버를 운용하는 컨텐츠 제공자는 페이지의 제어권을 갖고 각 페이지의 요청횟수 등의 정보를 알 수 있어 광고 수주 등을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객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주 업데이트되는 페이지를 각 업데이트시마다 복제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부담없이도 CDN 사업자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분배시스템은 클라이언트(110), 로컬 네임서버(120), 복제서버(130), 사업자 네임서버(140),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150), 컨텐츠서버(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클라이언트(110)는 네트워크(170)로 연결된 서버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컴퓨터 등의 장비를 의미한다. 클라이언트(110)는 브라우저와 리졸버(resolver)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110)의 브라우저에 특정 컨텐츠를 요청(request)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er) 등이 입력되면, 브라우저와 연결된 리졸버(resolver)가 미리 등록된 로컬 네임서버(120)에 액세스(access)하여 도메인명을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서버(160)의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address)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클라이언트(110)는 페이지와 해당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전송 할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로컬 네임서버(120)로 질의한다. 이후, 로컬 네임서버(120)로부터 페이지와 해당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전송할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수신받으면, 이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페이지와 해당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수신한다.
로컬 네임서버(120)는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DNS(Domain Name Server)를 의미하며, 기호명(symbolic name)을 기계가 사용하는 숫자 주소로 변환하여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네임서버의 일종이다.
로컬 네임서버(120)는 컨텐츠 제공자 측의 네임서버인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150)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페이지와 객체를 제공하는 컨텐츠서버(160)의 IP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하거나, CDN 사업자 측의 네임서버인 사업자 네임서버(140)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저장한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110)로 반환하는 역할을 한다.
복제서버(130)는, 예를 들어, 캐시서버(cache server)라고도 불리며, 컨텐츠서버(160)가 저장 및 관리하는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의 복사본을 저장하는 CDN 사업자 측의 서버이다. 복제서버(130)는 클라이언트(110)로부터 컨텐츠서버(160)가 제공하는 페이지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페이지를 컨텐츠서버(160)로 요청하고 수신하여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후, 복제서버(130)가 클라이언트(110)로부터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복제서버(130) 내에 이미 저장된 객체를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컨텐츠서버(160)로부터 수신하여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 페이지는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하지 않고, 메모리 등에서 삭제한다. 이는, 복제서버(130)가 클라이언트(110)로부터 페이지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컨텐츠서버(160)로 페이지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하기 위함이다.
사업자 네임서버(140)는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 정보를 갖고 있다. 사업자 네임서버(140)는 로컬 네임서버(120)로부터 페이지와 해당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할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질의받으면, 페이지와 해당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 요청에 응답하기 적합한 복제서버(130)를 선택하고 해당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로컬 네임서버(120)를 거쳐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
이때, 복제서버(130)의 선택은 복제서버(130)의 데이터 트래픽 정보, 클라이언트(110)와 복제서버(130) 복제서버 간의 지역적 인접성 정보 및 복제서버(130)가 저장한 객체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컨텐츠서버(160)는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페이지와 해당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embedded object) 등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측의 서버이다. 본 발명의 컨텐츠서버(160)는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복제서버(130)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후, 복제서버(130)로부터 페이지에 대한 요청을 받으면 해당 페이지를 네트워크(170)를 통하여 복제서버(1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서버(160)는 클라이언트(11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저장한 복제서버의 URL을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302 메시지에 포함하여 클라이언트(110)로 전 송하는 역할을 한다. HTTP 302 리다이렉션 메시지는 클라이언트(110)의 요구를 다른 위치의 URL로 재지정하기 위한 HTTP 프로토콜 규약에 따른 응답 메시지 중 하나이다.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150)는 컨텐츠 제공자가 속한 네임서버의 일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150)는 로컬 네임서버(120)로 컨텐츠서버(160)의 IP 어드레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150)는 로컬 네임서버(120)로 CDN 사업자 도메인네임 정보를 CNAME(Canonical NAME) 레코드에 포함하여 전송하여, 페이지 및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가 복제서버(130)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CNAME은 호스트 이름을 나타내는 별명의 DNS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를 의미한다.
네트워크(170)는 클라이언트(110), 로컬 네임서버(120), 복제서버(130), 사업자 네임서버(140),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150) 및 컨텐츠서버(160) 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15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복제서버(130)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제서버(130)는 송수신부(210), 제어부(220),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210)는 네트워크(170)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및 메시지 송수신 등 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데이터베이스(230)는 컨텐츠서버(170)로부터 수신한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의 저장소이다.
제어부(220)는 송수신부(21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11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요청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페이지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컨텐츠서버(160)로 요청한다. 그리고 제어부(220)가 송수신부(210)를 통해 컨텐츠서버(160)로부터 해당 페이지를 수신하면, 송수신부(210)를 통해 클라이언트(110)로 수신한 페이지를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22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요청을 클라이언트(110)로부터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객체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
제어부(220)가 컨텐츠서버(160)로부터 수신하여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 페이지는 데이터베이스(230) 또는 별도의 저장소 등에 저장하지 않고 삭제한다. 이는 클라이언트(110)로부터 페이지에 대한 컨텐츠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페이지를 컨텐츠서버(160)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컨텐츠서버(160)는 클라이언트(110)로부터 페이지가 요청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제서버(130)가 CDN 사업자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서버(130)로부터 페이지를 수신하고, 클라이언트(160)는 CDN 사업자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제서버(130)가 수신한 페이지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110)가 컨텐츠서버(160)로부터 직접 페이지를 수신하는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페이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 과정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제서버(130)는 컨텐츠 제공자의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컨텐츠서버(16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한다(S300). 단계(S300)에서의 컨텐츠 전송은, 예를 들어, 복제서버(130)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특정 시간마다, 컨텐츠서버(160) 내의 객체가 갱신(update) 되는 경우 등에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110)의 브라우저가 컨텐츠서버(160)로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URL 등을 입력받으면, 클라이언트(110)가 로컬 네임서버(120)로 컨텐츠서버(160)의 IP 어드레스를 질의한다(S305).
단계(S305)에서 컨텐츠서버(160)의 IP 어드레스를 질의를 수신한 로컬 네임서버(120)는 컨텐츠서버(160) IP 어드레스를 컨텐츠 제공자 측의 네임서버인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150)로 질의한다(S310).
단계(S310)에서 질의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150)는 컨텐츠서버(160)의 IP 어드레스를 로컬 네임서버(120)로 전송하고(S315), 컨텐츠서버(160)의 IP 어드레스를 수신한 로컬 네임서버(120)는 컨텐츠서버(160)의 IP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S320).
단계(S320)에서 컨텐츠서버(160)의 IP 어드레스를 수신한 클라이언트(110)는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서버(160)로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하고(S325), 단계(S325)에서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컨텐츠서버(160)는 CDN 사업자의 객체 저장 위치를 나타내는 URL을 HTTP 302 리다이렉션 메시지에 담아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S330).
단계(S330)에서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의 저장 위치를 나타내는 URL을 포함한 HTTP 302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110)는, 해당 URL을 이용하여 로컬 네임서버(120)로 페이지와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전송할 복제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질의하고(S335), 단계(S335)에서 IP 어드레스 질의를 수신한 로컬 네임서버(120)는 CDN 사업자의 네임서버인 사업자 네임서버(140)로 페이지와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전송할 복제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질의한다(S340).
단계(S340)에서 질의를 수신한 사업자 네임서버(140)는 클라이언트(110)로 페이지와 객체를 전송할 복제서버(130)를 선정한다(S345). 단계(S345)에서는, 예를 들어, 복제서버(130)의 데이터 트래픽 정보, 복제서버(130)와 클라이언트(110) 간의 지역적 인접성 정보, 및 복제서버(130)가 저장한 객체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복제서버(130)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업자 네임서버(140)는 선정된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로컬 네임서버(120)로 전송하고(S350), 로컬 네임서버(120)는 전송받은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S355).
단계(S355)에서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수신한 클라이언트(110)는 이를 이용하여, 복제서버(130)로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하고(S360), 단계(S360)에서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복제서버(130)는 컨텐츠서버(160)로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한다(S365).
단계(S365)에서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컨텐츠서버(160)는 요청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페이지를 복제서버(130)로 전송하고(S370), 단계(S370)에서 페이지를 수신한 복제서버(130)는 해당 페이지를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S375).
단계(S375)에서 복제서버(130)가 전송한 페이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110)는 수신한 페이지를 파싱한다(S380). 단계(S380)에서 클라이언트(110)가 페이지를 파싱하는 도중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발견하면, 단계(S355)에서 전송받은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복제서버(130)로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요청하고(S385), 복제서버(130)가 전송한 해당 객체를 수신하게 된다(S390).
단계(S370)에서 복제서버(130)가 컨텐츠서버(160)로부터 수신하여 단계(S375)에서 복제서버(130)가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 페이지는 어떠한 저장소에도 저장하지 않고 삭제한다. 이는 클라이언트(110)로부터 컨텐츠 요청이 있을 경우마다, 컨텐츠서버(160)로 페이지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제서버(130)는 컨텐츠 제공자의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컨텐츠서버(16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한다(S400).
클라이언트(110)의 브라우저가 컨텐츠서버(160)로 컨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URL 등을 입력받으면, 클라이언트(110)가 로컬 네임서버(120)로 페이지 및 해당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저장한 컨텐츠서버(160)의 IP 어드레스를 질의한다(S405).
단계(S405)에서 컨텐츠서버(160)의 IP 어드레스를 질의를 수신한 로컬 네임서버(120)는 페이지 및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제공하는 컨텐츠서버(160)의 IP 어드레스를 컨텐츠 제공자 측의 네임서버인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150)로 질의한다(S410).
단계(S410)에서 IP 어드레스 질의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150)는 컨텐츠서버를 운용하는 컨텐츠 제공자와 계약된 CDN 사업자의 도메인네임 정보를 로컬 네임서버(120)로 전달한다(S415). 단계(S415)에서는, 예를 들어, CDN 사업자의 도메인네임 정보를 CNAME 리소스 레코드에 포함하여 로컬 네임서버(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S415)에서 CDN 사업자의 도메인네임 정보를 전달받은 로컬 네임서버(120)는 해당 도메인네임에 대응되는 CDN 사업자의 네임서버인 사업자 네임서버(140)로 페이지 및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전송할 복제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질의한다(S420).
단계(S420)에서 질의를 수신한 사업자 네임서버(140)는 클라이언트(110)로 해당 페이지 및 객체를 전송할 복제서버(130)를 선정한다(S425). 단계(S425)에서는, 예를 들어, 복제서버(130)의 데이터 트래픽 정보, 복제서버(130)와 클라이언트(110) 간의 지역적 인접성 정보, 및 복제서버(130)가 저장한 객체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복제서버(130)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업자 네임서버(140)는 선정된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로컬 네임서버(120)로 전송하고(S430), 로컬 네임서버(120)는 전송받은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S435).
단계(S435)에서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수신한 클라이언트(110)는 이를 이용하여, 복제서버(130)로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하고(S440), 단계(S445)에서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복제서버(130)가 컨텐츠서버(160)로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한다(S445).
단계(S445)에서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컨텐츠서버(160)는 복제서버(130)로 요청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페이지를 전송하고(S450), 복제서버(130)는 단계(S450)에서 수신한 페이지를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S455).
단계(S455)에서 페이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110)는 해당 페이지를 파싱한다(S460). 단계(S460)에서 클라이언트(110)가 페이지를 파싱하는 도중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발견하면, 단계(S435)에서 수신한 복제서버(130)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복제서버(130)로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요청한다(S465).
단계(S465)에서 객체 요청을 수신한 복제서버(130)는 단계(S400)에서 저장한 객체를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S470).
복제서버(130)는 단계(S450)에서 컨텐츠서버(160)로부터 수신한 페이지를, 단계(S455)에서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하고난 이후 또는 단계(S470)에서 클라이언트(110)로 객체를 전송하고난 이후에 별도의 저장소 등에 저장하지 않고 삭제하며, 이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이언트가 CDN 사업자의 복제서버를 통하여 페이지 및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는 복제서버로부터 컨텐츠서버로 페이지가 요청된 경우마다 최신의 페이지를 전송하여 클라이언트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페이지가 요청된 횟수를 알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CDN 사업자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신속하게 페이지 및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제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분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분배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0)

  1.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사업자의 복제서버가 페이지와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저장한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객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복제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페이지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페이지 전송단계; 및
    상기 복제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한 상기 객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객체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상기 페이지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전송단계에서
    상기 복제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요청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서버로 상기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하고,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객체가 상기 복제서버에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포함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302 리다이렉션(redirection)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제서버로 요청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전송단계에서
    상기 복제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요청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로컬 네임서버로 상기 컨텐츠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요청하고, 상기 로컬 네임서버가 상기 컨텐츠서버 측의 네임서버로부터 상기 복제서버에 대응되는 도메인네임 정보를 CNAME(Canonical NAME) 방식으로 수신하며, 상기 로컬 네임서버가 상기 도메인네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제서버의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제서버로 요청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방법.
  5.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객체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페이지를 수신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페이지를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상기 객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CDN 사업자의 복제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상기 페이지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N 사업자의 복제서버.
  7. 페이지와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를 제공하는 컨텐츠서버; 및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객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페이지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며, 상기 페이지를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한 상기 객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CDN 사업자의 복제서버; 를 포함하는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상기 페이지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요청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서버로 상기 페이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을 하고,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객체가 상기 복제서버에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URL 정보를 포함한 HTTP 302 리다이렉션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제서버로 요청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요청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로컬 네임서버로 상기 컨텐츠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요청하고, 상기 로컬 네임서버가 상기 컨텐츠서버 측의 네임서버로부터 상기 복제서버에 대응되는 도메인네임 정보를 CNAME 방식으로 수신하며, 상기 로컬 네임서버가 상기 도메인네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제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제서버로 요청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KR1020080112446A 2008-11-12 2008-11-12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복제서버 KR20100053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446A KR20100053372A (ko) 2008-11-12 2008-11-12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복제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446A KR20100053372A (ko) 2008-11-12 2008-11-12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복제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372A true KR20100053372A (ko) 2010-05-20

Family

ID=4227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446A KR20100053372A (ko) 2008-11-12 2008-11-12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복제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33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524B1 (ko) * 2008-11-14 2012-01-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복수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524B1 (ko) * 2008-11-14 2012-01-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복수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9639B2 (en) Request routing based on class
US11108729B2 (en) Managing request routing information utilizing client identifiers
EP2266064B1 (en) Request routing
US8359402B2 (en) Intercept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EP2266043B1 (en) Cache optimzation
US8527635B2 (en) Contents delivery system and method, web server and contents provider DNS server thereof
US20100121914A1 (en) Contents delivery system and method based on content delivery network provider and replication server thereof
EP3213222A1 (en) Cont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KR20130088774A (ko) 분할 콘텐트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1082362B1 (ko) 컨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그 웹서버 및 컨텐츠 제공자 dns 서버
KR20100054661A (ko) 복수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KR101104727B1 (ko)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3372A (ko)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복제서버
KR101066871B1 (ko)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0909A (ko) 페이지 리다이렉션을 이용한 컨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그 gslb 스위치
KR101160542B1 (ko) 복수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
KR101089058B1 (ko) Cp 참여형 컨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그 cdn dns 서버
KR101137249B1 (ko) 복수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컨텐츠서버
KR101091982B1 (ko) 캐시서버와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캐싱방법 및 그 캐시서버
KR101109524B1 (ko) 복수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컨텐츠 제공자 네임서버
KR20100054660A (ko) 복수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컨텐츠서버
KR20100055295A (ko) 복수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KR101088023B1 (ko) 오브젝트 리다이렉션을 이용한 컨텐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그 gslb 스위치
KR20100054659A (ko) 복수의 cdn 사업자를 통한 컨텐츠 분배시스템 및 방법, 그 컨텐츠서버
KR20180067936A (ko)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워드프레스 콘텐츠 전송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